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B. 매클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B. 매클러는 1896년 9월 15일에 태어나 1973년 9월 15일에 사망한 미국의 군인이다.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수훈 십자장을 받았으며,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제35보병연대, 제84보병사단, 아메리컬 사단을 지휘했다. 또한, 중국에서 앨버트 코디 웨더마이어의 참모장으로 활동했고, 중국 전투 사령부의 사령관을 역임했다. 한국 전쟁 중에는 미국 제2보병사단 사단장을 맡았으나, 지휘력 부족으로 해임되었다. 1954년 육군에서 퇴역했으며, 1956년 수훈 십자 훈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아주 출신 - 로절린 카터
로절린 카터는 미국의 영부인이자 사회 운동가, 작가이며, 정신 건강 문제 개선과 국제 분쟁 해결, 인권 증진, 질병 퇴치에 기여하고 여성 인권 및 아동 복지를 위해 활동했으며, 다섯 권의 책을 저술했다. - 조지아주 출신 - 레이 트레일러
레이 트레이러는 빅 보스 맨이라는 링네임으로 알려진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로, 교도관 출신 기믹으로 WWF/WWE와 WCW에서 활동하며 하드코어 챔피언 4회, 태그팀 챔피언 1회를 기록했고 2016년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미국의 군인 - 로스 배그더세리언
로스 배그더세리언은 "컴 온-어 마이 하우스"와 "위치 닥터" 등의 히트곡을 작곡하고, 데이비드 세빌이라는 예명으로 앨빈과 슈퍼밴드를 창조한 미국의 작곡가, 배우, 음반 제작자이다. - 미국의 군인 - 시어도어 루스벨트
시어도어 루스벨트는 허약한 체질을 극복하고 다양한 정치 경력을 쌓아 제26대 미국 대통령이 되었으며, 진보적인 개혁 정책 추진, 러일 전쟁 중재 등 국내외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미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돈 오버도퍼
돈 오버도퍼는 워싱턴 포스트에서 25년간 활동한 미국의 언론인이자 작가로, 한국전쟁 참전 경험과 냉전 종식 및 한국 현대사에 대한 저술 활동을 통해 저널리즘과 국제 관계 분야에 기여했다. - 미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가이 S. 멜로이 주니어
가이 S. 멜로이 주니어는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수훈십자장을 받았으며, 주한미군 사령관, 유엔군 사령관, 제8군 사령관을 역임하고 육군 대장으로 은퇴 후 테렐 힐스 시장을 지낸 미국의 군인이다.
로버트 B. 매클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896년 9월 15일 |
사망일 | 1973년 9월 15일 (향년 77세) |
출생지 | 조지아주 롬 |
사망지 | 알 수 없음 |
안장지 | 알링턴 국립묘지, 버지니아주, 미국 |
별칭 | 알 수 없음 |
군 복무 | |
군 종류 | 미국 육군 |
복무 기간 | 1917년 – 1954년 |
최종 계급 | [[파일:US-O8 insignia.svg|25px]] 소장 |
병과 | [[파일:USA - Army Infantry Insignia.png|25px]] 보병 병과 |
군번 | 0-6785 |
지휘 | 미국 제35보병여단 미국 제84보병사단 미국 제23보병사단 중국 전투 사령부 미국 제2보병사단 미국 제6보병사단 |
참전 | |
참전 전투/전쟁 | 제1차 세계 대전 뫼즈-아르곤 공세 중국 국민당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과달카날 전역 카트휠 작전 뉴조지아 전역 벨라라벨라 섬 점령 부건빌 전역 중일 전쟁 중국 국민당 내전 비리거 작전 한국 전쟁 원주 전투 |
훈장 | |
수훈 | 수훈 십자장 육군 공로훈장 (3회) |
기타 정보 | |
관련 인물 | 알 수 없음 |
이후 활동 | 알 수 없음 |
서명 | 알 수 없음 |
