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두툽상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툽상어는 1908년 다나카 시게호에 의해 처음 기재된 상어의 일종이다. 최대 50cm까지 성장하며, 태평양 북서부, 일본, 한국, 중국 해안에 분포한다. 주로 연체동물을 먹고, 난생으로 번식하며, 수족관에서 사육되기도 한다. 어업 활동 중 혼획되기도 하며, 서식지 내에서 개체수를 유지하고 있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관심 불필요종으로 분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8년 기재된 물고기 - 퉁가리
    죄송합니다. 페이지 개요가 제공되지 않아 퉁가리에 대한 한 문장 요약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 태평양의 물고기 - 송어
    송어는 연어과에 속하며 흑색 반점을 가진 어류로, 강해형과 육봉형이 있으며 동해안에서 어업 대상이며, 개체 수 감소로 보전 노력이 필요한 종이다.
  • 태평양의 물고기 - 연어
    연어는 태평양과 북극해에 분포하며 강에서 태어나 바다에서 성장 후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어류로, 몸 색깔이 변하고 기름지느러미가 있으며 물렁뼈 비중이 높은 골격 구조를 가진 중요한 수산 자원이지만, 개체 수 감소가 심각한 문제이다.
  • 좋은 글 - 쇼와 천황
    쇼와 천황은 메이지 천황의 손자로 태어나 124대 일본 천황으로 즉위하여 사망할 때까지 재위하며 만주사변,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 등 침략 전쟁에 관여했다는 논란이 있으며, 전후에는 상징적인 천황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고 그의 전쟁 책임 문제는 논쟁의 대상이다.
  • 좋은 글 - 히바 칸국
    히바 칸국은 16세기 초에 건국되어 1920년까지 존속한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크 칸국으로, 초기 혼란과 수도 이전, 러시아 제국의 보호국 시기를 거쳐 소비에트 혁명으로 붕괴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와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두툽상어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두툽상어
두툽상어
학명Scyliorhinus torazame 스킬리오르히누스 토라자메
명명자S. Tanaka (I), 1908
한국어 이름두툽상어
영어 이름cloudy catshark
일본어 이름トラザメ (torazame)
중국어 이름虎纹猫鲨 (hǔ wén māo shā)
분류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연골어류강 (Chondrichthyes)
아강판새아강
상목상어상목
흉상어목 (Carcharhiniformes)
두툽상어과 (Scyliorhinidae)
두툽상어속 (Scyliorhinus)
두툽상어 (Scyliorhinus torazame)
분포
두툽상어 분포도
분포
서식지서태평양 (일본 남부, 한국, 중국)
최대 깊이320미터 (m)
형태
최대 크기50센티미터 (cm)
보존 상태
IUCN Red ListLC (최소 관심)

2. 분류

두툽상어는 1908년 일본의 다나카 시게호가 처음 기재했으며, 처음에는 카툴루스(Catulusla)속으로 분류되었다가 나중에 스킬리오르히누스(Scyliorhinusla)속으로 재분류되었다. 종명은 "호랑이상어"를 뜻하는 일본어 "토라자메"(虎鮫|토라자메일본어)에서 유래했다.

2. 1. 최초 기재

1908년 일본의 다나카 시게호가 도쿄 대학교 이학부 학회지에 두툽상어에 관한 논문을 투고하면서 처음으로 기재되었다. 다나카는 두툽상어의 일본어 이름인 토라자메(虎鮫|토라자메일본어)를 그대로 종명으로 명명했는데, 이는 "호랑이상어"라는 뜻이다. 모식 표본은 일본 가나가와현 미우라시에서 잡힌 신장 45cm의 수컷 개체이다. 다나카는 두툽상어의 속명을 카툴루스(Catulusla)라고 명명했지만, 이후 다른 연구자들은 스킬리오르히누스(Scyliorhinusla)라고 재명명했다.

