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치 곡률 텐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치 곡률 텐서는 리만 다양체의 리만 곡률 텐서를 사용하여 정의되는 텐서이다. 리만 곡률 텐서를 통해 정의되며, 대칭 텐서이다. 리치 곡률 텐서는 국소 좌표계와 추상 지표 표기법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대각합은 스칼라 곡률이다.
리치 곡률 텐서는 리만 다양체의 단면 곡률에 의해 결정되지만, 일반적으로 더 적은 정보를 포함한다. 리치 곡률은 리만 다양체의 부피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일반 상대성 이론과 리치 흐름 방정식, 이산 리치 곡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특히,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는 아인슈타인 장 방정식의 핵심 항으로 사용되며, 리치 흐름 방정식에서는 기하화 추측 증명에 기여했다. 또한, 무자취 리치 텐서는 아인슈타인 다양체를 특징짓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곡률 - 가우스 곡률
가우스 곡률은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 놓인 곡면의 두 주곡률의 곱으로, 곡면의 형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곡면 자체의 길이 측정만으로 결정되는 내재적인 값이다. - 곡률 - 평균곡률
평균 곡률은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 곡면의 한 점에서의 곡률을 나타내는 값으로, 법선을 포함하는 평면들이 곡면을 자르는 곡선들의 부호 있는 곡률의 평균이며, 특히 평균 곡률이 0인 곡면을 극소 곡면, 상수인 곡면을 상수 평균 곡률 곡면이라고 한다. - 리만 기하학 - 등각 사상
등각 사상은 각도를 보존하는 사상으로, 2차원에서는 도함수가 0이 아닌 정칙 함수인 복소 함수가 해당되며, 3차원 이상에서는 상사 변환, 등거리 변환, 특수 등각 변환 등으로 분류되어 지도 제작, 항공우주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리만 기하학 - 편평도
편평도는 아직 내용이 없어 정의를 내릴 수 없는 위키백과 페이지이다. - 일반 상대성이론 - 양자 중력
양자 중력은 양자역학과 일반 상대성이론을 통합하여 중력이 강한 극한 조건에서 발생하는 이론적 모순을 해결하려는 시도로, 재규격화 불능성과 시공간 배경 의존성 차이 등의 난제 해결을 위해 끈 이론, 루프 양자 중력 등 다양한 접근 방식이 연구되고 있으며,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데이터 등을 이용한 실험적 검증이 시도되고 있다. - 일반 상대성이론 - 중력 특이점
중력 특이점은 일반 상대성이론에서 시공간이 정의되지 않고 물리량이 무한대로 발산하는 지점으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이론에 따라 존재가 부정되거나 사건 지평선 뒤에 숨겨져 있다고 여겨지기도 하고 블랙홀의 엔트로피와 관련된 호킹 복사 이론과도 관련된다.
리치 곡률 텐서 | |
---|---|
정의 | |
설명 | 리만 다양체에서 리만 곡률 텐서를 축약하여 얻는 (0, 2) 텐서 |
세부 사항 | |
유형 | (0, 2) 텐서 |
대칭성 | 대칭 텐서 |
표기법 | |
일반적인 표기 | Ric |
수학적 정의 | |
정의 방법 | 리만 곡률 텐서의 축약 |
국소 좌표 | Ricij = Rkikj |
성질 | |
대칭성 | Ric(X, Y) = Ric(Y, X) (모든 벡터 필드 X, Y에 대하여) |
스칼라 곡률과의 관계 | 스칼라 곡률은 리치 텐서의 대각합 (trace) |
응용 | |
일반 상대성 이론 | 아인슈타인 방정식에 등장 |
다양체의 기하학적 성질 연구 | 다양체의 곡률 성질을 나타내는 중요한 도구 |
역사 | |
이름의 유래 | 그레고리오 리치-쿠르바스토로의 이름에서 유래 |
관련 개념 | |
관련 개념 | 리만 곡률 텐서 스칼라 곡률 아인슈타인 텐서 바일 텐서 |
2. 정의
준 리만 다양체 의 리만 곡률 텐서 를 이용해 리치 곡률 텐서 를 정의할 수 있다. 리만 곡률 텐서는 (1,3)차 텐서장으로, 대칭 및 반대칭 성질에 따라 0이 아닌 대각합이 하나뿐이다. 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준 리만 다양체 위의 리만 곡률 텐서 을 생각하자. 리만 곡률 텐서는 (1,3)차 텐서장으로, 대칭 및 반대칭 성질에 따라 0이 아닌 대각합은 사실상 하나뿐이다. 이는 다음과 같다.
