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큐 열도 미국민정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류큐 열도 미국민정부(USCAR)는 1945년 오키나와 전투 이후 미군이 류큐 열도를 통치하기 위해 설립한 기구이다. 군정에서 민정으로 전환되어 1950년 공식 출범했으며, 미국의 군사력 하에 류큐 정부를 감시하고 결정 무효화 권한을 가졌다. 1957년 고등판무관제가 도입되어 현역 군인이 최고 책임자가 되었으며, 1972년 오키나와가 일본에 반환될 때까지 유지되었다. USCAR는 교육, 언어, 생활 방식 등 류큐 사회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모두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통치하의 류큐 - 오키나와 반환
오키나와 반환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미국의 통치 하에 있던 오키나와현이 1972년 5월 15일 일본에 복귀한 사건으로, 냉전 시대 미국의 군사적 요충지 활용과 오키나와 주민의 복귀 운동, 일본 정부의 외교적 노력이 결합하여 이루어졌으나, 미군 기지 문제와 경제적 격차 등의 과제가 남아있고 복귀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존재한다. - 미국 통치하의 류큐 - 류큐사령부
류큐사령부는 1946년 오키나와섬과 이에섬 사령부를 통합하여 창설된 미국 육군 부대로, 류큐 열도 미국군정부 및 미국민정부 역할을 수행하다가 1972년 류큐 열도가 일본에 반환되면서 해산되었다. - 1972년 폐지 - 대한민국 제3공화국
대한민국 제3공화국은 5·16 군사정변 이후 수립된 박정희 정부로,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하며 경공업 중심의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1972년 유신으로 해체되었다. - 1972년 폐지 - 부령군
부령군은 함경산맥을 비롯한 산악 지형으로 이루어져 고성산이 최고봉이며, 수성천이 청진시로 흘러들고, 희귀 동물이 서식하며, 고구려, 발해, 고려, 조선 시대에 걸쳐 분쟁 지역이었고, 세종 때 6진 중 하나인 영북진이 설치되었으며, 현재 1읍 3구 5리로 구성되어 철공업, 광공업, 전기 발전이 주요 산업이고, 함북선과 무산선이 지나는 지역이다. - 1952년 설립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1952년 설립 - 용산기지
용산기지는 서울 용산구에 위치했던 주한미군 사령부였으며, 기지 부지는 서울시에 단계적으로 반환될 예정이며 공원 조성 계획이 추진 중이다.
류큐 열도 미국민정부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류큐 열도 미국민정부 |
원어 명칭 | ja: 琉球列島米国民政府 (류큐 렛토 베이코쿠 민세이후) oki: Rūcū ʔAmirika Minhyōjōju |
약칭 | USCAR |
위치 | 오키나와현 |
수도 | 나하시 |
공용어 | 일본어 영어 류큐어 |
민족 | 오키나와인 일본인 미국인 |
통화 | B 엔 (1948년 7월 – 1958년 9월) 미국 달러 (1958년 – 1972년) |
지도 | |
![]() | |
역사 | |
주요 사건 | Civil Administration (1950년 12월 15일) 일본 반환 (1972년 5월 15일) |
이전 | 미군정 (1945년 6월 22일) |
이후 | 오키나와현 |
정치 | |
정치 체제 | 군정 |
미국 대통령 | 해리 S. 트루먼 (1950–1953) 리처드 닉슨 (1969–1972) |
총독 | 더글러스 맥아더 (1950–1951) 라이먼 렘니처 (1955–1957) |
고등판무관 | 제임스 에드워드 무어 (1957–1958) 제임스 벤자민 램퍼트 (1968–1972) |
상징 | |
![]() | |
![]() | |
국가 | The Star-Spangled Banner |
2. 역사
1945년 4월, 미군의 오키나와 전투 상륙과 함께 류큐 열도 미국군정부United States Military Government of the Ryukyu Islands영어가 설립되었다.[13] 1950년 12월 15일, 군정에서 민정으로 개편되어 류큐 열도 미국민정부(USCAR)가 공식 출범했다.[13] USCAR는 미국의 군사력 하위 조직으로, 류큐 정부를 감시하고 류큐 정부의 결정을 무효화할 수 있는 권한을 가졌다.[6]
USCAR의 역사는 미국 국립 문서 기록 관리청(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3]
> 항복 문서가 1945년 9월 2일 서명된 이후, 류큐 열도는 1945년 9월 21일부터 1946년 6월 30일까지 해군부에 의해 관리되었으며, 오키나와 해군 기지 사령관은 미국 태평양 함대 사령관의 권한 하에 최고 군정관으로 활동했다. 해군부에서 육군부로의 행정 이전은 1946년 3월 5일 합동 참모 본부(JCS) 819/11의 승인에 따라 합동 참모 본부(JCS)의 승인을 받았으며, 1946년 3월 22일 JCS 819/12의 추가 조항이 첨부되었다. 태평양 미 육군 부대 본부(GHQ AFPAC)의 시행 지침에 따라 오키나와 기지 사령부는 1946년 7월 1일부로 서태평양 미 육군 부대 본부의 일반 명령 162호에 의해 류큐 사령부로 재지정되었으며, 군정 부사령관의 지휘 하에 행정을 담당하게 되었다. 류큐 열도는 1946년 7월 1일 - 11월 30일 류큐 사령부, 1946년 12월 1일 - 1948년 7월 31일 필리핀-류큐 사령부, 1948년 8월 1일 - 1950년 12월 15일 류큐 사령부에 의해 차례로 관리되었다. USCAR는 1950년 12월 15일부로 극동 사령부(HQ FEC, 구 GHQ AFPAC)의 지침 AG 091.1 (1950년 12월 5일) RCA, 1950년 12월 5일에 설립되었으며, JCS 각서 SM 2474-50, 1950년 10월 11일, 극동 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에게 1950년 10월 4일 JCS 1231/14에 따라 류큐 열도에 대한 민간 행정을 조직하도록 지시했다. USCAR는 육군부(구 육군부)의 지휘 하에 1950-71년까지 계속 운영되었다. 류큐 열도의 아마미 제도군은 1953년 12월 24일 서명되어 1953년 12월 25일에 발효된 아마미 제도에 관한 미국과 일본 간의 협정에 의해 일본으로 반환되었다. USCAR는 1971년 6월 17일 서명되어 1972년 5월 15일 발효된 류큐 열도 및 다이토 제도에 관한 미국과 일본 간의 협정에 의해 폐지되었으며, 이 협정에 따라 오키나와 제도군을 포함한 류큐 열도의 나머지 제도군이 일본으로 반환되었다.
