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 살로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 살로메는 러시아 출신의 작가, 정신분석가로, 철학, 종교, 여성의 성 심리에 대한 저술을 남겼다. 취리히 대학교에서 공부하며 파울 레, 프리드리히 니체와 교류했고, 니체의 청혼을 거절했다. 이후 라이너 마리아 릴케와도 교류하며 그의 예술적 뮤즈가 되었으며, 지그문트 프로이트에게 정신분석을 배우고 평생 우정을 이어갔다. 1937년 사망했으며, 그녀의 삶은 소설, 영화, 오페라 등 다양한 형태로 재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그문트 프로이트 - 열등감
    열등감은 실제적이거나 상상적인 결함으로 삶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다고 믿는 심리 상태로, 아들러 심리학에서는 1차적, 2차적 열등감으로 구분하며 낮은 자존감이나 우울증과 관련될 수 있지만 극복을 통해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 지그문트 프로이트 - 우월감
    우월감은 자신이 타인보다 뛰어나다고 느끼는 감정으로, 건강한 우월감은 성취 동기가 되지만 과도한 경우 자만심, 차별,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며, 개인의 가치관과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 덴마크계 러시아인 -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은 알렉산드르 3세와 마리아 표도로브나 황후의 장녀로 태어나 러시아 혁명 후 망명 생활을 하며 영국 왕족의 도움으로 영국에서 말년을 보냈고, 자선 활동에 헌신하며 격변 속에서 가족 관계를 유지하려 노력했다.
  • 덴마크계 러시아인 - 비투스 베링
    비투스 베링은 표트르 대제의 명령으로 캄차카 탐험대를 이끌고 시베리아 동부와 북아메리카 북서부 해안을 탐험하여 베링 해협 등 자신의 이름이 붙은 지명을 남긴 덴마크 출신 러시아 해군 장교이자 탐험가이다.
루 살로메 - [인물]에 관한 문서

2. 생애

루 살로메는 1880년 취리히 대학교에서 종교학, 철학, 미술사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1882년 파울 레를 통해 프리드리히 니체를 알게 되었으나, 니체의 청혼은 거절했다. 이후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청혼도 거절했으며, 1887년 프리드리히 카를 안드레아스와 결혼했다.

베를린에서 살로메는 Friedrichshagener Dichterkreis|프리드리히스하겐 그룹de에 참여하여 게르하르트 하우프트만, 프랑크 베데킨트, 요한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 아르투어 슈니츨러, 야코프 바서만 등과 교류했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와는 두 번의 러시아 여행을 함께 했다.

1911년 바이마르 국제 정신분석 회의에 참가한 후, 지그문트 프로이트에게서 정신분석을 배웠다. 남편이 괴팅겐 대학교 교수가 되면서, 살로메도 괴팅겐에서 정신분석가로 활동했다. 1937년 요독증으로 괴팅겐에서 사망했다.[24]

살로메의 학문적, 문학적 저작은 20세기 후반에 수집, 편집, 교열되어 출판되었다. 그녀의 작품은 전통적인 세계에서 자신의 길을 가려는 현대 여성들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1861년 2월 12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프랑스위그노 교도인 러시아 야전군 참모본부의 고급장교 구스타브 살로메(Gustav Salomé)와 북독일-덴마크계 루이제 빌름(Louise Wilm) 사이에서 여섯 자녀 중 외동딸 겸 막내로 태어났다. 루는 부유하고 문화적인 가정에서 성장했으며, 오빠들과 함께 러시아어, 독일어, 프랑스어를 배웠다. 살로메는 오빠들의 수업에 참여할 수 있을 정도로 총명했다.[4]

루 살로메, 1880년경


독실한 개신교 집안에서 자란 살로메는 성장하면서 개혁 교회와 정통 개신교 목사인 헤르만 달톤에게 반감을 갖게 되었다. 그녀는 16세에 달톤에게서 견신례를 받는 것을 거부하고 공식적으로 교회를 떠났으나, 철학, 문학, 종교에 대한 지적 탐구는 계속하였다.

