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훈십자장 (미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훈십자장(Distinguished Service Cross)은 미국 육군에서 명예 훈장 다음으로 높은 무공 훈장으로, 특별한 영웅적 행위로 두각을 나타낸 사람에게 수여된다. 1918년 우드로 윌슨 대통령에 의해 제정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등 여러 전쟁에서 수여되었다. 훈장은 떡갈나무 잎으로 추가 수여를 표시하며, 명예 훈장으로 승격되거나 중복 수여, 새로운 훈장 인용문과 함께 재발행하기 위해 수여가 취소되는 경우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군사훈장 - 명예훈장
명예훈장은 미군에게 수여되는 최고 등급 훈장으로, 자신의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을 무릅쓰고 임무 수행 이상의 용기와 대담함을 보여준 군인에게 대통령이 수여하며, 육군, 해군, 공군/우주군 별로 디자인이 다르고, 20세기 이후 적과의 실제 충돌을 포함하는 용감한 행위에 대해서만 수여되는 것으로 기준이 강화되었고, 수여자에게는 특별 연금 등 다양한 특전이 부여된다. - 미국의 군사훈장 - 동성훈장
동성훈장은 1944년에 제정된 미국의 군사 훈장으로, 적과의 전투, 외국군과의 군사 작전 등에서 용감한 행위, 공훈 또는 탁월한 업적을 달성한 군인에게 수여된다. - 미국 육군 - 미국 육군부
미국 육군부는 1789년 설립된 육군성을 전신으로 하며, 육군 장관이 이끄는 육군 장관실과 육군 참모부를 중심으로 미 육군의 작전, 훈련, 장비, 인사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미국 국방부 산하의 군 부서이다. - 미국 육군 - 미국 육군참모대학교
미국 육군참모대학교는 1901년 설립된 미국 육군의 고급 군사 교육 기관으로, 전략적 수준의 지도자 양성과 지상군 활용 지식 발전을 목표로 하며, 졸업생에게는 전략 연구 석사 학위가 수여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수훈십자장 (미국)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훈장 정보 | |
![]() | |
수여 기관 | 미국 육군부 |
유형 | 훈장 |
수여 기준 | 전투 중 특별한 영웅적 행위 |
상태 | 현재 수여 중 |
최초 수여일 | 1918년 3월 18일 |
총 수여 횟수 | 13,462회 |
서열 | 명예 훈장 다음 |
동일 등급 훈장 | 해군: 네이비 십자훈장 공군 및 우주군: 공군 십자훈장 해안경비대: 해안경비대 십자훈장 부대 표창: 대통령 부대 표창 민간인: 국방부 용맹 훈장 |
하위 훈장 | 국방부 공로 훈장 국토안보부 공로 훈장 |
![]() | |
![]() | |
![]() |
2. 제정 배경 및 변천
수훈십자장은 미국 육군 군인에게 주로 수여되는 훈장으로, 명예 훈장 다음으로 높은 2등급 훈장이다. 십자장 아래에는 3등급 은성훈장(Silver Star), 4등급 동성훈장(Bronze Star)이 있다. 해군 십자장 및 공군 십자장과는 동등한 위치에 있다.
미국 육군 역사상 13,462명이 수훈십자장을 받았다.
소련 등 공산권 국가들은 은성훈장 위에 금성훈장(Gold Star)이 있고, 영웅 칭호를 부여한다. 한국은 수훈십자장과 동급으로 금성을지무공훈장을 수여하는데, 1등급 태극무공훈장 아래의 2등급 훈장이다.
육군 복장 및 휘장의 착용과 외관을 규정하는 육군 규정(AR) 670–1[8] 및 관련 지침[9]에 따르면, 수훈십자장은 미국 군사 훈장 우선 순위에서 명예 훈장에 이어 두 번째로 나타난다. 훈장 수여, 승인 권한, 공급 및 발행에 대한 정책은 AR 600-8-22에 포함되어 있다.[10] 수훈십자장을 수여받고 20년 이상 복무 후 퇴역한 사병에 대해 퇴직 연금을 10% 인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국에서 수훈 십자장(Distinguished Service Cross)이라고 하면 육군 수훈 십자장을 지칭한다. 따라서 일본에서는 동등한 해군 십자장(Navy Cross), 공군 십자장(Air Force Cross), 해안 경비대 십자장(Coast Guard Cross)을 해군 수훈 십자장, 공군 수훈 십자장, 해안 경비대 수훈 십자장으로 번역하는 경우가 많으며, Distinguished Service Cross가 육군 수훈 십자장으로 표기되는 경우도 있다.
해병대원이나 다른 나라의 장병에게도 수여될 수 있으며, 여러 번 수여된 수상자도 존재한다.
2. 1. 제정 배경
우드로 윌슨 대통령은 1918년 1월 2일에 수훈십자장을 제정하였다.[6] 존 J. 퍼싱 장군은 유럽 각국 군대가 수여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용감한 공을 세운 미국 육군에게 명예 훈장 외의 다른 표창을 수여하도록 승인할 것을 권고했고, 이 요청은 1917년 12월 28일 자로 육군 장관이 대통령에게 보낸 서신을 통해 전달되었다.[6] 이 훈장을 제정하는 의회 법안(193-65차 의회)은 1918년 7월 9일 자로 에 포함되었으며, 1918년 1월 12일 자 육군성 일반 명령 제6호에 공포되었다.[6]초기 수훈십자장은 공병 장교 예비대 소속 아이마 E. 에임버리 2세 대위와 제1차 세계 대전 예술가 J. 앤드레 스미스 중위가 디자인했다.[1][7] 최초의 훈장은 미국 조폐국에서 가에타노 체체레의 조각품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그는 이후 군인 훈장을 디자인했다.[1] 훈장을 더 매력적으로 만들기 위해 약간의 수정이 필요하다는 결정이 내려졌고,[1] 퍼싱 장군에게 훈장을 시급히 공급해야 할 필요성을 고려하여 최초 100개의 훈장은 초기 디자인으로 제작되었다.[1] 이들은 두 번째 디자인(역시 1번부터 100번까지 번호가 매겨짐)의 대체품이 준비되는 대로 제공된다는 조건으로 전달되었다.[1] 에임버리는 수정을 가했으며, 두 번째(현재) 버전의 석고 모형은 존 R. 시노크가 제작했는데, 그는 퍼플 하트 훈장을 포함한 다양한 다른 훈장도 조각했다.[1]
