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제국 항공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일 제국 항공대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제국의 항공 전력을 담당하는 부대였다. 1884년 기구 부대로 시작하여 1910년 최초의 군용 항공기를 실전 배치했으며, 1913년 5개의 항공 대대를 창설하며 본격적인 항공 전력 강화가 시작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초기에는 정찰 및 포병 관측 임무를 수행했으나, 기술 발전에 따라 전투, 폭격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다. 영국 왕립 비행대 등과의 공중전을 통해 전술 및 전략이 발전했으며, 만프레트 폰 리히트호펜과 같은 에이스 조종사를 배출했다. 1918년 종전과 함께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해산되었으며, 다양한 종류의 항공기를 운용하고, 제조사, 기능, 로마 숫자를 조합한 명명 체계를 사용했다. 에른스트 폰 횝프너가 사령관을 맡았으며, 십자 훈장 문양과 발켄크로이츠를 상징으로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제국 항공대 - 항공대총감국
항공대총감국은 1913년부터 1919년까지 독일 항공병의 조직과 작전을 관할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제국 항공대의 전력 강화에 기여하고 종전 후 항공병 해체 과정을 관리했다. - 독일 제국 항공대 - 항공대총감국 항공기 명명법
항공대총감국 항공기 명명법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제국 공군에서 항공기 식별을 위해 도입된 체계로, 항공기의 종류와 임무에 따라 문자 코드를 부여하여 항공기 제조업체의 자체 명칭 사용으로 인한 혼란을 해결하고자 기종별 기호와 제작사/기종별 로마 숫자 연속 번호로 구성되었으며 종전 이후에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 - 독일의 공군사 - 루프트바페
루프트바페는 베르사유 조약으로 공군 보유가 금지된 후 비밀리에 재군비하여 1935년 창설된 나치 독일의 공군으로, 초기 승리 후 영국 전투와 동부 전선에서 손실을 입고 전쟁 범죄를 저지르며 패망했다. - 독일의 공군사 - 비행단장
비행단장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공군의 전투 조직인 전투항공단을 지휘하는 직책으로, 전투항공단은 일반적으로 3개의 비행대로 구성되며 각 비행대는 3개의 중대로 이루어진다. - 해산된 공군 - 루프트바페
루프트바페는 베르사유 조약으로 공군 보유가 금지된 후 비밀리에 재군비하여 1935년 창설된 나치 독일의 공군으로, 초기 승리 후 영국 전투와 동부 전선에서 손실을 입고 전쟁 범죄를 저지르며 패망했다. - 해산된 공군 - 일본 제국 육군 항공대
일본 제국 육군 항공대는 러일 전쟁 임시 기구대를 모태로 발전하여 중일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했으나, 태평양 전쟁 후반에는 전력 부족으로 가미카제 공격을 감행하기도 한 일본 제국 육군의 항공 부대이다.