2.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로버트 B. 매클러는 1896년 9월 15일 조지아주 롬에서 태어나 1915년 뉴욕 사관학교를 졸업했다.[6][1] 이후 미국 해군사관학교에 잠시 재학했으나 미국 육군에 입대했다.[7] 제1차 세계 대전에 미국이 참전하자 소위로 임관하여 미국 해외원정군 소속으로 서부 전선에서 복무했다. 그는 1918년 벨리우 보이스 전투에서의 공로로 수훈 십자장을 받았다.[8][2]
2. 1. 젊은 시절
매클러는 1896년 9월 15일 조지아주 롬에서 태어났다.[6][1] 1915년 뉴욕 사관학교를 후보생 중 일등 중위이자 생도 제1대대장으로 졸업했다.[6][1] 그는 1916년 미국 해군사관학교에 입학했으나, 학업 성적을 유지하지 못해 학교를 계속 다닐 수 없게 되자 결국 미국 육군에 입대했다.[7]미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이후, 매클러는 장교로 보병에 임관되어 소위 계급을 받았다. 그는 미국 해외원정군(AEF) 소속 제26보병사단 예하 제102보병연대에 복무하며 서부 전선에서 싸웠다. 그는 1918년 10월 27일 뫼즈-아르곤 공세 중 벨리우 보이스(Bellieu Bois)에서의 행동으로 수훈 십자장을 받았으며, 이 과정에서 전투 중 부상을 입었다.[8][2] 훈장 인용문은 다음과 같다: "1918년 10월 27일 프랑스 벨리우 보이스에서의 전투에서 보여준 특별한 영웅적 행위에 대하여. 부상을 입은 후에도 매클러 중위는 적의 기관총 사격에 발과 무릎에 다시 부상을 입을 때까지 부하들을 이끌었다. 부상에도 불구하고 그는 부대를 재편성하고 저항선을 구축했으며, 몇 시간 후 다른 장교에게 임무를 인계할 때까지 적극적으로 지휘를 유지했다."[3]
2. 2.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이후, 매클러는 장교로 보병에 임관하여 소위 계급을 받았다. 그는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미국 원정군(AEF) 소속 제26보병사단 예하 제102보병연대에서 복무하며 서부 전선에 참전했다.[8][2]1918년 10월 27일, 뫼즈-아르곤 공세 중 프랑스 벨리우 보이스(Belleu Bois)에서의 전투에서 보여준 용맹으로 육군 십자 훈장(수훈 십자장)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그는 전투 중 부상을 입었다.[2] 훈장 수여 사유는 다음과 같다.
"1918년 10월 27일 프랑스 벨리우 보이스에서의 전투에서 보여준 특별한 영웅적 행위에 대하여. 부상을 입은 후에도 매클러 중위는 적의 기관총 사격에 발과 무릎에 다시 부상을 입을 때까지 부하들을 이끌었다. 부상에도 불구하고 그는 부대를 재편성하고 저항선을 구축했으며, 몇 시간 후 다른 장교에게 임무를 인계할 때까지 적극적으로 지휘를 유지했다."[3]
3. 전간기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에도 군에 남은 매클러는 1927년부터 1933년까지 중국 톈진에서 제15보병연대 소속으로 복무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중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게 되었으며, 당시 함께 복무했던 장교 중 한 명인 앨버트 코디 웨더마이어와 인연을 맺었다. 매클러는 훗날 제2차 세계 대전 후반기에 웨더마이어의 휘하에서 다시 복무하게 된다.[7]
1938년에는 미국 육군지휘참모대학교에 입학하여 당시 대학 강사였던 소령 J. 로턴 콜린스를 알게 되었다. 학교를 졸업한 후 매클러는 제25보병사단 (미국)의 G-4(물류 및 보급 담당) 참모로 근무했다.[7]
4. 제2차 세계 대전
1941년 12월 7일 일본의 진주만 공격과 4일 뒤 독일의 대미 선전포고 이후, J. 로턴 콜린스가 1942년 제25보병사단 사령관이 되자 매클러는 사단 예하 3개 보병 연대 중 하나인 제35보병연대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매클러는 태평양 전선에서 과달카날 전투, 뉴조지아 전투 및 벨라 라벨라 육상전투에서 연대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다.[7]
콜린스의 부관으로 잠시 복무한 후, 1943년 소장 계급의 장성으로 진급하여 미국으로 돌아왔다. 그는 자신의 사단인 제84보병사단의 지휘를 맡아 6개월 동안 유럽 전구에서 전투 대비 훈련을 시켰다. 이후 다시 태평양 전선으로 복귀하여 부건빌 전투에 참여 중이던 제23 "아메리컬" 보병사단의 사령관을 맡아 솔로몬 제도에서 전투를 지휘했다.[7]
