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턴 타게팅 포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랜턴 타게팅 포드는 마틴 마리에타(현 록히드 마틴)가 개발하여 F-15E, F-16 전투기에 정밀 공격 능력을 부여하는 데 사용되는 항공기 장착형 포드 시스템이다. 1987년 미국 공군에 최초로 인도되었으며, AN/AAQ-13 항법 포드와 AN/AAQ-14 타게팅 포드로 구성된다. AN/AAQ-13은 야간 및 악천후 속에서 고속 침투 및 정밀 공격을 지원하며, AN/AAQ-14는 레이저 유도 폭탄의 정밀 투하를 지원한다. 최근에는 성능 향상을 위해 AN/AAQ-33 스나이퍼 첨단 조준 포드로 교체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게팅 포드 - 다모클레스 타게팅 포드
다모클레스 타게팅 포드는 탈레스 그룹에서 개발한 항공기 탑재용 타게팅 포드로, 주야간 정찰, 표적 식별, 정밀 타격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다양한 유도 무기와 호환되어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고 있다. - 타게팅 포드 - 라이트닝 타게팅 포드
라이트닝 타게팅 포드는 1990년대 후반에 개발된 항공기용 목표 포착 장비로, FLIR, 레이저 마커, 데이터 링크 등 다양한 기술을 통해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모듈식 설계를 통해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다양한 국가에서 사용된다.
랜턴 타게팅 포드 | |
---|---|
개요 | |
![]() | |
![]() | |
명칭 | |
영문 명칭 | Low Altitude Navigation and Targeting Infrared for Night |
약칭 | LANTIRN |
한국어 명칭 | 야간 저고도 항법 및 타겟팅 적외선 장비 |
개발 및 제조 | |
개발 국가 | 미국 |
개발 회사 | 마틴 마리에타 (현 록히드 마틴) |
개발 시작 | 1980년 |
기능 및 특징 | |
주요 기능 | 야간/전천후 정밀 타격 능력 제공 자동 지형 추적 비행 목표물 자동 획득 및 추적 |
구성 요소 | AN/AAQ-13 항법 포드 AN/AAQ-14 타겟팅 포드 |
탑재 항공기 | F-15E 스트라이크 이글 F-16 파이팅 팰컨 (일부 모델) B-1B 랜서 |
AN/AAQ-13 항법 포드 | |
주요 기능 | 지형 추적 레이더 전방 감시 적외선 (FLIR) |
특징 | 조종사에게 저고도, 고속 비행을 위한 실시간 지형 정보 제공 야간 및 악천후 속에서도 지형을 따라 자동 비행 가능 |
AN/AAQ-14 타겟팅 포드 | |
주요 기능 | 고해상도 전방 감시 적외선 (FLIR) 레이저 지시 장치/거리 측정기 목표물 자동 추적 |
특징 | 정밀 유도 무기 사용을 위한 정확한 목표물 지정 주간 및 야간 모두 사용 가능 목표물의 자동 획득 및 추적 기능 |
운용 | |
실전 투입 | 걸프 전쟁 |
주요 운용 국가 | 미국 이스라엘 사우디 아라비아 기타 |
기타 정보 | |
개발 배경 | 기존 항공기의 야간 및 악천후 작전 능력 제한 극복 정밀 유도 무기의 효율적인 사용 필요성 증대 |
2. 역사
미국의 주력기인 F-15와 F-16에 장착되는 항법 및 타게팅 포드로, 1987년에 개발되었다. 랜턴 시스템은 항법 포드와 타게팅 포드로 구성되며, 타게팅 포드의 레이저 지시기는 페이브웨이와 같은 레이저 유도 폭탄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기존 자유낙하식 폭탄의 CEP 100m 수준에서 레이저 유도 폭탄의 CEP 30m 수준으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항법 포드는 주야간 및 악천후 상황에서도 저공 비행을 가능하게 하여 작전 능력을 향상시킨다.
