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베르트 레마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베르트 레마크는 1815년 프로이센 왕국 포젠에서 태어난 폴란드계 유대인 신경학자이자 발생학자이다. 그는 신경 섬유의 미세 구조, 발생학, 신경증 연구에 기여했으며, 세포 분열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를 수행했다. 레마크는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차별을 받아 정식 교수직을 얻는 데 어려움을 겪었지만, 세포가 분열을 통해 생성된다는 것을 최초로 밝혀 세포설 확립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15년 출생 - 오토 폰 비스마르크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19세기 후반 독일 통일의 주역인 프로이센 왕국 출신 정치가로, 철혈 정책을 통해 독일 제국을 건설하고 초대 총리가 되어 강력한 국가를 건설했지만, 국내 정책과 외교는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1815년 출생 - 에이다 러브레이스
에이다 러브레이스는 영국의 귀족이자 수학자로, 찰스 배비지의 해석기관 연구를 통해 최초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여겨지는 베르누이 수 계산 알고리즘을 고안하고 해석기관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선구자이다. - 1865년 사망 -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피에르조제프 프루동은 19세기 프랑스의 사회주의 사상가이자 무정부주의자로, 사유 재산 제도를 비판하고 노동자 협동조합에 기반한 자유로운 사회를 옹호했으며, 반유대주의와 여성 차별적인 견해로 비판받았다. - 1865년 사망 - 로버트 피츠로이
로버트 피츠로이는 영국의 해군 장교이자 과학자로, 비글호 함장으로서 남아메리카 해안을 탐사하며 찰스 다윈의 진화론 연구에 기여했고, 뉴질랜드 총독을 역임한 후 기상 예보 시스템의 기초를 마련했으나 우울증으로 자살했다.
로베르트 레마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로베르트 레마크 정보 | |
![]() | |
이름 | 로베르트 레마크 |
원어 이름 | Robert Remak |
태어난 날짜 | 1815년 7월 26일 |
태어난 곳 | 프로이센 왕국 포젠 |
사망 날짜 | 1865년 8월 29일 |
사망한 곳 | 바이에른주 바트키싱겐 |
분야 | 발생학 생리학 신경학 |
출신 대학 |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학교 |
지도 교수 | 페르디난트 게오르크 프로베니우스 헤르만 아마누스 슈바르츠 |
주요 업적 | 세포설 배엽 이론 |
알려진 업적 | 외배엽, 중배엽, 내배엽 발견 |
영향 | 페르디난트 게오르크 프로베니우스 , 헤르만 아마누스 슈바르츠 |
각주 | "" "" |
2. 생애
로베르트 레마크는 프로이센 왕국 포젠(오늘날의 포즈난)에서 태어나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고 신경학 연구를 했다. 유대인 차별로 인해 교수 임용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요한 루카스 쇤라인과 알렉산더 폰 훔볼트의 도움으로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에서 무급 강사직과 조교수직을 맡았다. 1847년 페오도르 마이어(Feodore Meyer)와 결혼하여 아들 에른스트 율리우스 레마크를 낳았으며, 1865년 바트키싱겐에서 사망했다.[8] 그는 세포 분열설과, 신경·근육 치료에 전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한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또한, 수정란이 분열 증식함에 따라 형성되는 배엽을 내·중·외의 세 겹으로 구분하고 명명했다. 그의 연구 분야는 신경 섬유의 미세 구조, 발생학, 신경증 등 세 가지 분야에 걸쳐 있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레마크는 1815년 프로이센 왕국 포젠(오늘날의 포즈난)에서 태어났다. 당시 포즈난과 폴란드 서부의 상당 지역이 프로이센 통치하에 있었지만, 레마크는 폴란드계 유대인으로서의 정체성이 뚜렷했다. 