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미니언 (카드 게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미니언은 2008년에 출시된 덱 빌딩 카드 게임이다. 각 플레이어는 카드를 구매하여 덱을 강화하고, 턴마다 액션과 구매를 통해 덱을 구축하며, 게임 종료 시 덱에 포함된 승점을 계산하여 승자를 결정한다. 기본 카드와 왕국 카드를 조합하여 다양한 전략을 구사할 수 있으며, 여러 확장팩을 통해 새로운 카드와 규칙이 추가되어 게임의 다양성을 더했다. 덱 빌딩 장르의 선구자로서 많은 상을 수상하고 250만 부 이상 판매되었으며, 온라인 및 라이선스 제품으로도 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드 게임 - 포커
포커는 전략, 심리전, 확률 계산을 요구하는 카드 게임으로, 52장의 카드를 사용하여 5장의 카드 조합으로 승부를 겨루며, 블러핑과 베팅 전략이 중요하고, 텍사스 홀덤, 세븐 포커 등 다양한 변형 게임이 존재하며, 높은 가치의 카드 조합을 만들어 팟을 가져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카드 게임 - 플레잉 카드
플레잉 카드는 여러 카드 게임에 사용되는 도구로,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52장으로 구성되어 네 가지 무늬와 숫자 및 그림 카드로 이루어져 있고, 중국에서 기원하여 유럽을 거쳐 현재의 형태를 갖추었으며, 다양한 게임에 사용되는 놀이 도구이자 수집품이다. - 오리진스상 수상작 - 던전 & 드래곤
《던전 & 드래곤》은 플레이어들이 주사위와 상상력을 사용하여 판타지 세계를 모험하는 롤플레잉 게임으로, 던전 마스터가 스토리를 진행하고 플레이어들은 캐릭터를 조종하여 퀘스트를 수행하며, 다면체 주사위와 캐릭터 성장 시스템을 통해 풍부한 게임 경험을 제공하며 롤플레잉 게임 장르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오리진스상 수상작 - 시드 마이어의 알파 센타우리
시드 마이어의 알파 센타우리는 1999년에 출시된 턴제 전략 비디오 게임으로, 인류가 알파 센타우리 행성에 식민지를 건설하는 근미래를 배경으로 하며, 플레이어는 7개의 세력 중 하나를 선택하여 행성을 탐험하고, 기지를 건설하며, 다른 세력과 경쟁하여 승리 조건을 달성해야 한다.
도미니언 (카드 게임) | |
---|---|
기본 정보 | |
게임 이름 | 도미니언 |
원래 이름 | Dominion |
종류 | 덱 빌딩 게임 |
디자이너 | 도널드 X. 바카리노(en) |
퍼블리셔 | 리오 그란데 게임즈(en) |
한국어판 퍼블리셔 | 호비재팬 |
플레이 인원 | 2 ~ 4명 (확장판 사용 시 최대 6명) |
플레이 시간 | 약 30분 |
무작위성 | 중간 |
필요 기술 | 자원 관리, 계획 |
수상 | |
2009년 | 슈필 데스 야레스 수상 |
2. 게임 방법
각 플레이어는 소국의 영주가 되어 자신의 영토를 확장해 나가며, 게임 종료 시 가장 많은 승점을 획득한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플레이 인원은 기본 2~4명이며, 확장 세트를 사용하면 최대 6명까지 함께 즐길 수 있다.[65]
플레이어의 영지는 덱 형태로 표현된다. 플레이어는 게임판의 공급처에 준비된 카드 더미에서 원하는 카드를 구매하여 자신의 덱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영토를 확장해 나간다. 이처럼 '''카드를 구매하고 자신만의 덱을 구축하는 과정''' 자체가 게임 플레이의 핵심이다.
게임에는 다양한 효과를 가진 왕국 카드가 존재하며(초판 기본 세트 25종, 확장 세트 포함 260종 이상), 이 카드들의 조합을 통해 트레이딩 카드 게임과 유사한 전략적 깊이를 느낄 수 있다. 하지만 한 번의 게임에서는 단 10종류의 왕국 카드만 사용하므로, 게임이 지나치게 복잡해지는 것을 막고 매번 새로운 게임 경험을 제공한다.
플레이에 사용되는 카드는 세트에 포함된 것으로 한정되어 있어, 카드를 얻기 위해 추가적인 금전적 부담을 계속 질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확장 세트를 구매하여 더 다양한 카드로 게임의 폭을 넓힐 수도 있다.
''도미니언''은 전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2009년에는 독일 게임 대상, 독일 올해의 게임, 알라카르테 카드 게임 상에서 모두 대상을 수상하며 '''사상 최초로 독일 게임 3관왕'''을 달성했다.[66][67] 이 게임의 성공은 이후 수많은 덱 빌딩 게임 장르 게임의 등장을 이끌었다.
2. 1. 게임 준비

게임을 시작하기 위해 먼저 플레이에 사용할 왕국 카드 10종류를 선택하거나 무작위로 결정하여 공급처를 마련한다. 모든 ''도미니언'' 세트의 카드를 자유롭게 섞어 다양한 조합을 만들 수 있다.
다음으로 게임장에 필요한 카드 더미들을 준비한다. 기본적으로 준비해야 할 카드들은 다음과 같다.
카드 종류 | 세부 카드 | 비고 |
---|---|---|
보물 카드 | 구리 (1 코인) 은화 (2 코인) 금화 (3 코인) | 게임 내 화폐로 사용된다. |
승점 카드 | 사유지 (1점) 공작령 (3점) 속주 (6점) | 게임 종료 시 점수가 된다. |
저주 카드 | 저주 (-1점) | 음수 점수를 가진다. |
왕국 카드 | 선택된 10종류의 카드 | 게임마다 다른 전략을 가능하게 한다. |
기본 카드 더미(보물, 승점, 저주)의 카드 매수는 플레이하는 인원수에 따라 달라진다. 만약 확장 세트를 사용한다면, 기본 카드로 물약, 백금화, 식민지 등을 추가로 준비해야 할 수도 있다.
모든 준비가 끝나면, 각 플레이어는 구리 카드 7장과 사유지 카드 3장, 총 10장으로 구성된 동일한 시작 덱을 받는다.[6] 각 플레이어는 자신의 덱을 잘 섞은 다음, 위에서 5장의 카드를 뽑아 첫 손패로 들고 게임을 시작한다.
2. 2. 게임 진행
각 플레이어는 소국의 영주로서 자신의 영토를 확장해 나가며, 최종적으로 가장 많은 승점을 획득한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플레이 인원은 2~4명이며, 확장 세트에 따라 6명까지 가능하다.[65] 플레이어의 영지는 덱 형태로 표현되며, 플레이어는 매 턴 보드에 준비된 카드 묶음(이하 공급처)에서 원하는 카드를 구매하여 자신의 덱을 강화하고 영토를 확장한다. 이 카드 구매와 덱 구축 과정 자체가 게임 플레이의 핵심이다.게임 시작 시, 게임장(공급처)에는 다음과 같은 카드들이 준비된다.
- 보물 카드: 동전(1금), 은화(2금), 금화(3금)
- 승점 카드: 저택(1점), 공작령(3점), 속주(6점)
- 저주 카드: 저주(-1점)
- 왕국 카드: 10종류
어떤 왕국 카드를 10종류 선택하는지에 따라 게임의 전략과 전개가 크게 달라진다. 기본 카드 더미의 매수는 플레이 인원수에 따라 달라지며, 확장 세트를 사용할 경우 물약, 백금화, 식민지 등의 기본 카드가 추가될 수 있다.
각 플레이어는 초기 덱으로 동전 7장과 저택 3장을 받는다. 이 10장의 카드를 섞어 자신의 덱으로 만들고, 첫 손패로 5장을 뽑으면서 게임을 시작한다.
