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르그리트 당주 공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그리트 당주 공녀는 1430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잉글랜드의 헨리 6세와 결혼한 인물이다. 백년 전쟁의 평화 협정을 위해 정략결혼을 했으나, 헨리 6세의 정신 질환과 요크 공작과의 대립으로 랭커스터 왕조를 지지하며 장미 전쟁을 이끌었다. 헨리 6세를 대신해 랭커스터파를 이끌며 강력한 지도력을 보였지만, 튜크스베리 전투에서 패배하고 아들을 잃은 후 프랑스로 망명했다. 이후 프랑스로 돌아와 가난하게 살다가 1482년 사망했으며, 셰익스피어의 작품 등 대중문화에서 강인한 여성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헨리 6세 - 랭커스터 전쟁
    랭커스터 전쟁은 1415년 잉글랜드의 헨리 5세가 프랑스 왕위 계승권을 주장하며 프랑스를 침공하여 시작되었으나, 잔 다르크의 등장과 프랑스의 군사력 재건으로 1453년 프랑스의 승리로 종결되어 잉글랜드는 프랑스 내 영토 대부분을 상실하고 백년 전쟁의 흐름을 바꾸었다.
  • 1430년 출생 - 조반니 벨리니
    조반니 벨리니는 베네치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로, 유화 기법을 통해 색채와 빛의 조화를 이루었으며, 특히 '사크라 콘베르사치오네' 구도의 작품으로 베네치아 회화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 1430년 출생 - 밀성군
    밀성군 이침은 조선 세종의 아들로 밀성군에 봉해졌으며, 오위도총부 도총관을 역임하고 공신에 책록되는 등 조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그의 묘소는 하남시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
  • 1482년 사망 - 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
    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는 15세기 이탈리아의 우르비노 공작이자 뛰어난 용병대장이었고,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과 인문주의를 후원하여 우르비노 궁정을 문화 중심지로 만들었으며,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를 비롯한 예술가들을 후원했다.
  • 1482년 사망 - 폐비 윤씨
    조선 성종의 왕비였던 폐비 윤씨는 질투심과 후궁을 해하려 했다는 의혹 등으로 폐위되어 사사되었으며, 그녀의 죽음은 갑자사화의 원인이 되어 조선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마르그리트 당주 공녀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앙주 마르그리트
앙주 마르그리트 (15세기 장식 사본에서)
왕족 정보
정배
정배 칭호잉글랜드 왕비
재위1445년 4월 23일 – 1461년 3월 4일
1470년 10월 3일 – 1471년 4월 11일
대관일1445년 5월 30일
배우자헨리 6세 (1445년 결혼, 1471년 사망)
자녀에드워드
가문발루아=앙주가
아버지나폴리 왕 르네 당주
어머니로렌 여공 이자벨
출생일1430년 3월 23일
출생지신성 로마 제국, 로렌 공국 (바르 공국) 퐁타무송
사망일1482년 8월 25일 (52세)
사망지프랑스 왕국, 앙주 샹피에 쉬르 루아르
묻힌 곳프랑스 왕국, 앙제 대성당
프랑스 왕비 (주장)
재위1445년 4월 23일 – 1453년 10월 19일
기타 정보
프랑스어 이름Marguerite

2. 초기 생애와 결혼

마르그리트 당주는 1430년 3월 23일 프랑스 동부 로렌 공국(엄밀히는 바르 공령) 퐁타무송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앙주 공작 겸 나폴리 왕 르네 2세이고, 어머니는 로렌 공녀 이사벨이다. 로렌 공작 장 2세는 그의 형제이고, 보드몽 백작 부인 욜랑드 2세(Yolande d'Anjou)는 그의 누이이다. 프랑스 국왕샤를 7세의 왕비 마리 앙주는 그의 이모이며, 발루아 왕가의 방계인 발루아-앙주 왕가 출신이다. 어린 시절에는 외할머니 욜랑드 다라곤(Yolande d'Aragon)에게 길러졌다.[50]

1444년 5월, 마르그리트는 투르에서 잉글랜드 사절단을 만나 헨리 6세와의 결혼을 논의했고,[5] 1445년 4월 23일, 햄프셔의 티치필드 수도원에서 헨리 6세와 결혼했다.[11] 같은 해 5월 30일, 캔터베리 대주교 존 스태퍼드에 의해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잉글랜드 왕비로 즉위했다.[11]

잉글랜드의 헨리 6세와 앙주의 마르그리트의 결혼은 마르티알 도베르뉴의 ''샤를 7세의 밤 기도''의 삽화가 있는 원고에 묘사되어 있다.


