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순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류순정은 목사 유량의 아들로, 김종직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우고 무예에도 뛰어났으며, 1487년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연산군 때 이조판서에 오른 그는 1506년 박원종, 성희안 등과 함께 중종 반정을 일으켜 성공했고, 정국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이후 영의정에까지 올랐으나, 1512년 사망했다. 중종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여러 드라마에서 류순정을 연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난공신 (중종) - 안당
안당은 안경의 손자이자 안돈후의 아들이며, 안처겸, 안처함, 안처근을 자녀로 둔 인물로, 송익필 가문과는 외척 관계를 맺었으나, 친족 관련 고변으로 복잡한 관계가 되었다. - 정난공신 (중종) - 박원종
조선의 무신이자 정치가인 박원종은 성종의 신임을 받았지만 연산군 대에 좌천되었고, 중종반정을 주도하여 중종을 옹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나, 반정 공신으로서 권력을 누리며 사치스러운 생활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 조선의 도원수 - 권율
조선 중기의 문관이자 무장인 권율은 안동 권씨 출신으로, 늦은 나이에 문과에 급제하여 관료 생활을 시작, 임진왜란 때 행주대첩에서 승리하는 등 활약하여 도원수에 올랐으며 이몽학의 난을 진압하는 데에도 기여,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고 선무공신 1등에 녹훈된 인물이다. - 조선의 도원수 - 윤필상
윤필상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세조와 성종 때 활약하며 이시애의 난 평정에 기여하고 좌의정을 거쳐 명나라를 도와 건주위 토벌에 공을 세웠으나, 무오사화를 주도하여 사림을 숙청하고 갑자사화 때 사사된 후 중종반정으로 복권되었다. - 1512년 사망 - 아메리고 베스푸치
아메리고 베스푸치는 15세기 후반부터 16세기 초에 활동한 이탈리아의 상인이자 탐험가로, 신대륙 탐험과 기록을 통해 아메리카 대륙 명명에 영향을 미쳤지만, 그의 항해 기록 진위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다. - 1512년 사망 - 바예지드 2세
바예지드 2세는 1481년부터 1512년까지 오스만 제국을 통치했으며, 동생과의 왕위 쟁탈전에서 승리하고 영토 확장과 유대인 포용 정책을 펼쳤으나, 아들 셀림 1세에게 폐위된 술탄이다.
류순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유순정 |
한자 표기 | 柳順汀 |
로마자 표기 | Yu Sunjeong |
관직 | |
임명 | 1512년 11월 14일 |
해임 | 1513년 1월 26일 |
이전 | 김수동 |
이후 | 성희안 |
임명 | 1509년 11월 9일 |
해임 | 1512년 11월 14일 |
이전 | 박원종 |
이후 | 성희안 |
임명 | 1506년 10월 26일 |
해임 | 1509년 11월 9일 |
이전 | 박원종 |
이후 | 성희안 |
생애 | |
출생 | 1459년 |
사망 | 1513년 1월 26일 |
기타 | |
![]() |
2. 생애
류순정은 김종직의 문하에서 학문을 익혔으며, 특히 무예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1487년 과거에 급제하여 홍문관에 등용되었고, 이후 훈련원으로 옮겨 전라도에 침입한 왜구를 수색하여 체포하는 공을 세웠다. 연산군 재위 시기에는 여러 관직을 거쳐 이조판서의 자리에 올랐다.
2. 1. 생애 초반
목사(牧使) 류양(柳壤)의 아들로 태어났다. 이후 김종직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암기에 능하고 학문과 활쏘기에 뛰어나 무인 중에서도 그와 비교할 자가 드물었다고 한다. 김종직은 성리학 학문 외에도 호신술로서 활쏘기와 무예를 가르쳤는데, 류순정은 특히 무예에서 두각을 나타냈다.1487년 진사를 거쳐 알성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홍문관 전적(典籍)에 등용되었다. 이후 훈련원 정(正)으로 승진하여, 배편으로 비밀리에 전라도 지방에 침투한 왜구를 수색하여 포획하는 데 성공했다. 그 뒤 무재(武才)를 인정받아 1491년에는 북정도원수 허종(許琮)의 막하 장수로 야인 정벌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으며, 평안도평사를 역임하였다. 연산군 때 여러 관직을 거쳐 이조판서의 자리에 올랐다.
2. 2. 관료 생활
김종직의 문하에서 성리학 등을 배웠으며, 특히 무예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1487년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에 등용되었고, 이후 훈련원으로 옮겨 전라도에 침입한 왜구를 소탕하는 공을 세웠다.
연산군이 즉위한 후에는 홍문관교리, 사헌부지평, 사헌부장령, 사헌부집의, 사간원정언 등 여러 관직을 거쳤다. 사헌부헌납으로 재직 시에는 기우제를 반대하던 임사홍을 비판하고, 권력을 남용한 평안도절도사 전림(田霖)을 탄핵하였다. 또한 북방 야인 문제에 대한 대책 마련을 건의하기도 했다. 이후 홍문관교리를 거쳐 뛰어난 활솜씨를 인정받아 특별히 홍문관 부응교에 임명되었다.
사헌부집의를 지낸 뒤 의주목사로 부임하여 변방 수비에 힘썼다. 압록강 연안의 여진족 정벌 때는 도원수의 종사관으로 참여하여 적진의 상황을 정탐하는 큰 공을 세웠으며, 군수 물자 확보와 성곽 보수 등 군비 강화에도 노력을 기울였다.
그 뒤 공조참판, 병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1503년에는 공조참판으로서 명나라에 하정사(賀正使)로 파견되어 연경을 다녀왔다. 1504년에는 평안도관찰사로 부임하였다. 평안감사로 재직할 당시 연산군의 밤 사냥이 백성들에게 끼치는 불편함을 용감하게 직언하였으나, 이 일로 임사홍의 모함을 받아 추국을 당하기도 했다.