시작 플레이어부터 시계 방향으로 자신의 차례를 진행한다. 각 플레이어의 턴은 다음 세 단계로 구성되며, 순서대로 진행한다. 이를 기억하기 쉽게 ABC라고 부르기도 한다.
- A (Action Phase - 액션 단계): 손에 있는 액션 카드 1장을 사용할 수 있다. 카드에 적힌 지시사항을 따른다. 기본적으로 액션은 턴당 1회만 가능하지만, 카드 효과로 추가 액션을 얻을 수 있다.
- B (Buy Phase - 구매 단계): 손에 있는 보물 카드를 원하는 만큼 사용하여 코인을 얻는다. 이 코인과 액션 단계에서 얻은 코인을 합쳐 공급처에 있는 카드를 구매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구매는 턴당 1회만 가능하지만, 카드 효과로 추가 구매 횟수를 얻을 수 있다. 구매한 카드는 즉시 사용하지 않고 자신의 버리는 더미에 놓는다.
- C (Clean-up Phase - 정리 단계): 이번 턴에 사용한 모든 카드(액션 카드, 보물 카드 등)와 손에 남은 카드를 전부 버리는 더미에 놓는다. 그 후, 자신의 덱에서 카드 5장을 새로 뽑아 다음 턴을 위한 손패로 만든다. 만약 덱에 카드가 부족하면, 버리는 더미를 모두 섞어 새로운 덱을 만든 후 마저 뽑는다. 사용하지 않은 액션 횟수, 구매 횟수, 코인은 다음 턴으로 넘어가지 않고 사라진다.
일부 액션 카드는 카드를 파기(Trash)하는 효과를 가지는데, 이는 카드를 게임에서 완전히 제거하여 파기 더미로 보내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확장팩에서는 파기된 카드를 되돌리는 방법도 존재한다.
게임은 다음 두 조건 중 하나가 만족되면 즉시 종료된다.
1. 공급처의 속주(Province) 카드 더미가 전부 소진되었을 때 (확장 세트의 식민지 카드도 마찬가지).
2. 공급처에 있는 카드 더미 중 3종류가 전부 소진되었을 때 (종류 수에는 속주도 포함).
게임이 종료되면, 각 플레이어는 자신의 덱, 손패, 버리는 더미 등 자신이 가진 모든 카드에 포함된 승점을 계산한다. 가장 높은 승점을 얻은 플레이어가 게임에서 승리한다. 만약 동점자가 있다면, 턴을 더 적게 진행한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승점 카드는 게임 승리를 위해 필수적이지만, 게임 중에는 손에서 아무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효과적인 턴을 보낼 수 있게 하는 액션 카드 및 보물 카드와 승점 카드 획득 사이에서 균형을 잘 맞춰야 한다. 일반적으로 게임의 주요 전략은 속주와 같은 높은 가치의 승점 카드를 꾸준히 구매할 수 있도록 자신의 덱을 효율적으로 구축하는 것이다.
2. 3. 덱 구축
플레이어는 자신의 영지를 나타내는 덱을 가지고 시작하며, 공급처(Supply)에 놓인 카드 더미에서 카드를 구매하여 자신의 덱을 강화하고 영토를 확장해 나간다. 이 '''카드 구매와 덱 구축 과정 자체'''가 게임 플레이의 핵심이자 도미니언의 가장 큰 특징이다.[65]각 플레이어는 처음에 동전 카드 7장과 저택(승점 1점) 카드 3장을 받아 자신의 시작 덱 10장으로 사용한다. 이 덱에서 5장의 카드를 뽑아 손패로 들고 게임을 시작한다.
플레이어는 초기 자원인 동전 카드를 활용하여 원하는 카드를 구매하여 덱에 추가한다. 구매한 카드는 즉시 사용할 수 없고, 우선 버린 카드 더미에 놓인다. 턴 종료 시, 사용한 카드와 손에 남은 카드는 모두 버린 카드 더미로 간다. 그 후, 자신의 덱에서 카드 5장을 새로 뽑아 다음 턴의 손패로 삼는다. 덱에서 카드를 뽑아야 하는데 카드가 없다면, 버린 카드 더미를 모두 섞어 새로운 덱을 만든 후 마저 뽑는다. 이 과정을 통해 구매한 카드가 덱에 순환되어 포함되며, 플레이어의 전략에 따라 점차 자신만의 덱이 만들어진다.
일부 액션 카드는 특정 카드를 '파기(Trash)'하여 덱에서 영구적으로 제거하는 효과를 갖는다. 파기된 카드는 게임에서 제외된다 (일부 확장팩에서는 파기된 카드를 되돌리는 방법도 존재한다).
승점 카드는 게임 승리에 필수적이지만, 게임 중 손에 들어왔을 때는 특별한 능력이 없어 플레이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효율적인 덱 운영을 위한 액션 카드 및 보물 카드 확보와 승점 카드 구매 사이에서 전략적인 균형을 찾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가장 높은 가치의 승점 카드인 '속주'를 꾸준히 구매할 수 있도록 구매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덱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 전략으로 여겨진다.
2. 4. 게임 종료
게임은 다음 조건 중 하나라도 만족되면 즉시 종료된다.- 속주 카드 더미가 모두 소진되었을 때
- 공급처에 있는 카드 더미 중 3종류가 모두 소진되었을 때
- 확장 세트를 사용하는 경우, 식민지 카드 더미가 모두 소진되었을 때 (속주와 동일하게 취급)
게임이 종료되면, 각 플레이어는 자신의 덱, 손패, 버린 카드 더미 등 가지고 있는 모든 카드에 포함된 승점의 합계를 계산한다.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플레이어가 게임에서 승리한다. 만약 점수가 가장 높은 플레이어가 여러 명일 경우(동점), 게임 동안 턴을 더 적게 가진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3. 카드 종류
도미니언의 카드는 카드 하단에 명시된 유형으로 분류된다. 카드의 종류는 게임 플레이 방식과 전략에 큰 영향을 미친다. 기본 세트에 포함된 주요 카드 유형은 다음과 같다.[6]
- '''승점 카드''': 게임 종료 시 점수를 제공하지만, 게임 중에는 특별한 능력이 없는 경우가 많다.
- '''저주 카드''': 승점 카드와 비슷하지만, 가지고 있으면 점수가 감점된다.
- '''보물 카드''': 게임 내 재화인 코인을 제공하여 다른 카드를 구매하는 데 사용된다.
- '''액션 카드''': 카드를 추가로 뽑거나, 추가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등 다양한 효과를 제공한다. 기본적으로 한 턴에 한 장의 액션 카드만 사용할 수 있지만, 카드 효과로 추가 사용이 가능해지기도 한다.
- '''공격 카드''': 다른 플레이어에게 저주 카드를 주거나 카드를 버리게 하는 등 불리한 효과를 준다.
- '''반응 카드''': 다른 플레이어의 공격 카드 사용과 같은 특정 상황에 대응하여 자신의 턴이 아닐 때도 사용할 수 있다.
카드는 '액션-공격' 카드처럼 두 가지 이상의 유형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또한, 카드는 크게 모든 게임에 항상 포함되는 기본 카드와 게임마다 10종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왕국 카드로 나뉜다. 왕국 카드는 대부분 액션 카드이지만 다른 유형도 포함될 수 있다. 확장판에는 기본 규칙을 바꾸거나 새로운 유형의 기타 카드들이 포함되어 게임에 더 많은 다양성을 더한다.
3. 1. 기본 카드
도미니언에서 '''기본 카드'''는 게임을 시작할 때 모든 플레이어가 공통으로 사용하며, 게임마다 종류가 바뀌는 왕국 카드와 달리 항상 공급처에 준비되는 카드들을 말한다. 기본 카드는 게임의 기초를 이루며, 플레이어는 이 카드들을 기반으로 자신의 덱을 구축하고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기본 카드는 크게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 '''보물 카드''': 카드를 구매하는 데 필요한 재화(코인)를 제공한다. 게임 시작 시 모든 플레이어는 가장 기본적인 보물 카드인 '동화' 7장을 가지고 시작한다.
