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트로이트 파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트로이트 파산은 1950년대부터 시작된 백인들의 교외 이주와 자동차 산업 쇠퇴로 인한 인구 감소, 세수 기반 약화, 재정 악화로 인해 발생했다. 2013년 디트로이트 시는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지방자치단체 파산을 신청했으며, 이는 퇴직자 혜택, 부채 상환, 정부 부패 등 복합적인 요인에 기인했다. 파산 이후, 디트로이트는 '그랜드 바겐'을 통해 연금 삭감 규모를 줄이고, 민간 투자를 유치하여 도시 재건 노력을 기울였으나, 여전히 재정 문제, 높은 실업률, 주택 압류 등 해결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3년 경제 - 아메리칸 항공 그룹
아메리칸 항공 그룹은 아메리칸 항공과 US 에어웨이즈의 합병으로 2013년 설립된 세계 최대 항공사 중 하나인 지주회사로, 'AAL' 심볼로 나스닥에 상장되어 있으며, 아메리칸 항공을 주력 자회사로 두고 아메리칸 이글 브랜드를 운영한다. - 2013년 경제 - 21세기 자본
토마 피케티의 《21세기 자본》은 자본주의 체제에서 경제적 불평등 심화가 고유한 특징임을 주장하며, 자본 수익률이 경제성장률보다 클 때 불평등이 심화되므로 누진세 강화와 부유세 도입 등의 경제간섭주의 정책을 제안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출간 후 불평등 논의를 촉발했지만 데이터 정확성과 정책 실효성에 대한 비판도 있는 책이다. - 디트로이트의 경제 - 르네상스 센터
르네상스 센터는 헨리 포드 2세의 구상으로 디트로이트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건설되었으며 현재 제너럴 모터스 본부로 사용되는, 디트로이트 강변의 복합 시설이다. - 디트로이트의 경제 - 가디언 빌딩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 있는 36층 마천루인 가디언 빌딩은 "금융의 대성당"이라고도 불리며, 미국 원주민 테마 디자인, 와이어트 C. 롤랜드의 설계, 페와빅/룩우드 도자기 타일 장식 로비, 티파니 시계, 모넬 금속 사용 등이 특징이다. - 디트로이트의 역사 - 디트로이트 테크노
디트로이트 테크노는 1980년대 중반 디트로이트에서 발생한 전자 음악 장르로, 벨빌 3인방이 크라프트베르크, 팔러먼트 등의 영향을 받아 아프리카 퓨처리즘과 사회 비판적 메시지를 융합한 독특한 사운드를 구축하며 시작되었다. - 디트로이트의 역사 - 디트로이트 요새
1701년 앙투안 로메 드 라 모트, 카딜락이 건설한 디트로이트 요새는 프랑스가 북미 중부 모피 무역을 독점하고 영국 식민지 개척자들의 서쪽 이주를 막기 위해 건설한 요새로, 초기에는 퐁샤르트랭 뒤 디트로이트 요새로 불렸으며 건설 과정에서 논란이 있었으나 디트로이트 시 발전에 기여했다.
디트로이트 파산 | |
---|---|
기본 정보 | |
명칭 | 디트로이트 파산 |
위치 | 미국미시간주 디트로이트 |
발효일 | 2013년 7월 18일 |
종결일 | 2014년 12월 10일 |
배경 | |
원인 | 인구 감소 제조업 쇠퇴 부채 증가 부실한 재정 관리 |
파산 신청액 | 180억 ~ 200억 달러 |
파산 종류 | 챕터 9 |
주요 내용 | |
채권자 | 연금 수령자 시 공무원 채권 보유자 |
자산 매각 | 디트로이트 미술관 소장품 |
부채 삭감 | 70억 달러 |
연금 삭감 | 일부 연금 삭감 및 의료 혜택 축소 |
도시 재건 투자 | 17억 달러 |
법적 절차 | |
파산 신청 승인 | 2013년 12월 3일 |
파산 계획 승인 | 2014년 11월 7일 |
파산 종료 | 2014년 12월 10일 |
영향 | |
도시 서비스 | 공공 서비스 개선 노력 치안 강화 낙후 지역 개발 |
경제 회복 | 새로운 투자 유치 및 일자리 창출 노력 |
이미지 개선 | 도시 이미지 쇄신 및 신뢰도 회복 노력 |
2. 배경
디트로이트의 파산은 단기간에 발생한 사건이 아니라, 수십 년에 걸쳐 진행된 도시의 구조적 쇠퇴와 재정 악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1950년대 이후 지속된 인구 감소, 주력 산업의 변화, 그리고 백인 이탈 현상 등은 도시의 세수 기반을 지속적으로 약화시키는 근본적인 배경이 되었다.[20][21][22] 이러한 장기적인 쇠퇴 추세는 미국 대침체와 맞물려 시 재정에 치명적인 타격을 주었고, 심각한 현금 흐름 부족 문제로 이어졌다.[20]
시 정부는 늘어나는 부채 상환 부담과 퇴직자 연금 및 의료비 지출 증가 문제에 직면했지만, 인구 감소와 부동산 가치 하락으로 인해 재산세 및 소득세 수입은 계속해서 줄어들었다.[19][20] 재정 위기가 통제 불가능한 수준으로 심화되자, 미시간 주 정부가 직접 개입에 나섰다. 2012년 시 정부와 주 정부 간의 재정 지원 및 감독 강화 합의가 있었으나[13], 재정 상황은 개선되지 못했다. 결국 2013년 초, 주 정부는 디트로이트 시의 재정 운영권을 사실상 인수하고 케빈 오어를 비상 재정 관리자로 임명했다.[13][15] 비상 관리자는 시의 계약 변경 및 자산 매각 등 강력한 권한을 부여받았으며[16], 곧이어 시가 지불 불능 상태에 빠졌다는 공식 보고서를 발표하며 파산 절차의 시작을 알렸다.[17][18]
2. 1. 디트로이트의 쇠퇴
디트로이트의 재정 문제는 갑자기 발생한 것이 아니라, 수십 년에 걸쳐 진행된 도시의 쇠퇴 과정과 깊은 관련이 있다. 디트로이트의 복잡한 역사는 시의 재정 문제에 대한 더 큰 맥락을 제공한다. 디트로이트의 인구와 고용 기회의 쇠퇴는 파산 신청 이전 수십 년 동안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디트로이트의 인구는 1950년 약 200만 명으로 정점을 찍었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0년에는 약 71만 4천 명 수준으로 급감했다.[20] 이러한 인구 감소는 재산세 및 소득세 기반을 약화시켜 시의 수입 감소로 이어졌다.[20] 도시의 일자리 역시 인구 감소와 함께 줄어들었다. 1972년부터 2015년 사이에는 디트로이트 내 사업체의 3분의 2 이상이 문을 닫거나 도시를 떠났다.[21]
이러한 인구 및 일자리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도시 외곽의 교외 지역으로 백인 주민들이 대거 이주한 현상, 즉 백인 이탈(White Flight)이다.[21][22] 이 현상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수십 년 동안 지속되었으며, 당시 연방 정부의 주택 정책과 디트로이트 지역 부동산 업계의 관행과 맞물려 심화되었다. 이러한 정책과 관행은 흑인 주민들에게는 대출 기회를 제한하고, 점차 노후화되는 도심 지역의 주택에 거주하도록 강제하는 결과를 낳았다.[22]
2. 2. 재정 위기 심화
2012년 4월, 데이브 빙 디트로이트 시장과 9명의 시의원은 미시간 주지사 릭 스나이더(공화당)와 합의하여, 미시간주가 디트로이트의 재정을 지원하는 대신 주 정부의 재정 감독 강화를 수용하기로 했다.[13] 같은 해 12월에는 시의 재정 상태를 60일간 검토할 재정 검토팀이 임명되었다. 이 팀에는 앤디 딜런 미시간 재무장관, 토마스 맥타비쉬 미시간 감사관, 켄 위펠(Korn/Ferry), 대럴 버크스(PricewaterhouseCoopers), 로널드 골드스베리(Deloitte Consulting), 프레데릭 헤이든 등이 포함되었다.[14]2013년 2월, 스나이더 주지사는 디트로이트가 주 정부가 설정한 재정 개선 기한을 지키지 못했다고 판단하여, 미시간 주 정부가 디트로이트 시 재정에 대한 직접 통제에 나선다고 발표했다.[13] 1990년 공법 72호에 따라, 주 정부의 비상 재정 지원 위원회는 재정 비상사태를 선언하고 케빈 오어를 디트로이트의 비상 재정 관리자로 임명했다.[15] 비상 관리자로서 오어는 디트로이트 시의 계약을 수정하고 시 자산을 매각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았다.[16]
2013년 5월, 케빈 오어는 디트로이트의 재정 상태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17] 보고서는 디트로이트가 "명백히 지불 불능 상태이며, 현금 흐름 기준으로" 해당 회계 연도 말 현금 흐름이 1.62억달러 부족할 것으로 예측했다.[18] 또한, 시의 예산 적자는 2개월 안에 3.86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시 예산의 3분의 1이 퇴직자 혜택 지급에 사용되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19]
디트로이트의 심각한 현금 흐름 부족은 수입 감소와 지출 문제의 복합적인 결과였다. 2013년 시의 수입은 2008년 수준보다 20% 이상 감소했다.[20] 이는 지속적인 인구 감소로 재산세 및 소득세 기반이 축소된 것이 주요 원인이었다.[20] 미국 대침체 이후 급증한 주택 압류와 높은 실업률은 부동산 가치를 하락시켜 세수 기반을 더욱 악화시켰다.[20] 또한, 미시간주는 2010년 인구 조사에서 보고된 인구 감소를 이유로 디트로이트에 대한 주 수입 분담금을 삭감했다.[20]
지출 측면에서는, 2008년과 2013년 사이에 직원 해고와 직원 의료 및 혜택 축소를 통해 시 운영 비용을 38% 감축했음에도 불구하고 재정 압박은 해소되지 않았다.[20] 같은 기간 동안 부채 상환금, 퇴직자 의료 및 연금 지급액, 금융 비용 등이 오히려 증가했기 때문이다.[20] 특히 16억달러의 부채 조달을 위한 참여 증명서 발행과 낮은 신용 등급으로 인한 계약 해지 수수료 등 금융 비용이 재정에 큰 부담을 주었다.[20]