이후 연산군 조정에서 이조판서에 임명되었으나, 1506년 이조판서로서 박원종, 성희안, 홍경주 등과 뜻을 모아 중종반정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2. 3. 중종 반정
1506년 초 박원종 등은 김종직의 문하생이었던 류순정과 성희안, 남곤 등에게 사람을 보내 중종 반정에 대한 지지와 협력을 요청했다. 류순정은 할머니인 인수대비를 폭행하여 죽게 하고, 아버지 성종의 후궁 두 명과 이복 동생 두 명을 살해한 연산군의 비윤리적인 행위에 반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성희안과 함께 반정 요청에 적극적으로 호응하여 가담하였다. 그해 중종 반정 당시 병력을 동원하여 반정 성공에 기여했으며, 이후 이조판서와 대사헌을 겸임하였다.1506년 성희안, 박원종과 함께 중종 반정을 성공시킨 공으로 청천군(菁川君)에 봉해지고 숭정대부(崇政大夫)의 품계를 받았다. 이어 정국공신 1등(靖國功臣一等)에 책록되었고, 대광보국숭록대부로 특별히 승진하며 청천 부원군(菁川府院君)에 봉해졌다. 이후 병조판서로서 영경연사(領經筵事)를 겸임하면서 연산군 대에 폐지되었던 경연의 부활을 위해 노력했다. 이어서 우의정에 임명되었고, 다시 병조판서에 임명되어 우의정으로서 병조판서를 겸직하였다. 1507년에는 이과(李顆) 등이 견성군(甄城君)을 왕으로 추대하려던 역모 사건을 적발하고 이를 처리한 공으로 정난공신(定難功臣) 1등관에 책록되었다.
2. 4. 생애 후반
1508년 평안도 경계 지역으로 사람들을 옮겨 살게 하면서 군사력을 키우도록 했고, 같은 해 평안도 인산(麟山)과 강계군에 둔전(屯田)을 설치하여 군수 물자 조달을 강화했다. 이후 좌의정에 임명되었는데, 당시 경기도 인천, 김포, 양천, 통진 일대에 흉년으로 강도가 들끓자 박영문(朴永文)과 유담년(柳聃年)을 포도대장으로 삼아 이들을 소탕하게 했다. 또한 떠돌아다니는 백성들을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안집책(安集策)을 마련하기도 했다.1509년 좌의정으로 재임하던 중 삼포왜란이 일어나자 직접 경상도 도원수로 나가 전쟁을 수습했다. 1510년에는 경오왜변이 다시 일어나자 도체찰사가 되어 군대를 총지휘했으며, 다시 도원수로서 현지에 나아가 삼포(三浦)의 난을 평정하고 각 포구에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한 '비왜방략'(備倭方略)을 마련했다. 그러나 이때 대간들로부터 재산을 늘린다는 이유로 탄핵을 받았지만, 오히려 중종은 그의 군공을 높이 평가했다. 이후 1512년 성희안이 양보함에 따라 의정부 영의정 자리에 올랐다.
하지만 박원종과 성희안 등 다른 공신들의 재산 축적과 권력 남용이 심각했기 때문에, 류순정 자신은 부정부패에 연루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김종직 학파의 다른 동문이나 선후배들은 그를 차갑게 바라보았다. 우의정과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이 된 지 불과 2개월 만인 1512년에 세상을 떠났는데, 사망하기 20여 일 전까지도 조정에 나아가 나랏일을 논의하고 문제점을 살펴 상소를 올리는 등 활동을 멈추지 않았다.
2. 5. 사후
사후 중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처음에는 무안(武安)이라는 시호가 내려졌으나, 나중에 문정(文定)으로 고쳐졌다.3. 가족 관계
- 증조부 : 유이(柳怡)
- * 조부 : 유자해(柳子偕)
- * 조모 : 심온(沈溫)의 딸
- ** 아버지 : 유양(柳壤)
- ** 어머니 : 정집(鄭集)의 딸
'''본인''' : '''류순정'''(柳順汀)
부인 : 권효충(權孝忠)의 딸
* 장남 : 유홍(柳泓)
** 며느리 : 조세헌(趙世獻)의 딸
*** 손자 : 유사필(柳師弼)
** 며느리 : 이계남(李季男)의 딸
*** 손녀 : 홍섬(洪暹)에게 출가
*** 손녀 : 해안군(海安君) 이희(李㟓)에게 출가
** 며느리 : 측실
*** 손자 : 유사량(柳師良)
*** 손자 : 유사안(柳師顔)
*** 손자 : 유사건(柳師騫)
*** 손자 : 유사성(柳師聖)
* 차남 : 유자(柳滋)
후처 : 최씨(崔氏) - 상인 최미동(崔彌同)의 손녀[5]
* 서자 : 유연(柳漣)
* 서자 : 유위(柳湋)
* 서자 : 유항(柳沆)
* 서자 : 유변(柳汴)
4. 관련 작품
(내용 없음)
4. 1. 드라마
5. 기타
흔히 훈구파로 잘못 알려져 왔으나, 그는 비훈구파 계열 공신이었다. 사림파 계열 정치인으로는 처음으로 공신에 책록된 인물 중 한 사람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Ryu Sunjeong: Korean historical person's information
http://people.aks.ac[...]
[2]
웹사이트
Ryu Sunjeong
http://100.naver.com[...]
[3]
웹사이트
Ryu Sunjeong
http://100.naver.com[...]
[4]
서적
류순정의 묘지명
국조인물고·속고 권1
[5]
서적
중종실록
중종실록
1511-1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