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덴 아라카와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덴 아라카와선은 도쿄도 교통국이 운영하는 노면전차 노선으로, 1913년 개통된 구간을 포함하여 현재 미노와바시에서 와세다까지 운행된다. 1960년대 노면전차 폐지 흐름 속에서도 대부분 전용 궤도로 운행되며, 버스 운행의 어려움과 지역 주민의 존속 요구로 살아남았다. 1974년 27계통과 32계통을 통합하여 '아라카와 선'으로 개칭되었으며, 2007년 9000형 전차 운행과 함께 정류장 개선, 추억 광장 조성 등 노선 환경 개선이 이루어졌다. 현재 7700형, 8500형, 8800형, 8900형, 9000형 등 다양한 차량이 운행되며, 1일 승차권, IC 카드 등 다양한 승차권을 이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쿄도 교통국 - 도에이 버스
    도에이 버스는 도쿄도 교통국에서 운영하며, 도쿄 시덴 대체 수단으로 시작되어 다마 지역 확장, 노선 재편 등을 거치며 변화했고, 서비스 개선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다.
  • 도쿄도 교통국 - 오쿠타마호
    오쿠타마호는 도쿄도와 야마나시현에 걸쳐 있는 인공 호수로, 1957년 오고치 댐 건설로 조성되었으며, 벚꽃 명소로 알려져 있고, 다양한 관광 시설과 특촬물 촬영지로 활용된다.
  • 197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197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상파울루 지하철
    상파울루 지하철은 1974년 개통 이후 6개 노선이 운영 중이며, 2019년 평일 평균 530만 명의 승객을 수송하는 상파울루 시민의 주요 교통 수단으로 도시 교통망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일본의 노면전차 노선 - 히로시마 전철 본선
    히로시마 전철 본선은 일본 히로시마시를 운행하는 노면전차 노선으로, 총 5.4km 구간에 20개의 정류장이 있으며, 1912년에 개통되어 1945년 원폭 투하로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복구되었고, 히로시마 전철 시내선 모든 노선이 경유한다.
  • 일본의 노면전차 노선 - 오카야마 전기궤도 히가시야마 본선
    오카야마 전기궤도 히가시야마 본선은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의 오카야마역 앞과 히가시야마·오카덴 박물관역을 잇는 3.1km 길이의 노면전차 노선으로, 1912년에 개업하여 11개의 정류장을 운영하며, 2027년 봄에 오카야마역전으로 연장될 예정이다.
도덴 아라카와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개요
2014년 9월 아라카와 차량기지 앞에서 촬영된 도에이 8800계 전차
노선 이름도덴 아라카와 선 (都電荒川線)
다른 이름도쿄 사쿠라 트램 (東京さくらトラム, Tōkyō Sakura Toramu)
노선 종류경전철 및 노면전차
운영 상태운행 중
위치도쿄도
기점와세다
종점미노와바시 정류장
역 수30개
개업1911년 (오지 전기 궤도, 오쓰카 역 앞 - 아스카야마)
아라카와 선 개통1974년
소유자도쿄도 교통국 (도에이)
운영자도쿄도 교통국
차량 기지아라카와 전차 영업소
사용 차량도에이 7000형 전차
도에이 8500형 전차
도에이 8800형 전차
도에이 8900형 전차
도에이 9000형 전차
노선 길이12.2 km
궤도 간격1372 mm
복선 유무복선
전기 방식직류 600 볼트 가공 가선
최고 속도40 km/h
노선 정보
역 목록
역 번호SA01
역 이름미노와바시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Minowabashi
환승 노선도쿄 지하철 히비야 선 미노와 역
역 번호SA02
역 이름아라카와 잇추마에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Arakawa-itchūmae
환승 노선해당 없음
역 번호SA03
역 이름아라카와 구야쿠쇼마에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Arakawa-kuyakushomae
환승 노선해당 없음
역 번호SA04
역 이름아라카와 니초메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Arakawa-nichōme
환승 노선해당 없음
역 번호SA05
역 이름아라카와 나나초메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Arakawa-nanachōme
환승 노선해당 없음
역 번호SA06
역 이름마치야 역 앞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Machiya-ekimae
환승 노선게이세이 전철 본선 마치야 역
도쿄 지하철 지요다 선 마치야 역
역 번호SA07
역 이름마치야 니초메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Machiya-nichōme
환승 노선해당 없음
역 번호SA08
역 이름히가시오구 산초메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Higashi-ogu-sanchōme
환승 노선해당 없음
역 번호SA09
역 이름구마노마에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Kumanomae
환승 노선닛포리·도네리 라이너 구마노마에 역
역 번호SA10
역 이름미야노마에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Miyanomae
환승 노선해당 없음
역 번호SA11
역 이름오다이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Odai
환승 노선해당 없음
역 번호SA12
역 이름아라카와 유원지 앞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Arakawa-yūenchimae
환승 노선해당 없음
역 번호SA13
역 이름아라카와 샤코마에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Arakawa-shakomae
환승 노선해당 없음
역 번호SA14
역 이름가지와라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Kajiwara
환승 노선해당 없음
역 번호SA15
역 이름사에카초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Sakaechō
환승 노선해당 없음
역 번호SA16
역 이름오지 역 앞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Ōji-ekimae
환승 노선동일본 여객철도 게이힌 도호쿠 선 오지 역
도쿄 지하철 난보쿠 선 오지 역
역 번호SA17
역 이름아스카야마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Asukayama
환승 노선해당 없음
역 번호SA18
역 이름다키노가와 잇초메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Takinogawa-itchōme
환승 노선해당 없음
역 번호SA19
역 이름니시가하라 욘초메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Nishigahara-yonchōme
환승 노선해당 없음
역 번호SA20
역 이름신코신즈카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Shin-kōshinzuka
환승 노선도영 지하철 미타 선 니시스가모 역
역 번호SA21
역 이름고신즈카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Kōshinzuka
환승 노선해당 없음
역 번호SA22
역 이름스가모신덴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Sugamoshinden
환승 노선해당 없음
역 번호SA23
역 이름오쓰카 역 앞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Ōtsuka-ekimae
환승 노선동일본 여객철도 야마노테 선 오쓰카 역
역 번호SA24
역 이름무코하라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Mukōhara
환승 노선해당 없음
역 번호SA25
역 이름히가시이케부쿠로 욘초메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Higashi-ikebukuro-yonchōme
환승 노선도쿄 지하철 유라쿠초 선 히가시이케부쿠로 역
역 번호SA26
역 이름도덴 조시가야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Toden-zōshigaya
환승 노선해당 없음
역 번호SA27
역 이름기시보진마에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Kishibojinmae
환승 노선도쿄 지하철 후쿠토신 선 조시가야 역
역 번호SA28
역 이름가쿠슈인시타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Gakushūin-shita
환승 노선해당 없음
역 번호SA29
역 이름오모카게바시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Omokagebashi
환승 노선해당 없음
역 번호SA30
역 이름와세다 정류장
로마자 역 이름Waseda
환승 노선해당 없음

2. 역사

도덴 아라카와선은 오지 전기 궤도가 부설하고 도쿄시(현 도쿄도)가 매수한 노선으로, 원래는 27계통(미노와바시 정류장- 아카바네)과 32계통(아라카와 차고앞 정류장- 와세다 정류장)으로 나누어 운행되었다. 1960년대 노면 전차 폐지 흐름 속에서도 대부분 전용 궤도로 이루어져 있고, 대체 교통수단 마련이 어려워 지역 주민들의 요구로 존속되었다.

1972년 11월 12일 도덴 노선 대부분이 폐지된 후에도, 27계통 일부(오지 역 앞 - 아카바네)를 제외하고 존속하였다. 1974년 두 계통을 통합하여 "아라카와선"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74년 통합 당시 1일 평균 약 9만 3천 명이었던 승객 수는 2006년 5만 3천 명대, 2011년에는 4만 9천 명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연선 사업소나 학교 이전, 다른 노선으로의 승객 분산 등이 원인이 되었다.

2007년부터 일부 정류장에 가스등을 본뜬 가로등을 설치하고, 1955년경을 재현한 안내판, 시계탑 등을 설치하였다. 아라카와 전차 영업소 내에는 "도덴 추억 광장"을 만들어 구형 차량을 전시하고 있다.

