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토나 24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이토나 24시는 미국 플로리다주 데이토나 비치에 있는 데이토나 인터내셔널 스피드웨이에서 매년 열리는 24시간 내구 레이스이다. 1959년 처음 6시간 스포츠카 레이스로 시작되었으며, 1966년부터 24시간 레이스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주요 참가 차량으로는 GTP, GT, DPi, LMDh 등이 있으며, 포르쉐가 제조사 중 가장 많은 우승을 차지했다. 한국은 아직 데이토나 24시에서 주목할 만한 성적을 내지 못하고 있으며, 일본은 닛산, 토요타, 렉서스, 혼다 등이 종합 우승을 거둔 바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포츠 자동차 경주 - 르망 24시
르망 24시는 프랑스 르망에서 매년 6월에 개최되는 세계적인 자동차 내구 레이스로, 자동차 제조사들의 기술력과 내구성을 시험하며 자동차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치고, FIA 세계 내구 챔피언십의 일부로서 다양한 클래스의 경쟁을 통해 최고의 차량을 가린다. - 스포츠 자동차 경주 - 스파 24시
벨기에 스파 프랑코르샹 서킷에서 열리는 스파 24시는 르망 24시의 성공에 영향을 받아 1924년 시작된 24시간 내구 자동차 경주 대회로, 다양한 선수권 대회의 일부로 진행되며 FIA GT3 규정 차량들이 7.004km 서킷에서 경쟁하고 최고 제조사에게는 쿠프 드 루아가 수여된다. - 1962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말레이시아 그랑프리
말레이시아 그랑프리는 말레이시아 관광 진흥을 위해 1999년 시작되어 세팡 인터내셔널 서킷에서 개최되었으나, 2017년 대회를 마지막으로 종료되었다. - 1962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세계 조정 선수권 대회
세계 조정 선수권 대회는 세계 조정 연맹 주관으로 매년 열리는 국제 조정 대회로, 올림픽이 열리는 해에는 올림픽 종목을 제외한 종목과 패러 조정 종목이 함께 진행된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데이토나 24시 | |
---|---|
기본 정보 | |
대회 명칭 | 데이토나 24시간 |
![]() | |
후원사 | 롤렉스 |
개최 장소 | 데이토나 인터내셔널 스피드웨이 |
![]() | |
첫 대회 | 1962년 |
지속 시간 | 24시간 |
이전 명칭 | 데이토나 3시간 컨티넨털 (1962–1963) 데이토나 2000 (1964–1965) 데이토나 24시간 (1966–1971, 1973, 1975–1977) 데이토나 6시간 (1972) 24시간 펩시 챌린지 (1978–1983) 선뱅크 24 데이토나 (1984–1991) 롤렉스 24 앳 데이토나 (1992–) |
통계 | |
최다 우승 드라이버 | 할리 헤이우드 (5회) 스콧 프루엣 (5회) |
최다 우승 팀 | 칩 가나시 레이싱 (6회) |
최다 우승 제조사 | 포르쉐 (19회) |
트랙 정보 | |
길이 | 3.56마일 (5.73km) |
관련 시리즈 | |
현재 시리즈 | IMSA 웨더테크 스포츠카 챔피언십 |
2. 역사
1962년 3시간 경기인 '데이토나 컨티넨탈'로 시작된 데이토나 24시는, 1964년에 2000km로 확대되었고, 1966년부터는 24시간 레이스로 변경되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24]
1966년 첫 24시간 레이스에서는 켄 마일스와 로이드 루비가 포드 Mk. II를 몰고 우승했다.[10] 같은 해 수지 디트리히, 재닛 거스리, 도나 메이 밈스가 선빔 알파인을 몰고 출전하여 32위를 기록, 국제 표준 24시간 레이스를 완주한 최초의 여성팀이 되었다.[11] 1967년에는 페라리 P 시리즈 프로토타입이 1-2-3위를 차지했으며, 이 승리를 기념하여 페라리 365 GTB/4 로드카는 '페라리 데이토나'라는 비공식적인 이름을 얻었다.[12][13]
1968년에는 포르쉐가 1-2-3위를 차지했다. 게르하르트 미터의 사고 이후, 롤프 스토멜렌이 빅 엘포드와 요헨 네르파슈를 지원했다. 요 시퍼트와 한스 헤르만의 차량 문제로 포르쉐는 8명 중 5명의 드라이버를 포디엄에 올렸다.[14] 1969년에는 롤라 T70-시보레의 마크 도노휴와 척 파슨스가 우승했다.[15] 1970년에는 드라이버들이 차에 묶인 채 출발하여 시동을 걸었으나, 1971년부터는 롤링 스타트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1972년 FIA 규정으로 레이스가 6시간으로 단축되었고, 1973년 에너지 위기로 1974년에는 취소되었다.[17] 1975년부터 국제 모터 스포츠 협회(IMSA)가 레이스를 주관했다.[18] 1982년에는 IMSA GT 챔피언십의 일부로 진행되었다.[19]
1990년대 그랜드-암 로드 레이싱(Grand-Am) 시리즈에 맞춰 규정이 변경되었고, 2002년에는 비용 절감을 위해 데이토나 프로토타입(DP) 규정이 도입되었다.[20] 2003년 DP 차량 6대가 처음으로 레이스에 출전했다.
