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너드 홉하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너드 홉하우스는 1864년 영국에서 태어나 1929년 사망한 영국의 사회학자이자 정치 이론가이다.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고전학을 전공하고, 《가디언》 기자와 무역 연합 비서를 거쳐 런던 대학교 사회학 교수를 역임했다. 그는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한 국가의 역할을 강조하며, 자유주의와 사회주의를 융합한 사회 자유주의 사상을 발전시켰다. 제국주의와 보어 전쟁에 반대했으며, 다양한 저서를 통해 자유주의, 윤리학, 사회학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자신의 사상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홉하우스가 - 에밀리 홉하우스
    에밀리 홉하우스는 영국의 사회 개혁가이자 평화 운동가로서, 보어 전쟁 당시 강제 수용소의 실태를 폭로하고 개선을 촉구하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고, 전쟁 후에는 보어인 여성 자립 지원과 평화 운동에 헌신하여 남아프리카 공화국 명예 시민으로 선정될 만큼 존경받는 인물이다.
  • 영국의 사회자유주의자 - 제러미 벤담
    영국의 법철학자이자 사회개혁가인 제러미 벤담은 공리주의 철학의 창시자로, 법 개혁과 사회 개혁에 헌신하며 공리주의를 체계화하고 판옵티콘 감옥 모델을 제안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영국의 사회자유주의자 - 토머스 힐 그린
    토머스 힐 그린은 칸트와 헤겔의 영향을 받아 인격주의 사상을 발전시키고 자유를 자기 실현으로 정의한 영국의 철학자이자 정치 사상가로, 영국 관념론의 주요 인물이며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도덕철학 교수로 활동했다.
  • 옥스퍼드 대학교 코퍼스크리스티 칼리지 교수 - 데이비드 밀리밴드
    데이비드 밀리밴드는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현재 국제구호위원회 회장으로 활동하는 영국의 정치인이다.
  • 옥스퍼드 대학교 코퍼스크리스티 칼리지 교수 - 이안 보스트리지
    이안 보스트리지는 역사학 박사 학위를 가진 영국의 테너 성악가이자 학자로, 슈베르트 가곡 해석에 정통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고, 왕립 음악 아카데미 명예 회원이자 옥스퍼드 대학교 칼리지의 명예 펠로우이며 음악 관련 저술 활동도 활발히 하고 있다.
레너드 홉하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레너드 트렐로니 호브하우스, 1910년경
출생일1864년 9월 8일
출생지영국 콘월주
사망일1929년 6월 21일
사망지프랑스 바스노르망디 알랑송
학문 경력
주요 관심사사회학
모교옥스퍼드 대학교
직장런던 대학교
활동 기간(정보 없음)
철학적 정보
시대19세기 철학, 20세기 철학, 고전파 경제학
지역영국
학파(정보 없음)
연구 분야사회학, 경제학
주요 업적사회자유주의의 시초
영향을 받음(정보 없음)
영향을 줌페이비언 사회주의Stefan Collini, Liberalism and Sociology: L. T. Hobhouse and Political Argument in England 1880-1914, 60p, 사회민주주의Lawrence M. Mead,Christopher Beem,Welfare Reform and Political Theory 87p

2. 생애

1864년 잉글랜드 콘월주 세인트하이브[12]에서 성공회 성직자인 아버지 레지널드 홉하우스와 어머니 캐럴라인 트렐로니 사이에서 태어났다.[13][6] 그는 말버러 칼리지에서 공부한 후,[14][1] 1887년 옥스퍼드 대학교 코퍼스크리스티 칼리지에서 고전학(Literae Humaniores|리터라이 후마니오레스lat)을 전공하고 수석으로 졸업했다.[14][1] 졸업 후에는 머튼 칼리지와 코퍼스크리스티 칼리지에서 연구원(fellow)으로 활동했다.[14][7]

1894년 옥스퍼드 대학교 철학 교수로 잠시 부임하기도 했으나,[12] 1897년부터 1907년까지는 학계를 떠나 《가디언》(당시 맨체스터 가디언) 기자와 무역 연합(노동조합)의 비서로 일했다.[14][7]

1907년 다시 학계로 돌아온 홉하우스는 런던 대학교 경제학부에 신설된 사회학 교수(마틴 화이트 사회학 교수)로 임명되어,[7] 1929년 타계할 때까지 재직했다.[14][7]

홉하우스는 아버지가 성공회 성직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어린 시절부터 무신론자였다.[8] 그는 1883년 스스로를 "정치적으로는 확고한 급진주의자이며, 종교적으로는 (가능하다면 더욱 확고한) 불가지론자"라고 묘사했다.[9] 그는 가치에 대한 합리적인 검증이 가능하며, 가치는 객관적이고 일관성을 가질 수 있다고 믿었다. 정치적으로는 글래드스턴을 따랐고, 철학적으로는 존 스튜어트 밀의 영향을 깊이 받았으며, 존 모릴리, 찰스 브래드라우, 찰스 딜크 경 등을 존경했다.[9] 이러한 영향 속에서 그는 페미니즘, 민주주의, 세속주의를 지지하는 다양한 정치적 입장을 견지했으며, 학창 시절 토론 동아리에서 영국 공화주의 및 민주주의 관련 안건을 제안하는 등 적극적인 정치 참여를 보이기도 했다.[9]