이후 살로메는 달톤의 반대자로 알려진 네덜란드 목사 헨드릭 질롯의 설교에 매료되었다. 그녀보다 25세 연상이었던 질롯은 살로메를 제자로 받아들여 신학, 철학, 세계 종교, 프랑스 및 독일 문학 등을 가르쳤다. 이들은 함께 여러 작가, 철학자, 신학 및 종교적 주제를 연구하며 깊이 있는 지적 교류를 나누었다.[45] 질롯은 살로메에게 깊이 빠져 아내와 이혼하고 결혼하려 했으나, 살로메는 결혼과 성관계에 관심이 없어 이를 거절했다. 비록 실망했지만, 살로메는 질롯과 친구로 남았다.

1879년 아버지의 사망 이후, 살로메와 어머니는 취리히로 이주했다. 살로메는 당시 여성을 받아주는 몇 안 되는 대학 중 하나였던 취리히 대학교에 "객원 학생"으로 입학하여 철학(논리학, 철학사, 고대 철학, 심리학)과 신학(교의학) 강의를 들었다.

2. 2. 파울 레와 니체와의 만남

1882년 1월 루 살로메는 원인불명의 질병으로 취리히에서 어머니와 함께 이탈리아 로마로 이주했다. 그곳에서 젊은 철학자 파울 레를 만나 철학과 신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교감했다. 레는 살로메에게 청혼했지만, 살로메는 레와 다른 한 남자가 함께 '형제와 자매'로 살면서 공부하는 학술 공동체를 제안했다.[5] 레는 이 제안을 받아들여 친구인 프리드리히 니체를 공동체 구성원으로 제안했다.

1882년 4월, 살로메와 레는 로마에서 니체를 만났고, 니체는 살로메에게 즉시 사랑에 빠졌다. 니체는 레에게 대신 청혼을 부탁했지만, 살로메는 친구로서 니체에게 관심을 가졌지만 청혼은 거절했다.[5] 그럼에도 니체는 레, 살로메와 함께 스위스와 이탈리아를 여행하며 공동체("윈터플랜")를 계획했다. 1882년 5월 13일, 루체른에서 니체는 살로메에게 다시 청혼했지만, 살로메는 또다시 거절했다. 니체의 누이 엘리자베트는 살로메를 "부도덕한 여자"로 묘사하며 니체를 살로메에게서 떼어놓으려 했다.[6]

살로메, 레, 니체는 살로메의 어머니와 함께 이탈리아를 여행하며 "윈터플랜" 공동체를 세울 장소를 물색했으나, 적절한 장소를 찾지 못해 계획은 무산되었다. 1882년 10월, 세 사람은 라이프치히에서 몇 주 동안 함께 지냈지만, 다음 달 레와 살로메는 니체와 헤어져 슈티베로 떠났다. 니체는 정신적 고통을 겪으면서도 레에게 편지를 보내며 "우리는 때때로 서로 볼 수 있겠지?"라고 물었다.[7] 이후 니체는 살로메와 레, 그리고 누이의 음모로 인해 살로메를 유혹하려는 시도가 실패했다고 비난하며, 1883년에는 누이에 대한 "진정한 증오"를 느꼈다고 썼다.[7]

2. 3. 베를린 생활과 결혼

파울 레와 베를린에서 동거하던 루 살로메는 사회학자, 작가 등 여러 지식인들과 교류했다. 어머니가 베를린 생활을 탐탁지 않아 하자, 살로메는 베를린에 있어야 할 이유를 증명하고자 책을 출판하기로 결심, 심리소설 《하느님을 차지하려는 싸움(Im Kampf um Gott)》을 출판했다.[10] 이후 살로메는 레를 떠나 언어학자 프리드리히 카를 안드레아스와 결혼했다.[10] 결혼 조건으로 성관계 없는 결혼 생활을 제시하여 둘 사이에는 아이가 없었다. 그럼에도 살로메와 안드레아스는 1887년부터 1930년 안드레아스가 사망할 때까지 결혼 생활을 유지했다.[10]