이 결혼은 백년 전쟁의 평화 협상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정략결혼이었다. 왕의 측근인 서퍽 백작(후의 서퍽 공작) 윌리엄 드 라 폴과 헨리 보퍼트 추기경의 주도로 이루어졌으며, 마르그리트의 삼촌 샤를 7세도 참석했다.[5][7] 1444년 5월 22일에 서퍽 백작의 협상으로 체결된 투르 조약은 프랑스로부터의 지참금은 거의 없었고, 오히려 잉글랜드가 앙주와 메인을 양도(앙주 가문에 반환)하는 조건이었다.[51] 이러한 내용은 잉글랜드 궁정 내에서 불만을 쌓이게 했고, 장미 전쟁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52]

결혼 합의에는 프랑스와 23개월 휴전이라는 약속도 포함되었다.[12][8] 결혼의 현명함에 대한 의견은 엇갈렸지만,[9] 일반적인 이해는 그것이 진정한 평화 노력을 나타낸다는 것이었다.[12] 마르그리트는 헨리와 함께 샤를 7세와 서신을 교환하며 중재자 역할을 하려고 노력했다.[12] 즉위 직후, 앙주의 르네는 잉글랜드가 점령한 메인 지역을 앙주 공국에 할양하고 헨리가 앙주에 대한 그의 청구권을 포기하는 대가로 평생 동맹과 20년 휴전을 교환하려는 시도로 잉글랜드 왕실과 협상에 들어갔으나, 이 합의는 앙주와의 동맹 없이, 그리고 메인의 상실과 함께 끝났다.[8]

2. 1. 어린 시절

마르그리트 당주는 1430년 3월 23일[2] 프랑스 동쪽에 위치한 신성 로마 제국의 봉토였던 로렌의 퐁아무송에서 태어났다. 이 지역은 프랑스 왕가의 방계인 발루아-앙주 가문이 통치하고 있었다. 마르그리트는 르네 앙주 공과 로렌 공작 부인 이사벨라의 둘째 딸이었다. "선왕 르네"(Bon Roi René)로 널리 알려진 그녀의 아버지는 앙주 공작이자 나폴리, 시칠리아, 예루살렘의 명목상 국왕이었다. 마르그리트는 로렌의 에서 세례를 받았고, 아버지의 오랜 유모인 테오파니 라 마진의 보살핌 아래 초기에는 프로방스의 론 강에 있는 타라스콩 성과 시칠리아 왕국나폴리 근처 카푸아에 있는 옛 왕궁에서 시간을 보냈다. 어머니는 그녀의 교육을 담당했으며, 형제들을 가르쳤던 학자 앙투안 드 라 살에게 마르그리트가 수업을 받도록 주선했을 가능성이 있다. 어린 시절 마르그리트는 "작은 생명체"로 알려졌으며 프랑스식 연애 소설과 사냥에 관심이 있었다.[3]

그녀의 가족에는 정치, 전쟁, 행정에서 섭정과 여왕 대리로서 권력을 행사한 여러 저명한 여성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녀의 어머니인 로렌의 이사벨라는 남편이 1431년부터 1432년까지 그리고 1434년부터 1436년까지 부르고뉴 공작 필리프 2세에게 감금되었을 때 그의 대신 전쟁을 수행했으며, 로렌 공국을 직접 통치했다. 외할머니인 아라곤의 욜란다는 마르그리트가 어린 시절 아들의 섭정으로 앙주 공국을 통치하며 영국의 군사적 존재를 물리치고 상속권을 박탈당한 샤를 7세(도팽)를 지원했다.[4][12] 이러한 가족의 예가 훗날 마르그리트가 아들을 위해 섭정으로서 활동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4][5]

2. 2. 헨리 6세와의 결혼

1444년 5월, 마르그리트는 투르에서 잉글랜드 사절단을 만나 헨리 6세와의 결혼을 논의했다.[5] 1445년 4월 23일, 햄프셔의 티치필드 수도원에서 헨리 6세와 결혼했다.[11] 그녀는 15세였고 그는 23세였다. 1445년 5월 30일, 캔터베리 대주교 존 스태퍼드에 의해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잉글랜드 왕비로 즉위했다.[11]

이 결혼은 백년 전쟁의 평화 협상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정략결혼이었다. 왕의 측근인 서퍽 백작(후의 서퍽 공작) 윌리엄 드 라 폴과 헨리 보퍼트 추기경의 주도로 이루어졌으며, 마르그리트의 삼촌 샤를 7세도 참석했다.[5][7] 1444년 5월 22일에 서퍽 백작의 협상으로 체결된 투르 조약은 프랑스로부터의 지참금은 거의 없었고, 오히려 잉글랜드가 앙주와 메인을 양도(앙주 가문에 반환)하는 조건이었다.[51] 이러한 내용은 잉글랜드 궁정 내에서 불만을 쌓이게 했고, 장미 전쟁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52]

결혼 합의에는 프랑스와 23개월 휴전이라는 약속도 포함되었다.[12][8] 결혼의 현명함에 대한 의견은 엇갈렸지만,[9] 일반적인 이해는 그것이 진정한 평화 노력을 나타낸다는 것이었다.[12]

