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나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나니는 이탈리아 라치오주 프로시노네현에 위치한 도시이다.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헤르니키족의 중요한 도시이자 로마 시대에는 전략적 요충지였다. 중세 시대에는 교황청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4명의 교황을 배출했고, 13세기는 아나니의 황금기였다. 1303년에는 교황 보니파시오 8세가 프랑스 국왕 필리프 4세와 대립하는 과정에서 아나니 사건이 발생하여 교황권이 쇠퇴하는 계기가 되었다. 주요 명소로는 아나니 대성당, 교황 궁전, 코무날레 궁전 등이 있으며, 고유한 방언을 사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나니 - 아나니 사건
    아나니 사건은 1303년 프랑스 국왕 필리프 4세와 교황 보니파시오 8세의 갈등으로 발생하여 교황권 쇠퇴와 아비뇽 유수의 배경이 된 사건이다.
  • 라치오주의 로마 유적 - 포르투스
    포르투스는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대에 건설되어 로마 물자 수송의 중심 역할을 한 고대 로마 제국의 주요 항구로, 트라야누스 황제 시대에 확장되었으며 티베르 강과 연결되어 다양한 물품을 운송했으나 중세 시대에 쇠퇴하여 현재는 피우미치노 지역에 유적이 남아있다.
  • 라치오주의 로마 유적 - 알바 롱가
    알바 롱가는 고대 이탈리아의 도시로, 로마 신화에 따르면 아스카니우스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로마 건국 이전 라틴족의 중심 도시였으나 로마에 의해 파괴되었고 유피테르 라티아리스 신앙과 베스타 신앙의 중심지였다.
  • 프로시노네도의 코무네 - 아티나 (프로시노네현)
    아티나는 이탈리아 프로시노네현에 위치한 코무네로, 고대 삼니움의 도시이자 로마 제국 시대에 번성했으며, 롬바르드족에게 정복된 후 나폴리 왕국에 속했다가 1929년 프로시노네 현에 편입되었고, 다각형 성벽, 공작 궁전, 대성당, 수도원 등 명소가 있으며 적포도주 DOC 구역으로도 알려져 있다.
  • 프로시노네도의 코무네 - 페렌티노
    페렌티노는 이탈리아 프로시노네 현 서부에 위치한 코무네로, 고대 헤르니키족 도시에서 기원하여 로마 공화국에 점령된 후 라틴 가도 위의 요새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역사적 건축물과 섬유 및 제약 산업이 발달한 도시이다.
아나니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아나니
로마자 표기Anagni
아나니의 스카이라인
아나니의 스카이라인
프로시노네도 내의 아나니 위치
프로시노네도 내의 아나니 위치
어원안나그니아 (Anagnia)
행정 구역
국가이탈리아
라치오주
프로시노네도
일반 정보
고도424m
면적113km²
인구21,404명 (2018년 1월 1일 기준)
인구 밀도188.1명/km²
시간대CET (UTC+1)
여름 시간 (DST)CEST (UTC+2)
우편 번호03012
지역 번호0775
ISTAT 코드060006
세무 코드A269
지진 구역2B
주민아나니니 (anagnini)
수호 성인성 마그누스
축일8월 19일
홈페이지아나니 공식 웹사이트
정치
시장(정보 없음)
지리
위치라티나 계곡
해발 고도 범위167 - 757m
교통
고속도로A1 밀라노-나폴리
역사 및 문화
중요 사건교황 보니파시오 8세 생포 사건
관련 인물성 베네딕토
교황 보니파시오 8세
성 마그누스
인접 코무네
인접 코무네아쿠토
페렌티노
피우기
팔리아노
세니
가비냐노
몬테라니코
스코르골라

2. 역사

헤르니키족은 아니에네 계곡에서 이주해 온 마르시족(또는 사비니족)의 후손으로, '헤르니키'라는 이름은 ''헤르나''(''herna'')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돌 언덕에 사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그들의 언어는 희생물 가죽 띠를 뜻하는 ''Samentum''과 장례식 비가를 뜻하는 ''Bututti''라는 두 단어만 남아있다.[1]