2. 2. 학명 변경

두툽상어는 1908년 일본의 다나카 시게호가 도쿄 대학교 이학부 학회지에 처음 기재했다. 다나카는 두툽상어의 일본어 이름인 토라자메(虎鮫|토라자메일본어)를 그대로 종명으로 사용했는데, 이는 "호랑이상어"라는 뜻이다. 모식표본은 일본 가나가와현 미우라시(미사키)에서 잡힌 45cm 수컷 개체이다. 다나카는 두툽상어의 속명을 카툴루스(Catulusla)라고 명명했으나, 이후 다른 연구자들은 스킬리오르히누스(Scyliorhinusla)라고 재명명했다.

3. 신체

두툽상어는 몸길이가 50cm까지 자라며, 가늘지만 단단한 몸을 가지고 있다. 머리는 좁고 주둥이는 짧고 둥글다. 피부는 두껍고 거칠며, 피치는 크고 꼿꼿이 서 있다. 등과 옆면은 갈색 바탕에 6~10개의 어두운 안장 모양 무늬가 있고, 배는 노란색이다. 큰 개체는 등면에 불규칙한 밝고 어두운 반점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빨은 작고 뾰족하며, 측면에 작은 돌출부가 있다. 아가미 갈라진 틈은 다섯 쌍이며 짧다. 등지느러미는 두 개로, 첫 번째 등지느러미는 둥글고 배지느러미 뒤에 있으며, 두 번째 등지느러미는 각진 형태이다. 수컷은 클래스퍼를 덮는 "앞치마" 모양을 가진다. 꼬리지느러미는 낮고 아래엽이 희미하며, 윗엽 끝에 삼각형 홈이 있다.

3. 1. 형태

두툽상어는 50cm까지 자라며, 몸은 가늘면서도 견고하다. 좁은 머리는 전체 몸길이의 1/6보다 약간 작으며, 머리 너비는 길이의 2/3 정도이다. 주둥이는 짧고 둥글다. 큰 콧구멍 앞에는 작은 삼각형 살점이 있는데, 이 살점은 입까지 닿지 않는다. 눈은 중간 정도 크기이며 가로로 찢어진 타원형이다. 눈에는 얇은 순막(제3의 눈꺼풀)이 있으며, 눈 뒤에는 적당한 크기의 분수공이 있다. 콧구멍과 입 사이에는 홈이 없다. 입 구석에서 아래턱 쪽으로만 골이 나 있다. 이빨은 작고, 그 중앙부가 뾰족하며 측면으로 그보다는 작은 돌출부가 한 쌍 삐죽하다. 아가미 갈라진 틈은 다섯 쌍이며 짧고, 넷째 구멍 위로 가슴지느러미가 나 있다.

등지느러미는 두 개가 몸 뒤쪽에 있으며, 첫 번째 등지느러미는 배지느러미보다 뒤에 붙어 있다. 첫 번째 등지느러미는 끝이 둥글고 두 번째 등지느러미보다 크며, 두 번째 등지느러미는 보다 각진 모양이다.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는 중간 정도 크기이다. 수컷의 경우 배지느러미 안쪽 가장자리가 합쳐지면서 길쭉한 원통 모양의 클래스퍼를 앞치마처럼 덮는다. 뒷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들 사이에 있다. 꼬리자루는 몸통만큼 깊숙하며, 그 끝에는 낮은 꼬리지느러미가 달려 있다. 꼬리지느러미의 아래엽은 구분이 희미하며, 윗엽 끝 근처에 삼각형 홈이 있다. 피부는 피부 소치 때문에 두껍고 매우 거칠며, 피치는 세 개의 뒤쪽을 향한 이빨이 있는 크고 똑바로 세워진 형태이다. 등과 옆면은 갈색 바탕에 6~10개의 희미한 어두운 안장 모양 무늬가 있으며, 배쪽은 옅은 노란색이다. 대형 개체는 등면에 불규칙한 모양의 밝고 어두운 반점을 많이 가지고 있다.

