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락토바킬루스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락토바킬루스속은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으로, 2020년 대규모 재분류를 거쳐 23개의 속으로 재편되었다. 이 속에는 다양한 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척추 동물 숙주나 곤충에 적응된 종도 존재한다. 락토바킬루스속은 인간의 건강, 특히 질 건강과 관련이 깊으며, 프로바이오틱스로서 과민성 대장 증후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위식도 역류 질환, 세균성 질염, 아토피 피부염 등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락토바킬루스속은 치아 부패와 관련되기도 하지만, 구강 건강에 유익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식품 생산에도 널리 사용되어 와인, 요구르트, 치즈, 김치 등 다양한 발효 식품의 생산에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산균과 - 락토바킬루스 가세리
    락토바킬루스 가세리는 장 건강, 체지방 감소, 여성 건강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산균의 일종으로, 다양한 기능성 식품에 활용되며 장내 환경 개선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 유산균과 - 락티카세이바킬루스 카세이
    락티카세이바킬루스 카세이는 락티카세이바킬루스 속의 세균으로 의학, 상업, 연구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프로바이오틱스, 유제품 생산, 식품 제조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수평적 유전자 이동을 통해 유전 정보를 교환한다.
  • 발효 - 효모
    효모는 단세포 진핵생물로, 빵, 술, 식품 생산 및 생명공학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며, 출아법과 이분법으로 증식하고 유성 생식도 가능하며, 일부 종은 병원성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 발효 - 에탄올 발효
    에탄올 발효는 포도당을 에탄올과 이산화 탄소로 전환하며 ATP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식품 제조 및 연료 생산에 활용되고 효모와 세균 같은 미생물에 의해 일어나며, 자연계에서 다양한 형태로 관찰된다.
  • 장내 세균 - 연쇄상구균
    연쇄상구균은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그람 양성 구균으로, 젖산 발효를 통해 에너지를 얻고 용혈 패턴에 따라 분류되며, 인후염, 폐렴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는 주요 병원균이면서 일부는 식품 산업에 활용되기도 한다.
  • 장내 세균 - 클로스트리디움속
    클로스트리디움속은 절대 혐기성 세균으로 내생포자를 생성하며, 당분해를 통해 부티르산 등을 생성하고, 보툴리즘 등 질병을 유발하며, 산업적으로 아세톤 등을 생산하는 데 활용된다.
락토바킬루스속 - [생물]에 관한 문서
미생물 분류
학명Lactobacillus
명명자Beijerinck 1901
기준 등록 연도1980년
모식종Lactobacillus delbrueckii
모식종 명명자(Leichmann 1896) Beijerinck 1927
상세 분류
세균
후벽균문
바실루스강
락토바실루스목
락토바실루스과
락토바실루스속
이미지 정보
편평 상피 세포 근처의 락토바실루스

2. 분류

락토바킬루스속은 2020년에 대규모 재분류를 거쳐 Paralactobacillus영어속과 23개의 새로운 속으로 나뉘었다.[66] 재분류 이전에는 180종 이상을 포함하는 다계통군이었다.[53]


  • Pediococcus영어속은 ''L. casei''군을 나눈다.
  • ''L. acidophilus'', ''L. salivarius'', ''L. reuteri''는 3개의 서로 다른 아종을 대표한다.
  • ''Paralactobacillus'' 속은 ''L. salivarius''군에 속한다.


최근에는 락토바킬루스속의 다른 구성원들(이전에는 락토바실루스속의 류코노스톡 분지로 알려짐)은 아토포비움, 카르노박테리움, 와이스엘라, 오에노코쿠스, 류코노스톡 속으로 재분류되었다.[3] 또한, 페디오코쿠스 종인 ''P. 덱스트리니쿠스''는 ''라피딜락토바실러스 덱스트리니쿠스''로 재분류되었다.[3][22]

대사에 기반하여 락토바실루스 종은 다음과 같이 세 군으로 나눌 수 있다.

  • 절대 혐기성 동질 발효 (I군): ''L. acidophilus'', ''L. delbrueckii'', ''L. helveticus'', ''L. salivarius''
  • 통성 혐기성 이질 발효성 (II군): ''L. casei'', ''L. curvatus'', ''L. plantarum'', ''L. sakei''
  • 절대 혐기성 이질 발효성 (III군): ''L. brevis'', ''L. buchneri'', ''L. fermentum'', ''L. reuteri''

2. 1. 2020년 재분류된 속

2020년에 락토바킬루스속은 대규모 재분류를 거쳤다. 이전에는 200개가 넘는 종을 포함했지만, Paralactobacillus영어속과 함께 다음 23개 속으로 재편되었다:[66]

