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인제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1948년 충청남도 논산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1988년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다. 노동부 장관, 경기도지사를 역임했으며, 1997년과 2007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잦은 당적 변경으로 '피닉제'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국회의원 선거에서 6번 당선되었다. 2018년 충청남도지사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석초등학교 (충남) 동문 - 희진 (2000년)
대한민국의 가수 희진(본명 전희진)은 이달의 소녀 첫 번째 멤버로 데뷔, 유닛 활동, 믹스나인 참가, Artms 합류, 솔로 데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 논산중학교 동문 - 배일호
1980년 데뷔한 트로트 가수 배일호는 1992년 발표한 〈신토불이〉로 큰 인기를 얻어 '신토불이 가수'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이후 다수의 히트곡을 발표하고 싱어송라이터, 홍보대사, 사회 공헌 활동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 논산중학교 동문 - 염기훈
염기훈은 2006년 프로 데뷔 후 K리그 통산 최다 도움 기록을 세우고, 국가대표팀으로 활약하며, 2023년 수원 삼성 감독 대행을 거쳐 현재는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코치로 활동한다.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후보 - 이회창
이회창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법조인으로, 판사, 최연소 대법관, 국회의원, 법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세 차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며, 자유선진당을 창당하여 활동하며 강경한 보수주의적 정치 성향으로 알려졌다.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후보 - 허경영
허경영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가수, 기업가로 여러 차례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 등에 출마했으나 모두 낙선했으며, 기행과 허위 사실 유포, 종교적 활동 등으로 논란이 된 인물이다.
이인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인제 |
출생일 | 1948년 12월 11일 |
출생지 | 논산시, 충청남도, 대한민국 |
국적 | 대한민국 |
배우자 | 김은숙 |
학력 | 서울대학교 |
직위 | |
경기도지사 | term_start: 1995년 7월 1일 term_end: 1997년 9월 18일 predecessor: 이해재 successor: 임수복 (직무대행) |
국회의원 | term_start: 1988년 5월 30일 term_end: 1995년 6월 7일 |
국회의원 | term_start: 2000년 5월 30일 term_end: 2016년 5월 29일 |
노동부 장관 | term_start: 1993년 2월 26일 term_end: 1993년 12월 21일 |
소속 정당 | |
정당 | 통일민주당 (1987–1990) 민주자유당 (1990–1995) 신한국당 (1995–1997) 새정치국민회의 (1998–2000) 민주당 (2000–2002, 2007–2008) 통합민주당 (2008) 무소속 (2008–2011) 자유한국당 (2012–2020) 국민의힘 (2020-현재) |
기타 소속 정당 | |
기타 정당 | 국민신당 (1997–1998) 자유민주연합 (2002–2005) 국민중심당 (2005–2007) 자유선진당 (2011–2012) |
기타 정보 | |
종교 | 무종교 |
본관 | 전주 (全州) 익안대군파 |
군복무 | 육군 병장 만기 전역 |
웹사이트 | 이인제 홈페이지 |
![]() |
2. 학력
3. 생애
이인제는 1948년 12월 11일 충청남도 논산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본관은 전주이며 이성계의 3남 익안대군의 후손이라고 전해진다. 학비가 없을 정도로 어려운 살림이었으나 논산중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로 가서 경복고등학교를 거쳐 뛰어난 학업 성적으로 1967년에 서울대 법과대학에 진학하였다.
서울대 재학 시절 학생운동 서클인 '사회법학회'에 가입해 전태일 분신사건과 3선 개헌 반대운동 등으로 촉발된 각종 시위에 참여했다. 대학 졸업 후 유신반대 민주화 운동에 투신하였는데 이로 인해 강제로 군에 징집되었고 육군에 입대하여 만기전역했다. 이후 1979년 32세의 나이에 제21회 사법시험에 합격하고 1981년에 대전지법의 판사로 임용되어 1983년까지 재직하였다. 3년동안 판사로 재직한 후 변호사로 개업하여 산업재해와 해고사건 등을 담당하는 노동인권 변호사로 거듭나게 되었다.[5]
1988년 국회의원에 초선되었다. 1993년 김영삼 정권에서 노동부 장관으로 처음으로 입각하였고, 1995년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경기도지사에 당선되었다.
