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대학 도서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대학 도서관은 대학의 교육 및 연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시설로, 중세 유럽 대학의 발달과 함께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칼리지 도서관 형태로 운영되었으며, 인쇄술 발달과 종교 개혁의 영향으로 장서가 증가했다. 19세기 이후 연구 중심 대학으로의 변화와 함께 중요성이 커졌으며, 미국에서는 20세기에 세계 학문 연구의 중심이 되면서 대학 도서관도 발전했다. 오늘날 대학 도서관은 물리적인 자료뿐만 아니라 온라인 자원, 학습 공간, 정보 활용 능력 교육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국의 대학 도서관은 해방 이후 대학의 성장과 함께 발전했으며, 최근에는 학습 공용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서관사 - 조선총독부 도서관
  • 도서관사 - 회원제 도서관
    회원제 도서관은 회비나 투자로 운영되며 회원에게만 자료 이용을 허용하는 도서관의 한 형태로, 초기 도서관의 중요한 형태를 차지했으며, 대여 도서관과 공공 도서관의 등장으로 역할이 변화해 현재까지 다양한 형태로 운영된다.
  • 대학 도서관 - 이스라엘 국립도서관
    1892년 브나이 브리스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히브리 대학교 도서관을 거쳐 국립도서관법에 따라 독립적인 공익법인이 된 이스라엘 국립도서관은 히브리어와 유대 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이스라엘 및 세계 각국의 관련 자료를 수집하며 귀중한 특별 소장품을 보유하고 2023년 개관했으나 전쟁으로 인해 제한적으로 운영 중인 이스라엘의 국가 도서관이다.
  • 대학 도서관 - 학교 도서관
    학교 도서관은 학교 교육 과정에 기여하고 학생의 교양을 육성할 목적으로 학교에 설치된 설비로, 학생과 교원에게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여러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학업 성취도 향상과 정보 활용 능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학 도서관
개요
유형고등 교육 기관 부속 도서관
설명대학교, 칼리지 또는 기타 고등 교육 기관에 부속된 도서관이다.
특징
목적교육, 연구, 학습 지원
컬렉션학술 자료 (학술지, 단행본, 연구 보고서 등)
특수 자료 (고문서, 희귀본, 시청각 자료 등)
서비스자료 대출 및 반납
참고 및 정보 서비스
연구 지원 서비스
교육 프로그램
시설 제공 (열람실, 스터디룸, 컴퓨터 등)
조직대학 본부 또는 관련 부서 소속
도서관장 지휘 하에 운영
다양한 부서 (수서과, 정리과, 참고봉사과 등)
이용자해당 대학 구성원 (학생, 교직원, 연구원 등)
지역 사회 구성원 (일부 개방)
역사
기원중세 시대 대학의 필사실 및 장서각
발전대학의 성장과 함께 발전, 정보 기술 발전으로 디지털 자료 및 서비스 확대
역할
교육 기관 지원교육, 연구, 학습 활동 지원
지식 정보 제공다양한 학술 정보 접근성 향상
연구 활동 촉진연구 자료 제공 및 연구 지원 서비스 제공
지적 문화 유산 보존귀중한 학술 자료 보존 및 관리
지역 사회 기여지역 사회 구성원에게 지식 정보 제공 및 문화 활동 지원 (일부)

2. 역사

대학 도서관의 기원은 중세 후기 유럽의 대학교 발달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초기에는 학료(collegium) 도서관이나 국민단(natio) 도서관 형태로 존재했으며, 파리 대학교 소르본 학료 도서관(1289년)이 대표적이다.[6] 14~15세기에는 군주나 제후가 설립한 대학에서 학부 도서관이 형성되었으며, 빈 대학교 도서관(1384년)이 그 예이다.[6]

1910년대 이후 20세기에는 미국이 세계 학문 연구의 중심이 되면서, 대학 도서관도 미국이 세계를 선도하게 되었다.[21] 괴팅겐 대학교는 교수 겸임 관장 제도를 고수하여 시대에 맞는 개혁을 하지 못했다.[21]

1877년 도쿄 대학에 설치된 도서관(현재의 도쿄 대학 종합 도서관)은 일본 최초의 대학 도서관이자 "도서관"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최초의 사례이다.[1][2]

