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갑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갑사는 신라 헌강왕 6년에 도선국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고려 시대에는 기록이 없으나, 조선 시대 세조 때 수미대사가 왕실의 지원을 받아 중창했다. 임진왜란, 병자호란, 일제강점기, 한국전쟁을 거치며 많은 문화재가 손실되었고, 1977년 대웅보전 화재로 성보 문화재가 소실되었으나, 1981년 복원되었다. 현재 국보 제50호 영암 도갑사 해탈문, 보물 제89호 영암 도갑사 석조여래좌상 등 많은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으며,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통해 불교 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갑사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수미선사비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수미선사비는 1653년에 건립된 석비로, 도선국사와 수미선사를 기리고 있으며, 평행사선문이 새겨진 귀부, 대리석 비신, 운용문이 조각된 이수 등 독특한 특징을 보이며, 조선 후기 조각사 및 서예사 연구에 중요한 가치를 지녀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 도갑사 - 영암 도갑사 해탈문
영암 도갑사 해탈문은 속세를 벗어나 불교 세계로 들어감을 상징하는 도갑사의 문으로, 조선 시대에 중건되었으며, 주심포식과 다포식이 혼합된 독특한 건축 양식으로 중요한 건축 자료로 평가받는다. - 전라남도의 문화유산자료 - 향일암
향일암은 전라남도 여수시에 위치한 사찰로, 임진왜란 이후 재건되었으며, 대웅전 등을 갖추고 섬 지역의 불교 문화를 보여주는 곳이며, 2009년 화재 이후 매년 새해 첫날 해맞이 행사가 열린다. - 전라남도의 문화유산자료 - 방호정
방호정은 전라남도 구례군과 경상북도 청송군에 있는 정자 건축물로, 구례군의 방호정은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전통 정자이며 청송군의 방호정은 독특한 퇴적암 지층 위에 세워져 지질학적 경관을 자랑한다.
도갑사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도갑사 (道岬寺) |
로마자 표기 | Dogapsa |
위치 | 대한민국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사로 306 (도갑리) |
종교 | |
종파 | 조계종 |
상세 정보 | |
지정 번호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9호 |
지정일 | 1984년 2월 29일 |
2. 역사
도갑사는 해탈문(국보 제50호), 마애여래좌상(국보 제144호), 석조여래좌상(보물 제89호), 문수·보현동자상(보물 제1134호), 오층석탑(보물 제1433호), 대형석조, 도선수미비(보물 제1395호) 등 많은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2. 1. 창건과 고려시대
도갑사는 신라 4대 고승 중 한 명인 도선국사가 신라 헌강왕 6년(880년)에 창건했다.[1] 고려시대에는 관련 기록이 남아 있지 않지만, 조선 초 세조 때 고승인 수미대사가 1456년(세조 2년)에 왕실의 지원을 받아 966칸 규모의 대가람으로 중창했다.[1]2. 2. 조선시대
고려시대에는 기록이 남아 있지 않지만, 조선 초 세조 때 고승인 수미대사가 1456년(세조 2년)에 대가람으로 중창했다고 한다. 세종에 의해 국사로 모셔진 수미대사는 왕실의 지원으로 도갑사를 966칸의 대가람으로 중창했다.조선 효종 4년(1653년)에는 도선수미비 그리고 월출산도갑사석교 중창비 등이 세워졌는데, 당시 영의정과 형조판서 등을 역임하던 이경석, 이수인, 정두경 등이 비문을 썼다고 한다. 그 후로도 1677년(숙종 3년)에는 당간석주를 세웠고, 1682년에는 대형 석조(石槽)를 조성했으며, 18세기 중엽에는 당대 화엄학의 대종주였던 연담유일 스님이 이곳에 머물면서 불교사전이라 할 수 있는 <석전유해>를 편찬했다.
2. 3. 근현대
19세기 이후 도갑사의 역사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임진왜란(1597-1598)과 병자호란(1636-1637) 동안 많은 문화재가 손상되거나 유실되었다. 남아있던 몇 안 되는 문화유산도 일제강점기(1910-1945)와 한국전쟁(1950-1953) 동안 파괴되었다. 수미대사가 사찰을 중창할 당시 상동암, 상연암, 비전암 등 12개의 부속 암자가 있었으나, 현재는 상견성암과 동암 두 곳만 남아있다.[1]1977년 한 방문객의 부주의로 대웅보전에 화재가 발생하여 많은 성보 문화재가 소실되었다. 대웅보전은 1981년에 복원되었다. 2009년 대대적인 발굴 조사가 이루어진 후, 또 다른 복원 사업이 진행되었다.[1]
3. 문화재
정유재란,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많은 문화재가 유실되었다.[1] 그나마 남아있던 것들도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을 겪으면서 소실되었다.[1] 1977년에는 화재로 대웅보전과 많은 문화재가 소실되기도 했지만, 1981년 대웅보전을 복원하고 2009년 대대적인 발굴조사를 마친 후 복원불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절에는 국보 제50호인 영암 도갑사 해탈문과 보물 제89호인 영암 도갑사 석조여래좌상 등 귀중한 문화재가 많이 있다.[1] 이 절 입구에는 벚꽃나무가 1km 이상이나 국도 양편에 늘어서 있어 봄철에는 꽃의 터널을 이룬다.