2008년부터 2009년 사이에는 오지-아스카야마 간에서 우천 시 차량 미끄러짐 사고가 4건 발생하여 도와 경시청이 대책을 검토하였다.

2018년 10월 21일에는 미노와바시 정류장 근처에 "미노와바시 추억관"을 개설하여 승차권 판매 및 연선 안내를 하고 있다.

2019년 1월 17일에는 에어비앤비와 협력하여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TODEN LIFE TOURISM"을 시작하였다.

2. 1. 오지 전기 궤도 시대

아라카와선은 원래 오지 전기 궤도(王子電気軌道)가 부설한 노선으로, 도쿄시(현 도쿄도)가 이를 매수하면서 시작되었다. 도쿄도 전차(도덴) '''27계통'''(미노와바시 - 아카바네)과 '''32계통'''(아라카와 차고 앞 - 와세다)으로 불리며 두 개의 노선으로 별도로 운행되었다.[21] 이러한 역사적 배경 때문에, 오지 전기 궤도 시절부터 이용해 온 사람들 중에는 এখনো "'''오지 전차'''"(약칭 "'''오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1985년 당시의 도덴 아라카와선 (오지 역 앞 - 아스카야마 간)


1960년대에 교통 체증이 심해지고, 적자 공공 사업 정리 및 도영 지하철 정비 비용 부담 등의 이유로 1967년부터 도쿄도는 도덴 노선을 순차적으로 폐지하기 시작했다.[11] 현재 아라카와선 구간도 제1차 재정 재건 계획에 따라 27계통은 1970년에, 32계통은 1971년에 폐지될 예정이었다.[22] 그러나 이 노선은 90%가 전용 궤도로 이루어져 있어 자동차 통행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고, 노선과 거의 평행하게 뻗어 있는 메이지도리의 교통 체증이 심각하여 노선 버스(도영 버스)를 이용한 대체 운행으로는 정시 운행이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노선 전체를 대체할 만한 적절한 도로가 없어 궤도 부설을 도로로 전환할 경우 배기가스, 소음 등 자동차 공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고, 지역 주민들을 중심으로 노선 존속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23]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1972년 11월 12일까지 대부분의 도덴 노선이 폐지된 후에도, 이 노선은 국도 122호 상에 있던 27계통의 일부(오지 역 앞 - 아카바네 간) 구간만이 대체 수송이 가능하다는 이유로 폐지되었을 뿐, 대부분의 구간은 존속하게 되었다. 1974년 10월 1일부터는 별개 계통으로 운행되던 27계통과 32계통을 통합하여 미노와바시 - 와세다 간을 일체로 운행하기 시작했고, 동시에 안내상의 통일된 노선명으로 "아라카와선"이라는 명칭이 제정되었다.

원래 선적상의 정식 노선명은 미카와시마선(미노와바시 - 구마노마에), 아라카와선(구마노마에 - 오지 역 앞), 타키노가와선(오지 역 앞 - 오쓰카 역 앞), 와세다선(오쓰카 역 앞 - 와세다)으로 4개로 나뉘어져 있었으며, 계통 통합 후에도 오랫동안 『철도 요람』에는 4개의 노선명이 기재되어 있었다. 1995년 판 『철도 요람』부터 선적상의 정식 노선명도 "아라카와선"으로 통일되었다.

폐지된 구 27계통 오지 역 앞 - 아카바네 간(아카바네선)은 거의 같은 경로에 도영 버스 왕57계통이 대체 노선으로 설정되었다. 구 27계통 종점인 "아카바네" 정류장은 JR 동일본 아카바네역 근처가 아니라, 현재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 아카바네이와부치역 근처 도도 311호(환상 8호선)와 국도 122호(기타 혼도리)가 교차하는 아카바네 교차점 부근 기타 혼도리 상에 있었다(다만 도영 버스 왕57계통은 이곳을 경유하지 않고 남동쪽으로 아카바네 2초메 정류장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구간에는 1991년 11월 29일 제도고속도교통영단(현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이 개통되었다.

2. 2. 도쿄시, 도쿄도 시대

이 노선은 원래 오지 전기 궤도(王子電気軌道)가 광범위한 네트워크의 일부로 건설했으며, 오늘날까지 운영되는 가장 오래된 구간은 1913년에 개통되었다. 1960년대에 도쿄의 다른 노면 전차 시스템과 함께 폐쇄될 위기에 처했지만, 주민들의 합심한 반대로 인해 이 노선은 유지되었고, 27번 노선(미노와바시-아카바네)과 32번 노선(아라카와-와세다)의 일부가 합쳐져 현재의 노선이 되었다.

1960년대의 교통 체증 심화에 대한 대책 및 적자 공공 사업 정리, 도영 지하철 정비의 비용 부담을 배경으로, 도쿄도는 1967년부터 도덴을 잇따라 폐지했다.[11] 현재의 아라카와선 구간에 대해서도, 제1차 재정 재건 계획에서 27계통은 1970년도, 32계통은 1971년도에 폐지할 예정이었다.[22] 그러나 노선의 9할이 전용 궤도로 자동차 통행에 대한 지장이 적다는 점과, 당 노선과 거의 평행하고 있는 메이지도리의 체증이 상시적이어서 노선 버스(도영 버스)에 의한 운행 대체로는 정시 운행이 곤란하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노선 전체에 평행하는 적당한 도로가 없고, 대체 수송에 따라 궤도 부설을 도로화함으로써 배기가스·소음 등의 자동차 공해도 우려되었으며, 연선 주민을 중심으로 하는 이용객으로부터도 당 노선의 존속 요구가 강했다.[23]

앞서 언급했듯이 대부분이 전용 궤도이므로 교통 체증을 일으키는 경우가 드물고, 노선의 관리도 비교적 용이하다는 점을 감안하여, 1972년 11월 12일까지 도덴 노선의 대부분이 폐지된 후에도, 당 노선은 국도 122호 상에 있던 27계통의 일부(오지 역 앞 - 아카바네 간)가 대체 수송 가능으로 폐지되었을 뿐, 대부분이 존속하게 되었다.

1974년 10월 1일부터, 지금까지 별개 계통으로 운행되던 27계통과 32계통을 통합하여 미노와바시 - 와세다 간에서의 일체 운행을 시작했고, 동시에 안내상의 통일 노선명으로 "아라카와선"의 명칭이 제정되었다.

아라카와선은 오지 전기 궤도에 의해 부설된 노선을 도쿄시(현 도쿄도)가 매수한 것을 시초로, 도덴 '''27계통'''(미노와바시 - 아카바네) 및 '''32계통'''(아라카와 차고 앞 - 와세다)이라고 칭하며 2개 노선으로 별도로 운행했다.[21] 이러한 경위로, 오지 전기 궤도 이래의 이용객 중에는 아직도 "'''오지 전차'''" (약칭 "'''오덴'''")라고 칭하는 사람도 있다.

원래의 선적상의 정식 노선명은 미카와시마선(미노와바시 - 구마노마에), 아라카와선(구마노마에 - 오지 역 앞), 타키노가와선(오지 역 앞 - 오쓰카 역 앞), 와세다선(오쓰카 역 앞 - 와세다)으로 4개로 나뉘어져 있었으며, 계통 통합 후에도 오랫동안 『철도 요람』에는 4개의 노선명이 기재되어 있었다. 1995년 판의 『철도 요람』부터, 선적상의 정식 노선명도 "아라카와선"으로 통일되었다.

폐지 구간이 된 구 27계통 오지 역 앞 - 아카바네 간(아카바네선)에 대해서는, 거의 같은 루트에 대체로 도영 버스 왕57계통이 설정되었다. 구 27계통 종점의 "아카바네" 정류장은 JR 동일본의 아카바네역 부근이 아니라, 현재의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아카바네이와부치역 근처의 도도 311호(환상 8호선)과 국도 122호(기타 혼도리)가 교차하는 아카바네 교차점 부근의 기타 혼도리 상에 있었다(도영 버스 왕57계통은 이곳을 경유하지 않고, 남동쪽으로 아카바네 2초메 정류장이 설치되어 있다). 이 구간에는 1991년 11월 29일에 영단 지하철(현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이 개업했다.