- '''승점 카드''': 게임 종료 시 최종 점수 계산에 사용된다. 대부분 게임 진행 중에는 특별한 능력이 없어 덱 순환을 방해하기도 하지만, 승리를 위해서는 꼭 필요한 카드이다. 게임 시작 시 모든 플레이어는 가장 낮은 점수의 승점 카드인 '사유지' 3장을 가지고 시작한다.
- '''저주 카드''': 가지고 있으면 게임 종료 시 점수가 감점되는 카드이다. 보통 다른 플레이어의 공격 카드 효과로 얻게 된다.
기본 세트에 포함된 기본 카드는 다음과 같다.
종류 | 이름 | 비용 | 설명 |
---|---|---|---|
보물 카드 | 동화 | 0 | 1 코인을 제공한다. |
은화 | 3 | 2 코인을 제공한다. | |
금화 | 6 | 3 코인을 제공한다. | |
승점 카드 | 사유지 | 2 | 게임 종료 시 1 승점을 제공한다. |
공작령 | 5 | 게임 종료 시 3 승점을 제공한다. | |
속주 | 8 | 게임 종료 시 6 승점을 제공한다. | |
저주 카드 | 저주 | 0 | 게임 종료 시 -1 승점을 제공한다. |
확장판을 포함하여 게임을 할 경우, 추가적인 기본 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번영' 확장판에는 더 높은 가치의 보물 카드인 '백금화'(비용 9, 5 코인 제공)와 승점 카드인 '식민지'(비용 11, 10 승점 제공)가 포함되어 있으며, '연금술' 확장판에는 특수한 비용 지불에 사용되는 '물약'(비용 4) 카드가 기본 카드로 추가된다.
이 기본 카드 더미들은 게임 시작 시 정해진 수량만큼 공급처에 놓이며, 플레이어 수에 따라 준비되는 카드의 수가 달라진다.[6] 게임 중 특정 기본 카드 더미가 모두 소진되면 해당 카드는 더 이상 구매할 수 없다. 게임은 일반적으로 '속주' 카드 더미가 소진되거나, 혹은 (식민지를 사용하는 경우) '식민지' 카드 더미가 소진되거나, 공급처의 카드 더미 중 세 종류가 소진되면 종료된다.
3. 2. 왕국 카드
왕국 카드는 도미니언 게임 플레이의 핵심 요소로, 기본 카드(동전, 은화, 금화 등의 보물 카드, 저택, 영지, 속주 등의 승점 카드, 저주 카드)를 제외한 거의 모든 카드를 지칭한다. 게임을 시작할 때, 플레이어들은 그 게임에서 사용할 왕국 카드 10종류를 선택하거나 무작위로 결정하여 '공급처'를 구성한다.[6] 어떤 왕국 카드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게임의 전략과 흐름이 크게 달라지므로, 매번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것이 도미니언의 큰 매력이다.기본 세트에는 25종류(2판에서는 26종류)의 왕국 카드가 포함되어 있으며, 수많은 확장판을 통해 현재까지 수백 종류가 넘는 다양한 왕국 카드가 출시되었다.[12] 2020년 ''Menagerie'' 확장판 출시 기준으로 366개의 서로 다른 왕국 카드 묶음이 존재했다.[38] 2021년 연구에 따르면, 가능한 고유 게임 조합은 6600경 개 이상으로 추산된다.[38]
카드는 카드 하단에 명시된 유형으로 분류된다. 왕국 카드는 주로 플레이어에게 추가 행동, 카드 뽑기, 구매력 증가 등 다양한 효과를 제공하는 '''액션 카드'''이지만, 그 외에도 게임 중 구매력을 제공하는 '''보물 카드''', 게임 종료 시 점수가 되는 '''승점 카드''' 등 여러 유형이 존재한다. 때로는 '액션-공격' 카드처럼 두 가지 이상의 유형을 동시에 가질 수도 있다. '''공격 카드'''는 다른 플레이어에게 불이익(예: 저주 카드 획득 강요)을 주는 효과를 가지며, '''반응 카드'''는 다른 플레이어의 공격과 같은 특정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자신의 턴이 아니더라도 발동할 수 있는 특별한 카드이다.
확장 세트에는 단순히 구매하는 것 외에 특별한 조건을 만족해야 얻을 수 있는 카드, 게임 시작 시 기본 카드를 대체하여 사용하는 카드, 또는 10종류의 왕국 카드와는 별도로 게임판에 놓여 지속적인 영향을 주는 카드(이벤트, 랜드마크 등)처럼 더욱 독특한 방식의 카드들도 포함되어 있다.
아래는 다양한 왕국 카드의 예시이다. (괄호 안은 카드를 구매하는 데 필요한 비용)
- '''액션 카드 예시'''
- 마을(3): 액션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횟수를 2회 늘리고, 카드를 1장 뽑는다. (기본 세트)
- 대장간(4): 카드를 3장 뽑는다. (기본 세트)
- 예배당(2): 손에 있는 카드를 최대 4장까지 폐기하여 덱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돕는다. (기본 세트)
- 마녀(5): 다른 플레이어에게 저주 카드 1장을 강제로 얻게 하는 공격 카드. (기본 세트)
- 해자(2): 다른 플레이어의 공격 카드 효과를 막을 수 있는 반응 카드. (기본 세트)
- 책략가(5): 사용한 턴에는 손의 카드를 모두 버리지만, 다음 턴 시작 시 카드 5장을 뽑고 추가 액션과 구매를 얻는 지속 카드. (확장 세트: 바닷가)
- 국경 마을(6): 사용 시 '마을'과 같은 효과를 내며, 이 카드를 구매할 때 비용이 더 낮은 카드 1장을 추가로 얻는다. (확장 세트: 이방)
- 궁정(7): 손에 있는 다른 액션 카드 1장을 선택하여 그 효과를 세 번 발동시킨다. (확장 세트: 번영)
- 이동 동물원(3): 손에 든 카드의 종류가 모두 다를 경우, 카드를 3장 뽑는다. (확장 세트: 수확제)
- '''보물 카드 예시'''
- 은행(7): 이 카드를 포함하여 사용 중인 보물 카드 1장당 1 코인을 얻는다. (확장 세트: 번영)
- '''승점 카드 예시'''
- 정원(4): 게임 종료 시 덱에 있는 카드 10장당 1점을 얻는다. (기본 세트)
- 공작(5): 게임 종료 시 자신이 가진 '영지' 카드 1장당 1점을 얻는다. (확장 세트: 음모)
3. 3. 기타 카드 (확장판)
다음은 확장판에 포함된 기타 카드들의 예시이다. ( ) 안은 카드의 코스트를 나타낸다.- '''명마'''(0 상당) - 액션 카드 '창시합'의 효과로 얻을 수 있는 보상 카드 중 하나이다. '카드를 2장 뽑는다', '액션을 2회 추가', '돈을 2금 획득', '은화'를 4장 획득하여, 덱과 버린 카드 더미를 리셋'의 2가지 효과를 실행한다. (확장 세트: 수확제)
- '''풀이 무성한 저택'''(1 상당) - 게임 시작 시 '저택' 대신 소지하는 피난처 카드 중 하나이다. 이 카드를 폐기할 때, 카드를 1장 뽑는다. (확장 세트: 암흑 시대)
- '''챔피언'''(6 상당) - 트래블러 카드 중 하나로, '기사 견습생'이 성장한 최종 형태인 지속 카드이다. 게임 종료 시까지 상대의 어택을 무효화하고, 무한정 액션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확장 세트: 모험)
- '''탐험'''(3) - 왕국 카드와 별도로 준비되는 이벤트 카드 중 하나이다. 클린업 페이즈에서 뽑는 카드의 수를 2장 늘린다. (확장 세트: 모험)
- '''박물관'''(코스트 없음) - 왕국 카드와 별도로 준비되는 랜드마크 카드 중 하나이다. 득점 계산 시, 소지한 다른 이름의 카드 1장당 2 승점을 얻는다. (확장 세트: 제국)
- '''수도원'''(2) - 야상곡 확장 세트에서 채용되는 야간 페이즈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야행 카드 중 하나이다. 이 턴에 획득한 카드 매수까지, 자신의 손에 있는 카드 또는 필드에 있는 '동전'을 폐기할 수 있다.