2. 1. 유럽

유럽에서 가장 초기의 학술 도서관으로는 옥스퍼드 대학교의 보들리안 도서관(1602년 설립),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의 트리니티 칼리지 도서관(1592년 설립), 리투아니아의 빌뉴스 대학교 도서관(1570년 설립) 등이 있다.[22]

미국 학술 도서관과 달리 유럽의 많은 학술 도서관은 열람실을 운영하지 않으며, 이는 기관의 일반 자료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유럽 학술 도서관에서는 미국에서 사용되는 듀이 십진 분류법(DDC)과 유사하거나 이를 기반으로 한 분류 체계를 사용하지만, 자체적인 시스템을 개발하여 소장 자료를 정리하기도 한다.[22]

대학 도서관의 기원은 중세 후기 유럽의 대학교 형성 및 발달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대학 도서관은 중세 대학의 학료(collegium) 도서관에서 찾아볼 수 있다. 파리 대학교의 학료 중 하나인 소르본 학료에서는 1289년에 도서관이 개설되었다. 14~15세기에 군주 제후에 의해 창설된 대학에서는 신학부, 법학부, 의학부 및 그 예비 단계인 교양학부가 마련되었고, 교양학부에 의한 학부 도서관이 형성되었다. 1384년에 설치된 빈 대학교의 도서관이 그 예이다.

16세기 이후 활판 인쇄의 발명으로 인한 인쇄물의 보급과 수도원에 대한 정치적 압박으로 인해 수도원 소장의 많은 서적이 대학 도서관으로 옮겨지면서 대학 도서관의 장서 수는 증가했다. 그러나 대학 도서관의 서적이 몰수되는 경우도 있어 발전은 균일하지 않았다. 독일에서는 대학이 설치자인 영방 군주의 종교적 입장과 강하게 결합되어 17~18세기에 대학 활동이 정체기에 접어들면서 장서 수의 증가 속도가 완만했다. 그러나 근세에서 근대로 이행하면서 독일에서는 계몽주의 운동이 주로 대학에서 전개되어 전 시대의 종교성을 탈피하였고,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에 걸쳐 괴팅겐 대학교에서는 자유로운 연구·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선진적인 도서관 활동을 전개했다.

2. 2. 미국

미시간 대학교 앤아버의 법학 도서관


존스 홉킨스 대학교 조지 피바디 도서관 (볼티모어)


미국의 초기 대학들은 주로 성직자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이들 기관의 도서관은 신학과 고전 분야의 기증된 책들로 구성되었다. 1766년 하버드 대학교가 가장 많은 장서를 보유했고, 예일 대학교가 4,000권으로 그 뒤를 이었다.[7] 당시 도서관 이용은 교직원과 소수의 학생들에게 제한되었고, 유일한 직원은 시간제 교직원이나 대학 총장이었다.[8] 도서관의 우선순위는 이용자의 책 사용보다는 책 보호에 있었다. 1849년 예일 대학교는 주당 30시간, 버지니아 대학교는 주당 9시간, 컬럼비아 대학교는 4시간, 보든 칼리지는 단 3시간만 개방되었다.[9] 학생들은 문학 동아리를 만들어 소규모 장서를 구축하고 입회비를 부과했는데, 이는 종종 대학 도서관 소장량보다 많았다.

1904년 미국서지학회가 설립되었고, 학술 사서들이 회원 대다수를 차지했다.[10] 1976년 미국 도서관 협회(ALA)가 멜빌 듀이와 찰스 아미 커터를 포함한 회원들과 함께 결성되었다. 도서관들은 자료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우선순위를 재조정했으며, 해당 자료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자금 조달이 증가했다.[11][12]

오늘날 학술 도서관은 소속 대학과 관련 없는 사람들을 얼마나 수용하는지에 따라 다양하다. 일부는 연회비를 지불하는 일반 대중에게 열람 및 대출 특권을 제공하며, 이러한 수수료는 크게 다를 수 있다. 혜택은 목록 검색 또는 인터넷 접속 외의 컴퓨터 사용과 같은 서비스까지는 확장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협력적인 지역 대학의 동문 및 학생에게는 대출 특권을 마련할 때 할인 또는 기타 고려 사항이 제공될 수 있다. 반면에 일부 대학의 도서관은 학생, 교직원 및 직원으로 제한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호 대차 프로그램을 통해 다른 사람들이 자료를 대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토지 무상 지원 대학교의 도서관은 일반적으로 일반 대중에게 더 접근성이 높다. 경우에 따라 공식 정부 문서 보관소이며 대중에게 공개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 대중은 대출 특권을 위해 수수료를 지불하며, 학생으로서 접근할 수 있는 모든 것에 접근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 있는 아이비 리그 소속 하버드 대학교의 하버드 도서관은 2천만 권 이상의 장서, 4억 권의 원고, 1천만 장의 사진, 100만 개의 지도를 보유한 세계 최대의 학술 도서관이다.[13]