1997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김영삼 정권 여당인 신한국당의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했으나 이회창에게 패배하였다. 신한국당을 탈당하여 창당한 국민신당 후보로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김대중과 이회창에 이어 492만 표를 넘는 득표율로 3위에 그쳤다. 이 대통령 선거에서 신한국당과 민주당이 합쳐 발족한 한나라당 후보 이회창이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배한 것도 있어, 경선 결과를 따르지 않은 것에 대한 비판이 있다.
1998년 김대중 정권이 출범하자 여당인 새정치국민회의에 합류하였다. 2002년에는 새천년민주당(새정치국민회의의 후신)의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했으나, 노무현의 기세에 밀려 경선을 사퇴하고 새천년민주당을 탈당하였다.
이후 자유민주연합, 국민중심당을 거쳐 2007년 5월 민주당(2005년 새천년민주당에서 당명 변경)에 복당하였다.[6]
2007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득표율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참패를 당했다. 이듬해 4월 총선에서는 통합민주당의 공천을 받지 못하고 무소속으로 충청남도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1년 10월, 충청권에 기반을 가진 자유선진당에 합류하였다.[7]
2012년 4월 총선에서 6선을 달성했지만, 선진당은 충청도 지역을 여당 새누리당에 빼앗기면서 선거 전 의석 수보다 크게 감소하는 참패를 당했다. 패배의 책임을 지고 심대평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와 중앙당직자들이 일괄 사퇴하였고, 새 지도부를 선출할 때까지 운영 기관인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에 선임되었다.[8] 2012년 5월 29일 전당대회에서 선진당에서 당명을 변경하여 발족한 통합진보당의 초대 대표로 선출되었다.[9] 10월 25일, 2012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새누리당과 통합진보당이 합당을 선언함에 따라, 1997년 이후 15년 만에 원래 정당으로 복귀하게 되었다.[10]
2014년 7월 14일 새누리당 전당대회에서 당 최고위원에 선출되었다.[11]
2016년 4월 13일 제20대 총선에서 충청남도 논산시·계룡시·금산군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더불어민주당의 김종민에게 패배하여 낙선했다.
2018년 6월 13일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남도지사 선거에 출마했으나, 득표율 35.1%에 그치며 더불어민주당의 양승조(득표율 62.5%)에게 큰 차이로 패배했다.[12]
4. 정치 활동
이인제는 1988년 대한민국 국회의원으로 당선되면서 정계에 입문했다. 1993년에는 김영삼 정부에서 초대 노동부 장관을 역임했고, 1995년부터 1997년까지 경기도지사를 지냈다.
1997년 대선에서 신한국당 대선 후보 경선에서 이회창에게 패배한 후, 국민신당을 창당하여 대선에 출마했으나 김대중, 이회창에 이어 3위를 기록하며 낙선했다. 2002년 대선에서는 새천년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에서 노무현에게 패배하고 후보직에서 사퇴했다.
이후 자유민주연합, 국민중심당을 거쳐 2007년 5월 민주당에 복당하였다.[6] 2007년 대선에서는 민주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득표율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참패를 당했다.