2020년에 새롭게 분류된 23개 속
속 이름의 의미속의 특성
홀자펠리아빌헬름 홀자펠의 락토바실리기준 종: H. 플로리콜라. 호모 발효성, 반코마이신 감수성, 생태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숙주 적응 가능성이 높음.
아밀로락토바킬루스전분을 분해하는 락토바실리기준 종: A. 아밀로필러스. 호모 발효성, 반코마이신 감수성, 세포 외 아밀라아제가 흔함, 생태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숙주 적응 가능성이 높음.
봄빌락토바킬루스꿀벌 및 호박벌에서 유래된 락토바실리기준 종: B. 멜리퍼. 호모 발효성, 고온성, 반코마이신 내성, 작은 게놈 크기, 꿀벌 및 호박벌에 적응
콤파닐락토바킬루스동반자 락토바실러스, 곡물, 고기 및 채소 발효에서 다른 락토바실리와 함께 성장하는 것을 의미함기준 종: C. 알리멘타리우스. 균주 또는 종 특이적으로 펜토스를 발효하는 능력을 갖는 호모 발효성, 반코마이신 내성, 생태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유목 생활 가능성 높음
라피딜락토바킬루스돌에서 유래된 락토바실리기준 종: L. 콘카부스. 균주 또는 종 특이적으로 펜토스를 발효하는 능력을 갖는 호모 발효성, 반코마이신 내성, 생태는 알려지지 않음.
아그릴락토바킬루스들판에서 유래된 락토바실리기준 종: A. 콤포스티. 호모 발효성, 통기성 및 반코마이신 내성. 두 종의 게놈 크기, 게놈의 G+C 함량 및 출처는 속의 자유 생활 방식을 시사.
슐레이페릴락토바킬루스칼 하인츠 슐라이페르의 락토바실리기준 종: S. 페롤렌스. 호모 발효성, 반코마이신 내성, 통기성. 슐라이페릴락토바킬루스 종은 큰 게놈 크기를 가지며, 광범위한 탄수화물을 발효하고, 다이아세틸의 다량 생산으로 맥주와 유제품을 부패시킴.
로이골락토바킬루스(식품) 부패 락토바실리기준 종: L. 코리니포르미스. 호모 발효성, 반코마이신 내성, 중온성 또는 저온성 유기체.
락티카세이바킬루스치즈와 관련된 락토바실리기준 종: L. 카세이. 호모 발효성, 반코마이신 내성; 많은 종이 펜토스를 발효하고 산화 스트레스에 저항함. L. 카세이 및 관련 종은 유목 생활 방식을 가짐.
라틸락토바킬루스널리 분포된 락토바실리기준 종: L. 사케이. 호모 발효성, 중온성 자유 생활 및 환경 락토바실리. 많은 균주는 저온성이고 8°C 이하에서 성장.
델라글리오아프랑코 델라글리오의 락토바실리기준 종: D. 알기두스. 호모 발효성, 반코마이신 내성, 통기성 및 저온성.
리쿠오릴락토바킬루스술 또는 액체에서 유래된 락토바실리기준 종: L. 말리. 호모 발효성, 반코마이신 내성, 액체에서 성장하는 운동성 유기체, 식물 관련 서식지. 많은 리퀴로락토바실러스는 수크로스로부터 EPS를 생성하고 세포 외 과당 분해 효소로 과당을 분해.
리길락토바킬루스(숙주 적응) 락토바실리를 결합함기준 종: L. 살리바리우스. 호모 발효성, 반코마이신 내성, 대부분의 리길락토바실러스는 숙주에 적응하며 많은 균주는 운동성을 가짐. 여러 리길락토바실러스 균주는 위산 저항을 위해 요소 분해 효소를 발현.
락티플란티바킬루스식물과 관련된 락토바실리기준 종: L. 플란타룸. 광범위한 탄수화물을 발효하는 유목 생활 방식을 가진 호모 발효성, 반코마이신 내성 유기체; 대부분의 종은 에스테라아제, 탈카르복실라아제 및 환원 효소 활성을 통해 페놀산을 대사함. L. 플란타룸은 유사 카탈라아제 및 질산염 환원 효소 활성을 발현.
푸르푸릴락토바킬루스겨에서 유래된 락토바실리기준 종: F. 로시에. 헤테로 발효성, 반코마이신 내성, 큰 게놈 크기, 광범위한 대사 잠재력 및 알려지지 않은 생태.
파우킬락토바킬루스몇몇 탄수화물을 발효하는 락토바실리기준 종: P. 바키노스테르쿠스. 헤테로 발효성, 반코마이신 내성, 중온성 또는 저온성, 통기성, 대부분의 균주는 펜토스를 발효하지만 이당류는 발효하지 않음.
리모실락토바킬루스끈적한(생물막 형성) 락토바실리기준 종: L. 페르멘툼. 두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 헤테로 발효성, 고온성, 반코마이신 내성, 리모실락토바실러스 종은 척추 동물 숙주에 적응하며 일반적으로 동물의 상부 장에서 생물막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수크로스로부터 엑소폴리사카라이드를 형성.
프루틸락토바킬루스과당을 좋아하는 락토바실리기준 종: F. 프루티보란스. 헤테로 발효성, 반코마이신 내성, 중온성, 통기성, 작은 게놈 크기. 프루틸락토바실리는 곤충, 꽃 또는 둘 모두와 관련된 좁은 생태적 틈새에 적응.
아세틸락토바킬루스식초에서 유래된 락토바실리기준 종: A. 진샤니. 헤테로 발효성, 반코마이신 내성, pH 3~5 범위에서 성장; 이당류 및 당 알코올을 발효하지만 몇몇 헥소스와 펜토스는 발효하지 않음.
아필락토바킬루스꿀벌에서 유래된 락토바실리기준 종: A. 쿤케이. 헤테로 발효성, 반코마이신 내성, 작은 게놈 크기, 소수의 탄수화물만 발효하며, 꿀벌 및/또는 꽃에 적응.
레빌락토바킬루스(반죽) - 발효 락토바실리기준 종: L. 브레비스. 헤테로 발효성, 반코마이신 내성, 중온성 또는 저온성, 아그마틴을 대사하며, 환경 또는 식물 관련 생활 방식.
세쿤딜락토바킬루스다른 유기체가 헥소스를 고갈시킨 후 성장하는 두 번째 락토바실리기준 종: S. 콜리노이데스. 헤테로 발효성, 반코마이신 내성, 중온성 또는 저온성, 환경 또는 식물 관련 생활 방식. 헥소스 고갈 서식지에 적응, 대부분의 균주는 과당을 만니톨로 환원하지 않지만 아그마틴 및 디올을 대사함.
렌틸락토바킬루스느린(성장하는) 락토바실리기준 종: L. 부크네리. 헤테로 발효성, 반코마이신 내성, 중온성, 광범위한 탄수화물을 발효. 대부분의 렌틸락토바실리는 환경 또는 식물 관련이며, 아그마틴을 대사하고 젖산 및/또는 디올을 전환. L. 시니어리스L. 크리비아누스는 속에 대한 외부 그룹을 형성; 두 종 모두 척추 동물에서 분리되었으며 숙주 적응 생활 방식으로 전환될 수 있음.