:
국소 좌표계에서 크리스토펠 기호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아인슈타인 표기법 사용)
:
리치 곡률 텐서의 대각합은 스칼라 곡률이라고 한다.
가 차원 리만 다양체 또는 유사 리만 다양체이고, 레비-치비타 접속 를 갖는다고 가정하면, 리만 곡률은 벡터장 에 대해 다음과 같은 사상이다.[1]
:
은 텐서장이므로, 점 에 대해 다중 선형 사상 를 정의한다.[1]
:
이를 통해 사상 를 정의한다.[1]
:
즉, 의 정규 직교 기저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1]
:
추상 지표 표기법에서는 다음과 같다.[1]
:
리만 다양체에서 국소 좌표를 이용해 크리스토펠 기호와 리치 텐서를 표현할 수 있다.[2]
이는 (0,2)-텐서 장을 정의하며, 좌표 변환에 대해 불변이다.[2]
리치 텐서는 아핀 접속으로 일반화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영 미분 기하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4]
3. 성질
:
국소 좌표계에서 크리스토펠 기호를 사용하고 아인슈타인 표기법을 쓰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리치 곡률 텐서의 대각합은 스칼라 곡률이라고 한다.
제2 비앙키 항등식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2]
:
여기서 은 스칼라 곡률이며, 국소 좌표계에서 로 정의된다. 이를 축약된 제2 비앙키 항등식이라고도 부른다.
리치 곡률 함수가 단위 접선 벡터의 집합에 대해 상수 함수라면, 그 리만 다양체는 리치 곡률이 상수이거나, 아인슈타인 다양체라고 한다. 이것은 리치 텐서 Ric가 계량 텐서의 상수 배인 경우에만 성립한다.
3. 1. 대칭
리치 곡률 텐서는 2차 대칭 텐서이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
이는 차원에서 개의 독립된 성분을 갖는다.
2차원에서 리치 곡률 텐서는 1개의 성분을 가지며, 항상 리만 계량에 비례한다. 1차원에서는 항상 0이다.
리만 곡률 텐서의 대칭성에서 알 수 있듯이, 리만 다양체의 리치 텐서는 모든 에 대해 다음과 같은 대칭성을 갖는다.[1]
:
따라서 선형대수적으로 리치 텐서는 모든 단위 길이 벡터 에 대해 양 를 아는 것으로 완전히 결정된다. 단위 접선 벡터 집합에 대한 이 함수는 종종 '''리치 곡률'''이라고도 불리는데, 그 이유는 이것을 아는 것이 리치 곡률 텐서를 아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1]
비안키 항등식의 귀결로서도, 리만 다양체의 리치 텐서는 위와 같은 대칭성을 갖는다.[2]
3. 2. 연산과의 호환
리치 곡률 텐서는 바일 곡률 텐서와 달리 곱공간에서 블록 대각 행렬로 분해된다.[8] 즉, 두 리만 다양체 의 곱공간 에 블록 대각 계량 텐서를 주었을 때, 리치 곡률 텐서 역시 블록 대각 꼴을 취한다.
비안키 항등식에 따라, 리만 다양체의 리치 텐서는 대칭이 된다. 따라서 단위 길이의 벡터 에 대한 값을 알면 리치 텐서가 완전히 결정된다. 단위 접선 벡터에 대한 이 함수는 리치 곡률 텐서를 아는 것과 같으므로, 종종 '''리치 곡률'''이라고 불린다.
