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어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어카는 1921년경 일본에서 사이드카와 마차 수레의 장점을 결합하여 개발된 수레로, 영어 단어 'rear(뒤)'와 'car(차)'를 결합하여 '뒤에 달린 차'라는 의미로 명명되었다. 금속 부재와 자전거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대팔차의 단점을 개선했으며, 한국에는 일본을 통해 전래되었다. 사람의 힘으로 움직이는 간단한 구조로, 노점상, 폐지 수집, 건설 현장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도로교통법상 경차 또는 보행 보조차로 분류되며, UN을 통해 탄자니아에 제조 기술이 협력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탈것 - 자동차
자동차는 18세기 증기 자동차에서 시작하여 내연기관 발명으로 발전했으며, 크기, 용도, 연료 등에 따라 분류되고, 자율 주행 및 친환경 기술 개발을 통해 안전과 환경 문제 해결을 모색한다. - 탈것 - 자전거
자전거는 사람의 힘으로 페달을 밟아 뒷바퀴를 회전시켜 움직이는 두 바퀴 차량으로, 드라이지네에서 시작하여 기술 발전을 거쳐 다양한 종류로 발전했으며, 통근, 레저, 스포츠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환경 친화적인 교통수단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리어카 | |
---|---|
개요 | |
![]() | |
종류 | 운반 도구 |
용도 | 수동 운반 간이 판매대 |
명칭 및 어원 | |
명칭 | 리어카 손수레 (표준어) |
로마자 표기 | Rieoka |
어원 | 영어 'rear car'의 일본어식 발음에서 유래 |
설명 | 자동차의 뒷부분을 의미하는 'rear car'에서 유래되었으며, 초기 리어카가 자동차의 부품을 재활용하여 만들어진 것에서 비롯됨. |
구조 및 특징 | |
형태 | 바퀴가 2개 달린 수레 손잡이가 달려 사람이 끌 수 있도록 설계됨. |
재료 | 나무 철재 고무 (바퀴) |
특징 |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 가능 비교적 저렴한 가격 인력으로 운반 |
활용 | |
용도 | 짐 운반 농산물 운반 건설 자재 운반 간이 판매대 (노점) |
관련 직업 | 고물상 노점상 건설 노동자 농부 |
기타 | |
관련 법규 | 도로교통법상 '차'에 해당될 수 있으며, 보행자 안전에 유의해야 함. |
주의사항 | 과적 금지 경사진 곳에서 안전 주의 야간 운행 시 반사판 부착 |
2. 역사
1921년경 일본에서 사이드카와 대팔차의 장점을 결합하여 리어카가 발명되었다. 시즈오카현 후지시의 모치즈키 토라카즈가 발명하였다.[1]
2. 1. 한국 전래
1921년경 일본에서 사이드카와 마차, 수레의 장점을 합쳐 리어카를 만들었는데, 처음에는 자전거 뒤에 끌고 다니도록 되어 있었다. 리어카라는 이름은 "옆에 달린 차"라는 뜻의 사이드카(sidecar영어)를 본따 "뒤에 달린 차"라는 뜻으로 영어 낱말 “뒤(rear)”와 “차(car)”를 합쳐 일본에서 만든 말이며, 한국에 전해졌다. 영어권에서는 쓰지 않는 말이다.[1]리어카가 전래되기 이전 한국에서는 소나 말이 끄는 수레를 쓰지 않으면 사람이 지게를 져서 물건을 운반했다.[1]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순화어로 '''손수레'''를 쓰도록 되었다.[1]
2. 2. 일본에서의 발전
1921년경, 해외에서 사이드카가 일본에 수입되었을 때, 시즈오카현 후지시의 모치즈키 토라카즈가 사이드카와 그 이전의 짐차 주류였던 대팔차의 장점을 융합하여 리어카를 발명했다.[1]에도 시대 이래 대팔차는 다음과 같은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 큰 목제 스포크형 바퀴는 제조 시 정밀도 및 강도 확보를 목공 장인의 숙련 기술에 의존해야 했다. 파손 시 수리가 어려웠고, 프레임과 함께 튼튼한 나무로 조립되어 무거웠다.
- 좌우 바퀴가 차축으로 연결되어 짐판 바닥 아래를 통과하는 원시적인 구조로 인해 중심이 높고 옆으로 넘어지기 쉬웠다. 내륜차 흡수 수단이 없어 좌우 회전 시 견인자가 바퀴를 끌듯이 힘을 주어 움직여야 했고, 바퀴 마모의 원인이 되었다.
- 축받이는 단단한 나무의 평 베어링으로, 유지 보급에 의한 윤활에 의존했기 때문에 정지 상태에서의 견인이 무거웠다.
- 진동이 심해 수송할 수 있는 화물이 제한되었다.
