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오폴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오폴 1세는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가의 일원으로, 나폴레옹 전쟁에 참전하여 군사적 역량을 발휘했으며, 영국 왕위 계승 서열 2위였던 샬럿 공주와 결혼했으나 사별했다. 1831년 벨기에의 초대 국왕으로 즉위하여 네덜란드와의 독립 전쟁에서 승리하고, 벨기에의 정치적 안정을 위해 노력했다. 그는 유럽 열강 간의 중재자 역할을 수행하며 "유럽의 네스토르"라는 별칭을 얻었고, 1865년 사망했으며, 그의 뒤를 이어 아들 레오폴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세기 벨기에 사람 - 세자르 프랑크
세자르 프랑크는 벨기에 출신의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피아니스트, 음악 교사로, 파리 음악원에서 교육을 받고 생클로틸드 성당의 오르가니스트로 활동하며 D단조 교향곡 등을 작곡하여 프랑스 음악에 영향을 미쳤다. - 19세기 벨기에 사람 - 에르네스트 솔베이
에르네스트 솔베이는 벨기에의 화학자, 사업가, 자선가, 정치가로, 암모니아-소다법을 개발하여 탄산나트륨 제조 공정을 혁신하고 솔베이 회사를 설립하여 과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벨기에 상원의원과 국무장관을 지냈다. - 벨기에 혁명 관련자 - 샤를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
샤를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는 프랑스 혁명, 나폴레옹 시대, 왕정 복고 시기를 거치며 활약한 정치가이자 외교관으로, 뛰어난 외교 능력으로 프랑스의 국익을 지키고 19세기와 20세기 외교의 기초를 다지는 데 기여했다. - 벨기에 혁명 관련자 - 빌럼 1세
빌럼 1세는 네덜란드와 룩셈부르크의 통치자였으며, 나폴레옹 몰락 후 네덜란드 연합 왕국의 초대 국왕으로 즉위하여 경제 발전을 추진했으나 벨기에 독립을 인정하고 퇴위 후 사망했다. - 코부르크 출신 - 한스 베르거
독일의 신경학자이자 정신과 의사인 한스 베르거는 1924년 인간 뇌파를 최초로 기록하고 뇌파 연구를 개척했으며, 알파파를 비롯한 다양한 뇌파의 특성을 규명했으나, 나치와의 관계로 말년에 어려움을 겪고 반유대주의 논란도 있었다. - 코부르크 출신 - 프란츠 폰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
프란츠 폰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은 1750년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국에서 태어나 1800년부터 1806년까지 공국을 통치했고, 프랑스 혁명 전쟁에 참전했으며, 그의 후손들은 유럽 여러 왕가와 관계를 맺고 아들 레오폴트 1세는 벨기에 초대 국왕이 되었다.
레오폴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레오폴 1세 |
전체 이름 | 레오폴 조르주 크리스티앙 프레데리크 (프랑스어) 레오폴트 게오르크 크리스티안 프리드리히 (독일어) |
![]() | |
출생 | 1790년 12월 16일 |
출생지 | 신성 로마 제국,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국, 코부르크, 에렌부르크 성 |
사망 | 1865년 12월 10일 |
사망지 | 벨기에, 브뤼셀, 라컨 궁 |
매장지 | 브뤼셀, 라컨, 노트르담 드 라컨 교회 |
종교 | 루터교 |
![]() | |
통치 | |
칭호 | 벨기에인의 왕 |
재위 | 1831년 7월 21일 – 1865년 12월 10일 |
전임자 | 왕정 수립 에라스므 루이 쉴레 드 쇼키에 (섭정) |
후임자 | 레오폴 2세 |
총리 | 펠릭스 드 뮐레나에르 (1831-1832) 알베르 고블레 달비엘라 (1832-1834) 바르텔레미 드 퇴 드 메일란트 (1834-1840; 1846-1847) 조제프 르보 (1840-1841) 장바티스트 노통브 (1841-1845) 실뱅 반 드 베이어 (1845-1846) 샤를 로지에 (1847-1852; 1857-1862) 앙리 드 브루케르 (1852-1855) 피에르 드 데커 (1855-1857) |
가문 | |
왕가 | 작센코부르크고타 가문 |
아버지 | 프란츠 폰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 |
어머니 | 아우구스테 로이스 추 에베르스도르프 백작부인 |
배우자 | |
배우자 1 | 샬럿 오거스타 오브 웨일스 (1816년 결혼, 1817년 사망) |
배우자 2 | 루이즈마리 도를레앙 (1832년 결혼, 1850년 사망) |
자녀 | |
자녀 | 루이 필리프 레오폴 2세 필리프 카를로타 사생아: 게오르크 폰 에핑호펜 아르투어 폰 에핑호펜 |
군사 경력 | |
소속 |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국 러시아 제국 영국 벨기에 |
2. 생애
레오폴 1세는 1790년 12월 16일 작센-코부르크-잘펠트의 코부르크에서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 프란츠와 로이스-에베르스도르프 백작 부인 아우구스타의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 1826년, 작센-코부르크는 작센-고타-알텐부르크 공국으로부터 고타를 획득하고, 잘펠트를 작센-마이닝겐에 넘겨주면서 작센-코부르크-고타가 되었다.
