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교 (종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교(Paganism)는 라틴어 'paganus'에서 유래된 용어로, 기독교가 도시를 중심으로 확산되면서 '비기독교도'를 의미하게 되었다. 어원은 '시골의' 또는 '마을 사람'을 뜻하며, 역사적으로는 일신교 신자들이 자신의 종교를 믿지 않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모욕적인 용어로 사용되기도 했다. 현대에는 다신교, 범신론, 자연 숭배 등 다양한 종교적 행위를 포괄하며, 헬레니즘, 아사트루, 위카 등을 포함하는 신이교주의(neopaganism)로도 불린다. 이교는 고대 종교의 부활을 시도하거나, 자연의 신성함을 강조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현대 사회에서 종교적 관용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교 - 태양신
태양신은 여러 문화권에서 태양을 의인화하거나 신격화한 존재를 의미하며, 하늘, 생명, 빛과 관련되어 종교, 철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이교 - 현대 이교
현대 이교는 기독교 이전 신앙에서 영감을 얻은 다양한 종교, 영적, 마법적 전통의 집합으로, "이교주의" 용어 재전유를 통해 기독교 사회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며, 위카, 드루이드교, 게르만 신이교주의 등을 포함하는 종교들의 범주이다. - 종교학 - 신학
신학은 신에 대한 연구를 의미하는 학문으로, 다양한 종교의 신앙 체계와 교리, 신의 본성을 연구하며 철학과 유사하지만 신앙을 전제로 하고, 역사적으로 종교 지도자 양성과 관련이 깊으며, 한국 신학은 서구 신학의 영향과 함께 한국 사회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독자적으로 발전해왔다. - 종교학 - 비교종교학
비교종교학은 세계 여러 종교의 역사, 교리, 의례, 실천 등을 비교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발전해 왔으며 이슬람 황금시대 학자들의 종교 다원주의 연구 기여와 19세기 사회 과학자들의 관심, 그리고 종교 현상을 특정 틀에 맞추려는 경향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포함한다. - 멸칭 - 유럽중심주의
유럽중심주의는 유럽의 문화, 역사, 가치관을 세계의 표준으로 간주하고 다른 문화권을 유럽 중심으로 해석하는 사상으로, 서구 우위와 식민지 확장을 배경으로 강화되었으나 탈식민화 이후 비판받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대안적 관점이 등장하였고 현대에도 여러 영역에서 영향력과 비판적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멸칭 - 사이비 종교
사이비 종교는 기존 종교를 모방하거나 속임수로 신도를 현혹하는 집단으로,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반사회적 행위를 하며, 교주 신격화, 종말론, 과도한 기부금 요구 등의 특징을 보이고 사회적 위험성을 내포한다.
이교 (종교) |
---|
2. 어원
로마 제국이 기독교화되면서, 코이네 그리스어는 고대 그리스의 다신교와 연관되었고 서방에서는 외국어(''lingua peregrina'')로 여겨졌다.[24] 4세기 후반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동제국에서 이교도들은 '헬레네스'(Ἕλληνεςgrc, 문자 그대로 "그리스인")라고 불렸다. 이 단어는 기독교가 시작된 지 약 1,000년 동안 그 의미를 유지했다.[25]
초창기 기독교인들은 유대계 기독교인이었기 때문에, 당시 유대인들처럼 종교에 따라 외국인과 구별했을 것이다. 헬레네 문화가 로마 동부에서 지배적인 이교 문화였기 때문에 그들은 이교도들을 헬레네스라고 불렀다. 기독교는 비유대인에 대한 유대인의 용어를 물려받아 비기독교인을 지칭하는 데 적용했다. 이 용법은 신약성경에 기록되어 있으며, 바울 서신에서 '헬레네'는 실제 민족에 관계없이 거의 항상 '히브리인'과 병치된다.[25]
