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시 바우테르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시 바우테르서는 수리남의 군인으로, 1945년 수리남에서 태어났다. 그는 네덜란드 군 복무 후 수리남으로 돌아와 군사 노조 의장을 맡았다. 1980년 쿠데타를 일으켜 수리남을 통치하며 사회주의 정책을 추진했고, 1982년 12월 학살 사건의 배후로 지목되었다. 1990년에도 쿠데타를 일으켰으나 민주화 과정에서 정권을 잃었고, 이후 마약 밀매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2010년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2019년 12월 학살 혐의로 징역 20년형을 선고받았고, 2024년 12월 23일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계 수리남인 - 아론 빈터르
    아론 빈터르는 수리남 태생 네덜란드 축구 선수 및 지도자로, 중앙 미드필더와 수비형 미드필더로 유럽 명문 클럽과 네덜란드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으며, 현재는 수리남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고 있다.
  • 네덜란드계 수리남인 - 스테파노 덴스빌
    스테파노 덴스빌은 네덜란드 태생 수리남 축구 선수로, AFC 아약스 유소년팀을 거쳐 클뤼프 브뤼허, 볼로냐 FC 1909를 거쳐 현재 트라브존스포르에서 수비수로 뛰며, 네덜란드 유소년 국가대표팀을 거쳤으나 수리남 국가대표팀으로 국적을 변경하여 에레디비시, 벨기에 프로 리그, 쉬페르리그에서 우승한 경력이 있다.
  • 네덜란드계 수리남인 - 리드헤시아노 합스
    네덜란드 출신 수리남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인 리드헤시아노 합스는 레프트백으로 AZ 알크마르,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베네치아 FC 등에서 활약했으며, 2021년 수리남 국가대표로 데뷔하여 현재 제노아 CFC로 임대 이적했다.
데시 바우테르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데시 바우테르세 공식 초상화, 2010년
공식 초상화, 2010년
이름데시 보우테르세
본명데시레 델라노 보우테르세
출생일1945년 10월 13일
출생지돔부르크, 수리남
사망일2024년 12월 23일
사망 장소불명 (비공개)
정당국민민주당
배우자인그리드 피게이라 (1970년 결혼, 이혼)
인그리드 발드링 (1990년 결혼)
자녀3명 (디노 보우테르세 포함)
직책
부통령로베르트 아메랄리 (2010–2015)
아슈윈 아딘 (2015–2020)
임기 시작2010년 8월 12일
임기 종료2020년 7월 16일
전임 대통령로날트 베네티안
후임 대통령찬 산토키
남아메리카 국가 연합
임기 시작2013년 8월 30일
임기 종료2014년 12월 4일
전임 의장오얀타 우말라
후임 의장호세 무히카
정당
임기 시작1987년 7월 4일
임기 종료2024년 7월 13일
전임 의장'당 창립'
후임 의장제니퍼 게를링스-시몬스
군사
대통령요한 페리에
헨크 친 아 센
프레드 람다트 미시에르
임기 시작1980년 2월 25일
임기 종료1987년 11월 27일
전임 의장'직책 신설'
후임 의장'직책 폐지'
기타
로마자 표기Desiré Delano Dési Bouterse
1982년 정치 반대파 살해 사건20년 징역형 선고 BBC News AP News

2.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데시 바우테르서는 1945년 10월 13일, 당시 네덜란드의 식민지였던 수리남 와니카의 돔부르크에서 태어났다.[13][14] 젊은 시절 네덜란드로 이주하여 네덜란드군에서 복무하며 부사관 훈련을 받았다.[14][15][16] 1975년 수리남이 네덜란드로부터 독립하자 귀국하여 수리남 군대 창설에 기여하고자 했으며, 1979년에는 동료 군인들의 요청으로 새로운 수리남 군사 노조(BoMiKa) 의장직을 맡았다. 그의 초기 군 경력은 이후 수리남 현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발판이 되었다.

2. 1. 출생 및 성장 배경

바우테르세는 1945년 10월 13일, 당시 네덜란드의 식민지였던 수리남 와니카의 돔부르크에서 태어났다. 그는 아메리카 원주민, 아프로-수리남인, 네덜란드계 수리남인, 프랑스인, 중국계 수리남인 혈통이 섞인 다민족 가정에서 성장했다.[13][14] 어린 시절 돔부르크에서 수도 파라마리보로 이주하여 고모 손에 자랐으며, 성 요제프 학교(기숙학교)와 중등 일반 교육과정과 유사한 Middelbare Handelsschoolnld에 다녔으나 졸업하지는 못했다.[14][15]

1968년 네덜란드로 건너가 네덜란드군(Nederlandse Krijgsmachtnld)에 징집되었다. 군 복무 후 베르트의 네덜란드 왕립 육군사관학교에서 부사관 훈련을 받았다. 이 시기 그는 운동선수로도 두각을 나타내 농구팀 주장을 맡기도 했다.[16]

1970년, 수리남에서 십대 시절 알고 지낸 인그리드 피게이라와 결혼하여 딸 페기와 아들 디노를 두었다. 결혼 후에는 독일 제도르프에 있는 네덜란드 군 기지에 배속되어 근무했다.[16]

1975년 11월 11일, 수리남이 네덜란드로부터 독립하자 바우테르세는 가족과 함께 수리남으로 돌아왔다. 그는 새로 창설될 수리남 군대에 기여하고자 했으며, 1979년에는 로이 호르브의 요청을 받아들여 새로운 수리남 군사 노조(Bond voor Militair Kader|BoMiKanld)의 의장직을 수락했다.

2. 2. 네덜란드 군 복무

1968년 바우테르서네덜란드로 이주하여 네덜란드군(Nederlandse Krijgsmachtnl)에 징집되었다.[14][15] 군 복무를 마친 후에는 베르트에 있는 네덜란드 왕립 육군사관학교에서 부사관 훈련을 받았다. 이 시기 바우테르서는 운동 실력이 뛰어나 농구팀 주장을 맡기도 했다.[16]

1970년, 그는 수리남에서 십대 시절부터 알고 지낸 인그리드 피게이라와 결혼하여 페기와 디노 두 자녀를 두었다. 결혼 후에는 독일 제도르프에 위치한 네덜란드 군 기지에 배치되어 근무했다.[16]

1975년 11월 11일, 수리남이 네덜란드로부터 독립하자 바우테르서는 가족과 함께 수리남으로 돌아왔다. 그는 새로 창설될 수리남 군대에 기여하고자 했으며, 1979년에는 로이 호르브의 요청을 받아 새로운 수리남 군사 노조(BoMiKa; Bond voor Militair Kadernl)의 의장직을 맡았다.

2. 3. 수리남 귀국 및 군 경력

1968년 네덜란드로 이주하여 네덜란드군(Nederlandse Krijgsmacht)에 징집되었다. 군 복무를 마친 후 베르트의 네덜란드 왕립 육군사관학교에서 부사관 훈련을 받았다. 이 기간 동안 바우테르서는 운동선수로 명성을 얻었고, 농구팀 주장으로 선출되기도 했다.[16] 1970년 결혼 후에는 독일 제도르프에 있는 네덜란드 군 기지에 배속되었다.[16]

1975년 11월 11일, 수리남이 네덜란드로부터 독립하자 가족과 함께 수리남으로 돌아왔다. 그는 수리남 군대 설립에 기여하고자 했다. 1979년 바우테르서는 로이 호르브의 요청을 받아 새로운 수리남 군사 노조(BoMiKa 노조; ''Bond voor Militair Kader'') 의장직을 수락했다.