1816년 3월, 레오폴드는 영국 시민권을 얻었고, 같은 해 5월 2일 칼턴 하우스에서 웨일스 공주 샬럿과 결혼했다. 샬럿은 조지 4세의 유일한 적자로, 영국 왕위 계승 순위에서 두 번째였다. 샬럿 공주는 1817년 11월 5일 사산된 아들을 출산했고, 다음날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샬럿이 살아있었다면 영국 여왕이 되었을 것이고, 레오폴드는 왕 배우자가 되었을 것이다.
오스만 제국에 대한 그리스 독립 전쟁 이후, 1830년 2월 런던 의정서 (1830년)에 따라 레오폴드는 독립 그리스의 왕위를 제안받았으나, 1830년 5월 17일에 거절했다.
네덜란드 연합 왕국에서 남부 네덜란드 (현재의 벨기에)가 반란을 일으켜 1830년 8월 말, 벨기에 혁명이 일어났다. 1830년 런던 회의에서 국제 열강들은 벨기에의 독립을 지지하기로 합의했다. 1830년 11월, 벨기에 국민회의는 벨기에가 인민 군주제인 입헌 군주제가 될 것이라고 결정했다.
보아르네의 오귀스트와 뇌무르 공 루이가 군주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모두 프랑스인이었기 때문에 다른 유럽 강대국들의 우려를 샀다. 결국 1831년 2월, 에라스므 루이 쉴레 드 쇼키에가 섭정으로 선출되었다. 작센코부르크의 레오폴드는 초기부터 제안되었으나 프랑스의 반대로 보류되었다가, 1831년 4월 22일 벨기에 대표단으로부터 공식적으로 왕위를 제안받았다.
1831년 7월 17일, 레오폴 1세는 칼레에서 벨기에로 이동하여 드 판에서 벨기에에 입국했다. 즉위식은 7월 21일 브뤼셀 왕궁 광장에서 거행되었으며, 그는 헌법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며 왕이 되었다. 즉위식은 매년 벨기에 국경일로 기념된다.
레오폴 1세는 1865년 12월 10일 라켄에서 사망했다. 그의 장례식은 12월 16일에 거행되었으며, 라켄 성모 교회의 벨기에 왕실 묘소에 안치되었다. 그의 뒤를 이어 아들인 레오폴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2. 1. 어린 시절과 군 경력

레오폴트는 1790년 12월 16일, 오늘날 바이에른에 속하는 독일의 작은 공국인 작센-코부르크-잘펠트의 코부르크에서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 프란츠와 로이스-에베르스도르프 백작 부인 아우구스타의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
1797년, 불과 6세의 레오폴드는 러시아 제국군의 일부인 근위대 소속 이즈마일로프스키 연대에서 대령 명예직을 받았다. 6년 후, 그는 소장으로 진급했다.
나폴레옹 전쟁 중 1806년 프랑스 군대가 작센코부르크 공국을 점령했을 때, 레오폴드는 파리로 가서 나폴레옹의 제국 궁정에 합류하려 했다. 나폴레옹은 그에게 부관 자리를 제안했지만, 레오폴드는 거절했다. 대신, 그는 당시 프랑스와 전쟁 중이었던 러시아 제국 기병대에서 군 경력을 쌓기 위해 러시아로 갔다. 그는 나폴레옹에 대항하여 참전했으며, 자신의 흉갑기병 사단을 이끌고 쿨름 전투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1815년 나폴레옹이 최종적으로 패배했을 때 그는 불과 25세의 나이에 중장 계급에 도달했다.