2. 2. 디자인 변천
초기 수훈십자장은 공병 장교 예비대 소속 아이마 E. 에임버리 2세 대위와 제1차 세계 대전 예술가 J. 앤드레 스미스 중위가 디자인했다.[1][7] 최초의 훈장은 미국 조폐국에서 가에타노 체체레의 조각품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그는 이후 군인 훈장을 디자인했다.[1] 훈장을 더 매력적으로 만들기 위해 약간의 수정이 필요하다는 결정이 내려졌다.[1]존 J. 퍼싱 장군에게 훈장을 시급히 공급해야 할 필요성을 고려하여, 최초 100개의 훈장은 초기 디자인으로 제작되었다. 이들은 두 번째 디자인(역시 1번부터 100번까지 번호가 매겨짐)의 대체품이 준비되는 대로 제공된다는 조건으로 전달되었다.[1] 에임버리는 수정을 가했으며, 두 번째(현재) 버전의 석고 모형은 존 R. 시노크가 제작했는데, 그는 퍼플 하트 훈장을 포함한 다양한 다른 훈장도 조각했다.[1]
3. 훈장의 형태 및 구성
청동으로 만들어진 십자장으로, 높이는 약 5.08cm이고 너비는 약 2.54cm이다. 중앙에는 독수리가 있고 그 아래에는 "FOR VALOR"라는 문구가 새겨진 두루마리가 있다. 뒷면 중앙에는 훈장 수여 대상자의 이름을 새길 수 있는 공간이 있는 화환이 둘러져 있다. 훈장은 정규 크기 훈장, 소형 훈장, 리본, 옷깃 단추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육군 수훈십자장을 추가로 받을 때는 떡갈나무 잎으로 표시한다.[1]
3. 1. 훈장
청동으로 만들어진 십자장으로, 높이는 약 5.08cm, 너비는 약 2.54cm이다. 중앙에는 독수리가 있고 그 아래에는 "FOR VALOR"라는 문구가 새겨진 두루마리가 있다. 뒷면 중앙에는 훈장 수여 대상자의 이름을 새길 수 있는 공간이 있는 화환이 둘러져 있다.[1]수훈십자장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1]
구성 요소 | 설명 | NSN |
---|---|---|
훈장(정규 크기) | MIL-D-3943/4. | 8455-00-269-5745 (훈장 세트), 8455-00-246-3827 (개별 교체용 훈장) |
훈장 (소형) | MIL-D-3943/4. | 8455-00-996-50007 |
리본 | MIL-R-11589/50. | 8455-00-252-9919 |
옷깃 단추 | 서비스 리본의 컬러 에나멜 복제품: MIL-L-11484/1. | 8455-00-253-0808 |
육군 수훈십자장을 추가로 받을 때는 떡갈나무 잎으로 표시한다.[1]
3. 2. 근무 리본
근무 리본은 약 2.54cm 폭이며 다음과 같은 줄무늬로 구성된다.색상 | 규격 | 설명 |
---|---|---|
약 2.54cm | 올드 글로리 레드 67156 | |
약 2.54cm | 흰색 67101 | |
약 2.54cm | 임페리얼 블루 67175 | |
약 2.54cm | 흰색 | |
약 2.54cm | 올드 글로리 레드 |
육군 수훈십자장의 추가 수여는 떡갈나무 잎으로 표시된다.
3. 3. 추가 수여
육군 수훈십자장의 추가 수여는 떡갈나무 잎으로 표시된다.[2] 여러 번 수여할 수 있으며, 두 번째 수여부터는 클러스터(떡갈나무 잎을 본뜬 장식)가 추가된다.[2]4. 수여 기준 및 절차
수훈십자장은 주로 미국 육군 군인에게 수여되는 훈장으로, 명예 훈장 다음으로 높은 2등급 훈장이다. 해군 십자장 및 공군 십자장과는 동등한 위치에 있으며, 십자장 아래에는 3등급 은성훈장(Silver Star), 4등급 동성훈장(Bronze Star)이 있다.
미국 육군 역사상 13,462명이 수훈십자장을 받았다.
소련 등 공산권 국가들은 은성훈장 위에 금성훈장(Gold Star)이 있고, 영웅 칭호를 부여한다. 한국은 수훈십자장과 동급으로 금성을지무공훈장을 수여하는데, 이는 1등급 태극무공훈장 아래의 2등급 훈장이다.
훈장 서열 2위인 수훈십자장은 "전투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영웅적 행위를 한 자"에게 수여된다.[1] 명예 훈장은 수여되는 경우가 드물고, 수여되더라도 목숨을 잃는 경우가 많아, 실질적인 최고 훈장으로 여겨진다. 여러 번 수상이 가능하며, 두 번째 수여부터는 떡갈나무 잎을 본뜬 장식인 클러스터가 추가된다.
4. 1. 수여 기준
수훈 십자장은 육군 (또는 1960년 이전 공군)에서 복무 중 명예 훈장을 수여할 만한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특별한 영웅적 행위로 두각을 나타낸 사람에게 수여된다. 이는 다음의 경우에 해당한다.[1]
- 미국의 적과 교전 중일 때[1]
- 적대적/외국 세력과의 충돌을 포함하는 군사 작전에 참여 중일 때[1]
- 미국이 교전 당사자가 아닌 상황에서 적대적인 무력과 교전 중인 우호적인 외국군과 함께 복무할 때[1]
이러한 영웅적 행위는 매우 두드러져야 하며, 생명의 위험을 매우 특별하게 수반하여 개인을 동료와 구별할 정도여야 한다.[1]
4. 2. 수여 절차
미국에서 수훈 십자장은 일반적으로 육군 수훈 십자장을 가리킨다. 따라서 일본에서는 해군 십자장(Navy Cross), 공군 십자장(Air Force Cross), 해안 경비대 십자장(Coast Guard Cross)을 해군 수훈 십자장, 공군 수훈 십자장, 해안 경비대 수훈 십자장으로 번역하는 경우가 많으며, Distinguished Service Cross가 육군 수훈 십자장으로 표기되는 경우도 있다.해병대원이나 다른 나라의 장병에게도 수여될 수 있으며, 여러 번 수여된 수상자도 존재한다.
5. 역대 주요 수훈자
다음은 미국의 수훈십자장 역대 주요 수훈자 목록이다.
