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 새천년민주당 후보 경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2년 새천년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은 전국 16개 시도를 순회하며 대의원, 당원, 국민이 참여하는 국민경선제로 진행되었다. 노무현 전 해양수산부 장관이 최종 후보로 확정되었고, 정동영 의원이 2위를 차지했다. 이인제, 김중권, 한화갑, 유종근, 김근태 등은 경선 과정에서 사퇴했다. 경선은 70,769명의 선거인단으로 구성되었으며, 국민 선거인단 신청에는 190만 명 이상이 참여했다. 노무현은 '영남 후보론' 제기 등으로 지지율을 높여 '노무현 바람'을 일으켰고, 최종적으로 4월 27일 전당대회에서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다. 전체 투표율은 47.3%였으며, 인터넷 투표에는 41,018명이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 광주광역시
2002년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광주광역시에서는 노무현 후보가 89.87%의 압도적인 지지율로 1위를 차지하며 민주당계 정당의 강력한 지지 기반을 확인했다. -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 대구광역시
2002년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구광역시는 이회창 후보가 73.3%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고 노무현 후보가 16.8%로 2위를 기록했으며, 이회창 후보는 대구광역시 모든 구·군에서 높은 지지를 받아 특히 달성군에서 80%가 넘는 득표율을 기록했다.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 새천년민주당 후보 경선 | |
---|---|
선거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득표 1 | 17,568 |
득표 2 | 6,767 |
득표율 1 | 72.2% |
득표율 2 | 27.8% |
색상 1 | 열린우리당 |
색상 2 | 대통합민주신당 |
선거명 |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 새천년민주당 후보 경선 |
선거일 | 2002년 4월 27일 |
선거 전 | 김대중 |
선거 후 | 노무현 |
유형 | 대통령 |
![]() | |
![]() | |
이전 선거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새정치국민회의 후보 경선 |
이전 선거 연도 | 1997년 |
직책 | 대통령 후보 |
차기 선거 |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민주당 후보 경선 |
차기 선거 연도 | 2007년 |
후보 1 | 노무현 |
후보 2 | 정동영 |
선거 전 정당 | 새정치국민회의 |
선거 후 정당 | 새천년민주당 |
투표율 | 47.28% |
국기 이미지 | Logo of Millennium Democratic Party.svg |
2. 경선 방식
2002년 3월 9일 제주에서 시작해 전국 16개 시도를 순회하며 진행된 국민 경선제는 대의원 20%, 일반 당원 30%, 국민 50% 비율로 득표수를 계산했다. 모든 후보에게 순위를 매기는 선호투표제가 도입되었으나, 노무현 후보의 과반 득표로 사실상 유명무실해졌다.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 새천년민주당 후보 경선에는 총 7명의 후보가 참여하였다.
3만 5천 명을 추첨으로 뽑는 국민 선거인단 모집에는 190만여 명이 신청할 정도로 국민 참여 경선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었다.
3. 후보자
3. 1. 최종 후보
노무현 전 해양수산부 장관은 4월 27일 민주당의 제16대 대통령 후보로 확정되었다.[1] 정동영 의원은 초반 예상과 달리 저조한 득표율을 보였으나, 노무현 후보의 당선이 확실시된 후에도 사퇴하지 않고 '경선 지킴이'로 남았다가 4월 27일 전당대회에서 최종 2위로 확정되었다.[2]
3. 2. 중도 사퇴 후보
이인제 전 경기지사는 전남 경선 직후 더 이상 역전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 4월 17일 후보 사퇴를 선언했다.[1] 그는 당에서 자신을 탈락시키고 노무현을 당선시키려 공작을 했다는 음모론을 펼치며 탈당하고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김중권 전 대통령 비서실장은 대전, 충남 지역 경선에서 나타난 동향 후보 몰표 주기에 실망했다며 3월 25일 후보직을 사퇴했다.[2] 일각에서는 경상북도 출신인 그가 노무현을 밀라는 모종의 지시에 따라 영남 표를 몰아주기 위해 사퇴한 것이라는 의혹도 제기되었다.
한화갑 의원은 광주 경선 패배 후 "호남 후보 불가론을 정면돌파하려 했으나 아직은 제가 나설 때가 아니라는 것을 확인"했다며 3월 19일 후보 사퇴를 선언했다.[3] 동교동계 맹주로써 활약이 예상되던 그였으나, 권노갑 등 동교동계 인사들은 한화갑이 아닌 이인제를 지원하고 있던데다 영남 출신인 노무현에게 동교동계의 텃밭인 광주를 내주는 충격까지 당해 당선 가능성이 희박해졌던 것이다. 이후 한화갑 의원은 당 대표 선거 출마로 선회, 4월 27일 당 지도부 선출 및 대통령 후보 확정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에 당선되었다.