이러한 직접적인 수입 감소와 지출 증가는 디트로이트 파산 신청의 결정적인 원인이었지만, 디트로이트의 역사는 시의 재정 문제가 수십 년에 걸쳐 누적된 구조적 문제임을 보여준다. 파산 신청 훨씬 이전부터 디트로이트는 인구 감소와 일자리 감소라는 쇠퇴를 겪고 있었다. 디트로이트 인구는 1950년 약 200만 명에서 2010년 약 71만 4천 명으로 급감했다.[20] 일자리 역시 인구를 따라 감소하여, 1972년과 2015년 사이에 디트로이트 내 사업체의 3분의 2 이상이 문을 닫거나 이전했다.[21] 이러한 인구와 일자리의 유출은 주로 도시 외곽 교외 지역으로 백인 인구가 이동하는 백인 이탈 현상과 함께 진행되었다.[21][22] 백인 이탈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수십 년간 지속된 연방 주택 정책 및 디트로이트 부동산 업계의 차별적 관행과 연관된다.[22] 당시 정책과 관행은 흑인 디트로이트 주민들의 대출 기회를 배제하고 악화되는 주거 환경에 가두는 결과를 낳았다.[22]
2. 3. 정치적 갈등
2012년 4월, 민주당 소속 데이브 빙 디트로이트 시장과 9명의 시의원은 공화당 소속 미시간 주지사 릭 스나이더와 합의에 이르렀다. 이 합의는 미시간주가 디트로이트의 재정을 지원하는 대신, 시 재정에 대한 주 정부의 감독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13] 그러나 이러한 협력 시도에도 불구하고 재정 상황은 쉽게 개선되지 않았다.같은 해 12월, 주 정부는 디트로이트의 재정 상태를 60일간 검토하기 위한 재정 검토팀을 임명했다. 이 팀에는 앤디 딜런 미시간 재무장관, 토마스 맥타비쉬 미시간 감사관, 그리고 민간 컨설팅 회사 소속 전문가들(켄 위펠(Korn/Ferry), 대럴 버크스(PricewaterhouseCoopers), 로널드 골드스베리(Deloitte Consulting), 프레데릭 헤이든)이 포함되었다.[14]
결국 2013년 2월, 스나이더 주지사는 디트로이트가 주 정부가 설정한 재정 개선 기한을 지키지 못했다고 판단하며, 미시간 주 정부가 디트로이트 시에 대한 직접적인 재정 통제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13] 이는 사실상 시 정부의 자율성을 크게 제약하는 조치였다. 1990년 공법 72호에 근거하여, 주 정부의 비상 재정 지원 위원회는 재정 비상사태를 선언하고 케빈 오어를 디트로이트의 비상 재정 관리자로 임명했다.[15] 비상 관리자로 임명된 오어는 디트로이트 시의 기존 계약을 일방적으로 수정하거나 시 소유 자산을 매각할 수 있는 강력한 권한을 부여받았다.[16]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민주당 소속의 시 정부와 공화당 소속의 주 정부 간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디트로이트의 재정 문제 해결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
3. 파산 신청
2013년 6월, 디트로이트 시 정부는 재정난으로 인해 연금 지급 의무를 포함한 일부 무담보 부채 상환을 중단했다.[2] 시의 비상 재정 관리자인 케빈 오어(Kevyn Orr)는 파산을 막기 위해 채권단과 협상을 시도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2][24] 당시 백악관은 디트로이트 시에 대한 연방 정부 차원의 직접적인 구제 금융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2]
결국 몇 달간의 협상이 실패로 돌아가자,[24] 케빈 오어는 2013년 7월 18일, 릭 스나이더 당시 미시간 주지사의 승인을 얻어[26] 미국 미시간 동부 지방 법원에 제9장 파산 보호를 공식 신청했다.[16][25] 디트로이트 시의 추정 부채는 180억달러에서 200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었으며,[24] 이는 미국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지방 자치 단체 파산 신청으로 기록되었다.[1] 이는 이전 최대 기록이었던 앨라배마주 제퍼슨 카운티의 파산 규모를 훨씬 넘어서는 것이었다.[1]
3. 1. 파산 보호 신청
2013년 6월, 디트로이트 시 정부는 연금 의무를 포함한 일부 무담보 부채에 대한 지급을 중단했다.[2] 시의 비상 재정 관리자인 케빈 오어(Kevyn Orr)는 파산을 피하기 위해 디트로이트의 일부 채권자들에게 빚진 금액의 10%만 받도록 설득하려 했으나 실패했다.[2][24] 백악관 대변인 제이 카니는 7월 기자 회견에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디트로이트 시 정부에 대한 구제 금융 계획을 알지 못한다고 밝혔는데, 이는 과거 제너럴 모터스나 크라이슬러 구제 금융과는 다른 상황임을 시사했다.[2] 파산 신청 직전인 7월 17일, 디트로이트의 두 최대 시립 연금 기금은 오어가 퇴직자 혜택을 삭감하는 것을 막기 위해 주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23][26]결국 몇 달간의 협상에도 불구하고 오어는 채권자, 노조, 연금 위원회와 합의에 이르지 못했고,[24] 2013년 7월 18일 미국 미시간 동부 지방 법원에 제9장 파산 보호를 신청했다.[16][25] 릭 스나이더(Rick Snyder) 미시간 주지사는 법원 서류에 첨부된 서한을 통해 오어의 신청을 승인했다.[26]
디트로이트 파산의 주요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지목되었다.
- 인구 감소로 인한 세수 급감
- 퇴직자 의료 및 연금 프로그램 비용 부담 증가
- 예산 적자를 메우기 위한 지속적인 차입 (특히 2008년 이후)[27]
- 부실한 기록 관리 및 낙후된 전산 시스템[1]
- 높은 재산세 미납률 (2011년 기준 소유주의 47%가 미납)[28]
- 정부 부패[29]
- 두 시 공무원 연금 계획에서 약 25년간 지급된 소위 "13개월 급여" 수표[30]

디트로이트의 파산 신청은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지방자치단체 파산이었다. 추정된 장기 부채는 140억달러를 넘었고, 최대 180억달러에서 200억달러에 달할 수 있었다.[24] 이는 이전 최대 기록이었던 앨라배마주 제퍼슨 카운티의 40억달러 부채를 훨씬 뛰어넘는 규모였다.[1] 또한, 2012년 파산 신청을 한 캘리포니아주 스톡턴보다 인구가 두 배 이상 많아, 파산 신청 당시 미국 역사상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이기도 했다.[1] 대공황 이후 지방자치단체의 파산은 드문 일이었기에(1950년 이후 약 60건, 연평균 1건 미만), 디트로이트 파산의 영향은 불확실했다.[1][31]
주 정부 관계자는 파산 신청으로 인해 시 서비스가 즉각적인 영향을 받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1] 그러나 연금을 받는 시 공무원들은 연방 연금 보장 공사의 보호를 받지 못하며, 일부는 사회 보장 혜택 대신 연금에 의존하고 있어 불안감이 커졌다.[32]
파산 절차에 드는 법률 비용만 해도 디트로이트 시에 "수천만 달러에서 수억 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었다.[36] 오어는 디트로이트가 2014년 늦여름이나 가을까지 파산 상태에서 벗어나기를 희망하며, 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하겠다고 밝혔다.[33]
오어는 가치 있는 시 자산 매각을 고려했지만, 법적 제약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16][24] 예를 들어, 디트로이트 미술관의 소장품은 계약 및 주법에 따라 매각이 불가능하며, 콜먼 A. 영 국제 공항[34]과 벨 아일 파크[16] 등도 매각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한편, 인접한 캐나다 온타리오주 윈저의 시장 에디 프랜시스는 디트로이트가 디트로이트-윈저 터널의 미국 측 지분을 매각하려 한다면 구매를 고려할 것이라고 언급했다.[35]
파산 신청 소식에 디트로이트 시가 발행한 채권 수익률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미 2013년 5월 중순 8.39%에서 6월 중순 16%로 급등한 상태였다.[36] 신용 평가 기관 무디스(Moody's)는 파산 신청이 디트로이트의 신용도에 부정적이며, "전례 없는 소송 시나리오"를 야기하여 시민 서비스와 채권자들의 회수 금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평가했다.[37]
파산 신청에 대한 각계의 반응은 엇갈렸다. 디트로이트 노조 지도자들은 금융 협상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오어의 파산 선언이 시기상조라고 비판했지만,[24] 직원들은 정상 근무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38] 디트로이트에 본사를 둔 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는 "디트로이트를 고향이라 부르는 것이 자랑스럽다"며, 파산 신청이 "도시의 새로운 시작을 알릴 수도 있다"는 입장을 내놓았다.[36]
정치권에서도 다양한 목소리가 나왔다. 데이브 빙(Dave Bing) 당시 디트로이트 시장은 시민들에게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당부했다.[24] 스나이더 주지사는 "많은 이들이 이를 도시 역사의 최저점으로 보겠지만, 도시 미래의 기반이 될 수도 있다"며, 파산이 부채 부담 없는 새로운 시작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16]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상황을 주시하며 디트로이트와의 "강력한 파트너십을 지속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16] 반면, 켄터키 주 상원의원 랜드 폴은 연방 정부의 구제 금융에 대해 "내 시체를 넘어서야 할 것"이라며 강하게 반대했다.[39] 스나이더 주지사 역시 "단순히 돈을 더 투입하는 문제가 아니라, 시민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책임 있는 정부를 만드는 문제"라며 구제 금융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40]
