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히라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요히라강은 홋카이도 삿포로시를 흐르는 강으로, 오이자리산에서 발원하여 조잔호로 흘러든다. 삿포로시 상수도의 주요 수원이며, 과거 아이누족은 이 강을 삿포로 펫(삿포로 강)이라고 불렀다. 19세기까지는 현재의 후시코강과 합류했으나, 홍수 이후 동쪽으로 새로운 물길이 생겼다. 현재는 댐과 발전소 건설, 연어 회귀 운동, 갈매기 서식 등 다양한 생태적, 사회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홋카이도의 강 - 소세이강
소세이강은 삿포로시를 관통하는 하천으로, 1866년 개척 당시 용수로로 개착되어 삿포로 시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역할을 해왔으며, 현재는 소세이강 공원으로 조성되어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활용된다. - 홋카이도의 강 - 이시카리강
이시카리강은 홋카이도 다이세쓰산에서 발원하여 이시카리만으로 흘러드는 주요 하천으로, 메이지 시대부터 다양한 개발 사업을 통해 홋카이도 발전에 기여했으나, 환경 문제와 잦은 홍수 및 수질 오염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도요히라강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도요히라 강 |
원어 이름 | 豊平川 |
로마자 표기 | Toyohira-gawa |
수계 | 이시카리 강 |
종류 | 일급 하천 |
길이 | 72.5km |
유역 면적 | 894.7 km² |
지리 | |
발원지 위치 | 삿포로시, 홋카이도, 일본 |
발원지 고도 | 850m |
하구 | 이시카리 강 |
하구 위치 | 삿포로시 및 에베쓰시, 홋카이도, 일본 |
하구 고도 | 2m |
행정 구역 | |
국가 | 일본 |
주 | 홋카이도 |
관할 구역 | 이시카리 진흥국 관내 |
기타 정보 | |
추가 정보 | http://watchizu.gsi.go.jp/watchizu.html?latitude=43.151561&longitude=141.44925 |
2. 유로
도요히라강은 오이자리산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흘러 定山湖|정산호일본어로 들어간다. 이 호수는 호헤이쿄 댐 건설로 만들어진 인공호이다. 강은 댐 아래의 협곡을 통과한 후, 정산계에서 하쿠이가와 등 여러 강과 합류하며 동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이후 코이시산 기슭에서 다시 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평야 지대로 들어서며, 이곳에 도요히라가와 부채꼴 평야(삿포로 부채꼴 평야)를 형성한다. 삿포로 교외로 진입하기 전에는 작은 댐 두 개가 강의 흐름을 조절한다. 강은 삿포로시의 도요히라구 중심부를 통과하며 북동쪽으로 흐른다. 도심 지역을 벗어나면 삿포로시 히가시구와 에베쓰시의 경계를 이루며 이시카리강에 합류한다.[3]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룸)
3. 역사
3. 1. 아이누 시대
이 강은 원래 아이누족에게 Sapporo Pet|삿포로 펫ain(삿포로강)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었다. '도요히라'(Toyopira|도요히라ain)는 본래 이 강의 나루터 또는 합류점을 가리키는 아이누어 지명이었다. 아이누족은 도요히라강이 이시카리 평야에 이르러 형성한 광대한 선상지의 모습을 보고 サッ・ポロ・ペッ|사쓰・포로・펫쓰ain(마르고 큰 강)라고 불렀는데, 이것이 오늘날 삿포로 지명의 어원이 되었다.[6] '도요히라'라는 이름 자체는 아이누어 トゥイエ・ピラ|투이에・피라ain(무너진 절벽)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7]
에도 시대 중기까지 도요히라강은 현재 삿포로 중심부 부근에서 북쪽으로 흘러 현재의 후시코강 유로를 따라 시노로(篠路)에서 이시카리강에 합류했다. 그러나 에도 시대 후기인 간세이(寛政) 연간(18세기 말)에 발생한 홍수로 인해 강의 흐름이 동쪽으로 크게 바뀌었다. 이때부터 강물은 현재의 삿포로 동고등학교 부근에 있던 샘을 수원으로 삼아 츠키사무강, 아쓰베쓰강과 합류하던 고누마가와(小沼川)의 물길로 흘러들어가게 되었다.