1910년대 이후 20세기에 세계 학문 연구의 중심은 미국으로 이동했고, 이에 따라 대학 도서관도 미국이 세계를 선도하게 되었다.[21] 미국에서는 초기에 대학 도서관이 유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학생들이 스스로 회비를 모아 운영하는 회원제 도서관(society library)이 발달하여 19세기 후반까지 지속되었다.[23] 그러나 대학원 제도의 도입 등 미국 대학의 제도 개혁이 진전됨에 따라 대학 도서관도 발전하여 이러한 society library의 장서를 흡수했다.[23]

세계 최초로 대학원을 설치한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초대 총장 다니엘 코이트 길먼(Daniel Coit Gilman)은 "도서관은 대학의 심장이다"라는 말을 남겼다. 하지만 미국 대학 도서관 개혁의 선두 주자는 존스 홉킨스 대학교가 아니라 하버드 대학교컬럼비아 대학교였다.[24] 1877년 하버드 대학교 도서관장에 취임한 저스틴 윈저(Justin Winsor)와 컬럼비아 대학교 도서관장에 취임한 멜빌 듀이의 주도로 개혁이 이루어졌다. 하버드 대학교는 지정 도서 제도를 시작했고, 컬럼비아 대학교는 개방형 서가 및 참고 봉사 등 오늘날 도서관 활동에서 필수적인 서비스를 시작했다.[24] 이러한 개혁은 미국 남부미국 서부에서는 늦었지만 다른 대학들도 따르게 되었다.[24]

미국 대학 도서관은 세계 대공황과 제2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1930~40년대에 정체기를 겪었지만, 전후 다시 발전했다. 그러나 대학 환경이 격변하면서 새로운 문제에 대응해야 했다.[25] 제대 군인에게 대학 학습 기회가 주어지면서, 이전에는 대학과 인연이 없었던 계층의 젊은이들도 대학에서 공부하게 되었고, 대학의 대중화에 따라 도서관의 역할과 서비스에 대한 새로운 요구가 나타났다.[25][26]

2. 3. 캐나다

캐나다의 대학 도서관은 다른 국가들에 비해 비교적 늦게 발전하였다. 캐나다 최초의 대학 도서관은 1789년 노바스코샤주 윈저에 설립되었다.[14] 19세기와 1950년대까지 대학 도서관은 규모가 작았으나, 1950년대 교육과 연구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꾸준히 성장하기 시작했다.

1960년대에는 학생 수 증가, 대학원 프로그램 확대, 예산 증가, 그리고 도서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캐나다 대학 도서관이 크게 성장했다.[15] 이러한 성장과 1960년대 초 온타리오 신규 대학교 도서관 프로젝트의 결과로, 온타리오주에 목록화된 장서를 갖춘 5개의 새로운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캐나다 예술위원회와 사회과학 및 인문학 연구 위원회의 보조금은 도서관 장서 확대를 지원하며 이러한 확산에 기여했다. 1940년 이전에 지어진 많은 대학 도서관들은 현대적인 시설로 개선되지 않아 사용되지 않거나 쇠퇴 직전에 있었다.[16] 1959–1960년 31개였던 전문대학 및 대학교 도서관의 총 수는 1969–1970년에 105개로 증가했다.[17]

1960년대의 성장 이후, 예산 문제로 인해 일시적인 침체기가 있었다.[18] 대학 도서관들은 상호대차 서비스와 정기간행물의 높은 비용 문제에 직면했으며, 이는 장서 확보 예산 및 공공 장서에 영향을 미쳤다.[18] 또한, 자료 공급 부족 및 장서 간 조정 부족 문제도 있었다.[19]

온타리오 대학교 도서관 협의회(OCUL)는 1967년 캐나다 대학 도서관 간의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20] 온타리오 도서관 협회(OLA) 산하의 온타리오 전문대학 및 대학교 도서관 협회(OCULA)는 대학 사서들을 대표한다.[21]

