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플로미스테스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플로미스테스과는 메기목에 속하는 어류 과로, 디플로미스테스속과 올리타이크티스속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상악에 이빨이 있고 상악 수염을 가지며, 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에 가시가 있는 특징을 보인다. 디플로미스테스과는 전통적으로 다른 메기의 기저 그룹으로 여겨졌으나, 분자적 분석 결과는 실루로이데이의 자매군으로 분류한다. 이 과는 칠레의 저서성 하천에서 주로 발견되며, 환형동물, 연체동물, 절지동물을 섭취한다. 서식지 악화와 외래종의 위협으로 인해 보존 상태가 우려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디플로미스테스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Diplomystes nahuelbutaensis''
Diplomystes nahuelbutaensis
학명Diplomystidae
명명자C. H. 아이겐만, 1890
상위 분류군 권위자Grande, 1987
Diplomystes
Olivaichthys
학술 분류
과학적 분류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조기어강
목: 메기목
과: 디플로미스테스과 (Diplomystidae)
추가 정보
FishBase 과Diplomystidae (2011년 12월)

2. 분류


  • 디플로미스테스속(''Diplomystes'')
  • 올리타이크티스속(''Olivaichthys'')


== 계통 분류 ==

다음은 설리반(Sullivan) 등과 디오고(Diogo)와 펭(Peng)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8][9]

전통적인 분류 체계에서 디플로미스테스과분지학적 증거에 기반하여 다른 모든 메기(Siluroidei)의 기저, 원시적인 자매군으로 여겨졌다.[2][3] 반대로, 메기 계통발생에 대한 거의 모든 분자적 추정은 디플로미스테스과를 Siluroidei의 자매군으로, Loricarioidei(갑옷 메기 및 친척)를 가장 기저적인 그룹으로 간주한다; [3] 이는 Loricarioids의 빠른 진화의 산물일 수 있다.[4]

디플로미스테스과는 최근 또는 화석을 포함하여 다른 어떤 실루리폼보다 더 많은 조상형질 특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상악 뼈, 수염, 콧구멍, 이개 캡슐, 전방 익상 뼈, 웨버 복합 중심, 미골격, 지느러미 줄기 및 가슴띠의 측면이 포함된다. 디플로미스테스과에 대한 단계통군은 유사파생형질인 서골 및 구개 형태, 설골의 두개골 연결, 그리고 심하게 유두상의 피부로 잘 뒷받침된다.[5]

올리바이익티스es는 1987년 글로리아 아라티아가 세운 속이다. 그러나 많은 최근 저자들은 이 속을 디플로미스테스es와 동의어로 간주한다.[5] 분자 분석에 따르면 트랜스-안데스의 디플로미스테스es와 시스-안데스의 올리바이익티스es는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어(밀접한 형태학적 유사성 외에도), 올리바이익티스es를 인식해서는 안 된다고 제안했다.[3] 하지만 안데스 산맥 양쪽에 있는 종들의 최근 분화는 없을 것이므로 이는 이상하다.

2. 1. 하위 속


  • 디플로미스테스속(Diplomystes)
  • 올리타이크티스속(Olivaichthys)

2. 2. 계통 분류

다음은 설리반(Sullivan) 등과 디오고(Diogo)와 펭(Peng)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8][9]

전통적인 분류 체계에서 디플로미스테스과는 분지학적 증거에 기반하여 다른 모든 메기(Siluroidei)의 기저, 원시적인 자매군으로 여겨졌다.[2][3] 반대로, 메기 계통발생에 대한 거의 모든 분자적 추정은 디플로미스테스과를 Siluroidei의 자매군으로, Loricarioidei(갑옷 메기 및 친척)를 가장 기저적인 그룹으로 간주한다.[3] 이는 Loricarioids의 빠른 진화의 산물일 수 있다.[4]

디플로미스테스과는 최근 또는 화석을 포함하여 다른 어떤 실루리폼보다 더 많은 조상형질 특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상악 뼈, 수염, 콧구멍, 이개 캡슐, 전방 접형골의 익상 뼈, 웨버 복합 중심, 미골격, 지느러미 줄기 및 가슴띠의 측면이 포함된다. 디플로미스테스과에 대한 단계통군은 유사파생형질인 서골 및 구개 형태, 설골의 두개골 연결, 그리고 심하게 유두상의 피부로 잘 뒷받침된다.[5]

''올리바이익티스''는 1987년 글로리아 아라티아가 세운 속이다. 그러나 많은 최근 저자들은 이 속을 ''디플로미스테스''와 동의어로 간주한다.[5] 분자 분석에 따르면 트랜스-안데스산맥의 ''디플로미스테스''와 시스-안데스의 ''올리바이익티스''는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어(밀접한 형태학적 유사성 외에도), ''올리바이익티스''를 인식해서는 안 된다고 제안했다.[3] 하지만 안데스 산맥 양쪽에 있는 종들의 최근 분화는 없을 것이므로 이는 이상하다.

3. 특징

디플로미스테스과는 잘 발달된 상악에 이빨이 있는 유일한 현존하는 현존 메기목 어류이다.[7][5](멸종된 속인 ''Hypsidoris''에도 해당).[5] 디플로미스테스과는 상악 수염을 가지고 있으며, 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에는 가시가 있다.[2] 가장 큰 종은 32cm에 이른다.[2]

4. 생태

디플로미스테스과의 습성과 생활사에 대해서는 비교적 알려진 바가 적다. 칠레에서 디플로미스테스과는 대부분 빠르게 흐르는 저서성 하천에서 발견되며, ''D. camposensis''는 호수에서도 발견된다. ''O. viedmensis''는 해수면 근처의 강에서 약 1,900m 높이까지 발견되었다.[5]

디플로미스테스과는 환형동물, 연체동물, 절지동물을 섭취하는 일반적인 육식동물이다.[5] 비오비오강의 빠르고 중간 고도(370–520m) 지류에서 채집된 ''D. nahuelbutaensis'' 표본은 수생 곤충 유충, 특히 깔따구와 비교적 큰 십각류 갑각류 ''Aegla''를 먹었다.[5]

생식은 적어도 남반구 여름 동안에 일어나는데, 이는 난이 성숙된 암컷이 포획된 것과 여기서 보고된 유어가 12월에 수집된 것에 근거한다.[5]

5. 보존

모든 디플로미스테스과 어류는 서식지 악화,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 및 브라운송어(Salmo trutta)와 같은 외래종의 포식 또는 경쟁으로 인해 잠재적으로 또는 실제로 위협받거나 멸종 위기에 처한 것으로 간주된다. ''D. chilensis''는 멸종되었을 수 있다.[5]

참조

[1] 논문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living and fossil ray-finned fishes (Actinopterygii) 2024-04-18
[2]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Inc
[3] 논문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major groups of catfishes (Teleostei: Siluriformes) using rag1 and rag2 nuclear gene sequences
[4] 논문 Back to the roots: Reducing evolutionary rate heterogeneity among sequences gives support for the early morphological hypothesis of the root of Siluriformes (Teleostei: Ostariophysi)
[5] 논문 First description of small juveniles of the primitive catfish ''Diplomystes'' (Siluriformes: Diplomystidae) http://www.mansfield[...] 2004-03
[6] 간행물 Diplomystidae
[7] 저널 First description of small juveniles of the primitive catfish ''Diplomystes'' (Siluriformes: Diplomystidae) http://www.mansfield[...] 2004-03
[8] 저널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major groups of catfishes (Teleostei: Siluriformes) using rag1 and rag2 nuclear gene sequences
[9] 기타 State of the Art of Siluriform Higher-level Phylogeny. Science Publis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