디트로이트의 부채 중 3.69억달러에 달하는 무제한 일반 채무(unlimited-tax general obligation bonds)는 납세자들의 보증으로 발행되어 "지방 채권 시장의 금본위제"로 여겨졌으나, 오어가 이를 액면가의 20% 미만으로 해결하려 하자 인근 지방 자치 단체의 차입 비용 상승 우려가 제기되었다.[41] 실제로 미시간 주의 일부 지역에서는 채권 발행을 연기하거나 더 높은 이자율을 감수해야 했다.[42] 그러나 이러한 우려는 광범위하게 확산되지 않았고, 투자자들은 오히려 지방 일반 채무 채권을 이전보다 더 안전하게 취급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캘리포니아의 사례처럼 파산의 여파가 채권 시장에서 빠르게 해소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무디스가 평가하는 7,500개 지방 정부 중 투자 등급 미만인 곳이 40개 미만이라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43]
파산 선언 직후에도 디트로이트 시는 디트로이트 레드 윙스(Detroit Red Wings)의 새 경기장 건설을 위한 4.44억달러 규모의 채권 발행 계획을 계속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재원은 납세자와 경기장 개발자가 분담하며, 스나이더 주지사와 오어는 비용 우려에도 불구하고 프로젝트가 경제적으로 타당하다고 판단했다. 경기장 건설과 연계된 부대 시설 개발로 약 8,000개의 건설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2014년 착공 예정이었다.[44]
파산 절차에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었다. 2013년 10월 1일까지 디트로이트는 변호사, 컨설턴트, 재정 고문 등에게 약 2300만달러의 수수료를 지불했다.[77] 주요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업체 | 분야 | 지급액 (2013년 10월 1일 기준) |
---|---|---|
존스 데이(Jones Day) | 법률 자문 | 1100만달러 |
컨웨이 매켄지(Conway MacKenzie) | 구조 조정 | 459만달러 |
언스트 & 영(Ernst & Young) | 회계 자문 | 417만달러 |
플랜트 모란(Plante Moran) | 회계 자문 | 150만달러 |
밀러 벅파이어(Miller Buckfire) | 투자 은행 | 120만달러 |
[77]
오어는 디트로이트의 구조 조정 계획에 무담보 채권 부채 및 연금 지급용으로 배정되었던 9500만달러를 이러한 수수료 지급에 사용했으며, 이로 인해 시는 2013년 6월 처음으로 채권 지급을 연체하게 되었다.[77] 시간당 1000USD 이상을 청구한 존스 데이 파트너 변호사들의 높은 수임료는 논란이 되기도 했으나, 오어는 이를 과도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78]
2013년 12월 31일, 시 관계자는 파산 관련 수수료로 시 일반 기금에서 총 1.6491억달러를 지불했다고 밝혔으며, 이는 중재를 통해 감면된 약 2500만달러를 제외한 금액이다. 시의 조정 계획에는 법률 및 컨설팅 수수료로 총 1.77억달러가 배정되었다. 공개된 주요 수수료 지급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업체 | 분야 | 지급액 (2013년 12월 31일 기준) |
---|---|---|
존스 데이(Jones Day) | 법률 자문 (시 정부) | 5790만달러 |
밀러 벅파이어(Miller Buckfire) | 투자 은행 (시 정부) | 2282만달러 |
언스트 & 영(Ernst & Young) | 재정 구조 조정 (시 정부) | 2022만달러 |
컨웨이 매켄지(Conway MacKenzie) | 운영 구조 조정 (시 정부) | 1728만달러 |
덴톤스 US LLP (Dentons US LLP) | 법률 자문 (퇴직자 위원회) | 1541만달러 |
클라크 힐 (Clark Hill) | 법률 자문 (연금 기금) | 625만달러 |
그린힐 & 컴퍼니 (Greenhill & Co.) | 재정 자문 (연금 기금) | 571만달러 |
디트로이트 중재 회사 (2곳) | 중재 | 98만달러 |
[79]
파산 사건을 담당한 스티븐 로즈(Steven Rhodes) 판사는 의회가 정한 급여를 받으며, 합의된 수수료의 합리성을 판단하는 데 최대 14일이 주어졌다.[79]
3. 2. 파산 원인
2013년 6월, 디트로이트 시 정부는 연금 의무를 포함한 일부 무담보 부채에 대한 지급을 중단했다.[2] 시 비상재정관리인 케빈 오어(Kevyn Orr)는 파산을 피하기 위해 일부 채권자들에게 빚진 금액의 10%만 받도록 설득하려 했으나 실패했다.[2] 오어는 채권자, 노조, 연금 위원회와 몇 달간 협상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고,[24] 결국 2013년 7월 18일 제9장 파산 보호를 미국 미시간 동부 지방 법원에 신청했다.[16][25] 파산 신청 바로 전날인 7월 17일에는 디트로이트의 두 주요 시립 연금 기금이 오어의 퇴직자 혜택 삭감을 막기 위해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23][26]파산의 직접적인 원인과 배경 요인은 다음과 같이 분석된다.
- 세수 감소: 수십 년간 이어진 인구 감소는 시의 세금 수입 기반을 심각하게 약화시켰다.[27]
- 퇴직자 비용 증가: 은퇴한 시 공무원들에 대한 의료 및 연금 프로그램 비용 부담이 재정에 큰 압박을 주었다.[27] 특히, 두 개의 시 공무원 연금 계획은 거의 25년 동안 소위 "13번째 달 월급(13-month check)"이라 불리는 추가 수표를 지급해 재정 부담을 더욱 키웠다.[30]
- 과도한 차입: 시 정부는 예산 적자를 메우기 위해 2008년 이후 지속적으로 자금을 빌려 부채를 늘렸다.[27]
- 행정 및 관리 부실: 시 기록 관리가 매우 부실했고 컴퓨터 시스템이 낡아 효율적인 재정 관리와 행정 운영이 어려웠다.[1]
- 재산세 미납 심화: 2011년 기준으로 부동산 소유주의 47%가 재산세를 납부하지 않아 시 재정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다.[28]
- 정부 부패: 시 정부 내 만연한 부패 문제 역시 파산의 한 원인으로 지적되었다.[29]
파산 신청 당시 디트로이트의 추정 장기 부채는 1400억달러를 넘었으며, 최대 1800억달러에서 2000억달러에 이를 수 있는 것으로 추산되었다.[24] 이는 당시 미국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지방자치단체 파산 신청으로, 이전 최대 기록이었던 앨라배마주 제퍼슨 카운티의 400억달러 부채를 훨씬 초과하는 금액이었다.[1] 디트로이트의 부채에는 납세자의 일반적인 보증으로 발행된 무제한 일반 채무(unlimited-tax general obligation bonds) 3.69억달러도 포함되어 있었다.[41]
4. 법적 절차
디트로이트 시의 챕터 9 파산 신청은 즉시 법적 공방으로 이어졌다. 2013년 7월, 미시간 주 법원은 파산 신청이 주 헌법에 보장된 공무원 연금 권리를 침해한다며 위헌 판결을 내리고 신청 철회를 명령했으나,[3][45] 연방 파산 법원은 주 법원의 소송 절차를 중단시키고 파산 사건의 관할권을 확보했다.[49][6] 이는 주 헌법의 연금 보호 조항과 연방 파산법의 부채 조정 권한 사이의 충돌 문제를 드러내며 큰 논란을 일으켰다.[47]
사건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연방 파산 법원의 스티븐 로즈 판사는 중재 절차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50] 미국 미시간 동부 지방 법원 수석 판사인 제럴드 로젠이 중재인으로 임명되었고,[57] 여러 법률 전문가들이 추가 중재인으로 참여하여 수많은 이해관계자 간의 협상을 촉진하는 역할을 맡았다.[58]
파산 신청 자격에 대한 심사 과정에서, 2013년 8월 19일까지 총 109건의 이의가 제기되었다.[59] 특히 공무원 노조와 퇴직자 단체들은 연금 삭감 가능성에 대해 강하게 반발했으며,[60][61][62] 빌 슈테 미시간 법무 장관 역시 주 헌법의 연금 보호 조항을 옹호하며 사건에 개입했다.[52]
2013년 12월 3일, 로즈 판사는 디트로이트 시가 지급 불능 상태이며 수많은 채권자와의 사전 협상이 사실상 불가능했다는 점을 들어 파산 보호 신청 자격이 있다고 최종 판결했다.[70][71] 또한, 로즈 판사는 미시간 주 헌법이 연금 보호를 명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방 파산법에 따라 파산 계획을 통해 시 공무원들의 연금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했다.[72] 이 판결은 파산 절차 진행의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으며, 연금 수급자들의 권리에 대한 논쟁을 더욱 심화시켰다. 판결 이후 AFSCME를 비롯한 주요 노조와 연금 기금은 즉각 항소 의사를 밝혔다.[72][74][75]
4. 1. 주 법원과 연방 법원의 갈등

2013년 7월 19일, 디트로이트의 파산 신청은 곧바로 법적 논란에 휩싸였다. 미시간 잉햄 카운티 순회 법원의 로즈마리 아킬리나 판사는 파산 신청이 공무원 연금 지급을 삭감하려 함으로써 미시간 헌법을 위반한다고 판결했다. 미시간 헌법 제9조 제24항은 주 또는 그 하위 정치 단위가 누적된 연금 재정 혜택을 삭감하거나 침해하는 것을 명백히 금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45] 아킬리나 판사는 스나이더 주지사에게 파산 신청을 철회하라고 명령했으며, 이 판결문을 오바마 대통령에게도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3]
