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진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진역은 함경북도 라선시에 있는 철도역으로, 1935년 라진항 개항과 함께 웅기를 잇는 웅라선 개통으로 역사가 시작되었다. 한국 전쟁 이후 함북선으로 통합되었으며, 1959년 북한과 소련 간 철도 연결, 1965년 평라선 연장으로 북한 철도망의 중요한 역이 되었다. 라진항과 연결되어 화물 취급량이 많고, 2013년에는 러시아 하산역까지 직통 운전이 시작되었다. 현재는 러시아와의 화물 수송과 평양, 모스크바, 갈마, 청진, 회령, 선봉 방면으로의 여객 운송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선시의 철도역 - 물골역
물골역은 함경북도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함북선 홍의역과 구룡평역 사이, 그리고 두만강선 적지역 사이에 위치하며 정확한 개업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 라선시의 철도역 - 홍의역
홍의역은 1929년 웅기-신아산 구간과 함께 개통되었으며, 러시아 하산에서 라진항구까지 열차 운행이 가능하도록 통신 장비 현대화 및 선로 개조 공사를 거쳐 러시아와의 무역에서 중요한 환적 지점으로 활용된다. - 함북선 - 온성역
함북선에 위치한 온성역은 1932년 11월 1일에 영업을 개시하여 세선역과 풍인역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 - 함북선 - 세선역
세선역은 1932년 11월 1일에 개업한 함북선 상의 철도역으로, 풍리역과 온성역 사이에 위치했다. - 평라선 - 평양역
평양역은 1906년 경의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1958년 사회주의 리얼리즘 건축 양식으로 재건되었으며, 북한 철도의 중심지로서 여러 노선이 지나고 베이징행 국제 열차도 운행하며, 남북통일 이후 한반도 북부 교통 중심지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 평라선 - 서평양역
서평양역은 평의선과 평라선이 공유하는 철도역으로, 1929년 경의선 역으로 개업한 후 한국 전쟁 이후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 위치에 있으며, 1961년부터 여성 역무원들만 운영되어 북한 체제 선전의 일환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라진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역 이름 | 라진역 |
모국어 표기 | 라진역 (라진역) |
로마자 표기 | Rajin-yeok |
위치 | 라선특별시 라진구역 |
운영 정보 | |
소속 사업자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개업일 | 1935년 11월 1일 |
전철화 여부 | 예 |
노선 정보 | |
노선 수 | 3 |
평라선 | 이전 역: 명호 (평양 기점 801.9 km) 다음 역: 하산 |
함북선 | 이전 역: 관곡 (청암 기점 326.8 km) |
라진항선 | 다음 역: 라진항 |
2. 역사
1935년 11월 1일, 남만주철도가 웅기(현재의 선봉)와 라진을 연결하는 웅라선을 개통하면서 라진항이 개항되었다.[2] 1936년에는 만주국 장춘에서 라진으로 가는 특급 열차 "아사히"가 운행을 시작하여 일본으로 가는 배편과 연결되었다.[2] 한국 전쟁 이후 웅라선은 다른 노선과 통합되어 현재의 함북선이 되었다.
1959년, 두만강을 가로지르는 조선-러시아 우정의 다리와 함북선 두만강역에서 홍의역까지의 홍의선 건설로 북한과 소련 간의 직결 철도 연결이 이루어졌다.[1] 1965년에는 평라선이 라진까지 연장되어 함북선의 종착역과 연결되었다. 이로 인해 라진역은 북한 철도망 전체에서 가장 중요한 역 중 하나가 되었으며, 소련 및 동유럽의 옛 공산 국가들과의 막대한 화물 운송을 처리했다.[1]
2008년 10월 4일, 라진역과 러시아 연방 하산의 하산역을 잇는 철도 공사가 시작되었다.[5] 이 노선은 나선 - 홍의 (함북선 경유) - 러시아의 하산 (홍의선 경유) 경로로 러시아와 연결되며, 2009년부터 북한과 러시아의 합작으로 개수되었다. 광궤와 표준궤의 사선궤조 노선은 2012년 10월에 완성되어 시운전이 진행되었고,[6][7] 2013년 9월 22일에는 완공식이 열려 직통 운전이 시작되었다.[8] 2008년에는 북한-러시아 국경에서 라진항까지의 노선을 복선(표준 및 러시아)으로 개조하는 작업이 시작되었으며, 여기에는 홍의선 전체와 함북선의 홍의-라진 구간이 포함되었다.[3]
라진역은 남쪽 방향으로는 평라선, 북쪽 방향으로는 함북선(평양 - 명호 - '''라진''' - 웅라 - 온성)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과거 운행되었던 평양 발 라진역 경유 모스크바행 국제 열차는 평라선에서 라진역을 통과한 후 함북선을 경유하여 홍의역, 두만강역을 거쳐 러시아로 향했다.