리치 곡률은 리만 다양체의 단면 곡률에 의해 정해지지만, 일반적으로 더 적은 정보를 갖는다. 2차원 및 3차원에서만 리치 텐서로부터 완전한 곡률 텐서를 결정할 수 있다. Gauss–Codazzi equations영어에 따르면, 유클리드 공간상의 초곡면으로 주어진 다양체의 경우, 완전한 곡률을 결정하는 제2 기본 형식은 리치 텐서에 의해 결정되고, 초곡면의 주방향도 리치 텐서의 고유 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리치 곡률 함수가 단위 접선 벡터의 집합에 대해 상수 함수라면, 그 리만 다양체는 리치 곡률이 상수이거나, 아인슈타인 다양체라고 한다. 이는 리치 텐서 Ric가 계량 텐서의 상수 배인 경우에만 성립한다.
리치 곡률은 계량 텐서의 라플라시안 배로 생각하면 편리하다. 특히, 국소 Harmonic coordinates영어에서는 다음 식이 성립한다.
:
여기서 Δ는 Laplace–Beltrami operator영어이며, 함수 에 작용한다. 이는 리치 흐름 방정식을 계량의 확산 방정식의 확장으로 간주하는 근거가 된다. Normal coordinates영어에서는, 점 에서 다음이 성립한다.
:
3. 2. 1. 곱공간
Ricci영어 곡률 텐서는 곱공간에서 블록 대각 행렬로 분해된다.
3. 2. 2. 등각 변환
준 리만 다양체 에 대하여, 등각 변환
:
를 가하여, 의 리치 곡률을 생각할 수 있다. (는 실수 스칼라 함수) 이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
는 라플라스-벨트라미 연산자이다. (0,2)차 리치 곡률 텐서는 리만 계량의 상수배 변환에 대하여 불변이다.
2차원 다양체의 경우, 위 공식은 가 조화 함수라면 등각 변환 가 리치 텐서를 변경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3. 3. 켈러 다양체
켈러 다양체 위에서 리치 곡률 텐서는 2차 미분 형식인 '''리치 미분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리치 미분 형식은 정칙 국소 좌표계에서 돌보 연산자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여기서 는 정칙 국소 좌표로 표현된 에르미트 계량이다.
리치 미분 형식은 표준 선다발의 U(1) 주곡률과 관련된다. 이는 표준 선다발의 곡률 형식을 결정한다.[1] 리치 형식은 닫힌 2-형식이며, 그 코호몰로지류는 표준 다발의 첫 번째 천류와 (실수 상수 인자를 제외하면) 같다. 따라서 리치 형식은 다양체의 위상 불변량이며, 위상과 복소 구조의 호모토피류에만 의존한다.
4. 역사
그레고리오 리치쿠르바스트로가 리치 곡률 텐서를 도입했으며, 1900년 툴리오 레비치비타와의 공저 논문[9]에서 "리치"(Ricciit)로 이름을 줄여 사용했다. 이 때문에 "리치 텐서"로 불리게 되었다. (리치쿠르바스트로는 다른 논문에서는 정식 이름을 사용하였다.)
5. 응용
일반 상대성 이론과 리치 흐름에서 리치 곡률 텐서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리치 곡률은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핵심 항이며, 리치 흐름에서는 다양체의 기하학적 구조를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켈러 다양체에서 리치 곡률은 다양체의 첫 번째 천류를 결정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리만 다양체에서는 이와 같은 위상학적 해석이 나타나지 않는다.
5. 1. 일반 상대성 이론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진공해는 리치 곡률이 0인 준 리만 다양체이다. 아인슈타인 방정식에서 아인슈타인 텐서가 0일 조건은 리치 곡률 텐서가 0일 조건과 동치이다.[3] 리치 곡률은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핵심적인 항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5. 2. 리치 흐름
리처드 S. 해밀턴이 1982년에 처음 소개한 리치 흐름 방정식에는 리치 곡률이 나타난다. 이 방정식에서 특정 1-매개변수 리만 계열은 기하학적으로 정의된 편미분 방정식의 해로 선정된다.[3] 리치 흐름 방정식은 메트릭에 대한 열 방정식의 자연스러운 확장으로 볼 수 있다. 고체 내에서 열이 퍼져나가 덩어리가 일정한 온도의 평형 상태에 도달하듯이, 다양체가 주어지면 리치 흐름은 아인슈타인 계량 또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평형' 리만 계량을 생성하는 경향을 보인다.그러나 많은 다양체가 그러한 계량을 지원할 수 없기 때문에 항상 "수렴"이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리 페렐만을 비롯한 여러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리치 흐름을 따라 발생하는 "특이점"은 수렴 실패에 해당하며 3차원 위상 수학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이 연구는 1970년대 윌리엄 서스턴이 제안한 기하화 추측을 증명하는 것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콤팩트 3-다양체의 분류로 볼 수 있다. 특히, 그리고리 페렐만은 리치 흐름을 이용하여 푸앵카레 추측을 증명하였다.