2014년 그랜드-암 로드 레이싱과 아메리칸 르망 시리즈(ALMS)가 통합되어 유나이티드 스포츠카 챔피언십(USCC)이 출범하면서, LMP2, LM-GTE, GT3 차량도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25] 2017년에는 데이토나 프로토타입 인터내셔널(DPi)이 도입되어 제조사들의 참가가 쉬워졌다. 2023년부터는 IMSA, FIA, ACO 공통 규정인 르망 데이토나 h(LMDh)가 도입되었다.[26]
2014년 레이스에서는 메모 기들리와 마테오 말루첼리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오늘날 데이토나 24시는 일반적으로 4명의 드라이버가 한 팀을 이루어 경쟁한다. DPi 프로토타입 및 ACO GTE 클래스에서는 전문 드라이버들이, ACO LMP2 및 SRO 그룹 GT3 기반 클래스에서는 "아마추어 드라이버"들이 추가로 참여한다. 짐 트루먼 및 밥 아킨 상은 아마추어 드라이버에게 수여된다. 스콧 딕슨, 제프 고든 등 유명 드라이버들도 데이토나에 참가한다.
1991년부터 로렉스가 타이틀 스폰서로 참여하여 '로렉스 24시'라고도 불리며, 우승팀 드라이버에게는 코스모그래프 데이토나 시계가 수여된다.
2. 1. 초기 (1962년 ~ 1965년)
1962년, 3시간 레이스인 '데이토나 컨티넨탈'이 GT 제조사 국제 선수권 대회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당시 포르쉐 공장 드라이버였던 댄 거니는 2.7L 코벤트리 클라이맥스 엔진을 장착한 로터스 19를 몰고 우승했다.[1] 당시 댄 거니의 로터스 19가 엔진 고장으로 멈췄지만, 뱅킹 상단에서 결승선을 조금 앞두고 차를 세웠다가 3시간이 경과했을 때 중력으로 차가 결승선을 통과하여 우승했다.1964년에는 레이스가 2000km로 확대되어 뉘르부르크링, 스파, 몬차에서 열리는 1000km 레이스의 두 배 거리가 되었다. 페드로 로드리게스와 필 힐이 페라리 250 GTO로 우승했다.
연도 | 날짜 | 드라이버 | 팀 | 차량 | 타이어 | 차량 번호 | 거리 | 랩 | 챔피언십 |
---|---|---|---|---|---|---|---|---|---|
3시간 지속 | |||||||||
1962 | 2월 11일 | 댄 거니 | 프랭크 아르시에로 | 로터스 19-코벤트리 클라이맥스 | G | 96 | 502.791km | 82 | GT 제조사 국제 챔피언십 |
1963 | 2월 17일 | 페드로 로드리게스 | 북미 레이싱 팀 | 페라리 250 GTO | G | 18 | 494.551km | 81 | GT 제조사 국제 챔피언십 |
2000km 거리 | |||||||||
1964 | 2월 16일 | 페드로 로드리게스 필 힐 | 북미 레이싱 팀 | 페라리 250 GTO | G | 30 | 2000km | 315 | GT 제조사 국제 챔피언십 |
1965 | 2월 28일 | 켄 마일스 로이드 루비 | 셸비-아메리칸 주식회사 | 포드 GT[22] | G | 73 | 2000km | 315 | GT 제조사 국제 챔피언십 |
2. 2. 24시간 레이스로의 전환 (1966년 ~ 1971년)
1964년, 데이토나 콘티넨탈은 뉘르부르크링, 스파, 몬차에서 열리는 전통적인 1000km 레이스의 두 배인 로 확대되었다. 이는 르망 24시 우승자가 달린 거리의 약 절반이며, 세브링 12시간 레이스와 비슷한 거리였다. 1966년부터 데이토나 레이스는 르망과 마찬가지로 24시간 동안 진행되었다.1966년 첫 24시간 레이스에서는 켄 마일스와 로이드 루비가 포드 Mk. II를 몰고 우승했다.[10] 1966년에는 수지 디트리히가 재닛 거스리, 도나 메이 밈스와 함께 선빔 알파인을 몰고 24시간 레이스에 참가했다. 이들은 32위로 경주를 마쳐, 국제 표준 24시간 레이스를 완주한 최초의 여성 팀이 되었다.[11]
1966년 데이토나, 세브링, 르망에서 포드에게 패배한 후, 페라리 P 시리즈 프로토타입은 1967년에 1-2-3위로 결승선을 통과했다.[12] 이 승리를 기념하여 페라리 365 GTB/4 로드카는 ''페라리 데이토나''라는 비공식적인 이름을 얻게 되었다.[13]
포르쉐는 1968년 24시간 레이스에서 다시 한번 1-2-3위를 차지했다. 게르하르트 미터의 차가 뱅크 코스에서 타이어 파손으로 큰 사고를 당한 후, 그의 팀 동료 롤프 스토멜렌은 빅 엘포드와 요헨 네르파슈의 차를 지원했다. 오랫동안 선두를 달리던 요 시퍼트와 한스 헤르만의 차가 기술적인 문제로 2위로 떨어지자, 이 두 사람도 새로운 선두에 합류하면서 그들의 차를 계속 운전했다. 포르쉐는 8명의 드라이버 중 5명을 포디엄 중앙에 올렸고, 조 슐레서와 조 버제타는 3위, 미터는 제외되었다.[14]
롤라는 1969년 데이토나 24시간 레이스에서 1-2위를 차지했다. 우승 차량은 펜스케 롤라 T70-시보레의 마크 도노휴와 척 파슨스였다.[15]
1970년에는 드라이버들이 차에 묶인 채 출발하여 출발과 동시에 시동을 걸었다. 1971년부터는 롤링 스타트 방식으로 경주가 시작되었다.
