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비노기 영웅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비노기 영웅전은 3D 액션 RPG 게임으로, 스토리와 연계된 전투를 통해 던전을 탐험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3인칭 시점으로 캐릭터를 조작하며, 논타겟팅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 다양한 공격과 콤보, 물리 시스템을 활용한 전투가 가능하며, 최대 8인까지 참여하는 레이드와 기사단 전투도 즐길 수 있다. 데브캣 스튜디오에서 개발되었으며, 마비노기의 프리퀄이다. 게임은 11개의 캐릭터를 선택하여 플레이할 수 있으며, 각 캐릭터는 고유한 공격 방식과 스킬을 가지고 있다. 2010년 대한민국에서 출시되었으며, 이후 북미, 유럽 등 여러 지역에서 서비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비노기 - 리르의 딸 브란웬
    웨일스 신화에 등장하는 리르의 딸 브란웬은 아일랜드 왕과의 정략결혼으로 평화를 도모하려 했으나 불행과 전쟁을 겪는 여성 영웅으로, 가족애, 희생 정신, 한국 문화와의 유사성을 보여준다.
  • 마비노기 - 마비노기 2: 아레나
    마비노기 2: 아레나는 데브캣 스튜디오가 개발을 시도했으나 여러 사정으로 개발이 중단된 MMORPG이다.
  •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 - 그랜드체이스
    그랜드체이스는 KOG가 개발하여 2003년에 출시된 횡스크롤 액션 온라인 게임으로, 콤보, 특수 능력, 애니메이션풍 디자인을 특징으로 하며 PvE와 PvP 콘텐츠를 제공한다.
  •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 - 소울워커
    소울워커는 멸망한 세계에서 특별한 능력을 가진 소울워커들의 이야기를 그린 온라인 액션 RPG로, 개성 넘치는 캐릭터와 스타일리쉬한 액션, 독특한 세계관과 스토리가 특징이며, 넷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되었다.
  • 소스 게임 - 도타 2
    도타 2는 밸브 코퍼레이션에서 개발 및 배급한 MOBA 비디오 게임으로, 10명의 플레이어가 두 팀으로 나뉘어 상대 진영의 고대 요새를 파괴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e스포츠로서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
  • 소스 게임 - 에이펙스 레전드
    에이펙스 레전드는 Respawn Entertainment에서 개발하고 Electronic Arts에서 배급하는 부분 유료화 배틀 로얄 히어로 슈팅 게임으로, 세 명의 플레이어로 구성된 분대가 각기 다른 능력을 가진 "레전드" 캐릭터를 선택하여 경쟁하는 멀티플레이어 온라인 게임이며, 히어로 슈터의 요소와 타이탄폴 시리즈의 게임플레이 기능을 결합한 것이 특징이다.
마비노기 영웅전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란,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 중 하나
장르액션 RPG
MMORPG
핵 앤 슬래시
모드멀티플레이
플랫폼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개발사devCAT
배급사Nexon
엔진Source
출시일대한민국: 2010년 1월 21일
북미: 2010년 10월 13일
유럽: 2011년 10월 5일
일본: 2011년 11월 30일
중국: 2011년 12월 22일
대만: 2011년 12월 23일
호주: 2012년 11월 15일
태국: 2015년 12월 12일
감독은석 이
기타 정보
한국어 제목마비노기 영웅전
일본어 제목マビノギ英雄伝
장르 (일본어)MORPG
플랫폼 (일본어)Windows 7 64Bit
10
개발사 (일본어)devCAT Studio
배급사 (일본어)NEXON
온라인 게임 여부 (일본어)1
미디어 (일본어)다운로드
과금 방식 (일본어)기본 플레이 무료
아이템 과금
출시일 (일본어)대한민국: 2010년1월 21일
미국: 2010년10월 27일
일본: 2011년11월 30일
영문 제목 (한국어 문서)Mabinogi Heroes
개발사 (한국어 문서)데브캣 스튜디오
배급사 (한국어 문서)넥슨
엔진 (한국어 문서)소스 엔진
장르 (한국어 문서)액션 게임
MORPG
모드 (한국어 문서)온라인 멀티 플레이
이용가 등급 (한국어 문서)18세 이상 이용가(일반)
15세(청소년용)
플랫폼 (한국어 문서)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입력 장치 (한국어 문서)키보드
게임 패드
마우스
언어 (한국어 문서)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원작 (한국어 문서)마비노기
시리즈 (한국어 문서)마비노기 시리즈

