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러시아 임시정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 임시정부는 1917년 2월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이 붕괴된 후 수립된 정부이다. 자유주의자들이 주도하여 민주적인 선거를 통해 선출된 대표자들로 구성된 입헌의회 개최를 목표로 했다. 그러나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와의 권력 다툼, 제1차 세계 대전 지속 여부에 대한 갈등으로 여러 차례 붕괴와 연립 정부 구성을 반복했다. 1917년 10월 혁명으로 볼셰비키가 주도하는 소비에트에 의해 해체되었다. 임시정부는 언론, 출판, 집회의 자유 보장 등 진보적인 정책을 추진했지만, 정책 집행 능력 부족과 이중 권력 구조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코르닐로프 사건 이후 러시아 공화국을 선포했지만, 볼셰비키의 10월 혁명으로 붕괴되었다. 미국,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왕국 등 국제적으로 승인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공화국 - 겨울 궁전
    겨울 궁전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바로크 양식 궁전으로, 1732년부터 1917년까지 러시아 황제의 공식 거처였으며 현재는 에르미타주 미술관의 주요 건물이다.
  • 러시아 공화국 - 러시아 2월 혁명
    러시아 2월 혁명은 제1차 세계 대전의 부담, 차르 체제의 모순, 라스푸틴의 영향력으로 인한 민심 이반으로 시작되어 노동자, 군인, 시민들의 봉기로 확산되었고, 임시 정부와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의 이중 권력 체제를 형성했으나 10월 혁명으로 붕괴된 러시아의 민주주의 혁명 시도 사건이다.
  • 임시정부 -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3·1 운동 직후 독립운동 세력의 통합을 목표로 상하이에서 수립되어 일본 제국에 맞서 무장 투쟁과 외교 활동을 펼쳤으나, 해방 후 정치적 난관을 겪으며 정통성과 역할에 대한 논쟁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임시정부 - 남베트남 공화국
    남베트남 공화국은 베트남 전쟁 중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을 주축으로 수립된 임시혁명정부로서, 남베트남에 대항하며 "독립, 민주, 평화, 중립"을 표방했으나, 사이공 함락 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에 흡수되었고, 북베트남의 괴뢰 정부로 평가받는다.
  • 러시아 혁명 - 군사혁명위원회
    군사혁명위원회는 1917년 러시아 혁명 당시 블라디미르 레닌의 아이디어로 창설된 볼셰비키 주도의 무장 봉기 지휘 기관으로,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 산하 페트로그라드 군사혁명위원회를 필두로 전국 각지에 설치되어 10월 혁명에서 무장 봉기를 주도, 볼셰비키가 권력을 장악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 러시아 혁명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독재자이자 소련 공산당 지도자로서, 소련의 산업화와 2차 세계 대전 승리를 이끌었지만 대숙청과 공포 정치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그의 통치와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러시아 임시정부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러시아 공화국 국장 (1917년)
러시아 공화국 국장 (1917년)
관할 지역러시아
존속 기간1917년 3월 15일 ~ 1917년 11월 7일
정치 체제연립 정부
반대 진영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 집행위원회
반대 진영 지도자니콜라이 치헤이제
수반
국가 원수알렉세이 2세 (미선포)
미하일 2세 (조건부)
게오르기 리보프 (사실상)
정부 수반게오르기 리보프
구성
이전 정부골리친 정부
다음 정부알렉산드르 케렌스키
이전니콜라이 골리친
이후알렉산드르 케렌스키
참여 정당진보 블록
사회혁명당
멘셰비키
인민 사회당
반대 정당볼셰비키
좌익 사회혁명당
언어 및 명칭
공용어러시아어
러시아어 명칭Временное правительство России (Vremennoye pravitel'stvo Rossii)
수도
수도페트로그라드
역사
성립1917년 3월 16일
붕괴1917년 11월 8일
통화
통화러시아 루블

2. 역사

1917년 2월 혁명으로 니콜라이 2세가 퇴위하고 러시아 제국이 붕괴하면서 러시아 임시정부가 수립되었다. 3월 12일(율리우스력 2월 27일) 니콜라이 골리친 수상이 사임 압력을 받자, 미하일 로댜잔코가 이끄는 국가두마 임시위원회가 제4차 국가두마의 활동을 중단시키고 일시적으로 국가 권력을 장악, 3월 13일 새 정부 수립을 발표했다. 임시정부는 3월 15일(신력)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와의 협력으로 구성되었으며, 처음에는 게오르기 류보프 공작이, 이후에는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이끌었다.[5]

임시정부는 정치적 파벌주의와 국가 구조 붕괴로 인해 결정적인 정책을 내리기 어려웠다.[5] 특히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는 제국 육군, 지역 공장, 러시아 철도를 장악하며 임시정부와 권력 경쟁을 벌였다.[6] 이러한 권력 경쟁은 1917년 10월 10월 혁명으로 임시정부가 전복되고 레닌과 레온 트로츠키가 이끄는 볼셰비키가 권력을 잡으면서 끝났다. 임시정부의 약점은 케렌스키에게 붙여진 "최고 설득자"라는 별명에서 잘 드러난다.[7]

제1차 세계 대전 지속을 추구하는 임시정부와 강화를 요구하는 소비에트 간의 대립으로 제1차 임시정부는 붕괴되었다. 이후 자유주의자들과 사회혁명당(에스엘), 멘셰비키 중심의 사회주의자들이 참여하는 제1차 연립정부가 성립되었으나, 우크라이나 자치 문제로 입헌민주당(카데트) 장관들이 사임하면서 붕괴되었다. 이후 케렌스키를 수반으로 하는 제2차 연립정부가 성립되었고, 콜니로프 반란 진압 과정에서 소비에트의 힘이 일시적으로 강해졌다.