겉으로는 민정부였지만, 핵심 요직은 주로 육군 군인들이 차지했다. 민정부의 최고 책임자인 민정장관은 미 극동군총사령관을 겸했기 때문에 실질적인 행정은 류큐군사령관 겸 민정부장관이 담당했다.
1957년 6월 5일,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대통령 행정명령 10713류큐 열도 고등변무관/Executive Order 10713, "Providing For Administration of the Ryukyu Islands"}}을 통해 고등판무관제를 도입했다. 이 명령에 따라 미국 국방장관이 국무장관에게 자문한 후 대통령의 승인을 받아 현역 군인 중에서 고등판무관을 선임하여 류큐 열도의 최고 책임자로 임명했다. 1972년 오키나와가 일본에 반환될 때까지 총 6명의 미국 육군 중장이 고등판무관을 역임했다. 역대 고등판무관은 다음과 같다.
# 제임스 E. 무어 육군 중장 (민정 부차관에서 유임)
# 도널드 P. 부스 육군 중장
# 폴 W. 캐러웨이 육군 중장
# 앨버트 왓슨 2세 육군 중장
# 페르디난드 T. 앤거 육군 중장
# 제임스 B. 램퍼트 육군 중장
{{참고영어
1962년 3월 19일에는 케네디 대통령의 서명으로 대통령 행정명령 11010이 시행되어 행정명령 10713이 개정되었다. 이 개정으로 고등판무관의 지휘 하에 오키나와 내 민사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민정관’을 군인 대신 문관으로 임명할 수 있게 되었다.
1971년 오키나와 반환 협정이 6월 17일에 체결된 후, 1972년 5월 15일에 오키나와의 통제권이 일본으로 반환되면서,[9] 류큐 열도 미국 민정부는 폐지되었다.
1969년 7월 25일에는 우라소에 촌의 민정부 청사에 과격파 학생들이 침입하는 미국 민정부 난입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미국 해군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오키나와 전투 이후, 오키나와 열도를 처음 관리했고, 나머지 세 개 열도군은 육군 통제하에 들어갔다.[4] 1945년 7월 18일, 해군은 태평양 미 육군 부대(AFPAC)로 통제권을 이양했지만, 9월 21일 다시 통제권을 획득하여 류큐 열도 미국 군정청을 조직했다.[4] 1946년 7월 1일, 미국 육군은 통제권을 되찾아 이전의 오키나와 기지 사령부에서 류큐 사령부를 조직했다. 1947년 1월 1일, AFPAC는 극동 사령부로 재편되었다. 군정 기구를 포함한 통합 류큐 사령부는 도쿄에 있는 극동 사령부(GHQ FECOM) 본부의 지휘를 받았다.
1952년 4월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이 발효되면서, 류큐 열도는 일시적으로 미국 연방 정부의 행정 하에 놓였다. 그러나 최종적인 주권은 일본에 있었다.[5]
1948년부터 1958년까지 공식 통화는 B 엔이었고, 이후 미국 달러가 통용되었다.[7] USCAR는 류큐 우표와 여권을 발행했으며, 차량은 일본 본토와 달리 우측 통행을 했다. 1978년에 일본과 보조를 맞추기 위해 좌측 통행으로 전환했다.
2. 1. 설립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미군은 오키나와에 상륙하며 1945년 4월 1일 류큐 열도 미국군정부United States Military Government of the Ryukyu Islands영어를 설립했다.[13]1946년 7월 1일, 류큐 열도에 대한 통치 권한이 해군에서 육군으로 이관되었다.