2. 2. 영국 생활과 샬럿 공주와의 결혼
레오폴드는 1816년 3월에 영국 시민권을 받았다.[1] 1816년 5월 2일, 칼턴 하우스에서 웨일스 공주 샬럿과 결혼했다. 샬럿은 조지 섭정공 (후일 조지 4세)의 유일한 적자였으며, 영국 왕위 계승 순위에서 두 번째였다. 섭정공은 샬럿이 오렌지 공 윌리엄과 결혼하기를 바랐지만, 샬럿은 레오폴드를 선호했다. 섭정공은 불쾌했지만, 레오폴드가 매력적이고 딸을 행복하게 해줄 모든 자질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하여 결혼을 승인했다. 같은 해에 레오폴드는 원수 계급의 명예 위임장과 가터 훈장 기사 작위를 받았다.[24] 섭정공은 레오폴드를 왕족 공작인 켄달 공작으로 만드는 것을 고려했으나, 정부의 우려로 이 계획은 무산되었다.[1] 부부는 파크 레인의 카멜포드 하우스,[2] 팰 몰의 말보로 하우스에 거주했다.[3]


샬럿 공주는 1817년 11월 5일에 사산된 아들을 낳았고, 합병증으로 11월 6일 자정 직후 사망했다. 레오폴드는 샬럿의 죽음에 매우 슬퍼했다고 전해진다.[4] 샬럿이 살아있었다면, 그녀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영국 여왕이 되었을 것이고, 레오폴드는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알베르트가 맡았던 왕 배우자 역할을 맡았을 것이다. 샬럿의 사망에도 불구하고, 섭정공은 1818년 4월 6일 추밀원 명령에 따라 레오폴드에게 "전하"라는 칭호를 부여했다.[5]
1828년부터 1829년까지 레오폴드는 샬럿과 매우 닮은 여배우 캐롤라인 바우어와 불륜을 저질렀다. 캐롤라인은 그의 조언자 스톡마 남작의 사촌이었다. 그녀는 어머니와 함께 영국에 와서 클레어몬트 하우스에서 몇 마일 떨어진 롱우드 하우스에 거주했다. 1829년 중반까지 관계는 끝났고, 여배우와 그녀의 어머니는 베를린으로 돌아갔다. 그녀는 회고록에서 레오폴드와 약혼 결혼을 했고 몽고메리 백작 부인의 칭호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리스 국왕이 될 가능성이 생기자 이 결혼을 파기했을 것이라고 했다.[6] 스톡마 남작의 아들은 이러한 사건이 결코 일어나지 않았다고 부인했으며, 실제로 그 여배우와의 시민 또는 종교 결혼 기록은 발견되지 않았다.[7]
1815년에 레오폴드는 육군 원수가 되었다. 같은 해에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1세의 친구로서 황제와 함께 런던을 방문했다. 이때 섭정 왕태자 조지(후의 조지 4세)의 외동딸 샬럿 공주에게 반하여, 1816년 5월 2일에 결혼했다. 샬럿 공주는 조지 4세와 그의 남동생들의 유일한 적자였으며, 영국 왕위의 추정 상속인이었다.
샬럿은 1817년 12월 5일에 아들을 사산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 레오폴드는 그 후에도 영국에 머물며, 국가로부터 매년 50000GBP의 연금을 받았다. 1830년에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한 그리스 왕국으로부터 국왕 즉위 요청을 받았지만, 이를 거절했다.