2. 3. 규정 변화와 위기 (1972년 ~ 1981년)
1972년에는 FIA 규정으로 인해 레이스가 6시간으로 단축되었고, 1973년 에너지 위기로 인해 1974년에는 아예 취소되었다.[17] 1975년부터 국제 모터 스포츠 협회(IMSA)가 레이스를 주관하기 시작했다.[18]2. 4. IMSA GT 챔피언십 시대 (1982년 ~ 1999년)
1982년, 레이스는 월드 스포츠카(WSC) 대신 IMSA GT 챔피언십의 일부로 계속 진행되었다.[19]2. 5. 그랜드-암 로드 레이싱 시대 (2000년 ~ 2013년)
국제 모터 스포츠 협회(IMSA)의 소유주가 여러 번 바뀌면서 조직의 방향이 바뀌었고, 1990년대에 데이토나 행사는 그랜드-암 로드 레이싱(Grand-Am) 시리즈와 일치하기로 결정되었다.[20] 그랜드-암 시리즈는 아메리카 르망 시리즈의 경쟁자였으며,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르망 시리즈와 르망 24시와 동일한 규정을 사용했다. 하지만 그랜드 암 시리즈는 NASCAR와 IMSA의 원래 아이디어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비용 통제와 치열한 경쟁에 중점을 두었다.스포츠카 레이싱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2002년에 새로운 규정이 도입되었다. 전용 데이토나 프로토타입(DP)은 저렴한 재료와 기술을 사용하며, 차량의 단순한 공기역학은 개발 및 테스트 비용을 줄여준다. 2003년에 DP는 6대의 차량으로 레이스에 처음 출전했다.[20]
Riley, Dallara, Lola와 같은 전문 섀시 제작업체에서 팀에 DP 차량을 제공하며, 엔진은 캐딜락(Cadillac), 렉서스(Lexus), 포드(Ford), BMW, 포르쉐(Porsche)와 같은 주요 자동차 회사의 이름으로 브랜드화된다.
2. 6. 유나이티드 스포츠카 챔피언십 시대 (2014년 ~ 현재)
2014년에 그랜드-암 로드 레이싱과 아메리칸 르망 시리즈(ALMS)가 통합되어 유나이티드 스포츠카 챔피언십(USCC)이 출범하면서, LMP2, LM-GTE, GT3 차량도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25] 2017년에는 데이토나 프로토타입 인터내셔널(DPi)이 도입되어 제조사들의 참가가 쉬워졌다.[25] 2023년부터는 IMSA, FIA, ACO 공통 차량 규정인 르망 데이토나 h(LMDh)가 도입되었다.[26]2014년 레이스에서는 메모 기들리가 폴 포지션을 차지한 DP 차량을 몰고, 북미 내구 레이스에서 한 번도 우승한 적이 없는 GTD 카테고리의 페라리 458을 몰던 아마추어 드라이버 마테오 말루첼리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말루첼리는 시속 50km 미만으로 주행하며 트랙에 머물렀고, 다른 차들은 시속 240km로 그를 추월하고 있었다. 옆 차와 나란히 달리던 메모는 그를 보지 못하고 정면으로 충돌했고, 레이스는 적기 중단되었다. 두 드라이버 모두 생존했다.
오늘날 데이토나 24시는 밤에 더 오래 운전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4명의 드라이버가 경쟁한다. 전문 드라이버를 기반으로 하는 DPi 프로토타입 및 ACO GTE 클래스에서는 4명의 드라이버 모두 일반적으로 전문 드라이버이다. ACO LMP2 및 SRO 그룹 GT3 기반 클래스에서는 추가 드라이버 중 다수가 현재 FIA 사양에 따라 "아마추어 드라이버"로 알려져 있다. 아마추어 드라이버는 모터 스포츠와 관련 없는 직업에서 경력을 쌓은 스포츠맨 드라이버를 의미한다. 이러한 유형의 드라이버는 일반적으로 시즌 종료 시 전문 드라이버가 아닌 최고의 드라이버에게 수여되는 IMSA의 짐 트루먼 및 밥 아킨 상을 받을 자격이 있다. 아마추어 드라이버 또는 과체중 전문 드라이버(FIA 실버 또는 브론즈는 일반적으로 아마추어 드라이버를 위한 것이지만 55세 이상의 전문 드라이버는 자동으로 이 레벨로 분류됨)는 특정 시간 동안 차량에 탑승해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모든 클래스의 네 번째 드라이버는 스콧 딕슨, 제프 고든, 페르난도 알론소, 셰인 반 기스버겐, 카일 부시와 같이 주요 전문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명성 있는 데이토나 전용 전문 드라이버이다.
