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 대수 아이디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 대수 아이디얼은 가환환 K 위의 리 대수 g의 부분 집합으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g의 부분 리 대수, K-부분 가군, 덧셈 부분군, 부분 집합 관계를 가지며, 모든 리 대수 아이디얼은 부분 리 대수이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리 대수 아이디얼을 통해 몫 리 대수를 정의할 수 있으며, 단순 리 대수, 반단순 리 대수, 아벨 리 대수 등의 성질을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자명한 아이디얼, 직합 성분, 리 대수 중심, 유도 리 대수, 리 대수 근기 등이 리 대수 아이디얼의 예시로 제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 대수 - 베유 대수
    베유 대수는 체 K 위의 리 대수 g에 대하여 정의되는 미분 등급 대수이며, g의 쌍대 공간과 그 등급 이동으로 생성되는 외대수와 대칭 대수의 텐서곱으로 표현되고, 리 군의 분류 공간의 주다발의 무한소 형태를 나타내는 완전열과 관련이 있다.
  • 리 대수 - 아핀 리 대수
    아핀 리 대수는 카츠-무디 대수의 특수한 경우로, 유한 차원 단순 리 대수에 대응하는 루프 대수의 중심 확장으로 구성되며, 딘킨 도표를 통해 분류되고, 끈 이론과 2차원 등각장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리 대수 아이디얼
정의
정의리 대수 g의 부분 공간 h가 g의 모든 원소 x에 대해 [x, h]가 h에 포함되면 h는 g의 아이디얼이다.
성질
성질아이디얼은 항상 부분 대수이다.
0과 g는 자명한 아이디얼이다.
만약 h가 g의 아이디얼이면, 몫 공간 g/h는 자연스러운 리 대수 구조를 갖는다.
예시
예시아벨 리 대수의 모든 부분 공간은 아이디얼이다.
sl(n, F)의 중심은 자명한 아이디얼이다.
관련 개념
관련 개념부분 대수
리 대수 준동형 사상
몫 대수

2. 정의

가환환 K 위의 리 대수 (\mathfrak g,[-,-])의 '''부분 리 대수'''(Lie subalgebra영어) \mathfrak h는 리 괄호에 대하여 닫혀 있는 K-부분 가군이다. 즉, \mathfrak h\subset\mathfrak g이며 [\mathfrak h,\mathfrak h]\subset\mathfrak h이다.

가환환 K 위의 리 대수 \mathfrak g의 부분 집합 I\subseteq\mathfrak g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면 '''리 대수 아이디얼'''(Lie algebra ideal영어)이라고 한다.


  • K-부분 가군이며, [\mathfrak g,I]\subseteq I이다.
  • \ker \phi = I 리 대수 준동형 \phi \colon\mathfrak g\to\mathfrak h가 존재한다.


리 대수 아이디얼이 존재하면, '''몫 리 대수'''(quotient Lie algebra영어) \mathfrak g/I를 정의할 수 있다.

2. 1. 리 대수의 부분 대수와 아이디얼

가환환 K 위의 리 대수 (\mathfrak g,[-,-])의 부분 리 대수 \mathfrak h는 리 괄호에 대하여 닫힌 K-부분 가군이다. 즉, \mathfrak h\subset\mathfrak g이며 [\mathfrak h,\mathfrak h]\subset\mathfrak h이다.

가환환 K 위의 리 대수 \mathfrak g의 부분 집합 I\subseteq\mathfrak g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면 리 대수 아이디얼이라고 한다.

  • K-부분 가군이며, [\mathfrak g,I]\subseteq I이다.
  • \ker \phi = I 인 리 대수 준동형 \phi \colon\mathfrak g\to\mathfrak h가 존재한다.


리 대수 아이디얼에 대하여, 몫 리 대수 \mathfrak g/I를 정의할 수 있다.

2. 2. 리 초대수의 부분 대수와 아이디얼

가환환 K 위의 리 초대수 (\mathfrak{g}, [-, -])의 부분 리 초대수 (Lie sub-superalgebra영어) \mathfrak{h} ⊆ \mathfrak{g}는 리 초괄호에 대하여 닫힌 K-부분 가군이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 [\mathfrak{h}, \mathfrak{h}] ⊆ \mathfrak{h}


가환환 K 위의 리 초대수 (\mathfrak{g}, [-, -])의 아이디얼 (ideal영어) \mathfrak{h} ⊆ \mathfrak{g}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K-부분 가군이다.

  • [\mathfrak{g}, \mathfrak{h}] ⊆ \mathfrak{h}


즉, \mathfrak{g} = \mathfrak{g}_0 ⊕ \mathfrak{g}_1이라고 할 때, 다음이 성립한다.

  • \mathfrak{h}_0 ⊆ \mathfrak{g}_0는 리 대수 \mathfrak{g}_0의 아이디얼이다.
  • \mathfrak{h}_1 ⊆ \mathfrak{g}_1는 \mathfrak{g}_0의 표현을 이루며 ([\mathfrak{g}_0, \mathfrak{h}_1] ∈ \mathfrak{h}_1), 또한 {\mathfrak{g}_1, \mathfrak{h}_1} ⊆ \mathfrak{h}_1을 만족시킨다.