19세기까지 강의 하류는 오늘날의 후시코강(Fushiko River)과 거의 일치하는 경로를 유지했다. 홍수로 인해 동쪽으로 새로운 물길이 생긴 이후, 아이누족은 옛 하천 유역을 Fushiko Sapporo|후시코 삿포로ain(옛 삿포로) 또는 フシコ|후시코ain(오래된) 삿포로라고 불렀다. '후시코'는 아이누어로 '오래된'이라는 뜻으로, 이곳이 도요히라강의 옛 물길이었음을 보여준다.
이 지역에 대한 일본의 식민화가 진행되면서, 일본인들은 아이누 지명을 차용하여 새로운 지명을 만들었다. 새로운 홋카이도의 수도 이름은 강 이름에서 따와 '삿포로'로 정했고, 원래 '삿포로 펫'이라 불리던 강 본류는 나루터 이름이었던 '도요히라'를 따서 '도요히라강'으로 명명했다. 아이누족이 '후시코 삿포로'라고 부르던 옛 하천 유역은 '후시코강'(伏籠川, Fushiko Kawa)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도요히라교는 아이누족이 '도요히라'라고 불렀던 나루터 자리에 건설되었다.
3. 2. 일본 식민지 시대 이후
일본이 이 지역을 식민화하면서 아이누족이 사용하던 이름은 대체되었다. 일본인들은 새로운 홋카이도의 수도 이름을 강 이름 '삿포로'를 따라 지었고, 기존 '삿포로강'('삿포로 펫', Sapporo Petain)은 아이누족이 나루터로 부르던 '도요히라'(Toyopiraain)라는 이름을 따서 '도요히라강'으로 바꾸었다. 또한, 삿포로강의 옛 하류였던 '후시코 삿포로'(Fushiko Sapporoain)는 후시코강(伏籠川, Fushiko Kawa)으로 명명되었다. 도요히라교(Toyohira Bridge)는 아이누족이 '도요히라'라고 불렀던 나루터 자리에 건설되었다.
에도 시대 후기, 간세이(寛政) 연간의 홍수로 인해 동쪽으로 물길이 바뀐 도요히라강은 이후 복잡한 경로를 가지게 되었다. 서쪽에서 동쪽으로 흘러 츠키사무가와(月寒川), 아쓰베쓰가와(厚別川), 노쓰호로가와(野津幌川)를 합친 후, 현재의 에베쓰시(江別市) 타이간(対雁)에서 이시카리강에 합류하여 다시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형태였다. 이러한 흐름은 1941년(쇼와 16년)에 새로운 하도가 개척되면서 바뀌었다. 이때부터 도요히라강은 현재처럼 중간에 북쪽으로 꺾이는 유로를 가지게 되었다. 간세이 연간부터 1941년(쇼와 16년)까지 사용되었던 옛 하도는 규도요히라가와(旧豊平川) 또는 세다도요히라가와(世田豊平川)라는 이름으로 남아 있다.
참고로, '도요히라'(とよひら)라는 이름의 어원은 아이누어(アイヌ語) '투이에・피라'(tuye-pira|투이에피라ain, 崩れた崖, 무너진 벼랑)에서 유래하며,[7] '후시코'(フシコ)는 아이누어로 '오래된'(hushko|후시코ain)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후시코강이 과거 도요히라강의 옛 물길이었음을 보여준다.