2011년 10월, 자유선진당에 합류하였으며,[7] 2012년 5월 29일 전당대회에서 선진통일당의 초대 대표로 선출되었다.[9] 2012년 10월 25일, 새누리당과 선진통일당이 합당을 선언함에 따라, 1997년 이후 15년 만에 원래 정당으로 복귀하게 되었다.[10]
2014년 7월 14일 새누리당 전당대회에서 당 최고위원에 선출되었다.[11] 20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종민 후보에게 패배하여 낙선했다. 2018년 지방 선거에서 충청남도지사 선거에 출마했으나 더불어민주당 양승조 후보에게 패배했다.[12]
그는 16번이나 정당을 바꾸고[3] 대선에서 여러 번 패배하고 소속 정당이 몰락하는 와중에도 여섯 번이나 국회의원에 당선된 능력으로 '피닉제'(피닉스와 그의 성(Rhe)의 '제'를 합성한 별명)라는 특별한 별명을 가지고 있다.[4]
4. 1. 입문
李仁濟|이인제중국어는 1948년 12월 11일 충청남도 논산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다. 1987년 6월 항쟁을 보며 정치에 입문할 기회를 얻었고, 김영삼과의 인연으로 통일민주당 연구소에서 일했다.[2] 1988년 통일민주당 공천으로 제13대 총선에서 경기도 안양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제13대 국회의원에 당선되면서 정계에 입문하였다.[2]4. 2. 노태우 정부 ~ 김영삼 정부 시절
1990년 개편된 민주자유당에 합류하였고, 1992년 제14대 총선 안양시 갑 선거구에서 다시 당선되었다. 1993년 김영삼 정권 시절 최연소로 노동부 장관에 기용되어 고용보험 제도 도입 등 업적을 남겼다.[2] 1995년 6월 국회의원직을 사퇴하고 첫 민선 경기도지사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5년 민주자유당이 개편된 신한국당에 합류하였으며, 이후 이인제는 신한국당의 유력 정치인으로 큰 기대를 모았다.4. 3. 1997년 대통령 선거
제15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를 선언했고, 이후 신한국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 참가했다. 초반에는 이회창의 압도적 우세가 계속되었으나, 중반 이후 이인제가 급속히 부상하면서 갈등이 커졌다. 1차 투표에서 14.7%를 얻어 2위를 기록, 결선 투표에 진출했으나 이회창에게 패배했다. 결국 1997년 9월 13일, 신한국당을 탈당했다.[17] 탈당 이유로 '세대교체만이 30년 낡고 병든 3김 정치구조를 청산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으나, 실제로는 경선 과정에서 생긴 앙금과 이회창 아들의 병역 문제로 인한 지지율 하락이 크게 작용했다.[17] 이로 인해 보수 세력은 분열되었다. 이인제는 국민신당을 창당하여 제15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 후보로 선출되었다. "젊은 한국, 강한 나라"를 슬로건으로 내세웠다.[17]대선에서 전두환, 노태우 사면 복권을 공약으로 내세워 논란을 빚었다.[18] 이회창과 김대중처럼 이인제도 전두환과 노태우를 사면 복권한다는 공약을 내세워 당시의 낮은 정치 상황을 드러냈다.[19][20] 12월 19일 제15대 대통령 선거는 이회창, 김대중, 이인제의 3자 구도로 진행되었다.
이인제와 당내 경선을 치렀던 이회창은 초반에 1위를 달렸으나, 아들의 병역 논란과 이인제의 탈당으로 인한 분열 등으로 3위로 밀려났다. 반면 김대중이 1위를 달리게 되었고 이인제는 2위를 달리게 되었다. 그러자 신한국당은 어려운 국면을 타개하고자 김대중의 비자금 의혹을 폭로했다.[17] 김대중은 수사에 들어갔지만, 하루 만에 대선 이후로 수사가 미뤄졌다.[17]
김대중의 비자금 수사를 미룬 이유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경제 위기, 기업 부도, 흉흉한 민심 등으로 수사를 할 여건이 아니었으며, 비자금 수사와 같은 행위로 야권을 탄압한다면 심각한 문제가 일어날 것을 우려했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김대중은 김종필, 박태준과 단일화했고, 이에 불만을 품은 신한국당 역시 통합민주당 조순 후보와 단일화했다. 이후 이회창은 김영삼을 당에서 추방하고 한나라당을 창당했다. 당시까지 이인제는 2위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아들 병역 문제로 수세에 몰렸던 이회창의 반격이 시작되었다. 이회창은 자신의 일점 전략, TK 지역의 반YS 바람, 김영삼의 이인제 신당 지원설 등을 통해 영남 지역 지지 기반을 다지는 동시에 이인제를 공격했다. 이로써 이회창이 2위를 기록했고, 이인제는 3위로 밀려났다.[17] 결국 대통령 선거에서 이인제는 전국적으로 4,925,591표(19.2%)를 얻어 3위로 낙선했다. 김대중은 이회창을 39만 표 차로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4. 4. 김대중 정부 시절