그러나 연방 파산법은 파산 판사가 파산한 지방 자치 단체의 연금을 재협상하도록 허용할 수 있는 여지를 두고 있었다.[46] 이는 확정된 공적 연금 권리에 대한 주 헌법의 보호와 부채 조정을 위한 연방 파산 절차의 권한 사이에 심각한 충돌을 야기했다. 이러한 종류의 충돌은 이전의 챕터 9 파산 절차에서는 완전히 시험된 적이 없는 문제였다.[47] 기존 퇴직자들의 공적 연금 혜택은 많은 이들에게 사실상 손댈 수 없는 권리로 여겨져 왔기에, 파산 신청은 큰 불안을 야기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연방 파산 법원의 스티븐 로즈 판사가 개입했다. 7월 24일, 로즈 판사는 퇴직자들이 제기한 주 법원 소송들을 중단시켜 달라는 시의 요청을 받아들였다. 그는 시의 파산 신청 허가 여부에 대한 분쟁은 주 법원이 아닌 연방 파산 법원이 관할권을 가진다고 명확히 했다.[49][6] 이는 사실상 연방 법원이 주 법원의 결정을 뒤집고 파산 절차를 주도하겠다는 의미였다. 앞서 7월 23일, 미시간 항소 법원 역시 아킬리나 판사의 판결에 대한 주 정부의 항소가 해결될 때까지 주 법원 소송 절차를 중단하라고 결정한 바 있다.[50]
이러한 법적 다툼 속에서 빌 슈테 미시간 법무 장관은 7월 27일, 미시간 헌법에 보장된 공적 연금 혜택 보호 조항을 옹호하기 위해 파산 사건에 개입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디트로이트의 재정 회복을 위해 연금 삭감을 지지하는 스나이더 주지사의 입장과는 상반되는 것이었으며, 주 정부 내에서도 이 문제에 대한 입장이 갈리고 있음을 보여주었다.[52]
결국 2013년 12월 3일, 로즈 판사는 디트로이트 시가 챕터 9 파산 보호를 받을 자격이 있다고 최종 판결했다.[70] 그는 디트로이트가 지급 불능 상태이며 수천 명의 채권자와 실질적인 사전 협상을 하는 것이 불가능했다고 판단했다. 비록 시가 파산 신청 전에 채권자들과 '성실하게' 협상했다는 점은 인정하지 않았지만, 협상의 불가능성을 근거로 자격을 부여한 것이다.[71] 더 중요하게는, 로즈 판사는 미시간 주 헌법이 연금 삭감을 금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방 파산법에 따라 시가 퇴직자들의 연금을 삭감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72] 로즈 판사는 공개 법정에서 자신의 판결 발표에 이어 143페이지 분량의 서면 판결 메모를 제공하여 판결의 근거를 제시했다. 이 판결은 주 헌법보다 연방 파산법의 권한을 우선시한 것으로, 디트로이트 파산 절차 진행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연금 수급자들의 권리에 대한 중대한 논쟁을 남겼다.[73]
4. 2. 중재 절차
파산 사건을 담당한 스티븐 로즈 판사는 2013년 7월 23일, 파산 당사자들과 협력할 중재인을 임명할 의사를 밝혔다. 로즈 판사는 중재인으로 미국 미시간 동부 지방 법원 수석 판사인 제럴드 로젠을 제안했다.[50] 8월 13일, 로즈 판사는 다양한 당사자들의 의견을 수렴한 후 로젠 판사를 중재자로 공식 임명했다.[57]중재 절차는 로즈 판사가 중재에 회부하기로 결정한 모든 문제에 대해 당사자들이 "촉진적 중재"(facilitative mediation영어)를 통해 합의에 이르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했다. 중재 과정에서 논의된 내용은 최종적으로 합의된 조건 외에는 기밀로 유지되었다.[57]
사건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로젠 판사는 8월 21일 자신을 보좌할 추가 중재인 5명을 임명했다. 로젠 판사는 이 사건의 중재가 "수천 건의 청구와 문제"를 다루는 기념비적인 작업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58] 추가로 임명된 중재인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주요 경력 및 특징 |
---|---|
빅토리아 A. 로버츠 (Victoria A. Roberts영어) | 미국 지방 판사 (디트로이트 출신), 미시간 대학교 법학 부교수 |
엘리자베스 페리스 (Elizabeth Perris영어) | 미국 파산 판사 (오리건주), 캘리포니아주 발레호, 스톡턴, 매머드 레이크스 챕터 9 파산 중재 경험 |
와일리 다니엘 (Wiley Young Daniel영어) | 선임 미국 지방 판사 (콜로라도주), 전 디트로이트 거주 |
데이비드 코어 (David Coar영어) | 전 미국 파산 및 지방 판사, 매머드 레이크스 챕터 9 등 대규모 파산 사건 개인 중재 경험 |
유진 드리커 (Eugene Driker영어) | 변호사 (디트로이트 출신), "미시간의 선도적인 중재인"으로 평가 |
이 중재 절차는 디트로이트 파산 사건의 여러 이해관계자들 사이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고 합의를 도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2월 3일 로즈 판사가 디트로이트의 챕터 9 파산 보호 자격을 인정하는 판결을 내리면서도, 그는 판결문에서 "법원은 당사자들이 합의된 계획을 목표로 협상을 시작하거나 이미 시작한 경우 계속 협상할 것을 강력히 권장한다"고 언급하며 중재를 통한 해결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73]
4. 3. 자격 심사
2013년 7월 19일, 미시간 잉햄 카운티 순회 법원 판사 로즈마리 아킬리나는 스나이더 주지사의 디트로이트 파산 신청이 연금 지급을 훼손하여 미시간 헌법을 위반했다고 판결하고, 신청 철회를 명령했다. 스나이더는 이 명령에 항소했으며, 아킬리나 판사는 판결 사본을 오바마 대통령에게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3] 미시간 헌법 제9조, 제24조는 주 또는 그 하위 단위가 연금 계획의 누적된 재정적 혜택을 불이행할 수 없다고 규정하지만,[45] 연방 파산법은 파산 판사가 파산한 지방 자치 단체의 연금을 재협상하도록 허용할 수 있어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46] 많은 이들은 기존 퇴직자의 공적 연금 혜택을 사실상 손댈 수 없는 것으로 여겼으며, 주 헌법의 보호와 부채 조정을 위한 파산 절차 간의 충돌은 이전의 챕터 9 파산 절차에서 완전히 시험된 적이 없었다.[47]
7월 22일, 아킬리나 판사는 퇴직자 기금의 오르와 스나이더에게 파산 신청 철회 및 연금 혜택 축소 시도 중단을 명령해달라는 요청에 대한 심리를 7월 29일로 연기했다. 이는 파산 법원이 의견을 제시할 시간을 벌어주었다.[48] 파산 법원 판사 스티븐 로즈는 7월 24일, 연방 파산 사건이 진행 중이므로 퇴직자들이 제기한 주 법원 소송을 중단해달라는 시의 요청에 대한 심리를 열었다. 로즈 판사는 시의 파산 신청 허가 여부에 대한 분쟁 해결 권한이 주 법원이 아닌 파산 법원에 있다고 밝혔다.[49]
7월 23일, 미시간 항소 법원은 아킬리나 판사의 파산 신청 철회 명령에 대한 주의 항소가 해결될 때까지 주 법원 소송 절차를 만장일치로 중단하라고 판결했다.[50] 같은 날, 로즈 판사는 파산 당사자들과 협력할 중재인을 임명할 의사를 밝혔고, 제럴드 로젠 미국 미시간 동부 지방 법원 수석 판사를 지명했다.[50]
7월 24일, 로즈 판사는 스나이더와 오르에 대한 주 법원 소송 중단 요청에 대한 심리를 열고 연방 차원의 중단을 허가했다. 또한 오르가 파산 사건에서 시를 대리할 유효한 권한을 가진 임원이라고 판결하며, 시 공무원, 퇴직자, 연금 기금이 제기한 3건의 주 법원 소송 중단을 명령했다. 로즈 판사는 모든 법적 다툼이 연방 파산 법원에서 이루어질 것임을 명확히 했지만, 시의 챕터 9 신청 자격 충족 여부나 미시간 헌법의 연금 보호 조항이 파산 사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6][51]
7월 27일, 미시간 법무 장관 빌 슈테는 미시간 헌법의 공적 연금 혜택 보호 조항을 옹호하기 위해 파산 사건에 참여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는 "국민의 변호사"로서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아직 연금 관련 조치가 계류 중이지는 않지만 문제가 발생할 경우 주 헌법을 옹호할 수 있도록 대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슈테 법무 장관실은 디트로이트의 재정 안정을 위해 공적 연금 삭감을 선호하는 스나이더 주지사도 대리하고 있어, 사무실 내 다른 변호사들이 이 상반된 입장을 각각 대리하게 되었다. 비상 관리자 오르의 대변인은 오르가 "법무 장관의 우려를 존중하며, 이는 연방 파산 판사가 적절히 결정할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다.[52]
8월 2일, 파산 법원은 사건 진행 상황 회의를 열고 초기 일정을 설정했다. 챕터 9 파산 자격에 대한 이의 제기 기한은 8월 19일, 관련 심리일은 10월 23일로 정해졌다. 시의 부채 조정 계획 제출 기한은 2014년 3월 1일로 설정되었다.[7] 법원은 또한 시 변호사 및 전문가 수수료를 검토할 수수료 조사관 임명을 명령하고,[53] 분쟁 해결을 위한 중재 절차 수립 명령 초안을 제시하며 로젠 판사를 중재인으로 제안했다.[54] 더불어 미국 신탁청에 시 퇴직 직원을 대표할 공식 위원회 임명을 명령했으며, 이 위원회의 전문 비용은 시가 부담하기로 동의했다. 이 비용 역시 수수료 조사관의 검토 대상이 된다.[55] 8월 19일, 로즈 판사는 시카고 로펌 소속 변호사 로버트 M. 피쉬만을 수수료 조사관으로 임명했다. 피쉬만 본인의 수수료는 시간당 600USD로 책정되었다.[56]
8월 13일, 로즈 판사는 여러 당사자의 의견을 수렴한 후 로젠 판사를 중재인으로 공식 임명했다. 중재 절차는 합의 조건 외에는 기밀로 유지된다.[57] 8월 21일, 로젠 판사는 사건의 방대함("수천 건의 청구와 문제")을 언급하며 자신을 도울 추가 중재인들을 임명했다. 추가 중재인으로는 빅토리아 A. 로버츠 미국 지방 판사(디트로이트 출신, 미시간 대학교 법학 부교수), 엘리자베스 페리스 미국 파산 판사(캘리포니아 챕터 9 파산 중재 경험), 와일리 다니엘 선임 미국 지방 판사(전 디트로이트 거주), 데이비드 코어 전 미국 파산 및 지방 판사(대규모 파산 중재 경험), 유진 드리커(디트로이트 출신, 미시간 주요 중재인)가 포함되었다.[58]