2. 4. 일본

1877년 도쿄 대학에 설치된 도서관(현재의 도쿄 대학 종합 도서관)이 일본 최초의 대학 도서관이다.[1] 이는 "도서관"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최초의 사례이기도 하다.[1][2] 1882년에는 와세다 대학교의 전신인 도쿄 전문 학교에 도서관(현재의 와세다 대학교 도서관)이, 1885년1887년에는 주오 대학, 도지샤 대학에 도서관이 설치되었다.[2] 초기 제국대학 도서관 규칙에서는 도서관 설치 목적을 도서 보존에 두었다.[3] 1919년 제국대학령 개정으로 학부제가 도입되면서 도서관은 단순한 도서 보존에서 벗어나 전 학문적인 도서 관리를 목적으로 하게 되었다.[4] 그러나 전쟁 전 대학 교육에서는 학생들이 도서관을 이용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다.[5]

도쿄 제국 대학 도서관 학생 열람실 (1900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학제 개혁으로 1946년 교육 기본법 및 학교 교육법이 공포되고, 1949년 국립학교 설치법이 공포되면서 대학 도서관의 이념도 새롭게 변화했다.[6] 1947년 대학 기준 협회는 '대학 도서관 기준'을 공표하여 대학 도서관 개선의 계기를 마련했다.[6] 전후 경제 발전과 대학 진학률 향상으로 대학 도서관은 양적, 질적으로 성장했다.[6][7]

1960년대에는 사립 대학을 중심으로 시설 확충이 이루어졌고, 개방형 서고 증가, 참고 봉사 도입 등 서비스 개선도 이루어졌다.[7] 1960년대 후반부터는 도서관 업무에 컴퓨터 도입이 시작되어 1968년 교토 산업 대학에서 시스템이 가동되었다.[8]

1970년대에는 변동 환율제 도입으로 엔고가 진행되어 고가 원서 구입이 쉬워져 장서가 충실해졌다.[9] 1970년대 이후 대학 도서관의 대형화가 진행되었고,[9][10] 70년대 후반에는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도입도 시작되었다.[8] 한편, 대형화는 대학 간 격차를 심화시키기도 했다.[10]

1980년대 이후 컴퓨터 활용이 확대되어 자료 수집, 정리, 대출, 문헌 검색 등에 활용되었고,[11] 대학 도서관 간 상호 협력에도 기여했다. 1980년 학술 심의회는 대학 도서관의 기계화와 학술 정보 수집·제공 방침을 제시했고,[12] 1986년 학술 정보 센터(NACSIS)가 발족하여 전국 종합 목록 형성과 학술 정보 공개가 이루어졌다.[8][13] 1991년 대학 설치 기준 개정으로 대학 도서관은 교육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갖추도록 규정되었다.

1990년대에는 정보 기술 발전과 인터넷 보급으로 전자 도서관 구축이 가속화되었다.[14] 1990년대에 OPAC이 급속히 보급되었고,[15] 1996년 학술 심의회는 대학 도서관의 전자 도서관 기능 강화를 건의했다. 이에 따라 나라 선단 과학 기술 대학원 대학 등에서 선도적 전자 도서관 프로젝트가 추진되었다.[14] 한편, 현립 도서관, 시립 도서관, 니가타 대학 부속 도서관 간 상호 대차, 야마노테선 연선 사립 대학 도서관 컨소시엄, 다마 아카데믹 컨소시엄 등 도서관 간 협력도 나타났다.[13]

2000년대 이후에도 전자 도서관화가 지속되어 전자 저널 이용이 확산되었지만,[16] 고액의 전자 저널 구입과 학술 잡지 가격 폭등으로 '잡지의 위기'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17] 전자 저널 컨소시엄 등 대학 도서관 간 협력을 통해 가격 협상에 나서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18]