아나니는 헤르니치족의 중요한 도시이자 종교적 중심지였으며, 알라트리, 피리오, 베로리, 페렌티노와 같은 헤르니키족의 도시들과 연합체(''Confoederatio Hernica'')를 맺고 종교적, 정치적 회합을 열었다.[1] 기원전 7세기경 헤르니치족과 에트루리아인 사이에 문화적, 경제적 관계가 있었으며, 마그나 그라에키아와의 교역 중심지였던 것으로 추정된다.[1]

기원전 307년, 헤르니키족은 알레트리움, 베룰라에, 페렌티눔을 제외하고 로마에 선전포고했지만, 좌절을 겪은 후 무조건 항복했다. 기원전 306년에 전쟁에 참여하지 않았던 마을들은 독립 상태를 유지했고, 아나니는 투표권 없이 시민권을 받았다.[4] 로마의 지배 하에 마을은 확장되었고, 세르비우스 성벽은 기원전 3세기 초에 개조되었다.

로마 제국 시대에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코모두스, 카라칼라를 포함한 많은 황제들이 로마의 더위를 피해 아나니에서 여름을 보냈다. 빌라 마그나 근처의 대규모 황실 빌라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소유였다.

5세기 이후 아나니에는 가톨릭 교회의 중요한 주교좌가 설치되었고, 9세기에는 과거 케레스 신전이 있던 자리에 최초의 대성당이 건설되었다. 10세기부터 11세기에 걸쳐 아나니는 교황청과의 관계를 강화했다. 12세기부터 13세기에 걸쳐, 교황들이 아나니에 머물렀고, 그 결과 이 시기 교황권과 황제권 (교황파와 황제파)의 항쟁의 중요한 사건들이 이 도시에서 일어났다.

1122년, 교황 갈리스토 2세는 보름스 협약에 관한 교황 교서를 아나니에서 발표했다. 1159년 하드리아노 4세는 이 도시에서 사망했고,[6] 뒤를 이은 알렉산데르 3세는 아나니 대성당에서 프리드리히 1세의 파문을 선고했다. 1176년 레냐노 전투 이후 알렉산데르 3세는 황제의 사절을 받아들였고, 평화 협정인 "아나니 조약"이 준비되었다.

13세기는 아나니의 황금기였다. 100년 동안 4명의 교황(인노첸시오 3세, 그레고리오 9세, 알렉산데르 4세, 보니파시오 8세)을 배출했다.

2. 1. 선사시대와 고대시대

최근 발견된 선사시대 유물들에 따르면, 아나니에 처음으로 인간이 정착한 것은 70만 년 전보다 더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폰타나 라누치오에서는 호모 에렉투스의 치아와 뼈로 만든 물건, 부싯돌 등이 발견되었다.[1]

기원전 5세기의 라티움의 여러 민족 (라틴어 표기)


이 지역에 살았던 최초의 사람들은 아니에네 계곡에서 이주해 온 헤르니키족으로, 마르시족(또는 사비니족)의 후손이었다. '헤르니키'라는 이름은 마르시족의 언어로 '돌'을 뜻하는 ''헤르나''(''herna'')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돌 언덕에 사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그들의 언어는 희생물 가죽 띠를 뜻하는 ''Samentum''과 장례식 비가를 뜻하는 ''Bututti''라는 두 단어만 남아있다.[1]

아나니는 헤르니치족의 중요한 도시이자 종교적 중심지였다. 도시는 아크로폴리스(대성당, 투폴리 문, 단테 광장을 포함하는 북동쪽 구역)에 위치했으며, '오푸스 콰시-콰드라툼'(''opus quasi-quadratum'', 거의 사각형 작업) 방식으로 만들어진 성벽으로 부분적으로 방어되었다.[1]