루 살로메와 프리드리히 카를 안드레아스, 1886

2. 4. 릴케와의 관계

1897년 5월, 뮌헨에서 루 살로메는 야코프 바서만의 소개로 릴케를 만났다.[19] 당시 살로메는 36세, 릴케는 20세였다. 살로메는 이미 여러 편의 글과 ''예수 더 유데''라는 연구서를 출판하여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둔 상태였고, 릴케는 이를 읽었다.[19]

필리프 자코테에 따르면, 살로메는 ''생의 회고''에서 릴케와의 관계에 대해 "당신은 남자와 몸이 서로 구별할 수 없는, 삶 자체의 명백한 사실인 첫 번째 현실이었기에, 나는 수년간 당신의 아내였다."라고 썼다.[20]

루 살로메는 릴케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릴케의 이름을 원래의 프랑스식 이름인 '르네 마리아 릴케(Rene Maria Rilke)'에서 독일식인 '라이너 마리아 릴케'로 바꾸도록 하였다.[21] 또한, 흘려 쓰던 릴케의 글씨체를 아름다운 글씨체로 바꾸게 하였다.[46] 릴케의 초기 시집 《그대의 축제를 위하여》(Dir Zur Feier)에는 살로메에 대한 헌신적인 사랑이 담겨있다.[46]

1899년과 1900년, 살로메는 릴케와 함께 러시아를 여행하며,[21] 그에게 러시아어를 가르치고, 톨스토이푸시킨을 소개했다.[10] 살로메는 릴케의 후원자이자 조언자, 뮤즈로서 릴케의 삶에 깊이 관여했다.[10]

두 사람의 연인 관계는 3년간 지속된 후 우정으로 바뀌었으며, 릴케가 죽을 때까지 서신을 통해 교류를 이어갔다.[22] 프로이트는 1937년 살로메와 릴케의 관계에 대해 "그녀는 위대한 시인의 뮤즈이자 세심한 어머니였다"라고 평가했다.[22]

2. 5. 프로이트와 정신분석

1911년, 살로메는 바이마르에서 개최된 국제 정신분석 회의에 참가한 후, 지그문트 프로이트에게서 정신분석 지식을 더 깊이 배우려고 했다.[47] 1912년 바이마르에서 열린 제3차 정신 분석학회에서 당시 연인이었던 정신 분석학자 폴 비에레(Poul Bjerre)로부터 정신 분석학계의 대가 지그문트 프로이트를 소개받았다.[47] 프로이트에게서 인간 내면에 대한 깊은 통찰을 얻었으며 이들의 우정은 정신 분석의 동반자로서 죽을 때까지 지속되었다.

그 후, 남편이 괴팅겐 대학교에 초빙되었기 때문에, 괴팅겐에서 정신분석 분석가로서 개업을 했다.

2. 6. 노년과 죽음

1912년 바이마르에서 열린 제3차 정신 분석학회에서 당시 연인이었던 정신 분석학자 폴 비에레로부터 지그문트 프로이트를 소개받았다.[47] 프로이트로부터 인간 내면에 대한 깊은 통찰을 얻었으며 이들의 우정은 정신 분석의 동반자로서 죽을 때까지 지속되었다. 70세에 당뇨병 등으로 몸이 허약해져 병원에서 요양이 필요하게 되었고, 당시 집필은 《프로이트에 대한 나의 감사》(Mein Dank an Freud)였다. 요통유방암 등으로 쇠약해져 75세에 사망했다.