대형 두툽상어 개체는 어두운 등무늬에 밝은 점이 있는 경우가 있다

3. 2. 지느러미

두툽상어의 등지느러미는 2개이며, 첫 번째 등지느러미는 둥근 모양으로 배지느러미보다 뒤쪽에 있고 두 번째 등지느러미보다 크다. 두 번째 등지느러미는 좀 더 각진 형태이다.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는 중간 정도 크기이다. 수컷의 경우 배지느러미 안쪽 가장자리가 합쳐져 길쭉한 원통 모양의 교미기를 덮는 "앞치마" 형태를 이룬다. 뒷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들 사이에 위치한다. 꼬리지느러미는 낮고 아래엽은 희미하며, 윗엽 끝 근처에 삼각형 홈이 있다.

3. 3. 피부 및 이빨

두툽상어의 피부는 두껍고 매우 거칠며, 피치는 매우 크고 뒤쪽으로 구부러진 이빨 세 줄과 함께 꼿꼿이 서 있다. 등면과 옆면은 갈색 바탕에 어두운 무늬가 6~10개 정도 있으며, 배면은 무늬 없이 노랗다. 큰 개체는 등면에 불규칙한 모양의 밝고 어두운 반점이 있다.

이빨은 작고, 그 중앙부가 뾰족하며 측면으로 그보다는 작은 돌출부가 한 쌍 삐죽하다.

3. 4. 색

두툽상어의 등과 옆면은 갈색 바탕에 6~10개 정도의 어두운 안장 모양 무늬가 있으며, 배는 노란색이다. 대형 개체는 등면에 크고 불규칙한 모양의 밝고 어두운 반점이 많이 나타나기도 한다.

4. 분포

두툽상어는 북서 태평양의 일본, 한반도, 중국 연안, 남중국해에 흔하며, 필리핀에도 분포할 가능성이 있다.[2]

4. 1. 서식지

두툽상어는 태평양 북서부, 일본, 한국, 중국 해안에 흔하며, 필리핀에도 분포할 가능성이 있다.[2] 해저 바닥에 사는 저생성 생물로서 해안가에서 수심 320m의 대륙붕대륙사면 상층에 걸쳐 분포한다. 바위투성이 암초를 선호하며, 이리저리 회유하는 것 같지는 않다.

5. 생태

두툽상어의 먹이는 주로 연체동물이며, 갑각류경골어류도 섭취한다. 천적으로는 복상어(얼룩팽이상어)가 있는데, 두툽상어와 그 알집을 모두 먹는다. 기생충으로는 점액포자충의 일종인 클로로믹숨 스킬리오르히눔(Chloromyxum scyliorhinumla)이 있다.

두툽상어는 난생으로, 수컷은 교미 전 암컷의 지느러미, 옆면, 아가미를 물어뜯고 몸으로 감싼 뒤 교미기를 총배설강에 삽입한다. 교미 시간은 15초에서 4분 사이이다. 암컷은 정액을 난포선에 수개월 간 저장할 수 있다. 한 번에 두 개의 알을 낳으며, 알은 꽃병 모양 알집에 싸여 있다. 하코다테 인근 수심 100m 지점에서 산란지가 발견되기도 했다. 알은 수온에 따라 11.3°C에서 15개월, 14.5°C에서 7~9개월 후 부화하며, 갓 부화한 새끼는 8cm 이상이다. 성숙하는 크기는 수온에 따라 달라져, 하코다테 인근에서는 38cm 이상, 대마도 인근에서는 33cm 정도에서 성숙한다. 최대 수명은 12년 이상이다.

5. 1. 먹이

두툽상어는 주로 연체동물을 먹으며, 그 외에 갑각류, 경골어류도 먹는다.

5. 2. 천적 및 기생충

두툽상어의 천적은 복상어(얼룩팽이상어)이다. 복상어는 두툽상어 개체 뿐 아니라 그 알집도 먹는다. 두툽상어에 기생하는 기생충으로는 클로로믹숨 스킬리오르히눔(Chloromyxum scyliorhinumla)이라는 점액포자충이 있다.