운송 성적[24]
연도승객 수
197531,880,230
198027,474,570
198523,519,503
199024,198,246
199522,619,658
200020,894,415
200519,881,531
201018,073,714



1974년 "아라카와선" 개편 직후의 승강객은 1일 평균 약 9만 3천 명이었다. 그 후, 승객 수는 점감하여 1일 평균 5만 5,000 - 5만 8,000명으로 추이, 2006년도에는 5만 3,000명대로 1974년 개편 초기의 약 6할로, 2011년 말의 국 공식 통계에서는 49,130명으로 5할 2분까지 저하하고 있다. 2018년까지의 10년간은 4만 5000명 - 5만 2000명 정도로 추이하고 있으며, 아라카와선 단독의 수지가 흑자가 된 것은 2년뿐이다.[11] 여기에는 연선의 사업소나 교육 기관의 교외 이전, 아라카와선이 달리는 도쿄도 구부 북부에서의 다른 공공 교통 기관(JR 동일본의 야마노테선·게이힌 도호쿠선·조반선, 도쿄 메트로의 지요다선·유라쿠초선·히비야선·난보쿠선·부도심선, 도영 미타선, 닛포리·토네리 라이너, 도영 버스)으로의 승객 분산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만, 아라카와선 이용객이 JR 동일본 각선으로 환승하는 오지 역 앞과 오쓰카 역 앞의 양 정류장에서는, 시간대를 불문하고 승강객이 다수 있다.

2007년 5월 27일의 9000형 영업 운전 개시에 관련하여, 일부 정류장의 조명가스등을 본뜬 가로등 설치가 계획되었다. 1955년경을 이미지한 안내 사인, 시계탑, 공중 화장실이나 지역 정보 발신 코너 등도 등장했고, 그 제1탄이 미노와바시 정류장이 되었다. 아라카와 전차 영업소 부지 내에 유치선에 남아 있던 도덴의 구형 차량 2량(5500형 5501·7500형 7504)을 이설하여, "도덴 추억 광장"으로서 전시하고 있다. 매주 주말에 공개하고, 차량에 따라 정류장을 본뜬 나무 데크를 설치하여, 이벤트 공간도 확보되어 있다. 12월 25일부터 2008년 4월 4일까지는 화장실이나 차량을 덮는 지붕의 신설 등을 하는 개수 공사를 위해 휴원했다. 12월 19일에는 게이신즈카 정류장도 미노와바시와 같은 스타일로 다시 태어났다.

2008년 4월부터 2009년 1월에 걸쳐, 메이지도리 상의 급경사를 달리는 오지 - 아스카야마 간에, 우천 시에 대형 덤프 트럭이나 레저용 다목적차량(RV)이 미끄러짐·전복하여 선로를 막아, 운행할 수 없게 되는 사고가 4건 발생했다.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 우려도 있기 때문에, 도와 경시청이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25]

2018년 10월 21일, 도덴을 포함한 도영 교통의 승차권·굿즈 판매나 연선 안내의 거점으로서, 미노와바시 정류장 근처에 "미노와바시 추억관"을 개설했다.[26]

외국인 관광객의 이용 촉진책으로서 이 외에도, 연선에 남아 있는 옛날부터의 생활과 전통 문화를 체험하게 하는 "TODEN LIFE TOURISM"을, 에어비앤비와 협력하여 2019년 1월 17일에 시작했다.[27]

2. 3. 통합 이후

도쿄 23구 안에 많이 있었던 노면 전차 노선 가운데 아라카와 선은 유일하게 남은 노선으로 운영되고 있다. 도쿄도 내를 달리는 궤도선은 신교통 유리카모메의 궤도 취급 부분을 제외하면 도큐 세타가야 선과 아라카와 선뿐이다.

아라카와 선은 오지 전기 궤도를 도쿄시(현 도쿄도)가 매수한 것으로, 원래는 27계통과 32계통으로 따로 운행했지만, 1972년 11월 12일에 노면 전차 전면 폐지 과정에서 전용 궤도를 가진 이 노선이 아라카와 선으로 남았다. 지금도 나이든 사람들 중에는 "오지 전철"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차도와 구분되어 있지 않은 병용 구간은 메이지 도리(국도 122호) 위의 오지 역 앞 - 아스카야마 사이뿐이다. 이전에는 오다이 - 미야노마에 사이에도 있었지만, 도로확폭에 따라 차도와 선로가 분리되었다. 그 밖에 이 구간을 포함한 오다이 - 구마노 앞 사이의 도로 중앙을 센터 리져베이션 방식으로 다니고 있다. 그 이외의 구간은 대부분이 전용 궤도이다.

현재는 1량 편성(단행)의 1인 승무로 운행되고 있다.

1985년 아스카야마 정류장 인근의 노면 전차.]]

1960년대의 노면 전차 폐지 흐름 중에서, 27계통(미노와바시 - 아카바네)과 32계통(아라카와 차고 앞 - 와세다)은 노선의 대부분이 원래 사철인 오지 전기 궤도에 의해 건설되었고, 에노시마 전철이나 게이세이 전철과 같이 "교외 전철"의 색조가 강하고, 대부분이 전용 궤도였다. 또한 노선이 거의 병행하는 메이지도리는 정체가 항상 발생했기 때문에 버스로는 정시 운행이 어려웠다. 그래서 대체 버스 운행이 어렵고, 연선 주민이나 도민으로부터의 존속 요망이 강했다.

결국, 기타모토 거리 위에 있었던 27계통의 일부(오지 역 앞 - 아카바네간)만 폐지되었다. 1974년에 별개 계통으로 운행되던 27계통과 32계통을 통합해 "아라카와 선"이라고 이름을 바꾸었다. 같은 해 1일 평균 약 9만 명의 이용이 있었지만, 연선의 공장이나 대학 이전, 난보쿠 선 개통의 영향 등으로 이용객이 감소하여 2006년에는 5만 3,000명대로 당초의 60% 정도로 침체되었다. 현재 27계통의 오지 역 앞 - 아카바네간에는 도쿄 도 경영 버스 57계통이 운행되고 있다.

27계통 종점인 "아카바네"는 현재의 동일본 여객철도(JR동일본) 아카바네역이 아니고 도쿄 도 도로 311호·국도 122호(기타모토)의 "아카바네 교차점" 부근으로, 현재의 난보쿠 선·사이타마 고속철도선 아카바네이와부치 역 지상 부근의 기타모토 거리에 있었다. 사이타마현에서는 아카바네로부터 가와구치시 또는 하토가야 시 방면으로의 노면 전차 연장이 요구되었지만, 후에 사이타마 고속철도선으로 실현되었다.

이 노선은 원래 오지 전기 궤도가 광범위한 네트워크의 일부로 건설했으며, 오늘날까지 운영되는 가장 오래된 구간은 1913년에 개통되었다. 1960년대에 도쿄의 다른 노면 전차 시스템과 함께 폐쇄될 위기에 처했지만, 주민들의 반대로 이 노선은 유지되었고, 27번 노선(미노와바시-아카바네)과 32번 노선(아라카와-와세다)의 일부가 합쳐져 현재의 노선이 되었다. 1974년에는 도쿄 도 교통국에 매각되었고, 도덴 아라카와선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도덴 아라카와선은 미노와바시 정류장과 와세다 정류장 사이에서 운행된다. 아스카야마 정류장과 오지역앞 정류장 사이에서는 메이지 거리를 따라 운행한다. 그 외 구간에서는 자체 궤도로 운행된다. 현재, 단독 운전자가 운전하는 차량은 12.2km의 거리를 50분 만에 주파한다. 궤간은 1372mm이다. 노선은 완전한 복선이며, 600 V의 전력을 공급받는다.

2006년 6월 13일, 도덴 아라카와 노면 전차 두 대(하나는 영업 운행 중, 다른 하나는 제동 시험 중)가 미노와바시 종점 부근에서 충돌하여 27명이 부상을 입었다.