1930년 살로메는 심장 질환과 당뇨병으로 여러 번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남편 프리드리히 카를 안드레아스는 발 수술 후 6주 동안 매일 그녀를 방문했는데, 오랜 기간 소통이 없었던 40년간의 결혼 생활 이후 그들을 매우 가깝게 만들었다.[23] 프로이트는 "오직 진실된 것만이 그렇게 오래 지속된다."(So dauerhaft beweist sich doch nur das Echte.|"오직 진실된 것만이 그렇게 오래 지속된다."de)라고 썼다. 프리드리히 카를 안드레아스는 1930년 암으로 사망했고, 살로메는 1935년 암 수술을 받았다. 74세에 정신분석가로서의 활동을 중단했다.

1937년 2월 5일 요독증으로 괴팅겐에서 사망했다. 유골함은 괴팅겐 그로너 란트슈트라세의 묘지에 있는 남편의 묘에 안치되었다. 그녀의 집이 있던 부동산 외부에 기념 명판, 그녀의 이름을 딴 거리(Lou-Andreas-Salomé-Weg), 루 안드레아스-살로메 정신분석 및 정신요법 연구소의 이름으로 이 도시에서 기념되고 있다. 그녀가 사망하기 며칠 전, 게슈타포는 그녀의 서재를 압수했다(다른 자료에 따르면 사망 직후 SA 그룹이 서재를 파괴했다). 압수 이유는 그녀가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동료였고, "유대 과학"을 실천했으며, 유대인 작가들의 많은 책을 소유했다는 것이었다.[24]

괴팅겐 묘지에 있는 루 안드레아스-살로메의 묘

3. 작품 활동

살로메는 소설, 비평, 종교, 철학, 성,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글을 쓴 작가였다.[25] 니체가 감동하여 곡을 붙일 정도로 깊은 인상을 준 "삶의 찬가"를 쓰기도 했다. 그녀의 작품 전집은 독일의 MedienEdition Welsch에서 출판되고 있다.[26]

1927년 독일 도서 협회에서 출판한 'Das Haus'의 표지


그녀는 괴팅겐에서 유행할 정도로 문학적, 분석적 연구로 명성을 얻었으며, 게슈타포는 그녀가 사망한 직후에야 그녀의 서재에서 유대인 저서를 "청소"했다. 1926년 릴케가 사망한 후에는 그에 대한 회고록을 편집하기도 했다.

3. 1. 소설

루 살로메는 소설, 비평, 종교, 철학, 성, 심리학에 관한 에세이를 쓴 다작의 작가였다.[25] 그녀는 10편 이상의 소설과 중편소설을 썼다. 다음은 그녀의 소설 목록이다.

출판 연도제목
1885년하느님을 차지하려는 싸움
1895년루트
1896년모르는 영혼에서
1898년페니취카-어떤 방탕
1899년인간의 아이들
1901년마, 어떤 초상
1902년중간지대에서
1919년
1922년하느님 없는 시간. 그 밖의 동화, 악마와 그 할머니
1923년로딘카


3. 2. 비평 및 에세이

Friedrich Nietzsche in seinen Werkende(1894)는 《작품에 나타난 니체》라는 제목으로 출판된 프리드리히 니체에 관한 책이다.[25] Die Erotikde(1910)는 《에로티시즘》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고,[25] 1917년에는 《소년에게 보낸 세 통의 편지》가 출판되었다.[25] 살로메는 헬레네 도이치보다 먼저 여성의 성에 대해 정신분석적으로 글을 쓴 최초의 여성 중 한 명이었다.[27] 그녀는 1911년에 이미 여성 성 심리에 대한 저서 ''Die Erotikde''를 썼고, 1916년에는 항문-에로틱에 대한 에세이를 썼는데, 이 에세이는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칭찬을 받았다.[28][29]

3. 3. 종교 및 철학 연구

살로메는 소설, 비평, 종교, 철학, 성, 심리학에 관한 에세이를 쓴 다작의 작가였다.[25] 니체가 감동하여 곡을 붙일 정도로 깊은 인상을 준 "삶의 찬가"를 썼다. 헨리크 입센의 여성 등장인물에 대한 연구인 ''Henrik Ibsens Frauengestalten''(1892)과 니체에 관한 책인 ''Friedrich Nietzsche in seinen Werken''(1894)과 같은 논픽션 연구도 썼다.