5. 3. 번식

두툽상어는 난생이다. 성숙한 암컷은 난소가 한 개, 난관이 두 개 있다. 수컷은 교미를 하기 전에 암컷의 가슴지느러미, 옆면, 아가미를 물어뜯는다. 그 뒤 자기 몸으로 암컷을 감싸고 교미기를 총배설강에 삽입한다. 흘레는 15초에서 4분 사이로 지속된다. 수컷의 교미기는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백여 개의 갈고리가 한 줄로 돋아 있다. 이 갈고리는 흘레를 붙는 도중에 암수의 결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암컷은 정액을 난포선에 수 개월간 저장할 수 있다.

암컷은 한 번에 두 개의 난관으로 각각 하나씩 알을 두 개 낳는다. 알은 부드럽고 투명한 황색의 꽃병 모양 알집에 싸여 있다. 알집의 크기는 가로 1.9cm, 세로 5.5cm이다. 알집의 네 모서리에는 덩굴 모양의 돌기가 길게 돋아 있다. 알은 정해진 산란지에 낳는데, 하코다테의 수심 100m 지점에서 산란지가 발견된 바 있다. 배아의 신장이 3.6cm에 달하면 외부 아가미와 아직 발달이 덜 끝난 지느러미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아직 몸에 색소는 없다. 배아의 신장이 5.8cm에 달하면 외부 아가미가 거의 사라지고, 작은 비늘들이 몸을 덮기 시작한다. 신장이 7.9cm에 달하면 지느러미와 색소가 제대로 발달했으며, 크기를 제외하면 겉보기에 성체와 거의 비슷해진다. 알이 부화하는 데는 수온 11.3°C에서 15개월, 수온 14.5°C에서 7~9개월이 걸린다. 갓 부화한 새끼 상어의 신장은 8cm 이상이다. 성체가 되는 신장은 수온이 내려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하코다테 같은 북쪽에서는 암수가 모두 신장 38cm쯤에서 성숙하며, 일부 암컷은 신장 47cm가 넘어도 성숙하지 않기도 한다. 반면 대마도 부근의 남쪽에서는 암수가 모두 신장 33cm쯤에서 성숙한다. 최대 수명은 12년 이상이다.

배아가 비쳐 보이는 두툽상어의 알집

6. 인간과의 상호작용

두툽상어는 인간에게 해를 끼치지 않으며, 사육 환경에 잘 적응하고 수족관에서 번식하기도 한다. 생리학 연구에 모델 생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1995년에는 연골어류 최초로 인공수정에 성공하기도 했다.

트롤, 자망, 주낙 등 바다 바닥을 긁는 어업 활동으로 인해 혼획되는 경우가 많다. 잡힌 두툽상어는 대개 바다에 버려지는데, 몸이 단단하여 생존율은 높은 편이다. 야마구치현에서는 버려지는 물고기의 40%가 두툽상어이며, 후쿠시마현에서는 연간 1ton 이상이 잡혔다가 버려진다.

서식지가 주요 어업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두툽상어는 흔하게 발견된다. 이는 다른 상어보다 생식력이 뛰어나기 때문으로 보이며,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두툽상어를 관심 불필요(Least Concern)종으로 분류했다.

일본 각지에서 잡힌 두툽상어에게서 폴리염화 바이페닐(PCB), 디클로로디페닐디클로로에틸렌(DDE) 등의 오염 물질이 검출되기도 한다. 이는 먹이를 통한 생물농축 결과로 추정되며, 남아시아 개발도상국에서 사용되는 살충제 DDT가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6. 1. 위험성

두툽상어는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으며, 사육 환경에 잘 적응하여 수족관에서 번식하기도 한다. 생리학 연구에서 모델 생물로 자주 사용된다. 1995년 9월 25일, 마스다 모토야시와 동료들은 두툽상어를 이용하여 연골어류 최초로 인공수정에 성공했다.