1997년 대선에서 김대중 후보에게 패배한 후, 제2회 지방선거에서도 좋지 않은 성적을 거두자, 김대중은 국민신당과의 합당을 추진했고 이인제도 이에 합류했다.[2] 2000년 제16대 총선에 고향인 충남 논산시·금산군 선거구에 출마, 자유민주연합의 김범명을 누르고 당선되어 3선 국회의원이 되었다.[2]4. 5. 2002년 대통령 선거
이인제는 제16대 대통령 선거에 다시 도전했다. 새천년민주당은 16부작 정치 드라마로 불린 국민 경선제를 실시했는데, 2002년 3월 9일 제주를 시작으로 전국 16개 시도를 돌며 당원(50%)과 국민(50%)이 직접 투표하는 방식이었다. 국민 경선제에는 노무현, 김근태, 김중권, 유종근, 이인제, 정동영, 한화갑 등이 출마했다.[21]이인제는 인지도가 가장 높고 경쟁력 있는 후보로, 국민경선 전 1위를 달려 큰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당시 군소후보였던 노무현은 경선이 시작되면서 “영남 후보론” 및 이인제 후보를 겨냥한 “정체성 시비”로 20%대 지지율에 진입하기 시작했고,[21] 이른바 ‘노풍’의 주인공이 되었다. 광주 경선 직후 이인제의 지역 기반인 대전· 충청권에서 일격을 당해 노풍이 꺾이는 듯싶었지만 대구광역시 경선 결과, 종합 1위가 확정되었다. 이후 노무현은 강원도와 전남, 전북, 경남, 대구를 비롯한 거의 전 지역을 석권해 나갔고, 2002년 4월 26일, 서울 경선에서 새천년민주당의 제16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공식 선출됐다.
한편 국민통합21의 정몽준이 월드컵 바람을 타고 출마를 선언하자 노무현의 지지율은 반토막이 났다( 한나라당 이회창의 지지율도 조금 내려갔다). 이 상황에서 노무현이 정몽준과 단일화를 하였는데, 그의 지지율이 이회창을 앞서기 시작했다. 그러자 이인제는 12월 1일, 새천년민주당을 탈당하였고 이후 자유민주연합에 입당하였다. 이후 이회창에 대한 지지를 선언한 데 이어 1997년 대통령 선거 당시 자신이 경선에 불복한 것에 대해 사과한다고 하였으나, 대통령 선거에서는 노무현이 당선되었다.
4. 6. 참여정부 시절
노무현 대통령 탄핵 정국 속에 치러진 제17대 총선에서 이인제는 당선되어 4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하지만 당시 탄핵에 가담했던 자유민주연합은 군소 정당으로 전락하였고 그의 영향력은 더욱 축소되었다. 이후 몰락한 자유민주연합을 탈당하고 국민중심당에 입당했다가 2007년에 국민중심당을 탈당하고 4년 만에 민주당에 복당하였다.[6]4. 7. 2007년 대통령 선거
2007년 이인제는 제17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하였고, 민주당 경선에서 조순형, 김민석, 신국환, 장상과 대결하였다. 조순형 대세론을 깨고 압도적인 선두를 달리자 이인제 후보 측의 조직 동원 및 관권선거 의혹으로 제주 경선이 무산되기도 하였다. 조순형 후보가 사퇴하는 등 난항을 겪었으나, 결국 10월 16일 이인제는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다. 이로써 1997년 이후 10년 만에 대선에 다시 도전하게 되었다.[6]당시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1위를 달리고 있었고, 여당 및 기타 야당 후보들은 지지율이 미미한 상황이었다. 이인제는 지지율을 10%까지 올리며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와 단일화를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그는 자신의 고향인 충청권을 중심으로 지지율 상승을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이회창이 한나라당을 탈당하고 무소속 후보로 출마하면서, 이인제는 지지율에 큰 타격을 입었고, 충청권에서조차 지지율이 오르지 않았다.
이인제는 주요 후보들과 함께 토론에 참여했으나, 주요 후보로 인정받지 못했다. 결국 12월 19일 선거에서 전국적으로 160,708표(득표율 0.7%)를 얻어 6위로 낙선했다. 허경영 후보보다 많은 표를 얻었지만, 많은 지역에서 허경영보다 낮은 득표를 기록했다.