1977년 10월 1일 이후 1량 편성(단행)으로, 운전사만 승무하는 원맨 운전이 채택되었다(전 열차 원맨 운전화는 다음 해 4월 1일부터 실시). 차장은 배치되지 않았으며, 운전사는 운전 외에 차내 방송 조작, 운임 수수를 혼자 수행한다. 또한, 다객 시간대의 오지 역 앞을 제외하고는, 정류장에 "역무원"도 배치되어 있지 않아, 노면전차나 노선버스의 표준적인 형태가 되었다.

3. 운행 형태

이른 아침과 심야를 제외하고 평균 5-6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전 구간 운행이 중심이지만 오지역 앞, 아라카와 차고 앞, 마치야역 앞, 오쓰카역 앞 발착의 구간 운전도 있다. 각 정류장의 평일 시각표는 「5-6분 간격」이라고 표기되어 있어 명확한 시각표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각 정류장에는 전철 접근과 행선지를 표시하는 안내 표시기가 설치되어 있다. 또, 혼잡 시간대를 중심으로 2차량의 전철이 속행 운전하는 경우도 있다. 토요일·휴일 중, 특히 맑은 날에는 이용자가 증가하기 때문에 구간 운전 전철을 임시로 증편하는 일도 자주 있다.[1]

전 노선이 하나의 계통으로 운영되며 계통 번호는 없다. 전 노선 운행 열차와 구간 운행 열차가 존재한다. 구간 운행은 오지역·아라카와 차고 앞·마치야 역 앞·오쓰카 역 앞의 각 정류장을 시종착역으로 하는 것이 있다. 가장 짧은 구간 운행은 야간에 운행되는 오지 역 앞 - 아라카와 차고 앞 구간(소요 시간 4분)이다.[1]

아침과 저녁에는 대략 2분에서 5분, 낮에도 6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이른 아침·심야 등 시간대에도 최대 10여 분 이내에 다음 열차가 운행된다. 각 정류장 홈에 게시된 시간표에는 낮 시간대의 표시란에 평일은 "6 - 7분 간격", 토요일과 휴일은 "6분 간격"으로 표기되어 있다. 전 노선의 소요 시간은 낮 시간 기준 56분이다.[1]

각 정류장에는 다음에 도착하는 열차의 행선지와 현재 도착 위치를 표시하는 발차 표시가 설치되어 있다. 혼잡 시간대를 중심으로 여러 열차가 연이어 운행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의도적인 것이 아니다. 혼잡 시간대에는 각 정류장에서 많은 승객의 승하차 시간이 길어지고, 병용 궤도에서의 교통 혼잡 및 공도와의 평면 교차로에서의 정지 신호로 인해 실제 운행이 표준 운행 시간에 비해 지연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1]

이전에는 도영 버스와 마찬가지로, 최종 열차 바로 전 열차를 녹색 배경의 행선지 표시로, 최종 열차를 빨간색 배경으로 표시하여 안내했다. 그 후, 신형 차량 도입이 진행됨에 따라, 최종 열차 바로 전 열차의 표시는 폐지되었지만, 최종 열차에 대해서는 "막차" 표시를 병기하여 안내하고 있다.[1] 임시 열차는 궤도법 준수를 활용하여 유연하게 운행되며, 토요일·휴일 낮, 특히 맑은 날씨에 이용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예고 없이 구간 열차를 임시 증편하는 경우가 있다. 전세 운행도 실시하고 있다.[1]

4. 운임 및 승차권

도덴 아라카와선은 도영 버스(23구 내)와 마찬가지로 "앞문 승차·뒷문 하차", "운임 선불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하차 버튼으로 다음 정류장에서 하차를 알린다. 시종착 정류장에서는 승차문도 개방하는 경우가 있어 승차문으로도 하차할 수 있다. 각 정류장에는 출찰구와 개찰구가 없으며, 승차 시 차내에서 운임을 지불한다. 운전석 옆에는 운임함·IC카드 판독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현금(10엔 동전 - 1,000엔 지폐)이나 PASMO·Suica 등의 IC카드, 종이 회수권으로 낼 수 있다.

오지역 앞 정류장에서는 일부 시간대에 한해 승강장 위에 직원이 입회하는 운임함·IC카드 판독기가 설치되어 있어 승차 전에 지불할 수 있다. 운임은 승차 완료제(1열차 완결)이며, 하차하면 "하차"(여행 종료)로 간주된다.

아라카와선에서는 중간 정류장 종착의 경우를 포함하여 환승, 중도 하차, 다른 교통 수단과의 연계 할인 제도는 없으며, 다시 승차할 때에는 별도의 운임을 내야 한다.

도덴 아라카와선은 금권 분할식 회수권을 취급하고 있다(2019년 10월 1일 기준). 발권 단위는 1000JPY이며, 선불 할인으로 120JPY이 추가된 실효 1120JPY 권면으로, "170엔권×6매+100엔권×1매"와 "90엔권×12매+40엔권×1매" 2종류가 발매되고 있다. 발매 장소는 차내(운전사) 및 영업소, 도덴 정기권 발매소이다.

170엔권은 어른 운임, 90엔권은 어린이 운임을 상정한 것이지만, 170엔권에 현금 10엔을 추가하면 어린이 2명분의 운임으로 이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90엔권 2매로 어른 1명의 승차도 가능하지만, 차액은 반환되지 않는다.

2008년 (헤이세이 20년) 11월 1일부터, 권면에 사진이나 광고 등을 인쇄할 수 있는 "도덴 프리 디자인 회수권"을 발매했으나, 2010년 3월에 종료되었다.

4. 1. 운임

운임은 전 구간이 어른 170JPY·소아 90JPY(2014년 7월 19일 현재)이다. IC 카드 사용은 어른 165JPY·소아 82JPY이다.

현재는 원맨 운전이 채용되었기 때문에, 과거 "칭칭 전차"라는 애칭으로 사랑받아 온 차장이 발차 시 안전 확인을 위해 사용하던 전종(伝鐘)은 문이 발차 전에 승강용 양쪽 모두 닫힌 시점에 자동 울리는 "2연타 벨 제어기" 형태로 바뀌어 계승되고 있으며, 옛날 방식의 전종 소리를 들을 수 있다.[31][30]。도덴의 벨은 원맨화로 인해 지금까지 차장이 "출발합니다"라고 방송하던 것이 없어지고, 갑자기 움직이면 승객이 넘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승객에게 발차 신호로 정비된 것이다.[31]

행락철을 제외하고 대절 이용을 받고 있으며, 차량 형식과 가능한 범위 내에서 차량 번호를 지정할 수 있지만, 음식 섭취나 차외로 울리는 큰 소리의 발생, 차량 내 전원·방송 장치의 이용은 불가능하다는 제약이 있다.[32]

4. 2. 승차권

1994년 10월 1일에 도입된 버스 공통 카드(그 이전인 1993년 11월 1일에는 노면 전차·도 버스 전용의 T카드가 발매되었다)나 2007년 3월 18일에 도입된 IC 카드 (PASMO, Suica)가 사용 가능하다. 다만 Suica는 일부 제외된다. PASMO를 도입한 노선 버스와 마찬가지로 모든 차량에는 전면 우측에 'PASMO' 표시가, 측면 승차구 옆에는 'PASMO Suica 버스 공통 카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라는 표시가 있다. 버스 공통 카드는 차내에서도 구입할 수 있으며, IC 카드에는 버스 이용 특전 서비스나 차내에서 승무원에게 신청해 충전 할 수 있는 서비스 등 도쿄도 경영 버스와 같은 서비스가 적용된다. 자기식 '도쿄 도 경영 버스 전용 승계 할인 카드'도 사용할 수 있지만, 아라카와 선에서는 승계 할인이 적용되지 않는다(IC 카드에 의한 승계도 마찬가지).[31][30]

2009년 현재도 회수권이 발매되고 있다. 발매액은 1000JPY이며, '160엔×7매'와 '80엔×14매'의 2종류가 있다. 모두 이용 가능한 금액이 1120JPY이 되기 때문에 같은 발매액의 버스 공통 카드(1100JPY 분 이용 가능)보다 20JPY 특전액이 많다. 발매액 3000JPY(3360JPY 분 이용 가능)의 버스 공통 카드와는 할인율이 같고, 발매액 5000JPY(5850JPY 분 이용 가능)의 버스 공통 카드는 회수권보다 할인율이 높다.