미국의 주력 전투기인 F-15와 F-16 등의 야간 및 악천후 하에서의 정밀 타격 능력과 저고도 침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된 시스템이다. 1987년에 개발이 완료되었다. LANTIRN 시스템은 항공기 외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포드로 구성된다.
랜턴의 연구 개발 프로그램은 1980년 9월, 미국 국방부가 플로리다주 올랜도에 위치한 마틴 마리에타(현재의 록히드 마틴)와 F-15E 및 F-16에 정밀 공격 능력을 부여하기 위한 포드 개발 계약을 체결하면서 시작되었다. 1983년 2월에는 '''AN/AAQ-13''' 항법 포드 시제품이, 같은 해 7월에는 '''AN/AAQ-14''' 조준 포드 시제품이 미국 공군에 납품되었다. 항법 포드의 초기 작전 시험 및 평가는 1984년 12월 성공적으로 완료되었고, 미국 공군은 1985년 3월 항법 포드의 저율 초기 생산을 승인했으며, 1986년 11월에는 본격적인 생산을 승인했다. 최초의 양산형 랜턴 포드는 1987년 3월 31일 공군에 인도되었다.
그러나 AN/AAQ-14 조준 포드는 개발 및 생산 지연으로 인해 양산형 납품이 1987년 4월에야 이루어졌고, 초기 작전 능력(IOC) 획득은 1989년 9월에 가능했다. IOC 획득 시점이 걸프 전쟁 직전이었기 때문에, 전쟁 발발 당시 군 전체 납품 수량은 AN/AAQ-13 항법 포드가 285기였던 반면, AN/AAQ-14 조준 포드는 32기에 불과했다. 또한 AN/AAQ-14는 F-15E의 일부 부대에 우선적으로 배치되어, 많은 F-15E와 대부분의 F-16에는 조준 포드가 장착되지 못했다. 이로 인해 특히 F-16의 경우, 레이저 유도가 필요 없는 AGM-65 매버릭이나 AGM-88 HARM 외에는 정밀 유도 무기 운용이 제한되어 기대했던 전과를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레이저 유도 폭탄을 사용해야 할 경우, 지상 부대의 레이저 조사 지원을 받거나 편대 내 다른 항공기가 레이저 조사를 실시하고 편대기가 유도 폭탄을 투하하는 버디 레이싱(Buddy Racing) 방식의 운용이 이루어졌다.
한편, 미국 해군에서는 그러먼 A-6 인트루더 공격기가 퇴역하면서 그 임무를 이어받을 기종으로 F-14 톰캣이 고려되었다. 1990년대 초까지 F-14는 공대지 임무 수행 능력을 갖추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폭탄 투하 승인을 받지 못했다. 이는 F-14 개발 지연과 초기 공대공 임무 집중 때문이었으며, 해군은 고가인 F-14를 지상 공격 임무에 투입하는 것을 주저했다. 그러나 TARPS 포드를 이용한 정찰 임무 수행을 통해 F-14의 지상 작전 생존 가능성이 입증되었고, 전자전(DECM) 및 레이더 경보 수신기(RHAW) 성능 개선이 이루어지면서 공대지 임무 투입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냉전 종식으로 함대 방공 임무의 중요성이 감소하자, NAVAIR는 사막의 폭풍 작전 이전에 F-14의 공대지 능력 확보 작업을 재개하여 일반 폭탄 및 레이저 유도 폭탄(LGB) 탑재를 가능하게 했다. F-14에 의한 최초의 LGB 실전 투하는 1995년 보스니아 작전 중 VFA-41 비행대대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이때 A-6 인트루더가 레이저 조사를 지원했다.