1917년 10월 25일 (그레고리력 11월 7일) 10월 혁명으로 볼셰비키가 주도하는 소비에트에 의해 임시정부는 해체되었다. 알렉산드르 케렌스키를 제외한 제3차 임시정부 장관들 대부분은 체포되거나 해외로 추방되었다.

2. 1. 임시정부의 탄생

1917년 2월 혁명으로 반(反)황제주의가 확산되면서, 당시 황제였던 니콜라이 2세는 의회에 의해 퇴위당하고 시베리아로 유배되었다. 이후 제국 의회는 러시아를 통치하기 위한 임시정부를 수립했다.[32] 임시정부의 주요 인사들은 반(反)황제파였던 러시아 제국 두마 의원, 대신, 장군들이었다.

러시아 임시정부 구성원 12명. 왼쪽부터 P. N. 밀류코프, G. E. 류보프, A. F. 케렌스키, N. V. 네크라소프, A. I. 코노발로프, A. A. 마누일로프, A. I. 구치코프, A. I. 싱가레프, A. I. 테레시첸코, I. V. 고드니예프, V. N. 류보프, F. I. 로디체프


3월 12일(율리우스력 2월 27일), 니콜라이 골리친 수상이 사임 압력을 받자, 국가두마 임시위원회 위원 24명이 임명되었다. 위원회는 미하일 로댜잔코가 이끌었으며, 제4차 국가두마의 활동을 중단시켰다. 그는 일시적으로 국가 권력을 장악하고 3월 13일 새 정부 수립을 발표했다. 임시정부는 3월 15일(신력) 임시위원회가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와 협력하여, 볼셰비키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구성되었다. 정부는 처음에는 게오르기 류보프 공작이, 그 후에는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이끌었다. 임시정부는 마린스키 궁전에서 의장직을 수행했던 러시아 장관회의를 대체했다.

임시정부 수립은 다음 날 ''이즈베스티야''에 발표되었다.[10] 발표에는 다음과 같은 정부 선언이 포함되었다.

  • 테러, 군사 반란, 농민 범죄 등을 포함한 모든 정치적, 종교적 문제에 대한 완전하고 즉각적인 사면
  • 군인에게도 군사 기술적 조건에서 허용되는 제한 내에서 정치적 자유의 확산과 함께 언론, 출판, 노동조합, 집회, 파업의 자유
  • 모든 세습적, 종교적, 민족적 계급 제한의 폐지
  • 정부 형태와 헌법을 결정할 입헌의회를 보편, 평등, 비밀, 직접 투표를 기반으로 소집하기 위한 즉각적인 준비
  • 경찰을 공공 밀리치야로 대체하고 지역 당국에 종속된 선출된 의장을 두는 것
  • 보편, 직접, 평등, 비밀 투표를 기반으로 한 지방 자치 단체의 선출
  • 혁명 운동에 참여한 군 부대의 무장 해제 및 페트로그라드 철수 금지
  • 계급 내 엄격한 규율을 유지하고 군 복무를 수행하는 가운데 – 모든 시민에게 부여된 공공 권리 사용에 대한 군인의 모든 제한 해제


또한 "임시정부는 위의 개혁과 조치의 이행을 지연시키기 위해 군사 상황을 이용할 의도가 없음을 덧붙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밝혔다.

러시아 임시정부 회의


1917년 3월 러시아 혁명(2월 혁명)으로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가 퇴위하고 러시아 제국이 붕괴되면서 새로운 정부가 수립되었다.

임시정부 하에서는 페트로그라드 솔비에트가 군의 지휘권을 장악하고 있었다.

국가날짜
미국1917년 3월 22일
영국1917년 3월 24일
프랑스
이탈리아


2. 2. 정책들과 실정

러시아 임시정부는 의회에서 공식적으로 수립되었지만, 입헌민주당을 주류로 하는 정부 인사들은 보수주의적 성향이 강했고, 사회주의를 배척했다. 이러한 정부 운영은 국민의 뜻과 어긋나 군대에서 탈영병이 속출하고 각 지방에서 봉기가 일어났다. 또한 제1차 세계대전 중이었기 때문에 독일 제국의 공격을 계속 받았다.[5]

임시정부는 정치적 파벌주의와 국가 구조 붕괴로 인해 결정적인 정책 결정을 내릴 수 없었다. 이러한 약점은 우익과 좌익 모두로부터 강력한 도전을 받게 했다. 특히 좌익의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는 제국 육군, 지역 공장, 러시아 철도를 장악하며 임시정부와 권력 경쟁을 벌였다.[6] 이러한 권력 경쟁은 1917년 10월 10월 혁명으로 임시정부가 전복되고 레닌과 레온 트로츠키가 이끄는 볼셰비키가 권력을 잡으면서 끝났다.

임시정부의 약점은 케렌스키에게 붙여진 "최고 설득자"라는 별명에서 잘 드러난다.[7]

초기 임시정부 구성은 다음과 같다.