라진역 인근에는 라진항이 있으며, 라진역은 인입선을 통해 라진항과 연결되어 있어 라진역의 화물 취급량이 많아 집중 화물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일제강점기에 건설된 역사가 현재도 사용되고 있다.
2. 1. 일제강점기
1935년, 남만주철도가 웅기(현재의 선봉)와 라진을 연결하는 웅라선을 개통하면서 라진항이 개항되었다.[2] 같은 해, 만주국 장춘에서 라진으로 가는 특급 열차 "아사히"가 운행을 시작하여 일본으로 가는 페리와 연결되었다.[2]2. 2. 해방 이후 ~ 한국 전쟁
1935년 남만주철도가 웅기(현재의 선봉)와 라진을 연결하는 웅라선을 개통하면서 라진항이 개항되었다.[2] 1936년에는 만주국 장춘에서 라진으로 가는 특급 열차 "아사히"가 운행을 시작하여 일본으로 가는 배편과 연결되었다.[2] 한국 전쟁 이후 웅라선은 다른 노선과 통합되어 현재의 함북선이 되었다.2. 3. 전후 복구 및 북-러 연결
1959년, 두만강을 가로지르는 조선-러시아 우정의 다리와 함북선 두만강역에서 홍의역까지의 홍의선 건설로 북한과 소련 간의 직결 철도 연결이 이루어졌다.[1] 1965년에는 평라선이 라진까지 연장되어 함북선의 종착역과 연결되었다. 이로 인해 라진역은 북한 철도망 전체에서 가장 중요한 역 중 하나가 되었으며, 소련 및 동유럽의 옛 공산 국가들과의 막대한 화물 운송을 처리했다.[1]2008년 10월 4일, 라진역과 러시아 연방 하산의 하산역을 직결하는 철도 공사가 착공되었다. 나선 - 홍의 (함북선 경유) - 러시아의 하산 (홍의선 경유) 경로로 러시아에 철도가 연결되어 있으며, 2009년부터 북한과 러시아의 합작으로 개수되어 광궤와 표준궤의 사선궤조 노선이 2012년 10월에 완성되어 시운전이 진행되었다.[5][6][7] 2013년 9월 22일에 완공식이 거행되어 직통 운전이 시작되었다.[8] 2008년에는 북한-러시아 국경에서 라진항까지의 노선을 복선(표준 및 러시아)으로 개조하는 작업이 시작되었으며, 여기에는 홍의선 전체와 함북선의 홍의-라진 구간이 포함되었다.[3]
라진역은 남쪽 방향으로는 평라선, 북쪽 방향으로는 함북선(평양 - 명호 - '''라진''' - 웅라 - 온성)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과거 운행되었던 평양 발 라진역 경유 모스크바행 국제 열차는 평라선에서 라진역을 통과한 후 함북선을 경유하여 홍의역, 두만강역을 거쳐 러시아로 향했다.
라진역 인근에는 라진항이 있으며, 라진역은 인입선을 통해 라진항과 연결되어 있어 라진역의 화물 취급량이 많아 집중 화물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2. 4. 최근
2008년 10월 4일, 라진역과 러시아 연방 하산의 하산역을 잇는 철도 공사가 시작되었다.[5] 이 노선은 나선 - 홍의 (함북선 경유) - 러시아의 하산 (홍의선 경유) 경로로 러시아와 연결되며, 2009년부터 북한과 러시아의 합작으로 개수되었다. 광궤와 표준궤의 사선궤조 노선은 2012년 10월에 완성되어 시운전이 진행되었고,[6][7] 2013년 9월 22일에는 완공식이 열려 직통 운전이 시작되었다.[8]3. 운행 계통
라진역은 남쪽 방향으로는 평라선, 북쪽 방향으로는 함북선(평양 - 명호 - '''라진''' - 웅라 - 온성) 구조로 되어 있다. 과거 운행되었던 평양 발 라진역 경유 모스크바행 국제 열차는 평라선에서 라진역을 통과한 후 함북선을 경유하여 홍의역, 두만강역을 거쳐 러시아로 향했다.