3. 운영 및 현황

현대 대학 도서관은 물리적인 자료뿐만 아니라 전자 저널,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등 디지털 정보 자원을 제공하며, 학습 공간, 정보 활용 능력 교육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23][24][25] 21세기 들어 대학 도서관은 물리적인 자료 수집, 정보 접근, 디지털 자원 확보에 대한 비중을 줄이는 방향으로 변화해 왔다. 오늘날의 대학 도서관은 일반적으로 물리적인 도서와 학술지 외에도 연구 데이터베이스와 전자책 컬렉션을 포함한 구독 기반의 온라인 자원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또한, 대학 도서관은 학생들의 그룹 또는 개인 학습을 위한 공간, "정숙 구역", 참고 및 연구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며, 때로는 가상 참고 서비스도 포함한다. 일부 대학 도서관에서는 비디오 카메라, 아이패드, 계산기와 같은 기술 장비를 대여하기도 한다. 많은 대학 도서관은 이러한 변화하는 초점을 반영하여 학습 공용 공간으로 개조되었다. 대학 도서관과 학습 공용 공간은 종종 튜터링, 글쓰기 센터 및 기타 학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부 대학 도서관은 일반인에게도 개방되지만, 대부분은 소속 대학 구성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미국의 토지 무상 지원 대학교 도서관은 일반적으로 일반 대중에게 더 개방적이다. 경우에 따라 공식 정부 문서 보관소이며 대중에게 공개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 대중은 일반적으로 대출 특권을 위해 수수료를 지불하며, 일반적으로 학생으로서 접근할 수 있는 모든 것에 접근할 수 없다.

4. 제공 서비스

볼루스 허바륨 도서관 (케이프타운 대학교 내, 남아프리카 공화국)


21세기 들어 대학 도서관은 물리적인 자료 수집, 정보 접근, 디지털 자원 확보에 대한 비중을 줄이는 방향으로 변화해 왔다. 오늘날의 대학 도서관은 일반적으로 물리적인 도서와 학술지 외에도 연구 데이터베이스와 전자책 컬렉션을 포함한 구독 기반의 온라인 자원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한다.[23][24] 또한, 학생들의 그룹 또는 개인 학습을 위한 공간, "정숙 구역"을 제공하며,[23][24] 때로는 가상 참고 서비스도 포함한다.[24] 일부 대학 도서관에서는 비디오 카메라, 아이패드, 계산기와 같은 기술 장비를 대여하기도 한다. 많은 대학 도서관은 학습 공용 공간으로 개조되었으며, 튜터링, 글쓰기 센터 및 기타 학술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연구실에서 전용으로 사용하는 책을 대학 도서관 운영비가 아닌 연구비로 도입하는 경우에도, 대학 도서관을 통해 도입된 책은 온라인 공공 액세스 카탈로그(OPAC) 검색 등으로 등록하고 도서 코드를 부여하여 관리하는 대학도 있다.

4. 1. 지정 도서 제도

지정 도서 제도(reserved books영어)는 교수가 학생에게 꼭 읽어야 할 책으로 지정한 도서를 일반 도서와 구별하여 비치하고, 대출 기간도 보통보다 짧거나 열람만 가능하도록 하는 제도이다[1]. 본래는 미국의 대학에서 강의와 관련된 자료를 많은 학생들에게 읽히기 위해 시작된 교육적 배려이며[2], 교수의 지도 방식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만, 일본에서는 단순히 여러 권을 준비하는 데 그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1].

4. 2. 정보 활용 능력 교육

현대 대학 도서관의 주요 초점은 정보 활용 능력 교육이며, 대부분의 미국 대학 도서관은 교육에 전념하는 인력 또는 부서를 두고 있다.[25] 대학 도서관이 이용자의 학습·연구 활동에 기여하려면 이용자 스스로가 도서관 이용 방법을 잘 알아야 하며, 이를 위해 이용자 교육이 필요하다.

일본에서는 의학·약학 계열 도서관이 이용자 교육에 일찍부터 열성적이었는데, 이는 연구 활동에서 MEDLINE 등의 데이터베이스 이용이 필수적이며 기본적인 소양으로서 문헌 검색 능력이 요구되었기 때문이다. 대학 도서관에서는 정보 찾는 방법을 가르치는 "이용자 교육" 또한 참고 봉사의 일환이 된다.

일본에서는 과거에 이용자에 대한 충분한 리터러시 교육 없이 "이용자 교육"이라는 명목으로 단순히 목록을 보도록 지시하는 레퍼런스 서비스가 만연했지만, 각종 오리엔테이션 및 가이던스를 통해 이용자에게 도서관 이용 방법을 지도함으로써 대학 도서관이 이용자의 리터러시 교육에 참여하게 되었다. 1996년 『대학 도서관에서의 전자 도서관 기능의 충실·강화에 관하여 (건의)』에서는 "대학 도서관은, 이러한 전자적 교재 작성, 정보 리터러시 교육 및 학생의 자율 학습 등에 대한 지원에 있어, 그 한 축을 담당하는 것이 요구된다"라고 하여, 대학 도서관이 수행해야 할 리터러시 교육의 역할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며, 대학 도서관의 협력 하에 이용자 교육을 실시할 체제 정비 필요성을 지적하고 있다. 2001년일본도서관협회에서 발표한 『도서관 이용 교육 가이드라인 합본』에서는 종합적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인상 부여에서 정보 표현법에 이르기까지 5단계로 대학 도서관이 실시하는 이용자 교육 목표를 명문화해야 한다고 했다.