4. 수해
일본의 대도시를 흐르는 강으로는 드물게 급류인 도요히라강은 상류의 고가네유온천 부근과 시가지에 있는 홀평교(幌平橋) 사이 20km 구간의 고저차가 삿포로 TV탑의 높이와 같은 147m에 달한다. 이 때문에 폭우 시에는 토사가 섞인 강한 물줄기가 삿포로 시가지로 흘러내리며, 삿포로시의 재해 위험 지도(ハザードマップ)에서는 중심 시가지의 대부분이 침수 예상 지역으로 분류되어 있다.[9]
과거 발생한 주요 수해는 다음과 같다.
- 1981년 (쇼와 56년) "56수해": 쇼와 56년 8월 홋카이도 호우로 불리는 두 차례의 대홍수가 발생하여 가장 큰 피해를 남겼다.
- 8월 3일부터 6일까지 저기압 전선과 쇼와 56년 태풍 제12호의 영향으로 총 강우량 294mm를 기록하며 대홍수가 발생했다.
- 2주 후인 8월 23일에는 쇼와 56년 태풍 제15호의 영향으로 총 강우량 229mm에 달하는 비가 내렸다.
- 이 두 차례의 홍수로 홋카이도 전역에서 사망자 3명, 범람 면적 614km2, 피해 가옥 약 30,991호의 피해가 발생했다.[10][11]
- 2001년 (헤이세이 13년) 홍수: 9월 9일부터 12일까지 헤이세이 13년 태풍 제15호 및 추우전선(秋雨前線)의 영향으로 홍수가 발생했다. 주변 다른 하천의 피해를 합쳐 피해 가옥 70호, 범람 면적 38km2의 피해가 기록되었다.[12]
- 2011년 (헤이세이 23년) 폭우: 9월 2일부터 6일까지 헤이세이 23년 태풍 제12호와 13호에 의한 폭우로 유량이 크게 증가하여 1981년 '56수해'에 버금가는 수준이 되었다. 그러나 사전에 이루어진 준설(浚渫) 등 유역 정비와 주변 배수장의 방수 대응 덕분에 직접적인 홍수는 면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여러 관측 지점에서 경계 수위를 넘어섰고, 하천 부지(河川敷)까지 물에 잠기는 상황이 발생했다.[13]
5. 수자원 이용
도요히라강 수계는 삿포로시의 중요한 수자원으로, 시 전체 상수도 공급량의 약 98%를 책임지며 '삿포로의 물 저장고' 역할을 한다.[3] 강물은 수력 발전에도 활발히 이용된다.
삿포로 시가지 구간의 하천 둔치는 '도요히라강 녹지'(豊平川緑地|도요히라가와 료쿠치일본어)로 잘 정비되어 있다. 이곳에는 물놀이장과 각종 운동장이 마련되어 있으며, 불꽃놀이 대회 장소로도 활용되는 등 삿포로 시민들에게 친숙한 휴식 공간이다.[3]
5. 1. 상수도
도요히라강 상류에 위치한 호헤이쿄 댐으로 인해 생성된 정산호(定山湖) 일대는 중요한 상수도 수원지 역할을 한다. 이 지역은 시코쓰토야 국립공원 구역 내에 있으며, 정산호는 댐 호수 100선에 선정되었다.또한, 상류의 정산호 주변 국유림은 임야청에 의해 '''「오쿠죠잔케이 국유림 수원의 숲」'''으로 지정되어 수원의 숲 100선[14]에도 이름을 올렸다.
산악 | 면적(ha) | 표고(m) | 인공림(%) | 천연림(%) | 주요 수종 | 제한림 | 종류 |
---|---|---|---|---|---|---|---|
소료산 | 15500ha | 500m - 1200m | 0 | 100 | 토도마쓰, 에조마쓰, 미즈나라, 센(하리기리) | 수원 함양 보안림, 레크리에이션의 숲(풍경림) | 댐 저수 (호헤이쿄 댐) |
오쿠죠잔케이 국유림은 인근의 니시죠잔케이 국유림과 함께 삿포로시 인구 190만 명의 상수도 공급량 중 85%를 책임지는 '녹색 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 지역을 국도 230호선이 가로지르며, 댐 호수와 주변의 울창한 녹색 경관을 여러 지점에서 조망할 수 있다.