헬레네를 종교적 용어로 사용하는 것은 처음에는 배타적인 기독교 명칭의 일부였지만, 일부 이교도들은 스스로를 헬레네스라고 칭하는 데 반항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콘스탄티노플 대주교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우스는 헬레네 문화를 억압하려는 제국의 노력에 불쾌감을 느끼고 황제를 공개적으로 비판하는 등, 용어 변화에 강력하게 반대하는 이들도 있었다.[25]
후기 고대에는 헬레네로 생각하지 않으면서 그리스어를 모국어로 말하는 것이 가능했다.[26] 동로마 제국 안팎에서 그리스어를 공용어로 오랫동안 사용해 온 것은 역설적으로 그리스어가 기독교의 확산을 가능하게 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게 했다. 예를 들어, 바울의 서신에 그리스어를 사용한 것이 이를 나타낸다.[27] 5세기 전반에 그리스어는 주교들이 소통하는 표준 언어였으며, ''Acta Conciliorum'' ("교회 회의록")은 원래 그리스어로 기록된 후 다른 언어로 번역되었다.[29]
2. 1. Pagan
영어 'Pagan'은 라틴어 형용사 'paganus'('시골의')에서 유래했다. 명사 'paganus'는 '시골 주민', '마을 사람'을 의미했으며, 구어체로는 촌사람을 멸시하는 표현으로 사용되었다.[87] 'paganus'는 거의 예외 없이 모욕적인 어조로 사용되었다.[87] 기독교 신앙이 도시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시골 거주자'는 곧 '비기독교도'를 의미하게 되었다.[87]라틴어 'paganus'의 의미 변화에 대한 세 가지 주요 설은 다음과 같다.
# 고전 라틴어 'paganus'는 '시골풍의'를 의미했다. 로마 제국의 도시 지역에서 기독교가 수용된 후에도 시골 마을에서는 우상 숭배가 계속되었기 때문에 의미 변화가 일어났다.[87]
# 고전 라틴어 'paganus'는 '(군인이 아닌) 일반 시민'을 의미했다. 기독교도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milites'(응소병)를 자칭했기 때문에, 자신들 외를 '(교회의) 군에 참가하지 않은' 일반 시민이라고 불렀다.
# '야만스러운 이교도'라는 의미는 'paganus'의 해석 중 하나에서 비롯되었다. 'paganus'는 공동체나 그룹에서 벗어난 아웃사이더를 가리키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에, '도시의 사람이 아닌' 즉 '시골 사람'이 되었다.[87]
프랑스어 'paysan'(소작농)은 영어 'Pagan'과 같은 라틴어에서 기원했다.[88]
라틴어 'paganus'는 '시골, 지방'을 의미하는 라틴어 'pagus'에서 파생되었으며, 이는 그리스어 'πάγοςgrc'(바위투성이 언덕)와 관련이 있다. 'pagus'는 '지면에 맞은 무엇인가'라는 뜻에서, 인도유럽조어 'pag-'('고정된')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비유적 용법을 통해 'paganus'는 '시골 지방, 마을', '지방 거주자'를 의미하게 되었고, 로마 제국 후기에는 '시민'을 의미하게 되었다. 'pagan'은 보수적인 신조를 가진 시골 사람들에 대한 모욕어가 되었고, 기독교화된 로마 사회에 대해 전-기독교/비기독교적인 신념을 가리키게 되었다.
2. 2. Heathen
'Heathen'은 고대 영어 'haedhen'(기독교도가 아니거나 유대인)에서 유래했다. 이 단어는 고트어 'haithi'(황야에 사는 것)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haithi'는 울필라스의 성경(그리스어에서 고트어로 번역)에서 'haithno'(상냥한 여성, 마가복음 7:26)로 나타난다. 이 번역은 라틴어 'paganus'(시골 주민)의 영향을 받았거나, 그리스어 'ethne'(민족, 이교도, 이방인)와의 유사성 때문에 선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31]3. 용어법
이교(Paganism)를 정의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이다. 관련된 용어의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기 기독교인들은 자신들 주변의 다양한 숭배들을 편의와 수사법을 위해 하나의 집단으로 칭했다.