- 크레이튼 에이브럼스 - 미국 육군, 겹잎사귀 포함(2회 수상)
- 에드워드 알몬드 - 미국 육군, 겹잎사귀 포함
- 토마스 블레이미 -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 리처드 봉 - 미국 육군 항공군
- 토마스 맥과이어 - 미국 육군 항공군
- 루이스 H. 브레레톤 - 미국 육군 항공대(나중에 미국 육군 항공군), 겹잎사귀 포함
- 모리스 브리트 - 미국 육군
- 조셉 벌라치 - 미국 육군
- 존 프랜시스 번스 - 미국 해병대
- 더글러스 캠벨 - 미국 육군 항공대, 겹잎사귀 4개 포함
- 아서 S. 샴페니(Arthur S. Champeny) - 미국 육군, 겹잎사귀 2개 포함
- 바실리 추이코프 - 소련 육군
- 마크 W. 클라크 - 미국 육군
- 드와이트 필리 데이비스 - 미국 육군
- 대니얼 데일리 - 미국 해병대
- 윌리엄 올란도 다비 - 미국 육군, 겹잎사귀 포함
- 윌리엄 J. 도노반 - 미국 육군
- 로버트 L. 아이켈버거 - 미국 육군, 겹잎사귀 포함
- 에드워드 풀러 - 미국 해병대
- 제임스 M. 개빈 - 미국 육군, 겹잎사귀 포함
- 호바트 R. 게이 - 미국 육군, 겹잎사귀 포함
- 데이비드 H. 해크워스 - 미국 육군, 겹잎사귀 포함
- 알렉산더 헤이그 - 미국 육군
- 버지니아 홀 - 전략첩보국 직원
- 존 L. 하인스 - 미국 육군
- 코트니 호지스 - 미국 육군
- 클라렌스 R. 휴브너 - 미국 육군, 겹잎사귀 포함
- 리로이 P. 헌트 - 미국 해병대
- 프랭크 오드리스콜 "몽크" 헌터(Frank O'Driscoll "Monk" Hunter) - 미국 육군 항공대(나중에 미국 육군 항공군), 겹잎사귀 4개 포함
- 찰스 L. 켈리 - 미국 육군
- 조지 케니 - 미국 육군 항공대(나중에 미국 육군 항공군), 겹잎사귀 포함
- 김영옥 - 미국 육군
- 로버트 C. 킹스턴 - 미국 육군
- 커티스 르메이 - 미국 육군 항공군
- 더글러스 맥아더 - 미국 육군, 겹잎사귀 2개 포함
- 페이턴 C. 마치 - 미국 육군
- 앤서니 매컬리프 - 미국 육군
- 배리 매커프리 - 미국 육군
- 루이스 곤자가 멘데스 주니어 - 미국 육군
- 윌리엄 미첼 - 미국 육군 항공대
- 헨리 무치 - 미국 육군
- 오디 머피 - 미국 육군
- 조지 패튼 - 미국 육군, 겹잎사귀 포함
- 조지 패튼 4세 - 미국 육군, 겹잎사귀 포함
- 키스 페인 VC,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 존 퍼싱 - 미국 육군
- 하비 포싱거 - 미국 육군
- 루이스 B. 풀러 - 미국 해병대
- 에디 리켄배커 - 미국 육군 항공대, 겹잎사귀 6개 포함
- 매슈 리지웨이 - 미국 육군, 겹잎사귀 포함
- 켈러 E. 록키 - 미국 해병대
- 시어도어 루스벨트 2세 - 미국 육군
- 알프레도 M. 산토스 - 필리핀 육군
- 레뮤엘 C. 셰퍼드 주니어 - 미국 해병대
- 올리버 P. 스미스 - 미국 해병대
- 조지프 스틸웰 - 미국 육군
- 맥스웰 D. 테일러 - 미국 육군
- 제럴드 C. 토머스 - 미국 해병대
- 제임스 밴 플리트 - 미국 육군, 겹잎사귀 2개 포함
- 존 폴 밴 - 미국 시민
- 헤수스 빌라모르 - 필리핀 육군 항공대, 겹잎사귀 포함
- 월턴 워커 - 미국 육군, 겹잎사귀 포함
- 리처드 윈터스 - 미국 육군
- 에드워드 F. 영거 - 미국 육군
5. 1.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6,309개의 수훈십자장이 6,185명의 수훈자에게 수여되었다. 수십 명의 육군 군인뿐만 아니라 8명의 해병대원과 2명의 프랑스 육군 장교가 수훈십자장을 두 번 받았다. 첫 번째 수훈십자장은 1918년 3월 18일에 제1보병사단 소속 군인 3명에게 수여되었다.[11]

소수의, 대부분 미국 육군 항공대 조종사들이 세 번 이상 훈장을 받았다. 전쟁 최고의 미국 에이스였던 에디 리켄배커(Eddie Rickenbacker) 대위는 기록적인 8개의 수훈십자장을 받았으며, 그 중 하나는 나중에 명예 훈장으로 승격되었고, 제94항공대대에서 비행했다. 같은 제94항공대대 소속 조종사 더글러스 캠벨(Douglas Campbell) 대위와 제103항공대대 소속 프랭크 오드리컬 헌터(Frank O'Driscoll "Monk" Hunter) 제1중위는 각각 5개의 훈장을 받았다. 또 다른 제94항공대대 조종사인 리드 맥킨리 챔버스(Reed McKinley Chambers) 소령은 4개의 수훈십자장을 받았다. 제13항공대대의 머레이 케네스 거스리(Murray K. Guthrie) 제1중위, 제147항공대대의 랄프 앰브로스 오닐(Ralph A. O'Neill) 제1중위, 그리고 제99항공대대의 항공 관측 조종사인 글렌 A. 프레스턴(Glen A. Preston) 3명의 조종사가 3개의 수훈십자장을 받았다.[12] 다른 저명한 조종사로는 미국 원정군의 항공대장인 빌리 미첼(Billy Mitchell) 준장, 2개의 수훈십자장과 명예 훈장을 받은 제27항공대대의 프랭크 루크(Frank Luke) 소위, 그리고 2개의 수훈십자장을 받고 1941년부터 1945년까지 메인 주지사를 역임한 섬너 슈월(Sumner Sewall)이 있다. 또한 제95항공대대 소속의 에드워드 펙 커티스(Edward Peck Curtis)는 제1중위로 수훈십자장을 받았다.
제102보병연대(102nd Infantry Regiment), 제26사단의 지휘관인 존 H. 파커(John H. Parker) 대령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4개의 수훈십자장을 받은 유일한 지상군이었다. 제168보병연대(168th Infantry Regiment), 제42사단의 오스카 B. 넬슨(Oscar B. Nelson) 제1중위는 3번 훈장을 받았으며, 세 번째 훈장은 사후에 수여되었다.[13]
이전에 명예 훈장을 받은 여러 명이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수훈십자장을 받았다. 이 중 가장 주목할 만한 인물은 두 번의 명예 훈장을 받은 해병대 영웅 다니엘 데일리(Daniel Daly) 상사로, 1918년 6월 벨로우 우드 전투에서 제73중대, 제6해병연대 제1상사로 영웅적인 활약을 펼쳐 수훈십자장을 받았다. 필리핀 반란에서 명예 훈장을 받은 찰스 E. 킬번(Charles E. Kilbourne) 대령은 제89사단 참모장으로 수훈십자장을 받았다. 또한 필리핀에서 제33보병대 소속 사병으로 명예 훈장을 받은 제임스 B. 맥코넬(James B. McConnell) 제1중위는 제3사단 제4보병연대 제1중위로 사후 수훈십자장을 받았다.
필리핀에서 명예 훈장을 받은 해병대 하이럼 I. 베어스(Hiram I. Bearss) 대령은 제102보병연대(102nd Infantry Regiment), 제26사단에 배속되어 수훈십자장을 받았다. 필리핀에서 해군 명예 훈장을 받은 해병대 사수 헨리 L. 헐버트(Henry L. Hulbert)는 벨로우 우드 전투에서 제5해병연대에서 복무하면서 용감한 행위로 수훈십자장을 받았다. 스페인-미국 전쟁 명예 훈장 수훈자 존 H. 퀵(John H. Quick) 또한 벨로우 우드에서 제6해병연대 상사로 수훈십자장을 받았다.