미국 국립 문서 기록 관리청(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에 따르면, 류큐 열도는 1945년 9월 21일부터 1946년 6월 30일까지 해군부에 의해 관리되었으며, 오키나와 해군 기지 사령관이 미국 태평양 함대 사령관의 권한 하에 최고 군정관으로 활동했다.[3]
1950년 12월 15일, 미군은 오키나와의 장기적인 통치를 위해 군정에서 민정으로 통치 형태를 변경했다.[13]
1952년 4월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이 발효됨에 따라 류큐 열도는 일시적으로 미국 연방 정부의 행정 하에 놓였으나, 최종적인 주권은 일본에 있었다.[5]
1957년 6월 5일, 민정부의 수장이 고등판무관으로 변경되었다.[13]
2. 2. 민정부 출범
1945년 4월 미군의 오키나와 전투 상륙과 동시에 류큐 열도 미국군정부United States Military Government of the Ryukyu Islands영어가 설립되었다.[13] 4년 후인 1950년 12월 15일, 군정에서 민정으로 개편되어 류큐 열도 미국민정부가 공식 출범했다.[13]미국 국립 문서 기록 관리청(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은 USCAR의 역사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3]
> 항복 문서가 1945년 9월 2일 서명된 이후, 류큐 열도는 1945년 9월 21일부터 1946년 6월 30일까지 해군부에 의해 관리되었으며, 오키나와 해군 기지 사령관은 미국 태평양 함대 사령관의 권한 하에 최고 군정관으로 활동했다. 해군부에서 육군부로의 행정 이전은 1946년 3월 5일 합동 참모 본부(JCS) 819/11의 승인에 따라 합동 참모 본부(JCS)의 승인을 받았으며, 1946년 3월 22일 JCS 819/12의 추가 조항이 첨부되었다. 태평양 미 육군 부대 본부(GHQ AFPAC)의 시행 지침에 따라 오키나와 기지 사령부는 1946년 7월 1일부로 서태평양 미 육군 부대 본부의 일반 명령 162호에 의해 류큐 사령부로 재지정되었으며, 군정 부사령관의 지휘 하에 행정을 담당하게 되었다. 류큐 열도는 1946년 7월 1일 - 11월 30일 류큐 사령부, 1946년 12월 1일 - 1948년 7월 31일 필리핀-류큐 사령부, 1948년 8월 1일 - 1950년 12월 15일 류큐 사령부에 의해 차례로 관리되었다. USCAR는 1950년 12월 15일부로 극동 사령부(HQ FEC, 구 GHQ AFPAC)의 지침 AG 091.1 (1950년 12월 5일) RCA, 1950년 12월 5일에 설립되었으며, JCS 각서 SM 2474-50, 1950년 10월 11일, 극동 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에게 1950년 10월 4일 JCS 1231/14에 따라 류큐 열도에 대한 민간 행정을 조직하도록 지시했다. USCAR는 육군부(구 육군부)의 지휘 하에 1950-71년까지 계속 운영되었다. 류큐 열도의 아마미 제도군은 1953년 12월 24일 서명되어 1953년 12월 25일에 발효된 아마미 제도에 관한 미국과 일본 간의 협정에 의해 일본으로 반환되었다. USCAR는 1971년 6월 17일 서명되어 1972년 5월 15일 발효된 류큐 열도 및 다이토 제도에 관한 미국과 일본 간의 협정에 의해 폐지되었으며, 이 협정에 따라 오키나와 제도군을 포함한 류큐 열도의 나머지 제도군이 일본으로 반환되었다.
명칭은 민정부였지만, 핵심 포스트에는 주로 육군 군인들이 배치되었으며, 최고 책임자인 민정장관이 미 극동군총사령관을 겸했기 때문에 실제로 현지 행정을 주로 담당한 것은 류큐군사령관 겸 민정부장관이었다.
1957년 6월 5일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서명으로 대통령 행정명령 10713Executive Order 10713, "Providing For Administration of the Ryukyu Islands"영어이 시행되면서 고등판무관제가 실시되었다. 이에 따라 미국 국방장관이 국무장관에게 자문한 후 대통령의 승인을 받아 현역 군인 중에서 선임하는 고등판무관이 최고 책임자가 되었다. 이후 1972년 오키나와의 일본 반환까지 총 6명의 미국 육군 중장이 고등판무관을 역임했다. 1962년 3월 19일 케네디 대통령의 서명으로 대통령 행정명령 11010의 시행으로 행정명령 10713이 개정되어, 고등판무관의 지휘 하에 오키나와 내 민사행정업무를 주로 담당해왔던 ‘민정관’을 군인 대신 문관으로 임명하게 되었다.
1945년 7월 18일, 미국 해군은 태평양 미 육군 부대(AFPAC)로 통제권을 이양했지만, 9월 21일, 다시 통제권을 획득하여 류큐 열도 미국 군정청을 조직했다.[4] 1946년 7월 1일, 미국 육군은 통제권을 되찾아 이전의 오키나와 기지 사령부에서 류큐 사령부를 조직했다. 1947년 1월 1일, AFPAC는 극동 사령부로 재편되었다. 군정 기구를 포함한 통합 류큐 사령부는 도쿄에 있는 극동 사령부 (GHQ FECOM) 본부의 지휘를 받았다.
1952년 4월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이 발효되면서, 류큐 열도는 일시적으로 미국 연방 정부의 행정 하에 놓였다. 그러나 최종적인 주권은 일본에 있었다.[5] USCAR는 미국의 군사력의 하위 조직이었으며, 원주민 류큐 정부를 감시하고 류큐 정부가 내린 모든 결정을 무효화할 수 있었다.[6]
공식 통화는 1948년부터 1958년까지 B 엔이었고, B 엔이 폐지되고 미국 달러가 사용되었다.[7] 정부는 류큐 우표와 여권을 발행했다. 자동차는 일본 본토와 달리 우측 통행을 했다. 1978년에는 일본과 보조를 맞추기 위해 좌측 통행으로 전환했다.
2. 3. 고등판무관 체제
1957년 6월 5일,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대통령 행정명령 10713을 통해 류큐 열도에 고등판무관제를 도입했다. 이 명령에 따라 미국 국방장관은 국무장관에게 자문한 후 대통령의 승인을 받아 현역 군인 중에서 고등판무관을 선임하여 류큐 열도의 최고 책임자로 임명했다. 1972년 오키나와가 일본에 반환될 때까지 총 6명의 미국 육군 중장이 고등판무관을 역임했다.1962년 3월 19일에는 케네디 대통령의 서명으로 대통령 행정명령 11010이 시행되어 행정명령 10713이 개정되었다. 이 개정으로 고등판무관의 지휘 하에 오키나와 내 민사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민정관’을 군인 대신 문관으로 임명할 수 있게 되었다.