2020년 재분류 이전에는 락토바실루스속은 180종 이상의 종을 포함하는 다계통군이었다. [53]


  • Pediococcus영어속은 ''L. casei''군
  • ''L. acidophilus'', ''L. salivarius'' 및 ''L. reuteri''는 3개의 서로 다른 아종


''Paralactobacillus'' 속은 ''L. salivarius''군에 속한다.

최근 몇 년 동안, `락토바실러스` 속의 다른 구성원들은 아토포비움, 카르노박테리움, 와이스엘라, 오에노코쿠스, 류코노스톡 속으로 재분류되었다.[3] 또한, 페디오코쿠스 종인 ''P. 덱스트리니쿠스''는 ''라피딜락토바실러스 덱스트리니쿠스''로 재분류되었다.[3][22]

이 재분류로 인해 현재 `락토바실러스` 속에는 44종만이 남아있으며, 이들은 척추동물 숙주 또는 곤충에 적응된 종들이다.[3]

2. 2. 하위 종

락토바킬루스속에는 다음 종이 속해 있다.[67][68]

명명자 및 연도
락토바킬루스 아세토톨레란스Entani et al. 1986
락토바킬루스 아시도필루스(Moro 1900) Hansen and Mocquot 1970 (Approved Lists 1980)
"Lactobacillus alvi"Kim et al. 2011
락토바킬루스 아밀롤리티쿠스Bohak et al. 1999
락토바킬루스 아밀로보루스Nakamura 1981
락토바킬루스 아피스Killer et al. 2014
"Lactobacillus backi"Bohak et al. 2006
락토바킬루스 봄비콜라Praet et al. 2015
락토바킬루스 콜리니Zhang et al. 2017
락토바킬루스 크리스파투스(Brygoo and Aladame 1953) Moore and Holdeman 1970 (Approved Lists 1980)
락토바킬루스 델브루에키(Leichmann 1896) Beijerinck 1901 (Approved Lists 1980)
락토바킬루스 에퀴코르소리스Morita et al. 2010
락토바킬루스 포르니칼리스Dicks et al. 2000
락토바킬루스 갈리나룸Fujisawa et al. 1992
락토바킬루스 가세리Lauer and Kandler 1980
락토바킬루스 지게리오룸Cousin et al. 2012
"Lactobacillus ginsenosidimutans"Jung et al. 2013
락토바킬루스 햄스터리Mitsuoka and Fujisawa 1988
락토바킬루스 헬싱보르겐시스Olofsson et al. 2014
락토바킬루스 헬베티쿠스(Orla-Jensen 1919) Bergey et al. 1925 (Approved Lists 1980)
락토바킬루스 호미니스Cousin et al. 2013
락토바킬루스 이네르스Falsen et al. 1999
락토바킬루스 인테스티날리스(ex Hemme 1974) Fujisawa et al. 1990
락토바킬루스 젠세니Gasser et al. 1970 (Approved Lists 1980)
"Lactobacillus jinshani"Yu et al. 2020
락토바킬루스 존소니Fujisawa et al. 1992
락토바킬루스 칼릭센시스Roos et al. 2005
락토바킬루스 케피라노파시엔스Fujisawa et al. 1988
락토바킬루스 킴블라디이Olofsson et al. 2014
락토바킬루스 키타사토니스Mukai et al. 2003
락토바킬루스 쿨라베르겐시스Olofsson et al. 2014
락토바킬루스 멜리벤트리스Olofsson et al. 2014
락토바킬루스 뮬리에리스Rocha et al. 2020
락토바킬루스 나살리디스Suzuki-Hashido et al. 2021
락토바킬루스 파니사피움Wang et al. 2018
락토바킬루스 파라가세리Tanizawa et al. 2018
락토바킬루스 파스퇴리Cousin et al. 2013
락토바킬루스 포르시Kim et al. 2018
락토바킬루스 프시타키Lawson et al. 2001
"Lactobacillus raoultii"Nicaise et al. 2018
락토바킬루스 로덴티움Killer et al. 2014
락토바킬루스 로고사이Holdeman and Moore 1974 (Approved Lists 1980)
락토바킬루스 타이와넨시스Wang et al. 2009
"락토바킬루스 테르모필루스"Ayers and Johnson 1924
"Lactobacillus timonensis"Afouda et al. 2017
락토바킬루스 울투넨시스Roos et al. 2005
락토바킬루스 쉬지앙구오니스Meng et al. 2020