1980년, 육군 상등병조 시절 동료 군인들과 함께 군부 쿠데타를 주도하여 정권을 장악했다. 정권 장악 후 수리남의 사회주의화를 추진하며 소련, 쿠바와 친밀한 관계를 맺었다. 초기에 네덜란드의 원조는 지속되었으나, 1982년 반대파 지도자 처형 사건으로 네덜란드는 원조를 중단했다. 1986년에는 보스네거(아프리카계 도망 노예의 후손)의 반란으로 인한 내전이 발발하여 국내는 황폐해졌다. 1987년 11월 총선에서 군부가 패배하자, 1988년 신헌법에 따라 잔카르 대통령이 선출되고 수리남은 민정 복귀를 이루었다. 이로써 군정은 종식되었고, 바우테르서는 정계에서 일시적으로 물러났다.

네덜란드가 다시 원조를 재개했지만, 1990년에 바우테르서는 다시 군사 쿠데타를 일으켰다. 쿠데타로 인해 네덜란드는 다시 원조를 중단했고, 잔카르 대통령은 사퇴했다. 1991년 총선에서는 베네티안 대통령이 선출되었고, 바우테르세는 다시 정권을 잃었으며, 수리남은 미국, 네덜란드와의 관계를 회복했다. 1992년에는 네덜란드의 인도적 지원이 재개되었고, 바우테르세는 군 사령관직에서 사임했다.

3. 1980년 군사 쿠데타와 군사 정권

1980년 2월 25일, 데시 바우테르서는 동료 하사관들과 함께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헨크 아론 정부를 전복시키고 수리남의 정권을 장악했다. 쿠데타 직후 그는 수리남 국가군사평의회 의장이 되어 사실상의 국가 원수가 되었으며, 1988년까지 명목상의 대통령을 내세워 실권을 행사했다.

초기 군사 정권은 부패 척결과 질서 회복을 명분으로 내세워 일부 지지를 얻었으나[17], 실제 통치는 야간 통행금지, 언론 자유 제한, 정당 활동 금지 등 강압적인 방식으로 이어졌다. 특히 1982년에는 15명의 반체제 인사를 살해한 12월 학살 사건을 일으키는 등 정적에 대한 탄압과 즉결처형이 자행되었다.[18] 이러한 인권 탄압으로 인해 네덜란드수리남에 대한 개발 원조를 중단했고, 주요 수출품인 보크사이트 가격 하락과 맞물려 수리남 경제는 심각한 위기에 빠졌다.[17]

바우테르서 정권은 소련, 쿠바, 북한 등과 관계를 맺기도 했으나, 1983년 미국의 그레나다 침공 이후 미국의 개입을 우려하여 쿠바 외교관을 추방하는 등 불안정한 외교 관계를 보였다.[17] 1986년부터는 로니 브런스위크가 이끄는 내전이 발발하여 국내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계속되는 경제난과 내전 속에서 치러진 1987년 총선에서 군부 세력이 패배했고, 결국 1988년 민간 정부가 출범하면서 8년간의 군사 정권은 막을 내렸다.

3. 1. 쿠데타 주도 및 정권 장악

1985년 국군 사령관 시절의 데시 바우테르서


1980년 2월 25일, 당시 육군 상등병조였던 데시 바우테르서는 에르윈 호르브(Horb) 등 14명의 하사관과 함께 헨크 아론(Henck Arron) 정부를 폭력적인 군사 쿠데타로 무너뜨렸다. 이 사건은 하사관 쿠데타로 알려져 있으며, 쿠데타를 주도한 이들은 바우테르세가 이끄는 '16인 그룹'(Groep van zestiennl)이었다. 쿠데타 성공 후 바우테르서는 수리남 국가군사평의회 의장이 되어 수리남의 사실상 최고 권력자가 되었다. 1988년까지 그는 자신이 임명한 명목상의 대통령 뒤에서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했다.

군부의 정권 장악은 초기에는 부패 척결, 실업 문제 해결(당시 노동 인구의 18%가 실업 상태), 공공 질서 회복을 명분으로 내세워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역사가 로제마리인 호프테(Rosemarijn Hoefte)는 "정치적 계획은 모호했고, 쿠데타 준비 과정에서 이념적인 논의는 없었다"고 지적한다.[17] 쿠데타 당일, 바우테르세의 군인들은 수도 파라마리보의 중앙경찰서를 불태웠고, 이 건물의 잔해는 후에 '혁명 기념비'가 되었다. 수리남에서는 매년 2월 25일을 쿠데타 기념일로 기린다.

군사 독재 정권은 야간 통행금지를 시행하고 언론 자유를 억압했다. 단 하나의 신문인 ''데 와레 티이트(de Ware Tijd)''만 발행이 허용되었으나, 이마저도 심한 검열을 받았다. 1985년에는 모든 정당 활동을 금지하고 집회의 자유를 제한했다. 이 시기는 높은 수준의 정부 부패와 정적에 대한 즉결처형으로 얼룩졌다.[18] 특히 1982년 12월에는 15명의 반체제 인사를 살해한 12월 학살이 발생했으며, 이후 바우테르세는 수리남 대학교를 폐쇄했다.

바우테르세 정권은 수리남의 사회주의화를 추진하며 소련, 쿠바, 북한과 외교 관계를 수립했지만, 명확한 공산주의 이념을 따르지는 않았다. 네덜란드는 1982년 12월 학살을 계기로 수리남에 대한 개발 원조를 중단했고, 이는 수리남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다. 동시에 수리남의 주요 수출품인 보크사이트의 국제 가격 하락은 경제 위기를 더욱 심화시켰다. 정권은 군 내부와 민간에서 여러 차례 봉기 시도에 직면했다. 1983년 미국그레나다를 침공(미국의 그레나다 침공)하자, 미국의 군사 개입을 우려한 수리남 정부는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하며 쿠바 외교관들을 추방했다.[17]

1986년에는 아프리카계 도망 노예의 후손인 보스네거( Bossnegernl )의 반란으로 내전이 발발하여 국내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계속되는 경제난과 내전 속에서 1987년 11월 총선이 실시되었고, 군부 세력은 선거에서 패배했다. 결국 1988년 새로운 헌법에 따라 람세왁 샹카르(Ramsewak Shankar)가 대통령으로 선출되면서 수리남은 민정으로 복귀했고, 바우테르세는 군정 종식과 함께 일선에서 물러났다.

3. 2. 군사 독재 통치



1980년 2월 25일, 당시 육군 상사였던 데시 바우테르서(Desi Bouterse)는 에르윈 호르브(Horb) 등 14명의 하사관들과 함께 헨크 아론(Henck Arron) 정부를 상대로 폭력적인 군사 쿠데타를 일으켰다. 이 사건은 현재 하사관 쿠데타로 알려져 있으며, 쿠데타를 주도한 이들은 부테르세가 이끄는 '16인 그룹'(Groep van zestiennl)으로 불렸다. 쿠데타 성공 후 부테르세는 수리남 국가군사평의회 의장직에 올라 수리남의 사실상 독재자가 되었다. 그는 1988년까지 자신이 임명한 명목상의 대통령 뒤에서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했다.

군부는 쿠데타의 명분으로 정부 부패 척결과 당시 노동 인구의 18%에 달했던 실업 문제 해결, 그리고 공공 질서 회복을 내세웠으며, 초기에는 광범위한 대중적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역사가 로제마리인 호프테(Rosemarijn Hoefte)는 "정치적 계획은 모호했고, 쿠데타 준비 과정에서 이념적 논의는 없었다"고 지적한다.[17] 쿠데타 당일, 부테르세의 군인들은 파라마리보 중앙경찰서를 불태웠으며, 이 건물의 잔해는 현재 '혁명 기념비'로 남아 매년 2월 25일 쿠데타를 기념하는 장소가 되었다.