역대 고등판무관은 다음과 같다.
# 제임스 E. 무어 육군 중장 (민정 부차관에서 유임)
# 도널드 P. 부스 육군 중장
# 폴 W. 캐러웨이 육군 중장
# 앨버트 왓슨 2세 육군 중장
# 페르디난드 T. 앤거 육군 중장
# 제임스 B. 램퍼트 육군 중장[13]
2. 4. 오키나와 반환
1971년 오키나와 반환 협정이 6월 17일에 체결된 후, 1972년 5월 15일에 오키나와의 통제권이 일본으로 반환되었고,[9] 류큐 열도 미국 민정부는 폐지되었다. 1945년 4월 1일, 미군이 오키나와 전투에서 오키나와 본섬에 상륙한 날 류큐 열도 미국군정부가 설립되었고,[13] 1946년 7월 1일 해군에서 육군으로 권한이 이관되었다. 1950년 12월 15일, 미군의 장기적인 통치를 위해 군정부에서 민정부로 개편되었으며,[13] 1957년 6월 5일에는 민정부의 수장이 고등변무관이 되었다.[13] 1969년 7월 25일에는 우라소에 촌의 민정부 청사에 과격파 학생이 침입하는 미국 민정부 난입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2. 5. 주요 사건
1969년 7월 25일, 미국 민정부에 난입하는 사건이 발생했다.제2차 세계 대전의 오키나와 전투 이후, 미국 해군은 처음에는 오키나와 열도를 관리했고, 나머지 세 개 열도군은 육군 통제하에 들어갔다.[4] 1945년 7월 18일, 해군은 태평양 미 육군 부대(AFPAC)로 통제권을 이양했지만, 9월 21일, 다시 통제권을 획득하여 류큐 열도 미국 군정청을 조직했다.[4] 마침내 1946년 7월 1일, 육군은 통제권을 되찾아 이전의 오키나와 기지 사령부에서 류큐 사령부를 조직했다. 1947년 1월 1일, AFPAC는 극동 사령부로 재편되었다. 군정 기구를 포함한 통합 류큐 사령부는 도쿄에 있는 극동 사령부 (GHQ FECOM) 본부의 지휘를 받았다.
미국 국립 문서 기록 관리청(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은 USCAR의 역사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3] 항복 문서가 1945년 9월 2일 서명된 이후, 류큐 열도는 1945년 9월 21일부터 1946년 6월 30일까지 해군부에 의해 관리되었으며, 오키나와 해군 기지 사령관은 미국 태평양 함대 사령관의 권한 하에 최고 군정관으로 활동했다. 해군부에서 육군부로의 행정 이전은 1946년 3월 5일 합동 참모 본부(JCS) 819/11의 승인에 따라 합동 참모 본부(JCS)의 승인을 받았으며, 1946년 3월 22일 JCS 819/12의 추가 조항이 첨부되었다. 태평양 미 육군 부대 본부(GHQ AFPAC)의 시행 지침에 따라 오키나와 기지 사령부는 1946년 7월 1일부로 서태평양 미 육군 부대 본부의 일반 명령 162호에 의해 류큐 사령부로 재지정되었으며, 군정 부사령관의 지휘 하에 행정을 담당하게 되었다. 류큐 열도는 1946년 7월 1일 - 11월 30일 류큐 사령부, 1946년 12월 1일 - 1948년 7월 31일 필리핀-류큐 사령부, 1948년 8월 1일 - 1950년 12월 15일 류큐 사령부에 의해 차례로 관리되었다. USCAR는 1950년 12월 15일부로 극동 사령부(HQ FEC, 구 GHQ AFPAC)의 지침 AG 091.1 (1950년 12월 5일) RCA, 1950년 12월 5일에 설립되었으며, JCS 각서 SM 2474-50, 1950년 10월 11일, 극동 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에게 1950년 10월 4일 JCS 1231/14에 따라 류큐 열도에 대한 민간 행정을 조직하도록 지시했다. USCAR는 육군부(구 육군부)의 지휘 하에 1950-71년까지 계속 운영되었다. 류큐 열도의 아마미 제도군은 1953년 12월 24일 서명되어 1953년 12월 25일에 발효된 아마미 제도에 관한 미국과 일본 간의 협정에 의해 일본으로 반환되었다. USCAR는 1971년 6월 17일 서명되어 1972년 5월 15일 발효된 류큐 열도 및 다이토 제도에 관한 미국과 일본 간의 협정에 의해 폐지되었으며, 이 협정에 따라 오키나와 제도군을 포함한 류큐 열도의 나머지 제도군이 일본으로 반환되었다.
1952년 4월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이 발효되면서, 류큐 열도는 일시적으로 미국 연방 정부의 행정 하에 놓였다. 그러나 최종적인 주권은 일본에 있었다.[5] USCAR는 미국의 군사력의 하위 조직이었으며, 원주민 류큐 정부를 감시하고 류큐 정부가 내린 모든 결정을 무효화할 수 있었다.[6]
공식 통화는 1948년부터 1958년까지 B 엔이었고, B 엔이 폐지되고 미국 달러가 사용되었다.[7] 정부는 류큐 우표와 여권을 발행했다. 자동차는 일본 본토와 달리 우측 통행을 했다. 1978년에는 일본과 보조를 맞추기 위해 좌측 통행으로 전환했다.