- '''대지의 은혜'''(코스트 없음) - 행복의 요소를 가진 액션 카드의 효과로, 무작위로 좋은 영향을 가져다주는 축복 카드 중 하나이다. 재보 카드 1장을 버리면, 코스트 4 이하의 카드를 획득할 수 있다. (확장 세트: 야상곡)
- '''선망'''(코스트 없음) - 불운의 요소를 가진 액션 카드의 효과로, 무작위로 나쁜 영향을 가져다주는 저주 카드 중 하나이다. 1턴 동안, 대상 플레이어의 '은화'와 '금화'가 1금밖에 나오지 않게 된다. (확장 세트: 야상곡)
4. 확장판
도미니언 게임의 상업적 성공으로 인해 여러 확장팩이 출시되었다.[5] 기본 세트는 비교적 간단하지만,[8][9] 각 확장팩은 일반적으로 새로운 왕국 카드를 추가하고, 새로운 카드 유형을 도입하거나 해당 확장팩 사용 시 각 플레이어의 시작 덱 구성을 변경하는 등의 추가 규칙을 통해 게임의 복잡성을 더한다.
일부 확장팩에서는 게임 설정에 '풍경(Landscapes)' 카드를 추가했다. 이 카드들은 일반 카드와 달리 가로 방향이며 플레이어의 손이나 덱에 포함되지 않고, 즉시 효과를 발휘하거나 나중에 사용하기 위해 플레이어 앞에 놓인다. 풍경 카드는 게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Adventures'' 확장팩은 즉시 보너스를 제공하는 '이벤트(Events)'를 구매하는 기능을 도입했다. 다른 확장팩들은 게임 진행 상황을 추적하기 위한 토큰을 도입했다. ''Prosperity'' 확장팩은 특정 왕국 카드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승점 토큰을 도입했는데, 이 토큰은 플레이어의 점수를 높여주지만 승리 카드로 덱을 채우지는 않는다. 플레이어가 이러한 비공급 카드 더미나 토큰이 필요한 왕국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게임 시작 전에 공급처와 함께 준비된다.[10][11]
많은 리뷰에서는 게임의 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확장팩 구매를 권장하며, 서로 다른 세트의 카드를 자유롭게 섞어 사용할 수 있다.[12]
각 확장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도미니언: 음모 (Dominion: Intrigue)''''' (확장 세트 제1탄): 플레이어가 카드를 사용할 때 여러 효과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카드와, 게임 종료 전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나 보너스를 가진 승점 카드를 도입했다. 기본 세트와 마찬가지로 기본 카드가 포함되어 있어 단독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독립형 확장 세트였으나, 2판에서는 기본 카드가 제외되었다. 기본 세트 구매 후 첫 번째 확장팩으로 추천되기도 한다.[13][14] 테마는 "선택"과 "효과가 있는 승점 카드"이다.
- '''''도미니언: 해변 (Dominion: Seaside)''''' (확장 세트 제2탄): 플레이어의 다음 턴에 영향을 주는 카드가 테마이다. 한 턴 이상 효과가 지속되는 지속 카드(Duration cards)를 도입했다. 또한 효과 추적을 위한 매트나 토큰을 사용하는 카드가 처음 포함되었다.[15] 영주들이 바다 건너 교역을 통해 이익을 얻는다는 설정을 가지고 있다. 덱의 일부를 폐기하지 않고 격리할 수 있게 되었다.
- '''''도미니언: 연금술 (Dominion: Alchemy)''''' (확장 세트 제3탄): 새로운 기본 보물 카드인 물약(Potion)을 도입한 첫 세트이다. 이 확장팩의 많은 왕국 카드는 구매 비용으로 물약을 요구한다.[16] 물약을 비용으로 요구하는 카드는 구매하기 어렵지만 강력하고 독특한 효과를 가진다. 아카데믹한 분위기의 카드가 많다.
- '''''도미니언: 번영 (Dominion: Prosperity)''''' (확장 세트 제4탄): 테마는 '부'와 '번영'이다. 10점의 승점을 제공하는 식민지(Colony)와 5 코인을 제공하는 백금(Platinum)이라는 두 가지 새로운 기본 카드를 도입했다. 또한 많은 보물 카드가 왕국 카드로 포함되었으며, 플레이어의 점수를 높이지만 덱의 일부가 아닌 승점 토큰도 도입했다.[17] 고가에 강력한 효과를 가진 카드가 많다.
- '''''도미니언: 수확제 (Dominion: Cornucopia)''''' (확장 세트 제5탄): 테마는 '다양성'이다. 덱에 다양한 종류의 카드를 가진 플레이어에게 보상을 주는 카드가 있다. 게임에 추가 왕국 카드 더미를 추가하는 카드와, 일반적으로 구매하거나 얻을 수 없지만 특별한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공급처 외의 카드(포상)도 도입했다.[18] 후에 '도미니언: 연금술'과 합본으로 '도미니언: 연금술 & 수확제 듀얼 세트'가 발매되었다.
- '''''도미니언: 이향 (Dominion: Hinterlands)''''' (확장 세트 제6탄): 카드를 얻거나 구매할 때 특별한 효과를 발휘하는 카드를 도입했다. 또한 카드를 얻거나 사용할 때 다른 플레이어에게도 혜택을 주는 카드가 포함되어 있다.[19] 2판 출시 후에는 '반응' 하위 테마가 추가되었다. 테마는 "획득 시 효과"와 "패의 세련됨"이다. 버린 카드에 관련된 효과를 가진 카드 등이 등장했다.
- '''''도미니언: 암흑 시대 (Dominion: Dark Ages)''''' (확장 세트 제7탄): 카드를 버리고(폐기) 더 나은 카드로 업그레이드하는 것과, 플레이어의 덱을 덜 유용한 카드로 채우는 경향이 있어 카드 폐기를 장려하는 두 가지 기계적 테마를 가지고 있다. 테마는 "폐기"로, 폐기한 순간 효과를 발휘하는 카드나, 덱 용량을 압박하는 "저주"에 준하는 카드, 1장씩 다른 왕국 카드로 구성된 "기사"의 덱 등이 등장했다. 공급처에 없는 카드를 얻는 새로운 방법, 구매하지 않고 공급처의 카드를 사용하는 방법, 플레이어의 시작 승점 카드를 대체할 수 있는 카드(쉼터), 버려질 때 효과가 있는 카드를 도입했다.[20] 카드 매수 500장은 당시 최대 규모의 확장 세트였다.
- '''''도미니언: 길드 (Dominion: Guilds)''''' (확장 세트 제8탄): 돈의 복잡한 사용을 테마로 한다. 나중에 구매에 사용할 수 있도록 돈을 '저축'하는 금고(Coffers) 토큰을 도입했다. 또한 플레이어가 카드 구매 시 '초과 지불'하여 추가 보너스를 얻을 수 있는 카드를 도입했다.[18] "코인 토큰"을 획득할 수 있는 카드가 많다.