아나니는 ''Aletrium'' (알라트리), ''Capitulum'' (피리오), ''Verulae'' (베로리), ''Ferentinum'' (페렌티노)과 같은 헤르니키족의 도시들과 연합체(''Confoederatio Hernica'')를 맺고 종교적, 정치적 회합을 열었다.[1]

최근의 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기원전 7세기경 헤르니치족과 에트루리아인 사이에 문화적, 경제적 관계가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마그나 그라에키아와의 교역 중심지였던 것으로 추정된다.[1]

2. 2. 로마 시대

기원전 307년, 헤르니키족은 알레트리움, 베룰라에, 페렌티눔을 제외하고 로마에 선전포고했다. 헤르니키족은 좌절을 겪은 후 무조건적인 항복을 제안했다. 기원전 306년에 전쟁에 참여하지 않았던 마을들은 독립 상태를 유지했고, "아나니와 로마에 대항하여 무기를 들었던 다른 마을들은 투표권 없이 시민권을 받았다. 그들은 의회를 열거나 결혼하는 것이 금지되었으며, 종교 의식을 담당하는 관리 외에는 어떤 관리도 허용되지 않았다."[4] 아나니는 종교적 자율성과 전략적 중요성을 유지했다.

로마의 지배 하에 마을은 확장되었고, 이른바 세르비우스 성벽은 기원전 3세기 초에 개조되었다.

로마 제국 시대에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코모두스, 카라칼라를 포함한 많은 황제들이 로마의 더위를 피하기 위해 아나니에서 여름을 보냈다. 빌라 마그나 근처의 대규모 황실 빌라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소유였다.

이 도시는 대성당이 세워진 케레스 신전을 포함한 사찰과 성소의 소재지였다. 서기 2세기에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에 따르면 신성한 에트루리아 텍스트를 담은 많은 린넨 코덱스가 여전히 잘 보존되어 있었다. 이 텍스트 중 유일하게 살아남은 것은 ''리베르 린테우스''이다.

로마 제국 말기에 위기로 인해 아나니의 인구가 감소했고, 도시의 낮은 지역은 버려졌다.

2. 3. 중세

5세기 이후 아나니에는 가톨릭 교회의 중요한 주교좌가 설치되었다. 9세기에는 과거 케레스 신전이 있던 자리에 최초의 대성당이 건설되었다. 10세기에는 농업 부흥이 시작되었고, 성직자들의 권력이 이를 지원했다. 농업 부흥으로 자원을 활용할 수 있게 된 세속 영주들은 농민들을 위해 더욱 견고한 거주지를 구축할 수 있게 되었고, 경제적인 발전과 인구 증가가 나타났다.

10세기부터 11세기에 걸쳐 아나니는 교황청과의 관계를 강화했다. 교황들은 역병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로마보다 아나니가 더 안전하고 건강하다고 생각했다. 아나니 내부에도 다양한 파벌이 있었지만, 로마 교회에 충실한 도시였다. 12세기부터 13세기에 걸쳐, 교황들은 아나니에 머물렀고, 그 결과 이 시기 교황권과 황제권 (교황파와 황제파)의 항쟁의 중요한 사건들이 이 도시에서 일어났다.

1122년, 교황 갈리스토 2세는 보름스 협약에 관한 교황 교서를 아나니에서 발표했다. 크레마 포위전 (교황파 도시가 황제 프리드리히 1세에게 포위되었다) 중인 1159년, 하드리아노 4세는 밀라노 등 북 이탈리아의 교황파 도시의 사절을 받아들였다. 하드리아노 4세는 이 도시에서 사망했고,[6] 뒤를 이은 알렉산데르 3세는 아나니 대성당에서 프리드리히 1세의 파문을 선고했다. 1176년레냐노 전투 (교황파의 롬바르디아 동맹이 프리드리히 1세를 격파한 전투) 이후 알렉산데르 3세는 황제의 사절을 받아들였고, 평화 협정인 "아나니 조약"이 준비되었다.