3. 정부 형태
류큐 열도 미국민정부의 정부 형태는 시기에 따라 변화했다. 1950년에는 민정장관(民政長官) 직위가 신설되었고, 1957년에는 류큐 열도 고등변무관(琉球列島高等弁務官)으로 대체되어 1972년까지 존속했다.
1952년 당시의 조직 구조는 다음과 같았다. 민정장관(Governor) 아래 민정부장관(Deputy Governor)이 있었고, 그 아래 민정관(Civil Administrator)과 부민정관(Deputy Civil Administrator), 행정관(Executive Officer)이 있었다. 민정관 산하에는 총무과(Administrative Section), 통계과(Programs & Statistics Section), 재정부(Finance Department), 경제부(Economics Department), 통신부(Communications Department), 민간 정보 교육부(Civil Information & Education Department), 보급부(Supply Department), 공익 사업부(Public Services Department), 공중 위생 복지부(Public Health & Welfare Department), 행정 법무부(Government & Legal Department), 미야코 민정관부(Miyako Civil Administration Team), 야에야마 민정관부(Yaeyama Civil Administration Team), 아마미 민정관부(Amami Civil Administration Team) 등이 있었다.
1958년에는 고등변무관(High Commissioner) 아래 수석 민정관실(Office of Civil Administrator)이 있었으며, 그 아래 섭외실(Liaison Office), 섭외보도국(Office of Public Information), 총무부(Office of Administrative Services), 재정부(Finance Department), 법제법무부(Legislative & Legal Department), 경제개발부(Economic Development Department), 사법부(Judicial Department), 보안부(Public Safety Department), 교육부(Education Department), 공중위생복지부(Public Health & Welfare Department), 노동부(Labor Department), 미야코 민정관부(Miyako Civil Administration Team), 야에야마 민정관부(Yaeyama Civil Administration Team) 등이 있었다.
3. 1. 민정장관 및 고등판무관
1950년에는 민정장관(民政長官) 직위가 신설되었고, 1957년에는 류큐 열도 고등변무관(琉球列島高等弁務官)으로 대체되어 1972년까지 존속했다.다음은 류큐 열도 미국 민정부의 주요 수장 목록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류큐 열도 미국 민정부 미국 행정관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더글러스 맥아더 육군 원수
- 매슈 리지웨이 육군 중장
- 마크 W. 클라크 육군 대장
- 존 에드윈 헐(John E. Hull) 육군 대장
- 맥스웰 D. 테일러 육군 대장
- 라일먼 L. 렘니처 육군 대장
- 로버트 S. 비트러(Robert S. Bitner) 육군 소장
- 해리 B. 셔먼(Harry B. Sherman) 육군 준장
- 로버트 S. 비트러 육군 소장
- 데이비드 A. D. 오그덴(David A. D. Ogden) 육군 소장
- 제임스 E. 무어 육군 중장
류큐 열도 고등변무관
- 제임스 E. 무어 육군 중장 (민정 부차관에서 유임)
- 도널드 P. 부스 육군 중장
- 폴 W. 캐러웨이 육군 중장
- 앨버트 왓슨 2세 육군 중장
- 페르디난드 T. 앤거 육군 중장
- 제임스 B. 램퍼트 육군 중장
3. 2. 조직 구조
1950년에는 민정 장관(民政長官) 직위가 신설되었고, 1957년에는 류큐 열도 고등변무관(琉球列島高等弁務官)으로 대체되어 1972년까지 존속했다.1952년 당시 조직 구조는 다음과 같았다.
- 민정 장관(Governor) - 민정 부장관(Deputy Governor)
- * 민정관(Civil Administrator) - 부 민정관(Deputy Civil Administrator), 행정관(Executive Officer)
- ** 총무과(Administrative Section)
- ** 통계과(Programs & Statistics Section)
- ** 재정부(Finance Department)
- ** 경제부(Economics Department)
- ** 통신부(Communications Department)
- ** 민간 정보 교육부(Civil Information & Education Department)
- ** 보급부(Supply Department)
- ** 공익 사업부(Public Services Department)
- ** 공중 위생 복지부(Public Health & Welfare Department)
- ** 행정 법무부(Government & Legal Department)
- ** 미야코 민정관부(Miyako Civil Administration Team)
- ** 야에야마 민정관부(Yaeyama Civil Administration Team)
- ** 아마미 민정관부(Amami Civil Administration Team)
1958년 당시 조직 구조는 다음과 같았다.
- 고등변무관(High Commissioner)
- * 수석 민정관실(Office of Civil Administrator)
- ** 섭외실(Liaison Office)
- ** 섭외보도국(Office of Public Information)
- ** 총무부(Office of Administrative Services)
- ** 재정부(Finance Department)
- ** 법제법무부(Legislative & Legal Department)
- ** 경제개발부(Economic Development Department)
- ** 사법부(Judicial Department)
- ** 보안부(Public Safety Department)
- ** 교육부(Education Department)
- ** 공중위생복지부(Public Health & Welfare Department)
- ** 노동부(Labor Department)
- ** 미야코 민정관부(Miyako Civil Administration Team)
- ** 야에야마 민정관부(Yaeyama Civil Administration Team)
3. 2. 1. 1952년 조직 구조
1950년에는 민정장관Minsei Chōkan/民政長官일본어 직위가 신설되었으며, 1957년에는 류큐 열도 고등판무관Ryūkyū-rettō Kōtō-benmukan/琉球列島高等弁務官일본어으로 대체되어 1972년까지 존속했다.1952년 당시 조직 구조는 다음과 같다.