마르그리트는 헨리와 함께 샤를 7세와 서신을 교환하며 중재자 역할을 하려고 노력했다.[12] 즉위 직후, 앙주의 르네는 잉글랜드가 점령한 메인 지역을 앙주 공국에 할양하고 헨리가 앙주에 대한 그의 청구권을 포기하는 대가로 평생 동맹과 20년 휴전을 교환하려는 시도로 잉글랜드 왕실과 협상에 들어갔다.[12] 궁극적으로, 이 합의는 앙주와의 동맹 없이, 그리고 메인의 상실과 함께 끝났다.[8]

3. 잉글랜드 왕비로서의 삶

마르그리트는 헨리 6세와 교육 및 문화에 대한 관심사를 공유하며, 케임브리지 대학교 퀸즈 칼리지 설립을 지원했다.[15] 또한, 결혼을 주선하거나 재산 분쟁을 해결하고 구호품을 모으는 등 중재 활동을 펼쳤다.[19]

앙주레네잉글랜드가 점령한 메인 지역을 앙주 공국에 넘겨주고 헨리 6세가 앙주에 대한 권리 주장을 포기하는 조건으로 잉글랜드 왕실과 협상을 맺었으나, 앙주와의 동맹 없이 메인만 상실하는 결과로 이어졌다.[12][8] 마르그리트헨리 6세와 함께 샤를 7세에게 편지를 보내 중재하려 했다.

메인 상실은 배신으로 여겨졌고, 프랑스 출신이라는 이유로 마르그리트를 불신하던 잉글랜드 대중에게 큰 반발을 샀다.[12][6] 윌리엄 드 라 폴이 협상 책임자로 비난받았고, 마르그리트의 결혼에 대한 평판도 나빠졌지만, 마르그리트 자신은 공개적으로 비난받지는 않았다.[12] 1444년 서퍽 백작의 협상으로 맺어진 투르 조약은 프랑스로부터 지참금도 받지 못하고, 오히려 잉글랜드가 앙주와 메인을 앙주 가문에 반환하는 조건이었으며, 이는 잉글랜드 궁정 내 불만을 쌓이게 했고, 장미 전쟁의 한 원인이 되었다.[51][52]

헨리 6세는 군사 문제보다 종교와 학문에 더 관심이 많아 왕으로서 적합하지 않았다.[14] 그는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랐고, 섭정 귀족들에게 좌우되었다. 마르그리트와 결혼할 당시 헨리 6세의 정신 건강은 이미 불안정했으며, 1453년 외아들 웨일스 공 에드워드가 태어날 무렵에는 완전히 무너졌다.[14]

3. 1. 초기 활동

마르그리트는 헨리 6세와 교육 및 문화에 대한 공통의 관심사를 나누며 시간을 보냈다. 1448년 3월 30일, 케임브리지 대학교 퀸즈 칼리지 설립을 지원했다.[15]

마르그리트는 결혼을 주선하고, 부당하게 빼앗긴 재산을 돌려주며, 구호품을 모으는 등 중재 및 개입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19]

3. 2. 메인 상실과 대중의 불신

앙주레네잉글랜드가 점령한 메인 지역을 앙주 공국에 할양하고 헨리 6세가 앙주에 대한 그의 청구권을 포기하는 대가로 평생 동맹과 20년 휴전을 교환하려는 협상을 잉글랜드 왕실과 맺었다.[12] 그러나 이 합의는 앙주와의 동맹 없이 메인을 상실하는 결과로 끝났다.[8] 마르그리트헨리 6세와 함께 샤를 7세에게 서신을 보내며 중재자 역할을 하려고 노력했다.

메인 상실은 배신으로 여겨졌고, 프랑스 출신이라는 이유로 마르그리트를 불신하던 잉글랜드 대중에게 매우 인기가 없었다.[12][6] 협상에서의 역할 때문에 윌리엄 드 라 폴에게 책임이 돌아갔고, 마르그리트의 결혼에 대한 평판은 손상되었지만, 그녀 자신은 메인 상실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난받지 않았다.[12]

1444년 5월 22일, 서퍽 백작의 협상으로 체결된 투르 조약은 프랑스 측으로부터 지참금이 전혀 없었고, 오히려 잉글랜드 측이 앙주와 메인을 앙주 가문에 반환하는 조건이었다.[51] 이러한 내용은 잉글랜드 궁정 내에서 불만을 쌓이게 했고, 장미 전쟁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52]

3. 3. 헨리 6세의 정신 질환과 아들의 탄생

헨리 6세는 군사 문제보다는 종교와 학문에 더 관심이 많아 왕으로서 성공적이지 못했다.[14] 그는 생후 몇 개월 만에 왕위에 올랐고, 그의 행동은 섭정을 맡았던 보호자들과 귀족들에 의해 통제되었다. 마르그리트와 결혼했을 당시 헨리 6세의 정신 상태는 이미 불안정했으며, 1453년 10월 13일 외아들 웨일스 공 에드워드가 태어날 무렵에는 완전히 무너졌다.[14]