락토바실루스속은 현재 180종 이상을 포함하며 다양한 종을 포함한다.[53] 락토바실루스속은 다계통군이며, ''페디오코쿠스''속은 ''L. casei''군, ''L. acidophilus'', ''L. salivarius'' 및 ''L. reuteri''는 3개의 서로 다른 아종의 대표이다. ''Paralactobacillus'' 속은 ''L. salivarius''군에 속한다. 최근 락토바실루스속의 다른 종(이전에는 유산간균의 레이우코노스톡(''Leuconostoc'') 분지라고 알려져 있었다)이 ''아토포비움'', ''카르노박테리움'', ''와이스엘라'', ''오에노코쿠스'' 및 ''레이우코노스톡''으로 재분류되었다. 더욱 최근에는, ''Pediococcus'' 종 ''P. dextrinicus''가 락토바실루스속의 종으로 재분류되었다.[54]

대사에 기반하여 락토바실루스 종은 3개의 군으로 나눌 수 있다.


  • 절대 혐기성 동질 발효(I군)
  • ''L. acidophilus'', ''L. delbrueckii'', ''L. helveticus'', ''L. salivarius''
  • 통성 혐기성 이질 발효성(II군)
  • ''L. casei'', ''L. curvatus'', ''L. plantarum'', ''L. sakei''
  • 절대 혐기성 이질 발효성(III군)
  • ''L. brevis'', ''L. buchneri'', ''L. fermentum'', ''L. reuteri''

3. 대사

락토바실리는 호모발효를 하며, 육탄당은 해당과정에 의해 젖산이 주요 최종 산물로 대사된다. 또는 헤테로발효를 하며, 육탄당은 포스포케토라제 경로에 의해 젖산, CO2, 아세트산 또는 에탄올이 주요 최종 산물로 대사된다.[11] 대부분의 락토바실리는 통성혐기성 세균이며, 일부 종은 배양 배지에 헴과 메나퀴논이 존재할 경우 호흡한다.[11] 락토바실리의 통성혐기성은 망가니즈 의존적이며, (과거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룸'')인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에서 연구되고 설명되었다.[12] 락토바실리는 일반적으로 성장을 위해 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13]

락토바실러스과는 젖산균 (LAB)의 유일한 과로, 호모발효 및 헤테로발효 유기체를 포함한다. ''락토바실러스과''에서 호모발효 또는 헤테로발효 대사는 속의 모든 균주에 의해 공유된다.[3][11] ''락토바실루스'' 종은 모두 호모발효를 하며, 피루브산 포름산 분해효소를 발현하지 않으며, 대부분의 종은 펜토스를 발효하지 않는다.[3][11] ''L. crispatus''에서 펜토스 대사는 균주 특이적이며 수평 유전자 전달에 의해 획득된다.[14]

많은 락토바실러스 속은, 몇몇 종은 당으로부터 젖산만을 생성하는 호모 젖산 발효를 사용하고, 몇몇 종은 당으로부터 알코올 또는 젖산 중 하나를 생성할 수 있는 헤테로 젖산 발효를 사용한다. 락토바실러스 속은 호흡 사슬의 완전한 결여에도 불구하고 산소 내성을 가진다. 이 산소 내성은 망가니즈 의존성이며,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에서 연구, 설명되었다. 이 속의 많은 종은 증식을 위해 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매우 높은 과산화 수소 내성을 가진다.

