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물은 낚시 도구, 포획 도구, 안전 장치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얽힌 섬유 또는 금속 선으로 만들어진 구조물이다. 역사적으로 손으로 제작되었으나, 20세기 초 기계 제망 기술이 발전하면서 산업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했다. 그물은 제조 방법에 따라 결절망, 무결절망, 성형망으로, 용도에 따라 어망, 육상망 등으로 분류되며, 재료에 따라 섬유, 금속망으로 나뉜다. 어업, 패션, 의료, 캠핑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며, 생물학적으로 거미줄과 같은 구조를 지칭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물 - 철망
    철망은 금속 재료로 만든 망의 형태로, 다양한 종류와 규격으로 건축, 스포츠, 토목 등 여러 분야에서 울타리, 경계, 조리, 방재 등의 목적으로 활용된다.
  • 그물 - 포충망
    포충망은 곤충이나 작은 동물을 잡는 데 사용하는 도구이며, 긴 자루 끝에 그물이 달린 형태를 하고 가볍고 다루기 쉬워 곤충 채집에 널리 사용된다.
  • 피륙 - 직물
    직물은 날실과 씨실을 교차시켜 만든 것으로, 의류, 인테리어, 산업용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며 평직, 능직, 새틴 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된다.
  • 피륙 - 케블라
    케블라는 듀폰이 개발한 고강도 아라미드 섬유로, 강철보다 강하고 내열성, 내화학성이 뛰어나 방탄복 등에 사용되지만 자외선에 약하고 가공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테이진, 코오롱 등의 경쟁 제품이 있다.
  • 도구 - 목재
    목재는 수목의 목질부로, 오래전부터 연료, 건축 자재, 도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으로 구성되고 수종에 따라 물성이 다르며,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와 기술 개발이 중요시되는 재료이다.
  • 도구 - 호루라기
    호루라기는 입으로 불어넣는 공기나 증기를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 도구로, 스포츠 경기, 경비, 교통 정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호 전달 및 경고 목적으로 활용되며 악기로도 사용된다.
그물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종류직물
짜임 방식씨실과 날실이 교차점에서 고리 또는 매듭으로 엮임
특징
구조투명한 개방형 구조
제작 방법루핑이나 매듭으로 제작
용도
의류속옷
란제리
베일
드레스
무대 의상
그물 스타킹
기타모기장
커튼
어망
운동망
추가 정보
다양한 형태마름모 그물
사각 그물
육각 그물
트리코트 그물
코팅 그물
레이스 그물
튜울 그물
스위스 그물

2. 용어

간단히 '''망'''(網)으로도 부른다. 물고기를 잡는 그물은 '''어망'''(漁網·魚網)으로 부른다. 그물이라는 표현은 도구로서의 의미뿐 아니라 "남을 꾀거나 잡기 위한 교묘한 수단과 방법"이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3. 역사

과거에는 손으로 직접 그물을 짜서 만들었다.[5] 일본에서도 메이지 시대 중반까지는 손으로 만들었다.

1907년(메이지 40년)에 "히로이식 발판 개구리 걸이틀"이라는 제망 기계가 발명되었고, 1925년(다이쇼 14년)에는 "무결절망기"가 완성되었다.[4] 그로 인해 산업적인 대량 생산이 시작되었다. 쇼와 시대에는 미에현, 아이치현, 시즈오카현, 이시카와현을 중심으로 그물 제조업이 번성했지만, 헤이세이 시대에 들어서면서 인건비가 싼 해외 생산에 밀려 업체 수와 국내 생산 모두 감소 추세이다.

4. 종류

사람들은 다양한 목적으로 그물을 사용한다. 그물은 제조 방법, 용도, 재료 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제조 방법에 따라서는 결절망, 무결절망, 성형망으로 구분된다.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설명)

용도에 따라서는 어망과 육상용 그물로 나뉜다.[5] 어망은 어업에 사용되는 그물로, 족대, 주낙, 저인망, 자망, 선망, 투망 등이 있다.[5] 육상용 그물은 농업, 건설,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5]


  • 포획용 그물: 가스미 그물, 탐망, 곤충채집망
  • 방호 및 차단용 그물: 방조망, 방충망, 방구망, 방풍망, 차광망, 방범망, 낙석 방지망, 추락 방지망


재료에 따라서는 섬유 외에 금속으로 만든 금망도 있다. 구이망은 생선이나 떡 등을 구울 때 사용한다.[1]

4. 1. 제조 방법에 따른 분류

제조 방법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결절망

: 그물의 마디를 매듭으로 연결하여 만든 것이다. 현재는 “개구리 매듭(かえるまた)”이라는 매듭 방식이 주류이다.

  • 무결절망

: 그물의 마디를 꼬아서 만든 것이다. 매듭이 없기 때문에 끊어지기 어렵고 가볍고 부피가 작다.

  • 성형망

: 수지를 압출하여 신장 등의 방법으로 그물 모양으로 만든 것이다.