군사 독재 정권 하에서 수리남 사회는 강압적인 통치를 받았다. 야간 통행금지가 시행되었고, 언론 자유는 극도로 제한되어 단 하나의 신문인 ''데 와레 티이트(de Ware Tijd)''만이 발행될 수 있었으나 이마저도 심한 검열을 거쳐야 했다. 1985년에는 모든 정당 활동이 금지되었고 집회의 자유 역시 제한되었다. 이 시기 정부 부패는 만연했으며, 정적에 대한 즉결처형이 자행되는 등 인권 유린이 심각했다.[18] 특히 1982년 12월에는 15명의 반체제 인사들을 살해한 12월 학살 사건이 발생했고, 이 사건 이후 부테르세는 수리남 대학교를 폐쇄했다.

대외적으로 부테르세 정권은 소련, 쿠바, 북한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며 사회주의 노선을 표방하는 듯했으나, 뚜렷한 공산주의적 정책을 펴지는 않았다. 네덜란드는 1982년 12월 학살에 대한 항의로 수리남에 대한 개발 원조를 중단했으며, 이는 수리남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다. 동시에 수리남의 주요 수출품인 보크사이트 가격 하락은 경제 위기를 더욱 심화시켰다. 군사 정권은 집권 기간 내내 군 내부 또는 민간 세력이 주도하는 여러 차례의 봉기에 직면했다. 1983년 미국의 그레나다 침공 이후, 미국의 군사 개입을 우려한 부테르세 정권은 쿠바 외교관들을 추방하며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하기도 했다.[17]

1986년에는 보스네거(아프리카계 도망 노예의 후손)들이 로니 브런스위크의 지도 아래 반란을 일으켜 내전이 발발했고, 이는 국내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계속되는 국내외적 압박 속에서 1987년 11월 총선이 실시되었고, 이 선거에서 군부 세력은 패배했다. 결국 1988년 새로운 헌법이 채택되었고, 람세왁 산카르가 대통령으로 선출되면서 수리남은 민정으로 복귀했다. 이로써 부테르세의 8년간의 군사 독재 통치는 막을 내렸고, 그는 잠시 권력의 중심에서 물러났다.

3. 3. 외교 관계

1980년 쿠데타 이후 데시 바우테르서 정권은 수리남의 사회주의화를 추진하며 소련, 쿠바, 북한과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17] 초기에는 옛 식민 모국인 네덜란드의 원조가 계속되었으나, 1982년 12월 반대파 지도자 15명을 처형한 12월 학살 사건 이후 네덜란드는 개발 원조를 중단했다. 이는 수리남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으며, 주요 수출품인 보크사이트 가격 하락과 맞물려 경제 위기를 심화시켰다.[17]

1983년 미국이 사회주의 정권이 들어선 그레나다를 침공(미국의 그레나다 침공)하자, 수리남은 미국의 군사 개입을 우려하여 쿠바와의 관계를 멀리하고 외교관들을 추방했으며,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시도했다.[17]

1987년 총선에서 군부가 패배하고 1988년 민정으로 복귀하면서 네덜란드는 원조를 재개했다. 그러나 1990년 바우테르서가 다시 군사 쿠데타를 일으키자 네덜란드는 원조를 즉각 중단했다. 1991년 총선을 통해 베네티안 대통령이 선출되어 다시 민정으로 복귀하자, 수리남은 미국네덜란드와의 관계를 회복했으며, 1992년 네덜란드는 인도적 지원을 재개했다.

4. 12월 학살

1980년 쿠데타로 집권한 데시 바우테르서의 군사 독재 시절인 1982년 12월 7일과 8일, 정권을 비판하거나 이전 쿠데타 시도와 관련되었다고 여겨진 수리남의 저명인사 15명이 파라마리보의 제엘란디아 요새(당시 바우테르세의 본부)로 끌려가 고문당하고 총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12월 학살'로 알려져 있다.[19]

당시 바우테르세는 국영 방송 STVS를 통해 이들이 요새에서 탈출하려다 사살되었다고 발표했으나,[19] 이는 사건의 진상을 은폐하려는 시도로 여겨진다. 희생자들은 변호사, 언론인, 노조 지도자, 교수, 군인 등 다양한 분야의 인사들이었으며, 이 학살은 수리남 현대사에서 인권 탄압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바우테르세는 이후 오랫동안 학살에 대한 직접적인 책임을 부인했으나,[20] 결국 수십 년이 지난 후에야 법적 처벌을 받게 되었다.[74]

4. 1. 학살 배경 및 발생

1980년 육군 상사였던 데시 바우테르서는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고 군사 독재 체제를 수립했다. 이러한 군사 정권 시기인 1982년 12월 7일과 8일, 바우테르세 정권을 비판하거나 1982년 3월 쿠데타 시도와 관련되었다고 여겨진 수리남의 저명인사 15명이 파라마리보의 제엘란디아 요새(당시 바우테르세의 본부)로 끌려가 고문당한 뒤 총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12월 학살'로 알려져 있다.

학살된 15명의 희생자는 다음과 같다.

이름직업
존 바보에람변호사
브람 베어언론인
시릴 달노조 지도자
케네스 곤살베스변호사
에디 후스트변호사
앙드레 캄퍼베인언론인, 사업가
제라드 레키대학교수
수그림 옴라우싱과학자
레슬리 라흐만언론인
수렌드레 람보쿠스군인
해럴드 리데왈드변호사
지완싱 시오엠바르군인
요제프 슬라그베어언론인
로비 소한싱사업가
프랭크 빙가르데언론인 (네덜란드 시민권자)



사건 발생 직후인 1982년 12월 10일, 바우테르세는 국영 방송 STVS를 통해 "정부 전복을 모의하여 체포된 용의자 15명이 제엘란디아 요새에서 탈출을 시도하다 사살되었다"고 발표했다.[19] 그러나 수년 뒤 바우테르세는 자신이 학살 현장에 없었다고 주장했으며, 2000년에는 학살 결정이 1996년에 사망한 대대장 폴 바그완다스에 의해 내려졌다고 책임을 전가했다. 바우테르세는 지도자로서 정치적 책임은 인정했지만, 여전히 학살에 직접적으로 연루된 사실은 부인했다.[20] 이 학살 사건으로 인해 네덜란드는 수리남에 대한 원조를 중단했다.

12월 학살에 대한 재판은 사건 발생 후 오랜 시간이 지난 2007년 11월 30일에야 수리남에서 시작되었다. 기소된 25명의 용의자 중 바우테르세가 핵심 인물이었지만, 그는 재판이 시작된 이후 법정에 출석하지 않았다. 2009년 알자지라와의 인터뷰에서 바우테르세는 이 재판이 자신의 정치적 반대파가 정치적 이득을 위해 자신을 무력화하려는 시도라고 주장했다. 2012년 4월, 재판 판결이 예상되기 두 달 전, 바우테르세가 속한 정당의 안드레 미시에카바는 수리남 의회 토론에서 "12월 학살 재판은 바우테르세를 정치 무대에서 제거하기 위한 정치적 재판이므로 사면법이 필요하다"고 발언하며 사면을 시도하기도 했다.[21]

4. 2. 희생자 명단

1982년 12월 7일과 8일, 보우테르세의 군사 독재를 비판하거나 1982년 3월 11일 쿠데타 시도와 관련된 수리남의 저명한 인사 15명이 제엘란디아 요새(당시 보우테르세의 본부)로 끌려가 고문을 당하고 총살되었다. 이 사건은 12월 학살로 알려져 있다.

희생자 15명은 다음과 같다.

