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등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열등감은 고전 아들러 심리학에서 처음 도입된 개념으로, 자신이 다른 사람보다 부족하다고 느끼는 감정을 의미한다. 열등감은 어린 시절의 성장 환경, 신체적/정신적 제약, 사회적 차별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1차적 열등감과 2차적 열등감으로 분류된다. 열등감은 자존감 저하, 학업 능력 저하, 공격성 증가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우월 콤플렉스와 같은 방어 기제로 나타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그문트 프로이트 - 루 살로메
러시아 태생의 작가이자 정신분석가인 루 살로메는 니체, 릴케, 프로이트 등 당대 지성인들과 교류하며 영향을 주고받았고, 특히 릴케의 뮤즈이자 자유로운 삶을 추구한 진보적인 여성으로 평가받는다. - 지그문트 프로이트 - 우월감
우월감은 자신이 타인보다 뛰어나다고 느끼는 감정으로, 건강한 우월감은 성취 동기가 되지만 과도한 경우 자만심, 차별,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며, 개인의 가치관과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 개인심리학 - 알프레트 아들러
오스트리아의 정신과 의사이자 심리학자인 알프레트 아들러는 개인심리학을 창시하여 인간을 전체적인 존재로 보고 열등감 극복과 사회적 관심을 중요시했으며, 개인의 생활양식이 성격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 개인심리학 - 보상 (심리학)
보상(심리학)은 개인의 열등감이나 결핍을 극복하기 위한 심리적, 신체적 시도를 의미하며, 알프레드 아들러가 개인 심리학에서 처음 도입했다. - 공포 - 공황 (심리학)
공황은 갑작스러운 극심한 공포와 불편함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적 현상으로, 생리적 반응과 사회적 전염성을 가지며, 집단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 공포 - 경외
경외는 경이로움, 감탄, 숭고감과 관련된 복잡한 감정으로, 폴 피어설은 이를 '의식의 범위를 넘어서는 놀라운 우주와의 연결감'으로 정의하며, 사회적 계층 강화, 성적 선택, 정보 처리 증진과 관련되고 정신 건강, 시간 지각,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자연, 예술, 음악 등에서 유발되는 감정이다.
열등감 | |
---|---|
심리학적 개념 | |
정의 | 개인의 주관적인 무능감 |
관련 용어 | 우월성 추구, 보상, 신경증 |
주요 내용 | |
개요 | 개인의 약점이나 결함에 대한 주관적인 감정에서 비롯됨 정상적인 열등감과는 구별되는 병적인 상태 과도한 자기 비하, 무능감, 열등감에 시달림 사회생활 및 인간관계에 부정적인 영향 |
원인 | 어린 시절의 부정적인 경험 (학대, 방임, 차별 등) 사회적 비교 (타인과의 비교를 통한 열등감 심화) 낮은 자존감 완벽주의적 성향 |
증상 | 과도한 자기 비하 및 비판 자신감 부족 및 무기력감 사회적 위축 및 고립 질투심 및 시기심 분노 및 적대감 우울증, 불안 장애 등의 정신 질환 동반 가능성 |
극복 방법 | 자신의 강점 및 장점 인식 긍정적인 자기 대화 현실적인 목표 설정 및 달성 타인과의 비교 지양 전문가의 도움 (심리 상담, 치료 등) |
알프레드 아들러의 관점 | 열등감은 인간 발전의 동력 열등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 (보상)이 개인의 성장으로 이어짐 그러나 병적인 열등감은 신경증 유발 가능 |
관련 정보 | |
관련 심리학자 | 알프레드 아들러 |
관련 문서 | 개인 심리학 |
참고 자료 | 미국 심리학회 (APA) 심리학 사전: 열등감 콤플렉스 정의 Simply Psychology: 알프레드 아들러 - 개인 심리학 AlleyDog.com: 열등감 콤플렉스 정의 |
2. 역사
알프레드 아들러가 창시한 고전 아들러 심리학은 정신분석학의 한 분야로, 피에르 자네가 불완전감(sentiment d’incomplétude)이라고 부른 것과 유사한 열등감 개념을 도입했다.[5][6] 이 개념은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저작에도 나타나지만, 이후 이론 발전으로 인해 쇠퇴했다.[7] 카를 융도 이 개념을 사용했으며, 콤플렉스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도 융이다.[8][9]
2. 1. 아들러 심리학
알프레드 아들러는 많은 신경증 증상이 열등감에 대한 과잉 보상, 혹은 데모스테네스처럼 보상적 과잉 성취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10] 현대 문헌에서는 '자존감 부족'이라는 용어를 선호한다.[11] 아들러에 따르면, 모든 사람은 열등감을 느끼지만, 이는 질병이 아니라 건강하고 정상적인 노력과 발전을 위한 자극제이다. 부적절함이 개인을 압도하고, 유용한 활동을 자극하기는커녕 우울하게 만들고 발전을 불가능하게 만들 때 병적인 상태가 된다.3. 원인
인간은 누구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조건 등 다양한 원인으로 열등감을 느낄 수 있으며, 이를 극복하고자 노력한다. 지나친 열등감은 부정적인 행동과 태도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25]
초기 정신분석학자인 알프레드 아들러와 칼 융은 열등감을 보상하려는 노력 과정에서 개인의 생활 양식이 형성된다고 보았다. 또한 보상될 수 없는 열등감이나 과도하게 보상된 열등감은 인격 왜곡을 초래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이를 바로잡기 위한 노력과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열등감은 개인에게 여러 면에서 과잉 보상을 하려는 욕구를 불러일으킨다. 예를 들어, 키가 작은 남성은 타인에게 자신이 어떻게 보이는지에 대해 지나치게 걱정하고, 더 커 보이기 위해 특별한 신발을 착용하거나 주변 사람들이 자신보다 작은 사람들과 함께 있기를 원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이 극단적으로 나타나면 신경증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열등감 콤플렉스는 열등감의 감정이 좌절이나 실패를 통해 개인에게 심화될 때 발생한다. 다음과 같은 사람들은 열등감 콤플렉스를 겪을 위험이 높다.