직책이름정당임명 시기
총리 겸 내무부 장관게오르기 류보프1917년 3월
외무부 장관파벨 밀류코프입헌민주당1917년 3월
미하일 테레셴코무소속1917년 4월
육군·해군 장관알렉산드르 구치코프10월당1917년 3월
알렉산드르 케렌스키사회혁명당1917년 4월
교통부 장관니콜라이 네크라소프입헌민주당1917년 3월
상공부 장관알렉산드르 코노발로프진보당1917년 3월
사법부 장관알렉산드르 케렌스키사회혁명당1917년 3월
파벨 페레베르제프사회혁명당1917년 4월
재무부 장관미하일 테레셴코무소속1917년 3월
안드레이 싱가레프입헌민주당1917년 4월
교육부 장관알렉산드르 마누일로프입헌민주당1917년 3월
농업부 장관안드레이 싱가레프입헌민주당1917년 3월
빅토르 체르노프사회혁명당1917년 4월
노동부 장관마트베이 스코벨레프멘셰비키1917년 4월
식량부 장관알렉세이 페셰호노프인민사회주의자1917년 4월
우정·전신부 장관이라클리 체레텔리멘셰비키1917년 4월
최고검찰관성 시노드블라디미르 류보프진보당1917년 3월



1917년 여름, 임시정부는 6월 공세를 통해 군사적 성공을 이루려 했다. 그러나 이 공세는 실패로 끝났고, 수많은 러시아 병사가 사망하고 영토를 상실했다. 이로 인해 페트로그라드에서 '7월 혁명'으로 알려진 무장봉기가 일어났다. 임시정부는 봉기를 진압했지만, 전쟁 지속에 대한 입장 때문에 병사와 노동자들의 신뢰를 잃었다.[11]

1917년 2월 혁명 이후 러시아의 정치 지형은 급변했다. 자유주의 지식인 중심의 입헌민주당은 주요 권력을 장악했지만, 노동자들의 정치화는 정치적 스펙트럼을 좌경화시켰다. 많은 도시 노동자들은 멘셰비키를 지지했지만, 일부는 볼셰비키를 지지했다. 농민들은 사회혁명당을 지지하며 농촌 사회주의와 토지 정책을 요구했다. 이러한 좌파 정당들의 급속한 성장은 입헌민주당과 같은 온건 자유주의 정당을 "새로운 보수주의자"로 만들었다.

임시정부는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와의 이중 권력 구조 속에서 실질적인 권력을 잃었다.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는 군대와 철도를 통제하며 정책 시행 능력을 가졌지만, 임시정부는 그렇지 못했다.[18]

짧은 통치 기간에도 불구하고 임시정부는 유럽에서 가장 자유주의적인 법률을 통과시켰다. 국가와 교회의 분리, 농촌 자치 강조, 언론, 출판, 집회의 자유 등 기본적인 시민권을 확인하고, 사형제도 폐지, 농촌 경제 재분배 등의 정책을 시행했다. 또한, 억압받던 지역에 더 많은 자유를 부여하여 폴란드는 독립을, 리투아니아와 우크라이나는 더 많은 자치권을 얻었다.[19]

그러나 임시정부의 주요 문제는 입법 정책을 집행하고 관리할 능력이 없다는 것이었다. 외교 정책에서는 케렌스키 공세와 같은 공격적인 정책으로 인해 반대가 증가했다. 국내적으로는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에 의해 권력이 지배되었다. 알렉산드르 구치코프 전쟁장관은 "우리(임시정부)는 권위를 가지고 있지 않고, 권위의 외관만 가지고 있을 뿐입니다. 실제 권력은 소비에트에 있습니다"라고 말했다.[20]

2. 3. 부르주아-프롤레타리아 연립 내각

1917년 4월, 외무장관 파벨 밀류코프가 연합국에 전쟁 지속 의사를 밝힌 것이 알려지면서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다 (4월 위기).[5] 임시정부는 멘셰비키, 사회혁명당 등 사회주의 정당과의 연립 내각을 구성하여 위기를 수습하려 했다.[33]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국방 장관으로 임명되고, 사회주의 정당 인사들이 정부 요직에 임명되었다.[33] 케렌스키는 독일군에 대한 대규모 공세(6월 공세)를 감행했으나,[11] 이는 참담한 실패로 끝났다.[11] 이 실패한 군사 공세는 페트로그라드에서 '7월 혁명'으로 알려진 무장봉기로 이어지는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다.[11]

제2차 연립 내각의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직책이름정당
총리 겸 육군·해군 장관알렉산드르 케렌스키사회혁명당
부총리 겸 재무장관니콜라이 네크라소프입헌민주당
외무장관미하일 테레셴코무소속
내무장관니콜라이 아프센티예프사회혁명당
교통장관표트르 유레네프입헌민주당
상공장관세르게이 프로코포비치무소속
사법장관알렉산드르 자루드니인민사회주의자
교육장관세르게이 올덴부르크입헌민주당
농업장관빅토르 체르노프사회혁명당
노동장관마트베이 스코벨레프멘셰비키
식량장관알렉세이 페셰호노프인민사회주의자
보건장관이반 예프레모프진보당
우정전신장관알렉세이 니키틴멘셰비키
최고종교회의 최고검사블라디미르 류보프진보당


2. 4. 임시정부의 해체

케렌스키는 전쟁 반대 여론을 주도하던 블라디미르 레닌에게 독일 간첩 혐의를 씌워 제거하려 했다. 레닌은 핀란드를 거쳐 페트로그라드로 돌아와 10월 혁명을 주도했다.[15][16][17] 1917년 11월(러시아력 10월), 레온 트로츠키가 이끄는 붉은 군대가 페트로그라드의 주요 시설을 점령하고, 겨울 궁전에 있던 임시정부 각료들을 체포했다. 케렌스키는 미국 대사관으로 도피하여 망명했고, 임시정부는 붕괴했다.[26]