4. 유전체

락토바킬루스속의 유전체는 크기가 1.2 ~ 4.9 Mb(메가베이스)로 매우 다양하다.[3] 따라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수는 1,267개에서 약 4,758개(''Fructilactobacillus sanfranciscensis''와 ''Lentilactobacillus parakefiri'')에 이른다.[15][16] 심지어 단일 종 내에서도 상당한 변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L. crispatus'' 균주의 유전체 크기는 1.83 ~ 2.7 Mb, 또는 1,839 ~ 2,688개의 개방형 리딩 프레임을 갖는다.[17] ''락토바실루스''는 유전체의 코딩 영역에 불완전하고 다양한 모티프를 가진 풍부한 복합 마이크로새틀라이트를 포함한다.[18] 또한 많은 락토바실리가 여러 플라스미드를 포함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플라스미드는 락토바실리가 주어진 환경에 적응하는 데 필요한 유전자를 암호화한다.[19]

5. 인간 건강

락토바킬루스속은 인간 건강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정상적인 질 내 세균총과 세균성 질염을 Pap 염색으로 비교. 정상적인 질 내 세균총 (왼쪽)은 주로 막대 모양의 ''락토바실리''인 반면, 세균성 질염 (오른쪽)에서는 다양한 종의 박테리아가 과도하게 증식한다.

  • 질 건강: 락토바실루스 종은 여성의 질내 세균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젖산을 생성하여 질 내 산성 환경을 유지하고 유해균 증식을 억제한다.[23][24]
  • 병원균과의 상호작용: 락토바실루스는 칸디다 알비칸스를 비롯한 다양한 병원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과산화 수소와 항균 물질을 생성한다.[25][26][27][29][30]
  • 프로바이오틱스: 락토바실루스는 프로바이오틱스로 사용되어 과민성 대장 증후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위식도 역류 질환 등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31][32][4] 또한 세균성 질염 예방 및 피부염 감소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5][9]
  • 구강 건강: 일부 락토바실루스는 충치를 유발할 수 있지만, 특정 락토바실루스는 프로바이오틱스로 작용하여 구강 내 유해균 증식을 억제하고 치아 부패를 예방하는 효과를 보이기도 한다.[36][37][38]


충치

5. 1. 질 건강

''락토바실루스'' s.s. 종은 가임기 여성의 질내 세균총에서 "핵심종"으로 여겨진다.[23] 대부분의 건강한 여성(전부는 아님)은 ''L. 이너스'', ''L. 크리스파투스'', ''L. 가세리'', ''L. 젠세니'' 중 하나가 우세한 질내 세균총을 가지고 있다. 다른 여성들은 보다 다양한 혐기성 미생물을 가지고 있지만, 여전히 건강한 미생물군집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진다.[5]

여성의 생식관은 인간 미생물의 주요 군집 형성 부위 중 하나이며, 이러한 세균의 조성은 인간의 건강과 관련이 있고, 단일 종의 지배는 일반적인 건강 및 임신에서의 좋은 결과와 상관관계가 있다. 여성의 약 70%에서 락토바실루스속이 우세한데, 이는 유럽 출신 미국인 여성과 아프리카 출신 여성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후자의 그룹은 더 다양한 질 내 미생물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벨기에와 탄자니아 여성의 비교에서도 유사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5. 2. 병원균과의 상호작용

락토바실러스는 젖산을 생성하며, 이는 질의 산성에 기여한다. 이렇게 낮아진 pH는 일반적으로 질 미생물총의 구성을 제어하는 주요 기전으로 받아들여진다.[24]

락토바실러스는 또한 과산화 수소를 생성하여 곰팡이 병원균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의 성장과 독성을 ''시험관 내''(in vitro)에서 억제하는 것으로 제안되었지만,[25][26] 이는 ''생체 내''(in vivo)에서는 주요 기전이 아닌 것으로 주장된다.[27]

시험관 내 연구에서 락토바실러스는 유기산과 특정 대사 산물의 생성을 통해 ''C. albicans''의 병원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28] 부티르산 나트륨과 같은 대사 산물의 존재와 유기산에 의해 발생하는 환경 pH 감소는 ''C. albicans''의 균사 성장을 감소시켜 병원성을 감소시킨다.[28] 락토바실러스는 또한 ''C. albicans''의 바이오필름 형성을 감소시켜 ''C. albicans''의 병원성을 감소시킨다.[28] 바이오필름 형성은 락토바실러스와의 경쟁과 앞서 언급한 균사 성장 감소와 관련된 결함 있는 바이오필름 형성에 의해 감소한다.[28] 반면에, 항생제 치료 후 특정 ''칸디다'' 종은 위장관과 같이 공존하는 신체 부위에서 락토바실러스의 재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25][26]

