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대한민국 행정안전부는 국무회의 서무, 법령 공포, 정부 조직 및 정원, 상훈 관련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 정부혁신, 전자정부, 지방자치, 재난 및 안전 관리, 선거 지원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며, 1948년 내무부와 총무처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현재의 행정안전부로 이어졌다. 장관과 차관을 중심으로 조직되며, 재난안전관리본부, 여러 실·국, 소속기관 및 위원회를 두고 있다. 2023년 기준 총 1,683명의 정원을 가지며, 예산은 일반회계와 특별회계로 구성되어 지방행정, 재난관리, 정부자원관리 등에 사용된다. 과거 재난안전실장 임명과 관련한 논란이 있었으며, 역대 여러 명의 장관이 거쳐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기획재정부
    대한민국 기획재정부는 대한민국의 경제 및 재정 정책을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중장기 국가발전전략 수립, 경제·재정정책 수립, 예산·기금 편성, 조세·관세 정책, 국고·국유재산 관리, 국제금융·경제협력, 공공기관 관리 등의 사무를 관장하며 장관은 경제부총리를 겸임한다.
  • 2013년 폐지 - 워싱턴 포스트
    워싱턴 포스트는 1877년 창간되어 워싱턴 D.C.에서 발행되는 영향력 있는 미국의 일간지로, 워터게이트 사건 보도와 퓰리처상 수상, 제프 베이조스의 디지털 혁신 추진을 거쳐 "민주주의는 어둠 속에서 죽는다"라는 슬로건을 사용하는 신문이다.
  • 2013년 폐지 - 대한민국 대통령실 (중앙행정기관)
    대한민국 대통령실은 대통령을 보좌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대통령비서실로 개편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윤석열 정부에서 환원된 명칭이며, 대통령실장은 대통령의 명을 받아 업무를 처리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다양한 분야의 수석비서관으로 구성되어 국정 운영을 보좌한다.
  • 대한민국 정치와 정부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대한민국 정치와 정부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행정안전부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로고
행정안전부 로고
설립일2017년 7월 26일
설립 근거「정부조직법」 §26①8
전신행정자치부
국민안전처
내무부
소재지세종특별자치시 도움6로 42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정원1,683명
예산세입: 686억 7100만 원
세출: 80조 4878억 2900만 원
기관장
장관(차관 직무대행)
차관고기동
본부장이한경
상급기관국무총리
조직
산하기관#조직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행정안전부
위치

2. 소관 사무

국무회의 서무, 법령조약 공포, 정부 조직과 정원, 훈장, 정부 개혁, 행정 효율성, 전자정부, 개인정보보호, 정부 청사 관리, 지방자치제도, 지방자치단체 사무 지원·재정·세제, 낙후 지역 등 지원, 지방자치단체 간 분쟁 조정, 선거·국민투표 지원 관련 사무를 관장한다.


  • 국무회의 서무 관련 사무
  • 법령 및 조약 공포 관련 사무
  • 정부조직과 정원 관련 사무
  • 상훈 관련 사무
  • 정부혁신 관련 사무
  • 행정능률 관련 사무
  • 전자정부 관련 사무
  • 정부청사 관리 관련 사무
  • 지방자치제도 관련 사무
  • 지방자치단체 사무지원·재정·세제 관련 사무
  • 낙후지역 등 지원 관련 사무
  • 지방자치단체 간 분쟁조정 관련 사무
  • 선거·국민투표 지원 관련 사무
  • 안전 및 재난 관련 정책 수립·총괄·조정 관련 사무
  • 비상대비 관련 사무
  • 민방위 관련 사무
  • 방재 관련 사무
  • 다른 중앙행정기관 소관에 속하지 않는 국가 행정사무

3. 역사

1948년 7월 17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내무부총무처가 설치되었다.[10] 내무부는 치안, 지방행정, 선거, 토목, 소방 사무를 담당했고, 총무처는 국무원의 서무, 회계, 문서, 인사, 영예 수여 사무를 담당했다.