2. 3. 그리스 왕위 거절
오스만 제국에 대한 그리스 독립 전쟁 이후, 레오폴트는 1830년 2월 런던 의정서에 따라 독립 그리스의 왕위를 제안받았다. 처음에는 그 자리에 관심을 보였지만, 1830년 5월 17일에 제안을 거절했다.[8] 그 후 이 역할은 1832년 5월 비텔스바흐의 오토가 수락했으며, 1862년 10월 폐위될 때까지 통치했다.[8]2. 4. 벨기에 국왕 즉위
레오폴 1세는 귀국 후 벨기에의 초대 국왕이 되었다. 즉위 직후 영국과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네덜란드의 빌럼 1세에 대항하여 벨기에 군대를 강화하고 독립을 지키기 위한 전쟁을 벌였다.[9]1830년 런던 회의에서 국제 강대국들은 네덜란드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벨기에의 독립을 지지하기로 합의했다.[9] 1830년 11월, 벨기에 국민회의가 소집되어 헌법 제정에 착수했다. 1789년 프랑스 혁명 이후 공화정에 대한 불신과 7월 혁명의 영향으로 국민회의는 입헌 군주제를 채택하기로 결정했다.[10]
1815년 빈 회의 결과, 네덜란드는 네덜란드 연합 왕국으로 재편되었고, 빌럼 1세가 국왕으로 즉위했다. 빌럼 1세는 네덜란드어 중심 정책을 펼쳐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왈롱 지역과 플란데런 지역 상류층의 반발을 샀다.[25] 1830년 프랑스 7월 혁명의 영향으로 불만이 폭발하여 같은 해 8월 폭동이 일어났고, 10월에는 벨기에 임시정부가 독립을 선언했다.[27]
빌럼 1세는 프로이센과 러시아 제국에 지원을 요청했고, 영국의 중재로 런던 회의가 개최되어 벨기에의 독립이 승인되었다.[28] 벨기에 국왕 후보로 누무르 공 루이 왕자가 거론되었으나 영국의 반대로 무산되었다.[29] 그레이 백작 영국 수상은 오랜 친구이자 영국과 관계가 깊고 독일계인 레오폴드를 강력히 추천했다.[30]
1831년 6월, 회의에서 레오폴드를 국왕으로 추대했고 국민 의회도 이를 가결했다.[31] 같은 해 7월 21일 브뤼셀 왕궁에서 초대 벨기에 국왕으로 즉위했다. 레오폴드는 샬럿 공주와 결혼했고 빅토리아 여왕의 삼촌이었기 때문에 영국과 가까웠다.[32] 빌럼 1세는 이에 반발하여 십일 전쟁을 일으켰으나, 레오폴드 1세가 영국과 프랑스에 지원을 요청하여 네덜란드군을 격퇴했다.[32]
2. 5. 벨기에 국왕으로서의 통치
레오폴 1세는 벨기에의 초대 국왕으로 즉위하여, 영국과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네덜란드의 빌럼 1세에 대항하여 벨기에를 독립 왕국으로 만들었다.[11]
1831년 7월 17일, 레오폴 1세는 칼레에서 벨기에로 이동하여 드 판에서 벨기에에 입국했다. 브뤼셀로 이동하면서 그는 가는 길에서 애국적인 열광으로 환영받았다. 즉위식은 7월 21일 브뤼셀의 플라스 루아얄/코닝스플레인에서 거행되었다. 1830년 전투 중 사망한 혁명가들의 이름으로 둘러싸인 생 자크 쉬르 쿠뎅베르 교회 계단에 단상이 세워졌다. 섭정의 사임 의식 후, 레오폴 1세는 벨기에 육군 중장의 제복을 입고 헌법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며 왕이 되었다. 즉위식은 일반적으로 혁명의 종결과 벨기에 왕국의 시작을 기념하는 행사로, 매년 벨기에 국경일로 기념된다.[11]
레오폴 1세 즉위 2주도 채 안 된 8월 2일, 네덜란드는 벨기에를 침공하여 십일 전쟁을 시작했다. 작은 벨기에군은 네덜란드의 공격에 압도당해 후퇴했다. 군사적 위기에 직면한 레오폴 1세는 프랑스에 지원을 요청했다. 프랑스는 지원을 약속했고, 벨기에에 프랑스 ''북부군프랑스어''이 도착하자 네덜란드는 외교적 중재를 받아들이고 전쟁 전 국경으로 후퇴했다. 8년 동안 산발적인 전투가 계속되었지만, 1839년 4월 두 나라는 런던 조약을 체결하여 네덜란드는 벨기에의 독립을 인정했다.[12]