5. 3. 이산 리치 곡률
그래프와 네트워크에서 이산 리치 곡률 개념이 정의되며, 이 개념은 모서리의 국소 발산 특성을 정량화한다. 최적 수송 이론을 사용하여 정의되는 올리비에의 리치 곡률이 있다.[4] 위상학적 논거에 기반한 포먼의 리치 곡률도 있다.[5]6. 기하학적 의미
측지 정규 좌표를 사용하면, 리만 다양체 \((M, g)\)의 한 점 \(p\) 근처에서 메트릭 텐서 \(g_{ij}\)는 다음과 같이 유클리드 메트릭 \(\delta_{ij}\)으로 근사할 수 있다.
:
여기서 \(R_{ikjl}\)은 리만 곡률 텐서의 성분이고, \(x^k\)는 정규 좌표계에서의 좌표이다. 이 좌표계에서 메트릭의 부피 요소는 \(p\)에서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
이는 메트릭의 행렬식의 제곱근을 전개하여 얻어진다. 이 식은 리치 곡률 텐서 \(R_{jk}\)가 유클리드 공간과 비교했을 때 다양체의 부피 변화를 어떻게 나타내는지 보여준다.
만약 리치 곡률 \(\operatorname{Ric}(\xi, \xi)\)가 벡터 \(\xi\) 방향으로 양수이면, \(p\)에서 시작하여 \(\xi\)를 중심으로 하는 작은 원뿔 내에서 초기 속도를 가지는, 길이 \(\varepsilon\)의 측지선 조각 집합에 의해 휩쓸린 \(M\)의 원뿔 영역은 유클리드 공간의 해당 원뿔 영역보다 부피가 작아진다 (\(\varepsilon\)이 충분히 작을 때).
반대로, 리치 곡률이 \(\xi\) 방향으로 음수이면, 다양체의 원뿔 영역은 유클리드 공간에서보다 더 큰 부피를 갖는다.
리치 곡률은 \(\xi\)를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절단 곡률의 평균과 관련된다. 만약 원뿔이 타원으로 왜곡될 때 주축을 따라 왜곡이 상쇄되면 부피 왜곡이 사라질 수 있고, 이 경우 리치 곡률은 \(\xi\)를 따라 0이 된다.
물리적 응용에서, 0이 아닌 절단 곡률이 반드시 국소적 질량의 존재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세계선의 원뿔 단면이 타원형이 되더라도 부피가 변하지 않는다면, 이는 다른 위치의 질량에 의한 조석 효과 때문이다.
7. 대역적 기하와 위상
다음은 양의 리치 곡률을 갖는 다양체에 대한 전역적 결과의 목록이다. 리만 기하학의 고전적인 정리도 참고하라. 간단히 말해, 리만 다양체의 양의 리치 곡률은 강력한 위상적 결과를 갖는 반면, (차원이 3 이상인 경우) 음의 리치 곡률은 위상적 의미가 ''없다''. (리치 곡률은 리치 곡률 함수 가 0이 아닌 접선 벡터 의 집합에서 양수인 경우 '''양수'''라고 한다.) 일부 결과는 유사 리만 다양체에 대해서도 알려져 있다.
# 마이어스 정리(1941)에 따르면, 완비 리만 ''n''-다양체의 리치 곡률이 하한 을 가지면, 다양체의 지름은 를 만족하며, 등호는 다양체가 상수 곡률 의 구와 등장일 때에만 성립한다. 피복 공간에 관한 논의로부터, 양의 리치 곡률을 갖는 임의의 콤팩트 다양체는 유한 기본군을 가져야 함을 이끌어낼 수 있다.