이교는 일반적으로 다신교를 의미하지만, 역사적으로 많은 이교도들은 최고 신을 믿었기 때문에 일신교 대 다신교의 문제가 아니었다. 기독교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구분은 유일신 숭배 여부였으며, 그렇지 않은 사람들(다신교, 일신교, 또는 무신론자)은 기독교 교회의 외부인으로 간주되어 이교도로 여겨졌다.
고전적 이교도들은 추종자들이 숭배하는 신의 수로 집단을 구별하는 것을 이상하게 여겼을 것이며, 사제단(예: 교황청 또는 에풀로네스 단)과 숭배 관행을 더 의미 있는 구별로 여겼을 것이다.
이교를 기독교 이전의 토착 종교로 지칭하는 것 또한 타당하지 않다. 모든 역사적 이교 전통이 기독교 이전이거나 그들의 숭배 장소에 토착적인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명칭의 역사로 인해 이교는 전통적으로 고대 세계와 그 주변의 그리스-로마, 켈트, 게르만 및 슬라브 부족을 포함한 기독교 이전 및 비기독교 문화를 포괄한다. 그러나 민속학자와 현대 이교의 현대적 용어는 초기 기독교인들이 사용했던 원래의 4천 년의 범위를 선사 시대까지 확장하여 유사한 종교적 전통을 포함시킨다.
3. 1. 일반적인 사용법
역사적으로 "pagan" 및 "heathen"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와 같은 일신교 신자들이 자신들의 종교를 믿지 않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모욕적인 용어로 사용되었다.[91]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에서는, heathen이 지금도 일부 기독교도에 의해 비가톨릭 신자에 대한 모욕적인 용어로 이용되고 있다. Paganism은 때때로 신앙의 '결여'를 의미하며, 무신론과 본질적으로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92]Paganism은 역사적인 고전 시대의 종교, 특히 그리스 신화와 고대 로마의 종교를 가리키는 중립적이거나 칭찬을 담은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서양 사회에 낭만주의와 신앙의 자유가 일어나기 전까지는, 거의 항상 기독교회가 확립한 정치적인 틀에서 벗어난 이단을 매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Pagan은 속된 의미에서 쾌락주의자와 동일시되어, 감각적이고 물질주의적이며 독선적인 인물로 평가받기도 한다. 예를 들어 G. K. 체스터턴은 다음과 같이 썼다.
:"pagan은, 좋게 말하면, 자신을 즐기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문명화되었을 때, 그는 발견한 것이다. 자신을 즐기는 자는, 다른 아무것도 즐길 수 없게 된다고."
3. 2. Heathenry
"Heathen" (고대 영어로 ''hæðen'')은 ''paganus''의 번역어이다. 이 단어는 특히 독일의 paganism 또는 독일의 neopaganism에 대해 사용된다. 야스토르프 문화에 기원을 둔 게르만족은 5세기까지 동유럽 및 중유럽에 분포했다. 그때부터 게르만어의 각 방언은 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해졌다. 게르만인의 기독교화는 4세기(고트족)부터 6세기(앵글로색슨, :en:Alamanni)에 걸쳐, 혹은 대륙에서는 8세기(작센)에 걸쳐 일어났으며, 9세기부터 12세기에는 아이슬란드와 스칸디나비아도 기독교화되었다.3. 3. Pagan의 분류
아이작 보네위츠는 페이건(pagan)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분류 | 설명 | 예시 |
---|---|---|
고페이건 (Paleo-Paganism) | 현대 이교와 대조하여 사용하는 레트로님으로, 다른 문화에 의해 단절되지 않았던 페이건을 가리킨다. | 힌두교, 신도, 타키투스가 기록한 민족 대이동 이전의 게르만 페이건, 카이사르가 기록한 켈트족의 다신교, 고대 그리스 및 고대 로마의 종교 |
중세 페이건 (Meso-Paganism) | 일신교, 이신교, 무신론적 세계관의 영향을 받았지만 독립적인 종교적 실천을 유지하고 있는 집단 | 아메리카 원주민,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바이킹 시대 노르웨이의 이교주의, 프리메이슨, 장미십자회, 신지학, 심령주의, 시크교, 부두교, 산테리아 등 |
현대 이교 (Neo-Paganism) | 근현대인에 의한, 기독교 이전의 자연 종교나 자연을 기반으로 하는 정신 세계를 되찾으려는 시도 | 아사트루, 신드루이드교, 위카, 뉴 에이지 시대의 재구성에 의한 것 등 |
4. 현대 이교
현대 이교는 다신교나 범신론적 관점에서 자연을 기반으로 한 종교 행위를 포함한다. 여기에는 위카를 비롯하여 헬레네 다신교나 아사트루와 같은 부흥주의자들의 종교가 포함된다.[91] 이들은 스스로를 현대 이교(neopaganism)라고 부르기도 한다.