3. 주요 참가 차량
데이토나 24시는 초창기에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들이 참가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규정이 변화하고 특정 클래스의 차량들만 참가하게 되었다.
1962년, 3시간 동안 진행된 '데이토나 콘티넨탈' 레이스에서는 댄 거니가 로터스 19를 몰고 우승했다.[1] 당시 거니는 포르쉐 소속이었지만, 포르쉐 718은 너무 작고 느려서 이 경주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1966년 첫 24시간 레이스에서는 켄 마일스와 로이드 루비가 포드 Mk. II를 몰고 우승했다.[10] 1967년에는 페라리가 1, 2, 3위를 차지했고, 이를 기념하여 페라리 365 GTB/4 로드카는 '페라리 데이토나'라는 비공식적인 이름을 얻었다.[12][13]
1968년에는 포르쉐가 1, 2, 3위를 차지했다.[14] 1969년에는 롤라 T70 쉐보레가 1, 2위를 차지했다.[15]
2000년대부터는 그란담 시리즈의 규정에 따라 데이토나 프로토타입이라는 독자적인 규격의 차량이 도입되었다. 2014년부터는 유나이티드 스포츠카 선수권 대회(USCC)의 출범과 함께 LMP2, LM-GTE, GT3 차량도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
2023년부터는 르망 데이토나 h(LMDh) 규정이 도입되어, IMSA, FIA, ACO 공통 차량으로 레이스가 진행된다.[26]
3. 1. GTP (Grand Touring Prototype)
국제 모터 스포츠 협회(IMSA)의 소유주 변경과 조직 방향 변화로 인해, 1990년대 데이토나 24시는 그랜드-암 로드 레이싱(Grand-Am) 시리즈와 협력하기로 결정했다. 그랜드-암 시리즈는 아메리카 르망 시리즈의 경쟁자였으며, 르망 24시와 동일한 규정을 사용했다. 그러나 그랜드 암 시리즈는 NASCAR와 IMSA의 초기 아이디어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비용 통제와 치열한 경쟁을 중시했다.스포츠카 레이싱 비용 절감을 위해 2002년 새로운 규정이 도입되었다. 전용 데이토나 프로토타입(DP)은 저렴한 재료와 기술을 사용하며, 차량의 단순한 공기역학은 개발 및 테스트 비용을 절감했다. DP는 2003년 레이스에 6대의 차량으로 처음 참가했다.[20]
라일리, Dallara, 롤라와 같은 전문 섀시 제작업체에서 팀에 DP 차량을 제공하며, 엔진은 캐딜락, 렉서스, 포드, BMW, 포르쉐와 같은 주요 자동차 회사의 이름으로 브랜드화되었다.
2017년에는 DPi 프로토타입이 도입되었다. 이 차량은 주요 제조업체의 맞춤형 엔진과 차체를 갖춘 LMP2 섀시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2023년에는 레이스에서 LMDh 프로토타입 사양을 채택했으며, 르망 하이퍼카도 허용되었다. 또한 이 시리즈는 1980년대부터 그랜드 투어링 프로토타입이라는 이름을 다시 사용하게 되었다.

3. 2. GT (Grand Touring)
2014년부터 GT 데이토나 클래스는 그룹 GT3 차량으로만 제한되었다. 데이토나의 GT 클래스 차량들은 일반 도로 버전과 더 가깝다. 예를 들어, 포르쉐 996의 더 표준적인 컵 버전이 사용된다. 최근 데이토나 참가 차량에는 BMW M3와 M6, 포르쉐 911, 쉐보레 카마로 및 콜벳, 마즈다 RX-8, 폰티악 GTO.Rs, 페라리 F430 챌린지, 아우디 R8, 페라리 458 이탈리아가 있다.[21]IMSA GTO 및 GTU 시대부터 2015년 규칙 변경까지, GT(새로운 BMW M6, 쉐보레 카마로, 마즈다 RX-8)에 참가하기 위해 외관을 모방한 차체 패널을 장착한 스페이스 프레임 차량이 있었다. 이 규칙은 이전 GTO 사양과 유사하지만 더 많은 제약이 있었다. 스페이스 프레임 차량의 의도는 팀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특히 사고 후 팀이 다음 레이스를 위해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차량을 재건하거나 심지어 차량을 재개발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나 연말에 전체 차량을 폐기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였다.
2014년에는 LM GTE 차량을 사용하는 GTLM 클래스가 도입되었다. 2022년에는 GTLM 클래스가 GTD와 동일한 차량을 사용하는 GTD Pro로 대체되었다.[21] 코르벳 C8.R 한 대가 GTD 차량에 맞춰 성능을 조정한 상태로 해당 클래스에 참가할 수 있도록 허용되었다.