2. 5. 1. 독립 강화
1839년까지 레오폴 1세는 국가의 교육 제도를 넓히는 자유-가톨릭 연립 내각을 지속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12] 1836년에는 큰 도시들과 시골 지역들에 더욱 큰 정치적 자치제를 승인하였다. 1839년 연립 내각이 빌럼 1세의 벨기에 왕국 독립 인정을 통하여 네덜란드의 압력을 퇴거시키면서 끝났다.[12]2. 5. 2. 경제 정책
레오폴 1세의 재위 기간은 1850년대 후반까지 지속된 경제 위기로 특징지어졌다. 혁명 이후 네덜란드는 벨기에 선박에 대해 스헬데 강을 폐쇄하여 안트베르펜 항구가 사실상 무용지물이 되었다. 1830년 이전 벨기에 제조업체에 수익성 있는 시장이었던 네덜란드와 특히 네덜란드 식민지는 벨기에 상품에 완전히 폐쇄되었다.[35] 1845년과 1849년 사이의 기간은 플랑드르에서 특히 어려웠는데, 수확이 실패하고 인구의 3분의 1이 빈민 구호에 의존하게 되었고, "플랑드르 역사의 최악의 해"로 묘사되었다.[35] 플랑드르의 경제 상황은 또한 브뤼셀과 왈롱의 산업 지역으로의 내부 이주를 증가시켰고, 이는 그 기간 동안 계속되었다.[35]레오폴 1세는 프로이센(1844)과 프랑스(1846)과 함께 상업적 조약을 맺었고, 중립적 외교 정책을 지속하였다. 그의 왕좌는 1848년 혁명 동안에 심각히 기피되지 않았다. 1830년대에는 왈롱과 플란데런을 잇는 철도망을 정비하여, "다언어 국가"를 만들려고 했다.[38] 레오폴은 철도의 초기 지지자였으며, 벨기에 최초의 철도 구간인 북부 브뤼셀과 메헬렌 사이의 철도가 1835년에 완공되었다. 완공 당시 이는 유럽 대륙 최초의 여객 철도 중 하나였다.
2. 5. 3. 정치적 역할
1839년까지 레오폴 1세는 국가의 교육 제도를 넓히는 자유-가톨릭 연립 내각을 지속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1836년에는 큰 도시들과 시골 지역들에 더욱 큰 정치적 자치제를 승인하였다. 1839년 연립 내각이 빌럼 1세의 벨기에 왕국 독립 인정을 통하여 네덜란드의 압력을 퇴거시키면서 끝났다.[37]레오폴 1세는 프로이센(1844)과 프랑스(1846)과 함께 상업적 조약을 맺었고, 중립적 외교 정책을 지속하였다. 그의 왕좌는 1848년 혁명 동안에 심각하게 기피되지 않았다.
1852년 프랑스에서 나폴레옹 3세 아래 적대 정권의 접근 후, 안트베르펜 지역의 방어 공사(1868년 완공)에 후원하였다.
가끔 "유럽의 네스토르"로 주목된 그는 유럽의 외교술에서 높게 영향력 있었고, 자신의 결혼을 프랑스, 영국, 오스트리아와 제휴를 강화하는데 썼다고 한다.
1848년 혁명의 여파 속에서도 벨기에는 중립을 지키며 비교적 평온을 유지했다. 그러나, 1848년 초에는 많은 수의 급진적인 출판물들이 등장했다. 프랑스 2월 혁명 직후, 파리에 거주하는 벨기에 이주 노동자들은 군주제를 전복하고 공화국을 수립하기 위해 벨기에로 돌아오라는 권유를 받았다. 약 6,000명의 무장한 "벨기에 군단" 망명자들이 벨기에 국경을 넘으려 했다. 첫 번째 그룹은 1848년 3월 26일 키에브랭에서 저지당했고, 신속하게 무장 해제되었다. 두 번째 그룹은 3월 29일에 국경을 넘어 브뤼셀로 향했으나, 리스콩-투에서 벨기에 군대와 대치하여 패배했다. 이 사건으로 벨기에에 대한 혁명적 위협은 사실상 종식되었다.

레오폴 1세는 국민 대다수가 원한다면 퇴위하겠다는 연극적인 제안을 하기도 했으나, 새로운 선거에서 자유주의 다수가 복귀하면서 상황이 안정되었다.