현대 이교에는 Forn Sed, 켈트족의 네오드루이드교, 란고바르드의 오딘 숭배, 리투아니아의 Romuva, 슬라브의 Rodoverie 등이 있다. 이들은 고대 종교의 부활을 주장하지만, 그 기원은 19세기 낭만주의 운동에 있으며, 신비학 또는 신지학의 영향을 받았다.[92] 1990년대 이후에는 낭만주의적/오컬트적 요소를 기독교 이전의 요소와 분리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92]
4. 1. 현대 이교
현대의 실천가들은 paganism을 다신교나 범신론의 의미로, 자연을 기반으로 한 종교 행위를 가리켜 사용하기도 한다. 여기에는 부흥주의자들의 헬레네 다신교나 아사트루, 위카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현대 이교 (neopaganism)로 불린다. 현대 이교 신자들은 종종 스스로를 단지 pagan이라고 부르지만, 이 문서에서는 pagan이라고 할 경우 주로 고대의 종교를 가리킨다.현대 이교에 포함되는 종교는 그 외에도 Forn Sed, 켈트족의 네오드루이드교 (:en:Neo-druidism), 란고바르드의 오딘 숭배, 리투아니아의 :en:Romuva, 슬라브의 :en:Rodoverie 등이 있다. 이들 종교는 고대 종교의 부활이라고 주장되지만, 그 차이는 명확하지 않다. 이들 종교는 19세기 낭만주의 운동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신비학 또는 신지학의 흔적을 보인다.[91] 현대 이교는 통합을 지향하는 경우에도, 스스로의 신앙이 현대 이교라는 용어로 불리는 것에 저항하는 경향이 있다. 1990년대 이후, 부흥주의자들 사이에서 낭만주의적/오컬트적 요소를 기독교 이전의 요소와 분리하려는 움직임이 강해지고 있다.[92]
4. 2. 근현대의 자연 숭배
공업화된 사회에 사는 현대의 pagan은, 스스로의 신조와 실천의 기반을 대자연 및 살아 있는 모든 것에 깃든 신성에 묶고 있다.[91] 하지만,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모든 paganism이 그렇다고는 할 수 없다. 수많은 신이 있다고 믿는 경우도, 모든 생물에게 존재하는 의식하의 정신(혹은 영혼)이 전우주적으로 통합해 하나의 신이 된다고 믿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91] 선사시대에 거슬러 올라가는 paganism의 기원은 이미 역사의 저 멀리 사라져 버렸지만, 근대적인 일신교보다 오래되었다.[91]고대의 paganism은 아테네의 아테나와 같이 특정 지역의 신을 숭배하는 경향이 강했지만, 고전 시대를 거쳐 알렉산드로스 3세 메가스의 통치에 따라 신들이 통합된 후에는 각각의 신은 올림포스 신의 여러 가지 면이 발현된 것이라고 여겨졌다. 여신 로마가 도시 로마를 인격화한 것처럼, '나라의 신들'이 각 지방에 침투해 갔다.[91] 앙시앵 레짐의 지배자들은 스스로를 이러한 신들의 지상 대리인이라고 주장했으며, 이는 크든 작든 국가를 지탱하는 종교 관료 기구에 의해 유지되었다.[91] 이는 paganism과 '주류' :en:revealed religion가 어느 정도 공통으로 가지고 있던 특징으로, 가톨릭 및 영국 국교회의 역사나, 과거 및 현재의 이슬람교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91]
paganism은 일신교 이외의 어떠한 종교를 믿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91] 이 경우, 고대 그리스의 피타고라스주의는 pagan이 아니게 된다.[91] 아브라함의 종교 전통과는 다른 일신교를 믿었기 때문이다.[91] 극단적으로 말하면, 종교적으로 정통으로 여겨지지 않는 모든 신조, 의식, 즐거움 등은, 거기에 손을 대면 반대파로부터 pagan으로 불릴 수 있다는 것이다.[91] 예를 들면 버닝 맨, 할로윈, 심지어 크리스마스까지도 포함될 수 있다.[91]
5. 한국 사회와 이교
민족학자들은 자연숭배나 다신교 신앙을 나타내는 데 "이교"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자연숭배와 다신교는 같은 것을 가리키지 않고, 이교라는 말 외에 샤머니즘, 다신교, 애니미즘 등 더 적절한 범주명이 있기 때문이다. '이교'라는 말에는 종종 모욕적인 뉘앙스가 있으며, 영어의 'heathen'(야만인, 이교도), 'infidel'(불신자), 이슬람권의 '카피르()'라는 말에 해당한다.[1]
참조
[1]
서적
Late Antiquity: A Guide to the Postclassical World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
간행물
"Paganus': Evolution and Use"
http://faculty.georg[...]
2019-03-29
[3]
문서
Augustine, Divers. Quaest. 83.
[4]
서적
Between Pagan and Christia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5]