'''주요 저서'''

출판 연도제목비고
1892년Henrik Ibsens Frauengestalten헨리크 입센의 여성 등장인물 연구
1894년Friedrich Nietzsche in seinen Werken니체 연구


3. 4. 정신분석학 관련 저술

루 살로메는 정신분석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여러 저술을 남겼다. 1912년 바이마르에서 열린 제3차 정신 분석학회에서 지그문트 프로이트를 만난 후, 그의 영향을 받아 인간 내면에 대한 통찰을 담은 글을 썼다.[47]

1931년, 70세의 나이에 당뇨병 등으로 건강이 악화된 상태에서 《프로이트에 대한 나의 감사》(Mein Dank an Freud)를 집필했다.[47] 이 책은 프로이트에 대한 존경과 정신분석학에 대한 그녀의 이해를 보여주는 중요한 저작이다.

사후인 1958년에는 《프로이트 학파에서 - 1년의 일기 - 1912/1913》(In der Schule bei Freud – Tagebuch eines Jahres – 1912/1913)이 출간되었다. 이 책은 그녀가 프로이트와 함께한 시간을 기록한 일기로, 정신분석학 연구에 대한 그녀의 열정을 엿볼 수 있다.

그녀는 최초의 여성 정신분석가 중 한 명이었고, 헬레네 도이치보다 먼저 여성의 성에 대해 정신분석적으로 글을 쓴 최초의 여성 중 한 명이었다.[27] 예를 들어, 1916년 항문-에로틱에 대한 에세이를 썼는데,[28] 이 에세이는 프로이트의 칭찬을 받았다.[29] 1911년 저서 《에로티시즘》(Die Erotik)에서 여성 성 심리에 대해 글을 썼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프로이트에 대한 나의 감사》(Mein Dank an Freud, 1931년)
  • 《프로이트 학파에서 - 1년의 일기 - 1912/1913》(In der Schule bei Freud – Tagebuch eines Jahres – 1912/1913, 1958년)
  • 《에로티시즘》(Die Erotik, 1910년)

3. 5. 회고록

Lebensrückblickde(1951)은 루 살로메가 말년에 쓴 회고록으로, 자신의 신념과 관계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하고 있다. 그녀는 이 책에서 자유로운 여성으로서의 삶에 대한 기억을 바탕으로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았다.

다음은 회고록에 나오는 구절이다.

> 장미 덤불에 손을 뻗는 사람은 한 움큼의 꽃을 잡을 수 있지만, 아무리 많은 꽃을 잡더라도 그것은 전체의 작은 부분일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움큼의 꽃은 꽃의 본질을 경험하기에 충분하다. 우리가 덤불 전체를 한 번에 잡을 수 없기 때문에 덤불에 손을 뻗는 것을 거부하거나, 덤불 전체인 것처럼 장미 한 움큼을 펼치는 경우에만, 그 꽃은 우리와는 별개로, 우리에게는 알려지지 않은 채 피어나고, 우리는 혼자 남겨진다.[31]

살로메는 마지막 날에 "나는 정말 평생 동안 일만 해왔다, 일... 왜?"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리고 그녀는 마지막 순간에, 마치 혼잣말을 하듯이 "내 생각이 방황하게 두면 아무도 찾을 수 없다. 결국 가장 좋은 것은 죽음이다."라고 말했다고 한다.[32]

4. 사상과 영향

주어진 결과물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5. 한국에서의 수용과 평가

한국 사회에서 루 살로메가 어떻게 인식되고 평가되는지, 그녀의 사상이 한국 사회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는 분석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주어진 원본 소스가 없기 때문이다.