8월 19일까지 디트로이트의 챕터 9 자격에 대해 총 109건의 이의가 제기되었다.[59] 주요 이의 제기자로는 퇴직 시 공무원 협회, 디트로이트 경찰 및 소방관 퇴직자 협회,[60] UAW,[61] AFSCME,[62] 시의 일반 퇴직 시스템 및 경찰·소방 퇴직 시스템,[63] 디트로이트 소방관 협회 및 디트로이트 경찰관 협회 등이 있었다.[64] 수많은 개인들도 이의를 제기했다.[65] 빌 슈테 법무 장관은 디트로이트의 챕터 9 자격 자체에는 이의를 제기하지 않지만, 미시간 헌법이 확정된 연금 혜택의 훼손을 금지하는 점을 들어 파산 절차를 통해 연금 혜택을 줄일 수 있는 능력에는 계속 이의를 제기할 것이라는 성명을 제출했다.[66] 반면, 채권자 대표와 지방 자치 단체 채권 보험 회사들은 자격에 대한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이는 케빈 오르가 약 20억달러의 일반 채무 의무 채권을 무담보로 취급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내려진 결정이다. 조지 메이슨 대학교의 프랭크 섀프로스는 이러한 결정이 캘리포니아주 스톡턴 챕터 9 사건의 교훈을 반영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스톡턴 사건에서 채권자들은 자격 없음을 주장하며 수개월간 소송을 벌였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디트로이트 사건의 일부 채권자 변호사들은 파산 판사가 중재하는 것이 오르와 직접 협상하는 것보다 낫다고 판단했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67]
로즈 판사는 디트로이트의 파산 신청 권한 등 순수한 법적 문제에 대한 초기 논쟁을 10월 15~16일에 열도록 했고, 시가 채권자와 성실하게 협상했는지 등 사실 판단이 필요한 문제는 10월 23일 자격 심리 재판에서 다루기로 했다.[68][69]
12월 3일, 로즈 판사는 디트로이트 시가 파산 보호 신청 자격이 있다고 판결했다.[70] 판결에서 그는 디트로이트가 지급 불능 상태이며, 수천 명에 달하는 채권자들과 파산 전 조정 계획에 대해 실질적으로 협상하는 것이 불가능했다고 판단했다. 로즈 판사는 자격 심리 재판 증언을 토대로 시가 파산 신청 전 채권자들과 '성실하게' 협상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지적했지만, 그 많은 채권자와 협상하는 것이 '불가능'했다는 법정 대체 근거를 들어 챕터 9 자격을 인정했다.[71] 또한, 로즈 판사는 미시간 주 헌법이 연금 훼손을 보호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방 파산법에 따라 시가 퇴직자 연금을 잠재적으로 삭감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72]
로즈 판사는 판결 발표 후 143페이지 분량의 서면 판결 메모를 통해 판결 근거를 상세히 설명했다. 메모는 도시의 재정 상태, 자격에 대한 법적 기준 검토, 시가 충족한 기준, 주요 이의 제기에 대한 반박 등을 담고 있다. 판사는 메모 말미에 자격 판결은 초기 단계일 뿐이며, 최종 목표는 조정 계획 확인이므로 당사자들이 합의된 계획을 목표로 협상을 시작하거나 계속할 것을 강력히 권고한다고 덧붙였다.[73]
로즈 판사는 항소가 결정될 때까지 자격 판결의 효력을 정지시키는 것을 거부했으며, 항소를 일반적인 연방 지방 법원이 아닌 미국 제6순회 항소 법원으로 직접 진행하는 것을 허용할지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주 및 지방 자치 단체 연합 노조(AFSCME)는 즉시 판결에 항소했으며, 시 공무원 연금 기금도 항소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72][74] 미국 교원 연맹(American Federation of Teachers)의 전국 회장인 랜디 와인가튼에 따르면 디트로이트 교원 노조도 항소할 예정이었다.[75] 2013년 12월 16일, 로즈 판사는 AFSCME와 연금 기금의 신청을 받아들여 제6순회 법원에 직접 항소하는 것을 허가했다. 이는 챕터 9 자격 판결과 기득권이 있는 공무원 연금 혜택을 시가 챕터 9 계획을 통해 손상시킬 수 있다는 판결 모두에 대한 항소를 포함한다.[76]
5. 그랜드 바겐
디트로이트 파산 소송 과정에서 핵심적인 해결책으로 등장한 것이 바로 '그랜드 바겐'(Grand Bargain) 계획이다. 이 계획은 파산 절차의 장기화를 우려한 미시간 주 동부 지방 법원의 수석 판사이자 중재 책임자였던 제럴드 로젠(Gerald Rosen) 판사가 2013년 11월 처음 제안했다.[81]
그랜드 바겐의 주요 목표는 두 가지였다. 첫째는 시 재정난으로 매각 위기에 처했던 디트로이트 미술관(Detroit Institute of Arts, DIA)의 귀중한 미술품 컬렉션을 보호하는 것이고, 둘째는 시 퇴직자들의 연금 삭감 폭을 최소화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로젠 판사는 포드 재단, 크레스지 재단, 나이트 재단, 모트 재단 등 주요 민간 재단과 미시간 주 정부, DIA 자체의 참여를 이끌어내 향후 20년간 총 8.16억달러 규모의 기금을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했다.[81]
이 기금은 부족한 연금 재원을 충당하는 데 사용되어, 당초 5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퇴직자 연금 삭감률을 4.5% 수준으로 크게 낮추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그랜드 바겐의 일환으로 DIA는 시 소유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비영리 민간 기관으로 전환되어, 66,000여 점에 달하는 컬렉션을 영구히 보존할 수 있게 되었다.[81][88]
여러 채권자 및 이해관계자와의 복잡한 협상과 합의 과정을 거쳐[85][86][87], 2014년 11월 7일 로즈 판사는 디트로이트 시의 최종 회생 계획안을 승인했다. 로즈 판사는 이 계획을 승인하면서 "우리는 시의 연금 문제를 해결할 일련의 협정을 설명하기 위해 '그랜드 바겐'이라는 문구를 사용했다. 이 설명은 완전히 적절하다"고 평가하며, 이 합의가 "디트로이트 시민들에게 민주주의를 회복"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81] 그 결과 디트로이트는 파산 신청 17개월 만인 2014년 12월 11일, 파산 상태에서 벗어나 재정 관리권을 회복할 수 있었다.[88][89]
5. 1. 타협안 모색
디트로이트 파산 소송 과정에서 시의 자산 중 디트로이트 미술관(Detroit Institute of Arts, DIA) 소장품 처리 문제가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DIA는 66,000여 점의 귀중한 작품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시 예산으로 구입한 것은 전체의 5%에 불과했다. 로즈 판사는 나머지 95%의 작품을 매각하여 채권자들의 요구, 특히 퇴직자들의 연금 지급에 사용해야 할지를 결정해야 했다.[81]파산 절차가 장기화될 것을 우려한 제럴드 로젠 수석 판사(미시간 동부 지방 법원)와 로즈 판사는 조속한 해결을 모색했다. 2013년 11월 5일, 로젠 판사는 포드 재단, 크레스지 재단, 나이트 재단, 모트 재단 등 주요 재단 대표들과 만나 '그랜드 바겐(Grand Bargain)'으로 알려지게 될 타협안을 제시했다. 이 계획은 향후 20년간 재단, 개인 기부자, DIA, 주 정부로부터 8억달러 이상을 지원받아 부족한 연금 기금을 충당하고, DIA의 예술품 매각을 막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를 통해 DIA는 시 소유에서 벗어나 민간 비영리 단체로 전환되어 영구히 소장품을 보호받게 될 예정이었다.[81] 포드 재단의 대런 워커 회장은 기부 이유에 대해 "훌륭한 도시 없이는 훌륭한 국가도 없다"며 디트로이트의 재기와 혁신 가능성을 강조했다. 재단들은 총 3.66억달러를 20년에 걸쳐 기부하기로 약속했다.[81]
한편, 시와 뱅크 오브 아메리카 메릴린치, UBS 간에 협상되었던 2.3억달러 규모의 합의안은 12월 22일 로젠 판사에 의해 거부되었다. 이는 시가 전임 시장 콰메 킬패트릭 시절 투자로 인해 은행에 빚진 2.9억달러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다. 로젠 판사가 중재한 1.85억달러 합의안은 로즈 판사에 의해 "너무 높은 가격"이라는 이유로 거부되었고, 이후 케빈 오어 비상 관리인이 은행들을 고소하겠다고 위협한 끝에 최종적으로 8500만달러에 합의했다. 2014년 1월에는 시 채권 보험사들과도 채무액의 74%를 변제하는 조건으로 합의에 이르렀다.
DIA는 당초 그랜드 바겐에 5000만달러 기여를 제안했으나, 주 의회 설득을 위해 최종적으로 1억달러를 기부하기로 했다.
2014년 5월, 미시간 주 정부가 3.5억달러를 지원(이 중 1.9480000000000002억달러는 일시금 지급)하는 법안이 주의회에 제출되었다. 이 법안에는 연금 수급자들이 타협안을 수용할 경우 주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는 조항이 포함되었다. 공화당이 다수인 주의회는 노조의 재정적 기여와 뉴욕주 재정 통제 위원회를 모델로 한 재정 검토 위원회 설치를 조건으로 내걸었다. 노조가 기여에 동의하자, 5월 22일 미시간 하원에서 초당적 지지로 법안이 통과되었고[82], 6월 3일 상원에서도 가결되었다. 스나이더 주지사는 이를 디트로이트의 전환점으로 평가했으며,[82] 현지 언론들도 긍정적으로 보도했다.[83][84] 최종적으로 그랜드 바겐은 다양한 주체들의 기여를 통해 총 8.16억달러 규모로 확정되었다.
초기 협상에서 50% 삭감 위기에 놓였던 시 퇴직자 연금은 그랜드 바겐을 통해 삭감률이 4.5%로 크게 줄었다(단, 생활비 인상분은 동결). 2014년 봄과 여름에 걸쳐 퇴직자 3분의 2 이상이 이 안에 찬성했다.