1955년 2월 7일 총무처를 폐지하고 고시위원회, 감찰위원회와 통합하여 국무원사무국을 설치했다.[11] 1960년 7월 1일 국무원사무국과 법제실, 공보실을 통합하여 국무원사무처로 개편했다.[12] 1961년 7월 12일에는 국무원사무처를 내각사무처로 개편했다가,[13] 1963년 12월 17일 내각사무처를 총무처로 환원했다.[14]

1970년 소방 사무를 지방자치단체로 이관하기로 했으나, 서울특별시와 부산직할시를 제외하고는 중앙정부에서 계속 관할했다.

1991년 7월 31일 내무부 치안본부를 경찰청으로 승격하여 분리했다.[15]

1998년 2월 28일 김대중 정부 출범과 함께 내무부와 총무처를 통합하여 행정자치부를 신설했다.[16] 1999년 5월 24일 인사 업무를 중앙인사위원회로 분리했다.[17]

2004년 3월 11일 기획예산처로부터 행정개혁 사무를 이관받고, 중앙인사위원회로 공무원 인사관리 및 후생복지 사무를 이관했다.[18] 2004년 6월 1일 민방위·재난관리 및 소방 사무를 소방방재청에 이관하여 분리했다.[18]

2008년 2월 29일 이명박 정부 출범과 함께 행정자치부, 중앙인사위원회, 국가비상기획위원회, 정보통신부 일부 기능을 흡수하여 행정안전부로 개편했다.[19]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사용된 행정안전부 로고


2013년 3월 23일 박근혜 정부에서 안전관리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안전행정부로 명칭을 변경했다.[20]

2014년 11월 19일 세월호 침몰 사고를 계기로 안전 업무를 국민안전처로, 인사 업무를 인사혁신처로 분리하고 행정자치부로 개편했다.[21]

2017년 7월 26일 문재인 정부에서 국민안전처를 흡수 통합하여 행정안전부로 개편하고, 재난안전관리본부를 설치했다.[22]

2020년 8월 5일 개인정보보호 사무를 개인정보 보호위원회에 이관했다.[23]

2023년 3월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으로 완전 이전했다.

4. 조직

행정안전부 장관은 행정안전부의 모든 업무를 총괄하며, 차관은 장관을 보좌한다.[25] 재난안전관리본부는 재난 및 안전 관리를 총괄하며, 중앙재난안전상황실을 운영한다.

행정안전부에는 여러 실·국·관·과가 있으며, 각 부서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행정 사무를 분담하여 처리한다.