''C. albicans''에 미치는 영향 외에도, ''락토바실러스'' 속은 다른 병원균과도 상호 작용한다. 예를 들어, ''림노실락토바실러스 루테리''(Limosilactobacillus reuteri)(구 ''락토바실러스 루테리'')는 글리세롤을 사용하여 루테린이라는 항균 물질을 생성하여 다양한 세균 종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29] 또 다른 예로는 ''리길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igilactobacillus salivarius)(구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가 있으며, 이는 박테리오신인 살리바리신 B의 생성을 통해 많은 병원균과 상호 작용한다.[30] 락토바실러스는 ''생체 외'' 및 ''생체 내''에서 진균 병원체 칸디다 알비칸스의 증식과 유해 세균을 억제하는 과산화 수소를 생산한다.[55][56] 항생 물질 치료 후 특정 칸디다 종은 장관 등 세균이 공생하는 신체 부위에서 락토바실러스의 재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55][56]

5. 3. 프로바이오틱스

젖산균(LAB)과 같은 발효 박테리아는 다른 미생물과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현재 다양한 용도로 프로바이오틱스로 사용되고 있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의 경우, 다른 프로바이오틱스와 함께 투여된 락토바실리는 도움이 되지만, 효능의 정도는 여전히 불확실하다.[31] 프로바이오틱스는 장내 미생물군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준의 기회주의적 박테리아를 경험할 때 항상성을 회복시켜 IBS를 치료하는 데 도움을 준다.[9] 락토바실리는 궤양을 유발하는 박테리아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경우에도 프로바이오틱스로 투여될 수 있으며, 치료와 함께 보조제로 투여되면 효능이 실질적으로 증가하고 부작용이 줄어들 수 있다.[32]

위식도 역류 질환(GERD) 실험 모델에서, ''Lactobacillus'' 종(''L. acidophilus'', ''L. plantarum'' 및 ''L. fermentum'')은 담즙 유도 활성 산소(ROS)로 인한 DNA 손상을 복구하는 데 기여했다.[4]

락토바실리는 현재 세균성 질염(BV)과 같은 비뇨 생식기 및 질 감염을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되는 프로바이오틱스로 사용되고 있다. ''락토바실리''는 특정 박테리아의 병원성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박테리오신을 생성하며,[35] 젖산을 생성하여 질의 pH를 약 4.5 이하로 낮춰 다른 박테리아의 생존을 방해한다.

어린이의 경우, ''Lacticaseibacillus rhamnosus'' (이전에는 ''L. rhamnosus'')와 같은 락토바실리는 피부염의 감소와 관련이 있다.[9]

단일 프로바이오틱스로 투여된 락토바킬루스속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57] 또는 크론병[58] 환자에게는 유익하지 않다. 다른 프로바이오틱스와 함께 투여하면 과민성 대장 증후군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소수의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가장 효과적인 프로바이오틱스의 종류와 효과의 크기에 불확실성이 남아있다.[57] 락토바킬루스속과 비피더스균 프로바이오틱스는 회장 낭염 및 담관염의 임상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59] L. 아시도필루스는 괴사성 장염 및 기타 신생아 감염을 예방하는 데 사용된다.[60] 락토바킬루스속은 생쥐의 발육 초기 항생제 노출의 장기적인 부작용에 대항할 수 있다는 것이 최근 밝혀졌다.[61]

5. 4. 구강 건강



일부 락토바실러스는 충치와 관련이 있다. 젖산은 치아를 부식시킬 수 있으며, 타액 내 ''락토바실러스'' 수는 오랫동안 "충치 검사"로 사용되어 왔다.[36] 락토바실러스는 특징적으로 기존의 우식 병변, 특히 치관 우식의 병변을 진행시킨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프로바이오틱스인 유익한 락토바실러스가 치아에 서식하게 하여 연쇄상구균 병원균의 정착을 막고 치아 부패를 유발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문제는 복잡하다.[62] 락토바실러스와 구강 건강(구강 세균학)의 관계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새로운 분야이며, 몇몇 연구 결과만 발표되었다.[37][63][64] 일부 연구에서는 특정 ''락토바실러스''가 구강 건강에 프로바이오틱스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증거를 제시했다.[38] 모든 종은 아니지만 일부 종은 충치 방어에 효과가 있다는 증거를 보인다.[38] 이러한 연구로 인해 이러한 프로바이오틱스를 껌과 로젠지에 통합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등장했다.[38] 또한, 치은염 및 치주염과 같은 치주 질환 방어에 유익한 특정 ''락토바실러스''에 대한 증거도 있다.[38]

6. 식품 생산

락토바실루스속(및 관련 속)의 종은 와인, 요구르트, 치즈, 사우어크라우트, 피클, 맥주, 사이다, 코코아, 케피어 및 기타 발효된 식품뿐만 아니라 동물 사료 및 보카시 토양 개량제 생산을 위한 제어된 발효에 산업에서 스타터 배양으로 사용된다.[39][40] 락토바실러스속 종은 요구르트, 치즈, 사워도우 발효에서 우세하다.[39][40]

발효에서 이들의 중요성은 식품 자체의 대사 작용과 다른 잠재적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 모두에서 비롯된다. 락토바실리의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은 이러한 미생물을 억제하는 박테리오신 및 저분자량 화합물의 생산에 의존한다.[41][42]

사워도우 빵은 밀가루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하거나 밀가루 배양액에서 성장하는 효모와 젖산균의 공생 배양체인 "스타터 배양"을 사용하여 자발적으로 만들어진다.[43] 박테리아는 당을 젖산으로 대사하여 환경의 pH를 낮추고 요구르트, 사우어크라우트 등과 관련된 특징적인 신맛을 생성한다.