리켄배커 외에도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명예 훈장과 수훈십자장을 모두 받은 여러 명이 있었다. 해군 수훈자는 미국 해군 약제사 존 헨리 발치(John Henry Balch)와 미국 해군 중위(의무대) 조엘 T. 분(Joel T. Boone)으로, 둘 다 제6해병연대에 배속되었다. 육군 수훈자는 제3기관총대대 소속 다니엘 R. 에드워즈(Daniel R. Edwards) 사병, 제1사단 제165보병연대 소속 윌리엄 J. "와일드 빌" 도노반(William J. "Wild Bill" Donovan) 대령, 그리고 제28보병연대, 제1사단 소속 새뮤얼 I. 파커(Samuel I. Parker) 소위였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수훈십자장을 받은 두 명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명예 훈장을 받았다. 이들은 전 대통령의 아들인 제26보병연대, 제1사단의 시어도어 루스벨트 주니어(Theodore Roosevelt Jr.) 소령(후에 준장)과 제42사단의 더글러스 맥아더(Douglas MacArthur) 준장(후에 육군 대장)이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수훈십자장을 받고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명성을 떨친 다른 사람으로는 조지 S. 패튼 주니어(George S. Patton Jr.)와 칼 스파츠(Carl Spaatz) 등이 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수훈십자장을 받은 저명한 인물로는 제1사단 제1여단 지휘관으로 훈장을 받은 존 L. 하인스(John L. Hines) 준장과 제1사단 지휘관으로 훈장을 받은 찰스 펠롯 서머럴(Charles Pelot Summerall) 소장이 있으며, 두 사람 모두 미국 육군 참모총장으로 복무했다. 제28보병연대, 제1사단 소속 샘 어빈(Sam Ervin) 사병은 미국 상원 의원노스캐롤라이나주으로 복무했다. 제35사단 제69보병여단 부참모장으로 훈장을 받은 드와이트 F. 데이비스(Dwight F. Davis) 소령은 데이비스 컵 국제 테니스 대회를 창설했고, 쿨리지 행정부에서 미국 전쟁 장관으로 재임했다. 존 B. 드발레스(Father John B. DeValles) 신부(제1중위)는 연합군과 독일군 병사 모두의 필요를 충족시켜 '참호의 천사'로 알려졌다. 그는 매사추세츠 폴 리버(Fall River, Massachusetts)의 에스피리토 산토 교회에서 최초의 포르투갈 교구 학교를 설립했다. 제26사단 제102보병연대 제1중위로 훈장을 받은 B. 캐롤 리스(B. Caroll Reece)는 총 17번의 임기로 테네시 주를 미국 하원에서 대표했다. 제370보병연대 소속 21명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군인은 뫼즈-아르곤 및 오아즈-엔 전투에서 활약하여 수훈십자장(DSC)을 받았다.[14]
제1차 세계 대전 직후, 러시아 내전 중 북러시아 전역과 시베리아 미국 원정군에서의 활동에 대해 62개의 수훈십자장이 수여되었다. 또한 인디언 전쟁, 미국-스페인 전쟁, 필리핀-미국 전쟁, 의화단 운동, 멕시코 국경 분쟁 등 이전 분쟁에서의 활동에 대해 약 132개의 소급 수여가 이루어졌다. 1899년부터 1917년 사이에 전투와 관련 없는 용감한 행위로 공로 증서를 수여받았던 15명의 군인에게 수훈십자장이 수여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의 행위로 수훈십자장을 받은 주요 인물 중에는 1906년부터 1910년까지 육군 참모총장을 지낸 J. 프랭클린 벨 장군이 있었다. 필리핀 반란 당시 명예 훈장을 수여받은 그는 1925년 미국-스페인 전쟁 중 1898년의 용감한 행위에 대한 수훈십자장을 받았다. 1920년, 당시 육군 참모총장을 지내던 페이턴 C. 마치 장군은 미국-스페인 전쟁 당시 필리핀에서 1등 중위로 복무하며 보인 용감한 행위로 수훈십자장을 받았다. 마치의 후임자인 존 J. 퍼싱 육군 대장은 1941년 필리핀 반란 중의 용감한 행위로 수훈십자장을 받았다. 필리핀 반란 당시 명예 훈장을 받은 고든 존스턴 소위와 아서 M. 퍼거슨 상병도 필리핀에서의 다른 용감한 행위로 수훈십자장을 받았다. 미래의 아메리칸 사모아 주지사 오토 다울링은 당시 지휘관으로서 레이크 덴마크 화약고에서 발생한 화재에 용감하게 대응한 공로로 수훈십자장을 받았다.[15]
시베리아와 북러시아에 대한 수훈십자장 수여자는 로버트 L. 아이첼버거였으며, 그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도 두 번째 메달을 받았고, 시드니 C. 그레이브스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이미 수훈십자장을 받았다.[16]
5. 2.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5,000건이 조금 넘는 수훈십자장이 수여되었다. 육군 항공대 중령 존 C. 마이어, 제임스 A. 반 플리트 소장, 레웰린 칠슨 상사는 세 번이나 수훈한 수훈자였다. 자네트 기요와 버지니아 홀은 이 훈장을 받은 유일한 여성 두 명이었다.[37]이전에 다른 전쟁에서 수훈십자장을 받은 여러 군인들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도 다시 훈장을 받았다. 체스터 허시펠더는 제2 보병사단 제5 기관총 대대 소속 대위로 1918년에 첫 번째 수훈십자장을 받았으며, 같은 사단의 제9 보병연대를 지휘하는 대령으로서 1944년에 두 개의 수훈십자장을 더 받았다. 더글러스 맥아더, 핸포드 맥니더, 해리 H. 셈스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수훈십자장을 두 번 받은 군인들이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세 번째 훈장을 받았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수훈십자장을 받은 몇몇 사람들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두 번째 훈장을 받았다. 이들 중에는 조지 S. 패튼 주니어가 있었는데, 그는 시칠리아에서 제7군 사령관으로서 두 번째 수훈십자장을 받았고, 프레드 L. 워커는 안치오 돌파와 로마 진격을 지휘한 미국 제36 보병사단의 사령관이었다. 로버트 L. 아이켈버거 중장은 1919년 시베리아에서의 용맹함으로 첫 번째 수훈십자장을 받았으며, 1942년-43년 부나 전투에서 뉴기니에서의 용맹함으로 두 번째 훈장을 받았다.[37]
50명이 조금 넘는 군인(그리고 한 명의 해군)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두 개의 수훈십자장을 받았다. 해군 존 D. 벌클리는 명예 훈장과 해군 십자장도 받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가장 많은 훈장을 받은 미국인 중 한 명이었다. 육군에서 두 개의 수훈십자장을 받은 수훈자 중에는 나중에 육군 참모총장이 된 크레이튼 W. 에이브럼스 주니어, 미국 육군 레인저의 아버지 중 한 명인 윌리엄 올란도 다비, 미-캐나다 제1 특수 임무 부대의 사령관 로버트 T. 프레데릭이 있었다. 제82 공수사단의 찰스 빌링슬리, 제임스 M. 개빈, 아서 F. 고르햄, 매슈 B. 리지웨이, 루벤 헨리 터커 3세, 벤자민 H. 반데보르트는 두 개의 수훈십자장을 받았다. 도널드 블레이크슬리, 폴 P. 더글러스 주니어, 윌리엄 E. 다이에스, 도미닉 "돈" 젠타일, 제럴드 R. 존슨, 찰스 "맥" 맥도널드, 제임스 B. 모어헤드, 제이 T. "콕" 로빈스, 데이비드 C. 실링, 예수스 A. 비야모르, 윌리엄 T. 위스너 주니어, 레이 S. 웨트모어를 포함한 여러 전투기 조종사들과 폭격기 조종사 리처드 H. 카마이클도 두 개의 수훈십자장을 받았다.[37]
미국 제101 공수사단 제506 낙하산 보병 연대의 이지 컴퍼니 사령관 리처드 윈터스는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 브레쿠르 영지 공격에 기여한 공로로, 미국 제101 공수사단 제502 낙하산 보병 연대의 해리슨 C. 섬머스는 작전 지도에 "WXYZ"로 지정된 인근 건물 단지 점령 공격에 기여한 공로로 수훈십자장을 받았다.[37]
제2차 세계 대전 중, 12명의 육군 군인, 3명의 공군 조종사, 2명의 해군 군인이 명예 훈장과 수훈십자장을 모두 받았다.
