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임 기간 동안의 미국 행정부를 의미한다. 주요 구성원으로는 부통령 마이크 펜스, 국무장관 렉스 틸러슨, 마이크 폼페이오, 국방부 장관 제임스 매티스, 패트릭 M. 섀너핸, 마크 에스퍼 등이 있었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하며, 동맹국과의 관계 재정립, 북한과의 정상회담, 중국과의 통상 마찰 등 외교 정책에 변화를 겪었다. 또한, 국내 정책으로는 코로나19 팬데믹 대응, 경제 정책, 이민 정책, 사회 정책 등이 추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 -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은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을 대체하기 위해 미국, 멕시코, 캐나다가 2018년 합의하여 2020년 발효한 자유무역협정으로, 자동차 부품 역내 생산 비율 상향, 고임금 노동자 생산 비중 할당, 캐나다 낙농 시장 개방 등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16년 유효 기간에 6년마다 재검토가 가능하다.
  •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 - 2018년 부에노스아이레스 G20 정상회의
    2018년 부에노스아이레스 G20 정상회의는 2018년 11월 30일 아르헨티나에서 개최되었으며, G20 회원국 정상 및 유럽 연합 대표 등이 참가했다.
  • 미국의 대통령 임기 - 조 바이든 행정부
    조 바이든 행정부는 2021년 1월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으로 시작되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함께 코로나19 팬데믹, 경제 회복, 사회적 형평성 증진, 기후 변화 대응 등의 국내외 정책을 추진하며, 특히 "더 나은 재건 계획"을 통해 공공 투자를 확대하고 중국을 경쟁 상대로 규정하며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고 있다.
  • 미국의 대통령 임기 -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는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도널드 트럼프가 재선될 경우 구성될 것으로 예상되며, 대한민국 정부는 한미 동맹 발전과 정책 변화 대비를 위한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2010년대 미국 - 드릴 음악
    드릴 음악은 거리의 삶을 반영하는 가사와 음울한 랩, 독특한 프로덕션으로 특징지어지는 힙합의 하위 장르로, 시카고에서 시작되어 UK 드릴, 브루클린 드릴 등으로 확장되며 논란 속에서도 젊은 음악가들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 2010년대 미국 - 버락 오바마 행정부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2009년부터 2017년까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재임 기간으로, 금융 위기 이후 경기 부양책, 오바마케어, 금융 규제 강화 등 국내 정책과 이라크 전쟁 종식, 이란 핵 합의, 쿠바 관계 정상화 등 외교적 성과를 이루었으나, 실업률, 정치 양극화, 총기 난사 사건 등의 과제와 중간 선거에서 민주당의 의회 다수당 지위 상실이라는 어려움도 겪었다.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
기본 정보
명칭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
임기 시작2017년 1월 20일
임기 종료2021년 1월 20일
수반 명칭대통령
수반도널드 트럼프
부수반 명칭부통령
부수반마이크 펜스
내각제1차 도널드 트럼프 내각
여당공화당
선거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2016년)
전임버락 오바마 행정부
후임조 바이든 행정부

2. 행정부 구성원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는 행정부 각료와 대통령실 구성원으로 나뉜다. 행정부 각료는 대통령부통령을 비롯하여 각 부처 장관들로 구성되며, 대통령실 구성원은 대통령 비서실장, 환경보호국장, 행정관리예산국장, 무역대표부 대표, 유엔 주재 대사 등으로 구성된다.

2. 1. 행정부 각료

직책사진이름재임 기간비고
대통령도널드 트럼프2017년~2021년트럼프 기업 수장
부통령마이크 펜스2017년~2021년인디애나주 주지사
국무부 장관렉스 틸러슨2017년~2018년
마이크 폼페이오2018년~2021년
재무부 장관스티븐 므누신2017년~2021년
국방부 장관제임스 매티스2017년~2019년
패트릭 M. 섀너핸2019년
마크 에스퍼2019년~2020년
법무부 장관제프 세션스2017년~2019년
윌리엄 바2019년~2021년
내무부 장관라이언 징키2017년~2019년
데이비드 베른하르트2019년~2021년
농무부 장관소니 퍼듀2017년~2021년
상무부 장관윌버 로스2017년~2021년
노동부 장관알렉산더 아코스타2017년~2019년
펫 피첼라2019년
유진 스칼리아2019년~2021년
보건복지부 장관톰 프라이스2016년~
주택도시개발부 장관벤 카슨2017년~2021년
교통부 장관일레인 차오2017년~2021년
에너지부 장관릭 페리2017년~2021년
교육부 장관베치 디보스2017년~2021년
보훈부 장관데이비드 셜킨2017년~2018년
로버트 윌키2018년~2021년
국토안보부 장관존 F. 켈리2017년
커스틴 닐슨2017년~2019년
케빈 맥아레난2019년~2020년
채드 울프2020년~2021년
대통령 비서실장라인스 프리버스2017년
존 F. 켈리2017년~2019년
믹 멀베이니2019년~2020년
마크 메도스2020년~2021년
환경보호국장스콧 프루잇2017년~2018년
앤드류 휠러2018년~2021년
행정관리예산국장믹 멀베이니2017년~2021년
무역대표부 대표로버트 라이트하이저2017년~2021년
유엔 주재 대사니키 헤일리2017년~2018년
조너선 코언2018년~2020년
켈리 나이트 크래프트2020년~2021년