실·국정책관·심의관실담당관실·과
장관 산하 하부조직
대변인실홍보담당관실ㆍ안전소통담당관실ㆍ디지털소통팀[24]
장관정책보좌관실[25]
차관 산하 하부조직
차관보
기획조정실정책기획관실기획재정담당관실ㆍ미래전략담당관실ㆍ성과관리담당관실ㆍ법무담당관실ㆍ데이터정보화담당관실
국제행정협력관실행정한류담당관실ㆍ국제협력담당관실
비상안전기획관실
의정관실의정담당관실ㆍ상훈담당관실
감사관실감사담당관실ㆍ복무감찰담당관실
인사기획관실
colspan=2 |운영지원과
디지털정부실디지털정부정책국디지털정부기획과ㆍ디지털기반정책과ㆍ디지털안전정책과ㆍ국제디지털협력과
공공데이터국공공데이터정책과ㆍ공공데이터관리과ㆍ통합데이터분석센터
공공서비스국공공서비스혁신과ㆍ공공서비스통합과ㆍ지역디지털협력과ㆍ공공지능정책과
혁신조직국혁신기획과ㆍ행정제도과ㆍ민원제도과ㆍ정보공개과
조직정책관실조직기획과ㆍ조직진단과ㆍ경제조직과ㆍ사회조직과
경찰국총괄지원과ㆍ인사지원과ㆍ자치경찰지원과
지방행정국자치행정과ㆍ 민간협력과ㆍ사회통합지원과ㆍ 새마을발전협력과ㆍ공무원단체과
자치분권국자치분권제도과ㆍ자치분권지원과ㆍ지방인사제도과ㆍ주민과ㆍ선거의회자치법규과
균형발전지원국균형발전제도과ㆍ균형발전진흥과ㆍ지역활성화과ㆍ기업협력지원과ㆍ주소생활공간과
지방재정경제실지방재정국재정정책과ㆍ재정협력과ㆍ교부세과ㆍ회계제도과
지방세제국지방세정책과ㆍ부동산세제과ㆍ지방소득소비세제과ㆍ지방세특례제도과
지역경제지원국지역경제과ㆍ지방규제혁신과ㆍ지역금융지원과ㆍ지방공기업정책과ㆍ지방공공기관관리과
차세대지방재정세입정보화추진단[26]기획인프라과ㆍ재정정보화사업과ㆍ세외수입보조금정보과ㆍ지방세정보화사업과
중앙재난안전상황실상황총괄담당관실ㆍ상황담당관실ㆍ서울상황센터
colspan=2 |안전감찰담당관실
안전예방정책실안전정책국안전정책총괄과ㆍ안전사업조정과ㆍ재난안전산업과ㆍ승강기정책과
예방정책국예방안전제도과ㆍ안전개선과ㆍ재난안전점검과ㆍ안전문화교육과
재난안전정보센터재난정보통신과ㆍ재난안전통신망과ㆍ재난안전데이터과
자연재난실재난관리정책국재난관리정책과ㆍ재난대응훈련과ㆍ재난자원관리과ㆍ재난경감과ㆍ재난영향분석과
자연재난대응국재난대응총괄과ㆍ자연재난대응과ㆍ기후재난대응과ㆍ지진방재정책과ㆍ지진방재관리과
사회재난실사회재난정책국사회재난정책과ㆍ재난안전조사과ㆍ재난안전연구개발과
사회재난대응국사회재난대응총괄과ㆍ산업교통재난대응과ㆍ보건의료재난대응과ㆍ가축질병재난대응과ㆍ환경재난대응과
재난복구지원국복구지원과ㆍ재난구호과ㆍ재난보험과ㆍ수습지원과 및 수습관리과
비상대비정책국비상대비기획과ㆍ비상대비자원과ㆍ비상대비훈련과
민방위심의관실민방위과ㆍ위기관리지원과 및 중앙민방위경보통제센터


4. 1. 소속기관

지방자치인재개발원, 국가기록원, 정부청사관리본부,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대통령기록관 등 장관의 관장 사무를 지원하는 기관을 두고 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등 장관의 관장 사무를 지원하는 책임운영기관과 주민등록번호변경위원회 등 관련 사무를 처리하는 위원회를 두고 있다.

4. 2. 소속 위원회

이북5도위원회는 「이북5도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7조에 따라 설치된 행정위원회이다. 재일교포북송저지특수임무수행자보상심의위원회는 「재일교포북송저지특수임무수행자보상에 관한 법률」 제3조에 따라 설치된 행정위원회이다.