4. 장미 전쟁

마르그리트는 스코틀랜드에서 랭커스터 가문을 위한 추가 지원을 확보하려 했고,[30] 그녀의 주요 사령관인 헨리 보퍼트, 서머싯 공작 3세[31]는 1460년 12월 30일 웨이크필드 전투에서 요크 공작 리처드와 솔즈베리 백작의 연합군을 격파하여 큰 승리를 거두었다. 요크 공작과 솔즈베리 백작은 모두 참수되었고, 그들의 머리는 요크 시의 성문에 전시되었다. 마르그리트는 전투 당시 스코틀랜드에 있었기 때문에, 그녀가 처형 명령을 내렸을 가능성은 없다.[32]

1461년 2월 17일, 마르그리트는 세인트 올번스 제2차 전투에서 리처드 네빌, 워릭 백작 16세의 요크파 군대를 격파하고 남편 헨리 6세를 되찾았다.[33] 이 전투 후, 마르그리트는 요크파 포로인 윌리엄 본빌, 본빌 남작 1세와 토마스 키리엘 경의 처형을 명령했다. 이들은 헨리 6세를 보호하기 위해 감시하던 중 워릭에게 포로로 잡혔는데, 왕은 이들에게 면책을 약속했지만 마르그리트는 이를 무시하고 참수형을 명령했다. 그녀는 아들 에드워드 왕자에게 재판을 열게 하고 "착한 아들아, 이 기사들은 어떤 죽음을 맞이해야 할까?"라고 물었고, 에드워드 왕자는 왕의 자비 요청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머리를 베어야 한다고 답했다고 한다.[33]

4. 1. 요크 공작과의 대립

1453년 헨리 6세가 정신 질환으로 무능해지자, 요크 공작 리처드가 섭정으로 임명되었다.[16] 마르그리트는 요크 공작을 왕위에 대한 도전으로 여겼으며, 그와의 적대감이 심화되었다.[17] 1455년 헨리 6세가 회복된 후, 마르그리트는 요크 가문이 배제된 대평의회를 소집했다.[9] 이는 요크 가문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세인트 올번스 제1차 전투로 이어졌다.[24]

역사가 헬렌 마우러는 왕비와 요크 사이의 적대감이 1455년 세인트 올번스 제1차 전투 이후에 발생했다고 주장하며, 마르그리트가 1450년대 초 요크와 섬셋 공작 에드먼드 2세를 똑같이 편애했음을 보여주는 선물 증정 패턴 연구를 근거로 제시했다.[19] 반면 역사가 폴 머리 켄달은 마르그리트의 동맹인 윌리엄 드 라 폴(석세이프 공작)과 섬셋 공작 에드먼드가 요크 공작을 불신하도록 설득했다고 주장했다.[20]

1457년, 프랑스 장군 피에르 드 브레제가 이끄는 프랑스군이 잉글랜드 해안을 습격하여 켄트주 샌드위치 마을을 불태우자, 마르그리트는 대중의 분노로 인해 요크 공작의 친척인 워릭 백작 리처드에게 해군 지휘 임무를 맡겨야 했다.[23]

1459년, 블로어 히스 전투에서 적대 행위가 재개되었고, 제임스 투쳇(James Tuchet), 5대 오들리 남작이 리처드 네빌(Richard Neville), 5대 솔즈베리 백작이 지휘하는 요크군에 패하여 전사했다.[27] [28]

4. 2. 랭커스터파의 지도자

마르그리트는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남편 헨리 6세를 대신하여 랭커스터파의 지도자 역할을 했다. 헨리 보포르트(서머싯 공작, 에드먼드 보포르트의 아들), 헨리 퍼시(노섬벌랜드 백작), 재스퍼 튜더(펜브룩 백작, 헨리 6세의 이복동생), 헨리 홀랜드(엑서터 공작) 등의 유력 귀족들과 함께 랭커스터 왕조를 지지했다.[57] 왕은 헨리가 아닌 마르그리트라고까지 불릴 정도로, 그녀는 랭커스터파의 기치를 들고 스스로 전쟁을 지휘했다.

1460년 12월 웨이크필드 전투에서 요크 공작과 솔즈베리 백작을 사살하는 데 성공했다. 포로로 잡힌 요크파 기사들과 보병들에 대한 처벌은 매우 잔혹했는데, 훗날 셰익스피어는 희곡 『헨리 6세』에서 "저 프랑스의 암캐 같은 년!"이라고 마르그리트를 욕하는 대사를 넣었을 정도였다.[57][58]

그러나 1461년 2월 17일 세인트 올번스 제2차 전투에서 워릭 백작의 요크파 군대를 격파하고 남편을 되찾았지만,[33] 런던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북쪽으로 후퇴했다.[59] 그 사이 런던에 입성한 요크 공작의 장남 마치 백작이 에드워드 4세로 즉위하면서 요크파가 유리해졌다. 결국 1461년 3월 29일 토튼 전투에서 대패하여 노섬벌랜드 백작이 전사하고, 헨리 6세와 그의 아들 에드워드 등과 함께 스코틀랜드로 도망쳤다.