리어카는 금속 부재 도입 및 자전거·사이드카의 기술을 원용하여 이러한 대팔차의 문제점 대부분을 해결하였다.
매우 가느다란 형강 또는 강관으로 프레임 전체를 조립하고, 바퀴는 금속제 와이어 스포크를 이용, 차축은 없고, 볼 베어링으로 좌우 독립 지지된 양륜 사이에 짐받이 바닥을 떨어뜨린 형태가 되었다. 또한 바퀴에는 공기 주입 고무 타이어를 씌웠다. 결과적으로 대팔차에 비해 대폭적인 진보를 이루었다.
- 금속제 프레임은 굽힘 가공이나 리벳 고정(후에는 용접도 가능) 등의 조립 수단을 허용하고, 목재보다 간결한 구조를 채택하여 경량화되었다.
- 금속제 스포크 바퀴는 다이쇼 시대에 이미 일본 국내 자전거 공장에서 대량 생산되었다. 경량인 데다가 차체 탈착이 간단하고, 일본 각지의 자전거 가게에서 수리가 용이해졌다. 고무 타이어는 방진에 도움이 되었다.
- 좌우 바퀴가 독립되어 있고 긴 차축이 없어, 바퀴 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짐받이 바닥을 배치할 수 있어 중심이 낮아져 안정되고 회전도 자유로워져 화물 적재량도 늘었다.
- 베어링 사용으로 견인 저항이 작아져 견인이 용이해졌다.
다이쇼 시대 후기부터 소형 트럭인 삼륜차가 도시부로부터 보급되기 시작했지만, 당시 일본 중소 영세 사업자에게는 매우 고가여서 쉽게 도입할 수 없었다. 반면 리어카는 시중의 영세한 공장에서도 제작 가능하고 매우 저렴하여, 본격적인 모터리제이션 이전이었던 태평양 전쟁 전후 장기간, 손으로 끌거나 자전거로 견인하는 등 소량 운송의 간편한 수단으로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그러나 전후 모터리제이션 진전으로 자동차가 보급되면서, 일반적인 소량 물류 수단으로서는 1950~1960년대 이후, 삼륜차·경트럭 등에 대체되어 점차 쇠퇴했다. 그럼에도 경편함으로 인한 장점이 있어, 과거에 비해 활용 범위가 좁아졌다고는 해도, 부지 내 작업용이나 대도시권에서의 소량 배송 등, 21세기에 들어서도 일본 국내에서 널리 실용에 제공되고 있다.
3. 구조
쇠 파이프나 철근 등으로 골조를 만들고, 바퀴를 달고, 합판으로 상자를 짜 넣는 것이 일반적이다.
3. 1. 대한민국
보통 쇠 파이프나 철근 등으로 골조를 만들고, 바퀴를 달고, 합판으로 상자를 짜 넣는다. 위에 좌판을 깔면 노점에서 물건을 놓고 팔다가 쉽게 옮길 수 있어 노점상에서 쓰이고, 그 위에 비를 막을 수 있는 천막과 지붕을 덧 대어 포장마차로 쓸 수도 있다. 보통 대한민국에서 쓰이는 리어카 크기는 길이 2m, 폭 1.5m, 높이 0.5m 정도이며, 바퀴 크기는 약 66.04cm, 두께는 약 6.35cm이다.4. 장단점
리어카는 사람의 힘으로 움직이므로 연료가 필요 없고, 구조가 간단해 정비가 거의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앞뒤 구분이 없어 밀거나 끌 수 있으며, 연료비 등의 경비와 유지비가 적게 든다. 기동성이 뛰어나고 회전 반경이 작아 좁은 공간에서도 운반이 용이하며, 특별한 훈련 없이도 짐을 운반할 수 있다. 튼튼한 리어카는 평탄한 포장 도로에서 최대 1ton의 짐을 운반할 수 있다(일반적인 리어카의 적재 하중은 350kg).
반면 오르막길에서는 올라가기 힘들고, 별도의 제동장치가 없어 내리막길에서는 위험하다는 단점이 있다. 리어카 뒤쪽 아랫부분에 폐타이어 등을 달아 내리막길에서 바닥과 마찰시켜 속도를 줄이는 경우도 있다.[10] 도로교통법상 '우마차'로 분류되어 보도로 다닐 수 없고 차도로 다녀야 하지만, 전용도로가 없어 차량과 충돌하거나 늦은 주행 속도로 인해 교통 정체를 유발하기도 한다.[11]
4. 1. 장점
사람의 힘만으로 움직이므로 무거운 엔진이나 별도의 연료가 필요 없다. 구조가 간단해서 정비가 거의 필요 없고, 앞뒤 구분이 없어 밀거나 끌 수 있다.- 연료비 등의 경비가 들지 않고, 수리 및 정비가 간편하며 유지비도 들지 않는다.