1944년 11월, 매클러는 중국 전선으로 이동하여 과거 제15보병연대에서 함께 근무했던 앨버트 코디 웨더마이어의 참모장으로 활동했다. 웨더마이어는 조 스틸웰 장군의 후임으로 중국 주둔 미군 사령관에 임명된 상태였다. 매클러는 중국 도착 직후 현장으로 파견되어 중국 전투 사령부의 사령관을 맡았으며, 1945년 전쟁이 끝날 때까지 이 직책을 유지했다.[7][9]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공로를 인정받아 육군 공로 훈장을 두 번 수여받았다.[4]
5. 한국 전쟁
1950년 12월 한국 전쟁 중, 미국 제2보병사단 사단장이었던 로렌스 B. 케이저 소장은 제2차 청천강 전투에서의 부진한 작전 수행 능력을 이유로 해임되었으며, 이는 표면적으로 건강 문제로 알려졌다.[11] 당시 미국 육군 참모총장 조셉 로튼 콜린스 대장은 그의 후임으로 매클러를 임명했다.[7]
매클러가 지휘하게 된 제2보병사단은 기존 미국 제9군단 소속에서 미국 제10군단으로 재배치되어, 군단장 에드워드 알몬드 소장의 지휘 하에 놓였다.[12] 알몬드는 매클러의 지휘에 대해 비판적이었으며, 미국 제8군 사령관 매슈 리지웨이 중장에게 매클러의 "감독 부족"과 "예지력 부족"을 보고했다.[13]
부대 재정비 후, 사단은 리지웨이가 전술적으로 "서울 다음으로 중요하다"고 판단한 원주로 이동 명령을 받았다. 원주 전투 중, 매클러는 측면의 한국군 부대가 조선인민군에 의해 무너지자 방어가 어렵다고 판단했다. 그는 알몬드와 합의된 것보다 훨씬 후방으로 부대 철수를 명령했고, 이는 알몬드를 격분하게 만들었다.[13]
결국 매클러는 사단장으로 임명된 지 한 달 남짓 만에 "형편없는 지도력" 또는 "부실한 지휘"를 이유로 해임되었다.[14] 그의 후임으로는 리지웨이의 지지를 받은 클라크 L. 러프너 소장이 임명되었다.
6. 한국 전쟁 이후
해임된 후 매클러는 당시 캘리포니아주 포트 오드에 주둔하던 제6보병사단을 지휘했다. 그는 37년간의 군 복무를 마치고 1954년에 육군에서 퇴역했다. 1956년에는 냉전 시기 동안의 공로를 인정받아 세 번째 수훈 십자 훈장을 받았다.[4] 매클러는 1973년 9월 15일, 자신의 77번째 생일에 사망했으며, 버지니아주 알링턴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5]
참조
[1]
웹사이트
Alumni of Distinction
http://www.nyma.org/[...]
New York Military Academy
2015-08-04
[2]
웹사이트
Robert B. McClure: Distinguished Service Cross
http://www.militaryt[...]
militarytimes.com
2011-12-19
[3]
웹사이트
McClure, Robert Battey
https://www.tracesof[...]
2023-09-09
[4]
웹사이트
Robert B. McClure: Distinguished Service Medal
http://www.militaryt[...]
militarytimes.com
2011-12-19
[5]
웹사이트
McClure, Robert B
https://ancexplorer.[...]
2021-06-02
[6]
웹인용
Alumni of Distinction
http://www.nyma.org/[...]
New York Military Academy
2015-08-04
[7]
서적
Blair, 1987, p. 498–500
[8]
웹인용
Robert B. McClure: Distinguished Service Cross
http://www.militaryt[...]
militarytimes.com
2011-12-19
[9]
서적
Spector, 2007, p. 132
[10]
웹인용
Robert B. McClure: Distinguished Service Medal
http://www.militaryt[...]
militarytimes.com
2011-12-19
[11]
서적
Blair, 1987, p. 497–498
[12]
서적
Halberstam, 2007, p. 514–515
[13]
서적
Blair, 1987, p. 611–612
[14]
서적
Weintraub, 2001, p. 299
[15]
Find a Grave
Gen Robert Battey McClure
https://www.findagra[...]
2012-0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