- '''''도미니언: 모험 (Dominion: Adventures)''''' (확장 세트 제9탄): 여행자(Travelers)와 예약 카드(Reserve cards)를 도입했다. 예약 카드는 지속 카드의 변형으로, 플레이될 때 보드에 남아 있다가 플레이어가 효과를 활성화하기로 선택할 때까지 유지된다. 여행자는 플레이하면서 더 강력한 카드로 교환되어 최종 단계에 도달하는 일반 왕국 카드이다. 또한 첫 번째 풍경 카드인 이벤트(Events)를 도입했다.[21] 다음 턴 이후에도 효과가 지속되는 새로운 지속 카드(고용인, 챔피언)와, 나중에 플레이어에게 도움이 되거나 해를 끼치는 보너스 토큰도 추가했다.
- '''''도미니언: 제국 (Dominion: Empires)''''' (확장 세트 제10탄): 부채(Debt) 비용이 있는 카드를 도입했다. 코인 대신 부채 토큰을 받고 나중에 갚아야 하며, 갚기 전까지 다른 카드를 구매할 수 없다. 또한 분할 더미(Split Piles)를 도입했는데, 저렴한 카드가 위에 있고 해당 카드가 모두 구매되면 더 비싼 두 번째 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쌍의 대부분은 시너지 관계를 가진다. 이벤트 카드와 함께, 승점을 얻거나 잃는 새로운 방법을 추가하는 풍경 카드인 랜드마크(Landmarks)를 도입했다.[22] 특정 카드 더미에서 특별한 효과를 얻기 위해 승점 토큰을 모으는 수집 더미(Gathering piles)도 추가했다.
- '''''도미니언: 야상곡 (Dominion: Nocturne)''''' (확장 세트 제11탄): 구매 단계 이후에 진행되는 새로운 단계인 밤(Night) 단계를 도입했다. 밤 카드는 이 단계에서 플레이되는 새로운 유형의 카드이다. 밤 단계에서는 "야행" 카드만 플레이할 수 있지만 액션 횟수 제한 없이 여러 장 사용 가능하다. 또한 무작위 보너스와 페널티를 제공하는 운명(Fate) 카드와 둠(Doom) 카드를 도입했으며, 이는 새로운 Hex 및 Boon 덱에 의해 결정된다. 쓰레기 더미에서 카드를 플레이하는 카드, 플레이어에게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태(States), 플레이어의 시작 동 카드(Copper)를 대체하는 새로운 보물인 가보(Heirlooms), 랜덤한 행운과 불운을 가져오는 "축복" 카드・"저주" 카드 등이 포함되어 있다.[23] 카드 매수 500장의 대규모 세트이다.
- '''''도미니언: 르네상스 (Dominion: Renaissance)''''' (확장 세트 제12탄): 프로젝트(Projects), 유물(Artifacts), 마을 사람(Villagers) 토큰을 도입했으며, 강력한 버리기 테마를 가지고 있다. 프로젝트는 구매 시 영구적인 보너스를 제공하는 풍경 카드이다. 유물은 상태 카드와 유사하게 플레이어 앞에 놓여 있는 동안 지속적인 효과를 주며, 특정 왕국 카드와 연관되어 소유권이 바뀐다. 마을 사람 토큰은 저장된 액션 역할을 하여 나중에 추가 액션을 플레이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 세트에는 ''Guilds''의 금고 토큰도 다시 등장한다.[24]
- '''''도미니언: 이동 동물원 (Dominion: Menagerie)''''' (확장 세트 제13탄): 추방 매트(Exile mats), 길(Ways), 추가 이벤트 카드, 그리고 특별 카드 말(Horse)을 사용하는 카드를 도입했다. 추방 매트는 덱, 손, 공급처에서 추방된 카드를 보관하여 일시적으로 덱에서 카드를 제거하거나 간접적으로 카드를 얻는 데 사용된다. 길은 풍경 카드로, 액션 카드를 플레이할 때 인쇄된 텍스트 대신 길의 텍스트를 따를 수 있게 한다(습성 카드). 말 카드는 특별 더미에 있으며 직접 구매할 수 없고 플레이 시 더미로 돌아간다.[25] 플레이어의 행동에 따라 코스트가 변동하는 카드 등이 등장했다.
- '''''도미니언: 동맹 (Dominion: Allies)''''' (확장 세트 제14탄): 연계 카드(Liaison cards)를 통해 얻을 수 있고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거나 새로운 유형의 풍경 카드인 동맹(Allies)을 사용하는 데 필요한 호의(Favor) 토큰을 도입했다. ''Empires''의 분할 더미가 변형되어 재등장했는데, 이 더미는 회전시켜 다른 카드를 먼저 구매할 수 있으며, 2종류 카드 5장씩이 아닌 4종류 카드 4장씩으로 구성된다. 도미니언 최초로 지속-보물 카드가 등장했으며, 이는 나중에 Seaside 2판과 Plunder에서 다시 등장한다.[26]
- '''''도미니언: 약탈 (Dominion: Plunder)''''' (확장 세트 제15탄): 약탈품(Loot)과 특성(Traits)을 도입했다. 약탈품은 특정 액션 및 보물 카드의 효과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귀중한 보물 카드 더미(전리품)이다. 특성은 특정 카드 더미의 모든 카드에 영향을 미치는 풍경 카드이다(예: 비용 감소). 더 많은 보물, 지속 카드, 이벤트 카드가 포함되어 있다.[27] 역대 확장팩 중 가장 많은 지속 카드와 보물 카드를 포함하고 있다. 카드 매수 500장의 대규모 세트이다.
- '''''도미니언: 욱일 (Dominion: Rising Sun)''''' (확장 세트 제16탄): 플레이어가 손이 아닌 덱에서 플레이할 수 있는 그림자 카드(Shadow cards)와 게임 후반에 발효될 규칙 변경 사항인 예언(Prophecies)을 도입했다. 부채와 이벤트와 같은 익숙한 메커니즘이 돌아와 복잡성을 더한다. 이 확장팩의 테마는 봉건 시대 일본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사무라이, 낭인 등 관련 카드 이름이 포함되어 있다.[28] 덱 셔플 시 덱 맨 아래에 놓여 패처럼 플레이할 수 있는 그림자 카드가 특징이다. 카드 일러스트에는 일본인 아티스트가 다수 참여했다. "전조" 카드가 일정 수 사용되면 모든 플레이어에게 효과를 가져다주는 예언 카드가 등장했다.
수많은 확장판과 미니 확장판(주로 홍보용 카드)이 출시되었다.[12] ''Intrigue''는 기본 세트 구매 후 첫 번째 확장판으로 추천되기도 했다.[13] 디자이너 도널드 X. 바카리노는 원래 ''Guilds'' 이후 게임 확장을 중단할 계획이었지만,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29]
: "그렇지만, 어느 시점에는 퍼블리셔들이 다른 확장을 원할 것이고, 음, 저는 친절한 것을 좋아합니다. 그래서 ''Guilds''가 마지막이라고 보장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일반 확장판과 가끔 나오는 확장판 사이의 분기점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두 개의 "빅 박스" 세트가 출시되었다. 첫 번째 세트(2010년 출시, 현재 단종)에는 ''도미니언'' 초판, ''Alchemy'', ''Prosperity'', 그리고 홍보 카드 Envoy와 Black Market이 포함되었다. 이후 판에는 Walled Village와 Governor와 같은 대체 홍보 카드가 포함되기도 했다. 빅 박스 II(2016년 출시)에는 ''도미니언'' 2판, ''Intrigue'' 2판, 그리고 5~6인용 게임을 위한 추가 기본 카드가 포함되어 있다.