위원회명설치 근거비고
이북5도위원회「이북5도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7조행정위원회
재일교포북송저지특수임무수행자보상심의위원회「재일교포북송저지특수임무수행자보상에 관한 법률」 제3조행정위원회
감사청구심의회「지방자치법시행령」 제26조자문위원회
경찰위원회「경찰법」 제5조자문위원회
공익사업선정위원회「비영리민간단체지원법」 제7조자문위원회
기부심사위원회「기부금품의모집및사용에 관한 법률」 제5조자문위원회
도서개발심의위원회「도서개발촉진법」 제14조자문위원회
옥외광고정책위원회「옥외광고물 등 관리법」 제7조의2자문위원회
정보공개위원회「공공기관의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제22조자문위원회
중앙도로명주소위원회「도로명주소법」 제22조의2자문위원회
중앙우수제안심사위원회「국민제안규정」 제11조자문위원회
지방공기업정책위원회「지방공기업법」 제78조의4자문위원회
지방자치단체계약분쟁조정위원회「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제35조자문위원회
지방자치단체중앙분쟁조정위원회「지방자치법」 제149조자문위원회
지방자치단체합동평가위원회「정부업무평가기본법」 제21조자문위원회
지방재정부담심의위원회「지방재정법」 제27조2자문위원회
지방재정위기관리위원회「지방재정법」 제56조자문위원회
책임운영기관운영위원회「책임운영기관 설치 운영에 관한 법률」 제49조자문위원회
행정사자격심의위원회「행정사법」 제7조자문위원회


5. 정원

행정안전부에 두는 공무원의 정원은 다음과 같다.[4]

총계1,683명
정무직 계3명
장관1명
차관1명
본부장1명
별정직 계16명
고위공무원단6명[27]
3급 상당 이하 5급 상당 이상2명
6급 상당 이하8명[28]
일반직 계1,633명
고위공무원단37명[29]
3급 이하 5급 이상794명[30]
6급 이하770명[31]
전문직공무원13명
전문경력관19명
소방공무원 계8명
소방령 이하8명
경찰공무원 계23명
치안감1명
총경2명
경정 이하20명


6. 재정

2023년 총수입은 68671억이고, 총지출은 804878.29억이다.[5][6]

구분세입예산작년 대비 증감
일반회계63210억+3.42%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5461억+3%
합계68671억+3.39%



구분세출예산작년 대비 증감
일반회계788432.66억+13.42%
지방행정·재정지원765417.73억+15.8%
정부자원관리7174.61억-31.02%
일반행정9296.47억-0.2%
경찰650.63억-3.01%
재난관리5893.22억-48.21%
취약계층지원0원-100%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16445.63억+42.86%
지방행정·재정지원6890.1억-22.92%
정부자원관리222.31억순증
재난관리7178.39억+4966.98%
취약계층지원2154.83억+684.37%
도로0원-100%
합계804878.29억+13.9%


7. 사건·사고 및 논란

대한민국 행정안전부는 여러 사건·사고 및 논란에 연루된 바 있다.

2012년에는 재난안전실장직을 장성급 출신이 독식한다는 논란이 있었다. 행정안전부는 개방형 직위인 재난안전실장(1급 상당) 공개 모집에 예비역 소장 3명과 예비역 준장 1명이 지원했다고 밝혔다. 역대 재난안전실장은 모두 예비역 소장이 임명되었으며, 이번에도 예비역 소장이 유력하다는 전망이 우세했다.[32][33][34] 그러나 재난안전실 업무 중 절반 이상은 군과 관련이 없으며, 공식적인 지원 자격에 '군인 출신이어야 한다'는 조건은 명시되지 않았다. 실제로 재난안전실 과장 7명 가운데 예비역은 비상대비훈련과장 1명뿐이며, 나머지는 모두 일반직 공무원이었다.[35]

이에 대해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비상대비업무를 민간인이 수행하기 어렵다는 인식이 작용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백민호 강원대학교 교수는 "재난관리가 군에서 시작된 것은 사실이나, 현재 군은 단체 인명사고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곳 중 하나"라며, "군대처럼 상명하복식 관리 지휘 방식으로는 국가 재난안전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36]

역대 행정안전부 장관은 다음과 같다.