5. 1. 한국에서의 번역과 소개

루 살로메의 저작은 일본어 번역본을 통해 한국에 소개되었다. 1973년부터 1976년까지 이분사에서 『루 살로메 저작집』을 출간했고, 1986년에 신판이 나왔다. 이 선집에는 다음 작품들이 포함되었다.

권수제목일본어 번역자
제1권「신을 둘러싼 투쟁」고바야시 마코토
제2권「여성이라는 것」고바야시 에이사부로
제3권「니체, 사람과 작품」하라 타스쿠
제4권「라이너 마리아 릴케 외」쓰카코시 빈, 이토 유키오
제5권「프로이트에게의 감사」쓰카코시 빈, 고바야시 마코토



이 외에도 『루 살로메 회상록』 (야마모토 마사루 역, 미네르바 서방, 2006년), 『라이너 마리아 릴케』 (도이 코가주 역, 쓰쿠마 서방, 1943년), 『릴케』 (후지카와 히데오, 요시무라 히로지 공역, 야요이 서방, 1959년) 등이 일본어 번역본으로 출간되었다.

6. 대중문화 속의 루 살로메

루 살로메는 여러 예술 작품에서 다뤄졌다.


  • 문학
  • 어빈 얄롬의 소설 《니체가 눈물을 흘릴 때[33]와 랜스 올슨의 소설 《니체의 키스》[34]는 살로메와 니체의 관계를 다루었다.
  • 영화
  • 릴리아나 카바니 감독의 영화 《선과 악을 넘어서》에서 살로메 역은 도미니크 산다가 연기했다.[33]
  • 핀차스 페리의 영화 《니체가 눈물을 흘릴 때》에서는 캐서린 윈닉이 살로메 역을 맡았다.[33]
  • Lou Andreas-Salomé (Film)de》(루 안드레아스-살로메, 자유의 대담성)라는 제목의 독일 영화가 2016년 6월 30일 독일 극장에서 개봉했다.[43]
  • 기타
  • 주세페 시노폴리가 작곡하고 카를 디트리히 그레베가 대본을 쓴 2막 오페라 《루 살로메》는 1981년 바이에른 국립 오페라에서 초연되었다.[42]

6. 1. 문학

어빈 얄롬의 ''니체가 눈물을 흘릴 때'',[33] 랜스 올슨의 ''니체의 키스''[34]는 살로메와 니체의 관계를 다룬 소설이다.

6. 2. 영화

릴리아나 카바니의 영화 ''선과 악을 넘어서''에서 살로메는 도미니크 산다가 연기했다.[33] 핀차스 페리의 영화 ''니체가 눈물을 흘릴 때''에서는 살로메 역을 캐서린 윈닉이 맡았다.[33]

Lou Andreas-Salomé (Film)de''(루 안드레아스-살로메, 자유의 대담성)라는 제목의 독일어 영화는 가 감독했으며, 2016년 6월 30일 독일 극장에서 개봉했다.[43] 안드레아스-살로메는 가, 젊은 시절의 모습은 리브 리사 프리즈가 연기했다. 이 영화는 2018년 4월 뉴욕과 로스앤젤레스에서 개봉했으며, 이후 더 넓은 범위로 개봉될 예정이다.[43]

릴리아나 카바니 감독의 영화 루 살로메 - 선악의 저편에서는 도미니크 산다가 살로메를 연기했고, 에를란 요셉슨이 출연했으며 1977년에 개봉하였다.