유종근 전 전북지사는 3월 11일 세풍그룹으로부터 뇌물을 받았다는 스캔들이 터지자 "수뢰사실은 없으나 국민 참여 경선제 취지를 훼손시킬 수 있고, 주변의 사퇴압력도 적지 않다"며 3월 14일 후보 사퇴 및 탈당 선언했다.[4]
김근태 의원은 첫 두 경선에서 연속 저조한 결과가 나오자 당선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 3월 12일 경선 포기를 선언하였다.[5]
4. 선거인단 구성
새천년민주당은 선거인단을 전국대의원대회 대의원 20%, 일반 당원 30%, 일반 국민 50%의 비율로 구성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대의원 14,819명, 일반 당원 20,950명, 일반 국민 33,250명, 도합 69,019명이 선거인단으로 구성되었다. 여기에 대한민국 국민을 대상으로 인터넷 투표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선거인단의 2.5%에 해당하는 1,750표로 환산하여 반영하기로 했다. 이를 포함하면 전체 선거인단은 70,769명인 셈이 되었다.
대의원 | 당원 | 국민 | 총계 | |
---|---|---|---|---|
제주특별자치도 | 176 | 238 | 378 | 792 |
울산광역시 | 241 | 458 | 725 | 1,424 |
광주광역시 | 381 | 604 | 956 | 1,941 |
대전광역시 | 301 | 610 | 965 | 1,876 |
충청남도 | 481 | 839 | 1,338 | 2,658 |
강원도 | 461 | 676 | 1,083 | 2,220 |
경상남도 | 685 | 1,360 | 2,156 | 4,201 |
전라북도 | 710 | 872 | 1,393 | 2,975 |
대구광역시 | 528 | 1,110 | 1,758 | 3,396 |
인천광역시 | 627 | 1,121 | 1,774 | 3,522 |
경상북도 | 687 | 1,221 | 1,948 | 3,856 |
충청북도 | 351 | 654 | 1,043 | 2,048 |
전라남도 | 853 | 941 | 1,484 | 3,278 |
부산광역시 | 780 | 1,661 | 2,645 | 5,086 |
경기도 | 2,121 | 4,051 | 6,421 | 12,593 |
서울특별시 | 5,436 | 4,534 | 7,183 | 17,153 |
인터넷 | - | - | 1,750 | 1,750 |
총계 | 14,819 | 20,950 | 35,000 | 70,769 |
서울 지역 대의원 수는 실제 서울 지역 대의원 2,382명에 지방당부 소속이 아닌 대의원 3,054명을 더한 수이다.
4. 1. 일반 국민 선거인단 신청
190만여 명이 국민선거인단 참여를 신청했고, 그중 160만여 명이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컴퓨터 추첨을 통해 33,250명의 선거인과 예비 선거인이 선정되었다.
지역 | 정원 | 인터넷 신청 | 서면 신청 | 총계 | 유효 신청 | |||||||||||||||||||||||||||||||||||||||||||||||||||||||||||||||||||||||||||||||||||||||||||||||||||||||||||||||||||||||||||||||||||||||||||||||||||||||||||||||||||||||||||||||||||||||||||||||||||||||||||||||
---|---|---|---|---|---|---|---|---|---|---|---|---|---|---|---|---|---|---|---|---|---|---|---|---|---|---|---|---|---|---|---|---|---|---|---|---|---|---|---|---|---|---|---|---|---|---|---|---|---|---|---|---|---|---|---|---|---|---|---|---|---|---|---|---|---|---|---|---|---|---|---|---|---|---|---|---|---|---|---|---|---|---|---|---|---|---|---|---|---|---|---|---|---|---|---|---|---|---|---|---|---|---|---|---|---|---|---|---|---|---|---|---|---|---|---|---|---|---|---|---|---|---|---|---|---|---|---|---|---|---|---|---|---|---|---|---|---|---|---|---|---|---|---|---|---|---|---|---|---|---|---|---|---|---|---|---|---|---|---|---|---|---|---|---|---|---|---|---|---|---|---|---|---|---|---|---|---|---|---|---|---|---|---|---|---|---|---|---|---|---|---|---|---|---|---|---|---|---|---|---|---|---|---|---|---|---|---|---|---|---|---|---|
제주특별자치도 | 378 | 1,676 | 63,705 | 65,381 | 48,193 | |||||||||||||||||||||||||||||||||||||||||||||||||||||||||||||||||||||||||||||||||||||||||||||||||||||||||||||||||||||||||||||||||||||||||||||||||||||||||||||||||||||||||||||||||||||||||||||||||||||||||||||||