독일 제국 항공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존속 기간 | 1910년 5월 1일 – 1920년 5월 8일 |
국가 | (1910–1918) (1918–1920) |
충성 | 빌헬름 2세 |
종류 | 공군 |
역할 | 공중전 |
규모 | 1918년: 전선 항공기 2,709대 비행선 56척 기구 186대 인력 약 4,500명 |
참전 | 제1차 세계 대전 비엘코폴스카 봉기 (1918년–1919년) |
식별 기호 (1914–1915) | [[파일:Cross-Pattee-Heraldry.svg|75px]] |
식별 기호 (1916 – 1918년 3월) | [[파일:Cross-Pattee-alternate3.svg|75 px]] |
식별 기호 (1918년 3/4월 – 1919년) | [[파일:Greek cross.svg|75px]]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헤르만 폰 데어 리트톰젠 에른스트 폰 회프너 |
해군 항공대 |
2. 역사
독일 제국 육군은 미국 남북 전쟁에서 미국 기구 부대를 관찰한 것을 모델로 하여 1884년부터 실험적인 기구 부대를 운영했다. 1901년까지 다양한 형태로 조직을 운영하다가 마침내 기구 대대가 창설되었다. 항공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비행선 시험이 이루어졌으며, 체펠린과 슈테-란츠에서 제작한 경식 비행선이 선택되었다. 독일 육군이 처음으로 획득한 군용 항공기는 1910년에 실전 배치되었고, 1913년 10월 1일에 처음으로 5개의 항공 대대가 창설되었다.[1] 1916년 10월 8일, 독일 제국 항공대(Die Fliegertruppen des deutschen Kaiserreichesde)와 대공, 국토 방위, 항공 정보 등 항공 관련 부서가 Luftstreitkräftede로 통합되었다.[2][3]
이러한 항공기의 임무는 처음에는 프랑스-프로이센 전쟁(1870–1871) 동안 사용되었던 기구와 마찬가지로, 프랑스 혁명 전쟁 중 플뢰뤼스 전투 (1794)에서처럼 육군 지원을 위한 정찰 및 포병 관측이었다.[4]
1918년 1월부터 9월까지 독일 공군 조종사들은 연합군 항공기 3,732대를 격추하고, 항공기 1,099대를 잃었다.[4] 종전 시점에는 총 2,709대의 최전선 항공기, 56척의 비행선, 186개의 기구 부대와 약 4,500명의 비행 인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독일의 패배로 끝나자(→ 11월 11일 휴전 협정), 독일 제국 항공대는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1920년 5월 8일에 해산되었고, 독일의 비행기는 연합군에게 완전히 넘겨졌다.
2. 1. 창설 배경
독일 제국 육군은 미국 남북 전쟁에서 미국 기구 부대를 관찰한 것을 모델로 하여 1884년부터 실험적인 기구 부대를 운영했다. 1901년까지 다양한 형태로 조직을 운영하다가 마침내 기구 대대가 창설되었다. 항공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비행선 시험이 이루어졌으며, 체펠린과 슈테-란츠에서 제작한 경식 비행선이 선택되었다. 독일 육군이 처음으로 획득한 군용 항공기는 1910년에 실전 배치되었고, 1913년 10월 1일에 처음으로 5개의 항공 대대가 창설되었다.[1] 1916년 10월 8일, 독일 제국 항공대 (Die Fliegertruppen des deutschen Kaiserreichesde)와 대공, 국토 방위, 항공 정보 등 항공 관련 부서가 Luftstreitkräftede로 통합되었다.[2][3]이러한 항공기의 임무는 처음에는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1870–1871) 동안 사용되었던 기구와 마찬가지로, 그리고 프랑스 혁명 전쟁 중 플뢰뤼스 전투 (1794)와 마찬가지로 육군 지원을 위한 정찰 및 포병 관측이었다.[4] 프랑스 육군 항공대(Aviation Militaire프랑스어)는 1909년에 창설되었고, 1912년에는 Aéronautique Militaire프랑스어가 되었다. 1911년 11월에는 2개의 중대로 구성된 왕립 공병대 항공 대대가 설립되었다. 영국 육군 항공대 (RFC)는 군사 부대와 해군 부대를 포함하여 1912년 2월에 창설되었다.
2. 2. 제1차 세계 대전
1910년 독일 육군은 군용 항공기를 처음으로 실전 배치하였고, 1913년 10월 1일에는 5개의 항공 대대가 창설되었다. 초기에는 프랑스-프로이센 전쟁(1870~1871)과 플뢰뤼스 전투 (1794)에서 사용되었던 기구처럼 육군 지원을 위한 정찰 및 포병 관측 임무를 주로 수행하였다.1916년 10월 8일, 독일 제국 항공대(Die Fliegertruppen des deutschen Kaiserreichesde)와 대공, 국토 방위, 항공 정보 등 항공 관련 부서가 Luftstreitkräftede로 통합되었다.