3. 경제 정책

홉하우스는 자유를 단순히 정부의 간섭이나 강제가 없는 소극적 상태가 아니라, 자아실현을 위한 능력과 기회를 포함하는 적극적 개념으로 이해했다. 그는 기존 자유주의가 변화된 경제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고, 개인의 생존에 필수적인 소득 보장 제도나 최저임금 같은 정부의 재정 지원 및 개입을 반대하며 정부 불개입만을 고수한다면 결국 소멸할 것이라고 경고했다.[12]

그는 H. H. 애스퀴스데이비드 로이드 조지가 이끌던 영국 자유당의 세기 전환기 '신 자유주의' 운동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홉하우스는 재산을 단순히 개인적 소유물로 보지 않고, '사용을 위한 재산'과 '권력을 위한 재산'으로 구분했다. 이러한 구분을 통해, 그는 정부와 노동조합의 협력이 고용주가 가진 구조적 불이익(권력)에 맞서는 정당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홉하우스는 부(富)가 개인의 노력만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조직과 협력을 통해 획득되는 집단적 산물이라고 보았다. 즉, 부는 사회적 차원을 가지며, 재산을 소유한 사람은 그 성공의 일부를 사회에 빚지고 있으므로 다른 사람들에 대한 사회적 의무를 지닌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생각은 당시 도입된 국가 연금과 같은 재분배 정책의 이론적 정당성을 제공했다.

홉하우스는 마르크스주의 사회주의에는 비판적 입장을 취했으며, 자신의 사상을 처음에는 자유 사회주의, 이후에는 사회 자유주의로 규정했다. 이 때문에 그는 현대 영국 자유민주당의 지적 뿌리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부동산 투기나 상속 등으로 얻는 불로소득이나 조건 없는 복지에는 반대 입장을 보였는데, 이러한 그의 생각은 이후 사회민주주의 발전의 기초가 되기도 했다.

비록 홉하우스 자신이 직접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그의 많은 제자들이 페이비언 사회주의 그룹에 속해 페이비언 협회를 구성하는 등, 그는 여러 페이비언들에게 사상적 영향을 미친 인물로 여겨진다.

4. 시민 자유

홉하우스는 자유를 단순히 정부의 간섭이나 강제가 없는 소극적 상태로 보지 않았다. 그는 자유를 자아실현을 위한 능력, 즉 자아실현에 필요한 자원과 기회를 갖는 적극적인 개념으로 이해했다.[12] 그는 자유의 목적이 개인의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고 보았다. 단순히 자유 그 자체가 좋다는 것을 넘어선, 자유주의에 대한 긍정적인 비전을 제시한 것이다. 홉하우스는 강압이 개인의 상황을 개선하는 데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타인에 대한 무관심 때문이 아니라 실용적인 이유에서 강압을 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자유방임주의와 같은 고전적 자유주의의 실용적인 교리에는 비판적이었다. 기존 자유주의가 변화된 경제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고, 개인의 생존에 필요한 소득 보장 제도나 최저임금 같은 정부의 재정 지원 및 개입을 막는 등, 자아실현을 제약하는 정부 불개입만을 고수한다면 자유주의 이념 자체가 소멸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12] 그럼에도 불구하고, 홉하우스는 낡은 사회 질서와 이전 형태의 강압을 해체하는 데 기여한 리처드 코브덴과 같은 초기 고전적 자유주의자들의 업적은 높이 평가했다. 그는 자유주의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가 바로 이러한 해방적 성격이며, 이는 자신이 옹호하는 사회 자유주의에서도 일관되게 이어지는 정신이라고 생각했다.

나아가 홉하우스는 정부의 강압 외에도 사회 내에 이미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강압이 개인의 자유를 제약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따라서 그는 국가가 이러한 사회적 강압을 적극적으로 완화함으로써 오히려 개인의 실질적인 자유를 증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국가의 역할을 소극적인 질서 유지에 한정하지 않고, 시민의 자아실현을 돕는 적극적인 역할로 확장해야 한다는 사회 자유주의적 관점을 보여준다.

5. 외교 정책

홉하우스는 당시 영국의 동료 집산주의자들이 제국주의 성향을 보이는 것에 종종 실망했다. 그는 보어 전쟁에 반대했으며, 그의 여동생 에밀리 홉하우스는 영국군이 남아프리카에 설치한 강제 수용소의 참혹한 상황을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는 처음에는 제1차 세계 대전에 반대했지만, 나중에는 전쟁 노력을 지지하게 되었다.[1] 그는 국제주의자였으며, 당시 영국 정부가 추구하는 국익 우선주의를 비판했다. 전쟁 기간 동안 홉하우스는 그의 저서 《국가의 형이상학적 이론》(1918)에서 버나드 보산케트와 같은 영국 관념론자들이 헤겔 철학을 추종하며 독일을 옹호한다고 비판했다.