울산광역시 | 725 | 2,396 | 63,254 | 65,650 | 49,876 | |||||||||||||||||||||||||||||||||||||||||||||||||||||||||||||||||||||||||||||||||||||||||||||||||||||||||||||||||||||||||||||||||||||||||||||||||||||||||||||||||||||||||||||||||||||||||||||||||||||||||||||||
광주광역시 | 956 | 3,338 | 99,857 | 103,188 | 79,025 | |||||||||||||||||||||||||||||||||||||||||||||||||||||||||||||||||||||||||||||||||||||||||||||||||||||||||||||||||||||||||||||||||||||||||||||||||||||||||||||||||||||||||||||||||||||||||||||||||||||||||||||||
대전광역시 | 965 | 1,586 | 47,503 | 48,089 | 46,242 | |||||||||||||||||||||||||||||||||||||||||||||||||||||||||||||||||||||||||||||||||||||||||||||||||||||||||||||||||||||||||||||||||||||||||||||||||||||||||||||||||||||||||||||||||||||||||||||||||||||||||||||||
충청남도 | 1,338 | 2,369 | 67,202 | 69,751 | 58,327 | |||||||||||||||||||||||||||||||||||||||||||||||||||||||||||||||||||||||||||||||||||||||||||||||||||||||||||||||||||||||||||||||||||||||||||||||||||||||||||||||||||||||||||||||||||||||||||||||||||||||||||||||
강원도 | 1,083 | 4,725 | 44,202 | 48,927 | 44,108 | |||||||||||||||||||||||||||||||||||||||||||||||||||||||||||||||||||||||||||||||||||||||||||||||||||||||||||||||||||||||||||||||||||||||||||||||||||||||||||||||||||||||||||||||||||||||||||||||||||||||||||||||
경상남도 | 2,156 | 26,983 | 58,175 | 85,158 | 82,036 | |||||||||||||||||||||||||||||||||||||||||||||||||||||||||||||||||||||||||||||||||||||||||||||||||||||||||||||||||||||||||||||||||||||||||||||||||||||||||||||||||||||||||||||||||||||||||||||||||||||||||||||||
전라북도 | 1,393 | 14,884 | 127,501 | 142,385 | 125,222 | |||||||||||||||||||||||||||||||||||||||||||||||||||||||||||||||||||||||||||||||||||||||||||||||||||||||||||||||||||||||||||||||||||||||||||||||||||||||||||||||||||||||||||||||||||||||||||||||||||||||||||||||
대구광역시 | 1,758 | 21,954 | 110,425 | 132,379 | 116,898 | |||||||||||||||||||||||||||||||||||||||||||||||||||||||||||||||||||||||||||||||||||||||||||||||||||||||||||||||||||||||||||||||||||||||||||||||||||||||||||||||||||||||||||||||||||||||||||||||||||||||||||||||
인천광역시 | 1,774 | 24,408 | 83,799 | 108,207 | 99,057 | |||||||||||||||||||||||||||||||||||||||||||||||||||||||||||||||||||||||||||||||||||||||||||||||||||||||||||||||||||||||||||||||||||||||||||||||||||||||||||||||||||||||||||||||||||||||||||||||||||||||||||||||
경상북도 | 1,948 | 15,332 | 102,379 | 117,711 | 108,470 | |||||||||||||||||||||||||||||||||||||||||||||||||||||||||||||||||||||||||||||||||||||||||||||||||||||||||||||||||||||||||||||||||||||||||||||||||||||||||||||||||||||||||||||||||||||||||||||||||||||||||||||||
