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경 141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경 141도는 북극점에서 남극점까지 이어진 경선으로, 여러 국가와 지역을 통과한다. 뉴기니섬에서는 인도네시아와 파푸아뉴기니의 국경을 이루며, 호주에서는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의 동쪽 경계가 된다. 일본 열도를 지나며, 러시아, 인도양, 남극해, 그리고 프랑스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아델리랜드를 통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네시아-파푸아뉴기니 국경 - 플라이강
    파푸아뉴기니 남서부를 흐르는 플라이강은 1,060km 길이와 73,809.31km2의 유역 면적을 가지며 일부 구간은 국경을 이루고 조석 해일이 발생하는 하구와 조류 지배 삼각주를 지니고 있으나 광산 개발로 인한 환경 오염 문제가 있다.
  • 경선 - 파리 자오선
    파리 자오선은 파리 천문대를 기준으로 하는 자오선으로, 프랑스에서 지도의 기준으로 사용되었고 지구 크기 측정과 미터법 정의에 기여했으나, 그리니치 자오선이 국제 표준으로 채택된 후 중요성이 감소했지만 일부 지도나 예술 작품에 활용된다.
  • 경선 - 경도 180도
    경도 180도는 북극점에서 남극점까지 이어지는 지리 좌표의 한 종류이며, 러시아, 피지, 남극 대륙 등을 통과하고, 열대 저기압 명칭 구분 기준이 되며, 지리 데이터 처리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 국기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동경 141도
선 정보
종류경도선
본초 자오선으로부터 거리동쪽으로 141도
지리
통과 지역오스트레일리아
파푸아뉴기니
인도네시아
러시아
태평양
지역별 통과 정보
오스트레일리아퀸즐랜드주, 뉴사우스웨일스주, 빅토리아주
파푸아뉴기니서파푸아 주
인도네시아파푸아 주
러시아사하 공화국, 하바롭스크 지방, 유대인 자치주, 프리모르스키 지방

2. 국경

동경 141도선은 뉴기니섬에서 인도네시아파푸아뉴기니 사이 국경의 일부를 형성하며, 특정 구간에서는 플라이강이 국경 역할을 한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의 동쪽 경계가 되어 퀸즐랜드주, 뉴사우스웨일스주와 접한다. 빅토리아주와의 경계는 측량 오류로 인해 본래 의도된 위치에서 약간 서쪽으로 벗어나 있다.

2. 1. 뉴기니섬

뉴기니섬에서 동경 141도는 서쪽의 인도네시아와 동쪽의 파푸아뉴기니 사이 육지 국경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 자오선은 플라이강과 두 차례 만나는데, 두 지점 사이에서는 플라이강 자체가 국경선 역할을 한다. 플라이강과의 남쪽 교점보다 더 남쪽 지역에서는 국경선이 동경 141도보다 약간 동쪽으로 평행하게 그어져 있다 (인도네시아-파푸아뉴기니 국경 참조).

2. 2.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동경 141도선이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의 동쪽 경계가 되며, 퀸즐랜드주뉴사우스웨일스주와 접한다.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빅토리아주 사이의 경계는 원래 정확히 동경 141도에 위치하도록 정해졌으나, 측량 과정에서의 오류로 인해 실제 경계는 이 선보다 서쪽으로 약 3.6km 떨어진 동경 140°57'45" 선이 되었다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빅토리아 국경 분쟁 참조).

오스트레일리아에서의 동경 141도선.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의 동쪽 경계(붉은색 선)가 동경 141도(검은색 점선)에서 약간 서쪽으로 벗어나 있음을 보여준다.

3. 지나가는 지역

동경 141도는 북극점에서 시작하여 남극점까지 남쪽으로 다음 지역을 통과한다.

국가, 지역, 해역비고
북극해
러시아사하 공화국노보시비르스크 제도코텔니섬
동시베리아해산니코프 해협
러시아사하 공화국노보시비르스크 제도의 말리랴홉스키섬
동시베리아해산니코프 해협
러시아사하 공화국노보시비르스크 제도의 볼쇼이랴홉스키섬
동시베리아해드미트리랍테프 해협
러시아사하 공화국, 하바롭스크 지방
랍테프해
러시아하바롭스크 지방
오호츠크해
러시아하바롭스크 지방
타타르 해협러시아 사할린주모네론섬 서쪽을 지난다.
일본홋카이도레분섬
동해
일본홋카이도 본섬 (오타루 통과)
태평양우치우라만
일본홋카이도오시마반도
쓰가루 해협
일본혼슈섬 — 아오모리현 (시모키타반도)
무쓰만
일본혼슈섬 — 아오모리현, 이와테현, 미야기현
태평양센다이만
일본혼슈섬 — 후쿠시마현
태평양일본 도쿄도 니시노시마 섬의 동쪽을 지난다.
인도네시아 / 파푸아뉴기니 국경뉴기니섬
파푸아뉴기니국경이 플라이강을 따라 서쪽으로 굽어진다.
인도네시아파푸아뉴기니와의 국경이 동경 141도선보다 동쪽으로 약 2km 떨어져 평행하게 지난다.
아라푸라해
카펀테리아만
오스트레일리아퀸즐랜드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 퀸즐랜드주 경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 뉴사우스웨일스주 경계, 빅토리아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와의 경계가 서쪽으로 약 3km 떨어져 평행)
인도양오스트레일리아는 이 해역을 남극해의 일부로 본다.[5][6][1][2][3][4]
남극해
남극아델리랜드, 프랑스가 영유권을 주장한다.