새로운 국가인 벨기에 헌법은 군주제의 네덜란드, 공화국의 프랑스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국왕의 권력이 제한되었다.[33] 레오폴 1세는 헌법에 불만을 품고, 비공식적인 "조각 담당자"를 임명하여 정치에 개입했다. 그는 자유주의에 대한 반동뿐만 아니라, 국민의 공화정 정신을 존중하려 했으며,[34] 열강 사이에서 국내의 통일을 유지하고 벨기에의 독립을 지키려고 했다.
1832년 8월 9일, 루이 필리프의 딸 루이즈 마리와 재혼했다. 열강 간의 완충 지대로서, 혼인을 통해서도 영국, 프로이센, 프랑스, 오스트리아 각국과 균형을 잡을 필요가 있었다.
건국 초 벨기에는 프랑스어를 공용어로 채택했다. 1833년에 상비군의 매뉴얼이 프랑스어로 작성되었지만, 국왕 개인은 "프랑스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부하에 대한 관용" 등을 요구하는 문서를 덧붙였다.[35] 1834년에는 북부의 헤르에서 네덜란드어 교육의 중요성을 설파했고, 이후 네덜란드어 문학의 부흥도 지원했다.[35]
1836년, 형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에른스트 1세 가족의 런던 방문에 즈음하여, 형의 차남 앨버트 공자를 누이의 딸 빅토리아 여왕에게 소개했고, 빅토리아 여왕은 앨버트 공자를 마음에 들어 했다. 1837년 빅토리아 여왕 즉위 후, 1839년에 앨버트 공자와 결혼했다. 레오폴 1세는 젊은 여왕 부부의 좋은 상담역이기도 했다.[36]
1839년, 벨기에의 독립이 네덜란드로부터도 정식으로 승인되었고, "영세 중립"이 성립되었다. 레오폴 1세는 주변 각국의 정세를 고려하여, 북부 플란데런 지역의 독립을 억제하면서 중립을 지키며, 벨기에의 독립을 유지했다.[37] 1830년대에는, 왈롱과 플란데런을 잇는 철도망을 정비하여, "다언어 국가"를 만들려고 했다.[38]
2. 5. 4. 국제 관계에서의 역할
레오폴 1세는 가족 관계와 중립국 벨기에 국왕이라는 지위를 활용하여 재위 기간 동안 유럽 정치에서 중요한 중재자 역할을 수행했다.[13] 이 때문에 "유럽의 네스토르"라는 별명을 얻었다.[13] 그는 적대적인 열강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통치 후반기에는 나폴레옹 3세의 프랑스 제2 제국과 영국 간의 관계를 관리하는데 특히 중요한 역할을 했다.레오폴 1세는 프로이센(1844)과 프랑스(1846)와 상업적 조약을 맺었고, 중립적 외교 정책을 지속하였다. 그의 왕좌는 1848년 혁명 동안에 심각하게 기피되지 않았다. 1852년 프랑스에서 나폴레옹 3세 아래 적대 정권이 들어선 후, 안트베르펜 지역의 방어 공사(1868년 완공)를 후원하였다.