제2차 연립 내각의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직책이름정당
총리 겸 육군·해군 장관알렉산드르 케렌스키사회혁명당
부총리 겸 재무장관니콜라이 네크라소프입헌민주당
외무장관미하일 테레셴코무소속
내무장관니콜라이 아프센티예프사회혁명당
교통장관표트르 유레네프입헌민주당
내무장관이라클리 체레텔리멘셰비키
상공장관세르게이 프로코포비치무소속
사법장관알렉산드르 자루드니인민사회주의자
교육장관세르게이 올덴부르크입헌민주당
농업장관빅토르 체르노프사회혁명당
노동장관마트베이 스코벨레프멘셰비키
식량장관알렉세이 페셰호노프인민사회주의자
보건장관이반 예프레모프진보당
우정전신장관알렉세이 니키틴멘셰비키
최고종교회의 최고검사블라디미르 류보프진보당



볼셰비키의 10월 혁명으로 임시정부는 전복되었다. 붉은 근위대는 정부 청사를 점령하고 겨울 궁전을 함락시켰다. 케렌스키는 프스코프로 도망쳐 풀코보에서 패배한 후 망명했다.[27] 소피아 파니나의 집에서 "소협의회"가 저항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27]

일부 학자들은 임시정부의 실패가 10월 혁명의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주장한다.[28] 리아사노프스키는 임시정부가 입헌의회 선거를 빨리 치르지 않은 것을 "최악의 실수"라고 평가했다.[7][29]

3. 내각 구성

2월 혁명 이후 러시아는 니콜라이 2세의 퇴위로 새로운 정치 체제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국가두마 임시위원회는 1917년 3월 15일(신력)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와의 협력을 통해 임시정부를 구성했다. 초기에는 게오르기 류보프 공작이, 이후에는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정부를 이끌었다.[5]

임시정부는 정치적 분열과 국가 구조 붕괴로 인해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 특히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는 임시정부의 주요 경쟁 세력이었다.[6] 권력 투쟁은 1917년 10월 말 10월 혁명으로 절정에 달했고, 볼셰비키가 임시정부를 무너뜨리고 권력을 장악했다.[7]

임시정부 수립 발표는 다음 날 ''이즈베스티야''에 발표되었으며,[10] 여기에는 정치적, 종교적 자유, 평등 선거, 혁명 참여 군인에 대한 권리 보장 등 다양한 개혁 조치가 포함되었다.

임시정부의 내각은 여러 차례 개편되었다.
임시정부의 내각 구성 변화

직책초기 구성 (1917년 3월)제1차 연립 내각 (1917년 5월)제2차 연립 내각 (1917년 7월)제3차 연립 내각 (1917년 9월)
총리게오르기 리보프 (무소속)게오르기 리보프 (무소속)알렉산드르 케렌스키 (사회혁명당)알렉산드르 케렌스키 (사회혁명당)
부총리니콜라이 네크라소프 (입헌민주당)알렉산드르 코노발로프 (입헌민주당)
내무장관게오르기 리보프 (무소속)게오르기 리보프 (무소속)니콜라이 아브크센체프 (멘셰비키)알렉세이 니키틴 (멘셰비키)
외무장관파벨 밀류코프 (입헌민주당)미하일 테레셴코 (무소속)미하일 테레셴코 (무소속)미하일 테레셴코 (무소속)
육군·해군 장관알렉산드르 구치코프 (10월 17일 동맹)알렉산드르 케렌스키 (사회혁명당)알렉산드르 케렌스키 (사회혁명당)
육군상알렉산드르 베르호프스키
해군상드미트리 베르데레프스키
교통 장관니콜라이 네크라소프 (입헌민주당)니콜라이 네크라소프 (입헌민주당)표트르 유레네프 (입헌민주당)알렉산드르 리베로프스키 (무소속)
상공 장관알렉산드르 코노발로프 (진보당)알렉산드르 코노발로프 (진보당)세르게이 프로코포비치 (무소속)알렉산드르 코노발로프 (입헌민주당)
재무 장관미하일 테레셴코 (무소속)안드레이 싱가료프 (입헌민주당)니콜라이 네크라소프 (입헌민주당)미하일 베르나츠키 (입헌민주당)
교육 장관알렉산드르 마누일로프 (입헌민주당)알렉산드르 마누일로프 (입헌민주당)세르게이 올덴부르크 (입헌민주당)세르게이 살라즈킨 (무소속)
농무 장관안드레이 신가리요프 (입헌민주당)빅토르 체르노프 (사회혁명당)빅토르 체르노프 (사회혁명당)세묜 마슬로프 (사회혁명당)
사법 장관알렉산드르 케렌스키 (트루도비키)파벨 페레벨제프 (트루도비키)알렉산드르 자르도누이 (Народные социалисты|인민사회주의자ru)파벨 말랸토비치 (멘셰비키)
우정 장관이라클리 체레텔리 (멘셰비키)알렉세이 니키틴 (멘셰비키)알렉세이 니키틴 (멘셰비키)
노동 장관마트베이 스코벨레프 (멘셰비키)마트베이 스코벨레프 (멘셰비키)쿠즈마 그보즈제프 (멘셰비키)
식량 장관알렉세이 페셰호노프 (Народные социалисты|인민사회주의자ru)알렉세이 페셰호노프 (Народные социалисты|인민사회주의자ru)세르게이 프로코포비치 (무소속)
국가감독장관드미트리 샤호프스코이 (입헌민주당)이반 니콜라예비치 예프레모프 (Прогрессивная партия|진보당ru)니콜라이 키시킨 (입헌민주당)
종무원 원장블라디미르 리보프 (중도파)블라디미르 리보프 (중도파)안톤 카르타쇼프 (멘셰비키)안톤 카르타쇼프 (입헌민주당)
회계감사원장이반 고드네프 (10월 17일 동맹)이반 고드네프 (10월 17일 동맹)표도르 코코시킨 (입헌민주당)세르게이 스미르노프 (입헌민주당)
핀란드 담당 장관표도르 로디체프 (입헌민주당)
경제평의회 의장세르게이 트레차코프 (진보당)