아나니 대성당 전경 및 종탑


13세기는 아나니의 황금기였다. 아나니는 100년 동안 4명의 교황을 배출했다. 유력 귀족 콘티 가문 출신의 인노첸시오 3세 (재위:1198년 - 1216년)는 로마 교황권의 절정기를 이룩한 인물이다. 프리드리히 2세의 독일 황제 즉위를 지지하고, 아시시의 프란체스코의 활동을 인정하는 등 동시대에 가장 뛰어난 인물 중 한 명이었다. 그레고리오 9세 (재위: 1227년 - 1241년)는 인노첸시오 3세의 조카였으며, 뛰어난 법학자이기도 했다. 1227년에는 아나니 대성당에서 십자군 실행 약속을 지키지 않은 프리드리히 2세를 파문했다. 프리드리히 2세는 파문된 채 제6차 십자군을 조직하여 외교 협상으로 예루살렘을 손에 넣었다. 1230년, 그레고리오 9세는 프리드리히 2세를 아나니에 맞아 파문을 해제했다. 그레고리오 9세의 친족이었던 알렉산데르 4세 (재위: 1254년 - 1261년)는 파리 대학교를 중심으로 일어난 탁발 수도회 비판에 직면하여, 비판 세력의 지도자인 윌리엄 오브 생 아무르에 대해 1256년에 아나니에서 공식적인 비난을 가했다. 또한 아시시의 클라라의 시성 (1255년)도 아나니에서 이루어졌다.

1265년 도미니코회 로마 관구의 아나니에서 열린 지방 장에서 토마스 아퀴나스를 섭정 마스터로 임명하여[7] 로마의 산타 사비나 수도원에 있던 기존의 '수도원 연구'를 철학 연구를 특징으로 하는 이 수도회의 첫 번째 '지방 연구'로 전환했다. 이 '연구'는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에 있는 16세기 성 토마스 칼리지의 선구자이며 교황청 성 토마스 아퀴나스 대학교의 선구자이다.[8]

중세의 팔라초 (저택)

2. 3. 1. 아나니 사건

1303년 9월 7일, 프랑스 왕 필리프 4세의 고문 기욤 드 노가레와 스키아라 콜론나는 2천 명의 군대를 이끌고 아나니를 공격했다. 이들은 현지인들과 합세하여 교황과 그의 조카가 머물던 궁전을 공격했다. 교황의 수행원들과 조카는 도망쳤지만, 산타 사비나 추기경 페드로 로드리게스만이 교황 곁을 지켰다. 궁전은 약탈당했고, 보니파시오 8세는 거의 죽을 뻔했으나, 노가레가 스키아라 콜론나가 교황을 살해하는 것을 막았다.

보니파시오 8세는 사흘 동안 굶주림과 목마름 속에 감금되었다. 이 사건은 '아나니의 굴욕'으로 불리며, 전설에 따르면 교황은 스키아라 콜론나에게 장갑으로 뺨을 맞았다고 전해지는데, 이를 '아나니의 뺨'이라고 한다. 단테 알리기에리신곡에서 이 사건을 "새로운 빌라도가 그리스도의 대리자를 투옥했다"라고 묘사했다.

아나니 시민들은 봉기하여 보니파시오 8세를 구출하고 체포된 자들을 사면했다. 교황은 1303년 로마로 돌아왔으나, 병을 얻어 같은 해 10월 11일에 사망했다.

보니파시오 8세의 죽음으로 가에타니 가문의 권력과 아나니의 번영은 막을 내렸고, 교황의 절대 권위는 약화되었다. 이후 교황청이 아비뇽 유수로 이동하면서 아나니는 쇠퇴의 길을 걸었다.