1835년부터 1836년까지 그는 조카 작센코부르크고타의 페르디난트와 포르투갈 여왕 마리아 2세의 결혼을 추진했다. 그는 또한 조카인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과 그의 또 다른 조카인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앨버트 공의 결혼을 추진했다. 1836년, 레오폴 1세는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에른스트 1세 가족의 런던 방문에 즈음하여, 형의 차남 앨버트 공자를 빅토리아 여왕에게 소개했고, 빅토리아 여왕은 앨버트 공자를 마음에 들어 했다. 빅토리아 여왕은 1837년에 여왕으로 즉위했고, 1839년에 앨버트 공자와 결혼했다. 이러한 경위로 인해, 레오폴 1세는 젊은 여왕 부부의 좋은 상담역이기도 했다.[36]
외교 정책에서 레오폴 1세의 주된 목표는 벨기에의 중립을 유지하는 것이었다.[15] 이는 런던 조약 (1839년) 제7조에 의해 부과되었다.[14] 특히 크림 전쟁 (1853–56년)에 대한 열강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벨기에는 레오폴 1세와 2세의 통치 기간 동안 공식적으로 중립을 유지했다.[15] 1839년, 벨기에의 독립이 네덜란드로부터 정식으로 승인되면서 영세 중립이 확립되었다. 레오폴 1세는 주변 각국의 정세를 고려하여 중립을 지키며 벨기에의 독립을 유지했다.[37]

2. 5. 5. 결혼과 가족
레오폴 1세는 1832년 8월 9일 루이 필리프 1세의 딸인 오를레앙의 루이즈마리와 결혼하여 슬하에 4명의 자녀를 두었다.[17]사진 | 이름 | 생일 | 사망 | 기타 |
---|---|---|---|---|
![]() | 루이 필리프 | 1833년 7월 24일 | 1834년 5월 16일 (9개월) | 요절 |
![]() | 레오폴 2세 | 1835년 4월 9일 | 1909년 12월 17일 (74세) | 마리 헨리에테 폰 외스터라이히와 결혼, 슬하 1남 3녀 |
![]() | 플랑드르 백작 필리프 왕자 | 1837년 3월 24일 | 1905년 11월 17일 (68세) | 호엔촐레른지크마링겐의 마리와 결혼, 슬하 2남 3녀 |
![]() | 샤를로트 드 벨지크 왕녀 | 1840년 6월 7일 | 1927년 1월 19일 (86세) | 멕시코의 막시밀리아노 1세 황제와 결혼, 자녀 없음 |
루이즈마리 왕비는 1850년 10월 11일 결핵으로 3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레오폴드는 정부(情婦)인 아르카디 메이어(Arcadie Claret|아르카디 클라레프랑스어)와의 사이에서 두 아들, 조지(게오르크 폰 에핑호벤)(1849년생)과 아르투르 폰 에핑호벤(1852년생)을 두었다.[18] 레오폴드의 요청에 따라,[18] 1862년 그의 두 아들은 조카인 에른스트 2세에 의해 자유 남작 폰 에핑호벤으로 임명되었고, 1863년 아르카디도 남작 부인 폰 에핑호벤으로 임명되었다.[19]
1848년, 왕비 루이즈마리의 아버지 루이 필리프 국왕이 퇴위했기 때문에, 프랑스와의 혼인 관계를 포기하고 합스부르크가와의 관계 강화를 도모하려 했다.[40] 레오폴드 왕세자에게 오스트리아 대공녀 마리 헨리에테를 아내로 맞이하게 했지만, 레오폴드는 애첩과 동거하게 되면서 결혼 생활의 파탄은 분명했다.[40]
레오폴드 1세는 장녀 샤를로트를 오스트리아 대공 막시밀리안과 결혼시키려 했다.[41] 아들들과의 불화도 있어서, 레오폴드 1세는 샤를로트를 몹시 아꼈으며[42], "유럽에서 가장 아름다운 공주"라고 평할 정도로 맹목적으로 사랑했다.[43] 샤를로트의 혼담 상대에는, 포르투갈 국왕 페드루 5세나, 작센의 왕제 게오르크 (후, 국왕)도 있었지만, 레오폴드 1세의 희망에 맞지 않았다.[44]
1855년, 벨기에를 방문한 막시밀리안 대공을 레오폴드 1세 부자는 환대했고, 막시밀리안도 샤를로트와의 혼담에 동의했다.[45] 이듬해 1856년 12월, 벨기에를 재방문한 막시밀리안과의 교섭에서, 레오폴드 1세는 끔찍이 아끼는 딸을 위해 거액의 지참금을 인정했다.[46] 두 사람은 1857년 브뤼셀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1861년, 미국에서 남북 전쟁이 발발했을 때, 프랑스 제국에 의한 멕시코 출병이 이루어졌고, 영국과 스페인이 잇따라 철수하는 가운데, 프랑스 황제 나폴레옹 3세는 막시밀리안 대공을 멕시코 황제의 자리에 앉히려고 했다. 막시밀리안은 이탈리아에서의 권익을 잃고, 은밀히 장인 레오폴드 1세에게 재산 보전을 교섭하는 등[47], 형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와의 관계가 악화되는 가운데, 황제 즉위를 수락한다. 샤를로트는 기뻐했다. 레오폴드 1세는 막시밀리안에게 프랑스, 영국, 스페인의 일치된 지원을 요구하도록 조언했다.[48]
2. 6. 죽음과 계승
레오폴 1세는 1865년 12월 10일 브뤼셀 근교의 라켄에서 사망했다.[20] 그의 장례식은 그의 75번째 생일인 12월 16일에 거행되었다. 그는 루이즈마리와 함께 라켄 성모 교회의 벨기에 왕실 묘소에 안치되었다.레오폴 1세의 뒤를 이어 그의 아들인 레오폴 2세가 30세의 나이로 왕위를 계승하여 1909년까지 통치했다.