임시정부는 국제적으로도 인정을 받았다. 다음은 임시정부를 승인한 국가와 날짜이다.

국가날짜
미국1917년 3월 22일
영국1917년 3월 24일
프랑스
이탈리아


3. 1. 초기 구성 (1917년 3월)

1917년 3월, 2월 혁명으로 니콜라이 2세가 퇴위하고 시베리아로 유배된 후, 제국 의회는 러시아를 통치하기 위해 임시정부를 수립했다.[32] 임시정부의 주요 인사들은 반황제적인 러시아 제국의 두마 의원, 대신, 장군들이었다.

3월 12일(율리우스력 2월 27일), 니콜라이 골리친 수상이 사임 압력을 받자, 국가두마 임시위원회의 24명의 위원들이 임명되었다. 미하일 로댜잔코가 이끌었던 이 위원회는 제4차 국가두마의 활동을 중단시키고, 3월 13일 새로운 정부 수립을 발표하며 일시적으로 국가 권력을 장악했다. 1917년 3월 15일(신력), 임시위원회는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와 협력하여 볼셰비키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임시정부를 구성했다. 게오르기 류보프 공작이 처음 정부를 이끌었고, 이후에는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이끌었다. 임시정부는 마린스키 궁전에서 의장직을 수행했던 러시아 장관회의를 대체했다.

임시정부는 정치적 파벌주의와 국가 구조 붕괴로 인해 제대로 된 정책 결정을 내릴 수 없었다.[5] 이러한 약점은 우익과 좌익 양쪽으로부터의 강력한 도전을 초래했다. 좌익의 주요 적대 세력은 공산주의 위원회였던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로, 러시아의 가장 중요한 항구 도시를 장악하고 통치했다.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는 처음에는 임시정부와 협력했지만, 점차 제국 육군, 지역 공장, 러시아 철도를 장악해 나갔다.[6]

파벨 밀류코프가 1916년 11월 1일 두마에서 보리스 슈튀르메르 정부를 공격하면서 차르 정부의 권위는 무너지기 시작했다. 슈튀르메르는 알렉산드르 트레포프와 니콜라이 골리친으로 이어졌지만, 두 사람 모두 몇 주 만에 총리직에서 물러났다. 2월 혁명 기간 동안 국무회의와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는 타우리데 궁전에서 권력을 다투었다. 니콜라이 2세는 3월 2일(율리우스력 3월 15일)에 퇴위했고, 밀류코프는 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그의 동생인 미하일 대공에게 섭정직을 제안했다.[8] 미하일 대공은 러시아 입헌의회의 결정 후에 수락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며, 다음 날 황권 승계를 연기했다.[9] 임시정부는 필수적인 정부 서비스를 유지하면서 의회 선거를 준비하도록 설계되었지만,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의 권한이 커지면서 그 권력은 실질적으로 제한되었다.

임시정부 수립 발표는 다음 날 ''이즈베스티야''에 발표되었다.[10] 이 발표에는 다음과 같은 정부 선언이 포함되었다.

  • 테러, 군사 반란, 농민 범죄 등을 포함한 모든 정치적, 종교적 문제에 대한 완전하고 즉각적인 사면
  • 군인에게도 군사 기술적 조건에서 허용되는 제한 내에서 정치적 자유의 확산과 함께 언론, 출판, 노동조합, 집회, 파업의 자유
  • 모든 세습적, 종교적, 민족적 계급 제한의 폐지
  • 정부 형태와 헌법을 결정할 입헌의회를 보편, 평등, 비밀, 직접 투표를 기반으로 소집하기 위한 즉각적인 준비
  • 경찰을 공공 밀리치야로 대체하고 지역 당국에 종속된 선출된 의장을 두는 것
  • 보편, 직접, 평등, 비밀 투표를 기반으로 한 지방 자치 단체의 선출
  • 혁명 운동에 참여한 군 부대의 무장 해제 및 페트로그라드 철수 금지
  • 계급 내 엄격한 규율을 유지하고 군 복무를 수행하는 가운데 – 모든 시민에게 부여된 공공 권리 사용에 대한 군인의 모든 제한 해제


또한 "임시정부는 위의 개혁과 조치의 이행을 지연시키기 위해 군사 상황을 이용할 의도가 없음을 덧붙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밝혔다.