'''위치''': 홋카이도 삿포로시 미나미구 정산계 (데이터는 지정년 1995년 7월 기준)
5. 2. 수력 발전
도요히라강의 물은 수력 발전에 이용된다. 본류에서는 정산계 발전소(定山渓発電所|조잔케이 하쓰덴쇼일본어), 도요히라쿄 발전소(豊平峡発電所|호헤이쿄 하쓰덴쇼일본어), 토야마 발전소(砥山発電所|토야마 하쓰덴쇼일본어), 모이와 발전소(藻岩発電所|모이와 하쓰덴쇼일본어)가 가동 중이다. 또한, 지류인 오타루나이가와(小樽内川|오타루나이가와일본어)에 있는 조잔케이 댐에는 오타루나이 발전소(小樽内発電所|오타루나이 하쓰덴쇼일본어)가 있다.6. 생태
도요히라강은 오이자리산에서 발원하여 호헤이쿄 댐 건설로 생긴 조잔호(定山湖)를 거쳐 흐른다. 강은 협곡을 통과한 후 여러 강과 합류하며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삿포로 교외로 진입한다. 이 과정에서 강 주변 환경은 산지에서부터 댐 호수, 협곡, 그리고 도시 지역으로 다양하게 변화하며 여러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삿포로 시 도요히라구를 관통한 뒤 북쪽과 동쪽으로 흘러 에베쓰시와의 경계를 이루며 이시카리강에 합류한다. 이러한 강의 흐름과 다양한 환경 변화는 하천 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
6. 1. 연어
에도 시대에 도요히라강은 연어(鮭) 어장이었다.[15] 메이지 시대에는 연어 자원 보호를 위해 포획이 금지되기도 했다.[15] 최초의 치어 방류는 1879년(메이지 12년)으로, 전년에 포획한 어미 연어의 알을 부화시켜 방류했다. 본격적인 연어 증식 사업은 1937년(쇼와 12년)부터 1953년(쇼와 28년)까지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후 생활하수 등의 배수로 인한 수질 악화로 사업이 중단되었고, 도요히라강으로 돌아오는 연어는 자취를 감추었다.그 후, 1970년대에 들어 수질이 점차 회복되기 시작하자, 1974년(쇼와 49년)부터 カムバックサーモン|컴백 새먼일본어이라는 시민 운동이 시작되었다. 1979년(쇼와 54년)에 다시 치어가 방류되었고, 1981년(쇼와 56년)에는 마침내 강으로 돌아온 연어가 확인되었다. 이 성공을 계기로 1984년(쇼와 59년) 삿포로시 도요히라가와 연어과학관(札幌市豊平川さけ科学館)이 설립되어 방류 사업을 이어받았다. 1985년(쇼와 60년)부터는 연어의 자연 산란도 확인되고 있다. 2012년(헤이세이 24년)의 연어 회귀 추정 수는 약 1,360마리로, 최고치를 기록했던 1995년(헤이세이 7년)의 6,600마리에 비해서는 감소한 수치이다.
6. 2. 갈매기
1995년경부터 삿포로시 중심부 부근에서 큰검은머리갈매기의 서식이 관찰되고 있다.[16] 이는 강에 연어가 늘어나 먹이가 풍부해졌고, 고층 빌딩 옥상이 원래 서식지인 해변 절벽과 비슷한 환경을 제공하여 번식에 유리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7. 지류
- 아나노 강 (지류: 오자와강, 이시야마강, 아나노가와 방수로)
- 마코마나이 강 (관련: 마코마나이용수)
- 콩누마자와강
- 우스베츠강
- 하쿠이강 (지류: 오타루나이강)
- 이치노사와강
- 햐쿠쇼쿠자와강
- 이타나사와강
- 이타와리자와강
- 스다루마이강
- 히가시노노자와강
- 노노자와강
- 오카바루시강
- 미나미노사와강
- 키타노사와강 (지류: 나카노사와강)
- 야마하나강
- 쇼진가와 (관련: 마코마나이용수, 쇼진가와 방수로)
- 소세이가와 (가모가모가와) (분류)
- 츠키사무강 (지류: 라우네나이강, 우라우치나이강, 모치츠키사무강, 구 토요히라강)
- 간라이신가와
- 아쓰베츠강 (지류: 야마베강, 구 토요히라강, 노즈호로강, 세타토요히라강)
8. 교량
도요히라강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교량들이 있다.