이름재임 기간비고
행정자치부 장관
초대김정길1998년 3월 3일 ~ 1999년 2월 5일김대중 정부
2대김기재1999년 2월 6일 ~ 2000년 1월 13일김대중 정부
3대최인기2000년 1월 14일 ~ 2001년 3월 25일김대중 정부
4대이근식2001년 3월 26일 ~ 2003년 2월 26일김대중 정부
5대김두관2003년 2월 27일 ~ 2003년 9월 18일노무현 정부
고건[2] 과도정부
6대허성관2003년 9월 19일 ~ 2005년 1월 4일노무현 정부
고건[2] 과도정부
7대오영교2005년 1월 5일 ~ 2006년 3월 21일노무현 정부
8대이용섭2006년 3월 27일 ~ 2006년 12월 4일노무현 정부
9대박명재2006년 12월 13일 ~ 2008년 2월 28일노무현 정부
행정안전부 장관
10대원세훈2008년 2월 29일 ~ 2009년 2월 11일이명박 정부
11대이달곤2009년 2월 20일 ~ 2010년 3월 4일이명박 정부
12대맹형규2010년 4월 15일 ~ 2013년 3월 11일이명박 정부
13대유정복2013년 3월 11일 ~ 2014년 3월 6일박근혜 정부
안전행정부 장관
14대강병규2014년 4월 2일 ~ 2014년 7월 15일박근혜 정부
15대정종섭2014년 7월 16일 ~ 2016년 1월 12일박근혜 정부
행정자치부 장관
16대홍윤식2016년 1월 12일 ~ 2017년 6월 15일박근혜 정부
황교안 과도정부
행정안전부 장관
17대김부겸2017년 6월 16일 ~ 2019년 4월 5일문재인 정부
18대진영2019년 4월 6일 ~ 2020년 12월 23일문재인 정부
19대전해철2020년 12월 24일 ~ 2022년 5월 11일문재인 정부
20대이상민2022년 5월 12일 ~ 2023년 2월 8일
(직무정지)[3]
윤석열 정부
직무대행한창섭2023년 2월 8일 ~ 2023년 7월 25일윤석열 정부
(20대)이상민2023년 7월 25일
(직무복귀) ~ 2024년 12월 8일
윤석열 정부
직무대행고기동2024년 12월 8일 ~ (현직)윤석열 정부


7. 1. 재난안전실장직의 장성급 독식 논란

2012년 6월 14일, 행정안전부는 개방형 직위인 재난안전실장(고위공무원 가급 - 1급 상당) 공개모집 결과, 예비역 소장 3명과 예비역 준장 1명 등 총 4명이 지원했다고 밝혔다. 역대 재난안전실장은 모두 예비역 소장이 임명되었으며, 이번에도 예비역 소장이 유력하다는 전망이 우세했다.[32][33][34] 그러나 재난안전실 업무 중 절반 이상은 군과 관련이 없으며, 공식적인 지원 자격에 '군인 출신이어야 한다'는 조건은 명시되지 않았다. 실제로 재난안전실 과장 7명 가운데 예비역은 비상대비훈련과장 1명뿐이며, 나머지는 모두 일반직 공무원이었다.[35]

이에 대해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민간인 지원자가 없는 현상에 대해 "비상대비업무를 민간인이 수행하기 어렵다는 인식이 작용한 것 같다"고 설명하며, 7월 10일에 최종 선발 및 임명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백민호 강원대학교 교수는 "재난관리가 군에서 시작된 것은 사실이나, 현재 군은 단체 인명사고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곳 중 하나"라며, "군대처럼 상명하복식 관리 지휘 방식으로는 국가 재난안전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36]