3. 3. GX 클래스 (2013년)
2013년 경기는 GX 클래스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참가한 해였다. 6대의 차량이 이 이벤트에 참가했다. 이 클래스는 목적에 맞게 제작된 포르쉐 카이맨 S와 마쓰다 6 레이스카로 구성되었다. 마쓰다는 이 경기에서 첫 디젤 레이스카를 선보였는데, 이는 디젤 연료 레이스카가 데이토나 24시에 처음으로 출전한 것이었다.[1] 레이스 내내 카이맨이 우세를 보였고, 마쓰다 3대 모두 엔진 고장으로 레이스에서 리타이어했다. 데이비드 도노휴가 운전한 #16 냅턴 포르쉐 카이맨이 9랩 차이로 GX 우승을 차지했다.[1]4. 한국 및 일본의 성적
한국은 데이토나 24시에서 아직까지 뚜렷한 성적을 내지 못하고 있다. 반면 일본은 데이토나 24시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기록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마쓰다는 마쓰다 사바나 RX-7로 1979년과 1982년부터 1993년까지 12년 연속 GTU 클래스 우승[27], 가타야마 요시미, 시타노 다카시, 테라다 요지로가 1982년에 GTO 클래스 우승, 2008년과 2010년에는 3로터 · 자연 흡기 (NA) 엔진을 탑재한 마쓰다 RX-8이 GT 클래스에서 우승하는 등 총 23번의 클래스 우승을 차지하며 데이토나에서 가장 많은 성공을 거둔 제조사이다.[28] 1992년에는 닛산 R91CP가 일본 메이커, 일본인, 일본 팀 최초로 종합 우승을 달성했으며, 하세미 마사히로, 호시노 가즈요시, 스즈키 도시오가 그 주역이었다.[27] 그러나 당시 미국은 일본차와의 무역 마찰 문제를 겪고 있었기 때문에, 일본인 드라이버 트리오에 대한 인터뷰에서는 레이스 내용보다는 미일 무역 불균형에 대한 질문이 많았다.[27]
4. 1. 일본
마쓰다는 GTU 클래스에서 12년 연속 우승하는 등 총 23번의 클래스 우승을 기록했다.[27][28] 1992년 닛산 R91CP가 일본 메이커, 일본인, 일본 팀 최초로 종합 우승을 차지했는데, 하세미 마사히로, 호시노 가즈요시, 스즈키 도시오가 우승 드라이버였다.[27] 당시 미국은 일본차와의 무역 마찰 문제를 겪고 있어서, 일본인 드라이버 트리오 인터뷰에서는 레이스 내용보다 미일 무역 불균형에 대한 질문이 많았다.[27]1993년에는 토요타 · 이글 MkⅢ, 1994년에는 닛산 300ZX, 2016년에는 혼다 · HR35TT 엔진이 각각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2019년에는 고바야시 가무이가 캐딜락으로 종합 우승을 했다.
5. 역대 우승자 및 기록
데이토나 24시는 초창기 3시간 레이스와 2000km 레이스를 거쳐 1966년부터 현재의 24시간 내구 레이스 형태로 자리 잡았다. 1972년에는 예외적으로 6시간 레이스로 진행되었고, 1974년에는 오일 쇼크로 인해 경기가 열리지 않았다.[30]
역대 우승 기록은 다음과 같다.
개최 연도 | 날짜 | 드라이버 | 팀 | 차량 종류 | 타이어 | 차량 번호 | 주행 거리 |
---|---|---|---|---|---|---|---|
3시간 레이스 | |||||||
1962년 | 2월 11일 | 댄 거니 | 프랭크 아처 | Lotus 19B영어-코벤트리 클라이맥스 | G | 96 | 502.791km |
1963년 | 2월 17일 | 페드로 로드리게스 | 노스 아메리칸 레이싱 팀 | 페라리 250 GTO | G | 18 | 494.551km |
2000km 레이스 | |||||||
1964년 | 2월 16일 | 페드로 로드리게스 필 힐 | 노스 아메리칸 레이싱 팀 | 페라리 250 GTO | G | 30 | 2000km |
1965년 | 2월 28일 | 켄 마일즈 로이드 루비 | 셸비 아메리칸 | 포드 GT40[29] | G | 73 | 2000km |
24시간 레이스 | |||||||
1966년 | 2월 5일-6일 | 켄 마일즈 로이드 루비 | 셸비 아메리칸 | 포드 GT40MkII | G | 98 | 4157.222km |
1967년 | 2월 4일-5일 | 로렌초 반디니 크리스 에이먼 | SpA 페라리 SEFAC | 페라리 330P4 | F | 23 | 4083.646km |
1968년 | 2월 3일-4일 | 빅 엘포드 요헨 니어파슈 롤프 슈토멜렌 조 시퍼트 한스 헤르만 | 포르쉐 시스템 엔지니어링 | 포르쉐 907 | D | 54 | 4126.567km |
1969년 | 2월 1일-2일 | 마크 도노휴 척 파슨스 | 로저 펜스케 스노코 레이싱 | Lola T70영어-시보레 | G | 6 | 3838.382km |