4. 3. 연구 지원 서비스



21세기 들어 대학 도서관은 물리적인 자료 수집, 정보 접근, 디지털 자원 확보에 대한 비중을 줄이는 방향으로 변화해 왔다. 오늘날의 대학 도서관은 일반적으로 물리적인 도서와 학술지 외에도 연구 데이터베이스와 전자책 컬렉션을 포함한 구독 기반의 온라인 자원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또한, 참고 및 연구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며, 때로는 가상 참고 서비스도 포함한다.[23][24]

4. 4. 연구실 도서 관리

연구실에서 전용으로 사용하는 책을 대학 도서관 운영비가 아닌 연구비로 도입하는 경우에도, 대학 도서관을 통해 도입된 책은 대학 도서관에서 온라인 공공 액세스 카탈로그(OPAC) 검색 등으로 등록하고 도서 코드를 부여하여 관리하는 대학도 있다. 도서관에 소장되는 책이 아니므로, 연구실과 무관한 사람에게는 대출이나 열람이 불가능한 대학도 있다.

참조

[1] 서적 Academic Libraries http://www.tandfonli[...] 2009-09-09
[2] 웹사이트 Harvard Library {{!}} Harvard University - The Graduate School of Arts and Sciences https://gsas.harvard[...] 2019-08-09
[3] 서적 Massachusetts https://archive.org/[...] Weigl Publishers
[4] 웹사이트 Årsrapport 2017 for Det Kgl. Bibliotek http://www5.kb.dk/ex[...] Det Kgl. Bibliotek 2024-10-07
[5] 웹사이트 Facts and Figures – UC Libraries https://libraries.un[...] 2023-02-20
[6] 뉴스 Nalanda—the lost beacon of knowledge https://timesofindia[...] 2022-11-14
[7] 서적 The Academic Library: Its Context, Its Purpose, and Its Operation https://archive.org/[...] Libraries Unlimited
[8] 서적 Academic Libraries: Their Rationale and Role in American Higher Education https://archive.org/[...] Greenwood Press
[9] 문서 Budd (1998), p. 34
[10] 간행물 "The Bibliographical Society of America—Its Leaders and Activities, 1904–1939" 1941
[11] 문서 McCabe (1995), pp. 1-3.
[12] 서적 Origins of American Academic Librarianship. Ablex Pub. Corp.
[13] 웹사이트 Harvard Library {{!}} Harvard University - The Graduate School of Arts and Sciences https://gsas.harvard[...] 2019-08-09
[14] 웹사이트 Libraries http://www.thecanadi[...]
[15] 서적 Resources of Canadian academic and research libraries https://archive.org/[...] Association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of Canada
[16] 서적 Resources of Canadian academic and research libraries https://archive.org/[...] Association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of Canada
[17] 서적 Resources of Canadian academic and research libraries https://archive.org/[...] Association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of Canada
[18] 서적 University research libraries: Report of the consultative group on university research libraries The Canada Council
[19] 서적 University research libraries: Report of the consultative group on university research libraries The Canada Council
[20] 웹사이트 A History of Collaboration http://ocul.on.ca/no[...] 2017-02-17
[21] 웹사이트 About OCULA http://www.accessola[...]
[22] 웹사이트 Library Resources Outside the U.S. https://libguides.br[...] 2023-04-28
[23] 웹사이트 Changing Roles of Academic and Research Libraries http://www.ala.org/a[...] 2019-07-12
[24] Youtube 3D Tour of 5th Floor (silent floor) of USF Libraries Tampa https://my.matterpor[...] University of South Florida Libraries Digital Heritage and Humanities Collection 2021-08-22
[25] 간행물 2018 top trends in academic libraries: A review of the trends and issues affecting academic libraries in higher education https://scholarworks[...] 2018-06-05
[26] 웹사이트 Academic Libraries http://www.ala.org/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19-07-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