A-6의 완전 퇴역 결정 이후 F-14가 정밀 타격 임무를 이어받을 예정이었으나, 관련 예산 삭감으로 계획이 축소되었다. 이에 1994년 말, 마틴 마리에타는 미 공군용 랜턴 조준 포드를 F-14에 신속하게 통합하는 방안을 해군에 제안했다. 이 노력은 해군 항공대 대서양 함대 사령관(COMNAVAIRLANT)의 후원 하에 진행되었으며, 1995년 3월 VF-103 비행대대의 F-14B가 처음으로 레이저 유도 훈련탄(LGTR) 투하에 성공했고, 곧이어 LGB 투하에도 성공했다. 이러한 성공에 힘입어 NAVAIR는 포드와 제어 장치 조달을 시작했고, VF-103은 1996년 6월 14일 첫 LANTIRN 포드를 인수받아 배치를 준비했다.
F-14용 랜턴은 기존 시스템에서 항법 포드를 제외하고 조준 포드를 개량한 LANTIRN Targeting System (LTS), 제식명 '''AN/AAQ-25'''로 명명되었다. LTS는 GPS와 관성 측정 장치를 내장하여 외부 장비 없이도 자체적으로 포의 시선 유도 및 무장 투하 탄도를 계산할 수 있었다. 또한 조종사에게 마스킹 회피 곡선(기체 자체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을 방지) 정보를 제공하고, 최대 12200m 고도까지 작동 가능한 레이저를 갖추어 F-14가 위협 고도 이상에서 LGB를 운용할 수 있게 했다. 이는 아프가니스탄의 고지대에서 수행된 항구적 자유 작전에서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후기 소프트웨어 개량(T3, Tomcat Tactical Targeting)을 통해 LTS는 FLIR로 포착한 목표의 좌표 생성 정확도를 높였고, JDAM, JSOW, WCMD와 같은 GPS/INS 유도 무기 운용도 지원하게 되었다. LTS는 F-14의 AWG-9(F-14A/B) 또는 AN/APG-71(F-14D) 레이더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지만, 비디오 및 유도 정보만 조종석 디스플레이로 보내는 방식으로 통합되어 기체 개조를 최소화했다. 포드 제어는 후방석 무장 관제사(RIO)가 담당하고, 무장 투하 버튼은 조종사에게 위치했다. LTS 포드는 개당 약 300만달러의 높은 가격 때문에 총 75개만 도입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비행대대당 6~8개의 포드를 운용했다. LTS의 첫 실전 투입은 1998년 12월 사막의 여우 작전 중 VF-32 비행대대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랜턴 시스템은 본래 AN/AAQ-13 항법 포드와 AN/AAQ-14 조준 포드의 조합으로 구성되지만, 필요에 따라 F-16처럼 항법 포드만 장착하거나 F-14처럼 조준 포드(AN/AAQ-14 또는 개량형 AN/AAQ-25)만 장착하여 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990년대 중반에는 A-10과 B-1B 폭격기에도 랜턴 시스템을 통합하려는 계획이 있었으나 예산 문제로 보류되었다. 이후 2000년대에 이 계획이 다시 추진되어 A-10 현대화 개량 및 B-1B의 근접항공지원(CAS) 능력 강화 과정에서 랜턴의 후속 모델인 AN/AAQ-33 스나이퍼 XR 조준 포드의 운용 능력이 부여되었다.
현재 미국 공군은 AN/AAQ-13 항법 포드만 운용하고 있으며, 조준 포드는 후속 기종인 AN/AAQ-33 스나이퍼 XR로 대체되었다. 남은 AN/AAQ-14 조준 포드는 기존에 랜턴을 장비하지 않았던 일부 F-16CM/DM(CCIP 개량형) 부대로 이전되었다. 미국 해군의 F-14용 파생형인 AN/AAQ-25는 F-14 퇴역과 함께 운용이 종료되었으며, 해군은 조준 포드의 후계 기종으로 AN/AAQ-28 라이트닝과 AN/ASQ-228 ATFLIR을 도입하여 운용 중이다. 랜턴 시스템은 미국 군대가 야간 및 악천후 속에서 작전하는 능력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그 기술은 후속 타게팅 포드 시스템 개발의 기반이 되었다.