9월 10일, 디트로이트는 인근 3개 카운티(오클랜드, 웨인, 매콤)와 지역 상하수도 서비스 관련 합의에 도달하여 그레이트 레이크스 수자원 당국(Great Lakes Water Authority)을 신설했다. 이 합의는 시의 부채 조정 계획 승인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85] 같은 달, 채권 보험사 싱코라와는 4억달러 규모의 채무에 대해 현금 및 채권 2500만달러 지급, 디트로이트-윈저 터널 운영권(공공-민간 파트너십, P3) 20년 연장, 그랜드 서커스 공원 주차장 30년 임대 연장 등으로 합의했다.[86] 10월 16일에는 또 다른 채권 보험사 파이낸셜 개런티 보험 회사(FGIC)와 10억달러 채무 관련 합의가 이루어졌다. 시와 주 정부가 조 루이스 아레나 철거 비용을 부담하는 대신, FGIC는 해당 부지와 인근 주차장(약 3.6ha)을 확보하여 재개발 기회를 얻게 되었다.[87]
2014년 11월 7일, 로즈 판사는 파산 신청 17개월 만에 시의 최종 조정 계획을 승인했다. 이는 다른 도시 파산 사례에 비해 매우 빠른 속도였다. 로즈 판사는 청문회에서 "'그랜드 바겐'이라는 표현은 시의 연금 문제를 해결한 일련의 합의를 설명하기에 전적으로 적절하다"며, 이것이 디트로이트 시민들에게 민주주의를 회복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81]
2014년 12월 10일, DIA의 소유권은 비영리 단체인 DIA, Inc.로 이전되었고, 다음 날인 11일 디트로이트는 파산 보호 상태에서 벗어나 시 재정 통제권을 회복했다. 다만, 향후 3년간 디트로이트 재정 검토 위원회의 감독을 받게 되었다.[88][89]
5. 2. 기금 조성
디트로이트 파산 소송의 주요 쟁점 중 하나는 시 소유 자산, 특히 디트로이트 미술관(Detroit Institute of Arts, DIA)의 방대한 미술품 컬렉션 처리 문제였다. 66,000여 점에 달하는 컬렉션 중 시 예산으로 구입한 것은 5%에 불과했지만, 나머지 95%를 매각하여 채권자, 특히 연금 수급자들의 요구를 충족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81]파산 절차의 장기화를 우려한 미시간 주 동부 지방 법원의 수석 판사이자 중재자인 제럴드 로젠(Gerald Rosen)은 2013년 11월 5일, 포드 재단(Ford Foundation), 크레스지 재단(Kresge Foundation), 나이트 재단(Knight Foundation), 모트 재단(Mott Foundation) 등 미국 주요 재단 대표들과 만나 해결책을 모색했다. 이 자리에서 로젠은 '그랜드 바겐'(Grand Bargain)으로 알려지게 될 계획을 제시했다. 이 계획은 향후 20년간 재단, 개인 기부자, DIA, 주 정부로부터 8억달러 이상을 모금하여 부족한 연금 기금을 보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를 통해 DIA는 미술품 매각 위기에서 벗어나고, 시 소유에서 분리된 민간 단체로 전환되어 컬렉션을 영구히 보존할 수 있게 되는 것이었다.[81]
포드 재단의 회장 대런 워커는 기부 이유에 대해 "훌륭한 도시가 없으면 훌륭한 국가도 없을 것"이라며 "디트로이트는 미국, 미국의 도전과 기회를 비유하는 것"이고 "새로운 혁신, 창의성, 위험 감수를 위한 온실"이라고 설명하며 도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주요 재단들은 총 3.66억달러를 20년에 걸쳐 기부하기로 약속했으며, 이 기금은 비영리 단체인 '디트로이트 미래 재단'(Foundation for Detroit's Future)이 수탁자로서 관리하게 되었다.[81]
디트로이트 미술관(DIA)는 당초 5000만달러 기부를 제안했으나, 시와 주지사 등 계획 추진 주체들은 미시간 주 의회의 지지를 얻기에는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최종적으로 DIA는 1억달러를 기부하기로 합의했다.
미시간 주 정부 역시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14년 5월, 주 정부가 총 3.5억달러를 지원하는 법안이 발의되었고, 여기에는 디트로이트 퇴직 시스템에 대한 1.9480000000000002억달러의 일시불 지급이 포함되었다. 이 법안 통과를 위해 공화당 다수 의회는 노조의 기여와 뉴욕주 재정 통제 위원회를 모델로 한 재정 검토 위원회 설치 등을 조건으로 내걸었다. 노조가 합의금 기부에 동의하면서 법안은 5월 22일 하원을, 6월 3일 상원을 초당적인 지지 속에 통과했다.[82] 릭 스나이더 주지사는 이 법안을 디트로이트의 방향을 바꿀 기회라고 평가했다.[82][83][84]
결과적으로 로젠 판사의 '그랜드 바겐' 계획은 다양한 기관과 개인들의 참여를 통해 총 8.16억달러의 기금을 성공적으로 조성했다. 이 기금 덕분에 당초 50%에 달할 것으로 우려되었던 시 퇴직자들의 연금 삭감률은 4.5%로 크게 줄어들었다(단, 생활비 인상은 동결되었다). 2014년 봄과 여름 동안 디트로이트 퇴직자의 3분의 2 이상이 투표를 통해 이 계획을 수용했다. 2014년 12월 10일, DIA의 소유권은 비영리 단체인 DIA, Inc.로 이전되어 컬렉션은 보존될 수 있었다.[88]
5. 3. 합의 도출
디트로이트 파산 소송의 주요 쟁점 중 하나는 시 소유 자산 중 어떤 것을 채권자 변제에 사용할 수 있는지였다. 특히 66,000점의 귀중한 컬렉션을 보유한 디트로이트 미술관(Detroit Institute of Arts, DIA)의 운명이 주목받았다. 컬렉션 중 시 예산으로 구입한 것은 5%에 불과했기에, 로즈 판사는 나머지 95%를 매각하여 채권자, 특히 퇴직자 연금 지급에 사용할 수 있는지 결정해야 했다.[81]파산 절차가 장기화될 것을 우려한 미시간주 동부 연방지방법원 수석 판사이자 중재 책임자인 제럴드 로젠(Gerald Rosen)과 로즈 판사는 신속한 해결을 모색했다. 2013년 11월 5일, 로젠 판사는 포드 재단(Ford Foundation), 크레스지 재단(Kresge Foundation), 나이트 재단(Knight Foundation), 모트 재단(Mott Foundation) 등 미국 주요 재단 대표들과 만나 '그랜드 바겐'(Grand Bargain)으로 알려지게 될 계획을 제안했다. 이 계획은 재단, 개인 기부자, DIA, 주 정부가 향후 20년간 8억달러 이상을 지원하여 부족한 연금 기금을 보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를 통해 DIA는 미술품 매각을 피하고 민간 기관으로 전환되어 영구히 컬렉션을 보호받게 되었다.[81]
포드 재단의 대런 워커 회장은 기부 이유에 대해 "훌륭한 도시 없이는 훌륭한 국가도 없다"며, 디트로이트가 미국의 도전과 기회를 상징하고 혁신과 창의성의 온실이기에 지원한다고 밝혔다. 재단들은 총 3.66억달러를 20년에 걸쳐 디트로이트 미래 재단(Foundation for Detroit's Future)에 기부하기로 약속했다.[81]
한편, 시와 채권자 간의 합의는 난항을 겪었다. 2013년 12월 22일, 로젠 판사는 시와 뱅크 오브 아메리카 메릴린치(Bank of America Merrill Lynch), UBS 간의 2.3억달러 규모 합의를 거부했다. 이는 전 시장 콰메 킬패트릭 시절의 투자로 인해 시가 은행에 진 2.9억달러의 빚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다. 시와 은행은 24일 로젠 판사의 중재로 1.85억달러에 합의했으나, 로즈 판사는 3주 후 "너무 높은 가격"이라며 이마저도 거부했다. 결국 시 정부 비상관리인 케빈 오어가 은행들을 고소하겠다고 압박한 끝에 8500만달러에 최종 합의했다. 2014년 1월까지 시는 주요 반대 세력이었던 채권 보험사 세 곳과도 일반 채무 채권 3.88억달러의 74%를 지급하기로 합의했다.
DIA는 그랜드 바겐에 처음 5000만달러를 제안했지만, 주 의회 설득에는 부족하다는 판단에 따라 최종적으로 1억달러를 기부하기로 했다.
2014년 5월, 미시간 주 정부는 그랜드 바겐의 일환으로 3.5억달러 지원을 약속하며, 디트로이트 퇴직 시스템에 1.9480000000000002억달러를 일시불로 지급하는 법안을 제출했다. 이 법안에는 퇴직자들이 합의를 수락할 경우 주 정부를 상대로 연금 삭감 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는 조항이 포함되었다. 공화당이 다수인 주 의회의 지지를 얻기 위해, 일부 공화당 의원들은 노조의 재정적 기여와 뉴욕주 재정 통제 위원회를 모델로 한 재정 검토 위원회 설치를 요구했다. 노조가 기부에 동의하자, 미시간 하원은 5월 22일 초당적인 지지로 법안을 통과시켰고,[82] 릭 스나이더 주지사는 이를 디트로이트의 전환점으로 평가했다.[82] 주 상원도 6월 3일 법안을 통과시켰다. 언론들은 이 입법 패키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83][84] 로젠 판사의 계획은 최종적으로 여러 기관으로부터 총 8.16억달러를 모아 그랜드 바겐을 성공시켰다.
초기 협상에서 50% 삭감 위협까지 받았던 시 퇴직자들의 연금은 그랜드 바겐 덕분에 삭감률이 4.5%로 크게 줄었으며, 생활비 인상은 동결되었다. 2014년 봄과 여름, 디트로이트 퇴직자의 3분의 2 이상이 이 안에 찬성표를 던졌다.