4. 8. 이명박 정부 시절
2007년 대통령 선거 후, 2008년 민주당과 대통합민주신당이 합병하여 통합민주당으로 개편되자 이인제는 여기에 합류하였다. 제18대 총선에서 논산·계룡·금산 선거구에 출마하기 위해 통합민주당 공천을 신청했으나, 당내 논란으로 공천을 받지 못했다. 이에 통합민주당을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하였다.[22]대통령 선거에서 저조한 득표율을 기록하고 통합민주당 공천에서도 탈락하면서, 무소속으로 출마한 그는 매우 불리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2008년 4월 9일 선거에서 27.7%의 득표율로 당선되며 5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이 선거는 그와 통합민주당, 한나라당, 자유선진당, 친박연대 후보가 모두 치열하게 경합을 벌인 결과였으며, 전국 최저 득표율 당선이었다.[23][24]
4. 9. 자유선진당 ~ 선진통일당 대표
2007년 대통령 선거 후, 2008년 민주당과 대통합민주신당이 합당하여 통합민주당에 합류하였다. 제18대 총선 논산·계룡·금산 선거구에 출마하기 위해 통합민주당 공천을 신청했으나, 당내 논란으로 공천을 받지 못하고 탈당하여,[22] 무소속으로 출마하였다. 불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27.7%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5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이 선거는 통합민주당, 한나라당, 자유선진당, 친박연대 후보가 치열하게 경합하여 전국 최저 득표율 당선이었다.[23][24]
2011년 10월 10일, 무소속이던 이인제는 이회창, 심대평이 주도하여 자유선진당과 국민중심연합이 합당해 만들어진 자유선진당에 입당하며,[25] 이회창과의 관계 개선을 약속했다.[26]
2012년 4월 11일, 제19대 총선 논산시·계룡시·금산군에 자유선진당 소속으로 출마, 42.36%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6선 의원이 되었다.[27] 이인제는 잦은 정당 변경으로 철새 정치인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위기 때마다 생존하여 '피닉제'( 피닉스와 이인제의 합성어[28])라는 별명을 얻었다.[29] 제19대 총선에서 자유선진당은 5석만을 얻어 존립 위기를 맞았고, 이인제는 비상대책위원회를 이끌었다. 국민생각 등 외부 인사 영입을 시도했으나, 사당화(私黨化) 비판이 제기되며 이회창 전 대표와 당원 상당수가 탈당하였다. 이후 당명 개정을 통해 선진통일당으로 당명을 변경하고, 전당대회에서 압도적인 표 차이로 당 대표가 되었다.[30]
4. 10. 새누리당 복귀와 이후
2007년 대통령 선거 후, 2008년 민주당과 대통합민주신당이 합병하여 통합민주당으로 개편되면서 이인제는 여기에 합류하였다. 제18대 총선 논산·계룡·금산 선거구에 다시 출마하기 위해 통합민주당 공천을 신청했으나, 당내에서 논란이 계속되어 공천을 받지 못했다. 이에 통합민주당을 탈당하고,[22] 무소속으로 출마하였다. 대통령 선거에서 저조한 득표율을 기록하고 통합민주당 공천에서도 탈락하면서 정치 생명이 끝난 것처럼 보였으나, 4월 9일 선거에서 27.7%의 득표율로 당선되며 5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이 선거는 그와 통합민주당, 한나라당, 자유선진당, 친박연대 후보가 모두 치열하게 경합을 벌인 결과였으며,[23] 전국 최저 득표율 당선이었다.[24]무소속 국회의원으로 활동하던 이인제는 2011년 10월 10일 이회창, 심대평이 주도하여 자유선진당과 국민중심연합이 합당하여 만들어진 통합 자유선진당에 입당하면서[25] 이회창과의 관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26]
2012년 4월 11일 제19대 총선 논산시·계룡시·금산군에 자유선진당 소속으로 출마하여 42.36%의 득표율로 당선,[27] 6선 의원이 되었다. 이인제는 소신보다는 이해관계에 따라 당적을 옮긴다는 비판을 받으며 '철새 정치인'으로 알려졌으나, 정치적 위기를 겪으면서도 기사회생하는 모습을 보여 '''피닉제'''(불사조 피닉스와 이인제의 합성어[28])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29] 제19대 총선에서 자유선진당은 5석만을 획득하여 존립을 위협받았고, 이인제는 비상대책위원회를 이끌었다. 국민생각 등 외부 인사 영입을 시도했으나, 사당화(私黨化)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회창 전 대표와 그를 따르던 당원 상당수가 탈당하였고, 이인제는 자유선진당의 당명 개정을 추진, 선진통일당으로 당명을 바꾸었다. 전당대회에서 이회창 전 대표와 가까운 황인자 후보를 제치고 당 대표가 되었다.[30]
2012년 10월 25일 선진통일당이 새누리당과 합당하면서, 신한국당을 탈당한 지 15년 만에 새누리당으로 복귀했다. 18대 대선에는 불출마하였다.