1918년 1월부터 9월까지 독일 공군 조종사들은 연합군 항공기 3,732대를 격추하고, 항공기 1,099대를 잃었다.[4] 종전 시점에는 총 2,709대의 최전선 항공기, 56척의 비행선, 186개의 기구 부대와 약 4,500명의 비행 인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독일의 패배로 끝나자(→ 11월 11일 휴전 협정), 독일 제국 항공대는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1920년 5월 8일에 해산되었고, 독일의 비행기는 연합군에게 완전히 넘겨졌다.
3. 조직
독일 제국 항공대의 초기 부대는 Feldflieger Abteilung|펠트플리거 압타일룽|야전 비행대de로 알려졌으며, 무장하지 않은 2인승 A급(단엽기) 및/또는 B급(복엽기) 항공기 6대씩으로 구성되었다. 각 부대는 해당 지역 육군 부대에 배속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배속된 육군과 동일한 번호를 부여받았다.[1] 1916년, 독일 최고 사령부(Oberste Heeresleitung|오버스테 헤레스라이퉁|de)는 Die Fliegertruppen|디 플리거트루펜|비행대de를 재편성하여 전문 전투기, 폭격기, 정찰 부대를 창설했다.[2][3]
프로이센은 3개의 Jagdgeschwader|야크트게슈바더|전투 비행단de를 추가로 설립했다. 1918년 2월 2일, JG II가 Jastas|야스타스|de 12, 13, 15, 19로 구성되었고, 같은 날 JG III는 Jasta|야스타|de 2 Boelcke|뵐케|de와 Jastas|야스타스|de 26, 27, 36을 통합하여 창설되었다. 1918년 9월 2일, 왕립 프로이센 해군 야크트게슈바더de는 카이저해군de의 해군 펠트 야스타스de I~V로 편성되었다. 바이에른은 1918년 10월 3일에 왕립 바이에른 Jagdgeschwader IV|야크트게슈바더 IV|de를 설립했다.
3. 1. 부대 구성
초기 독일 제국 항공대는 Feldflieger Abteilung|펠트플리거 압타일룽|야전 비행대de를 중심으로 편성되었으며, 각 부대는 6대의 2인승 정찰기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주로 무장하지 않은 "A"(단엽기) 및/또는 "B"급(복엽기) 항공기로, 해당 지역 육군 부대에 배속되어 육군 부대와 동일한 번호를 부여받았다.[1]전쟁이 진행됨에 따라 항공대의 조직은 크게 변화했다. 새로운 유형의 항공기, 교리, 전술, 그리고 지상 부대의 요구 사항을 수용하기 위해 발전했다. 1916년, 독일 최고 사령부(Oberste Heeresleitung|오버스테 헤레스라이퉁|de)는 영국 왕립 비행대와 프랑스 Aviation Militaire|아비아시옹 밀리테르|군 항공대프랑스어에 대항하기 위해 단좌 전투기 비행대(Jagdstaffel|약트슈타펠|사냥 비행대de, Jastas|야스타|de)와 같은 전문 전투기, 폭격기, 정찰 부대를 창설했다.[2][3]

1915년 여름, 각 야전 비행 부대에 포커 아인데커 전투기 1~2대를 장비하면서 전투기 배치가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5대의 '''포커 M.5K/MG''' 생산 프로토타입(일련 번호 E.1/15 ~ E.5/15)으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lMG 08 "Spandau" 무장 생산 모델인 포커 E.I로 빠르게 전환되었다. 초기 E.I는 1915년 8월에 IdFlieg 일련 번호 E.13/15를 받은 막스 임멜만과 같은 에이스에게 인도되었다.[4]
1916년 2월, 프리드리히 슈템펠 소령은 Kampfeinsitzer Kommando|캄프아인자처 코만도|단좌 전투 부대de(KEK)를 설립했다. 이들은 아인데커와 팔츠 E시리즈 단엽기 등 새로운 전투기를 기반으로, 이전 FFA 부대에서 분리되어 전략적인 위치에 배치되었다. KEK 부대는 Luftwachtdienst|루프트바흐트디엔스트|공중 경비대de 부대로, 보, 아빌레르, 자메츠, 퀴넬 등 서부 전선 전역의 전략적 위치에 형성되어 전투기만으로 구성되었다.