육군 | 공군 | 해군 |
---|---|---|
제2차 세계 대전 수훈십자장 수상자 중 한 명인 레이먼드 하비는 한국 전쟁에서 명예 훈장을 받았다.[37]
509 혼성 부대 사령관 폴 W. 티베츠는 에놀라 게이, 즉 히로시마에 첫 번째 핵폭탄을 투하한 보잉 B-29 슈퍼포트리스기를 조종한 공로로 칼 앤드루 스파츠 장군으로부터 수훈십자장을 받았다. 제임스 H. 코프만 주니어(James H. Coffman Jr.) 대령(제1 이라크 특별 경찰 특공 여단)은 2004년 11월 14일 모술에서 반군의 공격으로부터 경찰서를 방어한 공로로 수훈 십자장을 받았다.[37]
아래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수훈십자장을 받은 인물들의 일부 목록이다.
이름 | 소속 | 비고 |
---|---|---|
크레이튼 W. 에이브럼스 주니어 | 미국 육군 | 겹잎사귀 포함 (2회 수상) |
에드워드 알몬드 | 미국 육군 | 겹잎사귀 포함 |
토마스 블레이미 |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 |
리처드 봉 | 미국 육군 항공군 | |
토마스 맥과이어 | 미국 육군 항공군 | |
루이스 H. 브레레톤 | 미국 육군 항공대(나중에 미국 육군 항공군) | 겹잎사귀 포함 |
모리스 브리트 | 미국 육군 | |
조셉 벌라치 | 미국 육군 | |
존 프랜시스 번스 | 미국 해병대 | |
더글러스 캠벨 | 미국 육군 항공대 | 겹잎사귀 4개 포함 |
아서 S. 샴페니(Arthur S. Champeny) | 미국 육군 | 겹잎사귀 2개 포함 |
바실리 추이코프 | 소련 육군 | |
마크 W. 클라크 | 미국 육군 | |
드와이트 필리 데이비스 | 미국 육군 | |
대니얼 데일리 | 미국 해병대 | |
윌리엄 올란도 다비 | 미국 육군 | 겹잎사귀 포함 |
윌리엄 J. 도노반 | 미국 육군 | |
로버트 L. 아이켈버거 | 미국 육군 | 겹잎사귀 포함 |
에드워드 풀러 | 미국 해병대 | |
제임스 M. 개빈 | 미국 육군 | 겹잎사귀 포함 |
호바트 R. 게이 | 미국 육군 | 겹잎사귀 포함 |
데이비드 H. 해크워스 | 미국 육군 | 겹잎사귀 포함 |
알렉산더 헤이그 | 미국 육군 | |
버지니아 홀 | 전략첩보국 직원 | |
존 L. 하인스 | 미국 육군 | |
코트니 호지스 | 미국 육군 | |
클라렌스 R. 휴브너 | 미국 육군 | 겹잎사귀 포함 |
리로이 P. 헌트 | 미국 해병대 | |
프랭크 오드리스콜 "몽크" 헌터(Frank O'Driscoll "Monk" Hunter) | 미국 육군 항공대(나중에 미국 육군 항공군) | 겹잎사귀 4개 포함 |
찰스 L. 켈리 | 미국 육군 | |
조지 케니 | 미국 육군 항공대(나중에 미국 육군 항공군) | 겹잎사귀 포함 |
김영옥 | 미국 육군 | |
로버트 C. 킹스턴 | 미국 육군 | |
커티스 르메이 | 미국 육군 항공군 | |
더글러스 맥아더 | 미국 육군 | 겹잎사귀 2개 포함 |
페이턴 C. 마치 | 미국 육군 | |
앤서니 매컬리프 | 미국 육군 | |
배리 매커프리 | 미국 육군 | |
루이스 곤자가 멘데스 주니어 | 미국 육군 | |
윌리엄 미첼 | 미국 육군 항공대 | |
헨리 무치 | 미국 육군 | |
오디 머피 | 미국 육군 | |
조지 패튼 | 미국 육군 | 겹잎사귀 포함 |
조지 패튼 4세 | 미국 육군 | 겹잎사귀 포함 |
키스 페인 |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 VC |
존 퍼싱 | 미국 육군 | |
하비 포싱거 | 미국 육군 | |
루이스 B. 풀러 | 미국 해병대 | |
에디 리켄배커 | 미국 육군 항공대 | 겹잎사귀 6개 포함 |
매슈 리지웨이 | 미국 육군 | 겹잎사귀 포함 |
켈러 E. 록키 | 미국 해병대 | |
시어도어 루스벨트 2세 | 미국 육군 | |
알프레도 M. 산토스 | 필리핀 육군 | |
레뮤엘 C. 셰퍼드 주니어 | 미국 해병대 | |
올리버 P. 스미스 | 미국 해병대 | |
조지프 스틸웰 | 미국 육군 | |
맥스웰 D. 테일러 | 미국 육군 | |
제럴드 C. 토머스 | 미국 해병대 | |
제임스 밴 플리트 | 미국 육군 | 겹잎사귀 2개 포함 |
존 폴 밴 | 미국 시민 | |
헤수스 빌라모르 | 필리핀 육군 항공대 | 겹잎사귀 포함 |
월턴 워커 | 미국 육군 | 겹잎사귀 포함 |
리처드 윈터스 | 미국 육군 | |
에드워드 F. 영거 | 미국 육군 |
5. 3. 한국 전쟁
한국 전쟁에서 800명이 넘는 군인이 수훈 십자장을 받았으며, 그 중 300명 이상은 전사 후 추서되었다.[24]로버트 R. 마틴 대령은 제24보병사단 소속으로 한국 전쟁에서 최초로 수훈 십자장을 받았다. 로이드 L. 버크 중위(제1기병사단), 벤자민 F. 윌슨 상사(제7보병사단), 루이스 밀렛 대위(제27보병연대), 그리고 공군 전투기 에이스 조지 A. 데이비스 주니어는 한국에서 명예 훈장과 수훈 십자장을 모두 받았다.
아서 S. 챔피니 대령은 1918년 9월 생 미히엘 전투와 1944년 5월 이탈리아 산타 마리아 인판테에서의 용맹한 행동으로 이미 훈장을 받았으며, 1950년 9월에 세 번째 수훈 십자장을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두 개의 수훈 십자장을 받은 전투기 조종사 윌리엄 T. 위스너는 한국에서 세 번째 훈장을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수훈 십자장을 받았던 10명이 한국에서 두 번째 훈장을 받았다. 존 T. 코리는 1943년 3월 제1보병사단 소속으로 북아프리카에서, 1950년 8월 제25보병사단 소속으로 두 번째 훈장을 받았다. 호바트 R. 게이는 1944년 조지 S. 패튼의 제3군 참모장으로, 1950년 제1기병사단 사령관으로 두 번째 훈장을 받았다. 월턴 워커는 1944년 제20군단 사령관으로, 1950년 제8군 사령관으로 두 번째 훈장을 받았다. 에드워드 알몬드를 포함한 9명은 한국에서 수훈 십자장을 두 번 받았다.