# 비숍-그로모프 부등식은, 완비 -차원 리만 다양체가 비음의 리치 곡률을 갖는 경우, 구의 부피는 반지름을 공통으로 하는 -차원 유클리드 공간상의 구 이하가 된다고 명시한다. 더 나아가, 를 다양체상의 를 중심으로 하는 반지름 의 구의 부피로 하고, 를 -차원 유클리드 공간상의 반지름 의 구의 부피로 하면, 함수 는 비감소 함수이다. (마지막 부등식은 일반적인 하한으로 일반화될 수 있으며, 이것이 그로모프의 콤팩트성 정리의 증명의 핵심이 된다.)
# 치거-그로모어의 분할 정리에 따르면, 을 만족하는 완비 리만 다양체가 "직선", 즉 모든 에 대해 가 만족되는 측지선 를 가질 때, 이 다양체는 직적 공간 과 등거리이다. 결과적으로, 양의 리치 곡률을 갖는 완비 다양체는 많아야 하나의 끝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 정리는, 몇몇 추가적인 가정을 두면, 음이 아닌 리치 텐서를 갖는 완비 로렌츠 다양체 (계량의 부호가 (+−−...)인 다양체)에 대해서도 성립한다.[1]
# 리치 흐름에 대한 해밀턴의 첫 번째 수렴 정리는 따름정리로, 양의 리치 곡률의 리만 메트릭을 갖는 콤팩트 3-다양체는 SO(4)의 이산 부분군의 몫이며, 이는 적절하게 불연속적으로 작용한다. 그는 나중에 이를 비음의 리치 곡률을 허용하도록 확장했다. 특히, 유일한 단일 연결 가능성은 3-구 자체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양의 리치 곡률이 강한 위상 기하학적 귀결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조적으로, 곡면의 경우를 제외하고 음의 리치 곡률에는 위상적 함의가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2차원 보다 큰 차원을 갖는 모든 다양체는 음의 리치 곡률을 갖는 완전한 리만 계량을 허용한다.[2]
8. 무자취 리치 텐서
리만 기하학과 유사 리만 기하학에서, 의사 리만 다양체 의 '''무자취 리치 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텐서이다.
:
여기서 는 리치 텐서, 는 스칼라 곡률, 는 계량 텐서, 은 의 차원이다.
이 텐서의 이름은 그 자취가 자동적으로 0이 된다는 사실에서 유래한다.
:
리치 텐서는 다음과 같이 무자취 리치 텐서와 스칼라 곡률을 사용하여 분해할 수 있다.
:
이 분해에서, 와 는 서로 직교한다. 즉,
:
이고 이 연결된 경우, 무자취 리치 텐서 가 0이 되는 것은 스칼라 곡률이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다음 조건들은 서로 동치이다.
- 어떤 수 에 대해
특히, 무자취 리치 텐서가 0이 되는 것은 아인슈타인 다양체를 특징짓는다. 아인슈타인 다양체는 어떤 상수 에 대해 라는 조건으로 정의된다.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이 방정식은 가 우주 상수를 가진 아인슈타인의 진공 장 방정식의 해임을 나타낸다.
참조
[1]
문서
Here it is assumed that the manifold carries its unique [[Levi-Civita connection]]. For a general [[affine connection]], the Ricci tensor need not be symmetric.
[2]
arXiv
Ricci curvature for metric-measure spaces via optimal transport
2006-06-23
[3]
서적
The Ricci flow : an introduction
https://www.worldcat[...]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04
[4]
간행물
Ricci curvature of Markov chains on metric spaces
2009-02-01
[5]
간행물
Bochner's Method for Cell Complexes and Combinatorial Ricci Curvature
2003-02-01
[6]
Harv
Besse
1987
[7]
문서
多様体が一意な[[レヴィ・チヴィタ接続]]を持つことが仮定されている。
[8]
저널
The Riemannian and affine differential geometry of product-spaces
1939-04
[9]
저널
Méthodes de calcul différentiel absolu et leurs applications
190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