2008년 11월 1일부터는 권면에 사진이나 광고 등을 인쇄할 수 있는 '노면 전차 프리 디자인 회수권'을 발매하고 있다.

1일에 한해 횟수 제한 없이 승/하차 할 수 있는 하루 승차권도 발매되고 있다. 노면 전차 전용 하루 승차권은 어른 400JPY, 어린이 200JPY이다. 차내에서는 발매 당일 통용되는 승차권과 IC 카드(PASMO 또는 Suica에 정보를 입력해 발행)의 2종류를 발매하고 있다. 승차권을 제시하거나 IC 카드를 요금함의 IC 판독부에 접촉하여 횟수 제한 없이 승강할 수 있다. 승차권은 현금으로, IC 카드는 충전 잔액으로 구입할 수 있다. 차내에서 판매하는 당일 승차권은 감열지에 운임함의 프린터로 일자를 인쇄하여 즉석에서 발행한다.

노면 전차 외에 도쿄 도 경영 지하철, 도쿄 도 경영 버스, 닛포리·도네리 라이너에도 승차할 수 있는 하루 승차권인 '도쿄 도 경영 통째로 표'도 있다. 어른 700JPY, 어린이 350JPY이며, 노면 전차 차내에서는 발매 당일 통용되는 승차권(비자기권)만 판매한다. 2008년 3월 29일까지는 '노면 전차·도 버스·도쿄 도 경영 지하철 하루 승차권'으로 발매되었지만, 이전에 발매된 승차권으로도 닛포리·도네리 라이너를 이용할 수 있다.

도쿄 도 경영 교통(우에노 현수선 제외), JR선의 도쿄 도 구내 구간, 도쿄 메트로 전 노선에 유효한 '도쿄 프리 표'는 아라카와 전철 영업소나 니시스가모역을 비롯한 도쿄 도 경영 지하철 각 역(오시아게·시로가네타카나와 - 메구로 간 각 역 제외), 노면 전차·도 버스·도쿄 도 경영 지하철 정기권 매장(일부 제외), 오지 역·오쓰카역을 비롯한 JR선의 도쿄 도 구내 각 역, 도쿄 메트로의 정기권 매장(니시후나바시역 제외)에서 발매되고 있다. 노면 전차 차내에서는 판매하지 않는다.

노면 전차 아라카와 선과 도쿄 도 경영 지하철, 도쿄 도 경영 버스, 닛포리·도네리 라이너의 정기권은 각각의 정기 운임 합계액에서 10% 할인된다. 환경 정기권 제도나 통학 학기 정기권도 발매하고 있다.

도영 버스(23구 내)와 마찬가지로 '앞문 승차·뒷문 하차', '운임 선불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하차 버튼으로 다음 정류장에서 하차할 정류장을 알린다. 시종착 정류장에서는 승차문도 개방하는 경우가 있어 승차문으로도 하차할 수 있다. 각 정류장에는 출찰구와 개찰구가 없으며, 승차 시 차내에서 운임을 지불한다. 운전석 옆에는 운임함·IC카드 판독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현금(10엔 동전 - 1,000엔 지폐)이나 PASMO·Suica 등의 IC카드, 종이 회수권(후술)으로 지불할 수 있다.

오지역 앞 정류장에서는 일부 시간대에 한해 승강장 위에 직원이 입회하는 운임함·IC카드 판독기가 설치되어 있어 승차 전에 지불할 수 있다. 운임은 승차 완료제(1열차 완결)이며, 하차하면 '하차'(여행 종료)로 간주된다.

아라카와선에서는 중간 정류장 종착의 경우를 포함하여 환승, 중도 하차, 다른 교통 수단과의 연계 할인 제도는 없으며, 다시 승차할 때에는 별도의 운임이 필요하다.

5. 정류장 목록

역 번호역 사진역 이름일본어 이름접속 노선소재지
SA 01
미노와바시 정류장
미노와바시三ノ輪橋|미노와바시일본어도쿄 지하철 히비야 선 미노와 역도쿄도아라카와구
SA 02
아라카와잇추마에 정류장
아라카와 제일 중학교 앞荒川一中前|아라카와잇추마에일본어rowspan="4" |
SA 03
아라카와쿠야쿠쇼마에 정류장
아라카와 구청 앞荒川区役所前|아라카와쿠야쿠쇼마에일본어
SA 04
아라카와니초메 정류장
아라카와 2초메荒川二丁目|아라카와니초메일본어
SA 05
아라카와나나초메 정류장
아라카와 7초메荒川七丁目|아라카와나나초메일본어
SA 06
마치야 역 앞 정류장
마치야 역 앞町屋駅前|마치야에키마에일본어게이세이 전철 본선, 도쿄 지하철 지요다 선
SA 07
마치야니초메 정류장
마치야 2초메町屋二丁目|마치야니초메일본어rowspan="2" |
SA 08
히가시오구산초메 정류장
히가시오구 3초메東尾久三丁目|히가시오구산초메일본어
SA 09
구마노마에 역
구마노 앞熊野前|구마노마에일본어닛포리 도네리 라이너
SA 10미야노마에宮ノ前|미야노마에일본어rowspan="6" |
SA 11
오다이 정류장
오다이小台|오다이일본어
SA 12
아라카와유엔치마에 정류장
아라카와 유원지 앞荒川遊園地前|아라카와유엔치마에일본어
SA 13
아라카와샤코마에 정류장
아라카와 차고 앞荒川車庫前|아라카와샤코마에일본어
SA 14
가지와라 정류장
가지와라梶原|가지와라일본어기타구
SA 15
사카에초 정류장
사카에초栄町|사카에초일본어
SA 16
오지 역 앞 정류장
오지 역 앞王子駅前|오지에키마에일본어게이힌 도호쿠 선, 도쿄 지하철 난보쿠 선
SA 17
아스카야마 정류장
아스카야마飛鳥山|아스카야마일본어rowspan="3" |
SA 18
다키노가와잇초메 정류장
다키노가와 1초메滝野川一丁目|다키노가와잇초메일본어
SA 19
니시가하라욘초메 정류장
니시가하라 4초메西ヶ原四丁目|니시가하라욘초메일본어
SA 20
신코신즈카 정류장
신코신즈카新庚申塚|신코신즈카일본어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미타 선 (니시스가모 역)도시마구
SA 21
고신즈카 정류장
고신즈카庚申塚|고신즈카일본어rowspan="2" |
SA 22
스가모신덴 정류장
스가모신덴巣鴨新田|스가모신덴일본어
SA 23
오쓰카 역 앞 정류장
오쓰카 역 앞大塚駅前|오쓰카에키마에일본어동일본 여객철도 야마노테 선
SA 24
무코하라 정류장
무코하라向原|무코하라일본어
SA 25
히가시이케부쿠로욘초메 정류장
히가시이케부쿠로 4초메東池袋四丁目|히가시이케부쿠로욘초메일본어도쿄 지하철 유라쿠초 선 (히가시이케부쿠로 역)
SA 26
도덴 조시가야 정류장
도덴 조시가야都電雑司ヶ谷|도덴조시가야일본어
SA 27
기시보진마에 정류장
기시보진 앞鬼子母神前|기시보진마에일본어도쿄 지하철 후쿠토신 선 (조시가야 역)
SA 28
가쿠슈인시타 정류장
가쿠슈인시타学習院下|가쿠슈인시타일본어rowspan="3" |
SA 29
오모카게바시 정류장
오모카게바시面影橋|오모카게바시일본어신주쿠구
SA 30
와세다 정류장
와세다早稲田|와세다일본어



도덴 아라카와선 노선도


모든 역은 도쿄도에 위치해 있다.