2008년 10월 4일 라진역과 러시아 연방 하산의 하산역을 직결하는 철도 공사가 착공되었다. 나선 - 홍의 (함북선 경유) - 러시아 하산 (홍의선 경유) 경로로 러시아와 철도가 연결되어 있으며, 2009년부터 북한과 러시아의 합작으로 개수되어 광궤와 표준궤의 사선궤조 노선이 2012년 10월에 완성되어 시운전이 진행되었다.[5][6][7] 2013년 9월 22일에는 완공식이 거행되어 직통 운전이 시작되었다.[8]
3. 1. 화물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로의 수출입 물동량은 상당히 감소했지만, 상당량의 화물 수송이 여전히 라진역을 통해 러시아와 오가고 있다.[1][4] 199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러시아 국경에서부터 철도 현대화가 완료된 이후, 이러한 물동량은 다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라진역 인근에는 라진항이 있으며, 라진역은 인입선을 통해 라진항과 연결되어 있어 화물 취급량이 많아 집중 화물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2008년 10월 4일, 라진역과 러시아 연방 하산의 하산역을 직결하는 철도 공사가 착공되었다. 나선 - 홍의 (함북선 경유) - 러시아 하산 (홍의선 경유) 경로로 러시아와 철도가 연결되어 있으며, 2009년부터 북한과 러시아의 합작으로 개수되어 광궤와 표준궤의 사선궤조 노선이 2012년 10월에 완성되어 시운전이 진행되었다.[5][6][7] 2013년 9월 22일에 완공식이 거행되어 직통 운전이 시작되었다.[8]
3. 2. 여객
라진역에는 두 쌍의 여객 급행 열차가 정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급행 열차 '''7/8'''은 평양역과 모스크바 사이를 두만강역을 경유하여 운행한다.
- 준급행 열차 '''128-129-130/131-132-133'''은 갈마역과 라진 사이를 평라선을 경유하여 운행한다.
또한 청진과 회령을 경유하여 함북선을 통해 갈마와 라진 사이를 운행하는 장거리 열차[4]와 라진과 선봉역 사이를 운행하는 통근 열차 '''623/624'''가 있다.[1]
4. 구조
라진역은 남쪽 방향으로는 평라선, 북쪽 방향으로는 함북선(평양 - 명호 - '''라진''' - 웅라 - 온성) 구조로 되어 있다. 과거 운행되었던 평양 발 라진역 경유 모스크바행 국제 열차는 평라선에서 라진역을 통과한 후 함북선을 경유하여 홍의역, 두만강역을 거쳐 러시아로 향했다.
라진역 인근에는 라진항이 있으며, 라진역은 인입선을 통해 라진항과 연결되어 있어 화물 취급량이 많아 집중 화물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일제강점기에 건설된 역사가 현재도 사용되고 있다.
2008년 10월 4일, 라진역과 러시아 연방 하산의 하산역을 직결하는 철도 공사가 착공되었다. 또한, 나선 - 홍의 (함북선 경유) - 러시아의 하산 (홍의선 경유) 경로로 러시아에 철도가 연결되어 있으며, 2009년부터 북한과 러시아의 합작으로 개수되어 광궤와 표준궤의 사선궤조 노선이 2012년 10월에 완성되어 시운전이 진행되었다.[5][6][7] 2013년 9월 22일에 완공식이 거행되어 직통 운전이 시작되었다.[8]
5. 의미와 중요성
라진역은 남쪽으로는 평라선, 북쪽으로는 함북선 (평양 - 명호 - '''라진''' - 웅라 - 온성)과 연결되어 있다. 과거 평양에서 출발하여 라진역을 거쳐 모스크바로 가는 국제 열차는 평라선에서 라진역을 통과한 후, 함북선을 경유하여 홍의역, 두만강역을 지나 러시아로 이동했다.
라진역 근처에는 라진항이 있고, 라진역은 인입선을 통해 라진항과 연결되어 있어 화물 취급량이 많아 집중 화물역으로 지정되었다.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역사가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2008년 10월 4일, 라진역과 러시아 하산의 하산역을 잇는 철도 공사가 시작되었다. 또한, 나선 - 홍의 (함북선 경유) - 러시아 하산 (홍의선 경유) 경로로 러시아와 철도가 연결되어 있으며, 2009년부터 북한과 러시아가 합작하여 개수 작업을 진행했다. 광궤와 표준궤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사선궤조 노선은 2012년 10월에 완성되어 시운전이 이루어졌고[5][6][7], 2013년 9월 22일에는 완공식이 열려 직통 운행이 시작되었다[8]
참조
[1]
서적
将軍様の鉄道
[2]
웹사이트
南満州鉄道株式会社全路線
http://homepage1.nif[...]
[3]
뉴스
Khasan–Rajin line renovation
http://www.itar-tass[...]
ITAR TASS
2013-09-22
[4]
웹사이트
Hambuk Line
http://terms.naver.c[...]
The traffic and geography in North Korea
[5]
웹사이트
露朝鉄道が試験運転、全面開通は来年に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1-11-20
[6]
웹사이트
ハサン・羅津間鉄道が10月13日(予定)試運転へ!
http://roshianow.jp/[...]
ロシアNOW
2011-11-20
[7]
뉴스
ロシアと北朝鮮結ぶ鉄道、商業運行10月開始予定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
[8]
뉴스
ロ朝鉄道 思惑乗せ走る
2013-09-24
[9]
뉴스
北 라진-러 하산역 철도 구간 및 라진항 개건착공식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