1970년 | 1월 31일-2월 1일 | 페드로 로드리게스 레오 키누넨 | J.W. 오토모빌 엔지니어링 | 포르쉐 917 | F | 2 | 4439.279km |
1971년 | 1월 30일-31일 | 페드로 로드리게스 재키 올리버 | J.W. 오토모빌 엔지니어링 | 포르쉐 917K | F | 2 | 4218.542km |
1972년 | 2월 6일 | 마리오 안드레티 재키 익스 | SpA 페라리 SEFAC | 페라리 312 PB | F | 2 | 1189.531km[30] |
1973년 | 2월 3일-4일 | 피터 그레그 헐리 헤이우드 | 부르모스 포르쉐 | 포르쉐 911 카레라 | G | 59 | 4108.172km |
1974년 | 오일 쇼크로 인해 중지 | ||||||
1975년 | 2월 1일-2일 | 피터 그레그 헐리 헤이우드 | 부르모스 포르쉐 | 포르쉐 911 카레라 RSR | G | 59 | 4194.015km |
1976년 | 1월 31일-2월 1일 | 피터 그레그 브라이언 레드먼 존 피츠패트릭 | BMW 오브 노스 아메리카 | BMW 3.0 CSL | G | 59 | 3368.035km |
1977년 | 2월 5일-6일 | 헐리 헤이우드 존 그레이브스 데이브 헬믹 | 에클리 에스카르고 | 포르쉐 911 카레라 RSR | G | 43 | 4208.499km |
1978년 | 2월 4일-5일 | 피터 그레그 롤프 슈토멜렌 토인 헤제만스 | 부르모스 포르쉐 | 포르쉐 935 터보 | G | 99 | 4202.319km |
1979년 | 2월 3일-4일 | 헐리 헤이우드 테드 필드 대니 옹가이스 | 인터스포츠 레이싱 | 포르쉐 935 터보 | G | 0 | 4227.039km |
1980년 | 2월 2일-3일 | 롤프 슈토멜렌 폴커트 메를 라인홀트 요스트 | L&M 요스트 레이싱 | 포르쉐 935 터보 | D | 2 | 4418.615km |
1981년 | 1월 31일-2월 1일 | 바비 레이홀 브라이언 레드먼 밥 개릿슨 | 개릿슨 레이싱 | 포르쉐 935 터보 | G | 9 | 4375.355km |
1982년 | 1월 30일-31일 | 존 폴 시니어 존 폴 주니어 롤프 슈토멜렌 | JLP 레이싱 | 포르쉐 935 터보 | G | 18 | 4443.334km |
1983년 | 2월 5일-6일 | A.J. 포이트 프레스턴 헨 밥 볼렉 클로드 바로-레나 | 헨스 스왑 샵 레이싱 | 포르쉐 935 터보 | G | 8 | 3819.167km |
1984년 | 2월 4일-5일 | 사렐 반 데르 메르베 토니 마틴 그레이엄 덕스버리 | 크리피 크라우리 레이싱 | 마치 83G-포르쉐 | G | 00 | 3986.023km |
1985년 | 2월 2일-3일 | A.J. 포이트 밥 볼렉 알 앤서 시니어 티에리 부체 | 헨스 스왑 샵 레이싱 | 포르쉐 962C | G | 8 | 4027.673km |
1986년 | 2월 1일-2일 | 알 홀버트 데릭 벨 알 언서 주니어 | 레벤브로이 홀버트 레이싱 | 포르쉐 962C | G | 14 | 4079.236km |
1987년 | 1월 31일-2월 1일 | 알 홀버트 데릭 벨 칩 로빈슨 알 언서 주니어 | 레벤브로이 홀버트 레이싱 | 포르쉐 962C | G | 14 | 4314.136km |
1988년 | 1월 30일-31일 | 라울 보에젤 마틴 브런들 존 닐슨 | 캐스트롤・재규어 레이싱 | 재규어 XJR-9 | D | 60 | 4170.905km |
1989년 | 2월 4일-5일 | 존 안드레티 데릭 벨 밥 볼렉 | 밀러/BF 굿리치・버스비 레이싱 | 포르쉐 962C | BF | 67 | 3557.873km |
1990년 | 2월 3일-4일 | 데이비 존스 얀 라머스 앤디 월리스 | 캐스트롤 재규어 레이싱 | 재규어 XJR-12 | G | 61 | 4359.97km |
1991년 | 2월 2일-3일 | 헐리 헤이우드 존 빈터 프랭크 옐린스키 앙리 페스카롤로 밥 볼렉 | 요스트 레이싱 | 포르쉐 962C | G | 7 | 4119.341km |
1992년 | 2월 1일-2일 | 하세미 마사히로 호시노 카즈요시 스즈키 토시오 안데르스 올로프손 | NISMO | 닛산 R91CP | G | 23 | 4365.7km |
1993년 | 1월 30일-31일 | P. J. 존스 마크 디스모어 로키 모란 | 올 아메리칸 레이서즈 | 이글 MkIII/토요타 | G | 99 | 3999.027km |
1994년 | 2월 5일-6일 | 폴 젠틸로지 스콧 프루잇 부치 라이친거 스티브 미렌 | 캐닝햄 레이싱 | 닛산 300ZX | Y | 76 | 4050.09km |
1995년 | 2월 4일-5일 | 위르겐 라시크 크리스토프 부셰 조반니 라바지 마르코 베르너 | 크레머 레이싱 | 크레머 K8 스파이더 - 포르쉐 | G | 10 | 3953.192km |