2020년 ''Menagerie'' 출시 기준으로, ''도미니언''은 585장의 서로 다른 이름의 카드와 풍경(이벤트 등)을 포함했으며, 366개의 왕국 카드 묶음이 있었다 (1판 기본 및 ''Intrigue''에서 대체된 12개 포함). 2021년 연구에 따르면, 가능한 고유 게임 조합은 6600경 개 이상으로 계산되었다.[38]
게임과 확장판의 카드 수가 4,000장이 넘기 때문에, 리오 그란데 게임즈는 모든 카드를 한두 개의 상자에 보관할 수 있도록 제조업체의 보관함 제작을 허가했다.[39]
기본 세트 및 일부 확장 세트의 카드 내용을 조정하고 새로운 카드를 추가한 두 번째 판(Second Edition)이 순차적으로 발매되고 있다.
- 도미니언: 두 번째 판 (Dominion: Second Edition): 기본 세트의 리메이크. 구판에서 6종류의 왕국 카드가 삭제되고, 새롭게 7종류의 왕국 카드가 추가되어 총 26종류가 되었다. 기존 카드에도 텍스트 변경이 있다.
- 도미니언: 음모 두 번째 판 (Dominion: Intrigue Second Edition): 구판에서 6종류의 왕국 카드가 삭제되고, 새롭게 7종류의 왕국 카드가 추가되어 총 26종류가 되었다. 구판과 달리 기본 카드는 포함되지 않는다.
- 도미니언: 해변 두 번째 판 (Dominion: Seaside Second Edition): 구판에서 8종류의 왕국 카드가 삭제되고, 새롭게 9종류의 왕국 카드가 추가되어 총 27종류가 되었다.
- 도미니언: 번영 두 번째 판 (Dominion: Prosperity Second Edition): 구판에서 9종류의 왕국 카드가 삭제되고, 새롭게 9종류의 왕국 카드가 추가되어 총 25종류가 되었다.
- 도미니언: 수확제 & 길드 두 번째 판 (Dominion: Cornucopia and Guilds Second Edition): (일본 미발매) 구판에서 8종류의 왕국 카드가 삭제되고, 새롭게 8종류의 왕국 카드가 추가되어 총 26종류가 되었다. "창 시합"에서 획득할 수 있는 "보상" 카드는, "일기토"에서 획득할 수 있는 "리워드" 카드로 변경되었다.
- 도미니언: 이향 두 번째 판 (Dominion: Hinterlands Second Edition): 구판에서 9종류의 왕국 카드가 삭제되고, 새롭게 9종류의 왕국 카드가 추가되어 총 26종류가 되었다.
5. 역사 및 평가
도널드 X. 바카리노가 2006년 고안한 덱 빌딩이라는 독특한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31][2] 2007년 오리진 게임 페어에서 리오 그란데 게임즈의 주목을 받아 계약을 체결하고,[32] 2008년 정식 출시되었다.
출시 이후 《도미니언》은 전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확장판을 포함하여 250만 부 이상 판매되었다.[5] 특히 2009년에는 독일의 권위 있는 게임상인 슈필 데스 야레스(Spiel des Jahres, 올해의 게임상), 독일 게임상(Deutscher Spiele Preis), 알라카르테 카드 게임상에서 모두 대상을 수상하며 '''사상 최초로 독일 게임 3관왕'''이라는 위업을 달성했다.[61][66][67] 이 외에도 오리진 어워드, 다이아나 존스 어워드 등 다수의 상을 수상하며 게임성을 널리 인정받았다.[63][4]
《도미니언》은 빠른 게임 진행 속도, 단순하면서도 깊이 있는 전략성, 높은 리플레이성 등으로 호평을 받았다.[7] 게임 중 카드를 구매하여 자신의 덱을 강화하는 과정 자체가 핵심 재미 요소로 작용하며, 매 게임마다 다른 카드 조합으로 새로운 전략을 구사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하지만 게임 테마가 약하고 추상적이라는 점, 플레이어 간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부족하여 "멀티플레이어 솔리테어" 같다는 비판도 존재한다.[9][13]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미니언》은 덱 빌딩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한 선구적인 게임으로 평가받으며, 이후 수많은 유사 게임의 등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13]
5. 1. 개발 배경
도널드 X. 바카리노는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활동했다.[2] 이 시기 그는 ''던전 앤 드래곤''의 부가 자료를 만들거나 기존 보드 게임을 기반으로 게임을 제작하기도 했다.[29] 1993년 ''매직 더 개더링'' 출시 이후, 게임 디자인에 더 깊이 관여하기 시작하여 90장 분량의 팬 확장팩 '세상의 가장자리'를 만들었고, 비공식적으로 ''매직'' 관련 작업에 기여하여 공식 규칙서에 이름이 실리기도 했다. 바카리노는 ''매직''이 자신에게 게임 디자인의 영감을 주었으며, 특히 드래프팅 방식과 상호작용 규칙을 가진 카드를 접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언급했다.[30] 이후 그는 여러 게임 아이디어를 구체화하여 ''매직''의 제작자인 리처드 가필드와 논의하기도 했다.[2]2006년, 바카리노는 "스피릿 워리어 II"라는 판타지 어드벤처 카드 게임을 개발하던 중 덱 빌딩 메커니즘을 고안했다.[31] 그는 게임 그룹에 선보일 마감 기한을 앞두고 이 메커니즘 구현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주말 동안 핵심 요소만 남기고 단순화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특히 게임 진행 중 새로운 카드를 도입하는 방식에 난항을 겪다가, 처음에는 모든 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게임은 즉시 게임 그룹 내에서 큰 인기를 얻어, 이후 2년간 ''매직''을 포함한 다른 게임들을 제치고 가장 많이 플레이되는 게임이 되었다.[2]
이러한 성공에 힘입어 바카리노는 게임을 개선하고 정식으로 출시할 방법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2007년 오리진 게임 페어에서 게임을 시연했고, 리오 그란데 게임즈의 주목을 받았다.[32] 리오 그란데와 계약을 맺은 직후, 보드게임긱(BoardGameGeek)의 칼럼니스트 밸러리 풋먼(Valerie Putman)과 데일 유(Dale Yu)가 리오 그란데 측에 게임 개발 참여를 요청했다. 개발 과정에서 게임은 성 안의 방을 건설한다는 테마 때문에 "캐슬 빌더"(Castle Builder)로 불리다가 이후 "게임 X"(Game X)라는 임시 명칭으로 불렸다. 최종적으로 데일 유가 ''도미니언''이라는 이름을 제안했다.[32][33] 바카리노는 처음부터 확장을 통해 게임을 성장시킬 계획이었지만, 초기에는 "이국적인" 요소를 추가하기보다는 게임의 핵심 기능을 유지하는 데 집중했다. 이는 게임이 성공했을 때 초기 확장팩들이 호환되지 않는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였다. 그는 일반적인 ''도미니언'' 플레이에 초점을 맞춘 확장과, 새로운 메커니즘을 도입하는 확장 두 가지 방향을 구상했다.[2] 바카리노는 보드게임긱에 게시한 글에서 원래 7가지 다른 확장을 계획했었다고 밝혔으며,[2] 출시를 위해 핵심 게임을 조정하면서 본래 확장팩용으로 계획했던 카드 일부를 기본 게임에 포함시켰다고 언급했다.[34]
5. 2. 출시 및 수상 경력
더 많은 확장팩이 출시됨에 따라, 개발자 바카리노는 의도치 않은 게임 상황을 방지하고 새로운 메커니즘을 도입하기 위해 새로운 규칙을 추가했다.[35][36] 2016년, 리오 그란데 게임즈는 게임의 두 번째 에디션을 출시하기 시작했다. 이 에디션에서는 카드 디자인을 개선하고 일부 카드의 효과를 조정했다. 특히 기본 게임과 '장막 뒤의 사람들'(Intrigue) 확장판이 가장 큰 변화를 겪었는데, 일부 카드가 제거되고 더 강력한 카드가 추가되었으며, 기본 카드가 '장막 뒤의 사람들'에서 제외되었다. 기존 첫 번째 에디션을 소유한 플레이어를 위해 업그레이드 팩도 판매되었다.[37] 2022년과 2024년에는 '바닷가'(Seaside), '번영'(Prosperity), '외지'(Hinterlands), '풍요'(Cornucopia), '길드'(Guilds) 확장팩의 두 번째 에디션이 출시되었으며, 이 역시 일부 오래된 카드를 제외하고 새로운 카드를 도입했다.수많은 확장판과 미니 확장판이 출시되었으며,[12] 대부분은 왕국 카드 세트로 구성되어 있고, 일부는 홍보용으로 출시되었다. '장막 뒤의 사람들'(Intrigue)은 기본 세트 구매 후 첫 번째 확장판으로 추천되었다.[13] 바카리노는 원래 '길드'(Guilds) 이후 게임 확장을 중단할 계획이었지만, 다음과 같이 언급하기도 했다.[29]
: "그렇지만, 어느 시점에는 퍼블리셔들이 다른 확장을 원할 것이고, 음, 저는 친절한 것을 좋아합니다. 그래서 ''Guilds''가 마지막이라고 보장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일반 확장판과 가끔 나오는 확장판 사이의 분기점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두 개의 "빅 박스" 세트가 출시되었다. 첫 번째 세트는 '도미니언' 초판, '연금술'(Alchemy), '번영'(Prosperity), 그리고 홍보 카드 '사절'(Envoy)과 '암시장'(Black Market)을 포함했다. 이후 판에는 '성벽 마을'(Walled Village)과 '총독'(Governor) 같은 대체 홍보 카드가 포함되기도 했다. 이 세트는 2010년에 출시되었으며 현재는 구매할 수 없다. 빅 박스 II는 2016년에 출시되었으며, '도미니언' 2판, '장막 뒤의 사람들' 2판, 그리고 5인 및 6인용 게임을 위한 추가 기본 카드를 포함한다.