참조
[1]
서적
The Lost Queen: The Life and Tragedy of the Prince Regent's Daughter
https://books.google[...]
Pen and Sword History
2020
[2]
웹사이트
Park Lane Pages 264–289 Survey of London: Volume 40, the Grosvenor Estate in Mayfair, Part 2 (The Buildings). Originally published by London County Council, London, 1980.
https://www.british-[...]
2020-08-13
[3]
웹사이트
Pall Mall Pages 123–139 Old and New London: Volume 4. Originally published by Cassell, Petter & Galpin, London, 1878.
https://www.british-[...]
2020-08-13
[4]
서적
"Prinny's Daughter"
Hamish Hamilton
[5]
웹사이트
Royal Styles and Titles of Great Britain: Documents
https://www.heraldic[...]
[6]
문서
Aus meinem Bühnenleben. Erinnerungen von Karoline Bauer
Berlin
1876-1877
[7]
문서
Denkwürdigkeiten aus den Papiere des Freihernn Christian Friedrich von Stockmar
Brunswick
1873
[8]
서적
Greece: Biography of a Modern Nation
Allen Lane
[9]
문서
The Transformation of European Politics 1763–1848
[10]
서적
Political History of Belgium from 1830 Onwards
ASP
[11]
뉴스
Why does Belgium celebrate its National Day on 21 July?
https://www.vrt.be/v[...]
2019-07-21
[12]
서적
Places of Refuge: The Belgian Experience
Martinus Nijhoff
[13]
Britannica
Leopold I
https://www.britanni[...]
[14]
간행물
Dangerous Opportunities? Reassessing Belgian Neutrality during the Crimean War (1853–1856)
https://www.journalb[...]
2024-06-01
[15]
서적
Leopold I. De eerste koning van Europa
2011
[16]
서적
Small power diplomacy and commerce. Belgium and the Ottoman Empire during the reign of Leopold I, 1831–1865
The Isis Press
2013
[17]
서적
De kinderen van de koning: Alle erfgenamen van Leopold I
House of Books
[18]
서적
Sur les traces d'Arcadie Claret: le Grand Amour de Léopold Ier
2006
[19]
서적
Genealogisches Handbuch des Adels
C. A. Starke
[20]
웹사이트
Belgium – Last moments of King Leopold.
https://www.nytimes.[...]
2016-07-07
[21]
웹사이트
Monument à la Dynastie – Inventaire du patrimoine architectural
https://monument.her[...]
2023-12-04
[22]
서적
ブリュッセル歴史散歩 中世から続くヨーロッパの十字路
日経BP企画
[23]
문서
菊池 2014
[24]
문서
君塚 2014
[25]
문서
松尾 2014
[26]
문서
松尾 2014
[27]
문서
君塚 2014
[28]
문서
松尾 2014
[29]
문서
松尾 2014
[30]
문서
君塚 2014
[31]
문서
松尾 2014
[32]
문서
松尾 2014
[33]
문서
松尾 2014
[34]
문서
松尾 2014
[35]
문서
松尾 2014
[36]
서적
君塚 2014 p.231
[37]
서적
松尾 2014 p.54
[38]
서적
松尾 2014 p.55
[39]
서적
菊池 2014 p.120
[40]
서적
菊池 2014 p.121
[41]
서적
菊池 2014 p.122
[42]
서적
菊池 2014 p.124-125
[43]
서적
菊池 2014 p.155
[44]
서적
菊池 2014 p.120
[45]
서적
菊池 2014 p.126-128
[46]
서적
菊池 2014 p.129
[47]
서적
菊池 2014 p.187
[48]
서적
菊池 2014 p.194
[49]
서적
菊池 2014 p.268-269
[50]
웹사이트
Famous Masons, Grand Orient of Belgium website
http://www.gob.be/F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