6. 저서


  • 《노동 운동》 (''The Labour Movement'', 1893년) [https://archive.org/details/labourmovement00hobh (1912년 재판)]
  • 《지식 이론: 논리와 형이상학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한 기여》 (''The Theory of Knowledge: A Contribution to Some Problems of Logic and Metaphysics'', 1896년) [https://archive.org/details/theoryofknowledg00hobhuoft 원문 보기]
  • 《진화하는 마음》 (''Mind in Evolution'', 1901년) [https://archive.org/details/mindinevolution00hobhuoft 원문 보기]
  • 《민주주의와 반동》 (''Democracy and Reaction'', 1904년) [https://archive.org/details/democracyreactio00hobhuoft (1905년 판)]
  • 《진화하는 도덕: 비교 윤리학 연구》 (''Morals in Evolution: A Study in Comparative Ethics'', 1906년) ([https://archive.org/details/moralsinevoluti01hobhgoog/page/n8/mode/2up 제1부], [https://archive.org/details/moralsinevoluti04hobhgoog/page/n6/mode/2up 제2부])
  • 자유주의》 (''Liberalism'', 1911년)
  • 《사회 진화와 정치 이론》 (''Social Evolution and Political Theory'', 1911년) [https://archive.org/details/socialevolutionp00hobhuoft 원문 보기]
  • 《발전과 목적: 진화 철학을 향한 에세이》 (''Development and Purpose: An Essay Towards a Philosophy of Evolution'', 1913년) [https://archive.org/details/developmentandpu032447mbp 원문 보기]
  • 《단순한 민족의 물질 문화와 사회 제도: 상관 관계에 대한 에세이》 (''Material Culture and Social Institutions of the Simpler Peoples: An Essay in Correlation'', 1915년) - G.C. 휠러, M. 긴즈버그 공저 [https://archive.org/details/materialcultures00hobhrich 원문 보기]
  • 《분쟁 속의 세계》 (''The World in Conflict'', 1915년)
  • 《전쟁과 평화의 문제》 (''Questions of War and Peace'', 1916년) [https://archive.org/details/questionsofwarp00hobh 원문 보기]
  • 《국가의 형이상학적 이론: 비판》 (''The Metaphysical Theory of the State: A Criticism'', 1918년) [https://archive.org/details/metaphysicaltheo00hobhuoft 원문 보기]
  • 《합리적 선: 실천 논리학 연구》 (''The Rational Good: A Study in the Logic of Practice'', 1921년) [https://archive.org/details/therationalgooda00hobbuoft 원문 보기]
  • 《사회 정의의 요소》 (''The Elements of Social Justice'', 1922년) [https://archive.org/details/theelementsofsoc00hobhuoft 원문 보기]
  • 《사회 발전: 본질과 조건》 (''Social Development: Its Nature and Conditions'', 1924년) [https://archive.org/details/b29810437/page/n7/mode/2up 원문 보기]
  • 《사회학 및 철학: 백주년 기념 에세이 및 논문집》 (''Sociology and Philosophy: A Centenary Collection of Essays and Articles'', 1966년) - 시드니 케인 서문, 모리스 긴즈버그 서론 (사후 출판) [https://archive.org/details/sociologyphiloso0000unse/page/n5/mode/2up 원문 보기]

참조

[1] 논문 L. T. Hobhouse and the Theory of "Social Liberalism" https://www.jstor.or[...] 1978
[2] 논문 The New Liberalism of L. T. Hobhouse https://www.jstor.or[...] 1972
[3] 논문 L. T. Hobhouse and the Idea of Harmony https://www.jstor.or[...] 1974
[4] 논문 The New Liberalism of L. T. Hobhouse and the Reenvisioning of Nineteenth-Century Utilitarianism https://www.jstor.or[...] 1996
[5] 논문 The New Liberalism and the Rise of Labour, 1886-1906 https://www.jstor.or[...] 1986
[6] ODNB Hobhouse, Leonard Trelawny
[7] 서적 Liberalism and Other Writing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L. T. Hobhouse: His Life and Work https://archive.org/[...] George Allen & Unwin Ltd
[9] 서적 Liberalism and Sociology: L. T. Hobhouse and Political Argument in England 1880-1914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Liberalism and Sociology: L. T. Hobhouse and Political Argument in England 1880-1914 https://books.google[...]
[11] 서적 Welfare Reform and Political Theory https://books.google[...]
[12] 서적 경제사상사 여행 https://books.google[...]
[13] 간행물 Hobhouse, Leonard Trelawny (1864–1929)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06-05
[14] 간행물 Hobhouse: Liberalism and Other Writings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