2. 게임플레이

3D 액션 RPG 게임으로, 스토리와 연계된 전투를 부여받고 던전에서 전투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한다. 플레이어는 3인칭 시점으로 캐릭터를 조작하며, 주어진 커맨드를 입력하여 공격을 하거나 스킬을 사용하여 몬스터를 처치한다. 옵션에서 키보드 모드와 마우스 모드 중 원하는 조작 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며, 게임패드로도 조작이 가능하다.

플레이어는 던전에서 전투를 완수하거나 아이템을 입수하는 방법으로 연계된 스토리를 진행해야 한다. 일반적인 던전은 4인까지, 특수한 보스몹 레이드 시에는 8인까지 플레이 할 수 있다. 최대 24인까지 참여할 수 있는 기사단 전투도 존재한다. 선착장에서 배를 타고 던전에 도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각 던전에서는 다양한 사물이나 지형이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몬스터를 쓰러뜨릴 수도 있다. 또한, 갈고리 사슬, 창과 같은 보조무기를 사용할 경우 몬스터의 움직임을 둔하게 만들거나 특정한 부위를 맞춰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다. 던전에서 획득한 아이템은 스토리 진행이나 제작 아이템의 재료로 쓰인다. 또한 밸브사의 소스 물리엔진을 사용하여 갑옷이 훼손되거나 물체가 파괴되는 효과로 더욱 실감나는 전투를 즐길 수 있다. 모든 전투가 논타겟팅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익숙해지는데 시간이 다소 걸리나 논타겟팅 특유의 손맛을 느낄 수 있다. 설정에 들어가서 보스 몹을 바라보게 설정할 수도 있다. 하지만 타겟팅이 오히려 진로를 방해하는 경우도 종종 있어서 마영전에서는 논타겟팅이 좀 더 편하다.

시즌 1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이비가 그노올 족장 보스 몬스터와 전투하는 게임 플레이 화면.


''마비노기 영웅전''은 플레이어가 다양한 공격, 콤보, 그리고 특수 기술을 사용하며 적의 공격을 회피하거나 막는 핵 앤 슬래시 전투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 전투에는 플레이어가 다양한 물체를 집어 던지거나, 적을 붙잡아 던지거나, 환경의 일부를 파괴할 수 있는 물리 시스템도 있다.[2] 다른 MMORPG와 달리, ''마비노기 영웅전''은 오픈 월드를 가지고 있지 않다. 대신, 플레이어는 중앙 허브 마을에서 시작하여 목록에서 전투 미션을 선택할 수 있다. 새로운 미션은 플레이어가 경험치를 얻고 스토리를 진행함에 따라 열린다. 미션은 일반적으로 플레이어가 테마 던전의 여러 방을 통과하며 몬스터와 함정을 피하고, 마지막에는 보스 전투로 끝난다. 대부분의 미션은 1~4명의 플레이어가 그룹을 이루어 플레이할 수 있으며, 일부 레이드 미션은 8명 이상의 그룹을 허용한다. 미션 사이의 허브 마을에서 플레이어는 장비를 업그레이드하고,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NPC를 위한 사이드 퀘스트를 완료할 수 있다.[13]

2. 1. 조작 방식

''마비노기 영웅전''은 3D 액션 RPG 게임으로, 플레이어는 3인칭 시점으로 캐릭터를 조작하며 키보드 모드와 마우스 모드 중 원하는 조작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게임패드로도 조작이 가능하다.[2] 설정에서 보스 몬스터를 바라보도록 설정할 수 있다.[2] 모든 전투가 논타겟팅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익숙해지는데 시간이 다소 걸리나 논타겟팅 특유의 손맛을 느낄 수 있다.[2]

