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국가보훈처는 국가유공자와 그 유족에 대한 예우 및 지원, 5·18민주유공자, 특수임무유공자 지원 등을 수행하는 대한민국의 행정 기관이었다. 1948년 사회부 후생국 시설과로 시작하여 군사원호청, 원호처를 거쳐 1985년 국가보훈처로 개편되었고, 2023년 국가보훈부로 승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3년 폐지 - D1CE
    D1CE는 서바이벌 프로그램 출신 멤버들로 구성된 5인조 보이 그룹으로 2019년 데뷔하여 "Wake Up"과 "Draw You" 등의 곡으로 활동했으나, 멤버들의 군 입대와 계약 만료로 2023년 해체하였다.
  • 2023년 폐지 - 성남종합버스터미널
    성남종합버스터미널은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하여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등 전국 각지로 연결되는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교통 거점이다.
  • 대한민국 국가보훈부 - 국립서울현충원
    국립서울현충원은 서울 동작구에 위치한 국립묘지로, 한국전쟁 전사자, 순국선열, 애국지사, 국가유공자 등이 안장되어 있으며, 국가 정체성을 상징하는 역사적 장소이다.
  • 대한민국 국가보훈부 - 독립기념관 (대한민국)
    독립기념관은 한국의 국난극복사와 국가발전사 관련 자료를 수집, 전시, 연구하고 역사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으로, 1987년 개관하여 현재 국가보훈처에서 관리하며 다양한 전시 시설과 자료를 통해 올바른 역사관 정립에 기여한다.
  • 1985년 설립 - 사직실내체육관
    사직실내체육관은 농구 경기장으로 사용되며, 과거에는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가, 현재는 부산 BNK 썸과 부산 KCC 이지스가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다양한 스포츠, 문화 행사 및 e스포츠 경기가 개최되었다.
  • 1985년 설립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부산사상터미널)은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위치한 시외버스터미널로, 1985년 이전하여 본관 A, B동 및 별관 A, B동으로 구성된 육각형 외벽과 기둥이 특징이며, 수도권, 호남권, 영남권 방면의 다양한 노선을 운행하고 애플아울렛, 롯데시네마 등 상업 시설과 함께 있다.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가보훈처 청사
국가보훈처 청사
약칭보훈처, MPVA
설립일1985년 1월 1일
설립 근거「정부조직법」 §22의2①
전신원호처
해산일2023년 6월 5일
후신국가보훈부
소재지세종특별자치시 도움4로 9
상급 기관국무총리
웹사이트국가보훈처 홈페이지

2. 소관 사무


  • 국가유공자와 그 유족에 대한 예우 및 지원 관련 업무
  • 5·18민주유공자, 특수임무유공자에 대한 예우 관련 업무
  • 보훈보상대상자, 고엽제후유의증 환자, 제대군인에 대한 지원 관련 업무
  • 그 밖에 법령으로 정하는 보훈 관련 업무

3. 연혁


  • 1948년 7월 17일: 사회부 후생국에 시설과가 설치되었다.[1]
  • 1949년 10월 5일: 후생국이 사회국으로 개편되고, 하부조직으로 군사원호과가 설치되었다.[2]
  • 1950년 4월 1일: 시설과가 폐지되었다.[3]
  • 1951년 7월 13일: 군사원호과가 원호국으로 확대·개편되고 하부조직으로 군사원호과, 경찰원호과 및 보도과가 설치되었다.[4]
  • 1953년 2월 18일: 군사원호과와 경찰원호과가 원호과로 통합되고, 원호국에 연금과가 설치되었다.[5]
  • 1955년 2월 17일: 보건사회부의 하부조직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6]
  • 1957년 9월 9일: 보건사회부 의정국에 시설과가 설치되었다.[7]
  • 1961년 8월 5일: 보건사회부 사회국 원호과, 보도과, 연금과 및 의정국 시설과를 통합하여 군사원호청이 설치되었다.[8]
  • 1962년 5월 12일: 원호처로 개편되었다.[9]
  • 1985년 1월 1일: 국가보훈처로 개편되었다.[10]
  • 2023년 6월 5일: 국가보훈부로 개편되었다.[11]

3. 1. 역대 로고

4. 역대 처·차장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의 역대 처장과 차장은 다음과 같다.

정부대수이름임기비고
원호처 장
이승만 정부초대이용1961년 7월 5일 ~ 1961년 7월 10일
군사정부초대박기석1961년 7월 11일 ~ 1962년 4월 15일
군사원호청 장
2대박기석1962년 4월 16일 ~ 1963년 12월 16일
원호처 장
3대윤용현1963년 12월 17일 ~ 1964년 5월 10일
박정희 정부4대김병삼1964년 5월 11일 ~ 1965년 5월 20일
5대류근창1965년 5월 21일 ~ 1966년 9월 19일
6대김재명1966년 9월 20일 ~ 1967년 9월 14일
7대강서룡1967년 9월 15일 ~ 1970년 4월 14일
8대장경순1970년 4월 15일 ~ 1973년 3월 12일
9대이종호1973년 3월 13일 ~ 1977년 12월 19일
최규하 정부9대이종호1979년 12월 15일 ~ 1980년 5월 21일
전두환 정부9대이종호1980년 5월 22일 ~ 1982년 5월 20일
9대조철권1982년 5월 21일 ~ 1984년 12월 31일