3. 기능
하나는 '''AN/AAQ-13''' 항법 포드이고 다른 하나는 '''AN/AAQ-14''' 타게팅 포드이다. 항법 포드는 내장된 지형 추종 레이더와 전방 감시 적외선(FLIR) 센서를 이용하여 조종사가 야간이나 악천후 속에서도 지형을 따라 안전하게 저고도로 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타게팅 포드는 고해상도 FLIR과 레이저 지시기/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갖추고 있어, 표적을 탐지 및 식별하고 페이브웨이와 같은 레이저 유도 폭탄을 정밀하게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자유낙하 폭탄에 비해 명중 정밀도(CEP)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항법 포드와 타게팅 포드를 한 쌍으로 사용하지만, 필요에 따라 항법 포드만 탑재하거나(걸프 전쟁 당시의 F-16처럼) 타게팅 포드만 탑재하여 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미국 해군의 F-14는 타게팅 포드인 AN/AAQ-14나 그 발전형인 '''AN/AAQ-25'''만을 탑재하여 운용했다. 특히 AN/AAQ-25는 GPS 및 INS 연동 기능이 추가되어 목표 지정 능력이 더욱 향상되었다.
3. 1. AN/AAQ-13 항법 포드
AN/AAQ-13 항법 포드는 LANTIRN 시스템의 일부로, 야간 및 악천후 속에서 전술 표적에 대한 고속 침투 및 정밀 공격을 가능하게 한다. 이 포드는 Ku 밴드 지형 추종 레이더(Terrain-Following Radar, TFR)와 고정된 전방 감시 적외선(Forward-Looking Infrared, FLIR) 카메라를 내장하고 있다.
내장된 지형 추종 레이더는 항공기의 자동 조종 시스템과 연동되어, 지표면이나 장애물로부터 약 30m 이상의 안전 고도를 유지하며 사전에 설정된 경로를 따라 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조종사는 산이나 계곡 같은 지형지물을 이용하고 어둠 속에서 탐지를 피하며 고속으로 저공비행을 수행할 수 있다. AN/AAQ-13은 미국 공군의 제공 전투기에 최초로 탑재된 광시야 FLIR 항법 시스템이기도 하다.
또한, 야간 저고도 비행 시 FLIR 센서가 포착한 전방 지형의 적외선 영상은 조종사의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에 투영될 수 있다. 이 영상에는 '플라이트 박스(flight box)'라고 불리는 안전 비행 경로가 함께 표시되어, 조종사가 이 박스의 중심을 따라 비행함으로써 지형 장애물을 효과적으로 회피하며 저고도 비행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AN/AAQ-13 항법 포드는 후속 조준 포드인 AN/AAQ-33 스나이퍼 XR이나 AN/AAQ-28 라이트닝 등이 등장한 이후에도 계속 현역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이들 신형 조준 포드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수출형 다운그레이드 버전으로는 '''AN/AAQ-20 패스파인더'''(Pathfinder)가 있다. 이 버전은 저고도 비행 시 지상 장애물 회피를 위한 핵심 기능인 지형 추종 레이더가 제거되었다. 따라서 패스파인더는 FLIR 센서를 통해 야간이나 악천후 속 지형의 시각 정보만을 제공하며, 조종사는 저고도 비행 중 장애물 회피를 위해 자신의 비행 기술에 더 의존해야 한다.