6. 2. 이용

수족관의 어린 두툽상어 개체들.


두툽상어는 인간에게 무해하며, 사육 환경에 잘 적응하고 수족관에서 번식도 이루어진다. 생리학 연구에서 모델 생물로 자주 사용된다. 1995년 9월 25일, 모토야시 야스다와 동료들은 두툽상어를 이용해 연골어류 최초로 인공수정에 성공했다.

트롤, 자망, 주낙 등 바다 바닥을 긁어내는 그물어업 활동을 하다가 두툽상어가 혼획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렇게 잡힌 두툽상어는 대개 바다에 다시 버려지는데, 몸이 단단하기에 생존율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일본 야마구치현에서는 바다에 버려지는 물고기 중 40%가 두툽상어이다. 후쿠시마현에서는 트롤 어망으로 연간 1ton 이상의 두툽상어가 포획되는데, 이들 역시 마찬가지로 버려진다.

서식지가 주요 어업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두툽상어는 흔한 개체수를 유지하고 있다. 아마 다른 상어들보다 생식력이 뛰어난 덕분으로 보인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두툽상어를 관심 불필요(Least Concern)종으로 분류했다. 일본 곳곳에서 포획된 두툽상어에게서 폴리염화 바이페닐(PCB), 디클로로디페닐디클로로에틸렌(DDE)이 검출되었는데, 먹이로부터 생물농축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남아시아의 개발도상국에서 방류된 살충제 DDT가 이러한 오염물질의 원인 후보 중 하나로 꼽힌다.

6. 3. 혼획

두툽상어는 트롤, 자망, 주낙 등 바다 바닥을 긁는 그물을 사용하는 어업 활동 과정에서 종종 혼획된다. 이렇게 잡힌 두툽상어는 대부분 다시 바다에 버려지는데, 몸이 단단하여 생존율이 높은 편이다. 일본 야마구치현에서는 바다에 버려지는 물고기의 40%가 두툽상어일 정도이다. 후쿠시마현에서는 트롤 어망으로 연간 1톤 이상의 두툽상어가 잡히는데, 이들 역시 버려진다.

서식지가 주요 어업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두툽상어는 흔하게 발견된다. 이는 아마도 다른 상어들보다 생식력이 뛰어나기 때문으로 보인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이러한 이유로 두툽상어를 관심 불필요(Least Concern)종으로 분류했다.

일본 각지에서 잡힌 두툽상어에게서 폴리염화 바이페닐(PCB), 디클로로디페닐디클로로에틸렌(DDE) 등의 오염 물질이 발견되기도 했는데, 이는 먹이를 통해 생물농축이 일어난 결과로 추정된다. 남아시아의 개발도상국에서 사용되는 살충제 DDT가 이러한 오염 물질의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6. 4. 환경 오염

일본 각지에서 포획된 두툽상어에게서 폴리염화 바이페닐(PCB), 디클로로디페닐디클로로에틸렌(DDE) 등의 오염 물질이 검출되었는데, 이는 먹이를 통해 생물농축된 것으로 보인다. 남아시아의 개발도상국에서 사용한 살충제 DDT가 이러한 오염 물질의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7. 명칭

두툽상어류는 영어로 캣샤크(Catshark)이며, 타이거샤크(Tigershark)가 아니다. 타이거샤크는 흉폭한 대형종 이타치상어를 가리킨다.[1]

또한, 캣샤크(Catshark)를 일본어로 직역하면 "네코자메"지만, 일본에서 네코자메라고 하면 또 다른 종류의 상어가 된다. 네코자메의 해외명은 불헤드 샤크(bullhead shark)로 "우두상어"라는 뜻이다.[1]

참조

[1] 간행물 Scyliorhinus torazame 2020
[2] 서적 Sharks of the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3] 문서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