한국 전쟁 수훈 십자장 수훈자인 리처드 E. 카바조스는 베트남에서 두 번째 수훈 십자장을 받고, 최초의 히스패닉계 4성 장군이 되었다. 랄프 퍼켓 주니어 역시 제101공수사단 대대장으로 베트남에서 두 번째 수훈 십자장을 받았다. 토마스 태커베리는 1952년 중대장으로 수훈 십자장을 받았으며 베트남에서 두 개를 더 받았다. 랄프 파는 1953년 한국에서 수훈 십자장을, 베트남에서 공군 십자장을 받았다.
호머 리첸버그, 레이먼드 머레이, 루이스 B. "체스티" 풀러 등 세 명의 해병은 한국에서 해군 십자장과 육군 수훈 십자장을 모두 받았다. 풀러는 이전에 니카라과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해군 십자장을 4번 받았으며, 머레이는 장진호 전투에서 육군 수훈 십자장을, 이틀 후 두 번째 해군 십자장을 받았다. 머레이는 사이판 전투에서 첫 번째 해군 십자장을 받았다.
한국 전쟁에서 수훈 십자장을 받은 주목할 만한 인물로는 해럴드 K. 존슨(육군 참모총장), 허버트 B. 파월(뉴질랜드 대사, 1963–67)이 있다. 존슨 외에도 폴 L. 프리먼 주니어, 클라크 L. 러프너(1951년 제2보병사단 사령관), 존 L. 스록모턴, 존 H. "아이언 마이크" 마이클리스(노르망디에서 제502공수보병연대 지휘) 등 최소 5명이 4성 장군으로 진급했다. 웰본 G. 돌빈은 제25보병사단 중령으로 수훈을 받았으며 중장으로 진급했다. 네드 D. 무어 소장[25]은 1950년 8월 대령으로 수훈 십자장을 받았으며, 벌지 전투에서 제101공수사단 참모장을 지냈고, 소장으로 진급했다. 올린토 M. 바르산티는 베트남에서 제101공수사단을, 가이 S. 멜로이는 제82공수사단을 지휘했다. 조셉 G. 클레몬스 주니어는 포크 초프 힐 전투에서 활약하여 베트남 전쟁에서 제198보병여단을 지휘했으며, 후안 E. 네그론 상사는 1951년 제65보병연대에서 활약했으며 2014년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 의해 명예 훈장으로 격상되었다.
한국 전쟁에서 수훈 십자장을 받은 외국인 14명 중에는 터키군 제3여단의 시나시 수칸(Şinasi Sükan) 대위(베가스 전쟁에서 다리를 잃음), 케네스 뮤어 소령(영국군 아르질 앤드 서덜랜드 하이랜더스 제1대대, 사후 빅토리아 십자장 추서)이 있다. 다른 외국인 수훈자들은 벨기에, 영국, 프랑스, 그리스, 필리핀, 대한민국, 터키 군대 출신이었다. 그리스 원정군 군인들은 한국 전쟁 동안 총 6개의 수훈 십자장을 받았다.
이름 | 군/병과 | 계급 | 수훈 횟수 | 비고 |
---|---|---|---|---|
크레이튼 W. 에이브럼스 주니어 | 미 육군 | 대장 | 2회 | 육군 참모총장 |
에드워드 아몬드 | 미 육군 | 중장 | 2회 |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전쟁에서 사단장 및 군단장 역임 |
리처드 카바조스 | 미 육군 | 대장 | 2회 | 최초의 히스패닉계 대장 |
아서 S. 챔피니 | 미 육군 | 3회 |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및 한국 전쟁 등 세 번의 서로 다른 분쟁에서 DSC를 받은 유일한 인물 | |
호바트 R. 게이 | 미 육군 | 2회 | ||
월턴 워커 | 미 육군 | 대장 | 2회 | 한국에서 사망. |
5. 4. 베트남 전쟁
패트릭 헨리 브래디는 제44의무여단의 헬리콥터 조종사였으며, 로버트 L. 하워드는 특수 부대 부사관으로 베트남에서 명예 훈장과 수훈십자장을 모두 받았다. 키스 L. 웨어 소장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명예 훈장을 받았고 1968년 9월 작전 중 사망했는데, 사후 수훈십자장을 받았다.[26]제임스 F. 홀링스워스는 1945년 4월 제67기갑연대 제2대대장으로 수훈십자장을 받았고, 1966년 11월 제1보병사단 부사단장으로 두 번째, 1967년 3월 제1보병사단 사단장 대행으로 세 번째 수훈십자장을 받았다. 그는 "The General Goes Zapping Charlie Cong"이라는 이야기의 주인공이었다. 토마스 태커베리는 한국에서 첫 번째 수훈십자장을 받았으며, 1966년 9월 제1기병사단 대대장으로 두 번째, 1969년 9월 아메리컬 사단 제196보병여단장으로 세 번째 수훈십자장을 받았다. 두 사람 모두 나중에 중장으로 진급했다.[26]
윌리엄 E. 드퓌(제2차 세계 대전 수훈자)와 리처드 E. 카바조스, 랄프 퍼켓 주니어(이상 한국 전쟁 수훈자)는 베트남에서 두 번째 수훈십자장을 받았다. 드퓌와 카바조스 모두 나중에 대장으로 진급했다.[26]
홀링스워스와 태커베리를 제외하고, 베트남에서 11명의 군인이 두 개의 수훈십자장을 받았다. 존 R. 딘 주니어와 배리 R. 매커프리는 나중에 대장으로 진급했고, 헨리 E. 에머슨은 중장으로 퇴역했다. 매커프리는 클린턴 행정부에서 국가 마약 통제 정책 국장을 역임했다. 데이비드 H. 핵워스 대령은 한국과 베트남에서 실버 스타 훈장을 10개나 받았으며, 군사 문제 저널리스트로 두각을 나타냈다. 조지 S. 패튼 4세(두 번의 수훈십자장 수상자의 아들)는 1968년 제11기갑기병연대장으로 두 개의 수훈십자장을 받았다. 애델버트 월드론 3세 상사는 1969년 제9보병사단의 저격수로 두 번 수훈십자장을 받았으며, 109명의 확인 사살 기록으로 미국 저격수 중 최고 기록을 세웠다.[26][27] 데니스 톰칙은 제47보병연대의 소위로 1968년 끼엔호아 성에서 두 차례의 별도 작전으로 두 번 수훈십자장을 받았다.[28]
다른 주목할 만한 베트남 전쟁 수훈십자장 수상자 중에는 나중에 대장으로 진급한 여러 명이 있었다. 드퓌와 카바조스 외에도 폴 F. 고먼(미국 남부 사령관), 로버트 C. 킹스턴(미국 중앙 사령부 초대 사령관), 제임스 J. 린지(미국 특수 작전 사령관), 티모시 J. 그로건[29](육군 훈련 및 교리 사령부 교리 부참모장), 루이스 C. 메네트리(유엔군 사령관, 한미연합군 사령부, 주한 미군 사령관) 등이 있었다. 존 W. 베시 주니어는 1967년 3월 작전 정션 시티에서 용맹을 인정받아 훈장을 받았고, 나중에 합참의장이 되어 1985년에 퇴역했다. 프레데릭 C. 웨이랜드는 1967년 제25보병사단 사단장으로 훈장을 받았으며, 1974년부터 1976년까지 육군 참모총장을 역임했다. 버나드 W. 로저스는 1967년 3월 제1보병사단 부사단장으로 훈장을 받았고, 웨이랜드 장군의 뒤를 이어 육군 참모총장이 되었으며, 이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유럽 연합군 최고 사령관(SACEUR)이 되었다. 알렉산더 M. 헤이그 주니어는 1967년 3월 제1보병사단 대대장으로 훈장을 받았고, 로저스 장군보다 먼저 SACEUR가 되었으며, 레이건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이 되었다. 빌 카펜터 대위(전 웨스트포인트 미식축구 올아메리카 선수)는 1966년에 이 훈장을 받았고, 나중에 소장으로 퇴역했다.[26]