아나니 사건

2. 4. 르네상스 시대 이후

1556년, 아나니는 교황 바오로 4세스페인의 국왕 펠리페 2세 사이의 분쟁으로 격전지가 되었는데, 알바 공작이 이끄는 스페인 군대에 의해 포위되었기 때문이다. 스페인군의 포격 이후 교황 군대는 진지를 포기했고, 스페인군은 9월 15일에 마을을 약탈했다.[1]

특히 마을 성벽에 가해진 피해는 1564년 교황 비오 4세 치하에서 이루어진 요새화 작업으로 더욱 심화되었다.[1] 1579년경에는 도시의 주교이자 총독이었던 베네데토 로멜리노 추기경 덕분에 짧은 재번영기가 시작되었다.[1]

1633년경에는 대규모 건축 및 도시 재건이 시작되었다. 웅장한 문으로 장식된 고대 귀족 저택이 재건되었고, 19세기 말에는 복지가 증가하면서 도시의 문화 수준도 다시 높아졌다. 다양한 학교와 기관, 단체가 설립되어 아나니는 오랜 문화적 전통을 바탕으로 중요한 연구 중심지가 되었다.[1]

1890년에는 여왕의 참석하에 문법 학교 교사의 고아 소녀들을 위한 여왕 마가렛 국립 기숙사가 개설되었다.[1]

1897년에는 교황 레오 13세를 기념하여 예수회 콜레지오 레오니아노가 개교했다. 1930년에는 지역 공무원의 아들을 위한 피에몬테 왕자의 기숙사가 건설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아나니 지역은 중요한 산업 정착지가 되었다.[1]

아나니는 최근까지 교황들의 여름 별장이었다. 이는 오늘날 교황에게 카스텔 간돌포가 알반 언덕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유사했다.[1]

3. 지리

아나니는 로마 시대의 경계 벽 안에 건설된 중세 언덕 마을(해발 424m)로, 구불구불한 작은 거리와 가파른 골목길이 특징이다.

3. 1. 개요

아나니는 작은 중세 언덕 마을(해발 424m)의 모습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으며, 구불구불한 작은 거리와 가파른 골목길이 특징이다. 이 도시는 로마 시대의 경계 벽 안에 건설되었다.

3. 2. 위치

아나니는 중세 시대 언덕 마을(해발 424m)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구불구불한 작은 거리와 가파른 골목길이 특징이다. 이 도시는 로마 시대의 경계 벽 안에 건설되었다.

프로시노네현 서부에 위치하며, 현청 소재지 프로시노네에서 북서쪽으로 약 20km, 라티나에서 북서쪽으로 약 38km, 수도 로마에서 동남동쪽으로 약 58km 떨어져 있다.

4. 주요 명소

아나니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명소가 있다.


  • 아나니 대성당은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과 고딕 건축 양식이 혼합된 건축물로, 특히 지하 묘지의 프레스코화는 비잔틴 미술의 걸작으로 손꼽힌다.
  • 교황 보니파시오 8세가 태어난 교황 궁전(보니파시오 8세 궁전)에서는 아나니 사건이 일어났다.
  • 코무날레 궁전은 1163년에 지어졌으며, 두 건물을 연결하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 카사 질리는 중세 건물을 복원한 것이다.
  • 도시 남쪽에는 빌라 마냐 유적지가 있다.
  • 그 외에 산탄드레아, 마돈나 디 로레토, 산 자코모, 산타고스티노 등 여러 중세 교회가 있다.


아나니 대성당


산 조반니 교회의 정면

4. 1. 아나니 대성당

성모 마리아에게 봉헌된 아나니 대성당은 1071년부터 1105년까지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13세기 중반에 고딕 건축 양식이 추가되었다. 지하 묘지에는 이 도시의 수호성인인 아나니의 마그누스와 아나니의 세쿤디나의 무덤이 있다.[9] 모든 벽과 천장을 덮고 있는 프레스코화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잘 보존된 로마네스크 미술/비잔틴 미술의 예시 중 하나이며, 자연 철학, 성인, 요한 계시록, 구약 성경의 언약궤를 포함하는 단일 도상학적 구성을 이룬다.[9] 복원되지 않은 코스마티 바닥은 훌륭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지하 묘지와 같은 층에는 덜 보존된 프레스코화가 있는 토마스 베켓의 기도실이 있다. 박물관에는 베켓 관 채스 (현재 약 40여 개 중 하나)와 베켓의 주교관으로 추정되는 유물이 소장되어 있다. 서쪽 벽에는 인노첸시오 3세 광장을 바라보는 교황 보니파시오 8세의 동시대 조각상이 있다.