서적
Pagan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Paganism, Traditionalism, Nationalism: Narratives of Russian Rodnoverie
https://books.google[...]
Routledge
[7]
서적
Pagan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Pagan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Paganism
https://web.archive.[...]
2014
[10]
간행물
Paganism
http://www.oxfordref[...]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6-25
[1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New Religious Move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New Age Religion and Western Culture: Esotericism in the Mirror of Secular Thought
Brill Academic Publishers
[13]
서적
Pagan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4]
웹사이트
pagan (n.)
http://etymonline.co[...]
2013-07-18
[15]
문서
Peter Brown, in Glen Warren Bowersock, Peter Robert Lamont Brown, Oleg Grabar, eds., Late Antiquity: a guide to the postclassical world, 1999, s.v. Pagan.
[16]
문서
s:la:De corona militis#11
[17]
문서
Ante-Nicene Fathers III, De Corona XI
[18]
웹사이트
"Theodosius I", The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1912
[19]
문서
"The City of God". Britannica Ultimate Reference Suite DVD, 2003.
[20]
문서
Orosius Histories 1. Prol. "ui alieni a civitate dei..pagani vocantur."
[21]
간행물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dictionary.oe[...]
2006-06-25
[22]
문서
The OED instances Edward Gibbon's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Vol. II, "Chapter XXI: Persecution of Heresy, State of the Church. Part VII" (1776): "The divisions of Christianity suspended the ruin of Paganism."
[23]
간행물
Transcendental Visions – Other-Worldliness – and Its Transformations: Some More Comments on L. Dumont
[24]
문서
Augustine, Confessions 1.14.23; Moatii, "Translation, Migration, and Communication", p. 112.
[25]
서적
Barbarians and Politics at the Court of Arcadiu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6]
문서
Simon Swain, "Defending Hellenism: Philostratus, in Honour of Apollonius", in Apologetics, p. 173.
[27]
문서
Treadgold, A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p. 5.
[28]
문서
Millar, A Greek Roman Empire, pp. 97–98.
[29]
문서
Millar, A Greek Roman Empire, p. 98.
[30]
문서
cf. Mark 7:26
[31]
웹사이트
heathen (n.)
http://etymonline.co[...]
2013-07-18
[32]
문서
Antonio Virgili, Culti misterici ed orientali a Pompei, Roma, Gangemi, 2008
[33]
문서
'Heretics, G. K. Chesterton, 2007, Hendrickson Publishers Inc., p. 88'
[34]
문서
'Hymn to Proserpine'
[35]
간행물
Reconstructing "Religion" from the Bottom Up
https://www.jstor.or[...]