초기 임시정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직책성명소속
총리
내무부 장관
게오르기 리보프무소속
외무부 장관
파벨 밀류코프입헌민주당 (카데트)
육군해군 장관
알렉산드르 구치코프10월 17일 동맹 (옥토브리스트)
교통 장관
니콜라이 네크라소프카데트
상공장관
알렉산드르 코노발로프진보당
재무장관
미하일 테레시첸코무소속
교육장관
알렉산드르 마누일로프카데트
농무장관
안드레이 신가리요프카데트
사법장관
알렉산드르 케렌스키트루도비키
종무원 원장
블라디미르 리보프중도파
회계감사원장
이반 고드네프10월 17일 동맹 (옥토브리스트)
핀란드 담당 장관
표도르 로디체프카데트


3. 2. 제1차 연립 내각 (1917년 5월)

4월 위기 이후 러시아 임시정부는 사회주의 정당과의 연립 내각을 구성했다. 멘셰비키 소속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국방 장관에 임명되었고, 볼셰비키와 멘셰비키 인사들이 정부 요직에 임명되었다.[33] 그러나 정부는 전쟁 중단 및 강화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 대규모 병력을 전투 지역에 파견했으나, 독일군에 의해 거의 전멸당하고 후퇴했다. 이 대패로 인해 볼셰비키는 부르주아 장관과의 협력을 통한 전쟁 참여에 결사반대하게 되었다.[33]

1917년 4월 18일(율리우스력, 5월 1일 그레고리력) 외무장관 파벨 밀류코프는 연합국 정부에 전쟁을 '영광스러운 결말'까지 계속하겠다는 내용의 서한을 보냈다. 4월 20일~21일, 전쟁 계속에 반대하는 노동자와 병사들의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고, 밀류코프의 사퇴를 요구했다. 그의 지지 시위도 벌어졌다. 페트로그라드 군관구 사령관 라브르 코르닐로프 장군은 폭동 진압을 시도했지만, 총리 게오르기 리보프는 폭력 사용을 거부했다.

임시정부는 밀류코프와 전쟁장관 구치코프의 사퇴를 받아들이고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에 연립 정부 구성을 제안했다. 협상 결과, 1917년 4월 22일 합의가 이루어졌고 6명의 사회주의 장관이 내각에 합류했다.

임시정부는 좌익 경향(볼셰비즘)이 세력을 얻고 있던 소비에트의 의지를 반영했지만, "부르주아" 장관들의 영향을 받아 소비에트 우익에 기반을 두려고 했다. 좌익 소비에트 동료들로부터 비난을 받은 사회주의 장관들은 이중적인 정책을 펼칠 수밖에 없었다. 임시정부는 정치적 파벌주의와 국가 구조의 붕괴로 인해 결정적인 정책 결정을 내릴 수 없었다.[5]

4월 위기 이후 구성된 제1차 연립 내각의 각료 명단은 다음과 같다.

직책성명소속비고
총리
내무부 장관
게오르기 례보프무소속유임
외무장관
미하일 텔레시첸코무소속재무장관에서 전임
육군·해군 장관
알렉산드르 케렌스키사회혁명당사법장관에서 전임
교통장관
니콜라이 네크라소프입헌민주당유임
상공장관
알렉산드르 코노발로프진보당유임
재무장관
안드레이 싱가료프입헌민주당농무장관에서 전임
교육장관
알렉산드르 마누일로프입헌민주당유임
농무장관
빅토르 체르노프사회혁명당
사법장관
파벨 페레벨제프트루도비키
우정장관
이라클리 체레텔리멘셰비키
노동장관
마트베이 스코벨레프멘셰비키
식량장관
알렉세이 페셰호노프인민사회당
국가감독장관
드미트리 샤호프스코이입헌민주당
종무원 원장블라디미르 례보프중도파유임
회계감사원장
이반 고드네프10월주의자유임


3. 3. 제2차 연립 내각 (1917년 7월)

알렉산드르 케렌스키는 7월 21일 임시정부의 새로운 총리가 되었다. 게오르기 류보프 공은 임시정부의 많은 부르주아 장관들과 함께 사임했다. 케렌스키는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고 강력한 지도적 위치에 있었다고 여겨졌다.

1917년 7월 24일(8월 6일), 케렌스키를 수장으로 하는 대부분 사회주의자들로 구성된 새로운 연립 내각이 구성되었다.

제2차 연립 내각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직책이름정당
총리 겸 육군·해군 장관알렉산드르 케렌스키사회혁명당
부총리 겸 재무장관니콜라이 네크라소프입헌민주당
외무장관미하일 테레셴코무소속
내무장관니콜라이 아프센티예프사회혁명당
교통장관표트르 유레네프입헌민주당
내무장관이라클리 체레텔리멘셰비키
상공장관세르게이 프로코포비치무소속
사법장관알렉산드르 자루드니Народные социалисты|인민사회주의자ru
교육장관세르게이 올덴부르크입헌민주당
농업장관빅토르 체르노프사회혁명당
노동장관마트베이 스코벨레프멘셰비키
식량장관알렉세이 페셰호노프Народные социалисты|인민사회주의자ru
보건장관이반 예프레모프Прогрессивная партия|진보당ru
우정전신장관알렉세이 니키틴멘셰비키
최고종교회의 최고검사블라디미르 류보프Прогрессивная партия|진보당ru



케렌스키의 실권 장악 이후 각료 명단은 다음과 같다.