3. 2. AN/AAQ-14 타게팅 포드
AN/AAQ-14는 LANTIRN 시스템의 타게팅 포드로, 고해상도 전방 감시 적외선(FLIR) 센서와 레이저 지시기/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포함한다. 이 포드는 조종사에게 표적의 적외선 영상을 제공하고, 레이저 유도 폭탄(LGB)의 정밀한 투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AGM-65 매버릭 영상 적외선 미사일의 자동 락온을 위한 미사일 보어사이트 상관기와 자동 표적 추적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표적 탐지, 식별, 공격 과정을 단순화하여 단좌 전투기 조종사도 한 번의 비행으로 정밀 유도 무기를 사용하여 표적을 공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1]
베트남 전쟁 시기에는 AN/AVQ-10 페이브 나이프, AN/ASQ-153 페이브 스파이크, AN/AVQ-26 페이브 택과 같은 유사 장비들이 있었지만, 크기가 크거나 2대 이상의 편대로 운용해야 하는 등 제약이 많았다. AN/AAQ-14는 시스템 소형화와 유도용 레이저 조사 범위 확대를 통해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했다.
1980년 미국 국방부는 마틴 마리에타(현 록히드 마틴)와 F-15E 및 F-16에 정밀 공격 능력을 부여하기 위한 포드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AN/AAQ-14 조준 포드의 시제품은 1983년 7월 미국 공군에 납품되었고, 1985년 생산 계약이 체결되었다. 그러나 개발 및 생산 지연으로 양산형 납품은 1987년 4월에야 이루어졌으며, 1989년 9월에 초기 작전 능력(IOC)을 획득했다.
걸프 전쟁 발발 직전에 초기 작전 능력을 획득했기 때문에, 전쟁 당시 AN/AAQ-14의 배치 수량은 32기에 불과했다(AN/AAQ-13 항법 포드는 285기). 또한, AN/AAQ-14는 F-15E 일부 부대에 우선 배치되어 많은 F-15E와 F-16에는 탑재되지 못했다. 이로 인해 특히 F-16은 레이저 유도가 필요 없는 AGM-65 매버릭이나 AGM-88 HARM 외에는 정밀 유도 무기 운용에 제한이 따랐다.
수출용 다운그레이드 버전인 '''AN/AAQ-19 샤프슈터'''는 AGM-65 매버릭 운용 능력과 일부 공대공 기능이 삭제되었다.[1]
현재 미국 공군에서는 탑재된 FLIR의 해상도 부족 등의 이유로 2005년부터 후속 기종인 AN/AAQ-33 스나이퍼 ATP로 교체하고 있다. 미국 해군 역시 F-14(개수형)와 함께 운용하던 AN/AAQ-25(해군용 파생형)를 퇴역시키고, 후속 기종으로 AN/AAQ-28 라이트닝 및 AN/ASQ-228 ATFLIR을 도입하여 운용 중이다.
3. 3. AN/AAQ-25 (LANTIRN 40K)
AN/AAQ-25는 기존 AN/AAQ-14 표적 포드를 기반으로 미국 해군의 F-14 전투기 운용에 맞게 개량된 버전이다. 이 개량형은 LANTIRN 표적 시스템(LTS, LANTIRN Targeting System)으로도 불리며, 기존 LANTIRN 시스템에서 항법 포드는 제외하고 표적 포드의 기능을 향상시킨 것이다.
주요 개선점으로는 GPS와 관성 측정 장치(IMU)를 통합하여 포드의 시선 유도 정확도를 높이고 무장 투하 시 필요한 탄도 계산 능력을 자체적으로 갖춘 점이다. 이를 통해 외부 정렬 장비 없이 신속한 운용이 가능해졌다. 또한, 운용 고도 제한이 기존보다 대폭 향상된 12200m까지 높아져, F-14가 적의 방공망 위협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한 고고도에서 레이저 유도 폭탄(LGB)을 정밀하게 투하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고고도 운용 능력은 아프가니스탄과 같이 고지대가 많은 전장에서 특히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AN/AAQ-25는 FLIR로 포착한 모든 목표 지점의 좌표를 생성할 수 있었으며, 후기 소프트웨어 개량(T3, Tomcat Tactical Targeting)을 통해 좌표 정확도를 더욱 높이고 GPS/INS 유도 방식의 JDAM, JSOW, WCMD 등 다양한 정밀 유도 무기에 대한 표적 좌표 생성이 가능해졌다.