종목 | 명칭 | 시대 | 지정일 | 비고 |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26호 | 조계사 목불좌상 (석가불) | 조선 | 2000.07.15 | 조계사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48호 | 경국사 목 관음보살좌상 | 조선 | 2007.12.27 | 경국사 |
3. 1. 국가지정 문화재
도갑사에는 국가지정 문화재가 많이 있다. 국보 제50호인 영암 도갑사 해탈문과 보물 제89호인 영암 도갑사 석조여래좌상은 후세에 길이 남을 미술품으로 평가받는다.종목 | 명칭 | 시대 | 지정일 | 비고 |
---|---|---|---|---|
국보 제50호 | 영암 도갑사 해탈문 | 조선 | 1962.12.20 | |
보물 제89호 | 영암 도갑사 석조여래좌상 | 고려 | 1963.01.21 | |
보물 제1134호 | 영암 도갑사 목조문수·보현동자상 | 조선 | 1992.07.28 | |
보물 제1395호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수미선사비 | 조선 | 2004.01.26 | |
보물 제1433호 | 영암 도갑사 오층석탑 | 고려 | 2005.06.13 |
3. 2. 전라남도 지정 문화재
종목 | 명칭 | 시대 | 지정일 | 비고 |
---|---|---|---|---|
국보 제50호 | 영암 도갑사 해탈문 | 조선 | 1962.12.20 | |
보물 제89호 | 영암 도갑사 석조여래좌상 | 고려 | 1963.01.21 | |
보물 제1134호 | 영암 도갑사 목조문수·보현동자상 | 조선 | 1992.07.28 | |
보물 제1395호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수미선사비 | 조선 | 2004.01.26 | |
보물 제1433호 | 영암 도갑사 오층석탑 | 고려 | 2005.06.13 |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50호 | 영암 도갑사 석조 | 조선 | 1987.06.01 |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52호 |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 | 조선 | 1987.06.01 |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76호 | 도갑사도선국사진영 | 조선 | 1990.12.05 |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77호 | 도갑사수미왕사진영 | 조선 | 1990.12.05 | |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18호 | 영암 죽정리 국장승 | 고려 | 1986.02.07 | 절 입구 |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19호 | 영암 소전머리 황장승 | 고려 | 1986.09.29 | 절 입구 |
3. 3. 기타 소장 문화재
도갑사에는 국보 제50호인 영암 도갑사 해탈문과 보물 제89호인 영암 도갑사 석조여래좌상 등 귀중한 문화재가 많이 남아있다.[1]종목 | 명칭 | 시대 | 지정일 | 비고 |
---|---|---|---|---|
국보 제50호 | 영암 도갑사 해탈문 | 조선 | 1962.12.20 | |
보물 제89호 | 영암 도갑사 석조여래좌상 | 고려 | 1963.01.21 | |
보물 제1134호 | 영암 도갑사 목조문수·보현동자상 | 조선 | 1992.07.28 | |
보물 제1395호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수미선사비 | 조선 | 2004.01.26 | |
보물 제1433호 | 영암 도갑사 오층석탑 | 고려 | 2005.06.13 |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50호 | 영암 도갑사 석조 | 조선 | 1987.06.01 |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52호 |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 | 조선 | 1987.06.01 |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76호 | 도갑사도선국사진영 | 조선 | 1990.12.05 |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77호 | 도갑사수미왕사진영 | 조선 | 1990.12.05 | |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18호 | 영암 죽정리 국장승 | 고려 | 1986.02.07 | 절 입구 |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19호 | 영암 소전머리 황장승 | 고려 | 1986.09.29 | 절 입구 |
국보 제185호 | 상지은니묘법연화경 | 고려 | 1976.04.23 | 국립중앙박물관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26호 | 조계사 목불좌상 (석가불) | 조선 | 2000.07.15 | 조계사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48호 | 경국사 목 관음보살좌상 | 조선 | 2007.12.27 | 경국사 |
4. 체험 및 시설
도갑사는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방문객들이 불교 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1]
4. 1. 템플스테이
도갑사는 내국인을 위한 다양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1]5. 사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