[36]
뉴스
What Not To Say When You Meet Someone Who Is Pagan
https://www.huffpost[...]
2016-05-27
[37]
서적
Pagan and Christian: Religious Change in Early Medieval Europe
Bristol Classical Press
2011-05-26
[38]
웹사이트
Kourbage on Petts, 'Pagan and Christian: Religious Change in Early Medieval Europe'
https://networks.h-n[...]
H-German
2021-03-23
[39]
문서
cf. the civil, natural and mythical theologies of [[Marcus Terentius Varro]]
[40]
문서
A summary of the modern view is given in Robin Lane Fox, ''Pagans and Christians'' 1989, pp. 31 ''ff.'': "The modern emphasis on {{sic|hide=y|reason=Fox appears to have used "pagan", lower case, per external sources quoting him.|paganism}}'s cult acts was also acknowledged by {{sic|hide=y|pagans}} themselves. It shaped the way they tried and tested Christians."
[41]
문서
E. Kessler, ''Dionysian Monotheism in Nea Paphos, Cyprus'' "two monotheistic religions, Dionysian and Christian, existed contemporaneously in Nea Paphos during the 4th century C.E. [...] the particular iconography of Hermes and Dionysos in the panel of the Epiphany of Dionysos [...] represents the culmination of a {{sic|hide=y|reason=Kessler capitalized; verified with source.|Pagan}} iconographic tradition in which an infant divinity is seated on the lap of another divine figure; this {{sic|hide=y|Pagan}} motif was appropriated by early Christian artists and developed into the standardized icon of the Virgin and Child. Thus the mosaic helps to substantiate the existence of {{sic|hide=y|Pagan}} monotheism."
https://books.google[...]
[42]
문서
[[Pausanias (geographer)|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6. 26. 1–2
[43]
문서
[[Athenaeus]], ''Deipnosophistae'' 2. 34a
[44]
간행물
Jesus gegen Dionysos? Ein Beitrag zur Kontextualisierung des Johannesevangeliums
http://www.bsw.org/?[...]
Pontifical Biblical Institute
2007-10-10
[45]
서적
Studies in Early Christology
https://books.google[...]
[46]
서적
Classical Myth
Prentice-Hall, Inc.
[47]
문서
Norris|1993|p=34}}; {{harvnb|Qafleshi|2011|pp=43–71}}; {{harvnb|Hykolli|Krasniqi|2020|p=78
[48]
서적
Mani: Travels in the Southern Peloponnese
John Murray
[49]
서적
The World of Renaissance Italy: A Daily Life Encyclopedia [2 volum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23-05-14
[50]
서적
The sealed nectar: biography of the Noble Prophet
https://books.google[...]
Darussalam Publications
[51]
서적
Tafsir Ibn Kathir Juz' 2 (Part 2): Al-Baqarah 142 to Al-Baqarah 252 2nd Edition
https://books.google[...]
MSA Publication Limited
[52]
서적
The Sealed Nectar (Free Version)
https://books.google[...]
[53]
서적
Kitab al-tabaqat al-kabir, By Ibn Sa'd, Volume 2
https://books.google[...]
Pakistan Historical Society
[54]
서적
The Sealed Nectar
https://books.google[...]
Darussalam Publications
[55]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https://books.google[...]
Anmol Publications Pvt Ltd
[56]
서적
Kinship and Marriage in Early Arabia
https://books.google[...]
Forgotten Books
[57]
서적
Who Was Jesus?: Conspiracy in Jerusalem
https://books.google[...]
Tauris Parke Paperbacks
[58]
서적
When the Moon Split
https://books.google[...]
DarusSalam
[59]
문서
Raphael Volaterranus, in his Commentaries presented to [[Pope Julius II|Julius II]], declared that the enthusiasms of these initiates were "the first step towards doing away with the Faith" (Pastor IV 1894:44).