2. 2. 전투 시스템



3D 액션 RPG 게임인 ''마비노기 영웅전''은 핵 앤 슬래시 전투 방식을 특징으로 하며, 플레이어는 3인칭 시점으로 캐릭터를 조작하며, 주어진 커맨드를 입력하여 공격을 하거나 스킬을 사용하여 몬스터를 처치한다.[2] 옵션에서 키보드 모드와 마우스 모드 중 원하는 조작 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며, 게임패드로도 조작이 가능하다.

모든 전투가 논타겟팅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익숙해지는데 시간이 다소 걸리나 논타겟팅 특유의 손맛을 느낄 수 있다. 설정에 들어가서 보스 몹을 바라보게 설정할 수도 있다. 하지만 타겟팅이 오히려 진로를 방해하는 경우도 종종 있어서 마영전에서는 논타겟팅이 좀 더 편하다. 플레이어는 다양한 공격, 콤보, 그리고 특수 기술을 사용하며 적의 공격을 회피하거나 막을수 있다.

전투에는 플레이어가 다양한 물체를 집어 던지거나, 적을 붙잡아 던지거나, 환경의 일부를 파괴할 수 있는 물리 시스템도 포함되어있다.[2] 갈고리 사슬, 창과 같은 보조무기를 사용할 경우 몬스터의 움직임을 둔하게 만들거나 특정한 부위를 맞춰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다. 밸브사의 소스 물리엔진을 사용하여 갑옷이 훼손되거나 물체가 파괴되는 효과로 더욱 실감나는 전투를 즐길 수 있다.

던전에서 획득한 아이템은 스토리 진행이나 제작 아이템의 재료로 쓰인다.

2. 3. 서버 문제 및 PvP 시스템

3. 캐릭터

클래스 구분이 아닌, 고유한 외모와 능력을 가진 베이스 캐릭터를 선택하여 플레이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각 캐릭터는 고유한 공격 방식, 착용 가능 무기, 스킬 등을 가지고 있다.

현재까지 등장한 베이스 캐릭터는 최초 캐릭터 리시타, 피오나, 그리고 이후 패치로 추가된 이비, 카록, 카이, 벨라, 허크, , 아리샤, 헤기, 델리아로 총 11개의 캐릭터가 있다.


  • '''리시타'''는 듀얼소드 또는 듀얼스피어를 사용하는 빠른 공격 스타일의 캐릭터이다. 무기에 따라 회피 방식과 스킬이 달라지나 두 타입 모두 빠르고 경쾌한 전투 방식, 크리티컬이 적중했을 때 사용 가능한 "글라이딩 퓨리" 스킬이 특징이다.

  • '''피오나'''는 롱소드, 롱해머, 방패(스몰실드/라지실드)를 사용하는 안정적인 방어와 반격이 특징인 캐릭터이다. SP를 모아 짧은 시간 스태미너 제약이 사라지고 슈퍼아머가 되는 "슬래싱 하이" 스킬을 사용한 상태에서의 폭발적인 루프 공격이 특징이다.

  • '''이비'''는 마법과 연금술을 사용하며, 스태프(원거리 마법 공격) 또는 배틀사이드(중거리 공격)를 사용하는 캐릭터이다. 부활 스킬을 보유하고 있다.

  • '''카록'''은 자이언트 종족으로, 기둥(높은 공격력) 또는 블래스터(근접 화포 무기)를 사용하며, '힘 겨루기' 스킬이 특징이다. 기둥은 느리지만 높은 타격감과 공격범위, 각각의 데미지가 높은 장점이 있으며 기둥던지기라는 스킬을 통해 기둥을 던져버리고 맨손격투로 전환도 가능하다. 블래스터는 장착형 근접화포무기로 복싱처럼 빠르고 탄력있는 근거리 플레이가 장점이다.