이름직업
존 바보에람변호사
브람 베어언론인
시릴 달노조 지도자
케네스 곤살베스변호사
에디 후스트변호사
앙드레 캄퍼베인언론인, 사업가
제라드 레키대학교수
수그림 옴라우싱과학자
레슬리 라흐만언론인
수렌드레 람보쿠스군인
해럴드 리데왈드변호사
지완싱 시오엠바르군인
요제프 슬라그베어언론인
로비 소한싱사업가
프랭크 빙가르데언론인 (네덜란드 시민권 소지)



1982년 12월 10일, 보우테르세는 STVS 방송을 통해 "12월 이후 정부 전복을 모의한 체포된 용의자 15명이 제엘란디아 요새에서 탈출을 시도하다 사살되었다"고 발표했다.[19] 수년 후 보우테르세는 자신이 학살 현장에 없었다고 진술했다. 2000년 그는 이 학살 결정이 1996년 사망한 대대장 폴 바그완다스에 의해 내려졌다고 말했다. 보우테르세는 지도자로서 정치적 책임을 인정했지만 여전히 직접적인 연루는 부인했다.[20]

12월 학살 재판은 2007년 11월 30일이 되어서야 수리남에서 시작되었다. 기소된 25명의 용의자 중 보우테르세가 주요 인물이다. 재판이 시작된 이후 보우테르세는 법정에 출석하지 않았다. 2009년 알자지라와의 인터뷰에서 보우테르세는 이 재판이 자신의 정치적 반대파가 그를 다시 출마하지 못하게 하고 정치적 이득을 위해 이용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2012년 4월, 재판 판결이 예상되기 두 달 전 보우테르세의 당원인 안드레 미시에카바는 수리남 의회 토론에서 "12월 학살 재판은 보우테르세를 정치 무대에서 제거하기 위한 정치적 재판이며 따라서 사면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21]

4. 3. 바우테르세의 입장

1982년 12월 학살 사건과 관련하여 데시 바우테르서는 여러 차례 입장을 밝혔다. 사건 직후인 1982년 12월 10일, 바우테르서는 국영 방송 STVS를 통해 체포된 반대파 인사 15명이 제엘란디아 요새에서 탈출을 시도하다가 사살되었다고 발표했다.[19] 이는 초기 정부의 공식 입장이었다.

그러나 수년이 흐른 뒤, 바우테르세는 자신의 입장을 바꾸었다. 그는 학살 당시 자신이 현장에 없었다고 주장했으며, 2000년에는 학살 결정이 당시 대대장이었던 폴 바그완다스(1996년 사망)에 의해 내려졌다고 말했다. 바우테르세는 국가 지도자로서 정치적 책임은 인정했지만, 학살에 직접적으로 연루되지는 않았다고 계속해서 부인했다.[20]

2007년 11월 30일, 12월 학살에 대한 재판이 시작되었고 바우테르세는 25명의 피고인 중 주요 인물로 기소되었다. 그러나 그는 재판이 시작된 이후 법정에 출석하지 않았다. 2009년 알자지라와의 인터뷰에서는 이 재판이 자신의 정치적 재기를 막으려는 반대 세력의 정치적 공세라고 주장했다. 2012년 4월, 판결을 앞두고 그의 측근인 안드레 미시에카바는 수리남 의회에서 "12월 학살 재판은 바우테르세를 정치 무대에서 제거하기 위한 정치적 재판"이라며 사면법의 필요성을 주장하기도 했다.[21] 이는 바우테르세와 그의 지지자들이 12월 학살 사건의 책임을 회피하고 정치적으로 이용하려 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4. 4. 진상 규명 노력과 사면 논란

1982년 12월 7일과 8일, 바우테르서의 군사 독재를 비판하거나 1982년 3월 11일 쿠데타 시도와 관련된 수리남의 저명한 인사 15명이 제엘란디아 요새(당시 바우테르서의 본부)로 끌려가 고문당한 뒤 총살되었다. 이 사건은 12월 학살로 알려져 있다.

희생자 15명은 다음과 같다.

이름직업
존 바보에람변호사
브람 베어언론인
시릴 달노조 지도자
케네스 곤살베스변호사
에디 후스트변호사
앙드레 캄퍼베인언론인, 사업가
제라드 레키대학교수
수그림 옴라우싱과학자
레슬리 라흐만언론인
수렌드레 람보쿠스군인
해럴드 리데왈드변호사
지완싱 시오엠바르군인
요제프 슬라그베어언론인
로비 소한싱사업가
프랭크 빙가르데언론인 (네덜란드 시민권 소지)



1982년 12월 10일, 바우테르서는 STVS 방송을 통해 "12월 이후 정부 전복을 모의한 체포된 용의자 15명이 제엘란디아 요새에서 탈출을 시도하다 사살되었다"고 발표했다.[19] 수년 후 바우테르서는 자신이 학살 현장에 없었다고 진술했으며, 2000년에는 이 학살 결정이 1996년 사망한 대대장 폴 바그완다스에 의해 내려졌다고 주장했다. 바우테르서는 지도자로서 정치적 책임을 인정했지만, 여전히 직접적인 연루는 부인했다.[20]

12월 학살 재판은 2007년 11월 30일 수리남에서 시작되었다. 기소된 25명의 용의자 중 바우테르세가 주요 인물이었으나, 그는 재판이 시작된 이후 법정에 출석하지 않았다. 2009년 알자지라와의 인터뷰에서 바우테르서는 이 재판이 자신의 정치적 반대파가 정치적 이득을 위해 자신을 출마하지 못하게 하려는 시도라고 주장했다. 2012년 4월, 재판 판결이 예상되기 두 달 전, 바우테르서의 당원인 안드레 미시에카바는 수리남 의회 토론에서 "12월 학살 재판은 바우테르서를 정치 무대에서 제거하기 위한 정치적 재판이며 따라서 사면법이 필요하다"고 발언했다.[21]

2012년 2월 1일, 군부 용의자 중 한 명인 루벤 로젠달(Ruben Rozendaal)은 자신이 심각한 신장 질환으로 시한부 선고를 받았다며, 사망 전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12월 학살 사건에 대한 진실을 밝히겠다고 발표했다.[22] 로젠달은 2010년 증언 내용을 철회하고, 군사재판은 그를 2012년 3월 23일에 다시 심문하기로 결정했다.

3월 19일, 바우테르서의 정당인 ''메가콤비나시(Megacombinatie)'' 소속 의원 5명과 ''페르트야하 루르(Pertjajah Luhur)'' 소속 의원 1명이 바우테르서를 포함한 12월 학살 용의자들에게 사면을 부여하는 법안을 의회에 제출했다.[23][24] 이 사면 법안은 재판의 즉각적인 종결을 의미했다.[24][25] 의회 표결은 로젠달의 증언 예정일인 3월 23일에 열릴 예정이었으나, 당일 의회 정족수 미달로 진행되지 못했다.[28] 로젠달은 이날 법정에서 바우테르서가 15명의 희생자 중 노조 지도자 사이릴 달(Cyrill Daal)과 군인 수린드레 람보쿠스(Soerindre Rambocus) 두 명을 직접 살해했다고 증언했다.[26][27]

2012년 4월 4일, 사흘간의 논쟁 끝에 의회는 찬성 28표, 반대 12표로 사면 법안을 통과시켰다. 바우테르서 연정에 참여했던 니우 수리나메(Nieuw Suriname)와 BEP 두 정당은 "수리남 사회의 상당 부분이 반대하는 법안을 지지해서는 안 된다"며 표결 직전 회의장을 떠났다.[29] 바우테르서의 당원이기도 한 제니퍼 시몬스 수리남 의회 의장은 법안에 찬성표를 던졌다.