2014년 7월 14일 새누리당 전당대회를 통해 최고위원에 선출되어[31] 새누리당 지도부에 입성하였다.[2] 그러나 2016년 4월 13일 20대 총선에서 42.6%를 득표하여 43.6%를 득표한 더불어민주당 김종민 후보에게 패하여 낙선했다. 이인제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하여 "주민의 뜻을 하늘의 뜻으로 알고 겸허히 받아들입니다. 고장과 나라를 위해 변함 없는 열정으로 일하겠습니다." 라며 결과에 승복하였다.[32]
5. 정치적 성향 및 평가
이인제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 반대 시위에 참여하여 "이런 식으로 대통령을 몰아내면 앞으로 우리나라 헌정 질서가 제대로 굴러가겠느냐"며 탄핵에 반대했다.[33] 19대 대선 자유한국당 경선에 출마했으나 홍준표, 김진태 후보에 이어 3위를 기록했고,[34] 제7회 지선 충청남도지사 선거에도 출마했으나 양승조 후보에게 패배했다.
2015년에는 "과거의 침략전쟁과 식민지 지배에 대해 일본이 사과하고 조치하는 것이 실제로 한국에 어떤 큰 이익을 가져다주는가. 외교의 절대적 목표는 국가 이익이다."라고 말해 논란이 되었다.[13]
5. 1. 잦은 당적 변경
이인제는 잦은 당적 변경으로 유명하다. 다음은 그의 당적 변경 이력을 정리한 표이다.소속 정당 | 소속 기간 | 비고 |
---|---|---|
통일민주당 | 1987년 ~ 1990년 | 정계 입문 |
민주자유당 | 1990년 ~ 1995년 | 합당 |
신한국당 | 1995년 ~ 1997년 | 당명 변경 |
무소속 | 1997년 | 탈당 |
국민신당 | 1997년 ~ 1998년 | 창당 |
새정치국민회의 | 1998년 ~ 2000년 | 합당 |
새천년민주당 | 2000년 ~ 2002년 | 창당 |
무소속 | 2002년 | 탈당 |
자유민주연합 | 2002년 ~ 2005년 | 입당 |
무소속 | 2005년 ~ 2006년 | 탈당 |
국민중심당 | 2006년 ~ 2007년 | 입당 |
무소속 | 2007년 | 탈당 |
민주당 | 2007년 ~ 2008년 | 입당 |
통합민주당 | 2008년 | 합당 |
무소속 | 2008년 ~ 2011년 | 탈당 |
자유선진당 | 2011년 ~ 2012년 | 입당 |
선진통일당 | 2012년 | 당명 변경 |
새누리당 | 2012년 ~ 2017년 | 합당 |
자유한국당 | 2017년 ~ 2020년 | 당명 변경 |
미래통합당 | 2020년 | 합당 |
국민의힘 | 2020년 ~ 현재 | 당명 변경 |
이처럼 잦은 당적 변경과 여러 번의 대선 패배에도 불구하고, 그는 여섯 번이나 국회의원에 당선되는 등 정치 경력을 이어왔다. 이러한 이력 때문에 그는 '피닉제'(불사조를 뜻하는 '피닉스'와 그의 성 '이'를 합쳐 만든 별명)라는 별명을 얻었다.[3][4]
5. 2. 1997년 대선 경선 불복과 영향
제15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를 선언한 이인제는 신한국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 참가하였다. 초반에는 이회창이 압도적 우세를 보였으나, 중반 이후 이인제가 급부상하면서 갈등이 커졌다. 1차 투표에서 14.7%를 얻어 2위를 기록, 결선 투표에 진출하였으나 이회창에게 패배하였다.경선 결과에 불복한 이인제는 1997년 9월 13일 신한국당을 탈당하고 국민신당을 창당하여 대선에 출마했다. 그는 탈당 이유로 '세대교체만이 30년 낡고 병든 3김 정치구조를 청산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으나, 실제로는 경선 과정에서 생긴 앙금과 이회창 아들의 병역 문제로 인한 지지율 하락이 크게 작용했다. 이로 인해 보수 세력은 분열되었다.