  • '''카이'''는 활(숏보우/롱보우) 또는 크로스건(빠른 공격 속도)을 사용하는 원거리 캐릭터이다. 활은 숏보우/롱보우로 전환이 가능하며 각각 자동조준, 빠른공격속도/ 수동조준, 느린공격속도의 탄력있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 '''벨라'''는 듀얼소드(리시타와 공유) 또는 듀얼블레이드(중장거리 공격)를 사용하며, 백래쉬를 통한 원거리 공격 되돌려보내기와 카운터가 특징이다.

  • '''허크'''는 그레이트소드를 사용하며, '공격 쳐내기'를 통해 보스 몬스터를 경직시킬 수 있다. 긴 리치의 대검을 이용한 공격이 가능하며, 철벽과 복수를 통한 안정적인 생존이 가능하다.

  • ''''''은 배틀글레이브를 사용하며, '낙화'와 '개화' 스킬을 연계하여 큰 피해를 입히는 히트앤런 스타일의 캐릭터이다.

  • '''아리샤'''는 캐스틀릿과 롱블레이드를 사용하는 마검사형 캐릭터로, '마나' 자원을 활용한 강력한 공격이 특징이다. 마나 블레이드 상태에서 이를 소모해 강력한 공격이 가능하다. 소모한 마나는 마나블레이드를 해제한 상태의 일반공격으로 수급한다.

  • '''헤기'''는 팬텀대거를 사용하는 지능 캐릭터로, 환영의 조각을 활용한 추가 공격과 범위형 버프 스킬을 사용한다. 보조장비는 이비와 공유하며, 장신구와 귀걸이는 아리샤와 공유한다. 최초의 남자 지능캐릭터이기에 그 당시에 있던 장비에 착용의 문제점이 있어, 헤기가 출시된 이후로, 남캐와 여캐가 따로 입던 장비 중 몇가지가 남여 공용으로 통합되었다.

  • '''델리아'''는 바스타드소드를 사용하는 캐릭터로, 강력한 다단히트 기술과 넓은 범위의 스킬을 사용한다. 공주이지만 기사의 길을 걷는다는 설정을 지닌 캐릭터로,기본공격을 3타만 할 수 있으나,스킬 레벨업을 통해 추가타 스매시를 사용할 수 있다.

3. 1. 캐릭터 목록

현재까지 등장한 베이스 캐릭터는 최초 캐릭터 리시타, 피오나, 그리고 이후 패치로 추가된 이비, 카록, 카이, 벨라, 허크, 린, 아리샤, 헤기, 델리아로 총 11개의 캐릭터가 있다.

  • '''리시타'''는 듀얼소드 또는 듀얼스피어를 사용하는 빠른 공격 스타일의 캐릭터이다. 무기에 따라 회피 방식과 스킬이 달라지나 두 타입 모두 빠르고 경쾌한 전투 방식, 크리티컬이 적중했을 때 사용 가능한 "글라이딩 퓨리" 스킬이 특징이다.

  • '''피오나'''는 롱소드, 롱해머, 방패(스몰실드/라지실드)를 사용하는 안정적인 방어와 반격이 특징인 캐릭터이다. SP를 모아 짧은 시간 스태미너 제약이 사라지고 슈퍼아머가 되는 "슬래싱 하이" 스킬을 사용한 상태에서의 폭발적인 루프 공격이 특징이다.

  • '''이비'''는 마법과 연금술을 사용하며, 스태프(원거리 마법 공격) 또는 배틀사이드(중거리 공격)를 사용하는 캐릭터이다. 부활 스킬을 보유하고 있다.

  • '''카록'''은 자이언트 종족으로, 기둥(높은 공격력) 또는 블래스터(근접 화포 무기)를 사용하며, '힘 겨루기' 스킬이 특징이다. 기둥은 느리지만 높은 타격감과 공격범위, 각각의 데미지가 높은 장점이 있으며 기둥던지기라는 스킬을 통해 기둥을 던져버리고 맨손격투로 전환도 가능하다. 블래스터는 장착형 근접화포무기로 복싱처럼 빠르고 탄력있는 근거리 플레이가 장점이다.