1996년 | 2월 3일-4일 | 웨인 테일러 스콧 샤프 짐 페이스 | 도일 레이싱 | 릴리 앤드 스콧 MkIII - 올즈모빌 | G | 4 | 3993.298km |
1997년 | 2월 1일-2일 | 롭 다이슨 제임스 위버 부치 라이친거 앤디 월리스 존 폴 주니어 엘리엇-포브스 로빈슨 존 슈나이더 | 다이슨 레이싱 | 릴리 앤드 스콧 MkIII - 포드 | G | 16 | 3953.192km |
1998년 | 1월 31일-2월 1일 | 마우로 발디 알리 루이엔다이크 잔피에로 모레티 | 드란 모레티 레이싱 | 페라리 333SP | Y | 30 | 4073.507km |
1999년 | 1월 30일-31일 | 엘리엇-포브스 로빈슨 부치 라이친거 앤디 월리스 | 다이슨 레이싱 팀 | 릴리 앤드 스콧 MkIII - 포드 | G | 20 | 4056.319km |
2000년 | 2월 5일-6일 | 올리비에 베레타 도미니크 뒤피 칼 벤들링거 | 바이퍼 팀 오레카 | 닷지 바이퍼 GTS-R | M | 91 | 4142.258km |
2001년 | 2월 3일-4일 | 론 펠로스 크리스 크나이펠 프랑크 플레옹 조니 오코넬 | 콜벳 레이싱 | 시보레 콜벳 C5-R | G | 2 | 3758.398km |
2002년 | 2월 2일-3일 | 디디에 사이스 프레디 리엔하르트 맥스 파피스 마우로 발디 | 도란 리스타 레이싱 | 달라라 SP1-저드 | Y | 27 | 4102.442km |
5. 1. 드라이버별 최다 우승
순위 | 드라이버 | 우승 횟수 | 연도 |
---|---|---|---|
1 | 헐리 헤이우드 | 5 | 1973, 1975, 1977, 1979, 1991 |
스콧 프루엣 | 1994, 2007, 2008, 2011, 2013 | ||
3 | 페드로 로드리게스 | 4 | 1963, 1964, 1970, 1971 |
밥 월렉 | 1983, 1985, 1989, 1991 | ||
피터 그레그 | 1973, 1975, 1976, 1978 | ||
롤프 스토멜렌 | 1968, 1978, 1980, 1982 | ||
7 | 브라이언 레드먼 | 3 | 1970, 1976, 1981 |
앤디 월리스 | 1990, 1997, 1999 | ||
버치 라이징거 | 1994, 1997, 1999 | ||
데릭 벨 | 1986, 1987, 1989 | ||
후안 파블로 몬토야 | 2007, 2008, 2013 | ||
메모 로하스 | 2008, 2011, 2013 | ||
크리스티안 피티팔디 | 2004, 2014, 2018 | ||
주앙 바르보사 | 2010, 2014, 2018 | ||
스콧 디슨 | 2006, 2015, 2020 | ||
헬리오 카스트로네베스 | 2021, 2022, 2023 | ||
17 | 켄 마일스 | 2 | 1965, 1966 |
로이드 루비 | 1965, 1966 | ||
A. J. 포이트 | 1983, 1985 | ||
알 홀버트 | 1986, 1987 | ||
알 언서 주니어 | 1986, 1987 | ||
얀 라머스 | 1988, 1990 | ||
존 폴 주니어 | 1982, 1997 | ||
엘리엇 포브스-로빈슨 | 1997, 1999 | ||
마우로 발디 | 1998, 2002 | ||
디디에 테이스 | 1998, 2002 | ||
웨인 테일러 | 1996, 2005 | ||
테리 보르첼러 | 2004, 2010 | ||
스콧 샤프 | 1996, 2016 | ||
맥스 안젤레리 | 2005, 2017 | ||
조던 테일러 | 2017, 2019 | ||
고바야시 가무이 | 2019, 2020 | ||
렌거 반 데르 잔데 | 2019, 2020 | ||
리키 테일러 | 2017, 2021 | ||
필리페 알부케르케 | 2018, 2021 | ||
톰 블롬퀴스트 | 2022, 2023 | ||
시몽 파제노 | 2022, 2023 |
5. 2. 제조사별 최다 우승
포르쉐는 911, 935, 996을 포함한 다양한 모델로 총 23번의 우승을 차지하여 제조사 중 가장 많은 우승을 기록하고 있다.[1] 포르쉐는 또한 1977년부터 1987년까지 11번의 연속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1968년부터 1991년까지 23번의 레이스 중 18번의 우승을 차지했다.[1]순위 | 제조사 | 우승 횟수 | 연도 |
---|---|---|---|
1 | 포르쉐 | 19 | 1968, 1970, 1971, 1973, 1975,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5, 1986, 1987, 1989, 1991, 2003, 2024 |