번호일본어거리 (km)환승소재지
역간총계
미노와바시三ノ輪橋|미노와바시일본어-0.0도쿄 메트로 히비야선 (미노와 역)아라카와구
아라카와잇추마에荒川一中前|아라카와잇추마에일본어0.30.3 
아라카와쿠야쿠쇼마에荒川区役所前|아라카와쿠야쿠쇼마에일본어0.30.6 
아라카와니초메荒川二丁目|아라카와니초메일본어0.41.0 
아라카와나나초메荒川七丁目|아라카와나나초메일본어0.41.4 
마치야에키마에町屋駅前|마치야에키마에일본어0.41.8게이세이 본선, 도쿄 메트로 지요다선
마치야니초메町屋二丁目|마치야니초메일본어0.42.2 
히가시오구산초메東尾久三丁目|히가시오구산초메일본어0.32.5 
구마노마에熊野前|구마노마에일본어0.63.1닛포리-토네리 라이너
미야노마에宮ノ前|미야노마에일본어0.43.5 
오다이小台|오다이일본어0.33.8 
아라카와유엔치마에荒川遊園地前|아라카와유엔치마에일본어0.34.1 
아라카와샤코마에荒川車庫前|아라카와샤코마에일본어0.54.6 
가지와라梶原|가지와라일본어0.45.0 기타구
사카에초栄町|사카에초일본어0.55.5 
오지에키마에王子駅前|오지에키마에일본어0.56.0게이힌-토호쿠선,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
아스카야마飛鳥山|아스카야마일본어0.56.5 
다키노가와잇초메滝野川一丁目|다키노가와잇초메일본어0.46.9 
니시가하라욘초메西ヶ原四丁目|니시가하라욘초메일본어0.47.3 
신코신즈카新庚申塚|신코신즈카일본어0.47.7도에이 지하철 미타선도시마구
고신즈카庚申塚|고신즈카일본어0.27.9 
스가모신덴巣鴨新田|스가모신덴일본어0.58.4 
오쓰카에키마에大塚駅前|오쓰카에키마에일본어0.58.9야마노테선
무코하라向原|무코하라일본어0.59.4 
히가시이케부쿠로욘초메東池袋四丁目|히가시이케부쿠로욘초메일본어0.610.0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
도덴조시가야都電雑司ヶ谷|도덴조시가야일본어0.210.2 
기시보진마에鬼子母神前|기시보진마에일본어0.510.7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
가쿠슈인시타学習院下|가쿠슈인시타일본어0.511.2 
오모카게바시面影橋|오모카게바시일본어0.511.7 신주쿠구
와세다早稲田|와세다일본어0.512.2 



전 노선이 하나의 계통으로 운영되며 계통 번호는 없다. 전 노선 운행 열차와 구간 운행 열차가 존재한다. 구간 운행은 오지 역 앞, 아라카와 차고 앞, 마치야 역 앞, 오쓰카 역 앞의 각 정류장을 시종착역으로 하는 것이 있다. 가장 짧은 구간 운행은 야간에 운행되는 오지 역 앞 - 아라카와 차고 앞 구간(소요 시간 4분)이다.

아침과 저녁에는 대략 2분에서 5분, 낮에도 6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이른 아침·심야 등 시간대에도 최대 10여 분 이내에 다음 열차가 운행된다. 각 정류장 홈에 게시된 시간표에는 낮 시간대의 표시란에 평일은 "6 - 7분 간격", 토요일과 휴일은 "6분 간격"으로 표기되어 있다. 전 노선의 소요 시간은 낮 시간 기준 56분이다.

각 정류장에는 다음에 도착하는 열차의 행선지와 현재 도착 위치를 표시하는 발차 표시가 설치되어 있다.

보통 여객 운임은 전 구간 일률적으로, 1회 승차당 어른 IC 카드 168JPY · 현금 170JPY, 소아 IC 카드 84JPY · 현금 90JPY이다 (2019년 10월 1일 개정)[33][34]

보통 승차권은 발행되지 않는다.

6. 연선 풍경

도덴 아라카와선은 도쿄 북부와 동부 지역을 운행하며, 주요 관광지보다는 지역 주민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미노와바시 종점 근처에는 에도 시대 유곽이었던 요시와라 유적이 있으며, 과거 흔했던 "아메요코" 스타일의 상점가가 여러 블록에 걸쳐 있다.

과거 도쿄도 구부(도쿄 23구)를 중심으로, 피크 시에는 40개 노선[11][12]을 전개했던 도덴 노선의 대부분이 폐지된 후에도, 아라카와선만 남았다. 도쿄 23구 내에서 영업을 하는 궤도선은 AGT인 닛포리·토네리 라이너 및 유리카모메의 궤도 취급 구간을 제외하면, 당 노선과 도큐 세타가야선뿐이다.

아라카와선의 대부분은 전용 궤도(신설 궤도)이며, 병용 궤도 구간은 전체 구간의 14% (약 1.7킬로미터)이다.[11] 병용 궤도는 구마노마에 - 미야노마에 - 오다이 간(도덴 거리(도도 306호 지선) 상)[13], 오지 역전 - 아스카야마 간(메이지 거리(국도 122호) 상), 스가모신덴 - 오쓰카역 앞 간(오쓰카역 북쪽 출구 교차점 부근)[14], 오쓰카역 앞 - 무코하라 간(오쓰카역 남쪽 출구 광장 부근)[15]에 있다. 이러한 병용 궤도 구간 중 일반 자동차가 다니는 도로와 병용하고 있는 것은 오지 역전 - 아스카야마 간뿐이다.

2017년, 도쿄도 교통국은 이용객 증가와 연선 활성화를 위해 아라카와선의 애칭을 '''"도쿄 사쿠라 트램"'''으로 결정했다.[9] 하지만, 오랫동안 "도덴 아라카와선"으로 불려왔기 때문에, 이 애칭에 대해 "이름 과잉"이라는 비판[17]과 아라카와선 연선의 대표적인 꽃은 벚꽃이 아니라 장미[18]라는 비판도 있었다.

아라카와구는 연선에서 1985년부터 장미를 심어왔지만[19], 연선에는 벚나무 가로수길이나 아스카야마 공원, 아라카와 유원과 같은 꽃구경 명소도 있어, 도쿄도 교통국은 연선 4개 특별구와 연계하여 봄에는 "도덴 사쿠라호"를 운행하고 있다.[20] 실제 여객 안내에서는 애칭 제정 후에도 '''"도쿄 사쿠라 트램"''' (도덴 아라카와선)과 같이 노선명도 계속 병기하고 있다.[8]

메이지 도리를 따라 강으로 향하고 비탈을 내려간다. 다카도바시에서 니이메대로 중앙 부분으로 옮기고 왼쪽(동쪽)으로 700m 정도 가면 종점인 와세다 정류소에 도착한다. 근처에는 와세다 대학이 있다.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 와세다 역은 직선 거리로 남쪽 약 600m 떨어져 있다.

도덴 아라카와선 전차, 키시보진마에역 근처


'할머니의 하라주쿠'라는 별명을 가진 도게누키 지장 근처인 고신즈카 정류소를 지나 오쓰카 역 앞 정류소를 지나면 히가시이케부쿠로 4정목 정류소에서 선샤인 시티 옆을 지난다.

6. 1. 미노와바시 - 오지 역 앞 구간

도쿄 23구 안에 다수 존재하고 있었던 노면 전차 노선 가운데 아라카와 선은 유일하게 존속하는 노선으로 운영되고 있다.[36] 도쿄도 내를 달리는 궤도선은 신교통 유리카모메의 궤도 취급 부분을 제외하면 도큐 세타가야 선과 아라카와 선뿐이다.

아라카와 선은 오지 전기 궤도를 도쿄 도(당시는 도쿄시)가 매수한 것으로, 원래는 27계통과 32계통으로 따로 운행했다. 하지만 1972년 11월 12일 노면 전차 전면 폐지 때 전용 궤도를 가진 이 노선이 아라카와 선으로 남았다. 지금도 나이든 사람들 중에는 「오지 전철」이라고 부르는 사람이 있다.

차도와 구분되어 있지 않은 순수한 병용 구간은 메이지 도리(국도 122호) 위의 오지 역 앞 - 아스카야마 사이뿐이다. 이전에는 오다이 - 미야노마에 사이에도 있었지만, 도로 확폭에 따라 차도와 선로가 분리되었다. 이 구간을 포함한 오다이 - 구마노 앞 사이는 도로 중앙을 센터 리져베이션 방식으로 다니고 있다. 그 이외의 구간은 대부분 전용 궤도이다.