직책성명소속 정당비고
총리 겸 육해군 장관
알렉산드르 케렌스키사회혁명당
부총리 겸 재무장관
니콜라이 네크라소프입헌민주당교통장관에서 전임
내무장관
니콜라이 아브크센체프멘셰비키
외무장관
미하일 테레시첸코무소속유임
교통장관
표트르 유레네프입헌민주당
상공장관
세르게이 프로코비치무소속
교육장관
세르게이 올덴부르크입헌민주당
농무장관
빅토르 체르노프사회혁명당유임
사법장관
알렉산드르 자르도누이Народные социалисты|인민사회주의자ru
우정장관
알렉세이 니키친멘셰비키
노동장관
마트베이 스코벨레프멘셰비키유임
식량장관
알렉세이 페셰호노프Народные социалисты|인민사회주의자ru유임
국가후견장관
이반 니콜라예비치 예프레모프Прогрессивная партия|진보당ru
종무원장
안톤 카르타쇼프멘셰비키
회계감사원장
표도르 코코시킨입헌민주당


3. 4. 제3차 연립 내각 (1917년 9월)

제3차 임시정부 각료 명단은 다음과 같다.[1]

직책성명소속비고
총리
알렉산드르 케렌스키(Алекса́ндр Фёдорович Кере́нский)사회혁명당
부총리 겸 상공상
알렉산드르 코노발로프(Алекса́ндр Ива́нович Конова́лов)입헌민주당(카데트)
내무상 겸 우정상
알렉세이 니키틴(Алексе́й Макси́мович Ники́тин)멘셰비키
외무상
미하일 테레시첸코(Михаи́л Ива́нович Тереще́нко)무소속유임
재무상
미하일 베르나츠키(Михаил Иванович Бернацкий)입헌민주당(카데트)
운수상
알렉산드르 리베로프스키(Алекса́ндр Влади́мирович Ливеро́вский)무소속
육군상
알렉산드르 베르호프스키(Алекса́ндр Ива́нович Верхо́вский)
해군상
드미트리 베르데레프스키(Дми́трий Никола́евич Вердеревский)
교육상
세르게이 살라즈킨(Сергей Николаевич Салазкиин)무소속
농무상
세묜 마슬로프(Семе́й Маслов)사회혁명당
사법상
파벨 말랸토비치(Павел Николаевич Малянтович)멘셰비키
노동상
쿠즈마 그보즈제프(Кузьма Иванович Гувожёв)멘셰비키
식량상
세르게이 프로코포비치(Сергей Николаевич Прокопович)무소속
국가후견상
니콜라이 키시킨(Николай Михайлович Кишкин)입헌민주당(카데트)
종무원장
안톤 카르타셰프(Антон Антонович Карташев)입헌민주당(카데트)유임
회계감사원장
세르게이 스미르노프(Сергей Иванович Смирнов)입헌민주당(카데트)
경제평의회 의장
세르게이 트레차코프(Сергей Алексеевич Толчаков)진보당


4. 입법 정책과 문제점

임시정부는 언론, 출판, 집회의 자유를 보장하고, 사형제를 폐지했으며, 소수민족에게 자치를 확대하는 등 당시 유럽에서 가장 진보적인 법률을 제정했다.[19] 국가와 교회를 분리하고 농촌 자치를 강조했으며, 기본적인 시민권을 확인했다.[19] 또한 폴란드에 독립을 허용하고 리투아니아와 우크라이나에 더 많은 자치권을 부여하는 등 이전에 억압받던 지역에 더 많은 자유를 부여했다.[19]

그러나 임시정부는 정치적 파벌주의와 국가 구조 붕괴로 인해 결정적인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5] 이러한 약점은 우익과 좌익 모두로부터 강력한 도전을 초래했다. 특히,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는 제국 육군, 지역 공장 및 러시아 철도를 장악하며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했다.[6] 임시정부는 정책 집행 능력이 부족했고, 지역 소비에트는 임시정부의 법률 시행 여부를 자체적으로 결정하기도 했다.

이러한 이중 권력 구조는 임시정부의 약점을 드러냈으며, 알렉산드르 구치코프 전쟁장관은 "우리(임시정부)는 권위를 가지고 있지 않고, 권위의 외관만 가지고 있을 뿐입니다. 실제 권력은 소비에트에 있습니다"라고 말했다.[20]

5. 민주화

러시아 임시정부 시기에는 노동조합과 농촌 기관 같은 지역 조직이 성장하고, 러시아 정부 내 권력이 분산되면서 민주화가 이루어졌다. 임시정부 내 일부 정치인들은 이러한 기관의 성장을 옹호했다. 지방 정부 기관들은 임시정부 법률 시행 여부를 결정할 때 재량권을 가졌는데, 예를 들어 농촌 지역의 기관들은 유휴지 사용에 관한 농민 관련 국가 법률을 빠르게 시행했다. 실질적인 집행 권한은 이러한 지역 기관과 소비에트에 있었다. 러시아 역사가 W.E. 모세는 이 시기를 "현대 러시아 역사상 러시아 국민이 자신의 운명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었던 유일한 시기"라고 평가했다.[21]

1917년에는 특수 이익 집단들도 발전했다. 전문직 단체들은 회원들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해 정치적 측면을 빠르게 발전시켰고, 정부는 정책 수립 시 이러한 단체들의 의견을 경청했다. 이러한 이익 집단들의 정치 개입은 일종의 민주적 참여를 보여준다.[22]

전문 특수 이익 집단이 성장함과 동시에, 특히 도시 지역에서는 노동자 조직도 성장했다. 노동 조합 결성 외에도, 산업 중심지의 공장 수준에서 노동자들의 공장 위원회가 빠르게 발전했다. 공장 위원회는 당시 가장 급진적인 견해를 대표했고, 볼셰비키는 이러한 기관 내에서 인기를 얻었다. 노동자들은 경영진의 권한과 직장에 대한 직접적인 통제권을 얻으면서 경제적 민주주의를 확립했고, 노동자 자치는 산업 기업 전반에 걸쳐 일반적인 관행이 되었다.[23] 노동자들이 더욱 투쟁적이 되고 경제적 권력을 얻게 되면서, 그들은 급진적인 볼셰비키 당을 지지했고, 이는 1917년 10월 볼셰비키를 권력으로 이끌었다.