대성당 내부

4. 2. 교황 궁전 (보니파시오 8세 궁전)

이곳은 교황 보니파시오 8세가 태어난 곳이자 그가 프랑스 국왕 필리프 4세에게 감금된 아나니 사건이 일어난 곳이다. 1303년 9월 7일, 프랑스 재상 기욤 드 노가레는 2000명의 용병(기병 및 보병)을 이끌고 아나니의 교황 궁전을 공격했다. 교황과 대립하던 콜론나 가문은 이에 협력했다. 교황의 수행원 대부분과, 교황이 가장 아끼던 조카 프란체스코는 곧 도망쳤고, 마지막까지 교황을 따른 것은 페드로 로드리게스 추기경뿐이었다. 궁전은 약탈당했고, 교황은 살해당할 뻔했으나, 노가레는 병사를 파견하여 교황 살해를 막았다. 교황은 프랑스 병사 및 이탈리아 병사에게 체포되어 3일 동안 음식을 제공받지 못하는 등 학대를 받았다. 아나니 시민들은 약탈자들에게 반격하여 교황을 유폐에서 구출했다. 교황은 9월 13일에 로마로 귀환했지만, 이 사건으로 충격을 받아 10월 11일에 로마에서 사망했다.

4. 3. 코무날레 궁전

1163년 브레시아의 건축가 야코포 다 이세오가 기존의 두 건축물을 포르티코로 연결하여 건설하였다. 정면에는 카에타니(Caetani) 가문과 오르시니 가문의 문장이 걸려 있다.

4. 4. 기타


  • 교황 궁전(보니파시오 8세 궁전)은 "아나니 사건"이 일어난 장소이다.
  • 코무날레 궁전은 1163년 브레시아 출신의 건축가 야코포 다 이세오가 건설했다. 이 궁전은 거대한 ''살라 델라 라지오네''("이성 홀")를 지지하는 아치로 연결된 두 개의 기존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정면에는 오르시니 가문과 가에타니 가문의 문장이 새겨져 있다.
  • ''카사 질리''는 19세기 스웨덴 화가 알베르트 바르네코프가 복원한 중세 건물이다.
  • 산탄드레아는 중세 교회이다.
  • 마돈나 디 로레토는 중세 교회이다.
  • 산 자코모는 교황 인노첸시오 4세 재위 기간인 13세기에 지어진 교회로, 성 야고보와 성 루치아에게 헌정되었다.
  • 산타고스티노는 16세기 교회이다.


도시 남쪽에는 안토니누스 피우스가 건설한 빌라 마냐 유적지가 있는데, 이곳은 여전히 빌라마냐라고 불리며,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로마 영국 학교 및 라치오 고고학 유산 관리국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2006년에 첫 번째 발굴 조사를 시작했다. 2007년과 2008년에 계속된 이 발굴 조사로 와인 생산에 사용된 크고 화려하게 장식된 건물과 산 피에트로 인 빌라마냐 수도원의 유적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아나니의 시가지는 해발 460m의 언덕 위에 펼쳐져 있으며, 로마 시대의 견고한 성벽으로 둘러싸인 중세 도시로, 도시 전체에 급경사와 구불구불한 길이 보인다.

도시는 카스텔로, 토레, 트리비오, 투폴리, 피시나, 콜레 산탄젤로, 발레 산탄드레아, 체레레이다의 8개의 콘트라데(소 지구)로 나뉜다.