그는 논문도 폴란드어로 쓰고 폴란드인을 '동포'라고 지칭했으며, 세례를 받지 않으면 불이익이 예정된 상황에서도 개종을 거부했다.[8]포즈난에서 김나지움을 졸업하고 1833년 베를린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학교에 입학했다. 해부학 및 생리학 교수였던 요하네스 뮐러 밑에서 연구하여 학위논문 《신경계 구조에 대한 해부학적·현미경적 관찰(Observationes Anatomicae et Microscopicae de Systematis Nervosi Struktura)》을 작성했고, 1838년 신경학 전공으로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8][9] 학위 취득 후 뮐러의 실험실에서 신경학 연구를 계속하다가, 1843년 샤리테에서 요한 루카스 쇤라인의 조수로 임용되었다.[8]
많은 업적을 세웠지만 유대인이었기 때문에 프로이센 통치 지역에서는 교수 임용이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었다. 쇤라인과 알렉산더 폰 훔볼트의 노력으로 1847년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에서 무급 강사직을 맡을 수 있었고, 1859년에야 조교수로 임명되었다.[8] 이는 유대인 최초로 베를린 대학교 교직을 맡은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발견은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다.[10][11]
2. 2. 경력과 차별
레마크는 많은 업적을 세웠지만 유대인이었기 때문에 프로이센 통치를 받는 지역에서는 교수 임용이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었다. 요한 루카스 쇤라인과 알렉산더 폰 훔볼트의 노력으로 1847년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에서 무급 강사직을 맡을 수 있었고, 1859년에야 겨우 조교수로 임명되었다.[8] 유대인으로는 최초로 베를린 대학교 교직을 맡은 것이었지만, 그의 발견은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다.[10][11]2. 3. 결혼과 가족
1847년 베를린 은행가의 딸 페오도르 마이어(Feodore Meyer)와 결혼하여[12] 아들 에른스트 율리우스 레마크를 낳았다. 아들 에른스트 율리우스 레마크는 아버지처럼 신경학자로 활동했다. 손자 로베르트 레마크는 수학자로 1942년 아우슈비츠에서 사망했다.[8]3. 업적
레마크는 베를린에서 요하네스 페터 뮐러의 지도를 받아 조직학 연구에 종사했으며, 후에 요한 루카스 셰인라인의 조수가 되었다. 1859년, 베를린 대학교 의과대학 비교수 자격을 얻었지만, 유대인 차별 때문에 생전에 정식 교수직을 갖지 못했다. 그러나 그는 프로이센에서 유대교를 배교하지 않고 교수 자격을 얻은 최초의 유대인이다.
루돌프 피르호가 레마크의 세포설을 표절했다는 논란이 있다.[13]
아들 에른스트 레마크는 신경병리학자이며, 손자 로베르트 레마크는 수학자이다.
3. 1. 신경학 연구
레마크는 1838년 학위 논문에서 일부 말초신경 섬유가 회색을 띠는 것은 말이집이 없기 때문임을 밝혔다. 민말이집신경을 이루는 슈반세포를 오늘날 레마크 세포라고 부른다. 1839년에는 심장에서 오늘날 레마크 신경절(Remak's ganglia)이라고도 불리는 신경 세포를 발견했고, 1844년에는 대뇌겉질이 여섯 층으로 되어 있음을 최초로 관찰했다.[8]그의 연구 분야는 크게 신경 섬유의 미세 구조, 발생학, 신경증의 세 가지 분야에 걸쳐 있다. 세포 분열설과, 신경·근육 치료에 전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한 것에서 선구자이다.
3. 2. 발생학 연구
레마크는 발생학에도 관심을 가졌다. 샤리테에 있는 작은 실험실에서 약 20여 년 동안 발생학 연구를 지속했다.[8] 그는 카를 에른스트 폰 베어가 제시한 4가지 배엽을 외배엽, 중배엽, 내배엽의 3가지로 줄인 것으로 유명하다.레마크는 닭 배아의 적혈구를 다양한 단계에서 관찰한 후 세포가 기존 세포의 분열을 통해서만 생겨난다는 결론을 내렸다. 개구리 알의 수정 직후에 반드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남을 관찰하여 그 보편성을 입증했다. 이로써 생명의 자연발생설을 반증했던 루이 파스퇴르의 실험 결과를 해명할 수 있었다.[14]
그는 세포 분열설의 선구자이며, 수정란이 분열 증식함에 따라 형성되는 배엽을 내·중·외의 세 겹으로 구분하고 명명했다.