이인제는 대선에서 "젊은 한국, 강한 나라"를 슬로건으로 내세웠으며, 전두환, 노태우 사면 복권을 공약으로 내세워 논란을 빚기도 했다. 이는 당시 이회창, 김대중 후보도 같은 공약을 내세운 점을 통해 당시의 낮은 정치 상황을 보여준다.
대선은 이회창, 김대중, 이인제의 3자 구도로 진행되었다. 이회창은 아들 병역 문제와 이인제의 탈당으로 3위로 밀려났고, 김대중이 1위를, 이인제가 2위를 달리게 되었다. 신한국당은 김대중의 비자금 의혹을 폭로하며 반격을 시도했으나, 경제 위기 등의 상황으로 수사는 대선 이후로 미뤄졌다.
이후 이회창은 김영삼을 당에서 추방하고 한나라당을 창당하며 영남 지역 지지 기반을 다지는 전략으로 다시 2위를 탈환했고, 이인제는 3위로 밀려났다. 결국 1997년 대선에서 이인제는 19.2%의 득표율로 3위를 기록하며 낙선했고, 김대중이 이회창을 근소한 차이로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5. 3. 독도 방문
이인제는 1997년 대통령 선거 당시 대통령 후보로서는 처음으로 독도를 방문하여 독도 영유권에 대한 정부의 미온적인 대응을 비판했다.[35][36][37]6.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88년 | 총선 | 통일민주당 | 29,325표 (32.59%) | 1위 | 당선 | 초선 |
1992년 | 총선 | 민주자유당 | 39,232표 (35.82%) | 1위 | 당선 | 재선 |
1995년 | 지방 선거 | 민주자유당 | 1,264,914표 (40.56%) | 1위 | 당선 | 초선, 민선 1기 |
1997년 | 대선 | 국민신당 | 4,925,591표 (19.20%) | 3위 | 낙선 | 낙선 |
2000년 | 총선 | 새천년민주당 | 66,957표 (65.37%) | 1위 | 당선 | 3선 |
2004년 | 총선 | 자유민주연합 | 42,242표 (44.85%) | 1위 | 당선 | 4선 |
2007년 | 대선 | 민주당2000 | 160,708표 (0.68%) | 6위 | 낙선 | 낙선 |
2008년 | 총선 | 무소속 | 23,595표 (27.67%) | 1위 | 당선 | 5선 |
2012년 | 총선 | 자유선진당 | 40,076표 (42.36%) | 1위 | 당선 | 6선 |
2016년 | 총선 | 새누리당 | 44,165표 (42.55%) | 2위 | 낙선 | 낙선 |
2018년 | 지방 선거 | 자유한국당 | 345,577표 (35.10%) | 2위 | 낙선 | 낙선, 민선 7기 |
참조
[1]
웹사이트
이인제 Lee In-je
http://people.search[...]
[2]
뉴스
불사조 이인제, 화려한 복귀 이인제, 새누리당 최고의원
http://www.ytn.co.kr[...]
YTN
2014-07-06
[3]
뉴스
16th change of affiliating party, how was the past of 'Pheonikje' Lee In-je?
http://news.heraldco[...]
2017-03-26
[4]
뉴스
Phoenije, Rhee In Je can be elected once again? 7 times
http://www.mt.co.kr/[...]
2016-04-13
[5]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11
[6]
뉴스
이인제, 국중당 탈당…민주당 다시 입당(李仁済、国中党脱党・・・民主党再び入党)
http://news.khan.co.[...]
2014-07-15
[7]
뉴스
자유선진당-국민중심연합, 통합작업 마무리(自由先進党-国民中心連合、統合作業仕上げ)
http://www.ytn.co.kr[...]