노먼 A. 모듀 소위는 1967년 5월 제1기병사단에서 복무하면서 용맹함으로 수훈십자장을 받았다. 그는 1998년 미국 연방 판사로 임명되었고, 2006년에는 뉴욕 북부 연방 지방 법원의 수석 판사가 되었다. 엘든 바겔웰은 1971년 MACV-SOG의 상사로 훈장을 받았고, 나중에 임관되었으며, 2006년 초 현재 다국적군 이라크 사령부 참모로 복무 중인 소장으로, 베트남 시대 수훈십자장 수상자 중 유일하게 현역으로 복무하고 있었다. 데이비드 크리스천("베트남 전쟁에서 가장 젊고 가장 많은 훈장을 받은 장교"로 묘사됨)은 제1보병사단의 장거리 정찰 순찰을 지휘하면서 수훈십자장을 받았고, 나중에 재향 군인 옹호자로 두각을 나타냈다.[26]
베트남 초기의 전투에서 용맹함으로 수훈십자장을 받은 사람들 중에는 1965년 11월 이아 드랭 계곡 전투에서 용맹함을 인정받아 훈장을 받은 제1기병사단의 4명이 있었다. 할 무어 중령, 브루스 크랜달 소령, 그리고 그들의 부대원 2명이다. 이들의 행동은 할 무어의 전투 관련 책을 바탕으로 한 영화 "''우리는 군인들이었다''"에 묘사되었다. 크랜달의 수훈십자장은 나중에 명예 훈장으로 승격되어 2007년 2월에 수여되었다.[26]
1970년 11월 북베트남에서 미국 전쟁 포로를 구출하려 했던 아이보리 코스트 작전의 참가자들에게 6개의 수훈십자장이 수여되었다. 수상자 중에는 특수 부대 군인 리처드 J. "딕" 메도우스와 아서 D. "불" 시몬스가 있었다.[26]
5. 5. 그 외 주요 수훈자
- 크레이튼 에이브럼스(Creighton W. Abrams, Jr.) - 미 육군 (겹잎사귀 포함, 2회 수상)
- 에드워드 알몬드(Edward Almond) - 미 육군 (겹잎사귀 포함)
- 토마스 블레이미(Thomas Blamey) -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 리처드 봉(Richard Bong) - 미 육군 항공군
- 토마스 맥과이어(Thomas McGuire) - 미 육군 항공군
- 루이스 H. 브레레톤(Lewis H. Brereton) - 미 육군 항공대 (후에 미 육군 항공군) (겹잎사귀 포함)
- 모리스 브리트(Maurice Britt) - 미 육군
- 조셉 벌라치(Joseph Burlazzi) - 미 육군
- 존 프랜시스 번스(John Francis Burnes) - 미 해병대
- 더글러스 캠벨(Douglas Campbell) - 미 육군 항공대 (겹잎사귀 4개 포함)
- 아서 S. 샴페니(Arthur S. Champeny) - 미 육군 (겹잎사귀 2개 포함)
- 바실리 추이코프(Vasily Chuikov) - 소련 육군
- 마크 W. 클라크(Mark W. Clark) - 미 육군
- 드와이트 필리 데이비스(Dwight Filley Davis) - 미 육군
- 대니얼 데일리(Daniel Daly) - 미 해병대
- 윌리엄 올란도 다비(William Orlando Darby) - 미 육군 (겹잎사귀 포함)
- 윌리엄 J. 도노반(William J. "Wild Bill" Donovan) - 미 육군
- 로버트 L. 아이켈버거(Robert L. Eichelberger) - 미 육군 (겹잎사귀 포함)
- 에드워드 풀러(Edward Fuller) - 미 해병대
- 제임스 M. 개빈(James M. Gavin) - 미 육군 (겹잎사귀 포함)
- 호바트 R. 게이(Hobart R. Gay) - 미 육군 (겹잎사귀 포함)
- 데이비드 H. 해크워스(David H. Hackworth) - 미 육군 (겹잎사귀 포함)
- 알렉산더 헤이그(Alexander M. Haig, Jr.) - 미 육군
- 버지니아 홀(Virginia Hall) - 전략첩보국 직원
- 존 L. 하인스(John L. Hines) - 미 육군
- 코트니 호지스(Courtney Hodges) - 미 육군
- 클라렌스 R. 휴브너(Clarence R. Huebner) - 미 육군 (겹잎사귀 포함)
- 리로이 P. 헌트(LeRoy P. Hunt) - 미 해병대
- 프랭크 오드리스콜 "몽크" 헌터(Frank O'Driscoll "Monk" Hunter) - 미 육군 항공대 (후에 미 육군 항공군) (겹잎사귀 4개 포함)
- 찰스 L. 켈리(Charles L. Kelly) - 미 육군
- 조지 케니(George C. Kenney) - 미 육군 항공대 (후에 미 육군 항공군) (겹잎사귀 포함)
- 김영옥(Young-Oak Kim) - 미 육군
- 로버트 C. 킹스턴(Robert C. Kingston) - 미 육군
- 커티스 르메이(Curtis E. LeMay) - 미 육군 항공군
- 더글러스 맥아더(Douglas MacArthur) - 미 육군 (겹잎사귀 2개 포함)
- 페이턴 C. 마치(Peyton C. March) - 미 육군
- 앤서니 매컬리프(Anthony McAuliffe) - 미 육군
- 배리 매커프리(Barry McCaffrey) - 미 육군
- 루이스 곤자가 멘데스 주니어(Louis Gonzaga Mendez, Jr.) - 미 육군
- 윌리엄 미첼(William "Billy" Mitchell) - 미 육군 항공대
- 헨리 무치(Henry Mucci) - 미 육군
- 오디 머피(Audie L. Murphy) - 미 육군
- 조지 패튼(George S. Patton, Jr.) - 미 육군 (겹잎사귀 포함)
- 조지 패튼 4세(George S. Patton, IV) - 미 육군 (겹잎사귀 포함)
- 키스 페인(Keith Payne) VC,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 존 퍼싱(John J. "Black Jack" Pershing) - 미 육군
- 하비 포싱거(Harvey Possinger) - 미 육군
- 루이스 B. 풀러(Lewis B. "Chesty" Puller) - 미 해병대
- 에디 리켄배커(Eddie Rickenbacker) - 미 육군 항공대 (겹잎사귀 6개 포함)
- 매슈 리지웨이(Matthew B. Ridgway) - 미 육군 (겹잎사귀 포함)
- 켈러 E. 록키(Keller E. Rockey) - 미 해병대
- 시어도어 루스벨트 2세(Theodore Roosevelt, Jr.) - 미 육군
- 알프레도 M. 산토스(Alfredo M. Santos) - 필리핀 육군
- 레뮤엘 C. 셰퍼드 주니어(Lemuel C. Shepherd, Jr.) - 미 해병대
- 올리버 P. 스미스(Oliver Prince Smith) - 미 해병대
- 조지프 스틸웰(Joseph Stilwell) - 미 육군
- 맥스웰 D. 테일러(Maxwell D. Taylor) - 미 육군
- 제럴드 C. 토머스(Gerald C. Thomas) - 미 해병대
- 제임스 밴 플리트(James A. Van Fleet) - 미 육군 (겹잎사귀 2개 포함)
- 존 폴 밴(John Paul Vann) - 미국 시민
- 헤수스 빌라모르(Jesus Villamor) - 필리핀 육군 항공대 (겹잎사귀 포함)
- 월턴 워커(Walton Walker) - 미 육군 (겹잎사귀 포함)
- 리처드 윈터스(Richard_Winters) - 미 육군
- 에드워드 F. 영거(Edward F. Younger) - 미 육군
6. 한국과의 관계
미국 육군의 수훈십자장은 명예 훈장 다음 가는 2등급 훈장으로, 한국의 금성을지무공훈장과 동급이다. 금성을지무공훈장은 1등급 태극무공훈장 다음의 2등급 훈장이다.