1916년 늦여름, KEK 부대의 활동 이후 재편성을 통해 Jagdstaffeln|야크트슈타펠른|사냥 비행대de이 창설되었다. 이 부대는 종종 Jasta|야스타|de로 약칭되었다. 프로이센 왕국은 67개, 바이에른 왕국은 10개, 작센 왕국은 7개, 뷔르템베르크 왕국은 4개의 전투기 비행대를 보유했다.
1917년 6월 24일, 4개의 Jasta|야스타|de 비행대를 통합한 최초의 전투 비행단인 왕립 프로이센 Jagdgeschwader I|야크트게슈바더 I|de이 창설되었다. 여기에는 Jasta 4, 6, 10, 11이 포함되었으며, 만프레트 폰 리히트호펜이 지휘를 맡았다. 1918년 4월, "붉은 남작" 폰 리히트호펜이 전사한 후, JG I은 황제의 명령에 따라 그를 기리기 위해 개명되었다.
3. 2. 지휘관
에른스트 폰 횝프너는 1916년 10월 8일부터 1919년 1월 21일까지 독일 제국 항공대 사령관을 역임한 기병대장이다. 1860년에 태어나 1922년에 사망했다.
3. 3. 부대 명칭
독일 제국 항공대는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로 구성되었으며, 각 부대는 고유한 명칭을 사용했다. 주요 부대 명칭은 다음과 같다.약어 | 독일어 명칭 | 한국어 번역 | 비고 |
---|---|---|---|
FFA | Feldflieger Abteilungde | 야전 항공대 | 1914~15년 독일 육군의 초기 비행 부대 |
FA | Flieger-Abteilungde | 항공대 | |
FA(A) | Flieger-Abteilung (Artillerie)de | 항공대 (포병) | |
Jasta | Jagdstaffelde | 전투 비행대 | |
KEK | Kampfeinsitzerkommandode | 전투 단좌기 지휘부 | 전투 비행대 Jastade 부대의 전신 |
Kest | Kampfeinsitzerstaffelde | 전투 단좌기 비행대 | 전투 비행대 Jastade 부대의 전신 |
KG | Kampfgeschwaderde | 전술 폭격 비행단 | |
Kagohlde | Kampfgeschwader der Oberste Heeresleitungde | 독일 육군 최고 사령부 직할 전술 폭격 비행단 |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육군 최고 사령부의 직할 전술 폭격 비행단 |
Kasta | Kampfstaffelde | 전술 폭격 비행대 | |
Schlasta | Schlachtstaffelde | 전투 비행대 | |
Schusta | Schutzstaffelde | 방호 비행대 | |
(AFA) | Artillerieflieger-Abteilungde | 포병 항공대 | |
(AFS) | Artillerieflieger-Schulede | 포병 항공 학교 | |
AFP | Armee-Flug-Parkde | 육군 비행 공원 | |
BZ | Ballonzugde | 기구 소대 | |
BG | Bombengeschwaderde | 폭격 비행단 | |
Bogohlde | Bombengeschwader der Oberste Heeresleitungde | 독일 육군 최고 사령부 직할 폭격 비행단 |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육군 최고 사령부의 직할 폭격 비행단. |
Bosta | Bomberstaffelde | 폭격 비행대 | |
FLA | Feldluftschiffer-Abteilungde | 야전 비행선대 | |
FestFA | Festungsflieger-Abteilungde | 요새 항공대 | |
FlgBtl | Flieger-Bataillonde | 항공대대 | |
FBS | Fliegerbeobachter-Schulede | 항공 관측 학교 | |
FEA | Fliegerersatz-Abteilungde | 항공 보충대 | |
FS | Fliegerschulede | 비행 학교 | |
JG | Jagdgeschwaderde | 전투 비행단 | |
JastaSch | Jagdstaffel-Schulede | 전투 비행대 학교 | Jastaschulede라고도 함 |
Luft | Luftschiff-Truppede | 비행선 부대 | |
LsBtl | Luftschiffer-Bataillonde | 비행선 대대 | |
RBZ | Reihenbildzugde | 항공 사진 소대 | |
Rfa | Riesenflugzeug-Abteilungde | 거대 항공기대 |
4. 항공기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 항공대는 다양한 종류의 항공기를 운용했다.