F-14에 AN/AAQ-25를 탑재할 경우, 후방석(RIO) 콘솔 오른쪽에 위치한 TARPS용 모니터를 AN/AAQ-25 제어 패널로 교체하여 설치했다. 이 때문에 TARPS 정찰 포드와 AN/AAQ-25 표적 포드를 동시에 장착하고 운용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F-14의 마지막 실전 배치 임무를 수행한 VFA-213 비행대대의 기체에는 AN/AAQ-25로 획득한 표적 이미지를 지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다운링크 기능이 추가되기도 했다.
3. 4. 타이거 아이
LANTIRN의 발전형이다. 탑재된 FLIR을 1세대에서 3세대로 교체하여 해상도를 향상시켰으며, AN/AAQ-19 또는 AN/AAQ-33의 파일론 부분에는 AN/AAS-42 IRST를 추가로 장착했다. 따라서 파일론은 관련 장비의 탑재로 인해 굵어졌다. 대한민국 공군의 F-15K와 싱가포르 공군의 F-15SG에서 운용되고 있다.
4. 대한민국 공군과 랜턴
대한민국 공군은 F-15K 전투기를 도입하면서 랜턴(LANTIRN)의 발전형인 '타이거 아이'(Tiger Eye) 시스템을 함께 도입하여 운용하고 있다.[1] 타이거 아이는 기존 랜턴 시스템의 항법 포드(AN/AAQ-13)와 조준 포드(AN/AAQ-14)의 기능을 통합하고 성능을 개선한 장비로 알려져 있다.
타이거 아이는 탑재된 FLIR(Forward-Looking InfraRed)을 1세대에서 3세대로 교체하여 해상도를 크게 향상시켰다.[1] 또한, 파일론 부분에는 AN/AAS-42 IRST(InfraRed Search and Track)를 추가로 장착하여 탐지 능력을 강화했다.[1] 이로 인해 관련 장비 탑재로 파일론의 외형이 기존 랜턴보다 굵어진 특징이 있다.[1]
타이거 아이는 F-15K의 야간 및 악천후 상황에서의 작전 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는 핵심 장비로 평가받는다. 대한민국 공군 외에도 싱가포르 공군의 F-15SG 전투기에서 운용되고 있다.[1]
5. 운용 기종
랜턴(LANTIRN) 시스템은 본래 미국 공군의 주력 전투기인 F-15E 스트라이크 이글과 F-16 파이팅 팰컨에 정밀 타격 능력을 부여할 목적으로 1980년부터 개발되었다. 1987년에 처음 납품되었으며, 항법 포드(AN/AAQ-13)와 조준 포드(AN/AAQ-14) 한 쌍으로 구성된다.
미국 해군에서는 A-6 인트루더 공격기의 임무를 이어받아 F-14 톰캣 전투기에 랜턴 시스템을 통합하여 운용했다. 냉전 종식 이후 공대지 임무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1990년대 중반부터 개수된 F-14 기체에 랜턴 표적 시스템(LTS, AN/AAQ-14 기반의 개량형 AN/AAQ-25)을 장착하여 정밀 타격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시스템은 항법 포드와 조준 포드를 함께 사용하거나, 각각 별도로 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프 전쟁 당시 일부 F-16은 항법 포드만 탑재했으며, F-14는 조준 포드(AN/AAQ-14 또는 AN/AAQ-25)만 탑재하여 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초기 생산 및 배치 지연으로 걸프 전쟁 당시에는 조준 포드(AN/AAQ-14)가 일부 F-15E 부대에만 우선 배치되었고, 많은 F-15E와 F-16은 랜턴 시스템 없이 운용되거나 항법 포드만 장착했다.