2. 2. 대통령실 구성원

관직명사진이름재임 기간비고
대통령 비서실장라인스 프리버스2017년
대통령 비서실장존 F. 켈리2017년~2019년
대통령 비서실장믹 멀베이니2019년~2020년
대통령 비서실장마크 메도스2020년~2021년
환경보호국장스콧 프루잇2017년~2018년
환경보호국장앤드류 휠러2018년~2021년
행정관리예산국장믹 멀베이니2017년~2021년
무역대표부 대표로버트 라이트하이저2017년~2021년
유엔 주재 대사니키 헤일리2017년~2018년
유엔 주재 대사조너선 코언2018년~2020년
유엔 주재 대사켈리 나이트 크래프트2020년~2021년


3. 사법부

도널드 트럼프는 임기 중 닐 고서치, 브렛 캐버노, 에이미 코니 배럿, 커탄지 브라운 잭슨 등 4명의 미국 연방 대법원 종신 대법관을 임명하였다.[1]

4. 국내 정책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의 국내 정책은 여러 분야로 나눌 수 있다.

4. 1. 코로나19 팬데믹 대응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미국 내 사망자가 급증하였다.[1]

5. 외교 정책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하며 취임 직후 파리 협정유네스코를 탈퇴하는 등 외교 활동을 진행하였다. 그는 우방국, 경쟁국, 적국 모두에게 미국 우선주의를 적용할 것을 밝혔다.[2] 이는 주한 미군 방위비 분담금 인상 압박 및 한미 자유 무역 협정 개정으로 이어졌다. 또한, 미국 대통령 최초로 김정은과 정상회담을 가졌으며,[3] 미중 패권 경쟁에서 보호무역주의를 통해 중국을 압박하였다.[4][5][6]

5. 1. 동아시아 정책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하며 우방국, 경쟁국 및 적국에 대해서 이를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2] 이는 동맹국인 한국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 미군 방위비 분담금 인상 압박 및 한미 자유 무역 협정 개정으로 이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대통령 최초로 북한의 지도자인 김정은과 두 차례의 정상회담을 가졌다.[3] 또한 미국의 잠재적 경쟁 국가로 인식되어온 중국에 대해서도 통상 분야에서 압박을 가하였다. 미중 패권 경쟁에서 미국과 중국 간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서 보호무역주의에 기반하여 중국을 압박하기 시작하였다.[4][5][6]

5. 2. 중동 정책

Donald Trump영어 대통령은 취임 직후 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하며 외교 정책을 펼쳤다. 주어진 소스에는 중동 정책에 관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외교 정책 기조가 중동 정책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리 협정 탈퇴, 유네스코 탈퇴 등 일방주의적 외교 행보는 중동 지역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을 가능성이 있다. 이란 핵 합의 탈퇴나 이스라엘 편향 정책 등은 이러한 기조 하에서 중동 지역의 불안정을 심화시켰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2]

5. 3. 유럽/러시아 정책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하며 우방국, 경쟁국 및 적국에 대해서 이를 적용할 것이라고 분명하게 밝혔다.[2]

5. 4. 국제기구 및 다자협정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파리 협정에서 탈퇴하고, 유네스코에서도 이스라엘과 함께 탈퇴했다.[2] 그는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며 동맹국, 경쟁국, 적국 모두에게 이를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2]

6. 갤러리

참조

[1] 논문 미국의 공중보건위기 대응 체계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https://www.kihasa.r[...] 2020-06-30
[2] 논문 트럼프의 미국우선주의와 한미안보 관계의 쟁점 https://www.dbpia.co[...] 2017-01-01
[3] 웹인용 "[정리뉴스] 1박 2일간의 드라마, 2차 북미 정상회담과 그 주역들" https://www.khan.co.[...] 2019-03-02
[4] 웹인용 월간 통상 https://tongsangnews[...] 아이엔티랩 2024-11-14
[5] 논문 트럼프정부의 대중국 안보정책: 바이든정부와의 비교연구 https://www.dbpia.co[...] 2021-06-01
[6] 논문 G2 무역전쟁이 한국무역에 미치는 영향 https://www.dbpia.co[...] 2020-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