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몽선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몽선습은 유학의 핵심 윤리인 오륜과 중국 및 한국의 역사를 다룬 아동 교육용 교재이다. 박세무가 주된 저자로 추정되나, 김안국을 저자로 기록한 자료도 존재한다. 내용은 오륜의 중요성과 함께, 중국 고대부터 명나라까지의 역사, 단군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한국 역사를 체계적으로 서술하며, 한국의 역사와 문물을 긍정적으로 제시한다. 조선 시대 사림들의 아동 교육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서적으로, 왕실에서 왕세자 교육에도 사용되었으며, 1797년에는 언해본이 간행되었다. 영조 시대에 높은 학술적 평가를 받았으며, 천자문 학습 후 기초 교재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과서 - 신학대전
    신학대전은 토마스 아퀴나스가 집필한 기독교 신학의 대표적 저서로, 이성과 신앙의 조화를 추구하며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기반으로 하느님의 존재와 본성, 창조, 인간의 본성, 윤리, 법, 은총, 성사, 종말론 등 광범위한 주제를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미완성 부분을 제자들이 완성하여 오늘날까지 기독교 신학과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교과서 - 종의 기원
    종의 기원은 찰스 다윈이 1859년에 발표한 책으로, 자연 선택을 통한 생물 진화, 생존 경쟁과 적자 생존을 통한 종의 변화와 분화 과정을 설명하며 출간 당시 논쟁을 일으켰으나 현재는 생물학의 근간 이론으로 인정받는 진화론의 핵심 내용을 담고 있다.
  • 한국에 관한 - 동지
    동지는 24절기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로, 한국에서는 작은설이라 하여 팥죽을 먹고, 중국과 일본에서도 가족과 함께 특별한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다.
  • 한국에 관한 - 보은 삼년산성
    보은 삼년산성은 신라 시대에 축조되어 삼국 통일 과정에서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 역할을 한 돌로 쌓은 산성으로, 축성에 3년이 걸렸다는 기록에서 유래되었으며, 성 내부 유적과 출토 유물은 당시 신라의 건축 기술과 사회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조선 - 소론
    소론은 조선 후기 서인에서 분파된 정치 세력으로, 윤증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남인에 대한 온건한 입장과 왕위 계승 문제에 있어 노론과 대립했으며, 강화학파를 형성하는 등 독자적인 학풍을 이루었다.
  • 조선 - 경신환국
    경신환국은 1680년 숙종 때 서인이 유악 사건과 삼복의 변을 계기로 남인을 몰아내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으로, 서인이 요직을 차지하며 조선 정계가 서인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동몽선습
기본 정보
저자
저자미상
구성
내용천자문
계몽편
소학
근사록
심경
역사
특징기본적인 한문 학습
유교 윤리 강조
쉬운 문장
역사적 의의
목적아동 교육
유교적 가치관 함양
영향조선 시대 교육의 중요한 자료
이후 교육 서적의 기초
기타
관련 항목사서오경
삼강오륜
참고 문헌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정순우

2. 저자

박세무(朴世茂)가 이 책의 주된 저자임은 현존하는 신축본(辛丑本)의 기록, 《중종실록(中宗實錄)》의 중종 39년 기록, 노수신(盧守愼)·송시열(宋時烈) 등이 남긴 자료 등을 보아 명확하다. 그러나 권문해(權文海)의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김휴(金烋)의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에는 김안국(金安國)을 '''동몽선습'''의 저자로 기록하고 있어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1543년(중종 38년) 발간된 평안도 감영본의 윤인서(尹仁恕) 발문에는 당시 평양감사(平壤監司)로 있던 민제인(閔齊仁)이 공술(共述)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어 저술 과정에 그가 상당 부분 관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3. 내용

오륜(五倫)과 중국·한국역사를 주요 내용으로 한다. 총론에서는 오륜이 하늘이 인간에게 부여한 가장 기본적인 도덕적 품성이며, 그 근원은 효행이라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이 책은 성리학이 조선 사회에 토착화되던 당시 사림들의 아동 교육관을 보여준다. 어린이들이 「천자문」을 마친 후 학습해야 하는 대표적인 초급 교육 교재였으며, 왕실에서는 왕세자 교육에도 사용되었다. 「동몽선습언해」(童蒙先習諺解)는 1797년(정조 21년)에 간행된 「동몽선습」의 향찰 번역본이다.[1]

조선 시대 최초의 아동 교재 중 하나로, 「천자문」 학습 후 기초 교재로 활용되었다.

3. 1. 유교의 다섯 가지 원칙 (오륜)

오륜(五倫)은 부자유친(父子有親), 군신유의(君臣有義),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을 말하며, 이 다섯 가지 오륜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한다. 오륜은 하늘이 인간에게 부여한 가장 기본적인 도덕적 품성이며, 그 근원은 효행이라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1]

3. 2. 역사적 기록

중국의 고대부터 명나라까지의 역사는 도덕적인 사관(史觀)에 근거해 기록되어 있다. 한국의 역사는 단군으로부터 시작하여 삼한, 삼국, 고려, 조선에 이르기까지 간명하면서도 체계적으로 서술되어 있다. 한국이 비록 국토는 좁지만, 예악(禮樂)과 문물이 중국에 비견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여 아동들이 자국 역사를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였다.[1]

4. 평가

1759년 영조가 직접 쓴 어제서문(御製序文)과 우암 송시열의 발문을 실어 중간(重刊)될 정도로 조정과 사림으로부터 높은 학술적 평가를 받았다.[1] 조선 시대 최초의 아동 교재 중 하나로, 어린이들이 천자문을 마친 후 학습해야 하는 대표적인 초급 교육 교재였으며, 왕실에서는 왕세자 교육에도 사용되었다. 1797년 정조 때에는 향찰 번역본인 동몽선습언해가 간행되었다.[1]

참조

[1] 논문 동몽선습 (童蒙先習)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5-23
[2] 서적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al Thought 2009
[3] 웹인용 동몽선습 http://encykorea.aks[...] 2016-0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