- 낮은 자존감이나 자기 가치를 가진 사람
- 동료 집단 내에서 낮은 지위를 가진 사람
- 우울증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사람
- 부모의 기대가 지나치게 높다고 인식되는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
알프레드 아들러는 "모든 사람은 (...) 열등감을 느낀다. 그러나 열등감은 질병이 아니라 건강하고 정상적인 노력과 발전을 위한 자극제이다. 부적절함이 개인을 압도하고, 유용한 활동을 자극하기는커녕 우울하게 만들고 발전을 불가능하게 만들 때만 병적인 상태가 된다."라고 말했다.[12]
열등감은 주로 인간의 마음(정신)에 발생하는 감각이다. 인간은 성장 과정에서 자아를 발달시키는데, 이 단계에서 타인과의 경쟁 의식이 생기고, 그 경쟁에서의 좌절이 열등감으로 이어진다. 열등감은 우울감을 유발하지만, 동시에 극복을 통해 더 나은 결과를 낳기도 한다. 많은 경우, 아동이나 청소년은 다양한 열등감을 가지지만, 이는 성장 과정에서 겪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알프레드 아들러는 열등감의 원인으로 다음을 제시했다.
- 어린 시절의 성장 환경 (예: 형제와의 비교)
- 신체적 및 정신적인 제약
- 사회적 차별 경험 (예: 인종, 경제 상황, 성별에 따른 기회 불평등)
4. 분류
아들러 심리학에서는 열등감을 1차적 열등감과 2차적 열등감으로 구분한다.[26][5] 1차적 열등감은 어린 시절의 경험에서 비롯되며, 2차적 열등감은 성인이 된 후 목표 달성 실패와 관련된 감정이다.
4. 1. 1차적 열등감
고전 아들러 심리학에서는 1차적 열등감과 2차적 열등감을 구분한다.1차적 열등감(primary inferiority feeling)은 아이가 겪는 근원적인 약함, 무기력, 의존성에서 비롯된다. 여기에는 부모의 수용과 애착, 혹은 타고난 허약 체질이 원인이 될 수 있다.[26] 이는 형제자매, 연인, 어른과의 비교를 통해 심화될 수 있다.[27]
알프레드 아들러에 따르면 1차적 열등감은 어린 시절의 성장 환경(예: 형제와 비교되는 것), 신체적 및 정신적인 제약, 사회적 차별의 경험(예: 인종, 경제 상황, 성별에 따른 기회 불평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4. 2. 2차적 열등감
2차적 열등감은 성인이 열등감을 보상하기 위해 주관적인 안전감과 성공을 얻고자 무의식적이고 허구적인 최종 목표를 추구하지만, 이에 도달할 수 없다는 경험과 관련된다.[27] 이러한 안심감을 주는 목표와의 거리감은 부정적/우울한 감정을 유발하며, 이는 다시 원래의 열등감을 상기시킨다.[27] 2차 감정으로 인해 상기된 원래의 열등감은 압도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27] 이 딜레마에서 원래의 1차 열등감을 완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안심감을 주는 목표는 캐치-22와 같은 상황을 만든다.[27]5. 영향
열등감이 극대화되면 개인의 수행 능력과 자존감에 악영향을 준다. 무의식적인 심리적, 정서적 과정은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능력을 저하시키며, 자신의 열등감을 받아들이거나 이해하지 못해 과도한 신중함을 보이기도 한다.[25]
열등감이 큰 사람은 자기 은닉 경향이 높아져 외로움이 늘고 행복은 줄어든다.[30] 열등감은 빅5 성격 특성 모델의 신경증과 강한 상관관계를 보인다. 또한 성실성, 친화성, 외향성과는 작고 부정적인 관계를 보이지만, 마키아벨리즘, 자기애와는 긍정적인 관계를 보인다.[17] 정신건강 치료군 중에서는 조현병, 기분 장애, 성격장애 등의 환자에게서도 열등감이 나타나기도 한다.[29]
5. 1. 학업
가이 헛(Guy Hutt)은 박사 논문에서 수학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의 경우, 이 과목이 심리적 열등감, 낮은 동기 부여, 자기 효능감, 빈약한 자기 주도 학습 전략, 불안감 또는 안전하지 않다는 느낌과 연관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28]5. 2. 공격성
공격성이 '상대가 우위에 있다는 불안감'의 연장선상에서 정의될 수 있다면 현대 심리학자들은 이러한 맥락에서 열등감은 인격의 성숙처럼 보상받기 위한 열등 기능의 긍정적 효과를 기대한다고 보고있다.[31]6. 우월 콤플렉스
열등감과 관련된 것으로 "우월 콤플렉스"가 있는데, 이는 어떤 사람의 겉으로 드러나는 우월함이 그들의 열등감을 감추거나 대체하는 심리적 방어 기제이다. 알프레드 아들러는 사회적 인정에 대한 정상적인 욕구와는 차별화되는 우월 콤플렉스는 근본적인 열등감에서 비롯된, 자존심이나 지위를 드러내는 천박한 행위로 이어진다고 보았다. 때때로 관찰자들은 이를 사기꾼 증후군의 형태로 판단하기도 한다.[18]
참조
[1]
APA 사전
Inferiority complex
2020-11-12
[2]
웹사이트
Alfred Adler - Individual Psychology
https://www.simplyps[...]
Simply Psychology
2020-07-21
[3]
웹사이트
Inferiority Complex
https://www.alleydog[...]
AlleyDog
2022-08-27