250px

4. 2. 용도에 따른 분류

그물은 용도에 따라 어망과 육상용 그물로 나뉜다.[5]

어망은 어업에 사용되는 그물로, 어법에 따라 끌어올리는 그물, 끌어당기는 그물, 정치망, 자망, 김발, 양식장 그물 등이 있다.[5] 어망의 형태는 어법뿐만 아니라 사용 해역에 따라서도 다르다.[5]

육상에서 사용되는 그물을 육상망이라고 하며, 용도는 농업용, 건설용, 스포츠용 등으로 다양하게 나뉜다.[5] 농업용 그물에는 농작물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지주망, 방충망, 방풍망, 훼손방지망 등이 있다.[5] 건설용 그물에는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안전망, 낙석 방지망 등이 있으며, 엄격한 안전 기준이 정해진 그물도 있다.[5] 스포츠용으로는 스포츠 시설에서 사용되는 방구망, 골프망, 축구 골대 그물 등이 있다.[5]

  • 포획용 그물
  • * 가스미 그물
  • * 탐망
  • * 곤충채집망
  • 방호 및 차단을 목적으로 하는 그물
  • * 방조망
  • * 방충망
  • ** 농업용 방충망
  • ** 모기장
  • ** 방충망
  • * 방구망
  • * 방풍망
  • * 차광망
  • * 방범망
  • * 낙석 방지망
  • * 추락 방지망


4. 3. 재료에 따른 분류

섬유 제품 외에 금속으로 만든 그물은 금망이라고 한다. 구이망은 생선이나 떡 등을 구울 때 사용하며, 재료를 꼬챙이에 꿰어 불 위에서 굽기도 한다. 붕장어용 대형 망, 격자 모양의 떡 구이망, 생선 구이망 등이 있고, 예전에는 석면으로 만든 망도 있었다. 증기 구이망도 있다.[1]

5. 다양한 활용

사람들은 다양한 목적으로 그물을 사용한다.

5. 1. 어업

어망은 대량으로 어획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어망은 튼튼하면서도 유연한 특성 때문에 사용되는데, 무게를 지탱할 수 있으면서도 가볍고 휴대가 간편하기 때문이다. 어부들은 저인망 어업을 할 때 어망을 사용하는데, 이는 물고기가 갇히고 끌어올려지는 과정에서 많은 무게를 지탱할 만큼 튼튼하기 때문이다.[5] 대개 실을 구성하는 필라멘트에는 왁스나 플라스틱 코팅이 되어 있으며, 이 코팅은 직물에 방수 기능을 더하여 신뢰성을 더욱 높여준다.

어망은 어업에 사용되는 그물로, 어법에 따라서 끌어올리는 그물, 끌어당기는 그물, 정치망, 자망, 김발, 양식장 그물 등이 있다.[5] 어망의 형태는 어법뿐만 아니라 사용 해역에 따라서도 다르다.[5]

5. 2. 패션

튤은 가는 실로 육각형 모양의 작은 구멍들을 내어 만든 그물의 한 종류이며, 종종 풀을 먹여 뻣뻣하게 만든다. 튤은 베일에 주로 사용되며, 서구에서는 흰색 튤 베일을 머리와 얼굴에 쓰는 것이 웨딩드레스와 함께 일반적이다. 튤은 무게를 더하지 않고도 형태와 부피를 주기 때문에 전통적인 발레 튜튜의 스커트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된다.

5. 3. 의료

의료용 그물망은 여러 겹으로 사용될 경우 쿠션과 보호 기능을 제공하지만, 피부가 숨을 쉴 수 있게 한다. 그물망 용도에 따라 필라멘트를 감싸는 왁스 또는 플라스틱 코팅을 적용할 수 있다. 필라멘트는 최종 용도에 따라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로 만들 수 있다.[2]

5. 4. 기타

그물은 캠핑 텐트에 흔히 사용된다. 구멍을 통해 공기가 쉽게 통과하여 통기성을 유지하면서 해충과 곤충은 통과하지 못하게 한다. 수하물 가방에도 종종 사용되어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투명하고 통기성이 좋은 수납공간을 만든다. 모기 및 기타 공중 해충을 차단하면서 공기 흐름을 허용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한다.[1]

  • 패션
  • * 헤어넷
  • * 스타킹
  • 귤망
  • 배수구 등의 물받이망(망 타입, 스타킹 타입)

6. 생물학적 응용

생물체 중에는 그물 또는 그물 모양을 띄는 경우가 많다. 생물이 직접 만들어내는 그물과 생물체 자체가 그물과 같은 형태를 띠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생물이 만드는 그물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거미줄이다. 거미줄은 주로 먹이 포획에 사용된다. 이와 유사하게 히게나가가와토비케라를 포함한 케라류의 일부, 오타마보야, 오오헤비가이 등도 몸에서 분비물로 그물을 만들어 먹이를 잡는다. 나방과 같은 곤충은 분비물로 고치를 만드는데, 이 고치의 눈이 거칠면 그물 모양이 된다. 스카시다와라가 대표적인 예이다.[1]

몸이나 몸의 일부가 그물 모양이 되는 경우는 가지가 뻗어 나와 끝에서 합쳐지거나, 평평한 부분에 여러 개의 구멍이 생기고 그것이 커지는 경우 등이 있다. 아미미도로(アミミドロ)나 라비린툴라는 엽상체 자체가 그물 모양이다. 변형균이나 유공충의 경우 위족이 가지를 치고 여러 곳에서 합쳐져 그물 모양 위족을 형성한다. 쇠풀속 식물은 기부의 엽초가 섬유질로 갈라져 그물 모양이 되기도 하는데, 이를 실그물이라고 한다. 그 외에 아미시다(アミシダ), 아미메아리(アミメアリ)는 그물 모양의 무늬를 가지고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net fabric? Types and uses of net fabric http://textileapex.b[...] 2015-04-27
[2] 웹사이트 Style 63, Cubicle Mesh http://textiles.jaso[...] 2013-09-30
[3] 웹사이트 Mesh Fabric and Netting Fabric http://meshfabric.bi[...] Textiline 2013-09-28
[4] 웹사이트 沿革 http://www.nittoseim[...] 日東製網株式会社 2011-01-30
[5] 간행물 工業-繊維製品- https://www.okashin.[...] 岡崎信用金庫 2019-1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