현재는 1량 편성(단행)의 1인 승무로 운행되고 있다.

병용 궤도를 달리는 7000형(아스카 산 부근,2007년 6월 9일 촬영)


도쿄 지하철 히비야 선 미노와 역에서 닛코 가도 북쪽으로 3분 정도 걸으면 「우메자와 사진관」빌딩이 보인다. 이 빌딩은 구 「오지 전기 궤도」본사 빌딩으로, 음식점 등이 있는 빌딩 1층의 통로를 빠져 나가면 쇼와 30-40년대(1950년대 중반~1960년대 중반)를 생각나게 하는 상가 안에 기점인 미노와바시 정류소가 있다. 당초에는 우메자와 사진관 빌딩 위치에 정류소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승객은 주부나 도쿄 도 교통국의 실버 패스를 소지한 고령자층이 많아, 이른바 변두리의 생활감이 감도는 곳을 달린다. 오른편에 도쿄 도 하수도국·하수처리장이 보인다. 이곳은 일본 최초의 하수처리장으로, 처리장 위 인공지반에 아라카와 자연 공원이 있다.

약 5분 후, 게이세이 본선과 도쿄 지하철 지요다 선이 교차하는 마치야 역 앞 정류소에 도착한다. 1990년대에 행해진 재개발 전에는 승강장과 일체화한 목조 대중 식당, 파칭코 가게, 매점, 사진관 등이 있는 생활감 넘치는 변두리 풍경이 남아 있었지만, 재개발로 크게 바뀌었다.

마치야 역 앞에서 강의 변두리의 주택이나 작은 공장이 밀집하는 지구를 달린다. 닛포리·도네리 라이너를 빠져 나가는 구마노 앞부터 오다이까지는 노면을 주행하는 구간이지만, 궤도부 양쪽을 연석으로 굳힌 센타리자베이션 방식이어서 궤도부 내 자동차의 노선 연장은 할 수 없게 되어 있다. 15분 정도 달리면 아라카와유원지 앞을 거치고, 아라카와 선의 중추인 아라카와 전철 영업소가 있는 아라카와 차고 앞을 지나 오지 역 앞 정류소에 도착한다. 여기에서는 환승 등으로 상당한 승객이 바뀌며, 메이지 도리를 왼쪽으로 돌아 다시 노면을 주행하는 구간에 들어간다. 이 구간은 궤도부 내 자동차의 노선 연장이 가능하다. 좌측으로 도내 명소인 아스카 산 공원을 바라보면서 66‰의 급경사를 오른다.

6. 2. 오지 역 앞 - 와세다 구간

도쿄 메트로:-- 지요다선(마치야역:C-17) 아라카와구SA 07마치야 2초메0.42.2  SA 08히가시오구 3초메0.32.5  SA 09구마노마에0.63.1도쿄도 교통국:-- 닛포리·토네리 라이너 (NT 04)오구노하라 공원SA 10미야노마에0.43.5 오구 야하타 신사SA 11고다이0.33.8  SA 12아라카와 유원지 앞0.34.1 아라카와 유원SA 13아라카와 차고 앞0.54.6 도덴 아라카와 차고SA 14가지와라0.45.0  기타구SA 15사카에초0.55.5  SA 16오지 역 앞0.56.0동일본 여객철도:
JK
게이힌 도호쿠선오지역:JK 36)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오지역:N-16)기타피아, 오지 신사SA 17아스카야마0.56.5 아스카야마 공원SA 18다키노가와 1초메0.46.9  SA 19니시가하라 4초메0.47.3  SA 20신코신즈카0.47.7도에이 지하철:-- 미타선니시스가모역:I-16) 도요시마구SA 21고신즈카0.27.9 고간지 도게누키 지장, 다이쇼 대학SA 22스가모신덴0.58.4 도립 분쿄 고등학교SA 23오쓰카 역 앞0.58.9동일본 여객철도:
JY
야마노테선(오쓰카역:JY 12) SA 24무코하라0.59.4 오쓰카다이 공원SA 25히가시이케부쿠로 4초메0.610.0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히가시이케부쿠로역:Y-10)선샤인 시티, IKE·SUNPARKSA 26도덴 조시가야0.210.2 조시가야 영원, 도요시마구청SA 27기시모진마에0.510.7도쿄 메트로:-- 부도심선(조시가야역:F-10)호묘지 기시모진당, 나미키 하우스SA 28가쿠슈인시타0.511.2 가쿠슈인 대학, 긴조인 메지로 부동존SA 29오모카게바시0.511.7 간센엔 공원신주쿠구SA 30와세다0.512.2 와세다 대학, 연극 박물관


7. 차량

랩핑 광고가 씌워진 7000형 (가쿠슈인시타 부근, 2006년 4월 1일 촬영)


도쿄 노면 전차의 신세대 차량 3종 (아라카와 전철 영업소, 2009년 3월 10일 촬영)


도덴 아라카와선에는 현재 7700형, 8500형, 9000형, 8800형, 8900형이 운행되고 있다. 과거에는 도쿄 도 교통국의 재정난으로 인해 대부분의 차량에 전면 광고(랩핑)가 부착되었으나, 최근에는 8900형을 중심으로 원래 도색을 유지하는 차량도 증가하고 있다.

각 차량의 입구 문(진행 방향 좌측 앞문) 옆에는 차량 번호와는 별개로 두 자리 번호가 기재되어 있는데, 이는 열차 무선 및 운행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ID이다(결번 있음). 2008년 3월부터는 8500형을 제외한 모든 차량에서 자동 안내 방송에 영어 방송이 추가되었으며, 이후 8500형에도 방송 장치가 갱신되면서 영어 방송이 제공되고 있다.

7. 1. 현재 운행 차량



8900형


과거 재정난을 겪던 도쿄 도 교통국의 수익원을 확보하기 위해 운행 차량 대부분은 차체 외부에 전면 광고를 씌운 랩핑 차량이었으나, 광고가 없는 차량은 적었다.

입구 문(진행 방향 좌측 앞문) 옆에는 차량 번호와는 별도로 두 자리 번호가 기재되어 있는데, 이는 열차 무선 및 운행 관리 시스템의 ID이다(결번 있음).

7. 2. 과거 운행 차량


1950년대의 노면 전차 전성기의 주력 형식으로, 아라카와 선에서는 1978년에 1인 승무화 될 때까지 13량이 사용되었다. 그 중 5량이 1인 승무화 기념 꽃전차로 개조된 후 폐차되었고, 유일하게 6152호차만이 응급차(사업용)로서 남겨졌다. 이 차량은 1987년에 이벤트 차량으로서 부활해, 후에 황색에 적대로부터 심록(→초록)과 크림의 투톤 도장으로 변경되어 1달에 1회 휴일에 이벤트 운행이나 대절 열차를 중심으로 운행되고 있었지만, 2000년게이후쿠 전기 철도 충돌사고 후의 점검으로 브레이크가 1계통밖에 없는 것이 문제가 되어, 같은 해에 휴차, 2001년에 폐차되었다.[4] 이후 2003년 부터는 아라가와 유원지에서 정태 보존되고 있다. 그 후, 이벤트 차량은 2007년에 등장한 9000형까지는 없었다.

아라카와 유원에서 정태 보존되고 있는 6152호 '잇큐상 호' (2011년 1월 8일 촬영)

2017년 6월 10일에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7022호가 운용을 종료하여, 다음 날 11일에 아라카와 차고에서 '고마워 7000형 이벤트'가 개최되었다.[49] 아라카와선 성립 이전부터 사용되었지만, 후년에 차체 등이 갱신되었다. 일부 차량은 7700형으로 개조되었으며, 4량이 도요하시 철도에 양도되어 모3500형으로 운행하고 있다.
9000형 및 8800형으로의 교체에 의해 2011년 3월 13일을 기해 전 차량이 은퇴했다. 아라카와선 성립 이전부터 사용되었지만, 7000형과 마찬가지로, 후년에 차체 등이 갱신되었다. 7510호는 2011년에 도영 교통 창업 100주년 기념 꽃 전차 운행을 위해, 꽃100형으로 개조되었지만, 2018년에 은퇴했다.