많은 전통적인 피클 공정에서 채소는 소금물에 담그고, 내염성 락토바실리가 채소에서 발견되는 천연 당을 섭취한다. 결과적으로 소금과 젖산의 혼합은 곰팡이와 같은 다른 미생물에게는 적대적인 환경이므로 채소는 보존되어 오랫동안 섭취할 수 있다.[44]

락토바실리, 특히 페디오코키 및 ''L. 브레비스''는 가장 흔한 맥주 부패 미생물 중 일부이다. 그러나 그들은 벨기에 람빅 및 미국 와일드 에일과 같은 사워 맥주 생산에 필수적이며, 맥주에 독특한 신맛을 부여한다.[45]

과학자 일리아 메치니코프는 LAB, 식품과의 연관성 및 프로바이오틱스로의 가능한 사용에 대한 연구로 1908년에 노벨상을 수상했다.[46]

6. 1. 김치와 락토바실루스

일부 락토바실루스속은 요구르트, 치즈, 자우어크라우트, 피클, 맥주, 사이다, 김치, 코코아, 케피어 및 기타 발효 식품 및 동물 사료의 제조에 발효를 이용하는 산업에서 스타터 배양균으로 사용된다. 락토바실루스종의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은 이러한 미생물을 억제하는 박테리오신 및 젖산과 같은 저분자 화합물의 생산에 의존한다.[65]