교량 이름 | 연결 도로 / 노선 / 비고 |
---|---|
미테키바시 | 임도 어입선 |
츠바키바시 | 임도 토요히라가와선 |
니마타바시 | 임도 토요히라가와선 |
토요히라쿄오하시 | 임도 토요히라가와 우간선 |
유타카바시 | 삿포로시도 쵸시구치 규도선 |
신토요바시 | 국도 230호선 |
이케이바시 | 임도 우스베츠사간선 |
니미츠리바시 | 삿포로시도 조자마케이 엔치 렌라쿠로 |
조자마케이 산도바시 | 삿포로시도 조자마케이 키타 2고센 |
츠키미바시 | 삿포로시도 조자마케이츄오센 |
고산바시 | 삿포로시도 조자마케이카이칸 코엔센 |
조자마케이오하시 | 홋카이도도 1호 오타루조자마케이선, 조자마케이오하시도오리 |
타마가와바시 | 삿포로시도 조자마케이츄가쿠 시가이치센 |
니시키바시 | 삿포로시도 조자마케이 토자이센 |
햐쿠마츠자와바시 | 임도 햐쿠마츠자와선 |
토야마사카에바시 | 삿포로시도 토요타키 토야마 렌라쿠센 |
토야마바시 | 삿포로시도 토야마 스레마이가와조 니시센 |
고료바시 | 삿포로시도 고료바시도오리센 |
시라이카와바시 | 삿포로시도 쥬고시마 단치 1고센 |
시라이카와바시(현수교) | 삿포로시도 시라이카와바시선 |
이시야마바시 | 삿포로시도 이시야마센 |
고우세키야마수관교 | |
이시야마오하시 | 국도 230호선, 조자마케이 국도, 이시야마도오리 |
모나미(모나미)바시 | 삿포로시도 카와조이 이시야마 렌라쿠센 |
고린오하시 | 홋카이도도 82호 니시노마코마나이키요타센, 고린도오리 |
모이와죠노하시 | 타키노우에노호로 자전거도로선 (1932년부터 1969년까지 모이와바시. 모이와바시 항목 참조) |
모이와바시 | 삿포로시도 마코마나이 시노로센, 마코마나이도오리 |
뮌헨오하시 | 삿포로시도 세이난센, 후쿠주미쿠와엔도오리 |
미나미니쥬니죠오하시 | 홋카이도도 453호 니시노시로이시센, 시로이시모이와도오리 |
미나미쥬쿠죠오하시 | 홋카이도도 89호 삿포로칸죠센, 칸죠도오리 |
호로히라바시 | 삿포로시도 호로히라바시도오리센, 시로이시츄노시마도오리 |
미나미오하시 | 삿포로시도 아사히야마코엔 요네사토센, 키쿠스이아사히야마코엔도오리 |
남칠조오하시 | 삿포로시도 마코마나이 시노로센, 남칠조요네사토도오리 |
토요히라바시 | 국도 36호선 |
토요히라가와 다이이치 수관교 | |
덴덴오하시 | |
이치죠오하시 | 홋카이도도 3호 삿포로유바리선, 히가시하치쵸메 시노로도오리 |
미즈호오하시 | 삿포로시도 난고도오리센, 난고도오리 |
히가시바시 | 국도 12호선, 삿포로에베츠도오리 |
헤이와오하시 | 삿포로시도 헤이와도오리센, 헤이와도오리 |
토요히라가와 교량 | 하코다테 본선 |
카미시로이시바시 | 삿포로시도 테츠키타센 |
키타쥬산죠오하시 | 삿포로시도 히가시나에호 1고센, 키타쥬산죠 키타고도오리 |
칸죠키타오하시 | 홋카이도도 89호 삿포로칸죠센 |
키타24죠사쿠라오하시[17] | 삿포로시도 |
토요히라가와바시 | 삿포로 신도 (토요스이오하시 상하선의 중간에 존재) |
토요스이오하시 | 국도 274호선(삿포로 신도) |
간라이오하시 | 국도 275호선 (소치 국도) |
9. 오쿠죠잔케이 국유림 수원의 숲