- 전투기: 알바트로스, 포커, 팔츠 항공기|팔츠de, 지멘스-슈케르트
- 정찰기: 아비아틱, 도이체 플루크조이크-베르케|DFWde, 룸플러
- 2인승 전투기: 할버슈테터, 하노버
- 폭격기: 고타(Gothaer Waggonfabrik)|고타de, 제플린-슈타켄|제플린-슈타켄de
- 비행선: Luftschiffbau Zeppelin|체펠린de, 슐테-란츠|슈테-란츠de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독일군은 군사용으로 공식 채택한 항공기에 (1) 제조사 이름, (2) 기능 또는 "클래스" 문자, (3) 로마 숫자를 포함한 고유한 명칭을 사용했다. 이는 다양한 유형의 항공기에 대한 물류 지원을 단순화하기 위함이었다.
이 명명 시스템은 전쟁 중에 발전했다. 초기에는 모든 군용 항공기를 "A"(단엽기) 또는 "B"(복엽기)로 분류했다. 1915년에는 무장(2인승) 복엽기인 "C" 클래스가 "B" 클래스 항공기를 대체하기 시작했으며, "B" 클래스는 훈련기로 사용되었다. 같은 해 무장 단엽기인 "E" 클래스도 도입되었다. 이후 새로운 항공기 유형에 따라 다른 클래스가 추가되었다. 전쟁 대부분 기간 동안 'D'는 복엽 전투기, 'E'는 단엽 전투기, 'Dr'은 삼엽 전투기에 사용되었지만, 전쟁 말에는 'D' 지정이 단엽기를 포함한 모든 단좌 전투기에 사용되었다.


4. 1. 종류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독일 제국 항공대는 다양한 종류의 항공기를 운용했다. 사용된 항공기는 다음과 같다.
- 전투기: 알바트로스(Albatros), 포커, 팔츠 항공기|팔츠de(Pfalz), 지멘스-슈케르트
- 정찰기: 아비아틱, 도이체 플루크조이크-베르케|DFWde(Deutsche Flugzeug-Werke), 룸플러
- 2인승 전투기: 할버슈테터(Halberstädter), 하노버(Hannover)
- 폭격기: 고타(Gothaer Waggonfabrik)|고타de(Gotha), 제플린-슈타켄|제플린-슈타켄de(Zeppelin-Staaken)
- 비행선: Luftschiffbau Zeppelin|체펠린de(Zeppelin), 슐테-란츠|슈테-란츠de(Schütte-Lanz)
4. 2. 항공기 명명 체계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독일군이 군사용으로 공식 채택한 항공기에는 (1) 제조사 이름, (2) 기능 또는 "클래스" 문자, (3) 로마 숫자가 포함된 고유한 명칭을 사용했다. 이러한 3부분으로 구성된 명칭은 운용 중인 많은 유형의 항공기에 대한 물류 지원을 단순화하기 위해 필요했다. 특히 Luftstreitkräftede 비행대는 여러 가지 유형의 장비를 갖추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이 명명 시스템은 전쟁 중에 발전했다. 초기에는 모든 군용 항공기는 "A"(단엽기) 또는 "B"(복엽기)로 분류되었다. 무장(2인승) 복엽기의 새로운 "C" 클래스는 1915년에 정찰기로서 "B" 클래스 항공기를 대체하기 시작했으며, B는 계속 제작되었지만 훈련기로 사용되었다. 무장 단엽기의 "E" 클래스도 1915년에 도입되었다. 다른 클래스는 새로운 항공기 유형이 도입되면서 나중에 추가되었다. 전쟁의 대부분 동안 'D'는 복엽 전투기에만 사용되었고, 'E'는 단엽 전투기에 사용되었으며, 'Dr'은 삼엽 전투기에 사용되었지만, 전쟁 말에는 'D' 지정이 단엽기를 포함한 모든 단좌 전투기에 사용되었다(적어도 이론적으로는 삼엽기에도 사용되었다).