6. 3. 기타

주세페 시노폴리가 작곡하고 카를 디트리히 그레베가 대본을 쓴 2막 오페라 ''루 살로메''는 1981년 바이에른 국립 오페라에서 초연되었으며, 아우구스트 에버딩이 총감독, 괴츠 프리드리히가 연출, 안드레아스 라인하르트가 무대 디자인을 맡았다.[42]

참조

[1] 백과사전 Lou Andreas-Salome biography http://www.britannic[...] 2024-02-12
[2] 뉴스 Lou Andreas-Salome {{!}} German writer https://www.britanni[...] 2017-07-17
[3] 서적 Friedrich Nietzsche: A Philosophical Biogra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Under Review: Further Writings on Writers, 1946–1990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 서적 Nietzsche: The Man and his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Nietzsche: The Man and his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Nietzsche: The Man and his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문서 Salomé
[9] 웹사이트 Suffering, Transience and Immortal Longings Salomé Between Neitzsche and Freud http://go.galegroup.[...] Sage Publications 2016-12-01
[10] 뉴스 The Poet and the Muse The Nation 2006-07-03
[11] 문서 Andreas-Salomé
[12] 학술 The Femme Fatale – Lou Andreas-Salomé https://www.journal-[...] 2002-Spring
[13] 서적 Dictionnaire de la psychanalyse Fayard
[14] 웹사이트 Suffering, Transience and Immortal Longings Salome Between Nietzsche and Freud http://go.galegroup.[...] Sage Publications 2016-12-01
[15] 서적 Dictionnaire de la psychanalyse Fayard
[16] 서적 Woman and Modernity: The (Life)Styles of Lou Andreas-Salomé Cornell University Press 2018-08-06
[17] 서적 The Freud Encyclopedia. Theory, Therap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18] 학술 Lou Andreas-Salomé et Anna Freud https://www.cairn.in[...] Cairn.info 2009
[19] 문서 Rilke par lui-même
[20] 문서 Rilke par lui-même
[21] 문서 Gerald Stieg
[22] 문서 Roudinesco and Plon
[23] 웹사이트 Lou Andreas-Salomé © 2003-2012 by Prof. Dr. med. K. Sadegh-Zadeh http://www.lou-andre[...] 2020-04-06
[24] 서적 Lou Andreas-Salomé: Das Leben einer außergewöhnlichen Frau. Kindler, München
[25] 서적 Salomé: Her Life and Work Gordon Fraser Gallery
[26] 웹사이트 Lou Andreas-Salomé Werkedition http://andreas-salom[...] 2021-06-25
[27] 뉴스 Lou Andreas-Salomé, the First Woman Psychoanalyst, on Human Nature in Letters to Freud https://www.brainpic[...] 2017-07-17
[28] 학술 "Anal" and "Sexual" https://www.euppubli[...] 2023-01-21
[29] 서적 Three Essays on the Theory of Sexuality and Other Works Penguin
[30] 웹사이트 Anneliese's House https://boydellandbr[...] 2020-05-14
[31] 뉴스 Books of The Times – Her Friends Included Nietzsche, Rilke and Freud https://www.nytimes.[...] 1991-05-10
[32] 문서 Peters, 'My Sister, My Spouse'
[33] 웹사이트 When Nietzsche Wept http://litmed.med.ny[...] 2015-12-05
[34] 웹사이트 La hora sin diosas http://www.alfaguara[...] 2015-12-04
[35] 문서 The Luzern Photograph
[36] 서적 Marx and Freud in Latin America: Politics, Psychoanalysis, and Religion in ...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2012-08-21
[37] 서적 The Truth about Lou
[38] 서적 Vienna Triangle
[39] 서적 A Book for All and None
[40] 서적 Freud's Bird of Prey
[41] 서적 Re-Call
[42] 웹사이트 Lou Salome: Muse, Geliebte, Therapeutin http://www.musik-in-[...] 2012-02-06
[43] 뉴스 In Love with Lou https://www.worldlit[...] 2016-06-22
[44] 서적 An Encyclopedia of Continental Women Writers Garland Publishing, Inc. 1991
[45] 문서 루 살로메-자유로운 여자 이야기-
[46] 문서 소유하지 않는 사랑(해설)
[47] 문서 루 살로메-자유로운 여자 이야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