논란이 된 이 법안은 바우테르서와 다른 24명의 용의자들에게 사면을 부여했으며, 진행 중인 12월 학살 재판의 즉각적인 중단을 가능하게 했다.[30] 2012년 4월 13일, 검찰은 주요 용의자 바우테르세를 포함한 5명의 용의자에 대한 구형을 진행했다. 그의 변호사 어윈 칸하이(Irwin Kanhai)는 사면 법안으로 재판이 무효화될 것을 요청했다. 2012년 5월 11일, 법원은 재판 계속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31]

용의자 중 에드가 릿펠드(Edgar Ritfeld)는 자신의 무죄를 증명하기 위해 재판이 계속되기를 원한다며 사면을 거부했다.[32] 루벤 로젠달과 윔 카비에르(Wim Carbiere) 역시 재판 계속을 요청했다.[33]

2012년 4월 10일 수리남 파라마리보에서 수천 명이 사면 법안에 반대하는 침묵 시위를 벌임


사면 법안은 국내외적으로 큰 반발을 샀다. 유엔, 휴먼 라이츠 워치, 국제앰네스티, 국경없는기자회 및 미주인권위원회와 같은 국제 단체들은 이 법안을 비난하고 수리남 사법부에 재판 계속을 촉구했다.[19][34][35][36][37] 2012년 4월 19일, 휴먼 라이츠 워치는 법안의 즉각적인 철회를 요구했다.[36]

사면법 통과 후, 네덜란드는 수리남에 대한 2000만유로 규모의 원조를 즉각 중단했다.[38] 이에 대해 바우테르서 대통령은 "나는 당신들에게 2천만 유로를 요청한 적이 없다. 우리는 거의 8억 달러의 경제적 준비금을 가지고 있다"며 무관심한 태도를 보였다.[39] 네덜란드 노동당과 당시 집권당이었던 자유민주인민당은 이 제재가 불충분하다며 경제 제재 강화, 수리남 대사 추방(당시 대사는 사면법 찬성 의원 Rashied Doekhi의 딸이었다), 사면법 찬성 의원들의 유럽 여행 금지 등 추가 처벌을 요구했으나, 네덜란드 외무장관 Uri Rosenthal은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40] 2012년 4월 8일, 네덜란드 총리 Mark Rutte는 재판 중 용의자들에게 사면이 부여된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비판했다.[41]

2019년 11월 29일, 수리남 군사 법정은 1982년 정적 15명을 불법적으로 처형한 혐의(12월 학살)로 당시 중국을 공식 방문 중이던 바우테르서에게 징역 20년의 유죄 판결을 내렸다.[74]

4. 5. 2019년 유죄 판결 및 도주

2019년 11월 29일, 수리남 군사 법원은 데시 바우테르서가 1982년 12월 학살 당시 정적 15명을 살해한 혐의에 대해 징역 20년을 선고했다.[42][74] 당시 보우테르서는 대통령 자격으로 중국을 공식 방문 중이었다.[74] 이 학살은 1982년 12월 7일과 8일, 보우테르서의 군사 독재를 비판하던 인사들이 제엘란디아 요새에서 고문 및 살해당한 사건이다.

보우테르서는 2020년 1월 22일, 군복 차림으로 법원에 출두하여 판결에 항소했다.[43] 그러나 2023년 12월 20일, 수리남 대법원은 보우테르서의 유죄 판결을 최종 확정했다.[44][45][46] 유죄 확정에도 불구하고 보우테르서는 현직 대통령인 찬 산토키에게 사면을 요청할 가능성이 있었다. 산토키는 과거 경찰서장 및 사법부 장관으로서 12월 학살 사건 수사를 주도했던 인물이다.[44][45][46]

2024년 1월 8일, 보우테르서는 유죄 판결에 대해 다시 항소를 제기했으나 다음 날 검찰총장에 의해 기각되었다.[47] 형 집행을 위해 1월 12일까지 교도소에 자진 출두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보우테르서는 이에 불응하고 잠적했다. 당국은 즉시 그에 대한 체포 작전을 시작했다.[47]

이후 보우테르서는 도주 생활을 이어가다가, 2024년 12월 23일 은신처에서 병으로 사망했다. 향년 79세였다.[76][77] 그의 사망 장소는 공개되지 않았다.[78]

5. 모이와나 학살

수리남 내전(1986년-1990년) 중 데시 바우테르서가 이끄는 군사 정권에 의해 자행된 대표적인 민간인 학살 사건이다. 1986년 11월 29일, 수리남 국군 병사들이 로니 브룬스베이크의 고향인 모이와나 마을을 공격하여 최소 39명의 주민을 살해했다. 희생자 대부분은 여성과 어린이였다.[19][48] 이 사건은 바우테르서 정권의 인권 탄압 실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꼽힌다.

자세한 내용은 '''모이와나 학살''' 문서를 참고하라.

5. 1. 학살 발생

모이와나 학살 희생자들


모이와나는 수리남 동부 마로위네 지구에 있는 마룬족(Maroon) 마을이다.

수리남 내전(1986년-1990년)은 데시 바우테르서가 이끄는 수리남 군사 정권과 바우테르세의 전 경호원인 로니 브룬스베이크(Ronnie Brunswijk)가 이끄는 수리남 해방군(Jungle Commando) 사이에서 벌어졌다. 1986년 11월 29일, 수리남 국군 병사들은 브룬스베이크의 고향인 모이와나 마을 주민 최소 39명을 학살했는데, 대부분 여성과 어린이들이었다. 병사들은 브룬스베이크의 집을 포함한 마을 주택들을 불태웠고, 살아남은 주민 수백 명은 다른 내륙 주민들과 함께 마로니 강(Marowijne River)을 건너 이웃 프랑스령 기아나로 피난했다.[19][48]

인권 단체 '모이와나 86(Moiwana '86)'은 이 학살 사건의 진상 규명과 정의 구현을 위해 활동하며 군 장교들과 정부의 책임을 묻고 있다.

그러나 사건 수사는 순탄치 않았다. 1990년 8월, 학살 사건을 수사하던 경찰 수사관 허먼 구딩(Herman Gooding)이 암살당했다. 그는 제일란디아 요새(Fort Zeelandia) 근처에서 차에서 강제로 끌려나와 머리에 총을 맞았으며, 그의 시신은 데시 바우테르세의 사무실 밖에 버려졌다. 이 사건 이후 다른 경찰 수사관들은 안전을 우려해 해외로 도피했고, 이는 수사 진행을 더욱 지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수리남 정부는 학살 사건과 허먼 구딩 살해 사건에 대한 수사를 계속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잠재적 증인들이 이사를 갔거나 사망했거나 협조적이지 않다는 이유를 들며 실질적인 진전을 보이지 못했다.

2005년 8월, 미주인권재판소(Inter-American Court of Human Rights)는 수리남 정부에 학살 생존자 130명에게 300만달러의 보상금을 지급하고, 모이와나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해 120만달러의 기금을 조성하라고 명령했다.[49] 또한 재판소는 학살 책임자들이 기소되고 처벌받아야 한다고 판결했지만,[50] 바우테르세 정부를 포함한 역대 수리남 정부는 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

5. 2. 진상 규명 노력과 국제사회의 대응



모이와나 학살 이후, 인권 단체 '모이와나 86(Moiwana '86)'은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고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활동을 시작했다. 이 단체는 학살에 대한 책임이 당시 군 장교들과 정부에게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진상 규명 노력은 순탄치 않았다. 1990년 8월, 학살 사건을 수사하던 경찰 수사관 허먼 구딩(Herman Gooding)이 암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그는 제일란디아 요새 근처에서 차에서 강제로 끌려나와 머리에 총을 맞았으며, 그의 시신은 당시 실권자였던 데시 바우테르서의 사무실 밖에 버려졌다. 이 사건으로 다른 경찰 수사관들은 신변의 위협을 느껴 해외로 도피했고, 이는 학살 사건 수사를 더욱 지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수리남 정부는 학살 사건과 허먼 구딩 암살 사건에 대한 수사를 계속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으나, 잠재적 증인들이 이사를 갔거나 사망했거나 수사에 협조적이지 않다는 이유를 들며 실질적인 진전을 보이지 못했다.