- 기동성이 뛰어나고 회전 반경이 작다. 보통 체격의 사람이면 짐 운반 시 견인에 특별한 훈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 튼튼하게 제작된 리어카의 경우 평탄한 포장 도로에서 최대 약 1ton의 짐을 운반할 수 있다(일반적인 리어카의 적재 하중은 350kg).
4. 2. 단점
오르막길에서는 올라가기가 힘들고, 별도의 제동장치가 없어 내리막길에서는 위험하다. 리어카 뒤쪽 아랫부분에 폐타이어 등을 달아 내리막길에서 바닥과 마찰하여 천천히 내려올 수 있도록 만든 것도 있다.[10]도로교통법상 '우마차'로 분류되어 보도로 다닐 수 없고 차도로 다녀야 하나, 별도의 전용도로가 없어 차량과 충돌하거나 늦은 주행 속도로 인해 교통 정체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11]
- 급경사에 약하다. (오르막길, 내리막길 모두)
- 자동차 등의 왕래가 빈번한 장소에서 이동할 때, 기동성 차이로 인해 교통 사고나 교통 체증이 우려된다.
5. 용도
리어카는 주로 가까운 거리에 물건을 운반하거나, 노점 판매, 폐품 수집, 건설 현장 자재 운반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모터사이클과 결합하여 삼륜차로 사용되기도 한다.
용도 | 설명 |
---|---|
음식 판매 | 라멘, 오뎅 등의 포장마차로 사용된다. (현재는 경트럭도 많이 사용된다.) |
상품 판매 | 두부, 돌구이 고구마 등을 판매한다. (현재는 경트럭도 많이 사용된다.) |
폐품 수집 | 도시 지역에서는 홈리스의 수입원으로 골판지와 빈 캔 수집에 이용되기도 한다. |
국방 | 주둔지 내 훈련 준비 및 해상자위대 함정에 탑재되어 활용된다. |
소방 | 소방차에 탑재되는 호스카 형태로 화재 현장에서 호스 운반에 사용된다.[2] 소방 조작에도 활용된다.[3] |
방재 | 자치회 등의 자주 방재 조직에서 소화용 소방 펌프 수송용으로 방재 창고에 보관된다.[4] |
교육 | 운전 면허가 없는 학생들도 물품 운반 및 지역 봉사 활동의 폐품 수집에 활용하며, 초·중·고등학교에 갖춰져 있다. |
택배 | 2006년 도로교통법 개정 후 야마토 운수는 소형 리어카를 전동 어시스트 자전거로 견인, 사가와 택배는 리어카형 짐받이를 갖춘 전동 어시스트 세발 자전거를 활용한다.[5][6] 카쿠야스 등 배달 업체도 운용한다. |
5. 1. 대한민국
고무 바퀴와 함께 한국에 들어온 리어카는 사람 한 명이 끌고 다닐 수 있는 적당한 크기로 간단한 살림살이 등 가까운 거리에 물건을 운반하거나 노점에서 물건을 파는데 많이 쓰이게 되었다. 차량이 발달된 근대화 이후에는 노점상, 폐지 등 고물 운반, 건설 현장에서 간단한 자재 운반 등에 사용된다.[2]모터사이클과 결합해 삼륜차로 만들기도 한다.
- 음식
- 라멘, 오뎅 등의 포장마차로 사용된다. (현재는 경트럭도 많이 사용된다.)
- 판매
- 두부, 돌구이 고구마 등 (현재는 경트럭도 많이 사용된다.)
- -
- 폐품 수집
- 도시 지역에서는 리어카를 이용한 골판지와 빈 캔 수집이 홈리스의 수입원이 되기도 한다.
5. 2. 일본
- 음식
: 라멘, 오뎅 등의 포장마차로 사용된다. (현재는 경트럭도 많이 사용된다.)
- 판매
: 두부, 돌구이 고구마 등 (현재는 경트럭도 많이 사용된다.)
- 폐품 수집
: 도시 지역에서는 리어카를 이용한 골판지와 빈 캔 수집이 홈리스의 수입원이 되기도 한다.
- 국방
: 주둔지 내에서의 훈련 준비 등에 활용되고 있다. 또한 해상자위대의 함정에 탑재된 사례도 있다.

- 소방
: 소방차에는 화재 현장에서 신속하게 호스를 운반하기 위해 리어카 형태의 「호스카」가 탑재되는 경우가 많다[2]。이 호스카의 취급은 소방 조작에서도 정해져 있다[3]。
- 방재
: 자치회 등의 자주 방재 조직에서 소화용 소방 펌프를 갖춘 지역도 많으며, 방재 창고에는 이 펌프를 인력으로 수송하기 위한 리어카도 보관되어 있다[4]。
- 교육
: 운전 면허를 가지고 있지 않은 아이들도 대도구나 낙엽 등을 운반할 수 있는 도구로서, 또는 지역 봉사 활동의 연장으로 이루어지는 폐품 수집 운동 시의 운반 기구로서 초등학교, 중학교 등 학교 시설에도 표준적으로 갖춰져 있다.