- 민정장관 (Governor) - 민정부장관 (Deputy Governor)
- 민정관 (Civil Administrator) - 부민정관 (Deputy Civil Administrator), 행정관 (Executive Officer)
- 총무과 (Administrative Section)
- 통계과 (Programs & Statistics Section)
- 재정부 (Finance Department)
- 경제부 (Economics Department)
- 통신부 (Communications Department)
- 민간 정보 교육부 (Civil Information & Education Department)
- 보급부 (Supply Department)
- 공익 사업부 (Public Services Department)
- 공중 위생 복지부 (Public Health & Welfare Department)
- 행정 법무부 (Government & Legal Department)
- 미야코 민정관부 (Miyako Civil Administration Team)
- 야에야마 민정관부 (Yaeyama Civil Administration Team)
- 아마미 민정관부 (Amami Civil Administration Team)
3. 2. 2. 1958년 조직 구조
1950년에는 민정장관(民政長官, Minsei Chōkan) 직위가 신설되었고, 1957년에는 류큐 열도 고등변무관(琉球列島高等弁務官, Ryūkyū-rettō Kōtō-benmukan)으로 대체되어 1972년까지 존속되었다.고등변무관(High Commissioner) 산하에는 다음과 같은 조직들이 있었다.
- 수석 민정관실(Office of Civil Administrator)
- 섭외실(Liaison Office)
- 섭외보도국(Office of Public Information)
- 총무부(Office of Administrative Services)
- 재정부(Finance Department)
- 법제법무부(Legislative & Legal Department)
- 경제개발부(Economic Development Department)
- 사법부(Judicial Department)
- 보안부(Public Safety Department)
- 교육부(Education Department)
- 공중위생복지부(Public Health & Welfare Department)
- 노동부(Labor Department)
- 미야코 민정관부(Miyako Civil Administration Team)
- 야에야마 민정관부(Yaeyama Civil Administration Team)
4. 상징
류큐 열도 미국민정부 시기에는 미국의 국기를 제외한 다른 모든 국기 게양이 제한되었다.[10] 류큐 정부에 반대하는 시위에서는 히노마루가 사용되기도 했다. 류큐의 민간 선박은 일본이나 미국의 국기 대신 국제신호기의 "D" 기에서 유래한 기를 사용했다. 1967년에는 "류큐"와 "琉球"라는 문구가 새겨진 삼각형 깃발 아래 히노마루로 변경되었다.[11][12]
4. 1. 국기
류큐 형법은 미국의 국기를 제외한 모든 국기의 게양을 제한했다.[10] 류큐 정부에 반대하는 시위대는 히노마루(일본의 국기)를 게양했다. 류큐의 민간 선박은 일본 또는 미국의 기 대신 국제 해상 신호기의 "D" 기에서 파생된 기를 사용했다. 이 기는 1967년에 "류큐"와 "琉球"(류큐의 일본어)라고 적힌 삼각형 깃발 아래 히노마루로 변경되었다.[11][12]Seal of High Commissioner of the Ryukyu Islands.svg |류큐 열도 민정관 인장
Seal of High Commissioner of the Ryukyu Islands.svg |류큐 열도 고등변무관청 (혹은 류큐 열도 미국 국민정부) 로고
4. 2. 문장
5. 청사 변천
류큐 열도 미국민정부 청사는 시대에 따라 여러 곳으로 이전했다.
1945년 4월 1일, 미군은 오키나와섬에 상륙하며 체스터 니미츠 태평양 함대 사령관의 포고에 따라 군정을 선언하고, 요미탄촌 히자에 군정부를 설립했다. 이곳에서 피난민 수용과 수용소 관리·운영 등이 이루어졌다. 오키나와 전투가 끝난 후, 미군 정부는 구시카와촌 에노비(현재 우루마시 에노비)로 이전했다.
1946년 10월, 군정부는 타마구스쿠촌 친케이바루(현재 난조시)의 지넨 보급 지구로 옮겨갔다. 4월 24일, 이시카와시 히가시온나(현재 우루마시 히가시온나)에 발족한 오키나와 민정부 또한 인접한 사시키촌 신자토(난조시 사시키 신자토)의 신자토 통신소로 이전했다.
1949년 7월 25일, 오키나와 민정부는 나하시 구메의 구 우에야마 국민학교(구 나하 심상 소학교)로 이전한 후, 곧바로 인접한 구 텐피 국민학교로 이전했다. 12월에는 미군 정부가 나하시 구메의 구 우에야마 국민학교로 이전했고, 당시 군정부 장관 시츠 소장은 나하시를 오키나와의 수도로 발표했다[14]. 1950년 12월 15일, 군정부의 명칭은 미 국민 정부로 변경되었고, 장기 통치 단계로 접어들었다.
1953년 4월 28일, 현재 오키나와현청이 위치한 나하시 이즈미자키에 류큐 정부 행정 빌딩이 완공되면서 미 국민 정부는 건물의 상층(3층, 4층)으로 이전했고, 하층에는 1952년 4월 1일 발족한 류큐 정부가 입주했다.
1968년 1월 8일, 미 국민 정부는 우라소에촌(후에 우라소에시) 코완의 마키미나토 보급 지구로 이전하며 마지막 청사 이전을 맞이했다.