2012-01-29
[8]
뉴스
선진당 지도부 사퇴..이인제 비대위원장 체제로(先進党指導部辞退・・李仁済非対委員長体制へ)
http://www.yonhapnew[...]
2012-04-19
[9]
뉴스
통일당 초대 대표에 이인제..험로 예고(統一党初代代表に李仁済。。険路予告)
http://www.yonhapnew[...]
2012-05-29
[10]
뉴스
セヌリ党と先進統一党 合併を公式宣言
http://rki.kbs.co.kr[...]
2012-10-28
[11]
뉴스
セヌリ党新代表に非主流派の座長 金武星氏
http://world.kbs.co.[...]
2014-07-15
[12]
웹사이트
2018地方選挙開票結果(KBS)
http://2018vote.kbs.[...]
[13]
뉴스
韓国与党最高委員「日本の謝罪が韓国に何の利益になるのか…戦略的柔軟性を発揮すべき」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日本語版
2015-04-23
[14]
뉴스
이인제 새누리당 최고위원, 고래심줄 같은 정치이력 조명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15-09-24
[15]
뉴스
불사조 이인제, 화려한 복귀 <이인제, 새누리당 최고위원>
http://www.ytn.co.kr[...]
YTN
[16]
뉴스인용
[인터뷰]임수복 경기지사 직무대리
http://news.joins.co[...]
2017-10-23
[17]
웹인용
15대 대통령 선거(Ⅱ)~역대 대통령선거 캠페인 평가
http://www.polinews.[...]
2013-07-28
[18]
뉴스
97대선 국민신당 이인제 후보, 경남,부산 유세,집권후 정계
http://imnews.imbc.c[...]
mbc
1997-12-15
[19]
뉴스
이인제 pk다지기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7-12-16
[20]
뉴스
빠른 시일 내에 전노씨 사면, 이인제 후보 기자회견서 밝혀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12-16
[21]
뉴스인용
盧당선자 대선장정 1년7개월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10-04-22
[22]
뉴스인용
이인제 "당이 자존심을 구석에 처박아" 5번째 탈당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08-03-18
[23]
뉴스
<화제의 당선자>기사회생한 이인제...주민들 '미워도 다시 한번'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8-04-10
[24]
뉴스
공천탈락 이인제 다섯 번째 탈당
https://news.naver.c[...]
세계일보
2008-03-18
[25]
뉴스
선진당-국중련 통합 마무리… 이인제 의원 입당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6]
뉴스
이회창·이인제 ‘14년 적과의 만찬’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11-09-09
[27]
웹사이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당선인당선인 명부
http://info.nec.go.k[...]
[28]
일반
[29]
뉴스
6선 달성 '불멸의 이인제', "내가 진정한 강자 피닉제다"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30]
뉴스
이인제, '선진통일당' 신임 대표 압도적 당선
http://www.moneytoda[...]
머니투데이
[31]
뉴스
(뉴스 7) 새누리당 이인제 최고위원 "선출 소감은…"
http://news.tvchosun[...]
TV조선
2014-07-16
[32]
뉴스인용
'불사조' 이인제 충격의 낙선…7선 좌절
http://www.tvreport.[...]
TV리포트
2016-04-14
[33]
뉴스인용
태극기 집회 간 김문수·이인제가 한 말은?
http://www.hani.co.k[...]
2017-02-11
[34]
뉴스인용
[속보]자유한국당 19대 대선 후보, 홍준표 확정
http://news.khan.co.[...]
2017-03-31
[35]
뉴스
시간과 싸우고 있는 각 대통령 후보들
http://imnews.imbc.c[...]
mbc
1997-11-17
[36]
뉴스
이인제 독도 첫방문"확고한 對日(대일)정책"목소리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7-11-16
[37]
뉴스
독도 간 이인제, '일 눈치보기'비난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7-11-1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통계로 보는 6·3 대선 세 가지 관찰 포인트
[인터뷰] 김경수 “중요한 건 압도적 정권교체···연합정부 구성해야”
경기지사의 대선 도전 ‘5전 5패’…이번엔 ‘저주’ 풀릴까?
김동연, 9일 인천공항서 대선 출사표…곧바로 방미 '관세 외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