7. 2. 역대 장관

이름재임 기간비고
행정자치부 장관
초대김정길1998년 3월 3일 ~ 1999년 2월 5일김대중 정부
2대김기재1999년 2월 6일 ~ 2000년 1월 13일김대중 정부
3대최인기2000년 1월 14일 ~ 2001년 3월 25일김대중 정부
4대이근식2001년 3월 26일 ~ 2003년 2월 26일김대중 정부
5대김두관2003년 2월 27일 ~ 2003년 9월 18일노무현 정부
고건[2] 과도정부
6대허성관2003년 9월 19일 ~ 2005년 1월 4일노무현 정부
고건[2] 과도정부
7대오영교2005년 1월 5일 ~ 2006년 3월 21일노무현 정부
8대이용섭2006년 3월 27일 ~ 2006년 12월 4일노무현 정부
9대박명재2006년 12월 13일 ~ 2008년 2월 28일노무현 정부
행정안전부 장관
10대원세훈2008년 2월 29일 ~ 2009년 2월 11일이명박 정부
11대이달곤2009년 2월 20일 ~ 2010년 3월 4일이명박 정부
12대맹형규2010년 4월 15일 ~ 2013년 3월 11일이명박 정부
13대유정복2013년 3월 11일 ~ 2014년 3월 6일박근혜 정부
안전행정부 장관
14대강병규2014년 4월 2일 ~ 2014년 7월 15일박근혜 정부
15대정종섭2014년 7월 16일 ~ 2016년 1월 12일박근혜 정부
행정자치부 장관
16대홍윤식2016년 1월 12일 ~ 2017년 6월 15일박근혜 정부
황교안 과도정부
행정안전부 장관
17대김부겸2017년 6월 16일 ~ 2019년 4월 5일문재인 정부
18대진영2019년 4월 6일 ~ 2020년 12월 23일문재인 정부
19대전해철2020년 12월 24일 ~ 2022년 5월 11일문재인 정부
20대이상민2022년 5월 12일 ~ 2023년 2월 8일
(직무정지)[3]
윤석열 정부
직무대행한창섭2023년 2월 8일 ~ 2023년 7월 25일윤석열 정부
(20대)이상민2023년 7월 25일
(직무복귀) ~ 2024년 12월 8일
윤석열 정부
직무대행고기동2024년 12월 8일 ~ (현직)윤석열 정부


참조

[1] 블로그 Hatenablog https://pelicanmemo.[...] 2017-06-06
[2] 일반 대통령 대행
[3] 일반 서울 이태원 압사 사고
[4] 일반 행정안전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별표 1·별표 2·별표 4의2·별표 5
[5]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예산편성현황(총수입) https://www.openfisc[...] 2023-01-01
[6]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세목 예산편성현황(총지출) https://www.openfisc[...] 2023-01-01
[7] 뉴스 '행자부→행안부→안행부→행자부→행안부' 돌고도는 개명사 https://web.archive.[...] 조선일보 2017-07-20
[8] 뉴스 '안전행정부?'…"CI-서류-명함 등 바꾸려면 세금만 낭비"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3-01-16
[9] 뉴스 행정안전부, 청사 이전 작업 마무리…'세종 시대' 열려 http://www.tbs.seoul[...] TBS 2019-02-24
[10] 일반 법률 제1호
[11] 법률 법률 제354호
[12] 법률 법률 제552호
[13] 법률 법률 제655호
[14] 법률 법률 제1506호
[15] 법률 법률 제4268호
[16] 법률 법률 제5529호
[17] 법률 법률 제5982호
[18] 법률 법률 제7186호
[19] 법률 법률 제8852호
[20] 법률 법률 제11690호
[21] 법률 법률 제12844호
[22] 법률 법률 제14839호
[23] 법률 법률 제16930호
[24] 설명
[25] 설명
[26] 설명
[27] 설명
[28] 설명
[29] 설명
[30] 설명
[31] text
[32] 뉴스 "재난안전관리는 블루오션이다" http://www.di-focus.[...] 2010-02-16
[33] 뉴스 [이사람] 김진항 행안부 재난안전실장 http://go.seoul.co.k[...] 2010-05-17
[34] 뉴스 재난안전실장에 장석홍 전 육군대학 총장 http://www.di-focus.[...] 2010-08-08
[35] 웹인용 행정안전부예규 제400호 행정안전부 파견장교 선발 및 근무규정 http://www.law.go.kr[...] 대한민국 법제처 2012-03-02
[36] 뉴스 연봉 9000만원 행안부 개방형직위 재난안전실장 자리, 軍 장성 출신 독식 논란 http://go.seoul.co.k[...] 2012-06-1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