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외자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외자청은 1955년 2월 17일, 해외 원조 물자 및 자금의 관리, 구매, 배분 등을 담당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외자구매처와 임시외자관리청을 통합하여 부흥부의 외청으로 출범했으며, 1961년 10월 1일 폐지되고 조달청으로 통합되었다. 역대 청장으로는 이순용, 최인규, 신현확, 안희경, 유창순, 김영원, 황인성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조달청 - 대한민국 임시외자관리청
대한민국 임시외자관리청은 외자 도입 및 관리를 위해 1949년 설립되어 전국 7개 지역에 지방 사무소를 두고 운영되었으나, 1955년 외자구매처와 통합되어 외자청으로 개편되면서 폐지된 기관이다. - 대한민국 조달청 - 대한민국 외자구매처
대한민국 외자구매처는 외자 조달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1949년 12월 10일 설치되었으며, 임시외자관리청과 통합되어 외자청으로 개편되면서 1955년 2월 7일 폐지되었다. - 1961년 폐지 - 네덜란드령 뉴기니
네덜란드령 뉴기니는 1898년 네덜란드가 영유권을 주장하며 형성된 식민지로, 인도네시아 독립 후 귀속 문제로 갈등을 겪다가 UN을 거쳐 인도네시아로 이관되었으며, 파푸아인의 자결권 문제가 지속적으로 논쟁되고 있다. - 1961년 폐지 - 용흥동
용흥동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고려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왔으며, 현재는 상업 시설, 교육 기관, 공공 기관, 의료 기관 등 다양한 시설과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1955년 설립 - 디즈니랜드
디즈니랜드는 월트 디즈니가 설립하여 1955년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에 개장한 테마파크로, 9개의 테마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재정적 어려움, 확장, 기념 행사, COVID-19 범유행으로 인한 폐쇄 및 재개장 등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왔다. - 1955년 설립 - 국방대학교
국방대학교는 국방부 장관 소속의 대학원 중심 고등교육기관으로, 안전보장대학원과 국방관리대학원을 통해 석·박사 과정을 제공하며 군 장교, 공무원, 기업체 간부 등을 교육하는 기관이다.
대한민국 외자청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설립일 | 1955년 2월 17일 |
해산일 | 1961년 10월 1일 |
전신 | 외자구매처 임시외자관리청 |
후신 | 조달청 |
상급 기관 | 부흥부 |
2.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외자청은 정부조직법 (법률 제354호, 1955년 2월 7일 전부개정) 제20조[1] 및 외자청직제 (대통령령 제1009호, 1955년 2월 17일 제정) 제1조[2]에 의거하여 설치되었다. 주요 업무는 해외 원조 물자 및 자금의 관리, 구매, 배분 등이었다.
3. 연혁
4. 조직
외자청은 본청 외에 각 지역에 사무소를 두어 관련 업무를 처리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4. 1. 사무소
사무소명 | 존속 기간 |
---|---|
군산사무소 | 1955년 2월 ~ 1961년 7월 |
군산항만사무소 | 1961년 7월 ~ 1961년 10월 |
대전사무소 | 1955년 2월 ~ 1961년 7월 |
마산사무소 | 1955년 2월 ~ 1961년 7월 |
마산항만사무소 | 1961년 7월 ~ 1961년 10월 |
목포사무소 | 1955년 2월 ~ 1961년 7월 |
목포항만사무소 | 1961년 7월 ~ 1961년 10월 |
부산사무소 | 1955년 2월 ~ 1961년 7월 |
부산항만사무소 | 1961년 7월 ~ 1961년 10월 |
여수사무소 | 1955년 2월 ~ 1961년 7월 |
여수항만사무소 | 1961년 7월 ~ 1961년 10월 |
인천사무소 | 1955년 2월 ~ 1961년 7월 |
인천항만사무소 | 1961년 7월 ~ 1961년 10월 |
청주사무소 | 1955년 8월 ~ 1961년 7월 |
포항사무소 | 1955년 2월 ~ 1961년 7월 |
포항항만사무소 | 1961년 7월 ~ 1961년 10월 |
5. 역대 청·차장
외자청장은 차관급으로 보임되었다.[1] 역대 외자청장은 다음과 같다.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출신지 | 출신학교 | 비고 |
---|---|---|---|---|---|---|
제1공화국 | 초대 | 이순용 | 1955년 2월 17일 ~ 1956년 1월 14일 | 경기 한성 (현 서울) | 서울대 | |
2대 | 최인규 | 1956년 1월 4일 ~ 1958년 2월 22일 | 경기 광주 | 서울대 미국 뉴욕대 | ||
서리 | 신현확 | 1958년 2월 22일 ~ 1958년 12월 10일 | 경북 칠곡 | 서울대 | ||
3대 | 안희경 | 1958년 12월 10일 ~ 1960년 5월 2일 | 경기 한성 (현 서울) | 고려대 | ||
4대 | 유창순 | 1960년 5월 2일 ~ 1960년 5월 10일 | 평남 안주 | 미국 헤이스팅스대 | ||
제2공화국 | 5대 | 김영원(金英源) | 1960년 5월 10일 ~ 1961년 8월 16일 | |||
6대 | 황인성 | 1961년 8월 16일 ~ 1961년 10월 1일 | 전북 무주 | 육사 |
5. 1. 외자청장
외자청장은 차관급으로 보임되었다.[1] 외자청장은 1955년 2월 17일부터 1961년 10월 1일까지 존속한 외자청의 장이다.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출신지 | 출신학교 | 비고 |
---|---|---|---|---|---|---|
제1공화국 | 초대 | 이순용 | 1955년 2월 17일 ~ 1956년 1월 14일 | 경기 한성 (현 서울) | 서울대 | |
2대 | 최인규 | 1956년 1월 4일 ~ 1958년 2월 22일 | 경기 광주 | 서울대 미국 뉴욕대 | ||
서리 | 신현확 | 1958년 2월 22일 ~ 1958년 12월 10일 | 경북 칠곡 | 서울대 | ||
3대 | 안희경 | 1958년 12월 10일 ~ 1960년 5월 2일 | 경기 한성 (현 서울) | 고려대 | ||
4대 | 유창순 | 1960년 5월 2일 ~ 1960년 5월 10일 | 평남 안주 | 미국 헤이스팅스대 | ||
제2공화국 | 5대 | 김영원(金英源) | 1960년 5월 10일 ~ 1961년 8월 16일 | |||
6대 | 황인성 | 1961년 8월 16일 ~ 1961년 10월 1일 | 전북 무주 | 육사 |
5. 1. 1. 제1공화국
(현 서울)미국 뉴욕대
(현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