2020년 '동물원'(Menagerie) 출시 기준으로, '도미니언'은 585장의 서로 다른 이름의 카드와 풍경(이벤트 등)을 포함했으며, 366개의 왕국 카드 묶음이 있었다. 여기에는 나중에 대체된 1판 기본 및 '장막 뒤의 사람들' 출시본 각각 6개도 포함된다. 2021년, 연구원들은 6경 6천조 개 이상의 가능한 고유 게임 조합이 있다고 계산했다.[38]
이 게임과 확장판은 4,000장 이상의 개별 카드를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리오 그란데 게임즈는 모든 카드를 한두 개의 상자에 보관할 수 있도록 보관함 제작을 허가했다.[39]
도미니언은 출시 이후 여러 상을 수상하며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2009년에는 독일의 권위 있는 게임상인 슈필 데스 야레스(Spiel des Jahres, 올해의 게임상)를 수상했다. 이 상은 주로 가족 게임을 대상으로 하며, 수상작은 독일에서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도미니언'이 가족 게임으로서는 다소 복잡하다는 의견이 있어 수상을 둘러싼 논란이 있었고, 이는 2년 후 성인 게이머를 대상으로 하는 케너슈필 데스 야레스(Kennerspiel des Jahres, 올해의 전문가 게임상)가 신설되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62] '도미니언'이 수상하기 전후로 복잡한 게임들이 임시 특별상을 받기도 했으나, '도미니언'이 주요 가족 게임상을 수상한 것은 이례적인 일로 평가받았다. 케너슈필 상이 제정된 2011년 이후로는 이러한 논란이 줄어들었다.
주요 수상 내역:
- 2008년 오리진 어워드 최우수 전통 카드 게임[63]
- 2008년 미플스 초이스 어워드 (Meeples' Choice Award)
- 2009년 슈필 데스 야레스 (Spiel des Jahres)[4]
- 2009년 도이처 슈필레 프라이스 (Deutscher Spiele Preis)
- 2009년 멘사 셀렉트 (Mensa Select)
- 2009년 골든 긱 어워드 (Golden Geek Award) - 올해의 게임 & 올해의 카드 게임
- 2009년 다이아나 존스 어워드 (Diana Jones Award) - 게이밍 우수성 부문
- 2009년 오리진 어워드 최우수 카드 게임
- 2009년 알라카르트 카드 게임상 (Fairplay: À la carte Preis) 1위
- 2009년 J.U.G상 (JogoEu User's Game/포르투갈)
- 2009년 오스트리아 게임상 (Spiel der Spiele) 친구 게임 부문상
- 2009년 BoardGamer.ru (러시아) 올해의 최우수 카드 게임
- 2009년 Boughtalot.ru 올해의 최우수 게임
5. 3. 덱 빌딩 장르의 선구자
《도미니언》은 덱 빌딩 메커니즘을 포함한 최초의 보드 게임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13] 각 플레이어는 소국의 영주가 되어 자신의 영토(덱)를 확장해 나가는데, 게임 중 카드를 구매하여 자신의 덱을 강화하는 과정 자체가 핵심 플레이 요소이다. 이 '''카드 구매와 덱 구축 과정 자체'''가 게임 플레이의 핵심이며, 《도미니언》의 가장 큰 특징이다.다양한 효과를 가진 왕국 카드는 초판 기본 세트에 25종, 확장 세트를 포함하면 260종 이상 존재한다. 이 카드들의 조합을 통해 트레이딩 카드 게임과 유사한 전략적 깊이를 제공하면서도, 한 게임에서는 10종류의 왕국 카드만 사용하도록 제한하여 게임의 복잡성을 낮추고 매번 새로운 플레이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게임에 사용되는 카드가 세트 내에 포함되어 있어, 트레이딩 카드 게임처럼 강해지기 위해 지속적으로 카드를 구매해야 하는 부담이 없다.
《도미니언》은 속도감 있는 진행, 단순한 규칙, 깊이 있는 전략성, 그리고 높은 재플레이성으로 호평을 받았다.[7] 하지만 테마가 약하고 추상적이라는 비판과 함께, 플레이어 간 상호작용이 적어 "멀티플레이어 솔리테어" 같다는 평가도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단점은 게임 플레이 자체의 재미에 비하면 사소한 문제로 여겨지는 편이다.[9][13]
이 게임은 상업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어, 전 세계적으로 250만 부 이상 판매되었고 한국어를 포함한 18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5] 또한 2009년 독일 올해의 게임(Spiel des Jahres), 독일 게임상(Deutscher Spiele Preis), 알라카르테 카드 게임 상 등 주요 보드 게임 상을 석권하며 '''사상 최초로 독일 게임 3관왕'''을 달성하는 등[61][66][67] 높은 평가를 받았다. 오리진상(Origins Award)과 다이애나 존스상(Diana Jones Award) 등 다른 유수의 상도 수상했다.
《도미니언》의 성공은 이후 마법 기사 보드 게임(Mage Knight Board Game)과 같이 덱 빌딩을 핵심 메커니즘으로 사용하는 수많은 후속 게임들의 등장을 이끌었다.
6. 라이선스 제품
호비 재팬에서는 『도미니언』의 게임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른 작품의 세계관과 캐릭터를 적용한 라이선스 제품들을 출시했다. 이 제품들에 포함된 카드들은 원본 『도미니언』 카드와 효과는 동일하지만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세트별 카드 조합 방식은 독자적으로 구성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We’re in love with the new Star Wars deckbuilding game
https://arstechnica.[...]
2023-05-05
[2]
웹사이트
Dominion Over All
https://www.escapist[...]
2009-08-04
[3]
웹사이트
Die beliebtesten Spiele der Spiel '08 – die Top Ten der Scouts
http://fairplay-onli[...]
2008-10-26
[4]
웹사이트
Dominion
https://www.spiel-de[...]