국제사회도 이 문제에 주목했다. 2005년 8월, 미주인권재판소는 수리남 정부에 학살 생존자 130명에게 300만달러의 보상금을 지급하고, 모이와나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해 120만달러 규모의 기금을 조성하라고 명령했다.[49] 또한 재판소는 학살 책임자들이 기소되고 처벌받아야 한다고 판결했다.[50] 하지만 데시 바우테르서 정부를 포함한 역대 수리남 정부는 이러한 판결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아 책임자 처벌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6. 민주화 이행과 이후 정치 활동

1987년 수리남의 민정 이양 이후에도 데시 바우테르서는 군부의 실권자로서 정치에 계속 개입했으며, 1990년에는 '전화 쿠데타'를 통해 민선 정부를 전복시키기도 했다.[51] 그러나 국내외의 압력으로 민정이 복귀하면서 군 사령관직에서 물러났다.[18]

이후 그는 국민민주당(NDP)을 이끌며 정계에서 활동을 이어갔고, 2010년 총선과 2015년 총선에서 승리하여 두 차례 대통령직을 역임했다.[56][58] 그의 집권기에는 사회 복지 정책 확대 등의 성과도 있었으나,[57] 과거 군사 정권 시절의 인권 탄압 문제와 마약 밀매 연루 의혹 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특히 1982년 반체제 인사 학살 사건과 관련하여 2019년 궐석재판에서 징역 20년형을 선고받았다.[74]

2020년 총선에서 패배한 후 정계 은퇴를 선언했으며,[75][62] 학살 사건에 대한 항소심에서도 유죄가 확정되자 도피 생활을 하던 중 2024년 12월 사망했다.[76][77]

6. 1. 민주화 과정

1985년 후반, 수리남 정부는 야당에 대한 금지를 해제하며 민정 이양 절차를 시작했다. 새로운 헌법은 1987년 9월 30일 국민투표에서 압도적인 지지로 승인되었고, 두 달 뒤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이 선거 결과, 바우테르세의 반대파였던 람세와크 샹카르가 1988년 1월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18] 같은 해 신헌법이 발효되면서 수리남은 공식적으로 민정으로 복귀했고, 군정은 종식되었다.

그러나 바우테르세는 육군 사령관으로서 여전히 상당한 권력을 유지했다. 그는 정부가 로니 브런스위크가 이끄는 반군 단체 정글 코만도와 협상하려는 시도를 여러 차례 방해했으며, 이 시기 바우테르세에 반대하는 많은 인물들이 살해되거나 실종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상황은 1990년, 바우테르세가 가나스위스로 개인적인 여행을 마치고 수리남으로 돌아오던 중 스키폴 공항에서 잠시 구금되면서 극으로 치달았다. 당시 같은 비행기에 탑승했던 샹카르 대통령이 네덜란드 당국의 조치에 항의하지 않은 것에 분노한 바우테르세는 육군 사령관직에서 사임했다. 다음 날, 권한대행 육군 사령관이었던 이반 그라누그스트는 샹카르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사임을 강요했다. 이 사건은 '전화 쿠데타'로 알려졌으며, 모든 정황상 바우테르세가 배후에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51]쿠데타로 인해 네덜란드는 다시 원조를 중단했고, 샹카르 대통령은 결국 사퇴했다.

1년 후인 1991년, 새로운 총선이 치러져 베네티안이 대통령으로 선출되면서 국가는 다시 민정으로 복귀했다.[18] 바우테르세는 다시 정권을 잃었으며, 수리남은 미국, 네덜란드와의 관계를 회복하기 시작했다. 1992년에는 네덜란드의 인도적 지원이 재개되었고, 같은 해 바우테르세는 군 사령관직에서 물러났다.

6. 2. 1990년 '전화 쿠데타'

1987년 총선거를 통해 람세와크 샹카르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민정 이양이 이루어졌지만[18], 바우테르서는 육군 사령관으로서 여전히 강력한 권력을 유지했다. 그는 정부와 반군인 정글 코만도 간의 평화 협상을 방해했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많은 반대자들이 살해되거나 실종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1990년, 바우테르서는 가나스위스로의 개인적인 해외 방문을 마치고 수리남으로 돌아오던 중 스키폴 공항에서 네덜란드 경찰에게 잠시 구금되었다가 풀려나는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같은 비행기에 탑승했던 샹카르 대통령이 이 상황에 대해 별다른 항의를 하지 않자, 바우테르서는 이에 불만을 품고 귀국 후 육군 사령관직에서 사임했다.

그러나 바로 다음 날, 바우테르서의 측근이자 권한대행 육군 사령관으로 임명된 이반 그라누그스트는 샹카르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사임을 강요했다. 이 사건은 사실상 바우테르서가 배후에서 조종한 것으로 여겨지며, '전화 쿠데타'로 불리게 되었다.[51] 이 쿠데타로 인해 네덜란드는 수리남에 대한 경제 원조를 다시 중단했다.

쿠데타 발생 1년 후인 1991년에 새로운 총선이 실시되었고, 베네티안이 대통령으로 선출되면서 수리남은 다시 민정으로 복귀했다.[18]

6. 3. 대통령 당선 (2010-2020)

민주 정부 시기가 지나간 후, 데시 바우테르서는 선거를 통해 여러 차례 권력 복귀를 시도했다. 2010년 수리남 총선거에서 바우테르서와 그의 연합인 메가 콤비네이션(''Mega Combinatie'')은 의회 51석 중 23석을 얻어 최다 의석을 차지했으나, 과반수에는 3석이 부족했다. 대통령 당선에 필요한 3분의 2의 특별 다수결을 확보하기 위해, 바우테르서는 과거의 경쟁자였던 로니 브룬스비크가 이끄는 정당(7석) 및 선거 전 집권 신전선 당을 탈당한 폴 소모하르조의 인민연합당(''Volks Alliantie'', 6석)과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56]

2010년 7월 19일, 바우테르서는 국회 투표에서 51표 중 36표를 얻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같은 해 8월 12일에 공식 취임했다. 그의 러닝메이트였던 로버트 아메랄리는 수리남 부통령이 되었다.

바우테르세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수리남은 보편적 의료 서비스, 학교 무료 급식, 최저임금제 및 국가 연금 제도를 도입하는 등 사회 복지 정책을 확대했다.[57]

취임 당시 그의 내각 구성원은 다음과 같았다.

부처장관
노동, 기술 개발 & 환경마이클 미스킨
내무에드먼드 레이리스
외무윈스턴 래킨 (NDP)
국방라무르 라투르 (NDP)
재정 & 기획앤디 러슬랜드 (NDP)
무역 & 산업돈 수짓 토센드조조 (ABOP)
사법 & 경찰에드워드 벨포트 (ABOP)
농업수레쉬 알고에
천연자원짐 혹 (PALU)
교육애슈윈 아딘 (NDP)
토목 & 교통라빈 파르메사르 (NDP)
지역 개발스탠리 베터슨 (ABOP)
국토 계획, 토지 & 산림 관리스티븐 릴리벨드 (NDP)
사회복지 & 주택앨리스 아마포 (ABOP)
체육 & 청소년이스만토 아드나 (KTPI)
교통, 통신 & 관광팔리시 피나스 (ABOP)
보건미셸 블록랜드



내각 출범 이후 일부 장관이 교체되었다. 초대 국토 계획 장관 마르티누스 사스트로레조 (KTPI)는 그의 배우자가 부처 공무원의 도움으로 토지를 요구했다는 의혹으로 2010년 말 해임되었고, 같은 당 소속의 사이먼 마르토사티만으로 교체되었다. 초대 재정 및 기획 장관이었던 워니 부드호는 개인적인 이유로 사임했다.