5. 언어

아나니의 언어 또는 방언(아냐니노라고 불림)은 중부 이탈리아 방언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중부-북부 라티움 지역에 속한다.[10] 정관사는 남성 단수형은 ''Ju''(영어 단어 ''you''와 유사하게 발음), 여성 단수형은 ''La'', 남성 복수형은 ''Ji''(''Yee''로 발음), 여성 복수형은 ''Le''(''Lay''로 발음)이다. 부정관사는 남성 단어에는 ''nu'', 여성 단어에는 ''na''를 사용한다. 복수형에서는 항상 마지막 모음이 발음되며, 단수형에서도 대개 발음된다(이는 단어의 마지막 모음이 일반적으로 뭉개지고 억양이 없는 남부 라치알레와 나폴리 방언과 비교된다).

이탈리아어를 아는 사람들에게 아냐니노 방언은 라틴어에서 발견되는 'u'를 보존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어 ''con''(with) 대신 아나니 사람들은 라틴어 ''cum''에서 유래된 ''cu''를 사용한다. 이탈리아어와 아냐니노 사이에는 n, l, r의 일부 삭제 등 많은 다른 차이점이 있다. 언어학 역사가에게 이 방언은 로마 이전 이탈리아 언어와 이탈리아어 형성 연구에 특히 중요하다. 라틴어처럼 v는 u로 발음된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어 ''vino''(와인)는 아냐니노에서는 ''uino''이다.

오늘날의 표준 이탈리아어는 독일어, 프랑스어, 아랍어, 그리스어, 스페인어의 영향을 받는 반면, 아나니 방언과 중부 이탈리아(로마 남쪽, 아펜니노 산맥 서쪽, 캄파니아 북쪽)의 다른 방언들은 외국인의 정착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라틴어 및 이탈리아 이전 언어로 간주된다.

6. 자매 도시

릴쉬르라소르그(프랑스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레지옹), 그니에즈노(폴란드 비엘코폴스카주)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11]

7. 인물


  • 안드레아 데이 콘티 (1240-1302), 작은 형제회 가톨릭 사제
  • 인노켄티우스 3세 - 제176대 로마 교황. 가비냐노 출생.
  • 그레고리우스 9세 - 제178대 로마 교황.
  • 알렉산데르 4세 - 제181대 로마 교황. 옌네 출생.
  • 보니파시오 8세 - 제193대 로마 교황.
  • 나탈레 데 카롤리스 - 오페라 가수.
  • 마누엘라 아르쿠리 - 모델, 여배우.

참조

[1] 웹사이트 Anagni https://www.tuttital[...]
[2] 서적 Osservazioni geologiche fatte lungo la Valle Latina https://books.google[...]
[3] 서적 Guida d'Italia Touring Club Italiano
[4] 서적 The History of Rome
[5] 서적 Money and the Church in Medieval Europe, 1000-1200: Practice, Morality and Thought Routledge 2016-03-09
[6] 간행물 Anagnia
[7] 문서 Acta Capitulorum Provincialium, Provinciae Romanae Ordinis Praedicatorum, 1265, n. 12, in Corpus Thomisticum http://www.corpustho[...]
[8] 서적 "First the Bow is Bent in Study-- ": Dominican Education Before 1350 https://books.google[...] PIMS 1998
[9] 문서 Romanesque Painting London 1963
[10] 문서 Carta dei dialetti d'Italia CNR - Pacini ed., Pisa 1977
[11] 웹사이트 Città gemellate http://www.comune.an[...] Anagni 2019-12-18
[12] 웹사이트 Tavola: Popolazione residente - Frosinone (dettaglio loc. abitat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2013-09-22
[13] 웹사이트 Tavola: Superficie territoriale (Kmq) - Frosinone (dettaglio comunal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2013-09-22
[14] 웹사이트 Total Resident Population on 1st January 2018 by sex and marital status http://demo.istat.it[...] 2018-1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