이후 잉글랜드 북부를 거점으로 저항을 계속하다가, 1462년 프랑스로 건너가 루이 11세의 지원을 받아 잉글랜드에 돌아왔지만, 요크파에게 거점을 잇달아 빼앗겼다. 1464년 헥섬 전투에서 서머싯 공작이 전사하고, 1465년 헨리 6세가 요크파에게 붙잡혀 런던탑에 투옥되면서 랭커스터파의 저항은 거의 사라졌다.[60]

4. 3. 초기 전투

1455년 제1차 세인트 올번스 전투에서 요크 공작과 그의 지지자들이 반격하여 서머싯 공작이 전사하고, 헨리 6세는 포로가 되었다. 정권은 다시 요크 공작이 장악했지만, 마르그리트는 스스로 궁정파를 장악하여 요크 공작과 대립했다. 1459년 9월 블로어 히스 전투에서 무력 충돌이 발생했다.[56]

마르그리트는 정신적으로 불안정했던 헨리 6세를 대신하여 랭커스터 왕조를 지지했다. 랭커스터파의 기치를 들고 스스로 전쟁을 지휘하며, 왕은 헨리가 아닌 마르그리트라고까지 불렸다.

1460년 12월 30일 웨이크필드 전투에서 요크 공작과 솔즈베리 백작이 사망했다.[57][58] 마르그리트는 전투 당시 스코틀랜드에 있었기 때문에, 그녀가 처형 명령을 내렸을 가능성은 없다.[32] 1461년 2월 17일 제2차 세인트 올번스 전투에서 마르그리트는 워릭 백작을 물리치고 헨리 6세를 구출했다.[33][59]

4. 4. 프랑스로의 망명

1461년 토튼 전투에서 랭커스터 군대가 패배하고,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4세가 즉위하면서 마르그리트는 아들 에드워드와 함께 웨일스와 스코틀랜드로 도망쳤다.[59] 이후 잉글랜드 북부를 거점으로 저항하다 1462년 프랑스로 건너가 사촌인 루이 11세의 지원을 받았다.[60]

프랑스에서 마르그리트는 루이 11세와 동맹을 맺고, 그의 부추김으로 에드워드 4세의 전 지지자였던 리처드 네빌 워릭 백작에게 접근했다. 워릭 백작은 에드워드 4세가 엘리자베스 우드빌과 결혼하면서 사이가 틀어졌고, 정치적 영향력을 잃은 것에 대한 복수를 원하고 있었다. 워릭의 딸 앤 네빌은 마르그리트의 아들인 웨일스 공 에드워드와 결혼하여 동맹을 굳혔다. 마르그리트는 워릭이 먼저 잉글랜드로 돌아가 자신의 충성심을 증명할 것을 요구했고, 워릭은 이를 받아들여 1470년 10월 3일 헨리 6세를 잠시 왕위에 복위시켰다.[59] 그러나 1464년 헥섬 전투에서 서머싯 공작이 전사하고, 1465년 헨리 6세가 요크파에게 붙잡혀 런던탑에 투옥되면서 랭커스터파의 저항은 거의 사라졌다.[60]

4. 5. 튜크스베리 전투와 패배

마르그리트 당주는 워릭 백작과 함께 잉글랜드로 돌아갈 준비를 했으나, 1471년 4월 14일 바넷 전투에서 워릭 백작이 에드워드 4세에게 패배하여 사망하면서 상황이 요크 가문에게 유리하게 돌아갔다.[34] 1471년 5월 4일, 마르그리트는 튜크스베리 전투에서 랭커스터 군대를 이끌었으나 패배했고, 열일곱 살 아들 웨스트민스터의 에드워드가 사망했다.[34] 에드워드의 사망 원인은 불분명하며, 전투 중 사망했는지, 클래런스 공작에게 처형되었는지 알 수 없다.[34] 튜크스베리 전투 패배와 아들의 죽음으로 마르그리트는 좌절했다.[34] 윌리엄 스탠리에게 포로로 잡힌 마르그리트는 에드워드 4세의 명령으로 월링포드 성을 거쳐 런던탑에 투옥되었다.[34] 헨리 6세 또한 런던탑에 투옥되어 5월 21일 밤 사망했는데, 왕정 살해가 의심된다.[34] 1472년 마르그리트는 서퍽 공작 부인 앨리스 초서의 감호를 받았고, 1475년 루이 11세가 몸값을 지불할 때까지 잉글랜드에 억류되었다.[34]

5. 말년과 죽음



마르그리트는 프랑스에서 7년 동안 국왕의 빈한한 친척으로 살았다. 프랑수아 드 비뇨르의 후원을 받았으며, 앙주 근처 루아르 강변의 댕피에르 성에서 가난하게 1482년 8월 25일 5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5] 그녀는 앙제 대성당에 있는 부모 옆에 묻혔으나, 프랑스 혁명 동안 대성당을 약탈한 혁명가들에 의해 유해가 제거되고 흩어졌다.