2014년 9월 10일, 디트로이트는 오클랜드, 웨인, 매콤 카운티와 지역 수자원 및 하수도 서비스에 대한 합의에 도달했다. 이 합의로 새로운 지역 수자원 당국인 그레이트 레이크스 수자원 당국(Great Lakes Water Authority)이 설립되었지만, 디트로이트는 자체 시스템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했다. 이는 시의 180억달러 부채 조정 및 파산 탈출에 중요한 걸림돌을 제거하는 계기가 되었다.[85]
시는 계속해서 다른 채권자들과도 합의를 이끌어냈다. 9월에는 채권 보험사 싱코라(Syncora)와 4억달러 청구에 대해 합의했다. 싱코라는 현금 및 채권 2500만달러, 디트로이트-윈저 터널의 공공-민간 파트너십(P3) 운영 20년 연장, 그랜드 서커스 공원 지하 주차장 30년 임대 연장을 받게 되었다.[86]
10월 16일에는 10억달러를 청구한 채권 보험사 파이낸셜 개런티 보험 회사(FGIC)와 합의했다. 시와 주는 디트로이트 레드윙스가 새 경기장으로 이전한 후 시 소유의 조 루이스 아레나 철거 비용을 부담하고, FGIC는 철거 후 경기장 부지와 인접 주차장(약 3.6ha)을 받아 재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87]
2014년 11월 7일, 로즈 판사는 시의 파산 신청 17개월 만에 조정 계획을 최종 승인했다. 이는 다른 도시 파산 사례에 비해 매우 신속한 처리였다. 로즈 판사는 "우리는 시의 연금 문제를 해결할 일련의 협정을 설명하기 위해 '그랜드 바겐'이라는 문구를 사용했다. [...] 이제 디트로이트 시민들에게 민주주의를 회복할 때"라고 말했다.[81]
2014년 12월 10일, DIA의 소유권은 비영리 단체인 DIA Inc.로 이전되었다. 다음 날인 12월 11일, 디트로이트는 공식적으로 파산 보호에서 벗어나 시 재정에 대한 통제권을 회복했다. 다만, 향후 3년간 디트로이트 재정 검토 위원회의 감독을 받게 되었다.[88][89]
6. 파산 이후 디트로이트
디트로이트는 파산 절차를 마무리하고 도시 재건을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 주로 도심 지역을 중심으로 개발이 진행되었지만, 도시 전반에 걸쳐 재정 문제, 주택 문제, 실업 등 여러 과제가 여전히 남아 있으며,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외부 요인도 영향을 미쳤다.
6. 1. 도시 재건 노력
2013년 파산 신청 이후 수년간의 협상을 거쳐, 디트로이트 시는 다운타운, 미드타운, 강변, 코크타운, 뉴 센터 등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민간 투자를 유치하고 개발을 진행했다.[90] 이러한 개발 프로젝트 다수는 시로부터 정부 보조금이나 세금 감면 혜택을 받았다.[91]그러나 개발이 진행되는 중에도 디트로이트는 여전히 재정 문제와 함께 주택 압류 및 실업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개발이 집중된 도심 약 18.65km2 지역 외곽에서 이러한 문제가 더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91] 파산 이후에도 주택 압류는 계속되었고, 2015년에는 세금 체납률이 30%에 달하기도 했다.[21] 오래된 도시 기반 시설, 낮은 세수, 도시 전역에 흩어져 사는 적은 인구 때문에 시 서비스 제공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21] 하지만 디트로이트가 파산 상태에서 벗어난 지는 10년이 채 되지 않았으며, 이러한 문제 중 상당수는 파산 이전부터 존재했던 것들이다. 2018년 포브스 기사에서는 "디트로이트는 아직 부활의 완전한 경제적 영향을 목격하지 못했다"고 지적하며, 완전한 재건까지 5년에서 10년이 더 걸릴 것으로 예측했다.[90]
한편, 코로나19 팬데믹은 또 다른 어려움을 가져왔다. 카지노 수입 감소와 실업률 증가로 인해 시 예산은 다시 적자를 기록했다.[92] 마이크 더건 시장은 시 공무원 해고, 근무 시간 및 임금 삭감과 더불어, 도시 곳곳의 황폐하고 빈 건물을 철거하는 데 사용되던 예산을 삭감했다. 이는 시 재정에 대한 주 정부의 추가적인 개입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92]
6. 2. 여전한 과제
2013년 파산 신청 이후 디트로이트 시는 다운타운, 미드타운, 강변, 코크타운, 뉴 센터 등 주요 지역에서 민간 투자를 유치하고 개발을 진행했다.[90] 이러한 개발 프로젝트 상당수는 시로부터 정부 보조금이나 세금 감면 혜택을 받았다.[91]그러나 개발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디트로이트는 여전히 재정 문제와 함께 지속적인 주택 압류 및 실업 문제에 직면해 있다. 특히 개발이 집중된 도심 18.6km2 외곽 지역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91] 파산 이후에도 주택 압류는 계속되었고, 2015년에는 세금 체납률이 30%에 달했다.[21] 오래된 기반 시설, 낮은 세수, 도시 전역에 흩어져 사는 적은 인구 때문에 시 서비스 제공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21] 디트로이트가 파산에서 벗어난 지 10년이 채 되지 않았으며, 이러한 문제의 상당수는 파산 이전부터 존재했던 것들이다. 2018년 포브스 기사에서는 "디트로이트는 아직 부활의 완전한 경제적 영향을 목격하지 못했다"고 지적하며, 재건에 5년에서 10년이 더 걸릴 것으로 예측했다.[90]
게다가 코로나19 팬데믹은 또 다른 어려움을 안겨주었다. 카지노 수입 감소와 실업률 증가로 인해 시는 다시 예산 적자에 직면하게 되었다.[92] 마이크 더건 시장은 시 공무원 해고, 근무 시간 및 임금 삭감 등의 조치를 취했으며, 시 재정에 대한 주 정부의 추가 개입 기준인 5% 예산 적자 임계치에 도달하는 것을 막기 위해 도시 곳곳의 황폐하고 빈 건물을 철거하는 데 사용되던 자금 지원까지 삭감해야 했다.[92]
참조
[1]
뉴스
Billions in Debt, Detroit Tumbles Into Insolvency
https://www.nytimes.[...]
2013-07-18
[2]
뉴스
White House not offering Detroit help to avoid bankruptcy
http://www.detroitne[...]
2013-07-19
[3]
뉴스
Judge rules Detroit Chapter 9 bankruptcy filing unconstitutional
http://www.wxyz.com/[...]
WXYZ-TV
2013-07-19
[4]
뉴스
Michigan AG challenges judge's ruling that Detroit bankruptcy is unconstitutional
http://www.freep.com[...]
2013-07-19
[5]
뉴스
Michigan Appeals Court halts challenges to Detroit's bankruptcy filing
https://www.cnbc.com[...]
CNBC
2013-07-23
[6]
뉴스
U.S. judge halts challenges to Detroit's bankruptcy bid
https://www.reuters.[...]
2013-07-24
[7]
웹사이트
First Order Establishing Dates and Deadlines
http://www.mieb.usco[...]
U.S. Bankruptcy Court for the Eastern District of Michigan
2013-08-02
[8]
뉴스
In largest-ever U.S. city bankruptcy, cuts coming for Detroit creditors, retirees
https://www.reuters.[...]
2013-12-03
[9]
뉴스
Michigan Gov. Snyder Pledges to Sign Detroit Package
https://www.wsj.com/[...]
Wall Street Journal
2014-06-03
[10]
뉴스
Judge OKs bankruptcy plan; a 'miraculous' outcome
http://www.freep.com[...]
2014-11-07
[11]
뉴스
Judge Approves Detroit's Bankruptcy-Exit Plan
https://www.wsj.com/[...]
2014-11-07
[12]
뉴스
Detroit Exits Bankruptcy, Thanks to Its Art Museum
http://www.slate.com[...]
2014-11-07
[13]
뉴스
Michigan Gov. Rick Snyder takes over Detroit's finances amid financial emergency
http://www.ctvnews.c[...]
CTV News
2013-02-20
[14]
뉴스
Detroit Financial Review Team, Including State Treasurer Andy Dillon, Chosen By Gov. Rick Snyder
https://www.huffingt[...]
Huffington Post
2012-12-18
[15]
간행물
Snyder confirms financial emergency in Detroit, turnaround expert Kevyn Orr appointed EFM
http://www.michigan.[...]
Office of the Governor
2013-03-14
[16]
뉴스
Detroit files largest municipal bankruptcy in U.S. history
https://www.washingt[...]
2013-07-18
[17]
뉴스
Financial manager: Detroit 'dysfunctional, wasteful'
https://www.usatoday[...]
2013-05-13
[18]
뉴스
Detroit 'clearly insolvent', says emergency manager
https://www.bbc.co.u[...]
2013-05-13
[19]
뉴스
Report by emergency manager says Detroit's finances are crumbling, future is bleak
https://www.foxnews.[...]
Fox News
2013-05-13
[20]
웹사이트
The Detroit Bankruptcy
https://www.demos.or[...]
2013-11-01
[21]
웹사이트
Detroit and the Property Tax: Strategies to Improve Equity and Enhance Revenue
https://www.lincolni[...]
2015-01-01
[22]
서적
The Origins of The Urban Crisis: Race and Inequality in Postwar Detroi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
뉴스
Detroit pension funds sue to block potential bankruptcy
http://www.detroitne[...]
2013-07-17
[24]
뉴스
In Despair, Detroit Files for Bankruptcy
http://www.expressni[...]
2013-07-19
[25]
웹사이트
City of Detroit Bankruptcy Filing
http://www.mieb.usco[...]
Eastern District of Michigan U.S. Bankruptcy Court
2013-07-18
[26]
뉴스
Detroit files for bankruptcy protection
https://www.usatoday[...]
2013-07-18
[27]
뉴스
Detroit's Bankruptcy Follows Decades of Decay
http://detroit.cbslo[...]
WWJ-TV
2013-07-19
[28]
웹사이트
Half of Detroit property owners don't pay taxes
http://www.detroitne[...]
Detroit News
2013-02-21
[29]
뉴스
Detroit's bankruptcy follows decades of decay
http://seattletimes.[...]