2021-11-24
[5]
뉴스
Table-top Generals
https://www.economis[...]
2021-11-06
[6]
웹사이트
Dominion Second Edition Rulebook
https://www.riogrand[...]
Rio Grande Games
2023-01-19
[7]
웹사이트
Review of Dominion
http://www.rpg.net/r[...]
2009-02-18
[8]
웹사이트
Review - Dominion (2nd Edition)
https://geeksundergr[...]
2021-04-14
[9]
간행물
Dominion: Quality Deck-Building Since 2008
https://www.wired.co[...]
2011-02-07
[10]
웹사이트
Dominion: Prosperity Rulebook
https://www.riogrand[...]
Rio Grande Games
2021-11-06
[11]
웹사이트
Dominion: Adventures Rulebook
https://www.riogrand[...]
Rio Grande Games
2021-11-06
[12]
웹사이트
A Complete Buyer's Guide to Dominion Board Game
http://www.ign.com/a[...]
2017-08-09
[13]
웹사이트
Dominion Review - The Game That Launched A Genre
https://techraptor.n[...]
2019-03-28
[14]
웹사이트
Dominion: Intrigue
https://www.riogrand[...]
2021-11-10
[15]
웹사이트
Dominion: Seaside
https://www.riogrand[...]
2021-11-10
[16]
웹사이트
Dominion: Alchemy
https://www.riogrand[...]
2021-11-10
[17]
웹사이트
Dominion: Prosperity
https://www.riogrand[...]
2021-11-10
[18]
웹사이트
Dominion: Cornucopia & Guilds
https://www.riogrand[...]
2021-11-10
[19]
웹사이트
Dominion: Hinterlands
https://www.riogrand[...]
2021-11-10
[20]
웹사이트
Dominion: Dark Ages
https://www.riogrand[...]
2021-11-10
[21]
웹사이트
Dominion: Adventures
https://www.riogrand[...]
2021-11-10
[22]
웹사이트
Dominion: Empires
https://www.riogrand[...]
2021-11-10
[23]
웹사이트
Dominion: Nocturne
https://www.riogrand[...]
2021-11-10
[24]
웹사이트
Dominion: Renaissance
https://www.riogrand[...]
2021-11-10
[25]
웹사이트
Dominion: Menagerie
https://www.riogrand[...]
2021-11-10
[26]
웹사이트
Dominion: Allies
https://www.riogrand[...]
2023-01-19
[27]
웹사이트
Dominion: Plunder
https://www.riogrand[...]
2023-01-19
[28]
웹사이트
Dominion: Rising Sun
https://www.riogrand[...]
2024-08-14
[29]
웹사이트
The Art of Design: interviews to game designers #19 – Donald X Vaccarino
https://opinionatedg[...]
2012-05-11
[30]
웹사이트
Game Designer Interview: Donald X. Vaccarino… Again!
http://meepletown.co[...]
MeepleTown
2012-02-29
[31]
웹사이트
The Secret History of Dominion
http://www.boardgame[...]
BoardGameGeek
2013-06-24
[32]
웹사이트
Game Preview/Review: Dominion
http://www.boardgame[...]
BoardGameGeek
2008-10-17
[33]
웹사이트
Valerie Putman: Game X = Dominion
http://www.boardgame[...]
[34]
웹사이트
The Secret History of the Dominion Cards
http://boardgamegeek[...]
BoardGameGeek
2008-11-13
[35]
웹사이트
Dominion: Hinterlands Rulebook
https://www.riogrand[...]
2021-11-09
[36]
웹사이트
Dominion 2019 Errata and Rules Tweaks
http://forum.dominio[...]
2021-11-09
[37]
웹사이트
The Secret History of the Dominion 2nd Editions
http://forum.dominio[...]
2021-11-09
[38]
웹사이트
Classic card game Dominion is getting a scary good new AI
https://www.polygon.[...]
2021-05-18
[39]
웹사이트
Origins Summer Preview: Dominion
http://boardgamegeek[...]
2013-08-23
[40]
웹사이트
Dominion: Envoy Promo Card
http://boardgamegeek[...]
BoardGameGeek
2012-07-03
[41]
웹사이트
Spielefest Wien 28.-30.11.2008
https://web.archive.[...]
Spieletest
2012-07-03
[42]
웹사이트
Dominion: Black Market Promo Card
http://boardgamegeek[...]
BoardGameGeek
2012-07-03
[43]
웹사이트
Dominion: Stash Promo Card
http://boardgamegeek[...]
BoardGameGeek
2012-07-03
[44]
웹사이트
Dominion: Walled Village Promo Card
http://boardgamegeek[...]
BoardGameGeek
2012-07-03
[45]
웹사이트
Dominion: Governor Promo Card
http://boardgamegeek[...]
BoardGameGeek
2012-07-03
[46]
웹사이트
BoardGameGeek
http://www.boardgame[...]
[47]
웹사이트
Dominion: Prince Promo Card
http://boardgamegeek[...]
BoardGameGeek
2014-07-22
[48]
웹사이트
Dominion: Summon Promo Card
https://boardgamegee[...]
2021-11-24
[49]
웹사이트
Dominion: Sauna / Avanto Promo Card
https://boardgamegee[...]
2017-08-31
[50]
웹사이트
Dominion: Seaside Update Pack
http://wiki.dominion[...]
2022-09-29
[51]
웹사이트
Dominion: Prosperity Update Pack
http://wiki.dominion[...]
2022-09-29
[52]
웹사이트
Dominion: Hinterlands Update Pack
http://wiki.dominion[...]
2022-09-29
[53]
웹사이트
Online Dominion Closure FAQ
http://dominion.isot[...]
2015-05-21
[54]
웹사이트
Isotropic
http://forum.dominio[...]
2021-11-24
[55]
웹사이트
Goko's HTML5 Game Portal Goes Back to Beta After Failed Launch
http://allthingsd.co[...]
2012-09-09
[56]
웹사이트
HTML5 games get their own Dominion: Goko.com
https://www.gamezebo[...]
2012-09-09
[57]
웹사이트
Transitioning to 2.0
https://web.archive.[...]
2016-03-19
[58]
웹사이트
2016 Plan + Future
https://web.archive.[...]
2016-03-19
[59]
웹사이트
Dominion Online
https://reason.com/2[...]
2021-11-09
[60]
웹사이트
Classic card game Dominion is getting a scary good new AI
https://www.polygon.[...]
2021-11-05
[61]
웹사이트
Preisträger – SPIEL Messe
https://web.archive.[...]
2022-11-30
[62]
웹사이트
'Dominion: Spiel Des Jahres winner {{!}} Dominion'
https://boardgamegee[...]
2022-01-26
[63]
웹사이트
35th Origins Awards
https://web.archive.[...]
Game Manufacturers Association
2012-08-06
[64]
웹사이트
'特報!! 「ドミニオン」日本語版 今春発売決定!! {{!}} ホビージャパンゲームブログ'
http://www.hobbyjapa[...]
2009-01-16
[65]
웹사이트
ドミニオン(Dominion)日本語版
https://hobbyjapan.c[...]
2019-04-02
[66]
웹사이트
'「ドミニオン」と日本一ソフトウェア歴代キャラクターを融合したカードゲーム「日本一ソフトウェアオールスターズ」発売決定'
https://www.inside-g[...]
2013-07-09
[67]
웹사이트
'史上初三冠達成!『ドミニオン』新作も登場 {{!}} ホビージャパンゲームブログ'
http://www.hobbyjapa[...]
2009-10-22
[68]
트윗
'『ドミニオン:旭日』カードはこのような感じ……'
2024-12-15
[69]
웹사이트
日本人が世界王者! いま大流行のボードゲーム「ドミニオン」について教えます
https://www.excite.c[...]
2011-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