[60]
웹사이트
La 'conguira' degli umanisti: Platina e Pomponio Leto
http://www.castelsan[...]
castelsantangelo.com
2013-11-25
[61]
서적
Jean Bodi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3-01-24
[62]
문서
"It would be a great pleasure to make the comparison with what survives to us of ancient {{sic|hide=y|reason=Miller used lower case; verified with online copy found in search results.|paganism}} in our old books, in order to have better [grasped] their spirit." Peter N. Miller, "History of Religion Becomes Ethnology: Some Evidence from Peiresc's Africa" ''Journal of the History of Ideas'' 67.4 (2006) 675–96.
http://muse.jhu.edu/[...]
[63]
서적
The Great Fairy Tale Tradition: From Straparola and Basile to the Brothers Grimm
[64]
간행물
Pagan Rome was Rebuilt in a Play: Roggero Musmeci Ferrari Bravo and the Representation of Rumon
https://www.academia[...]
[65]
서적
Proteins, Pathologies and Politics: Dietary Innovation and Disease from the Nineteenth Century
Bloomsbury Publishing
[66]
간행물
La Grande Guerra degli esoteristi
https://www.tempi.it[...]
Tempi
2017-10-18
[67]
서적
Occultism and Traditionalism: Arturo Reghini and the Antimodern Reaction in Early Twentieth-Century Italy
University of Gothenburg
[68]
논문
Studi su Evola e la Tradizione
Indipendente
[69]
웹사이트
Riga Declaration
https://ecer-org.eu/[...]
2024-05-04
[70]
웹사이트
PROGRAM
https://www.natalidi[...]
2024-05-04
[71]
웹사이트
Gruppo Storico Romano for the 2777th Natale di Roma
https://www.turismor[...]
2024-04-12
[72]
웹사이트
Natale di Roma all'ETRU
https://www.museoetr[...]
2024-05-04
[7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New Religious Movements
2011
[74]
웹사이트
Hellenismos FAQ
http://www.ecauldron[...]
2015-03-25
[75]
웹사이트
Pagans
http://www.ysee.gr/i[...]
Supreme Council of Ethnikoi Hellenes
2007-09-07
[76]
웹사이트
Call us Heathens!
http://www.wyrdwords[...]
Journal of the Pagan Federation
2007-09-07
[77]
웹사이트
Religions – Paganism: History of modern Paganism
https://www.bbc.co.u[...]
2023-01-24
[78]
웹사이트
Pagan beliefs: nature, druids and witches
http://www.bbc.co.uk[...]
2015-03-25
[79]
웹사이트
Defining Paganism: Paleo-, Meso-, and Neo-
http://www.neopagan.[...]
[80]
서적
A History of Pagan Europe
1995
[81]
웹사이트
Paganism: Heathenry
http://www.bbc.co.uk[...]
2015-03-25
[82]
간행물
Populations by religious organizations 1990-2008
http://www.statice.i[...]
Statistics Iceland
[83]
웹사이트
The Odinic Rite of Australia
http://odinicriteofa[...]
2015-03-25
[84]
문서
Dionysian Monotheism in Nea Paphos, Cyprus
[85]
서적
月神降臨
国書刊行会
2003
[86]
문서
ペイガニズムの一派であるウイッカのメンバーは、1990年代始め頃のアメリカで1万人いるとも30万人いるとも推測された(島薗進 『精神世界のゆくえ』 p.27)。
[87]
웹사이트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 2nd Edition (1989)
http://dictionary.oe[...]
[88]
웹사이트
pagus
http://www.perseus.t[...]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y
1897
[89]
서적
월신강림
국서 간행회
2003
[90]
문서
이교의 일파인 [[위카]]의 멤버는, 1990년대 초 무렵의 미국에서 1만 명 있다고도 30만명 있다고도 추측되었다 (도원진 '정신 세계의 행방'p. 27).
[91]
웹인용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 2nd Edition (1989)
http://dictionary.oe[...]
2015-09-14
[92]
웹사이트
pagus
http://www.perseus.t[...]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y
18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