오이자리다케 산에서 발원한 도요히라 강은 북쪽으로 흘러 정산호에 이른다. 이 호수는 호헤이쿄 댐에 의해 만들어졌다. 강은 협곡을 통과하여 흘러가고, 협곡을 빠져나온 후 여러 개의 강과 합류하여 동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삿포로 교외로 들어서면서 두 개의 작은 댐이 도요히라 강의 흐름을 막고 있다. 강은 삿포로의 도요히라구 중앙을 북쪽과 동쪽으로 흘러간다. 도심 지역을 벗어나면 에베쓰시와의 경계를 이루며 이시카리강으로 흘러든다.[3]
참조
[1]
웹사이트
漁岳(札幌)
http://watchizu.gsi.[...]
Geographical Survey Institute
[2]
서적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 in Toyohiro-gawa alluvial fan, Hokkaido, Japan
CRC Press
2010
[3]
웹사이트
地図閲覧サービス 2万5千分1
http://watchizu.gsi.[...]
Geographical Survey Institute
2009-04-30
[4]
웹사이트
川のまめ知識
https://www.city.sap[...]
札幌市
2018-06-20
[5]
서적
さっぽろ文庫4 豊平川
北海道新聞社
1978
[6]
웹사이트
札幌市のあらまし/札幌市公式ホームページ-City of Sapporo-
https://www.city.sap[...]
2018-06-20
[7]
웹사이트
各地区の地名の由来
https://www.city.sap[...]
札幌市豊平区市役所ホームページ
2018-06-20
[8]
웹사이트
円山公園2年連続で「火気使用禁止」に…梅まつりも公園のBBQコーナーも中止 札幌市
https://www.fnn.jp/a[...]
FNNプライムオンライン
2021-04-12
[9]
뉴스
豊平川 実は暴れ川/過去に何度も氾濫 札幌中心部でも洪水被害/マップ確認 避難へ計画
https://www.hokkaido[...]
北海道新聞
2020-09-26
[10]
웹사이트
過去にはこんな洪水が
https://www.city.sap[...]
札幌市ホームページ
[11]
웹사이트
札幌の水害記録
https://www.city.sap[...]
札幌市ホームページ
[12]
웹사이트
水害と治水事業の沿革
https://www.mlit.go.[...]
[13]
웹사이트
平成23年9月2日からの停滞前線による大雨に伴う石狩川流域での出水
https://web.archive.[...]
[14]
웹사이트
奧定山渓国有林水源の森
http://www.rinya.maf[...]
林野庁
[15]
웹사이트
豊平川のサケの歴史
http://www.sapporo-p[...]
札幌市豊平川さけ科学館
2018-06-20
[16]
웹사이트
何でだろう!札幌市中心部・豊平川にオオセグロカモメ
http://nc-hokkaido.o[...]
[17]
웹사이트
札幌・北24条桜大橋が開通 豊平川の市道橋 東雁来と菊水元町結ぶ
https://www.hokkaido[...]
北海道新聞
2023-08-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