- 택배
: 2006년 6월에 도로교통법이 개정되어, 자동차・오토바이의 주차 위반에 관한 위반 확인 절차의 간소화로, 짧은 시간의 주차라도 단속된다는 상황과 관련하여, 야마토 운수는 주택가의 소화물 배송 등에서 특제 소형 리어카를 전동 어시스트 자전거로 견인하는 활용을 시작했다[5]。또한, 사가와 택배에서는 리어카 형태의 짐받이를 갖춘, 특제 전동 어시스트 세발 자전거로 대응하고 있다[6]。택배와 유사한 배달을 동반하는 대형 업체에서는, 술 카쿠야스도 리어카를 빈번하게 운용하고 있다.
6. 법적 규제
일본 도로교통법에 따르면, 리어카를 포함한 짐수레나 수레는 보행자가 통행하는 경우에도 일부를 제외하고는 경차로 취급된다.[7]
6. 1. 대한민국
도로교통법상 '우마차'로 분류되어 보도로 다닐 수 없고 차도로 다녀야 한다. 그러나 별도의 전용도로가 없어 차량과 충돌하거나 늦은 주행속도로 인해 교통 정체를 일으키는 수가 있다.[11]6. 2. 일본
일본의 도로교통법에 따르면, 짐수레나 수레는 보행자가 통행하는 경우에도 일부를 제외하고는 경차로 취급된다.[7] 그러나 길이 190cm 이하, 폭 60cm 이하의 소형 리어카는 '''보행 보조차 등'''에 해당하며 보행자로 취급되어 보도 통행이 가능하다.보행자 취급을 받지 않는 일반 리어카는 차도를 통행해야 하며, 자전거나 일반 자전거 취급이 아니므로 보도 서행 또는 통행, 자전거 도로 통행은 할 수 없다.
리어카를 자전거로 견인하는 경우에는 자전거에 준하는 통행 방법을 따르지만, 일반 자전거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보도 서행 또는 통행은 불가능하다. 다른 차량을 견인하고 있기 때문에 자전거 도로도 통행할 수 없다.
리어카의 적재물 무게 제한(차량 무게 제외)은 도쿄도의 경우 다음과 같다.
짐받이 면적 | 무게 제한 |
---|---|
1.65㎡ 이상 | 750kg 이하 |
1.65㎡ 미만 | 450kg 이하 |
자전거 또는 원동기 장치 자전거(125cc 이하)로 견인하는 경우 | 120kg 이하 |
원동기 장치 자전거(125cc 이하)로 리어카를 견인하는 경우 최고 속도는 25km/h이며, "부속차" 취급을 받기 때문에 번호판 등록이나 차량 검사는 불필요하다(야간에는 후부 반사기가 필요).[8]
7. 국제 협력
1988년 UN을 통해 일본에서 탄자니아로 리어카 제조 기술 협력이 이루어졌다.[9] 개발도상국에서도 리어카 제조 및 보수가 가능하여 서민 물류에 기여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大地とともに
富士市農業協同組合
1998
[2]
웹사이트
ホースカー | 東京サイレン(株)
http://www.tokyo-sir[...]
[3]
웹사이트
消防操法の基準 :: 総務省消防庁
http://www.fdma.go.j[...]
[4]
웹사이트
飲料水兼用貯水槽/震災対策初期消火資機材とは?/茨木市ホームページ
http://www.city.ibar[...]
[5]
웹사이트
リヤカー付き電動自転車で楽々集配、ヤマト運輸 | ジャパン・フォー・サステナビリティ Japan for Sustainability
http://www.japanfs.o[...]
2008-11-05
[6]
뉴스
【佐川急便】~関西圏で宅配専用自転車を導入~環境保全、渋滞緩和、駐車場問題などに有効 | 佐川急便株式会社 | News2u.net
http://www.news2u.ne[...]
2009-08-26
[7]
문서
[8]
웹사이트
道路運送車両の保安基準(昭和26年運輸省令第67号)第1条第14項
https://laws.e-gov.g[...]
총무성행정관리국
2018-12-26
[9]
웹사이트
エコ時代に飛躍する日本最後の“リヤカー職人集団”:日経ビジネスオンライン
http://business.nikk[...]
[10]
웹인용
고물상, 그 이름을 더럽히지 마라
http://www.hani.co.k[...]
한겨레
2011-03-18
[11]
웹인용
리어카 배달 아버지, 냄새나고 부끄러웠어요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1-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