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부카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부카인은 국소 마취제로 사용되는 알칼리성 화합물이다. 피부의 통증, 가려움증, 염증 완화에 효과가 있으며, 동물 안락사에 사용되기도 한다. 아미드형 국소 마취제이며, 척수 지주막하 마취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독성 문제로 인해 테트라카인, 부피바카인으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디부카인 넘버는 가성 콜린에스터레이스 활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소 마취제 - 국소마취제
    국소 마취제는 통증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약물로, 나트륨 채널을 차단하여 신경 신호 전달을 억제하며, 아미드형과 에스터형으로 분류되고, 다양한 수술 및 시술, 통증 치료에 사용된다.
  • 국소 마취제 - 클로로에테인
    클로로에테인은 화학식 C2H5Cl를 갖는 할로젠화 알킬로, 과거 테트라에틸납 생산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에틸 셀룰로스 합성, 국소 마취제, 오락용 흡입제 등으로 사용되며 폭발성과 마취 작용의 위험이 있다.
  • 퀴놀린 - 클로로퀸
    클로로퀸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사용되며, 과거에는 말라리아 치료에도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내성 문제와 다양한 부작용, COVID-19 치료 효과 없음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된다.
  • 퀴놀린 - 몬테루카스트
    몬테루카스트는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로서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두드러기 같은 알레르기 질환 치료에 사용되지만, 신경정신과적 부작용 위험으로 인해 블랙 박스 경고가 추가되었다.
  • 다이에틸아미노 화합물 - 클로로퀸
    클로로퀸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사용되며, 과거에는 말라리아 치료에도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내성 문제와 다양한 부작용, COVID-19 치료 효과 없음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된다.
  • 다이에틸아미노 화합물 - 메토클로프라미드
    메토클로프라미드는 소화기 기능 이상을 개선하는 약물로, 위염, 위·십이지장 궤양, 편두통, 위 마비, 위식도 역류 질환 등의 치료와 소장 검사 시술 시간 단축에 사용되지만, 특정 질환자에게는 금기이며 장기 사용 시 부작용에 주의해야 하고, 1964년 개발되어 '프림페란', '레글란' 등으로 판매된다.
디부카인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신코카인
신코카인 구조
IUPAC 이름2-뷰톡시-N-[2-(다이에틸아미노)에틸]퀴놀린-4-카복스아미드
상품명(제공된 문서에 상품명 정보가 없습니다.)
Drugs.comcinchocaine
투여 경로국부
정맥 (동물 안락사)
IUPHAR 리간드7159
CAS 등록번호85-79-0
ATC 코드C05AD04
D04AB02
N01BB06
S01HA06
S02DA04
PubChem3025
DrugBankDB00527
ChemSpider ID2917
UNIIL6JW2TJG99
KEGGD00733
ChEBI247956
ChEMBL1086
분자식C20H29N3O2
SMILESO=C(c1c2ccccc2nc(OCCCC)c1)NCCN(CC)CC
StdInChI1S/C20H29N3O2/c1-4-7-14-25-19-15-17(16-10-8-9-11-18(16)22-19)20(24)21-12-13-23(5-2)6-3/h8-11,15H,4-7,12-14H2,1-3H3,(H,21,24)
StdInChIKeyPUFQVTATUTYEAL-UHFFFAOYSA-N
약리학적 정보
생체 이용률(제공된 문서에 생체 이용률 정보가 없습니다.)
단백질 결합(제공된 문서에 단백질 결합 정보가 없습니다.)
대사(제공된 문서에 대사 정보가 없습니다.)
제거 반감기(제공된 문서에 제거 반감기 정보가 없습니다.)
배설(제공된 문서에 배설 정보가 없습니다.)

2. 화학적 특성

디부카인은 알칼리성 수용액에서 잘 녹지 않는다.[5] 분자 구조 내에 아미드 결합을 가지고 있지만, 리도카인, 부피바카인, 메피바카인과 같은 다른 아미드형 국소 마취제들이 "방향환-NH-CO-R" 형태의 아미드 결합을 갖는 것과 달리, 디부카인은 "방향환-CO-NH-R" 순서로 결합되어 있다.[6]

디부카인은 염기성 조건에서 수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제제화 시에는 염산과의 염 형태인 '''디부카인 염산염'''(dibucaine hydrochloride) 형태로 만들어 주사제 등에 사용한다.