- '''A''' – 비무장 정찰 단엽기 (예: 룸플러 타우베 및 포커 M.5)
- '''B''' – 비무장 2인승 복엽기, 관측병은 조종사 앞에 탑승.
- '''C''' – 무장 2인승 복엽기, 관측병은 (보통) 조종사 뒤에 탑승.
- '''CL''' – 경량 2인승기 (주로 할버슈타트 및 하노버에서 제작), 처음에는 호위 전투기로 사용되었지만, 1917~18년에는 주로 지상 공격에 사용.
- '''D''' – Doppeldeckerde – 단좌, 무장 복엽기, 하지만 나중에는 모든 전투기를 의미함. 예를 들어 포커 E.V 단엽기는 D.VIII로 이름이 변경됨.
- '''Dr''' – Dreideckerde – 삼엽 전투기 (초기 "F" 쌍발 시험 포커 삼엽기)
- '''E''' – Eindeckerde – 무장 단엽기 – 처음에는 단엽 2인승기도 포함. 전쟁 말기에 새로운 단엽기 유형은 "D"(단좌) 또는 "CL"(2인승)로 지정됨.
- '''G''' – Grossflugzeugde – 대형 쌍발 엔진 기종, 주로 폭격기 (처음에는 "K")
- '''GL''' – 더 가볍고 빠른 쌍발 엔진 폭격기, 주간에 사용하도록 설계됨.
- '''J''' – Schlachtende – 연료 탱크, 조종사 및 (보통) 엔진이 장갑판으로 보호되어 지상 화재에 대한 취약성을 줄임. 특히 지상 공격과 같은 저고도 작업에 사용.
- '''N''' – 야간 폭격을 위해 개조된 "C"형 항공기 – 야간 비행 장비 외에도 폭탄 탑재량을 늘리기 위해 더 넓은 날개를 장착.
- '''R''' – Riesenflugzeugde – "거대" 항공기 – 최소 3개, 최대 4~6개의 엔진 – 비행 중에 모두 사용 가능.