정부대수이름임기비고
제5공화국9대조철권1985년 1월 1일~1985년 2월 18일장관급으로 격상
10대최종호1985년 2월 19일~1986년 1월 7일
11대김근수1986년 1월 8일~1988년 2월 24일
노태우 정부12대전석홍1988년 2월 25일~1988년 12월 5일
13대이상연1988년 12월 6일~1990년 12월 26일
14대민경배1990년 12월 27일~1993년 2월 25일
김영삼 정부15대이병태1993년 2월 26일~1993년 12월 21일
16대이충길1993년 12월 22일~1994년 12월 23일
17대황창평1994년 12월 24일~1996년 12월 19일
18대오정소1996년 12월 20일~1997년 3월 5일
19대박상범1997년 3월 6일~1998년 3월 3일
김대중 정부-김의재1998년 3월 4일~1998년 3월 8일직무대리
20대김의재1998년 3월 9일~1999년 3월 2일차관급으로 격하
-조병세1999년 3월 3일~1999년 3월 5일직무대리
21대최규학1999년 3월 6일~2000년 8월 28일
22대김유배2000년 8월 29일~2001년 4월 1일
23대이재달2001년 4월 2일~2003년 3월 3일
노무현 정부24대안주섭2003년 3월 3일~2004년 9월 23일장관급으로 격상
25대박유철2004년 9월 24일~2007년 4월 19일
26대김정복2007년 4월 20일~2008년 2월 28일
이명박 정부27대김양2008년 2월 29일~2011년 2월 23일차관급으로 격하
28대박승춘2011년 2월 24일~2017년 5월 11일역대 최장수 재임[12]
박근혜 정부직무대리최완근2016년 10월 31일~2017년 3월 31일차장 겸 처장 직무대리
직무대리최완근2017년 5월 11일~2017년 5월 17일차장 겸 처장 직무대리
문재인 정부29대피우진2017년 5월 17일~2019년 8월 14일장관급으로 격상, 최초의 여성 출신 처장[13]
직무대리민병원2019년 8월 14일~2019년 8월 16일국가보훈처 기획조정실장·국가보훈처 차장 직무대리·국가보훈처장 직무대리
30대박삼득2019년 8월 16일~2020년 12월 30일
31대황기철2020년 12월 31일~2022년 5월 13일
윤석열 정부32대박민식2022년 5월 13일~2023년 6월 4일



정부대수이름임기비고
제5공화국7대최병삼1985년 1월 1일~1986년 8월 28일차관급으로 격상
8대김상영1986년 8월 28일~1988년 3월 4일
노태우 정부9대1988년 3월 5일~1988년 9월 19일
10대김옥조1988년 9월 19일~1990년 12월 28일
11대전희찬1990년 12월 28일~1992년 12월 30일
12대이충길1992년 12월 30일~1993년 3월 3일
김영삼 정부13대1993년 3월 4일~1993년 12월 21일
직무대리이천우1993년 12월 21일~1993년 12월 26일직무대리
14대김시복1993년 12월 27일~1996년 12월 24일
15대김의재1996년 12월 24일~1998년 3월 16일
김대중 정부16대장귀호1998년 3월 17일~1999년 1월 21일1급으로 격하
17대조병세1999년 1월 21일~2000년 5월
18대김종성2000년 5월~2004년 3월 18일
노무현 정부19대배철호2004년 3월 18일~2005년 6월 23일
20대김정복2005년 6월 23일~2007년 4월 23일차관급으로 격상
21대정일권2007년 4월 23일~2007년 11월 23일
22대김흥걸2007년 11월 23일~2008년 3월 21일
이명박 정부23대이종정2008년 3월 21일~2009년 8월 13일
24대우무석2009년 8월 13일~2011년 12월 5일1급으로 격하
25대정양성2011년 12월 5일~2013년 5월 27일
박근혜 정부26대최완근2013년 5월 28일~2017년 7월 26일
직무대리민병원2017년 7월 26일~2017년 7월 27일국가보훈처 기획조정관리국장·국가보훈처 차장 직무대리
문재인 정부27대심덕섭2017년 7월 27일~2018년 12월 14일차관급으로 격상
28대이병구2018년 12월 14일~2020년 8월 14일
직무대리민병원2020년 8월 14일~2020년 8월 18일국가보훈처 기획조정실장·국가보훈처 차장 직무대리·국가보훈처장 직무대리
29대이남우2020년 8월 18일~2022년 7월 3일
윤석열 정부30대윤종진2022년 7월 4일~2023년 6월 4일