3. 약리 작용 및 효능

디부카인은 피부통증, 가려움증, 염증 등을 완화시키는 국소 마취제이다. 이나 등의 가축을 안락사시키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

3. 1. 국소 마취

피부통증, 가려움증, 염증 등을 완화하기 위해 국소 마취용으로 사용된다.[4][11][12] 척수 지주막하 마취에도 쓰이며, 0.5% 농도로 척수 지주막하 마취에 사용했을 때 평균 작용 시간은 3~4시간이다.[7] 그러나 고농도 제제는 척수에 영구적인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신경 독성 문제가 있어, 테트라카인이나 부피바카인으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3. 2. 기타

디부카인은 피부통증, 가려움증, 염증 등을 완화시키는 국소 마취제로 사용된다.[3] 높은 독성을 가지고 있어[15] 이나 등 가축을 안락사시키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4. 한국에서의 사용 현황 및 역사

한국에서는 0.3% 디부카인 제제가 척수 지주막하 마취에 오랫동안 사용되었으나,[9] 신경 독성 문제로 인해 테트라카인, 부피바카인 등 더 안전한 약물로 대체되었다.[7] 2015년 3월, 페르카민S와 네오페르카민S 등 디부카인 함유 척수 마취제는 약가 등재 목록에서 삭제되었다.[10]

2023년 현재, 네오비타카인은 증상성 신경통, 근육통, 요통증, 어깨관절주위염 등에 대한 경막외 블록, 침윤 마취, 신경 블록, 트리거 포인트 주사에 사용되고 있다.[4]

4. 1. 개발 경위

1932년, 미스너는 아세토아닐리드 계열 해열제를 개발하던 중 국소 마취 작용을 발견하여 신코카인(Cinchocaine)으로 명명했다.[18] 이후 유럽에서 페르케인(Percaine)으로 사용되었으나, 프로카인(Procaine)과 발음이 유사하여 오인으로 인한 사망 사고가 잇따라 발생해 신코카인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8] 미국에서는 디부카인(Dibucaine), 일본에서는 페르카민이라는 상품명으로 사용되었다.[18]

5. 디부카인 넘버

혈청 중의 가성 콜린에스터레이스 활성을 측정하는 고전적인 검사법으로 디부카인 넘버를 이용한 검사가 있다. 디부카인을 정맥 내 주사하여 가성 콜린에스터레이스 활성을 측정하여 가성 콜린에스터레이스의 이형 효소 보유자를 확인할 수 있다. 이형 효소 보유자는 탈분극성 근이완제인 석시닐콜린의 작용 시간이 보통 수 분인 것에 비해, 수 시간까지 비정상적으로 길어진다.[1] 그러나 석시닐콜린 사용 빈도가 크게 줄면서 가성 콜린에스터레이스 활성 측정의 임상적 의의 또한 감소했다.

6. 관련 화합물

프로카인아미드는 디부카인과 유사하게 "방향족 고리-CO-NH-R" 구조를 가진다. 아미드 결합을 가진 프로카인아미드는 에스터 결합을 가진 프로카인과 달리 심근의 전압 의존성 나트륨 채널에 작용하여 항부정맥제로 사용된다.[16] 프로카인아미드는 심근의 활동 전위 지속 시간과 불응기를 연장시킨다.[17]

7. 배합제

치질 치료제인 프로크토세딜과 같은 약물에 디부카인 염산염이 배합되는 사례가 있다.[3] 네오페르카민S나 네오비타카인도 디부카인을 주성분으로 하는 배합약이다.

참조

[1] 서적 Martindale, The Extra Pharmacopoeia
[2] 웹사이트 Dibucaine https://meshb.nlm.ni[...]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3] 웹사이트 Proctosedyl ointment/suppositories (cinchocaine, hydrocortisone) https://www.netdocto[...] Netdoctor 2020-11-29
[4] 웹사이트 医療用医薬品 : ネオビタカイン (商品詳細情報) https://www.kegg.jp/[...] 2022-12-25
[5] 서적 緊急患者の麻酔 基礎と実際 秀潤社 2004-05-31
[6] 서적 화학구조와 약리작용 - 의약품을 화학적으로 읽는다(제2판) 廣川書店 2010-10-20
[7] 서적 緊急患者の麻酔 基礎と実際 秀潤社 2004-05-31
[8] 서적 緊急患者の麻酔 基礎と実際 秀潤社 2004-05-31
[9] 서적 緊急患者의 麻酔 基礎와 実際 秀潤社 2004-05-31
[10] 웹사이트 2014.11.27 経過措置医薬品告示情報 (経過措置期限 2015.3.31)(148件) https://www.data-ind[...] 2022-12-25
[11] 서적 Martindale, The Extra Pharmacopoeia
[12] 웹사이트 Dibucaine http://www.nlm.nih.g[...]
[13] 웹사이트 ビタカイン製薬株式会社 https://www.vitacain[...] 2022-12-25
[14] 웹사이트 ジカベリン注2mLの同効薬・薬価一覧 - 薬価サーチ2022【薬価検索&添付文書検索】 https://yakka-search[...] 2022-12-25
[15] 서적 Martindale, The Extra Pharmacopoeia
[16] 서적 화학구조와 약리작용 - 의약품을 화학적으로 읽는다(제2판) 廣川書店 2010-10-20
[17] 서적 화학구조와 약리작용 - 의약품을 화학적으로 읽는다(제2판) 廣川書店 2010-10-20
[18] 논문 局所麻酔剤について
[19] 서적 Martindale, The Extra Pharmacopoeia
[20] 웹사이트 Dibucaine http://www.nlm.nih.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