3. 3. 세포 분열설
레마크는 닭 배아의 적혈구를 다양한 단계에서 관찰한 후 세포가 기존 세포의 분열을 통해서만 생겨난다는 결론을 내렸다.[14] 개구리 알의 수정 직후에 이러한 현상이 나타남을 관찰하여 그 보편성을 입증했다. 이로써 루이 파스퇴르의 자연발생설 반증 실험 결과를 해명할 수 있었다.[14]레마크는 세포 분열설과, 신경·근육 치료에 전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한 것에서 선구자이다. 또한, 수정란이 분열 증식함에 따라 형성되는 배엽을 내배엽, 중배엽, 외배엽의 세 겹으로 구분하고 명명했다.
3. 4. 기타
레마크는 1838년 학위 논문에서 일부 말초신경 섬유가 회색을 띠는 것은 말이집이 없기 때문임을 밝혔다. 민말이집신경을 이루는 슈반세포를 오늘날 레마크 세포라고 부른다. 레마크는 학위 취득 후 뮐러의 연구실에서도 많은 업적을 남겼다. 1839년에는 심장에서 오늘날 레마크 신경절(Remak's ganglia)이라고도 불리는 신경 세포를 발견했고, 1844년에는 대뇌겉질이 여섯 층으로 되어 있음을 최초로 관찰했다.[8]발생학도 그의 관심 분야였다. 샤리테에 있으면서 작은 실험실에서 약 20여 년 동안 연구를 지속했다.[8] 레마크는 카를 에른스트 폰 베어가 제시한 4가지 배엽을 3가지(외배엽, 중배엽, 내배엽)로 줄인 것으로 유명하다.
현대 세포 이론의 창시자 중 한 명인 루돌프 피르호가 레마크의 세포설을 표절했다는 논란이 있다.[13] 레마크는 닭 배아의 적혈구를 다양한 단계에서 관찰한 후 세포가 기존 세포의 분열을 통해서만 생겨난다는 결론을 내렸다. 개구리 알의 수정 직후에 반드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남을 관찰하여 그 보편성을 입증했다. 이로써 마침내 생명의 자연발생설을 반증했던 루이 파스퇴르의 실험 결과를 해명할 수 있었다.[14]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the life sciences
[2]
저널
Was social medicine revolutionary? Rudolf Virchow and the revolutions of 1848
https://pubmed.ncbi.[...]
2023-02-17
[3]
저널
Virchow, the heroic model in medicine: health policy by accolade
1987-01
[4]
서적
Forgotten leaders in modern medicine: Valentin, Gruby, Remak, Auerbach
1944
[5]
백과사전
Robert Remak
Encyclopedia Britannica
[6]
비디오
The Cell - The Hidden Kingdom
BBC
[7]
서적
A history of the life sciences
[8]
저널
Robert Remak (1815-1865)
https://pubmed.ncbi.[...]
2013-06
[9]
서적
Forgotten leaders in modern medicine: Valentin, Gruby, Remak, Auerbach
1944
[10]
백과사전
Robert Remak
Encyclopedia Britannica
[11]
비디오
The Cell - The Hidden Kingdom
BBC
[12]
서적
Robert Remak (1815–1865). Ein jüdischer Arzt im Spannungsfeld von Wissenschaft und Politik
Gustav Fischer
1995
[13]
저널
Was social medicine revolutionary? Rudolf Virchow and the revolutions of 1848
https://pubmed.ncbi.[...]
2023-02-17
[14]
저널
Virchow, the heroic model in medicine: health policy by accolade
https://archive.org/[...]
198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