2011년 4월 말에는 추가적인 내각 개편이 이루어져 폴 아베나 (체육 & 청소년), 마틴 미시에잔 (사법 & 경찰), 셀시우스 워터버그 (보건), 리누스 디코 (지역 개발), 그리고 사이먼 마르토사티만 (국토 계획)이 해임되었다. 레이몬드 사포엔, 마이클 미스킨, 긴마르도 크로모소토 장관은 새로운 직책에 임명되었다. 또한 두 명의 차관이 임명되었는데, 마힌더 고피는 지역 개발부 차관으로, 애비게일 리에 에이 크위는 처음에는 토목교통부 차관으로 임명되었다가 2012년 10월 농업부로 자리를 옮겼다.

바우테르세 대통령은 주요 국정 운영을 위해 4명의 최고 자문관을 두었다. 줄스 위덴보쉬는 행정 및 헌법 문제를, 에롤 알리벅스는 외교 및 국제법을, 에디 요셉존은 사회 및 교육 문제를, 그리고 앤디 러슬랜드는 국가 경제를 담당했다. 또한 바우테르세는 자신의 선거 운동원이자 토크쇼 진행자였던 클리프턴 림부르그를 대변인 겸 언론 비서로 임명했으며, 전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였던 길모어 후프드라드를 수리남 중앙은행의 신임 총재로 임명했다.

2015년 수리남 총선거에서 바우테르세가 이끄는 NDP는 26석을 확보하여 단독으로 과반수를 차지했고, 그는 2015년 7월 14일 국회에서 다른 후보 없이 무투표로 대통령에 재선되었다.[58]

2020년 수리남 총선거에서 NDP는 15석을 얻는 데 그쳐 제1당 자리를 진보개혁당 (VHP, 21석)에 내주었다.[75] 바우테르세는 2020년 6월 23일, 총선에서 당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회 의석을 수락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59] 이에 따라 NDP 명단에서 다음 순번이었던 소워르토 무스타자가 의석을 승계했다.[60] 바우테르세는 2020년 대선에 출마하지 않았으며, 7월 8일 후보 등록 마감일까지 찬 산토키 외 다른 후보가 등록하지 않아 산토키가 7월 13일 무투표로 차기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바우테르세는 2020년 7월 16일 정계 은퇴를 공식 선언했다.[62][63][64][65]

6. 4. 마약 밀매 연루 의혹

1999년 7월 16일, 바우테르서는 네덜란드에서 474kg의 코카인 밀매 혐의로 결석재판을 통해 11년 징역형을 선고받았다.[52] 그는 자신의 무죄를 주장하며, 사건의 주요 증인인 패트릭 반 룬이 네덜란드 정부로부터 뇌물을 받았다고 반박했다. 법 집행 기관은 바우테르세가 소위 "수리 카르텔"의 지도자였으며, 1980년대와 90년대 수리남브라질에서 유럽(특히 네덜란드)으로 대량의 코카인 밀매를 주도한 것으로 보고 있다.

1999년 이후 유럽폴(Europol)은 바우테르세에 대한 국제 체포 영장을 발부한 상태였다. 《마약 및 향정신성 물질 불법 거래에 관한 유엔 협약》에 따라, 그는 2010년 국가원수로 선출되기 전에 유죄 판결을 받았으므로 국제법상 기소 면책 대상이 아니라는 점이 여러 국제법 전문가들에 의해 확인되었다.[53]

2012년 4월, 바우테르세의 전 동료이자 1982년 12월 살인 사건의 용의자인 루벤 로젠달은 1980년대와 90년대 초 바우테르세가 코카인과 무기를 맞교환하는 조건으로 콜롬비아의 콜롬비아 혁명군(FARC)에 무기를 공급했다고 진술했다. 2006년 미국 대사관의 문서에서도 바우테르세와 FARC 간의 연관성이 제기된 바 있다.

바우테르세의 아들 디노 바우테르세는 2005년 수리남 법원에서 마약 밀매, 무기 밀매, 고급 차량 절도 혐의로 8년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나, 모범수로 조기 출소하였다. 이후 정부의 대테러 부서에서 고위직을 제안받기도 했다.[54]

2013년 8월 29일, 디노는 외교 여권을 소지한 채 파나마에서 미국 정부마약단속국(DEA)에 체포되어 미국으로 압송되었고 뉴욕으로 이송되었다. 그는 기소되어 2015년 3월 마약 밀수와 수리남에 헤즈볼라(Hezbollah) 기지를 설립하려 한 혐의로 16년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디노 바우테르세는 편지에서 자신에게 테러리스트 성향이 없으며 이익에만 몰두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리스와 파나마에서 헤즈볼라와 멕시코 마약 밀매 조직으로 위장한 DEA 요원들과 만나는 장면이 녹음된 정교한 국제 함정 수사 끝에 체포되었다.[55]