충청북도 | 1,043 | 15,591 | 60,005 | 75,596 | 71,885 | |||||||||||||||||||||||||||||||||||||||||||||||||||||||||||||||||||||||||||||||||||||||||||||||||||||||||||||||||||||||||||||||||||||||||||||||||||||||||||||||||||||||||||||||||||||||||||||||||||||||||||||||
전라남도 | 1,484 | 12,341 | 128,003 | 140,344 | 117,852 | |||||||||||||||||||||||||||||||||||||||||||||||||||||||||||||||||||||||||||||||||||||||||||||||||||||||||||||||||||||||||||||||||||||||||||||||||||||||||||||||||||||||||||||||||||||||||||||||||||||||||||||||
부산광역시 | 2,645 | 60,153 | 72,151 | 132,304 | 116,025 | |||||||||||||||||||||||||||||||||||||||||||||||||||||||||||||||||||||||||||||||||||||||||||||||||||||||||||||||||||||||||||||||||||||||||||||||||||||||||||||||||||||||||||||||||||||||||||||||||||||||||||||||
경기도 | 6,421 | 60,600 | 217,257 | 277,857 | 218,618 | |||||||||||||||||||||||||||||||||||||||||||||||||||||||||||||||||||||||||||||||||||||||||||||||||||||||||||||||||||||||||||||||||||||||||||||||||||||||||||||||||||||||||||||||||||||||||||||||||||||||||||||||
서울특별시 | 7,183 | 61,967 | 226,503 | 288,470 | 220,745 | |||||||||||||||||||||||||||||||||||||||||||||||||||||||||||||||||||||||||||||||||||||||||||||||||||||||||||||||||||||||||||||||||||||||||||||||||||||||||||||||||||||||||||||||||||||||||||||||||||||||||||||||
총계 | 33,250 | 330,303 | || |} 5. 경과
경선 시작 전 민주당 후보 중 압도적인 지지율 1위는 동교동계의 후원을 받는 이인제였고, 노무현은 지지율이 한 자릿수인 군소 후보였다. 그러나 경선 국면이 시작되면서 노무현은 “영남 후보론” 및 이인제 후보를 겨냥한 “정체성 시비” 등을 제기하며 20%대 지지율에 진입하기 시작했다.[6] 5. 1. 이인제-노무현 양강 구도경선 시작 전 민주당 후보 중 압도적인 지지율 1위는 동교동계의 후원을 받는 이인제였고, 노무현은 지지율이 한 자릿수인 군소 후보였다. 그러나 경선 국면이 시작되면서 노무현은 “영남 후보론” 및 이인제 후보를 겨냥한 “정체성 시비” 등을 제기하며 20%대 지지율에 진입하기 시작했다.[6]첫 번째 지역이었던 제주 경선 직전 여론조사에서 노무현은 이인제와 양강 구도를 형성하기에 이르렀으나, 정작 제주 경선 결과 한화갑 후보가 의외의 1위를 차지했고, 이인제·노무현은 각각 2위와 3위를 기록했다. 두 번째 울산 지역에서는 울산과 같은 경남권 출신인 노무현이 예상대로 1위를 차지했다. 5. 2. 노무현 바람3월 13일, 문화일보와 SBS가 공동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노무현과 이회창이 양자 대결을 벌일 경우 노무현이 41.7%, 이회창이 40.6%로 노무현이 이긴다는 결과가 나왔다. 대선 주자 지지도 여론 조사에서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가 민주당 후보에 뒤지는 결과가 나온 것은 대선 구도가 형성된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7] 노무현 캠프는 이회창을 이길 수 있는 유일한 카드라며 이 여론조사 결과를 적극 홍보하였으며, 그 결과 한화갑이나 이인제의 승리가 예상되던 3월 16일 광주 경선에서 반전의 1위를 기록하였다. 광주는 김대중 대통령과 새천년민주당의 근거지인 만큼 이곳에서의 승리는 의미가 상당했다.[8]이후 노무현은 단숨에 지지율이 급상승하며 ‘노풍’의 주인공이 되었다. 광주 경선 직후 이인제의 지역 기반인 대전·충남권에서 일격을 당해 노풍이 꺾이는 듯싶었지만 강원, 경남, 전북, 대구 경선에서 연달아 승리하며 다시 역전했다. 이후 노무현은 충청 지역 경선을 제외한 모든 경선에서 승리했고, 2002년 4월 27일, 서울 경선을 끝으로 새천년민주당의 제16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공식 선출됐다. 경선이 끝난 4월 말 노무현의 지지율은 당시 역대 대통령 후보 가운데 사상 최고치라는 60%를 기록했다.[6] 6. 결과
새천년민주당한국어은 4월 27일 서울에서 열린 전당대회에서 노무현 전 해양수산부 장관을 대통령 후보로 공식 선출하였다.[1]
6. 1. 투표율전체 투표율은 47.3%였으며, 별도로 치러진 인터넷 투표에는 41,018명이 참여했다.[1]
참조
[1]
웹인용
이인제후보 경선 전격사퇴
https://www.joongang[...]
입력 2002.04.17 00:00
2002-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