3. 1. 북극해

동경 141도선은 북극점에서 시작하여 북극해를 지난다.

3. 2. 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 (북위 62° 29′부터)랍테프해러시아하바롭스크 지방오호츠크해러시아하바롭스크 지방타타르 해협러시아 사할린주모네론섬(북위 46° 13′, 동경 141° 11′) 서쪽을 지난다.


3. 3. 일본

동경 141도선은 일본의 영토를 여러 차례 통과한다. 북쪽에서 남쪽으로 이동하며 다음과 같은 주요 섬과 해역을 지난다.

우선 홋카이도의 레분 섬을 통과한 뒤 동해로 나아간다. 이후 홋카이도 본섬(오타루 시 포함)과 오시마 반도를 지나 쓰가루 해협으로 들어선다.

쓰가루 해협을 건너면 혼슈 섬에 도달하여 시모키타 반도를 시작으로 아오모리현, 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을 차례로 통과한다. 이 과정에서 무쓰만센다이만도 지나게 된다. 후쿠시마현을 마지막으로 태평양으로 나아가며, 태평양 상에서는 도쿄도에 속하는 니시노시마 섬의 동쪽 해역을 통과한다.

3. 3. 1. 홋카이도

동경 141도선은 일본홋카이도를 두 차례 통과한다. 북쪽에서는 북위 43도 14분 지점에서 시작하여 시리베시 종합진흥국, 이시카리 진흥국(삿포로시 포함), 다시 시리베시 종합진흥국, 그리고 이부리 종합진흥국을 차례로 거친다. 이부리 종합진흥국에서는 지키우 곶을 통과한 뒤 태평양으로 나아간다. 이후 남쪽으로 내려와 북위 41도 54분 지점에서 홋카이도의 오시마 반도(오시마 종합진흥국)를 다시 통과하고 쓰가루 해협으로 이어진다.

3. 3. 2. 혼슈

동경 141도선은 일본 혼슈 섬을 통과한다. 북쪽에서 남쪽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지나간다.

3. 4. 인도네시아-파푸아뉴기니 국경

뉴기니섬에서 동경 141도는 서쪽의 인도네시아와 동쪽의 파푸아뉴기니 사이 국경의 일부를 이룬다. 이 경선은 플라이강과 두 번 교차하는데, 두 교차점 사이 구간에서는 플라이강이 국경선이 된다. 플라이강과의 남쪽 교차점 이남 지역에서는 국경선이 동경 141도선보다 약간 동쪽(약 2km)으로 평행하게 그어져 있다(인도네시아-파푸아뉴기니 국경 참조).

3. 5.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동경 141도는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의 동쪽 경계가 되며, 퀸즐랜드주, 뉴사우스웨일스주와 접한다. 빅토리아주와의 경계는 원래 정확히 동경 141도로 정해졌으나, 측량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로 인해 실제 경계는 동경 141도에서 서쪽으로 약 3.6km 떨어진 동경 140°57'45" 선이 되었다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빅토리아 국경 분쟁 참조).

3. 6. 인도양

남위 38도 4분에서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 남쪽 해역을 지나 인도양으로 들어선다. 다만 오스트레일리아 당국은 이 해역을 남극해의 일부로 간주한다.[1][2][3][4]

3. 7. 남극해

동경 141도는 남위 60도에서 남극해를 지난다.

3. 8. 남극

동경 141도선은 남극아델리랜드를 지난다. 이 지역은 프랑스가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참조

[1] 뉴스 Canberra all at sea over position of Southern Ocean http://www.theage.co[...] The Age 2013-01-13
[2] 웹사이트 Indian Ocean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3-01-13
[3] 뉴스 Canberra all at sea over position of Southern Ocean http://www.theage.co[...] The Age 2013-01-13
[4] 웹사이트 Indian Ocean http://www.britannic[...] Encyclopaedia Britannica 2013-01-13
[5] 뉴스 Canberra all at sea over position of Southern Ocean http://www.theage.co[...] The Age 2013-01-13
[6] 웹인용 Indian Ocean http://www.britannic[...] Encyclopaedia Britannica 2013-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