참조

[1] 논문 Sur les ferments lactiques de l'industrie
[2] 논문 Comparative genomics of the lactic acid bacteria 2006-10
[3] 논문 A taxonomic note on the genus Lactobacillus: Description of 23 novel genera, emended description of the genus Lactobacillus Beijerinck 1901, and union of Lactobacillaceae and Leuconostocaceae 2020
[4] 논문 Lifestyles in transition: evolution and natural history of the genus Lactobacillus 2017-08
[5] 논문 Vaginal microbiome: rethinking health and disease 2012-09-20
[6] 논문 Differences in vaginal microbiome in African American women versus women of European ancestry 2014-10
[7] 논문 The evolution of ecological facilitation within mixed-species biofilms in the mouse gastrointestinal tract 2018-11
[8] 논문 Biofilm Forming Lactobacillus: New Challenges for the Development of Probiotics 2016-09
[9] 논문 Role of commensal and probiotic bacteria in human health: a focus on inflammatory bowel disease 2013-07
[10] 학위논문 Combined Phenotypic-Genotypic Analyses of the Genus Lactobacillus and Selection of Cultures for Biopreservation of Fermented Food ETH Zurich
[11] 논문 Lactic metabolism revisited: metabolism of lactic acid bacteria in food fermentations and food spoilage http://www.sciencedi[...] 2015-04-01
[12] 논문 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 and oxygen tolerance in some lactic acid bacteria 1981-06
[13] 논문 The Lactobacillus anomaly: total iron abstinence https://pubmed.ncbi.[...] 1997
[14] 논문 Characterization of two extracellular arabinanases in Lactobacillus crispatus https://pubmed.ncbi.[...] 2020-12
[15] 논문 Comparative functional genomics of Lactobacillus spp. reveals possible mechanisms for specialization of vaginal lactobacilli to their environment 2014-04
[16] 논문 Expanding the biotechnology potential of lactobacilli through comparative genomics of 213 strains and associated genera 2015-09
[17] 논문 Genomic Comparisons of Lactobacillus crispatus and Lactobacillus iners Reveal Potential Ecological Drivers of Community Composition in the Vagina 2016-12
[18] 논문 Survey of compound microsatellites in multiple Lactobacillus genomes 2015-12
[19] 논문 Plasmids encode niche-specific traits in Lactobacillaceae 2020-11
[20] 웹사이트 "''Lactobacillus''" https://lpsn.dsmz.de[...] "[[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LPSN)" 2021-07-02
[21] 웹사이트 "''Lactobacillus''" https://www.ncbi.nl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19-03-01
[22] 논문 Reclassification of Pediococcus dextrinicus (Coster and White 1964) Back 1978 (Approved Lists 1980) as Lactobacillus dextrinicus comb. nov., and emended description of the genus Lactobacillus 2009
[23] 논문 Vaginal microbiome of reproductive-age women. 2011-03-15
[24] 논문 The implausible "in vivo" role of hydrogen peroxide as an antimicrobial factor produced by vaginal microbiota. 2018-02-06
[25] 논문 Review article: fungal microbiota and digestive diseases 2014-04
[26] 논문 Small intestinal fungal overgrowth 2015-04
[27] 논문 In vaginal fluid, bacteria associated with bacterial vaginosis can be suppressed with lactic acid but not hydrogen peroxide. 2011-07-19
[28] 논문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4356 inhibits biofilm formation by C. albicans and attenuates the experimental candidiasis in Galleria mellonella 2015-02
[29] 논문 Production of a Broad Spectrum Antimicrobial Substance by Lactobacillus reuteri 1988-04
[30] 논문 Antimicrobial activity of lactobacilli: preliminary characterization and optimization of production of acidocin B, a novel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M46 1994-08
[31] 논문 Efficacy of prebiotics, probiotics, and synbiotics in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chronic idiopathic constipatio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4-10
[32] 논문 Use of probiotics in the fight against Helicobacter pylori 2014-11
[33] 논문 Immune system stimulation by probiotic microorganisms
[34] 간행물 Lactobacillus sp. Facilitate the Repair of DNA Damage Caused by Bile-In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in Experimental Models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https://doi.org/10.3[...]
[35] 논문 Vaginal microbiota and the use of probiotics 2009-03-09
[36] 논문 Probiotics and oral health effects in children 2008-01
[37] 논문 Probiotics: contributions to oral health 2007-09
[38] 논문 Probiotics for Oral Health: Myth or Reality? https://www.cda-adc.[...] 2009-10
[39] 간행물 Fermented Foods https://onlinelibrar[...] John Wiley & Sons, Ltd 2020-11-28
[40] 서적 Microbiology and Technology of Fermented Foods, 2nd edition http://doi.wiley.com[...] Blackwell Publishing
[41] 논문 High-throughput screening assays for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ies of Lactobacillus species 2015-07
[42] Doctoral Thesis PhD Thesis - Combined Phenotypic-Genotypic Analyses of the Genus Lactobacillus and Selection of Cultures for Biopreservation of Fermented Food ETH Zurich
[43] 논문 Lifestyles of sourdough lactobacilli - Do they matter for microbial ecology and bread quality? https://pubmed.ncbi.[...] 2019-08-02
[44] 논문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non-biogenic amines producing Lactobacillus plantarum GP11 isolated from traditional pickles using HRESI-MS analysis. 2021-06
[45] 논문 Comparison Review of the Production, Microbiology, and Sensory Profile of Lambic and American Coolship Ales 2022-11
[46] 문서 'Lactic Acid Bacteria and Their Uses in Animal Feeding to Improve Food Safety'
[47] 논문 Comparative genomics of the lactic acid bacteria 2006-10
[48] 논문 Lactobacillus species as biomarkers and agents that can promote various aspects of vaginal health
[49] 논문 Vaginal Microbiome: Rethinking Health and Disease http://www.annualrev[...] 2012-09-20
[50] 논문 Differences in vaginal microbiome in African American women versus women of European ancestry
[51] 논문 Comparative Functional Genomics of Lactobacillus spp. Reveals Possible Mechanisms for Specialization of Vaginal Lactobacilli to Their Environment http://jb.asm.org/co[...] 2014-04-01
[52] 논문 Survey of compound microsatellites in multiple Lactobacillus genomes http://www.nrcresear[...] 2015
[53] 웹사이트 All names cited in the 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List D - L http://www.bacterio.[...] LPSN bacterio.net 2017-05-04
[54] 문서 (IJSEM, Paper in Press).
[55] 논문 Review article: fungal microbiota and digestive diseases 2014-04
[56] 논문 Small intestinal fungal overgrowth 2015-04
[57] 논문 Efficacy of Prebiotics, Probiotics, and Synbiotics in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Chronic Idiopathic Constipatio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58] Review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probiotics, prebiotics, and synbiotic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2014-12-09
[59] 논문 The Role of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and Bifidobacteria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 Other Related Disease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Human Clinical Trials
[60] 논문 Asociaciones de probióticos para la prevención de la enterocolitis necrosante y la reducción de la sepsis tardía y la mortalidad neonatal en recién nacidos pretérmino de menos de 1.500g: una revisión sistemática
[61] 논문 Low-dose penicillin in early life induces long-term changes in murine gut microbiota, brain cytokines and behavior http://www.nature.co[...]
[62] 논문 歯周病関連細菌に対する''Lactobacillus salivarius'' WB21株の影響
[63] 논문 Probiotics and oral health effects in children
[64] 논문 Probiotics: Contributions to oral health
[65] 논문 High-throughput screening assays for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ies of Lactobacillus species 2015
[66] 논문 A taxonomic note on the genus Lactobacillus: Description of 23 novel genera, emended description of the genus Lactobacillus Beijerinck 1901, and union of Lactobacillaceae and Leuconostocaceae https://www.microbio[...] 2020
[67] 웹인용 Lactobacillus https://lpsn.dsmz.de[...] 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2021-07-02
[68] 웹인용 Lactobacillus https://www.ncbi.nl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19-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