4. 1. 국가보훈처장

정부대수이름임기비고
제5공화국9대조철권1985년 1월 1일~1985년 2월 18일장관급으로 격상
10대최종호1985년 2월 19일~1986년 1월 7일
11대김근수1986년 1월 8일~1988년 2월 24일
노태우 정부12대전석홍1988년 2월 25일~1988년 12월 5일
13대이상연1988년 12월 6일~1990년 12월 26일
14대민경배1990년 12월 27일~1993년 2월 25일
김영삼 정부15대이병태1993년 2월 26일~1993년 12월 21일
16대이충길1993년 12월 22일~1994년 12월 23일
17대황창평1994년 12월 24일~1996년 12월 19일
18대오정소1996년 12월 20일~1997년 3월 5일
19대박상범1997년 3월 6일~1998년 3월 3일
김대중 정부-김의재1998년 3월 4일~1998년 3월 8일직무대리
20대김의재1998년 3월 9일~1999년 3월 2일차관급으로 격하
-조병세1999년 3월 3일~1999년 3월 5일직무대리
21대최규학1999년 3월 6일~2000년 8월 28일
22대김유배2000년 8월 29일~2001년 4월 1일
23대이재달2001년 4월 2일~2003년 3월 3일
노무현 정부24대안주섭2003년 3월 3일~2004년 9월 23일장관급으로 격상
25대박유철2004년 9월 24일~2007년 4월 19일
26대김정복2007년 4월 20일~2008년 2월 28일
이명박 정부27대김양2008년 2월 29일~2011년 2월 23일차관급으로 격하
28대박승춘2011년 2월 24일~2017년 5월 11일역대 최장수 재임[12]
박근혜 정부직무대리최완근2016년 10월 31일~2017년 3월 31일차장 겸 처장 직무대리
직무대리최완근2017년 5월 11일~2017년 5월 17일차장 겸 처장 직무대리
문재인 정부29대피우진2017년 5월 17일~2019년 8월 14일장관급으로 격상, 최초의 여성 출신 처장[13]
직무대리민병원2019년 8월 14일~2019년 8월 16일국가보훈처 기획조정실장·국가보훈처 차장 직무대리·국가보훈처장 직무대리
30대박삼득2019년 8월 16일~2020년 12월 30일
31대황기철2020년 12월 31일~2022년 5월 13일
윤석열 정부32대박민식2022년 5월 13일~2023년 6월 4일


4. 2. 국가보훈처 차장

정부대수이름임기비고
제5공화국7대최병삼1985년 1월 1일~1986년 8월 28일차관급으로 격상
8대김상영1986년 8월 28일~1988년 3월 4일
노태우 정부9대1988년 3월 5일~1988년 9월 19일
10대김옥조1988년 9월 19일~1990년 12월 28일
11대전희찬1990년 12월 28일~1992년 12월 30일
12대이충길1992년 12월 30일~1993년 3월 3일
김영삼 정부13대1993년 3월 4일~1993년 12월 21일
직무대리이천우1993년 12월 21일~1993년 12월 26일직무대리
14대김시복1993년 12월 27일~1996년 12월 24일
15대김의재1996년 12월 24일~1998년 3월 16일
김대중 정부16대장귀호1998년 3월 17일~1999년 1월 21일1급으로 격하
17대조병세1999년 1월 21일~2000년 5월
18대김종성2000년 5월~2004년 3월 18일
노무현 정부19대배철호2004년 3월 18일~2005년 6월 23일
20대김정복2005년 6월 23일~2007년 4월 23일차관급으로 격상
21대정일권2007년 4월 23일~2007년 11월 23일
22대김흥걸2007년 11월 23일~2008년 3월 21일
이명박 정부23대이종정2008년 3월 21일~2009년 8월 13일
24대우무석2009년 8월 13일~2011년 12월 5일1급으로 격하
25대정양성2011년 12월 5일~2013년 5월 27일
박근혜 정부26대최완근2013년 5월 28일~2017년 7월 26일
직무대리민병원2017년 7월 26일~2017년 7월 27일국가보훈처 기획조정관리국장·국가보훈처 차장 직무대리
문재인 정부27대심덕섭2017년 7월 27일~2018년 12월 14일차관급으로 격상
28대이병구2018년 12월 14일~2020년 8월 14일
직무대리민병원2020년 8월 14일~2020년 8월 18일국가보훈처 기획조정실장·국가보훈처 차장 직무대리·국가보훈처장 직무대리
29대이남우2020년 8월 18일~2022년 7월 3일
윤석열 정부30대윤종진2022년 7월 4일~2023년 6월 4일


참조

[1] 법률 대통령령 제25호
[2] 법률 대통령령 제188호
[3] 법률 대통령령 제311호
[4] 법률 대통령령 제512호
[5] 법률 대통령령 제757호
[6] 법률 대통령령 제1004호
[7] 법률 대통령령 제1304호
[8] 법률 법률 제647호
[9] 법률 법률 제1052호
[10] 법률 법률 제3734호
[11] 법률 법률 제19228호
[12] 뉴스 '트러블메이커' 박승춘 보훈처장 6년3개월여만에 물러나 http://www.yonhapnew[...] 2017-05-11
[13] 뉴스 첫 여성 보훈처장 피우진, 여군 헬기 조종사 출신 http://www.yonhapnew[...] 2017-05-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