5. 1. 초기 청사
1945년 4월 1일, 오키나와 섬에 상륙한 미군은 체스터 니미츠가 발표한 니미츠 포고(미국 해군 군정부 포고 제1호 "권한의 정지")에 의해 군정을 선언하고, '''요미탄촌 히자'''에 군정부를 설립했다. 군정부는 피난민 수용과 수용소의 관리·운영 등을 실시했다. 오키나와 전투 종결 후, 미군 정부는 '''구시카와촌 에노비'''(현 우루마시)로 이전했다.
1946년 10월, 군정부는 '''타마구스쿠촌 친케이바루'''(현 난조시)의 지넨 보급 지구로 이전했다. 4월 24일에 이시카와시 히가시온나(현 우루마시 히가시온나)에 발족한 오키나와 민정부도 인접한 사시키촌 신자토(난조시 사시키 신자토)의 신자토 통신소로 이전했다.
1949년 7월 25일, 오키나와 민정부가 먼저 나하시 구메의 구 우에야마 국민학교(구 나하 심상 소학교)로 이전하고, 곧바로 인접한 구 텐피 국민학교로 이전했다. 이에 따라, 미군 정부가 12월에 '''나하시 구메'''의 구 우에야마 국민학교로 이전하고, 군정부 장관 시츠 소장은 나하시가 오키나와의 수도가 될 것을 발표했다[14].
1950년 12월 15일, 군정부의 이름이 폐지되어 미 국민 정부가 되었다.
1953년 4월 28일, 현 오키나와현청 소재지인 '''나하시 이즈미자키'''에 류큐 정부 행정부 빌딩이 완공되자, 미 국민 정부는 상층(3층·4층)으로, 하층에는 1952년 4월 1일에 발족한 류큐 정부가 이전했다.
1968년 1월 8일, 미 국민 정부는 우라소에시 코완의 마키미나토 보급 지구로 옮겨, 마지막 청사 이전이 되었다.
5. 2. 나하시 시대
1949년 7월 25일, 오키나와 민정부가 먼저 나하시 구메의 구 우에야마 국민학교(구 나하 심상 소학교)로 이전하고, 곧바로 인접한 구 텐피 국민학교로 이전했다. 이에 따라 미군 정부가 12월에 나하시 구메의 구 우에야마 국민학교로 이전하고, 군정부 장관 시츠 소장은 나하시가 오키나와의 수도가 될 것을 발표했다[14]。1953년 4월 28일, 현재 오키나와현청 소재지인 나하시 이즈미자키에 류큐 정부 행정 빌딩이 완공되자, 미 국민 정부는 상층(3층·4층)으로, 또한 하층에는 1952년 4월 1일에 발족한 류큐 정부가 이전했다.
5. 3. 우라소에촌 시대
1968년 1월 8일, 미 국민 정부는 우라소에촌(후의 우라소에시) 코완의 마키미나토 보급 지구로 이전했다. 이는 미 국민 정부의 마지막 청사 이전이었다.6. 평가 및 영향
류큐 열도 미국민정부(USCAR)는 1945년 미군의 오키나와 상륙 이후 수립된 오키나와 미국군정부의 후신으로, 류큐 열도를 통치했다. 명칭은 민정부였지만, 핵심 포스트는 주로 미군 장교들이 차지했으며, 최고 책임자인 민정장관은 미 극동군총사령관이 겸임했다. 실질적인 행정은 류큐군사령관 겸 민정부장관이 담당했다.
1957년에는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행정명령 10713호에 따라 고등판무관제가 실시되어, 미국 국방장관이 국무장관과 협의 후 대통령의 승인을 받아 임명된 현역 군인 출신 고등판무관이 최고 책임자가 되었다. 1972년 오키나와가 일본에 반환될 때까지 총 6명의 미국 육군 중장이 고등판무관을 역임했다. 1962년에는 케네디 대통령의 행정명령 11010호에 따라 민정관 자리에 군인 대신 문관이 임명되었다.
USCAR은 류큐 사회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교육 분야에서는 미국식 교육 시스템이 도입되어 영어 교육이 강화되었고, 미국 문화와 역사를 강조했다. 언어적으로는 일본어 사용이 억제되고 영어가 장려되었으며, 류큐어 사용은 점차 줄어들었다. 생활 방식에서도 미국식 소비 문화가 확산되어 서구식 의류, 음식, 가전제품 등이 선호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류큐인들의 정체성 혼란을 야기했고, 류큐 독립 운동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USCAR 통치 기간 동안 류큐인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에 대해 깊이 고민하게 되었다.
한편, 미국은 류큐 열도를 군사적으로 중요한 요충지로 여겨, 주민들의 민주적 권리보다 군사적 목적을 우선시했다. 이는 주민들의 자치권을 제한하고, 미국의 정책에 대한 비판을 억압하는 결과를 낳았다.
미군은 류큐 열도에 기지를 건설하고 확장하면서 오키나와 주민들의 토지를 강제 수용했다. 이 과정에서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주민들의 생계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다. 또한 미군 기지 주변 지역은 소음, 환경 오염, 범죄 등으로 인해 주민들의 삶의 질이 저하되었다. 언론, 출판, 집회, 결사의 자유도 제한되었으며, 미국의 정책에 대한 비판적인 보도는 검열되었고, 반미 시위는 강경 진압되었다. 이는 류큐 주민들의 민주적 권리를 침해하고, 정치적 불만을 야기했다. 미군들의 오키나와 주민 폭행이나 성폭행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했음에도 처벌은 미흡했으며, 류큐 주민들에 대한 차별과 부당한 대우는 반미 감정을 고조시키고 독립 운동을 촉발하는 요인이 되었다.