2. 3. L∞-대수의 부분 대수와 아이디얼

가환환 K 위의 L∞-대수 \mathfrak g의 '''부분 L∞-대수'''(部分L∞-代數, L∞-subalgebra영어) \mathfrak h\subseteq\mathfrak g는 모든 항수의 괄호에 대하여 닫혀 있는, 동차 K-부분 가군이다. 즉, 다음과 같다.

:[\overbrace{\mathfrak h,\mathfrak h,\dotsc,\mathfrak h}^k]_k \subseteq\mathfrak h\qquad(k\in\mathbb Z^+)

:\operatorname{proj}_n (\mathfrak h) \subseteq\mathfrak h\qquad(n\in\mathbb N)

여기서 \operatorname{proj}_n은 등급 n의 성분을 취하는 사영 함수이다.

가환환 K 위의 L∞-대수 \mathfrak g의 '''아이디얼'''(ideal영어) \mathfrak h\subseteq\mathfrak g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K-부분 가군이다.

:[\mathfrak h,\overbrace{\mathfrak g,\mathfrak g,\dotsc,\mathfrak g}^k]_k \subseteq\mathfrak h\qquad(k\in\mathbb Z^+)

:\operatorname{proj}_n (\mathfrak h) \subseteq\mathfrak h\qquad(n\in\mathbb N)

특히, k=1일 때 이 조건은 다음과 같다.

:\mathrm d\mathfrak h \subseteq\mathfrak h

즉, \mathfrak h\mathfrak g의 부분 공사슬 복합체를 이룬다.

3. 성질

리 대수 아이디얼은 항상 부분 리 대수이지만, 그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표수 0의 위의 유한 차원 리 대수에 대하여, 단순 리 대수, 반단순 리 대수, 아벨 리 대수 등의 성질은 아이디얼을 통해 정의된다.

3. 1. 함의 관계

가환환 \(K\) 위의 리 대수 \(\mathfrak g\)의 부분 집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 리 대수 아이디얼 ⊆ 부분 리 대수 ⊆ \(K\)-부분 가군 ⊆ 덧셈 부분군 ⊆ 부분 집합

3. 2. 다른 성질과의 관계

표수 0의 위의 유한 차원 리 대수 \mathfrak g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성질들이 아이디얼로서 정의된다.

리 대수의 종류리 대수 아이디얼을 통한 정의
단순 리 대수정확히 두 개의 아이디얼 (즉, \{0\} \ne \mathfrak g)을 가지며, 아벨 리 대수가 아님
반단순 리 대수아벨 아이디얼은 \{0\} 밖에 없음
아벨 리 대수모든 K-부분 가군이 리 대수 아이디얼임
\{0\}정확히 한 개의 아이디얼을 가짐


4. 예

리 대수에는 자명한 리 대수 아이디얼이 존재한다. 리 대수의 직합에서 각 성분은 아이디얼을 이룬다. 리 대수의 중심은 항상 리 대수 아이디얼을 이룬다.

4. 1. 자명한 리 대수 아이디얼

모든 리 대수 \mathfrak g에 대하여, \{0\}\subseteq\mathfrak g\mathfrak g\subseteq\mathfrak g는 (자명하게) \mathfrak g의 리 대수 아이디얼이다. 이들에 대한 몫 리 대수는 각각 다음과 같다.

:\mathfrak g/\{0\} \cong \mathfrak g

:\mathfrak g/\mathfrak g \cong \{0\}

4. 2. 직합 성분

같은 가환환 위의 두 리 대수 ${\mathfrak {g}}$, ${\mathfrak {h}}$의 직합 ${\mathfrak {g}}\oplus {\mathfrak {h}}$에서, ${\mathfrak {g}}\oplus 0,0\oplus {\mathfrak {h}}\subseteq {\mathfrak {g}}\oplus {\mathfrak {h}}$는 각각 ${\mathfrak {g}}\oplus {\mathfrak {h}}$의 리 대수 아이디얼을 이루며, 이에 대한 몫 리 대수는 각각 다음과 같다.

  • ${\frac \oplus {\mathfrak {h}}}{\mathfrak {g}}}\cong {\mathfrak {h}}$
  • ${\frac \oplus {\mathfrak {h}}}{\mathfrak {h}}}\cong {\mathfrak {g}}$

4. 3. 리 대수 중심

가환환 K 위의 리 대수 \mathfrak g의 '''중심'''(center영어) \operatorname Z(\mathfrak g)는 모든 원소와 가환하는 원소들로 구성된 부분 리 대수이다.

:\operatorname Z(\mathfrak g)=\{x\in\mathfrak g\colon[x,\mathfrak g]=0\}

이는 아벨 리 대수를 이루며, 항상 리 대수 아이디얼을 이룬다. 이는 군론에서의 군의 중심 개념에 대응한다.

4. 4. 유도 리 대수

가환환 K 위의 리 대수 \mathfrak g가 주어졌을 때, 부분 공간

:[\mathfrak g,\mathfrak g] = \left\{[x_1,y_1]+\dotsb+[x_n,y_n] \colon n \in \mathbb N,\,x_1,x_2,\dotsc,x_n,y_1,y_2,\dotsc,y_n\in\mathfrak g\right\}\subseteq\mathfrak g

는 \mathfrak g의 리 대수 아이디얼을 이룬다. 이를 \mathfrak g의 '''유도 리 대수'''(derived Lie algebra영어)라고 한다.

4. 5. 리 대수 근기

리 대수 근기리 대수의 최대 가해 아이디얼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