대부분의 제조업체는 제품에 대한 공식 군사 지정과는 완전히 별개의 자체 번호 매기기 시스템도 가지고 있었다. 이것들은 때때로 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군사 "J" 시리즈의 장갑 항공기 설계는 융커스 항공 회사의 자체 "J" 공장 유형 지정과는 매우 달랐다. (군용) 융커스 J.I 장갑, 완전 금속 세스퀴플레인의 공장 지정은 융커스 J.4였다. 포커 회사의 "M"("Militär" 또는 군사) 및 "V"("Versuchs" 또는 실험용, 일부 출처에 따르면 처음에 Verspannungslosde 또는 "버팀대 없는" 기체를 의미함) 지정도 내부적이
5. 조종사
제1차 세계 대전의 에이스 목록도 참조
전투기 조종사들은 군사 항공의 역사에서 가장 많은 주목을 받았는데, 이는 '에이스'로 불리는 고득점 조종사들을 배출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에이스로는 독일어로 der Rote Kampffliegerde(붉은 공군 전투기), 영어로 붉은 남작(The Red Baron)으로 알려진 만프레트 폰 리히트호펜이 있다. 그는 80번의 격추를 기록하며 전쟁에서 가장 성공한 전투기 조종사로 여겨진다.[1]
최초로 확인된 독일 공중 전투 승리는 1915년 7월 15일 싱크로나이즈 기어를 장착한 항공기를 사용한 쿠르트 빈트겐트에게 돌아갔다. 그는 7월 1일, 4일, 15일에 각각 모란-솔니에 L 파라솔 단엽기 2대를 격추시켰는데, 처음 두 번의 격추는 미확인으로 남아있었다.[1] 이러한 독일 공중전 승리는 포커의 재앙 시대를 열었다.[1]
포커의 재앙 이후 주목할 만한 다른 독일 조종사로는 에른스트 우데트, 에리히 뢰벤하르트, 베르너 포스, 요제프 야콥스, 로타어 폰 리히트호펜, 빌헬름 프랑클, 헤르만 괴링, 막스 임멜만, 오스발트 뵐케 등이 있다. 막스 임멜만과 오스발트 뵐케는 1916년 1월 12일 각각 8대의 연합군 비행기를 격추한 후, 독일 제국 장교에게 수여되는 최고 훈장인 ''푸르 르 메리트''를 최초로 수여받았다.[1] 임멜만에게 이 훈장이 수여되면서 "블루 맥스"라는 애칭이 생겼을 수 있다.[1] 1918년에는 훈장 수여 조건이 약 30회 격추로 증가했다.[1]
총 76명의 비행사가 ''푸르 르 메리트''를 수여받았고,[2] 69명의 비행사는 프로이센 부사관 및 사병에게 수여되는 최고 용감 훈장인 군 공로 십자장을 받았다.[3] 이 중에는 전쟁에서 가장 많은 격추를 기록한 항공 사수(12승)인 고트프리트 에만이 있었다.[3] 약 391명의 독일 조종사가 최소 5대의 연합군 항공기를 격추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6. 상징
초기에는 Eisernes Kreuzde(아이제르네스 크로이츠)로 잘 알려진 십자 훈장 문양을 사용했다. 1918년 3월 말(특히 4월 초)부터 흰색 바탕에 검은색 그리스 십자인 Balkenkreuzde(발켄크로이츠)가 이를 대체했으며, 새로운 국가 표시를 표준화하는 최종 명령은 1918년 6월 25일에 내려졌다.
7. 평가 및 영향
독일 제국 항공대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군 항공기 3,732대를 격추하고, 1,099대의 항공기를 잃었다.[4] 전쟁이 끝날 무렵, 독일 육군 항공대는 총 2,709대의 최전선 항공기, 56척의 비행선, 186개의 기구 부대, 약 4,500명의 비행 인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11월 11일 휴전 협정 이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1920년 5월 8일에 완전히 해산되었으며, 독일의 비행기는 연합군에게 넘겨졌다.
독일군 사상자는 항공 승무원 4,579명, 지상 요원 299명 사망, 실종/포로 1,372명, 부상자 5,123명, 비행 사고 사망자 1,962명이었다. 적의 공격으로 항공기 3,126대, 풍선 546개, 비행선 26척이 파괴되었다. 다른 자료에 따르면, 루프트슈트라이트크래프테는 연합군 항공기 7,783대(서부 전선 7,425대, 동부 전선 358대)와 포획된 풍선 614대를 격추했다. 또한, 독일 대공포에 의해 연합군 항공기 1,588대와 비행선 2척이 격추되었다.
참조
[1]
서적
Prussian Blue – A History of the Order Pour le Merite
Winidore Press
2005
[2]
서적
Prussian Blue – A History of the Order Pour le Merite
Winidore Press
2005
[3]
서적
Ehrenbuch des Orden vom Militär-Verdienst-Kreuz e.V. und die Geschichte der Ordens-Gemeinschaft
1960
[4]
간행물
The Development of the German Air Force, 1919–1939
Arno Press, New York
197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