6. 1. 긍정적 평가
미국은 류큐 열도에 상당한 원조와 투자를 제공하여 경제 발전을 촉진했다. 특히 기간 시설 건설과 산업 육성에 집중적인 지원이 이루어졌다. 또한, 미국의 통치하에 교육 시스템이 개선되어 더 많은 주민들이 교육을 받을 기회를 얻었다. 이는 장기적으로 류큐 사회의 발전과 인재 양성에 기여했다.6. 2. 부정적 평가
미국은 류큐 열도를 군사적으로 전략적 요충지로 여겨, 주민들의 민주적 권리보다 군사적 목적을 우선시했다. 이는 주민들의 자치권을 제한하고, 미국의 정책에 대한 비판을 억압하는 결과를 낳았다.미국은 류큐 열도에 미군 기지를 건설하고 확장하면서 오키나와 주민들의 토지를 강제 수용했다. 이 과정에서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주민들의 생계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다. 또한 미군 기지 주변 지역은 소음, 환경 오염, 범죄 등으로 인해 주민들의 삶의 질이 저하되었다.
미국은 류큐 열도에서 언론, 출판, 집회, 결사의 자유를 제한했다. 미국의 정책에 대한 비판적인 보도는 검열되었고, 반미 시위는 강경 진압되었다. 이는 류큐 주민들의 민주적 권리를 침해하고, 정치적 불만을 야기했다.
미국은 류큐 열도에서 인권 침해 행위를 저질렀다. 미군들은 오키나와 주민들을 폭행하거나 성폭행하는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했고, 이에 대한 처벌은 미흡했다. 또한 미국은 류큐 주민들을 차별하고, 부당한 대우를 했다. 이는 류큐 주민들의 반미 감정을 고조시키고, 독립 운동을 촉발하는 요인이 되었다.
6. 3. 사회문화적 영향
류큐 열도 미국민정부(USCAR)는 류큐 사회와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USCAR은 교육, 언어, 생활 방식 등 다양한 측면에서 류큐 사회를 변화시켰다.교육 분야에서 USCAR은 미국식 교육 시스템을 도입했다. 류큐의 학교에서는 영어가 필수 과목이 되었고, 미국 문화와 역사를 가르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교육 정책은 류큐 젊은이들의 사고방식과 가치관에 큰 영향을 미쳤다.
언어 측면에서 USCAR은 일본어 사용을 억제하고 영어를 장려했다. 공문서와 공식 석상에서 영어 사용이 늘어났고, 류큐어 사용은 점차 줄어들었다. 이는 류큐어의 위기를 초래했고, 류큐인들의 정체성 혼란을 야기했다.
생활 방식에서도 USCAR의 영향은 뚜렷하게 나타났다. 미국식 소비 문화가 확산되면서 류큐인들은 서구식 의류, 음식, 가전제품 등을 선호하게 되었다. 또한, 미국식 대중문화가 유입되면서 류큐의 전통 문화는 점차 쇠퇴해갔다.
USCAR 통치 기간 동안 류큐인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에 대해 깊이 고민하게 되었다. 일본인도 아니고 미국인도 아닌, 류큐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어떻게 확립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러한 고민은 류큐 독립 운동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USCAR의 사회문화적 영향은 류큐 사회에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동시에 가져다주었다. 서구 문물을 받아들이면서 류큐 사회는 근대화되었지만, 전통 문화가 쇠퇴하고 정체성 혼란이 심화되는 등 부정적인 영향도 있었다.
오늘날 류큐 사회는 USCAR의 유산과 함께 류큐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류큐어 보존 운동, 전통 문화 계승 운동 등 다양한 노력을 통해 류큐인들은 자신들의 고유한 문화를 지켜나가고 있다.
7. 같이 보기
- 류큐 정부
- 류큐 열도
- 오키나와현
- 가데나 공군 기지
- 낸시린 연구소
- 류큐 독립운동
참조
[1]
문서
[2]
웹사이트
Handover of Okinawa to Japan was prickly issue
https://www.japantim[...]
2021-02-13
[3]
웹사이트
Records of U.S. Occupation Headquarters, World War II
https://www.archives[...]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1995
[4]
서적
[5]
웹사이트
The U.S. Returns Okinawa to Japan, 1971
https://adst.org/201[...]
Association for Diplomatic Studies and Training
2023-06-06
[6]
웹사이트
Rights of Persons Belonging to Minorities - The Issue of Ryukyu and Okinawa
https://imadr.org/wo[...]
2023-03-17
[7]
서적
A History of Economic Science in Japan: The Internationalisation of Economics in the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9-09
[8]
Wikisource
Treaty of San Francisco
[9]
간행물
Agreement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Japan Concerning the Ryukyu Islands and Daito Islands
https://books.google[...]
US Department of State
2016-09-09
[10]
웹사이트
琉球刑法並びに訴訟手続法典(一九五五年) Criminal code of Ryukyu 1955
http://www.ioc.u-tok[...]
2007-12-08
[11]
웹사이트
沖繩船舶旗問題(昭和42年 わが外交の近況) Okinawa Ships issue (Our diplomacy 1967)
http://www.mofa.go.j[...]
2007-12-08
[12]
웹사이트
那覇 泊港?那覇港? 全琉船舶に新船舶旗掲揚 1967年7月1日 All Ryukyuan ships hold new civil ensign at Tomari port or Naha port in Naha, July 1, 1967
https://archive.toda[...]
2007-12-08
[13]
서적
[14]
웹사이트
米国民政府跡(ベイコクミンセイフアト):那覇市歴史博物館
http://www.rekishi-a[...]
2021-03-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