2 | 라일리 | 10 |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5 |
3 | 페라리 | 5 | 1963, 1964, 1967, 1972, 1998 |
4 | 캐딜락 | 4 | 2017, 2018, 2019, 2020 |
5 | 라일리 & 스콧 | 3 | 1996, 1997, 1999 |
아큐라 | 2021, 2022, 2023 | ||
6 | 포드 | 2 | 1965, 1966 |
재규어 | 1988, 1990 | ||
닛산 | 1992, 1994 | ||
10 | 로터스 | 1 | 1962 |
롤라 | 1969 | ||
BMW | 1976 | ||
마치 | 1984 | ||
토요타 | 1993 | ||
크레머 | 1995 | ||
닷지 | 2000 | ||
시보레 | 2001 | ||
달라라 | 2002 | ||
도란 | 2004 | ||
코요테 | 2014 | ||
리제 | 2016 |
5. 3. 엔진 제조사별 최다 우승
포르쉐는 차량 및 엔진 제조사로서 19승 외에 1984년, 1995년, 그리고 데이토나 프로토타입 시대의 2009년과 2010년에 엔진 제조사로만 4승을 더해 총 23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엔진 제조사이다. 제너럴 모터스는 올즈모빌, 폰티악, 시보레, 캐딜락 브랜드를 합쳐 10승을 기록했다.순위 | 엔진 제조사 | 승수 | 연도 |
---|---|---|---|
1 | 포르쉐 | 23 | 1968, 1970, 1971, 1973, 1975,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9, 1991, 1995, 2003, 2009, 2010, 2024 |
2 | 포드 | 6 | 1965, 1966, 1997, 1999, 2012, 2015 |
3 | 페라리 | 5 | 1963, 1964, 1967, 1972, 1998 |
4 | 캐딜락 | 4 | 2017, 2018, 2019, 2020 |
5 | BMW | 3 | 1976, 2011, 2013 |
시보레 | 1969, 2001, 2014 | ||
렉서스 | 2006, 2007, 2008 | ||
아큐라 | 2021, 2022, 2023 | ||
8 | 재규어 | 2 | 1988, 1990 |
닛산 | 1992, 1994 | ||
폰티악 | 2004, 2005 | ||
12 | 코벤트리 클라이맥스 | 1 | 1962 |
토요타 | 1993 | ||
올즈모빌 | 1996 | ||
닷지 | 2000 | ||
저드 | 2002 | ||
혼다 | 2016 |
5. 4. 역대 우승자 목록
필 힐로이드 루비
2월 6일
로이드 루비
스포츠카 국제 챔피언십(International Championship for Sports Cars)
2월 5일
크리스 에이먼
스포츠카 국제 챔피언십(International Championship for Sports Cars)
2월 4일
요헨 네어파쉬
롤프 슈토멜렌
조 시퍼트
한스 헤르만
2월 2일
척 파슨스
2월 1일
레오 키누넨
브라이언 레드먼
1월 31일
재키 올리버
재키 익스
2월 3일
헐리 헤이우드
2월 2일
헐리 헤이우드
IMSA GT 챔피언십(IMSA GT Championship)
2월 1일
브라이언 레드먼
존 피츠패트릭
2월 6일
존 그레이브스
데이브 헬믹
IMSA GT 챔피언십(IMSA GT Championship)
2월 5일
롤프 슈토멜렌
토인 헤제만스
IMSA GT 챔피언십(IMSA GT Championship)
2월 4일
테드 필드
대니 온가이스
IMSA GT 챔피언십(IMSA GT Championship)
2월 3일
폴커 메를
라인홀드 조스트
IMSA GT 챔피언십(IMSA GT Championship)
2월 1일
브라이언 레드먼
밥 가렛슨
IMSA GT 챔피언십(IMSA GT Championship)
1월 31일
존 폴 주니어
롤프 슈토멜렌
2월 6일
프레스턴 헨
밥 볼렉
클로드 발로-레나
2월 5일
토니 마틴
그레이엄 덕스버리
2월 3일
밥 볼렉
알 언서
티에리 부센
2월 2일
데릭 벨
알 언서 주니어
2월 1일
데릭 벨
칩 로빈슨
알 언서 주니어
1월 31일
마틴 브런들
존 닐슨
얀 람머스
2월 5일
데릭 벨
밥 볼렉
2월 4일
얀 람머스
앤디 윌리스
2월 3일
"존 윈터"
프랭크 젤린스키
앙리 페스카롤로
밥 볼렉
2월 2일
호시노 카즈요시
스즈키 토시오
1월 31일
마크 디스모어
로키 모란
2월 6일
스콧 프루엣
버치 레이칭거
스티브 밀렌
2월 5일
크리스토프 부슈
조반니 라바지
마르코 베르너
2월 4일
스콧 샤프
짐 페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