[4]
서적
The Cambridge dictionary of psych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5]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the Mind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6]
서적
The Life and Work of Sigmund Freud
Basic Books
[7]
서적
New Introductory Lectures on Psychoanalysis
https://psycnet.apa.[...]
Norton & Co.
1933
[8]
서적
Man and his Symbols
Pan Books
[9]
웹사이트
superiority complex
https://medical-dict[...]
The Free Dictionary
2022-08-27
[10]
웹사이트
inferiority complex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22-08-27
[11]
저널
The inferiority complex in paranoia readdressed: A study with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
http://psydok.psycha[...]
2006
[12]
서적
The Science of Living
Routledge
[13]
문서
Kangata
2017
[14]
Doctoral thesis
Experiential Learning Spaces: Hermetic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or Psychological Safety, Consciousness Development and Math Anxiety Related Inferiority Complex Depotentiation
http://rave.ohiolink[...]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2007
[15]
서적
The education of children
http://psycnet.apa.o[...]
[16]
저널
Linking inferiority feelings to subjective happiness: Self-concealment and loneliness as serial mediators
https://www.scienced[...]
2019-10-15
[17]
웹사이트
Study links inferiority and superiority complexes to specific personality traits
https://www.psypost.[...]
2023-06-16
[18]
서적
A Primer of Adlerian Psychology: The Analytic-behavioral-cognitive Psychology of Alfred Adler
Psychology Press
[19]
웹사이트
APA Dictionary of Psychology
https://dictionary.a[...]
미국심리학회
2020-11-12
[20]
웹사이트
コンプレックス complex
https://kotobank.jp/[...]
[21]
웹사이트
インフェリオリティー‐コンプレックス(inferiority complex)
https://kotobank.jp/[...]
[22]
웹사이트
Alfred Adler - Individual Psychology Simply Psychology
https://www.simplyps[...]
2020-07-21
[23]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24]
서적
가족상담용어사전 - 열등감
학지사
[25]
웹사이트
열등감
http://donation.enc.[...]
글로벌세계대백과
[26]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the Mind
1987
[27]
문서
Kangata
2017
[28]
논문
Experiential Learning Spaces: Hermetic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or Psychological Safety, Consciousness Development and Math Anxiety Related Inferiority Complex Depotentiation
http://rave.ohiolink[...]
Department of Organizational Behavior,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2007
[29]
서적
The Education of Children
http://psycnet.apa.o[...]
1930
[30]
저널
Linking inferiority feelings to subjective happiness: Self-concealment and loneliness as serial mediators
https://www.scienced[...]
2019-10-15
[31]
저널
Empathy and social perspective taking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