2013-07-18
[30]
뉴스
How Detroit went broke: The answers may surprise you - and don't blame Coleman Young
http://www.freep.com[...]
2013-09-15
[31]
뉴스
Nebraska, Not California, is King of Municipal Collapse
http://about.bloombe[...]
2012-07-16
[32]
뉴스
Detroit's workers and retirees face big cuts
https://money.cnn.co[...]
CNN
2013-02-27
[33]
뉴스
Detroit bankruptcy filing marks new low for Motor City
https://www.chicagot[...]
2013-07-18
[34]
웹사이트
In Detroit's ruin, law firms see land of new opportunity
https://www.chicagot[...]
Reuters and Chicago Tribune
2013-07-21
[35]
뉴스
Windsor mayor: We would consider buying tunnel to Canada if it's sold in bankruptcy
http://www.freep.com[...]
2013-07-19
[36]
뉴스
Detroit files for bankruptcy, stage set for court fight
https://www.reuters.[...]
2013-07-18
[37]
뉴스
Moody's: Detroit bankruptcy filing credit negative
https://www.reuters.[...]
2013-07-18
[38]
뉴스
Detroit union leaders call bankruptcy filing premature, say they were trying to negotiate
http://www.freep.com[...]
2013-03-07
[39]
뉴스
Rand Paul: Obama Will Bail Out Detroit 'Over My Dead Body'
https://www.huffingt[...]
2013-07-20
[40]
뉴스
Gov. Rick Snyder: Government bailout is the wrong answer for Detroit
https://www.cbsnews.[...]
2013-07-21
[41]
뉴스
Detroit Case Scrutinized by $900 Million G.O. Market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3-07-19
[42]
뉴스
Woes of Detroit Hurt Borrowing by Its Neighbors
https://dealbook.nyt[...]
2013-08-08
[43]
뉴스
Detroit's Bankruptcy Doesn't Faze the Municipal Bond Market
http://www.businessw[...]
2013-08-08
[44]
뉴스
New $444 million hockey arena is still a go in Detroit
https://money.cnn.co[...]
CNN
2013-07-26
[45]
서적
Constitution of Michigan of 1963
http://www.legislatu[...]
State of Michigan
2010-12
[46]
뉴스
Confusion in Detroit as judge challenges legality of bankruptcy
https://www.foxnews.[...]
Fox News
2013-07-19
[47]
웹사이트
An Overview of Chapter 9 of the Bankruptcy Code: Municipal Debt Adjustments
http://www.jonesday.[...]
Jones Day
2010-08
[48]
뉴스
Judge delays hearing on Detroit bankruptcy, pensions
http://www.freep.com[...]
2013-07-22
[49]
뉴스
Federal judge to consider pension funds' lawsuit Wednesday in first Detroit bankruptcy hearing
http://www.freep.com[...]
2013-07-22
[50]
뉴스
Ingham County judge loses another round in her bid to halt Detroit's bankruptcy case
http://www.freep.com[...]
2013-07-23
[51]
뉴스
Judge: Bankruptcy court can decide whether pension systems, retiree suits can proceed
http://www.freep.com[...]
2013-07-24
[52]
뉴스
Michigan AG to defend public pensions, state constitution in Detroit bankruptcy filing
http://www.freep.com[...]
2013-07-27
[53]
웹사이트
Order Regarding Comment Period on Fee Examiner Appointment
http://www.mieb.usco[...]
U.S. Bankruptcy Court for the Eastern District of Michigan
2013-08-02
[54]
웹사이트
Order Regarding Comment Period on Revised Mediation Order
http://www.mieb.usco[...]
U.S. Bankruptcy Court for the Eastern District of Michigan
2013-08-02
[55]
웹사이트
Order, Pursuant to Section 1102(a(2) of the Bankruptcy Code Directing the Appointment of a Committee of Retired Employees
http://www.mieb.usco[...]
U.S. Bankruptcy Court for the Eastern District of Michigan
2013-08-02
[56]
뉴스
Judge appoints $600-an-hour attorney to keep tabs on Detroit bankruptcy legal fees
http://www.freep.com[...]
2013-08-19
[57]
뉴스
Detroit Judge Rosen Named Mediator in City's Bankruptcy
http://www.businessw[...]
2013-08-13
[58]
뉴스
Rosen selects team of mediators for Detroit bankruptcy case
http://www.freep.com[...]
2013-08-20
[59]
웹사이트
Order Regarding Eligibility Objections Notices of Hearings And Certifications Pursuant to 28 U.S.c. § 2403(a) & (b)
http://www.mieb.usco[...]
U.S. Bankruptcy Court for the Eastern District of Michigan
2013-08-26
[60]
웹사이트
Consolidated Objection of the Retirees Association Parties to Eligibility
http://www.mieb.usco[...]
U.S. Bankruptcy Court for the Eastern District of Michigan
2013-08-19
[61]
웹사이트
Objection of International Union, UAW to the City of Detroit, Michigan's Eligibility for an Order for Relief Under Chapter 9 of the Bankruptcy Code
http://www.mieb.usco[...]
U.S. Bankruptcy Court for the Eastern District of Michigan
2013-08-19
[62]
웹사이트
The Michigan Council 25 of the American Federation of State, County & Municipal Employees, AFL-CIO and Sub-Chapter 98, City of Detroit Retirees' Objection to the City of Detroit's Eligibility to Obtain Relief Under Chapter 9 of the Bankruptcy Code
http://www.mieb.usco[...]
U.S. Bankruptcy Court for the Eastern District of Michigan
2013-08-19
[63]
웹사이트
Objection of the Detroit Retirement Systems to the Eligibility of the City of Detroit, Michigan to be a Debtor Under Chapter 9 of the Bankruptcy Code
http://www.mieb.usco[...]
U.S. Bankruptcy Court for the Eastern District of Michigan
2013-08-19
[64]
웹사이트
Objection of the Detroit Fire Fighters Association, the Detroit Police Officers Association, the Detroit Police Lieutenants & Sergeants Association and the Detroit Police Command Officers Association to Debtor's Bankruptcy Petition and Statement of Qualifications Under 11 U.S.C. Section 109(c)
http://www.mieb.usco[...]
U.S. Bankruptcy Court for the Eastern District of Michigan
2013-08-19
[65]
뉴스
Creditors file objections to Detroit's bankruptcy
https://www.usatoday[...]
2013-08-19
[66]
웹사이트
Attorney General Bill Schuette's Statement Regarding the Michigan Constitution and the Bankruptcy of the City of Detroit
http://www.mieb.usco[...]
U.S. Bankruptcy Court for the Eastern District of Michigan
2013-08-19
[67]
뉴스
No Challenge to Detroit's Eligibility from Bond Insurers, Investors
http://www.bondbuyer[...]
2013-08-20
[68]
뉴스
Judge speeds hearing on Detroit bankruptcy eligibility
https://www.reuters.[...]
2013-08-27
[69]
웹사이트
First Amended Order Regarding Eligibility Objections Notices of Hearings and Certifications Pursuant to 28 U.S.C. § 2403(a) & (b)
http://www.mieb.usco[...]
U.S. Bankruptcy Court for the Eastern District of Michigan
2013-09-12
[70]
뉴스
Ruling Makes Detroit Biggest City to Qualify for Bankruptcy
https://www.nytimes.[...]
2013-12-03
[71]
뉴스
'[http://www.finances.com/news/politics/2306-judge-rhodes-grants-detroit-chapter-9-protection.htm]'
Finances.com
2013
[72]
뉴스
In largest-ever U.S. city bankruptcy, cuts coming for Detroit creditors, retirees
https://www.reuters.[...]
2013-12-03
[73]
웹사이트
Opinion Regarding Eligibility
http://www.mieb.usco[...]
U.S. Bankruptcy Court for the Eastern District of Michigan
2013-12-05
[74]
뉴스
Blog replay: Judge rules Detroit is eligible for bankruptcy
http://live.freep.co[...]
2013-12-03
[75]
뉴스
Teachers' Union Vows Appeal of Detroit Bankruptcy Ruling
https://blogs.wsj.co[...]
2013-12-04
[76]
뉴스
Detroit bankruptcy judge allows appeal of eligibility, pension rulings
http://www.freep.com[...]
2013-12-17
[77]
뉴스
Detroit has paid $23 million to consultants through October 1
https://www.reuters.[...]
2013-11-20
[78]
웹사이트
Bankruptcy lawyer billed Detroit $34K for Florida travel
http://www.detroitne[...]
[79]
웹사이트
Detroit bankruptcy fees top $170M
http://www.detroitne[...]
[80]
뉴스
Plan to Exit Bankruptcy is Approved for Detroit
https://www.nytimes.[...]
2014-11-07
[81]
뉴스
How Detroit was Reborn
https://www.freep.co[...]
2014-11-09
[82]
뉴스
Detroit's 'grand bargain' advances in Michigan Legislature
http://www.detroitne[...]
The Detroit News
2014-05-22
[83]
뉴스
Editorial: Detroit's 'grand bargain' a grand piece of work
http://www.detroitne[...]
The Detroit News
2014-06-05
[84]
뉴스
Editorial: OK of Detroit bankruptcy deal shows Michigan lawmakers get it
http://www.freep.com[...]
Detroit Free Press
2014-06-04
[85]
뉴스
Detroit, counties reach deal over water, sewer authority
https://www.reuters.[...]
[86]
뉴스
Terms of Detroit's settlements with FGIC, Syncora
http://www.freep.com[...]
2014-10-17
[87]
뉴스
Red Wings arena to be demolished
https://www.espn.com[...]
2014-10-16
[88]
뉴스
City financial review commission starts work
http://www.detroitne[...]
2014-11-12
[89]
웹사이트
City of Detroit Financial Review Commission
http://www.michigan.[...]
[90]
뉴스
Detroit, Five Years After Bankruptcy
https://www.forbes.c[...]
2018-07-19
[91]
서적
How to Kill a City: Gentrification, Inequality, and the Fight for the Neighborhood.
Bold Type Books
[92]
뉴스
Seven Years After Bankruptcy, Detroit Faces a New Crisis
https://www.bloomber[...]
2020-04-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