6. 유산 및 평가

마르그리트는 왕비 재임 기간 동안 많은 편지를 썼으며, 이 편지들은 현재까지 남아있다. 그 중 하나는 지참금 토지의 일부였던 엔필드 영지의 세입자들에게 가해진 피해와 관련하여 런던 시정부에 보낸 것이다.[36] 또 다른 편지는 캔터베리 대주교에게 보낸 것이다.[37][38] "By the Quene"이라는 말로 시작하는 마르그리트의 편지들은 세실 먼로(Cecil Munro)가 편집하여 1863년 캠던 학회(Camden Society)에서 출판한 책에 수록되어 있다.[40]

장미 전쟁에서 랭커스터파의 지도자로서 전쟁을 지휘했으며, 왕위 계승권을 확보하기 위해 수단을 가리지 않는 태도를 보였다. 웨이크필드 전투 이후 포로로 잡힌 요크파 기사들과 보병들에 대한 잔혹한 처벌은 비난받았다.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희곡 『헨리 6세』에서 마르그리트를 "저 프랑스의 암캐 같은 년!"이라고 묘사했다.[57][58]

훗날 마르그리트의 남편 헨리 6세의 라이벌인 에드워드 4세의 왕비가 된 엘리자베스 우드빌(Elizabeth Woodville) (약 1437년 출생)은 마르그리트 당주의 시녀였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역사가들은 증거 부족으로 인해 이를 확실하게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마르그리트의 궁정에는 엘리자베스나 이사벨라 그레이라는 이름을 가진 여러 여성이 있었기 때문이다.[41]

6. 1. 긍정적 측면

마르그리트는 왕비 재임 기간 동안 많은 편지를 작성했으며, 이 편지들은 현재까지 남아있다. 그 중 하나는 지참금 토지의 일부였던 엔필드 영지의 세입자들에게 가해진 피해와 관련하여 런던 시정부에 보낸 것이다.[36] 또 다른 편지는 캔터베리 대주교에게 보낸 것이다.[37][38] "By the Quene"이라는 말로 시작하는 마르그리트의 편지들은 세실 먼로(Cecil Munro)가 편집하여 1863년 캠던 학회(Camden Society)를 위해 출판한 책에 수록되어 있다.[40]

6. 2. 부정적 측면

장미 전쟁에서 랭커스터파의 지도자로서 전쟁을 지휘했으며, 왕위 계승권을 확보하기 위해 수단을 가리지 않는 태도를 보였다. 웨이크필드 전투 이후 포로로 잡힌 요크파 기사들과 보병들에 대한 잔혹한 처벌은 비난받았다.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희곡 『헨리 6세』에서 마르그리트를 "저 프랑스의 암캐 같은 년!"이라고 묘사했다.[57][58]

6. 3. 종합 평가

마르그리트는 왕비 재임 기간 동안 많은 편지를 작성했으며, 이 편지들은 현재까지 남아있다. 그 중 하나는 지참금 토지의 일부였던 엔필드 영지의 세입자들에게 가해진 상해와 관련하여 런던 시정부에 보낸 것이다.[36] 다른 하나는 캔터베리 대주교에게 보낸 것이다.[37][38] "By the Quene"이라는 말로 시작하는 마르그리트의 편지들은 세실 먼로(Cecil Munro)가 편집하여 1863년 캠던 학회(Camden Society)에서 출판한 책에 수록되어 있다.[40]

엘리자베스 우드빌(Elizabeth Woodville) (약 1437년 출생)은 훗날 마르그리트의 남편 헨리 6세의 라이벌인 에드워드 4세의 왕비가 되었는데, 마르그리트 당주의 시녀였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역사가들은 증거 부족으로 인해 이를 확실하게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마르그리트의 궁정에는 엘리자베스나 이사벨라 그레이라는 이름을 가진 여러 여성이 있었기 때문이다.[41]

7. 대중문화에서의 묘사

마르그리트는 대중문화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역사극 4부작(헨리 6세 1부, 헨리 6세 2부, 헨리 6세 3부, 리처드 3세)에 주요 등장인물로 나온다. 셰익스피어는 마르그리트를 남편을 쉽게 지배하고 적들과 권력 다툼을 벌이는 지능적이고 무자비한 여성으로 묘사했다.
  • '''역사 소설'''에서 진 플레이디의 "앙주의 붉은 장미", 수잔 히긴보텀의 "마지막 희망의 여왕", 캐서린 호킨의 "피와 장미" 등에서 주인공으로 등장한다.[1][2][3][4] 필리파 그레고리의 소설 "강의 여인", "킹메이커의 딸" 등에서는 조연으로 등장한다.[1][2][3][4]
  • '''TV 드라마'''에서 1965년부터 1966년까지 제작된 텔레비전 극장 시리즈 《장미 전쟁》에서 페기 애쉬크로프트가 연기했다.[46] 2013년 BBC 시리즈 《흰 여왕》에서는 베를레 베이텐스(Veerle Baetens)가,[47] 2012년부터 2016년까지 BBC에서 제작한 셰익스피어 역사극 각색 시리즈인 《속이 빈 왕관》에서는 소피 오코네도(Sophie Okonedo)가 마르그리트 역을 연기했다.[48]