6. 코르닐로프 사건과 공화국 선포

1917년 9월, 당시 러시아 육군 총사령관이었던 라브르 코르닐로프 장군이 쿠데타를 시도했으나 실패했다(코르닐로프 사건[25]). 알렉산드르 케렌스키는 코르닐로프를 반혁명 세력으로 규정하고 체포를 명령했으나, 이는 군부의 불신을 초래했다.[24] 케렌스키는 자신과 페트로그라드를 방어하기 위해 볼셰비키에게 무기를 제공했다. 코르닐로프가 케렌스키를 공격하지 않자 볼셰비키는 무기를 반환하지 않았고, 이는 케렌스키와 임시정부에 더 큰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17년 9월 14일(그레고리력), 케렌스키는 러시아 공화국(Российская республика|Rossiyskaya respublikaru)을 선포했다.[4]

7. 국제 승인

러시아 임시정부는 1917년 2월 혁명으로 니콜라이 2세가 퇴위한 후 구성된 임시 정부이다. 주요 국가들의 승인 날짜는 다음과 같다.

국가날짜
1917년 3월 22일
1917년 3월 24일



위 테이블에서 미국,영국,프랑스,이탈리아 국기들은 제거되어야 한다.

최종 결과:

```text

러시아 임시정부는 1917년 2월 혁명으로 니콜라이 2세가 퇴위한 후 구성된 임시 정부이다. 주요 국가들의 승인 날짜는 다음과 같다.

국가날짜
미국1917년 3월 22일
영국1917년 3월 24일
프랑스
이탈리아


8. 평가

러시아 임시정부는 민주주의와 사회 개혁을 추진하려 했으나, 급변하는 국내외 정세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실패한 과도기적 정부였다는 평가를 받는다.[5] 특히, 마지막 총리였던 알렉산드르 케렌스키는 우유부단한 리더십과 현실 인식 부족으로 인해 "최고 설득자"라는 조롱 섞인 별명까지 얻으며[7] 정국 혼란을 수습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결국 임시정부는 볼셰비키가 주도한 10월 혁명으로 무너지고 권력은 소비에트로 넘어갔다.[6] 이러한 임시정부의 실패는 민주주의 정착과 사회 개혁 과정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역사적 사례로 평가된다.

참조

[1] 웹사이트 Announcement of the First Provisional Government, 13 March 1917 http://www.firstworl[...] FirstWorldWar.com 2007-12-12
[2] 서적 The Spirit of the Russian Revolution Russian Liberation Committee 1919
[3] 서적 Russia: Revolution and Civil War, 1917–1921 Penguin
[4] 웹사이트 The Russian Republic Proclaimed http://www.prlib.ru/[...] 2017-06-12
[5] 웹사이트 Annotated chronology (notes) http://www.uoregon.e[...] University of Oregon/Alan Kimball 2007-12-13
[6] 서적 The Catastrophe – Kerensky's Own Story of the Russian Revolution https://books.google[...] D. Appleton and Company
[7] 서적 A History of Russia Ox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unnamed 1919
[9] 서적 Reaction and Revolution: Russia 1894–1924 Hodder Murray
[10] 웹사이트 Announcement of the First Provisional Government, 3 March 1917 http://www.firstworl[...] FirstWorldWar.com 2007-12-12
[11]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Russian Revolution Pluto Press
[12]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A Collection of Contemporary Documents The Book Service Ltd.
[13] 서적 A People's History
[14] 서적 Ibid
[15] 서적 Russia in Revolution: An Empire in Crisis, 1890 to 1928. Oxfo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A People's Tragedy: A History of the Russian Revolution Penguin
[17] 서적 Russia's Last Gasp: The Eastern Front 1916–17 Osprey Publishing 2017
[18]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1917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간행물 Interlude: The Russian Provisional Government 1917 1964
[20]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1917
[21] 간행물 Interlude: The Russian Provisional Government 1917
[22] 간행물 The Officer Corps, Professionalism, And Democracy In The Russian Revolution
[23]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4] 논문 The Democratic Conference and the Pre-Parliament in Russia, 1917: Class, Nationality, and the Building of a Postimperial Community https://www.research[...]
[25] 웹사이트 1917 Free History https://project1917.[...] 2017-09-08
[26] 논문 The Democratic Conference and the Pre-Parliament in Russia, 1917: Class, Nationality, and the Building of a Postimperial Community https://www.research[...]
[27] 간행물 The First Soviet Political Trial: Countess Sofia Panina before the Petrograd Revolutionary Tribunal 2001-10
[28] 논문 War, State Collapse, Redistribution: Russian Revolution Revisited http://www.allacadem[...] 2006-08
[29] 서적 A History of Russia Oxford University Press
[30] 문서 Vremennoye pravitel'stvo Rossii
[31] 백과사전 Russian Provisional Government https://www.britanni[...] 2022-12-17
[32] 웹인용 러시아 혁명 http://iseeblue2.com[...] 2010-03-24
[33] 웹인용 러시아 혁명의 역사적 배경과 과정 - 리포트넷 http://www.reportnet[...] 2010-03-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