1990년대 중반에는 A-10 선더볼트 II와 B-1 랜서에 랜턴 시스템을 적용하는 방안이 검토되었으나, 예산 문제로 실현되지 않았다.
현재 미국 공군에서는 조준 포드가 후속 모델인 AN/AAQ-33 스나이퍼 XR 등으로 대체되었지만, 항법 포드(AN/AAQ-13)는 일부 F-16CM/DM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다. 미국 해군의 F-14는 2006년 모두 퇴역하면서 해군용 랜턴 포드(AN/AAQ-25)도 함께 퇴역했다. 해군은 이후 AN/AAQ-28 라이트닝이나 AN/ASQ-228 ATFLIR과 같은 다른 조준 포드를 운용하고 있다.
주요 운용 기종은 다음과 같다.
- F-14 톰캣 (탑재 개수 기체만 해당, 현재 퇴역)
- F-15E 스트라이크 이글
- F-16 파이팅 팰컨
6. 운용 국가
- 벨기에: 벨기에 공군[3]
- 이집트: 이집트 공군[4]
- 그리스: 그리스 공군[5]
- 이스라엘: 이스라엘 공군[6] 미국 외 국가로의 판매는 걸프 전쟁 이후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에 F-15E용 장비로 수출된 것이 처음이다. 일반적으로 수출형은 미국군 사양보다 성능이 제한된 다운그레이드형이지만, 이스라엘에는 예외적으로 미국군과 동일한 사양이 인도되었다.
- 네덜란드: 네덜란드 왕립 공군[5]
- 싱가포르: 싱가포르 공군[7] F-15SG에서 LANTIRN의 발전형을 운용한다.
- 대한민국: 대한민국 공군[8] F-15K에서 LANTIRN의 발전형인 타이거 아이(Tiger Eye)를 운용한다. 타이거 아이는 탑재된 FLIR을 1세대에서 3세대로 교체하여 해상도를 향상시킨 버전이다.
7. 제원
구분 | AN/AAQ-13 항법 포드 | AN/AAQ-14 조준 포드 |
---|---|---|
개발/설계 | 록히드 마틴 | |
전장 | 1.99m | 2.51m |
직경 | 305mm | 380mm |
중량 | 204.6kg | 240.7kg |
도입일 | 1987년 3월 | |
단가[2] | 138만달러 | 360만달러 |
참조
[1]
웹사이트
Lockheed Martin AN/AAQ-19 Sharpshooter
http://wiki.scramble[...]
Dutch Aviation Society
2011-06-29
[2]
웹사이트
Official Site of the U.S. Air Force - Fact Sheet (Printable) : LANTIRN
http://www.af.mil/in[...]
[3]
웹사이트
Belgian Air Force buys eight Sniper XR targeting pods
https://www.f-16.net[...]
2022-06-28
[4]
웹사이트
Egypt getting more LANTIRN targeting pods
https://www.defencew[...]
2020-10-06
[5]
웹사이트
AN/AAQ-13 & AN/AAQ-14 LANTIRN Navigation & Targeting Pod
https://www.f-16.net[...]
2022-06-28
[6]
웹사이트
F-16 Air Forces - Israel
https://www.f-16.net[...]
2022-06-28
[7]
웹사이트
143rd squadron (RSAF)
https://www.f-16.net[...]
2022-06-28
[8]
웹사이트
155th Fighter Squadron (RoKAF)
https://www.f-16.net[...]
2022-06-28
[9]
웹사이트
F-16 Air Forces - Republic of China / Taiwan
https://www.f-16.net[...]
2022-06-28
[10]
웹사이트
F-16 Air Forces - Turkey
https://www.f-16.net[...]
2022-06-28
[11]
웹사이트
USAF Fact Sheet - LANTIRN
https://www.af.mil/A[...]
2023-02-18
[12]
웹사이트
New LANTIRN ER goes to war
https://www.navair.n[...]
2023-0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