7. 1. 윌리엄 셰익스피어

마거릿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역사극 4부작(헨리 6세 1부, 헨리 6세 2부, 헨리 6세 3부, 리처드 3세)에서 주요 등장인물이다. 그녀는 네 작품 모두에 살아있는 인물로 등장하는 유일한 인물이다. 극의 길이 때문에 현대 각색에서는 대사가 많이 삭제되는 경우가 많다.[42] 셰익스피어는 마거릿을 남편을 쉽게 지배하고 적들과 맹렬하게 권력 다툼을 벌이는 지능적이고 무자비한 여성으로 묘사한다. 헨리 6세 2부에서 마거릿은 서퍽 공작과 불륜을 저지르고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그의 잘린 머리를 가지고 다닌다. 헨리 6세 3부에서 요크 공작 리처드 플랜태지넷은 그녀를 "프랑스의 암캐/그러나 프랑스의 늑대보다 더 악한/그녀의 혀는 살모사의 이빨보다 더 독이 있다!"라고 부른다. 후에 그녀는 요크 공작을 전장에서 조롱한 후 직접 찌르고 아들 에드워드가 그녀 앞에서 죽자 자살 충동을 느낀다. 현실에서 마거릿은 남편과 아들의 죽음 후 잉글랜드 밖에서 여생을 보냈지만, 셰익스피어는 그녀를 리처드 3세에서 궁정으로 돌아오게 한다. 마거릿은 카산드라와 같은 예언자 역할을 한다. 그녀는 첫 등장에서 랭커스터 가문의 몰락에 대한 책임이 있는 귀족 대부분을 극적으로 저주한다. 그녀의 모든 저주는 글로스터의 리처드에 의해 귀족들이 배신당하고 처형됨에 따라 실현되며, 각 인물은 처형 전에 그녀의 저주를 떠올린다. 셰익스피어는 마거릿을 "네 성별에 얼마나 어울리지 않는가/아마존 여인처럼/운명에 사로잡힌 자들의 고통을 향해/승리의 환호를 지르는 것은"라고 묘사했다.[43]

셰익스피어 작품에서 마거릿의 중요성 때문에 많은 연극 제작자들은 그녀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해석하며 그녀가 등장하는 작품에서 자료를 가져온다. 엘리자베스 셰이퍼와 필리파 켈리의 각색 작품인 ''마거릿 오브 앙주''는 2016년 바이 조브 극단에 의해 런던에서 공연되었다.[44] 세 편의 헨리 6세 극과 리처드 3세를 각색한 에릭 팅과 필리파 켈리의 ''장미 전쟁''은 2018년 캘리포니아 셰익스피어 극장에서 마거릿에게 큰 비중을 두고 공연되었다.[45] 2018년 맨체스터의 로열 익스체인지 극장은 네 작품에 걸쳐 마거릿이 말한 모든 대사와 극작가 제이니 오헤어의 추가 자료를 사용한 ''퀸 마거릿''을 초연했다.[42]

7. 2. 역사 소설

진 플레이디의 소설 "앙주의 붉은 장미", 수잔 히긴보텀의 소설 "마지막 희망의 여왕", 캐서린 호킨의 소설 "피와 장미" 등에서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필리파 그레고리의 소설 "강의 여인", "킹메이커의 딸" 등에서는 조연으로 등장한다.[1][2][3][4]

7. 3. TV 드라마


  • 1965년부터 1966년까지 제작된 텔레비전 극장 시리즈 《장미 전쟁》에서 마르그리트는 11개 에피소드 중 7개에 출연했으며, 페기 애쉬크로프트가 연기했다.[46]
  • 2013년 BBC 시리즈 《흰 여왕》에서 마르그리트는 베를레 베이텐스(Veerle Baetens)가 연기했다.[47]
  • 2012년부터 2016년까지 BBC에서 제작한 셰익스피어 역사극 각색 시리즈인 《속이 빈 왕관》에서 마르그리트는 소피 오코네도(Sophie Okonedo)가 연기했다.[48]