참조

[1] 웹사이트 According to the Statutes of the DNP written as Desiré http://www.ndp.sr/st[...] 2012-01-08
[2] 뉴스 Desi Bouterse: Suriname president gets 20 years in jail for murder https://www.bbc.com/[...] 2019-11-30
[3] 뉴스 Suriname's ex-dictator sentenced to 20 years in prison for the 1982 killings of political opponent https://apnews.com/a[...] 2023-12-20
[4] 웹사이트 Bouterse gekozen tot president Suriname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Omstreden Bouterse beëdigd als president http://www.volkskran[...]
[6] 뉴스 Court in Surinam convicts Bouterse to 20 years https://www.wpxi.com[...] 2019-11-29
[7] 웹사이트 Moiwana Village v. Suriname: A Portal into Recent Jurisprudential Developments of the Inter-American Court of Human Rights http://scholarship.l[...]
[8] 웹사이트 NOVA – detail – Nieuws – Hoge raad bevestigt veroordeling bouterse http://www.novatv.nl[...] 2012-06-09
[9] 웹사이트 Vervolging president Bouterse wél mogelijk http://archief.werel[...] 2010-07-21
[10] 웹사이트 Suriname President Bouterse sentenced to 20 years for killings https://www.aljazeer[...]
[11] 뉴스 Suriname's ex-dictator sentenced to 20 years in prison for the 1982 killings of political opponents https://apnews.com/a[...] 2023-12-20
[12] 뉴스 Former Suriname dictator missing after failing to turn himself in to prison https://www.theguard[...] 2024-01-12
[13] 웹사이트 Bouterse achterachterkleinkind van Zeeuwse boerenzoon http://www.waterkant[...]
[14] 웹사이트 Desi Bouterse is al een mythe: sportleraar, legerleider, zakenman http://vorige.nrc.nl[...] 2005-05-14
[15] 웹사이트 Suriname http://www.ibe.unesc[...] 2012-01-08
[16] 웹사이트 Desi Bouterse (1945) http://historiek.net[...] 2010-03-04
[17] 서적 Suriname in the Long Twentieth Century: Domination, Contestation, Globalization Palgrave MacMillan 2014
[18] 뉴스 Timeline: Suriname http://news.bbc.co.u[...] 2012-09-14
[19] 웹사이트 The Cutting Edge http://www.thecuttin[...]
[20] 웹사이트 Ex-Suriname head faces murder trial http://english.aljaz[...] Al Jazeera 2009-02-21
[21] 웹사이트 Misiekaba: Dit is een politiek proces http://nos.nl/video/[...] 2012-04-04
[22] 웹사이트 Parbode Surinaams opinie maandblad – Ruben Rozendaal http://parbode.com/i[...] 2012-07-14
[23] 웹사이트 Amnesty law change may end current trial http://ua.amnesty.ch[...]
[24] 웹사이트 Starnieuws – Breaking news: Amnestie voor 8 december 1982 http://www.starnieuw[...]
[25] 웹사이트 The Surinamese amnesty act is a blessing for Bouterse http://www.rnw.nl/en[...] 2012-04-15
[26] 웹사이트 Starnieuws – "Bouterse heeft Daal en Rambocus doodgeschoten" http://www.starnieuw[...]
[27] 웹사이트 'Rambocus and Daal killed by Bouterse' – witness tells Suriname hearing – Stabroek News – Georgetown, Guyana http://www.stabroekn[...] 2012-03-24
[28] 뉴스 President Bouterse works to put http://www.miamihera[...] 2012-03-22
[29] 웹사이트 BEP-fractie liep weg http://www.dbsurinam[...] 2012-04-06
[30] 웹사이트 Suriname Grants Amnesty to 'Narco-President' Bouterse http://www.insightcr[...] 2012-07-10
[31] 웹사이트 Bouterse vraagt mogelijk vergeving http://www.nu.nl/bin[...] 2012-05-05
[32] 웹사이트 Geen moleculen van bloed aan mijn vingers http://www.waterkant[...] 2012-04-14
[33] 웹사이트 Starnieuws – Alleen Wim Carbière vraagt om voortzetting proces http://www.starnieuw[...]
[34] 웹사이트 Grote teleurstelling over goedkeuring amnestiewet http://www.amnesty.n[...]
[35] 웹사이트 Reporters Without Borders tegen amnestie http://www.waterkant[...] 2012-03-30
[36] 웹사이트 Human Rights Watch: 'Trek de Amnestiewet in' 19-4-2012 – De West – CQ-Link Nieuws http://www.dewest-on[...]
[37] 웹사이트 Starnieuws – Human Rights Watch: Amnestiewet is belediging http://www.starnieuw[...]
[38] 웹사이트 Rosenthal schort hulp aan Suriname op http://www.volkskran[...]
[39] 웹사이트 Bouterse: "Nederland, de tijden zijn veranderd" http://www.waterkant[...] 2012-04-21
[40] 웹사이트 Announcement {{!}} Mededeling {{!}} Radio Netherlands Worldwide https://web.archive.[...] 2014-01-01
[41] 웹사이트 Rosenthal schort hulp aan Suriname op – Amnestiewet Suriname – VK http://www.volkskran[...] Volkskrant.nl 2014-03-12
[4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7
[43] 뉴스 Bouterse in militair uniform voor de rechtbank, zitting in maart verder https://nos.nl/artik[...] 2020-01-22
[44] 뉴스 Suriname court upholds ex-president's conviction over activist murders in 1982 https://www.reuters.[...] 2023-12-20
[45] 웹사이트 Suriname's ex-dictator sentenced to 20 years in prison for the 1982 killings of political opponents https://apnews.com/a[...] 2023-12-20
[46] 웹사이트 Suriname court upholds 20-year sentence for ex-president in murder trial https://www.france24[...] 2023-12-20
[47] 웹사이트 Former Suriname dictator vanishes after being sentenced in killings of 15 political opponents https://apnews.com/a[...] 2024-01-13
[48] 웹사이트 The NGO Development Foundation » Moiwana Human Rights Organization http://www.ngocaribb[...] 2012-01-08
[49] 웹사이트 Moiwana http://abengcentral.[...] 2012-01-08
[50] 웹사이트 Inter-American Court of Human Rights Case of the Moiwana Community v. Suriname http://www.corteidh.[...] 2017-12-04
[51] 뉴스 Suriname Coup Leaders Had Power Already https://www.nytimes.[...] 1990-12-27
[52] 뉴스 World Briefing https://www.nytimes.[...] 1999-07-17
[53] 웹사이트 Vervolging president Bouterse wél mogelijk http://www.rnw.nl/su[...] 2010-07-21
[54] 간행물 Suriname 2016 Country Review http://www.countrywa[...] Countrywatch 2016-08-26
[55] 뉴스 Suriname leader's son sentenced to over 16 years in prison https://web.archive.[...] Yahoo! News 2015-03-10
[56] 웹사이트 Enorme winst voor Bouterse in Suriname http://www.volkskran[...] 2010-05-26
[57] 뉴스 Presidential pardon https://www.economis[...] 2015-06-11
[58] 뉴스 Suriname's Bouterse Secures Second Presidential Term http://www.voanews.c[...] Voice of America 2015-07-14
[59] 뉴스 Bouterse bewilligt niet voor lidmaatschap DNA https://www.srherald[...]
[60] 뉴스 Bouterse heeft niet bewilligd voor lidmaatschap DNA https://www.gfcnieuw[...]
[61] 뉴스 Simons voert laatste voorbereidend overleg met fungerend voorzitter https://www.srherald[...]
[62] 뉴스 Kandidaatstelling Santokhi en Brunswijk een feit https://www.starnieu[...]
[63] 뉴스 Breaking: NDP dient geen lijst in https://www.dbsurina[...]
[64] 뉴스 Inauguratie nieuwe president van Suriname op Onafhankelijkheidsplein https://www.waterkan[...]
[65] 뉴스 Live blog: Verkiezing president en vicepresident Suriname https://web.archive.[...]
[66] 웹사이트 Bouterse eert plegers staatsgreep 1980 http://www.bndestem.[...]
[67] 웹사이트 Bouterse geeft bevriende roofmoordenaar gratie – Buitenland – VK http://www.volkskran[...] 2011-12-30
[68] 웹사이트 Controversy as Bouterse grants pardon to foster son http://www.stabroekn[...] 2011-12-30
[69] 웹사이트 Bouterse grants pardon to foster son | 2010 Elections in Suriname http://www.verkiezin[...] 2011-12-30
[70] 웹사이트 Starnieuws – Meriba aangehouden voor mishandeling http://www.starnieuw[...]
[71] 웹사이트 Meriba weer vrij 31-03-2012 – De West – CQ-Link Nieuws http://www.dewest-on[...]
[72] 웹사이트 cv_Bouterse http://www.kabinet.s[...]
[73] 뉴스 スリナム大統領の息子を逮捕、米に送還 麻薬や武器密輸容疑 https://www.cnn.co.j[...] 2013-09-01
[74] 뉴스 政敵15人処刑の大統領に禁錮20年 軍事法廷、現職に有罪判決 https://web.archive.[...] 時事通信社 2019-11-30
[75] 뉴스 Suriname : le parti du président Desi Bouterse perd les élections https://la1ere.franc[...] 2020-05-27
[76] 뉴스 ‘Bouterse maandagavond overleden’ https://dwtonline.co[...] 2024-12-27
[77] 뉴스 Ambassades tekenen condoleanceregister in Ocer https://www.starnieu[...] 2024-12-27
[78] 뉴스 Suriname's fugitive ex-President Desi Bouterse dead at 79 https://www.reuters.[...] 2024-12-25
[79] 뉴스 ‘Bouterse maandagavond overleden’ https://dwtonline.co[...] 2024-12-27
[80] 뉴스 Ambassades tekenen condoleanceregister in Ocer https://www.starnieu[...] 2024-12-27
[81] 뉴스 수리남 대통령에 전 군부 독재자 선출 http://media.daum.ne[...] 2010-07-23
[82] 뉴스 데시 보우테르세, 수리남 대통령 당선 http://media.daum.ne[...] 2010-07-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