그 외에는, 6000형과 동형이지만 전장이 짧은 3000형, 쇼와 초기에 제조된 소형차인 1000형, 쇼와 30년대에 대량 생산되어 각 영업소에 투입된 경제차인 8000형, 스기나미선에서 전속된 경량 차체의 2500형, 오지 전기 궤도 인계의 100형·120형·150형·160형·170형이 사용되었다.

8. 기타


「짤랑」하는 발차 신호음(7000형 차내에서 녹음)


참조

[1] 웹사이트 都電荒川線の愛称を決定しました! https://www.kotsu.me[...] Tokyo Metropolitan Bureau of Transportation 2017-04-30
[2] 웹사이트 都電荒川線で7701号車が営業運転を開始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6-05-31
[3] 웹사이트 都電荒川線で8900形が営業運転を開始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5-09-19
[4] 웹사이트 さようなら都電荒川線7000形 60年余の運行の歴史に幕 https://news.nifty.c[...] Nifty Corporation 2017-06-12
[5] 서적 Vintage Books
[6] 서적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鉄道図書刊行会
[7] 서적 山手線 ウグイス色の電車今昔50年 JTBパブリッシング 2013
[8] 웹사이트 東京さくらトラム(都電荒川線) https://www.kotsu.me[...] 東京都交通局 2023-03-26
[9] 보도자료 都電荒川線の愛称を決定しました! https://www.kotsu.me[...] 東京都交通局 2017-04-28
[10] 보도자료 東京さくらトラム(都電荒川線)及び日暮里・舎人ライナーに「駅ナンバリング」を導入いたします https://www.kotsu.me[...] 東京都交通局 2017-11-16
[11] 뉴스 40路線あった都電、荒川線だけ残った理由は… https://www.yomiuri.[...] 読売新聞社 2018-09-17
[12] 뉴스 【東京探Q】都電荒川線だけなぜ残った?路面電車専用区間多く/渋滞の影響受けず定時運行 2018-09-17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보도자료 都電荒川線の愛称について皆様のご意見をお聞かせください! https://www.kotsu.me[...] 東京都交通局
[17] 웹사이트 都電荒川線、東京都が謎の新愛称「東京さくらトラム」ゴリ推し…地元民が大困惑 https://biz-journal.[...] ビジネスジャーナル 2018-01-08
[18] 웹사이트 名が体を表していない?「残念な路線名」10選 「さくらトラム」「桃太郎線」どこだかわかる?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オンライン 2018-05-22
[19] 웹사이트 バラ香る街あらかわを目指して-都電沿線のバラ植栽事業- https://www.city.ara[...] 荒川区役所
[20] 뉴스 都電さくら号復活 3年ぶり https://www.yomiuri.[...] 2023-03-19
[21] 문서
[22] 서적 東京都交通局80年史 東京都交通局 1992-03
[23] 서적 都営交通100年のあゆみ 東京都交通局 2011-07-14
[24] 서적 東京都交通局100年史 東京都交通局 2012
[25] 웹사이트 都電が道路上走る区間で、車の事故多発…都など対策検討(読売新聞) https://www.yomiuri.[...]
[26] 보도자료 東京さくらトラム(都電荒川線)三ノ輪橋停留場からすぐ! 都営交通案内所「三ノ輪橋おもいで館」オープン! 〜平成30年10月21日(日)〜 https://www.kotsu.me[...] 東京都交通局 2018-09-27
[27] 웹사이트 都営交通とAirbnbがコラボ 外国人観光客へ“東京さくらトラム(都電荒川線)”エリアの知られざる魅力を発信 沿線の暮らしを体験する観光プログラム「TODEN LIFE TOURISM」開始!沿線の「暮らし」を外国人観光客に提供するAirbnb体験ホストも募集中! https://www.metro.to[...] 東京都交通局 報道発表資料 2019-01-17
[28] 논문 総説:東京都交通局 -質の高い公共交通サービスの提供をめざして- 電気車研究会 2001-07-10
[29] 논문 都電と呼ばれて50年 -東京都における軌道事業のあらまし- 電気車研究会 1995-12-01
[30] 문서
[31] 논문 荒川線をめぐる話題 アラカルト 電気車研究会 1995-12-01
[32] 웹사이트 都電の貸切について http://www.kotsu.met[...] 東京都交通局
[33] 웹사이트 運賃・乗車券・定期券 https://www.kotsu.me[...] 東京都交通局
[34] 웹사이트 消費税率引上げに伴う運賃改定の認可について https://www.kotsu.me[...] 東京都交通局 2019-09-05
[35] 웹사이트 都電フリーデザイン回数券販売終了のお知らせ http://www.kotsu.met[...] 東京都交通局 2010-02-05
[36] 웹사이트 都営交通ポイントサービス「ToKoPo」の拡充について https://www.kotsu.me[...] 東京都交通局 2021-09-01
[37] 뉴스 都電を地下化し遊歩道 大塚駅周辺、豊島区が大改造案 朝日新聞 1981-07-10
[38] 웹사이트 都電荒川線「東京さくらトラム」に延伸構想があった https://news.mynavi.[...] マイナビニュース 2018-09-08
[39] 웹사이트 都電もカラフルに変身! ラッピング広告車両が都電にもデビュー https://web.archive.[...] 東京都交通局トピックス
[40] 웹사이트 都電荒川線に7700形車両を導入します https://www.kotsu.me[...] 東京都交通局ホームページ 2016-03-17
[41] 간행물 路面電車EX2016年vol.07 イカロス出版 2016-05
[42] 웹사이트 都電荒川線で7701号車が営業運転を開始 http://railf.jp/news[...] 交友社 鉄道ファン 2016-05-31
[43] 웹사이트 荒川線で7708号車が試運転 http://railf.jp/news[...] 交友社 鉄道ファン 2017-03-01
[44] 웹사이트 都電荒川線で8900形が営業運転を開始 http://railf.jp/news[...] 交友社 鉄道ファン 2015-09-19
[45] 웹사이트 日暮里・舎人ライナー及び都電荒川線に新型車両を導入します https://www.kotsu.me[...] 東京都交通局 2015-09-08
[46] 웹사이트 東京都交通局、都電荒川線と日暮里・舎人ライナーに新型車両を導入 http://response.jp/a[...] レスポンス 2015-09-08
[47] 웹사이트 都電荒川線の新形車両が搬入される http://railf.jp/news[...] 交友社 鉄道ファン 2015-08-25
[48] 웹사이트 都電荒川線に阪堺カラーの、阪堺電車に都電カラーの路面電車が走ります http://www.metro.tok[...] 東京都報道発表資料 2010-05-14
[49] 웹사이트 都電7000形引退。 http://rail.hobidas.[...] 鉄道ホビダス 台車近影 2017-06-11
[50] 웹사이트 都電荒川線マスコットキャラクター イラストコンテストを開催します!! https://web.archive.[...] 東京都交通局 2010-10-25
[51] 웹사이트 都電荒川線マスコットキャラクターが決定しました! https://web.archive.[...] 東京都交通局 2010-12-22
[52] 웹사이트 都電荒川線マスコットキャラクターの愛称を募集します! https://web.archive.[...] 東京都交通局 2011-01-31
[53] 웹사이트 都電荒川線マスコットキャラクターの愛称が決定しました! https://web.archive.[...] 東京都交通局 2011-04-18
[54] 웹사이트 ホビダス編集長敬白:「東京都交通局10-300形4次車登場。」 https://web.archive.[...] ネコ・パブリッシング
[55] 문서 도어 스티커는 신주쿠선 이외의 도영 지하철 각선과 니포리・세닌 라이너에도 파급되고 있다.
[56] 웹사이트 都電荒川線 https://www.nhk.jp/p[...] NHK 2021-06-18
[57] 뉴스 都電荒川線の愛称を決定しました! http://www.metro.tok[...] 東京都交通局 2017-04-28
[58] 웹사이트 東京さくらトラム(都電荒川線)及び日暮里・舎人ライナーに「駅ナンバリング」を導入いたします https://www.kotsu.me[...] 東京都交通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