7. 수여 취소
베트남 전쟁 이후 수훈십자장은 여러 차례 수여되었다.[30] 2018년 12월 기준으로, 항구적 자유 작전 - 아프가니스탄 중의 행위에 대해 16번 수여되었다.[31] 2013년 3월 기준으로, 이라크 자유 작전 중의 행위에 대해 13번 수여되었다.[32] 데이비드 R. 할브루너(David R. Halbruner) 수석 상사는 2012년 벵가지 공격 당시의 그의 행적으로 인해 이 훈장을 받았고,[33] 2015년 바마코 호텔 공격 당시의 행위에 대해서도 단 한 번 수여되었다.[34]
참조
[1]
웹사이트
Army Regulation 600–8–22 Military Awards
https://web.archive.[...]
Headquarters, Department of the Army
2006-12-11
[2]
웹사이트
Distinguished Service Cross
https://www.rollofho[...]
[3]
뉴스
Centennial of honor: Silver Star, Distinguished Service Cross mark a milestone
https://www.military[...]
2018-07-08
[4]
웹사이트
Mainer joins elite crew of Medal for Valor recipient
https://web.archive.[...]
2010-05-23
[5]
웹사이트
Distinguished Service Cross.
http://edocket.acces[...]
[6]
웹사이트
Personal Decorations – Distinguished Service Cross
https://tioh.army.mi[...]
Office of the Administrative Assistant to the Secretary of the Army
[7]
서적
Medals for Soldiers and Airmen: Awards and Decorations of the United States Army and Air Force
McFarland & Company
[8]
서적
Army Regulation 670–1: Wear and Appearance of Army Uniforms and Insignia
https://armypubs.arm[...]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Army
2021-01-26
[9]
서적
Department of the Army Pamphlet 670–1: Guide to the Wear and Appearance of Army Uniforms and Insigni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Army
2021-01-26
[10]
서적
Army Regulation 600–8–2: Military Awards
https://armypubs.arm[...]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Army
2019-03-05
[11]
웹사이트
Distinguished Service Cross
https://www.rollofho[...]
[12]
웹사이트
Glen A. Preston
https://airforce.tog[...]
togetherweserved.com
[13]
웹사이트
Oscar B. Nelson
https://valor.milita[...]
militarytimes.com
[14]
웹사이트
Chapter XV: "The Eighth Illinois"
http://net.lib.byu.e[...]
Brigham Young University
[15]
뉴스
Back as Head of Arsenal
1926-10-17
[16]
서적
The 31st Infantry Regiment: A History of "America's Foreign Legion" in Peace and War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8-06-25
[17]
뉴스
Jeannette Guyot, Free French agent – obituary
https://www.telegrap[...]
2016-04-26
[18]
문서
Translation by Bernard O’Connor, Jeannette Guyot's Biography Le Plan Sussex, 1944
http://www.plan-suss[...]
[19]
웹사이트
Chester Hirschfelder
https://valor.milita[...]
militarytimes.com
[20]
웹사이트
Army General Charles Billingslea dies at 75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com
1989-03-17
[21]
웹사이트
Army Reserve in the Korean War
http://www.koreanwar[...]
Korean War 60th Anniversary
[22]
뉴스
William Downey's Interview – Part 1
https://www.manhatta[...]
[23]
뉴스
Ray Gallagher's Accounts of the Hiroshima and Nagasaki Missions
https://www.manhatta[...]
[24]
문서
Robert Reinhold Martin
https://valor.milita[...]
[25]
웹사이트
Ned D. Moore dies at 85
https://www.washingt[...]
1992-10-10
[26]
웹사이트
Chapter VI: Tactical Refinements And Innovations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Army
[27]
웹사이트
Snipers
http://www.snipercen[...]
Snipercentral.com
[28]
웹사이트
Dennis C. Tomcik
http://militarytimes[...]
Gannett Government Media Corporation
[29]
웹사이트
Timothy James Grogan
http://militarytimes[...]
[30]
웹사이트
Military Times Hall of Valor
https://web.archive.[...]
[31]
뉴스
Rare military ceremony at JBER for Service Cross recipient
https://www.alaskapu[...]
2018-12-17
[32]
간행물
Distinguished Service Cross Recipients, Iraq, 2003-2011
https://valor.defen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Defense
2013-03-29
[33]
뉴스
Delta Force commando awarded second-highest military honor for Benghazi rescue
http://www.washingto[...]
2014-01-25
[34]
간행물
Department of the Army General Order No. 2018-11
https://armypubs.arm[...]
2018-06-22
[35]
보도자료
Afghanistan SF leader gets first DSC since Vietnam
https://www.army.mil[...]
United States Army Public Affairs
2007-02-02
[36]
웹사이트
Brendan O'Connor - Recipient -
http://valor.militar[...]
2021-06-14
[37]
웹사이트
James Henry Coffman Jr.: Home of record: Barrington Massachusetts
http://valor.militar[...]
[38]
웹사이트
COL Young Oak Kim
https://militaryhall[...]
[39]
PDF
https://armypubs.arm[...]
2024-02-01
[40]
웹사이트
Hall of Valor Project
https://valor.milita[...]
Sightline Media Group
2024-04-04
[41]
웹사이트
10 U.S. Code § 3741 – Medal of honor: award
https://www.law.corn[...]
[42]
웹사이트
Army General Order No 9 Award of the Distinguished Service Cross--Revocation
http://www.army.mil/[...]
Headquarters Department of the Army
1997-01-12
[43]
웹사이트
General Orders No. 24 Award of the Distinguished Service Cross – Revocation
http://www.army.mil/[...]
Headquarters Department of the Arm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