참조

[1] 웹사이트 Margaret of Anjou https://www.bbc.co.u[...] BBC Radio 4 2020-05-28
[2] 논문 The Birth of Margaret of Anjou 1988-06-01
[3] 서적 Henry VI, Margaret of Anjou, and the Wars of the Roses from Contemporary Chronicles, Letters, and Records Fonthill Media
[4] 서적 (페이지 참조)
[5] 서적 Shadow King: The Life and Death of Henry VI Head of Zeus
[6] 서적 Queenship in Medieval Europe Palgrave Macmillan
[7] 서적 The Brut; or, the Chronicles of England Early English Text Society
[8] 서적 Shadow King: The Life and Death of Henry VI Head of Zeus
[9] 서적 The reign of King Henry VI Sutton 2004-01-01
[10] 문서 Corporation of London Records Office, Journal IV.
[11] 서적 The Good King: René of Anjou and Fifteenth Century Europe Palgrave Macmillan
[12] 서적 Margaret of Anjou: Queenship and Power in Late Medieval England Boydell 2004-01-01
[13] 서적 Henry VI Yale University Press
[14] 서적 1066 And All That https://archive.org/[...] Methuen
[15] 서적 (페이지 참조)
[16] 서적 (페이지 참조)
[17] 서적 (페이지 참조)
[18] 서적 (페이지 참조)
[19] 웹사이트 Review of Maurer, Helen (2003); Margaret of Anjou: Queenship and Power in Late Medieval England http://www.history.a[...] 2011-03-01
[20] 서적 (페이지 참조)
[21] 서적 (페이지 참조)
[22] 서적 (페이지 참조)
[23] 서적 (페이지 참조)
[24] 서적 The reign of King Henry VI: the exercise of royal authority, 1422–1461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1-01-01
[25] 서적 The Wars of the Roses: military activity and English society, 1452-1497 Routledge & Kegan Paul 1981-01-01
[26] 서적 Margaret of Anjou: queenship and power in late medieval England Boydell Press 2003-01-01
[27] 웹사이트 Wars of the Roses http://dx.doi.org/10[...] 2023-12-18
[28] 웹사이트 "Chapter 9: The First War (1459-1461)" Wars of the Roses http://dx.doi.org/10[...] 2023-12-18
[29] 웹사이트 Sculptor and medallist Pietro di Martino da Milano (also known as Pietro da Sormano, Petar Martinov, and Pierre de Milan) is first mentioned in the documents of Milan Cathedral on 15 January 1430 https://www.italiana[...]
[30] 서적 (페이지 참조)
[31] 서적 (페이지 참조)
[32] 서적 (페이지 참조)
[33] 서적 (페이지 참조)
[34] 서적 A Historical Dictionary of British Women Europa Publications Ltd
[35] 웹사이트 The life and times of Margaret of Anjou, queen of England and France; and of her father René "the Good", king of Sicily, Naples, and Jerusalem https://archive.org/[...] 2016-12-17
[36] 서적 Letters of Queen Margaret of Anjou and Bishop Beckington and Others https://books.google[...] Camden Society 1863
[37] 서적 Letters of Queen Margaret of Anjou and Bishop Beckington and Others Camden Society 1863
[38] 문서 John Stafford and John Kemp 1443-05-13, 1452-05-25, 1452-07-21, 1454-03-22
[39] 서적 Letters of Queen Margaret of Anjou and Bishop Beckington and Others Camden Society 1863
[40] 서적 Letters of Queen Margaret of Anjou and Bishop Beckington, and Others https://books.google[...] Camden Society 1863
[41] 서적 The Coronation of Elizabeth Wydeville Gloucester Reprints 1975
[42] 웹사이트 Bringing Shakespeare's neglected women out of the shadows https://www.bbc.co.u[...] 2018-09-20
[43] 서적 She-Wolves: The Women Who Ruled England Before Elizabeth Harper Collins 2011
[44] 웹사이트 Margaret of Anjou http://www.byjovethe[...]
[45] 웹사이트 Introducing Margaret of Anjou https://web.archive.[...]
[46] 영상매체 The Wars of the Roses (TV Mini Series 1965–1966) - IMDb https://www.imdb.com[...]
[47] 영화 The White Queen https://www.imdb.com[...] BBC Drama Productions, BNP Paribas Fortis Film Finance, Company Pictures 2013-08-10
[48] 웹사이트 BBC Two - The Hollow Crown - Margaret https://www.bbc.co.u[...]
[49] 웹사이트 Margaret of Anjou queen of England https://www.britanni[...]
[50] 서적 (Unspecified title)
[51] 문서 Margaret of Anjou's marriage and early years in England.
[52] 문서 (Unspecified title)
[53] 문서 Margaret of Anjou's involvement in the suppression of the opposition.
[54] 문서 (Unspecified title)
[55] 문서 (Unspecified title)
[56] 문서 (Unspecified title)
[57] 문서 Executions after a battle.
[58] 문서 (Unspecified title)
[59] 문서 Post-battle executions and the failure to enter London.
[60] 문서 (Unspecified title)
[61] 문서 (Unspecified title)
[62] 문서 (Unspecified title)
[63] 문서 (Unspecified title)
[64] 문서 The Kingmaker's defec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