  • '''카이'''는 활(숏보우/롱보우) 또는 크로스건(빠른 공격 속도)을 사용하는 원거리 캐릭터이다. 활은 숏보우/롱보우로 전환이 가능하며 각각 자동조준, 빠른공격속도/ 수동조준, 느린공격속도의 탄력있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 '''벨라'''는 듀얼소드(리시타와 공유) 또는 듀얼블레이드(중장거리 공격)를 사용하며, 백래쉬를 통한 원거리 공격 되돌려보내기와 카운터가 특징이다.

  • '''허크'''는 그레이트소드를 사용하며, '공격 쳐내기'를 통해 보스 몬스터를 경직시킬 수 있다. 긴 리치의 대검을 이용한 공격이 가능하며, 철벽과 복수를 통한 안정적인 생존이 가능하다.

  • ''''''은 배틀글레이브를 사용하며, '낙화'와 '개화' 스킬을 연계하여 큰 피해를 입히는 히트앤런 스타일의 캐릭터이다.

  • '''아리샤'''는 캐스틀릿과 롱블레이드를 사용하는 마검사형 캐릭터로, '마나' 자원을 활용한 강력한 공격이 특징이다. 마나 블레이드 상태에서 이를 소모해 강력한 공격이 가능하다. 소모한 마나는 마나블레이드를 해제한 상태의 일반공격으로 수급한다.

  • '''헤기'''는 팬텀대거를 사용하는 지능 캐릭터로, 환영의 조각을 활용한 추가 공격과 범위형 버프 스킬을 사용한다. 보조장비는 이비와 공유하며, 장신구와 귀걸이는 아리샤와 공유한다. 최초의 남자 지능캐릭터이기에 그 당시에 있던 장비에 착용의 문제점이 있어, 헤기가 출시된 이후로, 남캐와 여캐가 따로 입던 장비 중 몇가지가 남여 공용으로 통합되었다.

  • '''델리아'''는 바스타드소드를 사용하는 캐릭터로, 강력한 다단히트 기술과 넓은 범위의 스킬을 사용한다. 공주이지만 기사의 길을 걷는다는 설정을 지닌 캐릭터로,기본공격을 3타만 할 수 있으나,스킬 레벨업을 통해 추가타 스매시를 사용할 수 있다.

4. 시스템

마비노기》의 일부 시스템을 답습하면서도, AP를 이용한 스킬 랭크업, 타이틀 획득만으로 효과 적용 등 차별화된 요소를 가지고 있다.

스킬 시스템은 원작처럼 랭크업의 방식을 취하고 있으나, 레벨업이 아닌 전투 완수나 메디테이션 스킬을 통해 획득한 AP를 통해 스킬을 올린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스킬은 스킬창[v]눌러 일정 골드를 지불하고 입수할 수 있으며, 중요한 스킬은 스토리 진행 중에 따로 스킬을 입수할 수 있다. 또한, 스킬을 수련하는 중에는 다른 스킬의 랭크업을 진행할 수 없다.

마비노기 영웅전의 타이틀 또한 원작처럼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얻을 수 있으나, 그 타이틀을 장착하지 않고 획득하는 것만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4. 1. 스킬

마비노기》의 일부를 답습하고 있으나 세부적인 요소에서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스킬 시스템은 랭크업 방식을 취하고 있으나, 레벨업이 아닌 전투 완수나 메디테이션 스킬을 통해 획득한 AP(Ability Point)를 통해 스킬을 올린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스킬은 스킬창(V)을 눌러 일정 골드를 지불하고 입수할 수 있으며, 중요한 스킬은 스토리 진행 중에 따로 스킬을 입수할 수 있다. 또한, 스킬을 수련하는 중에는 다른 스킬의 랭크업을 진행할 수 없다.

4. 2. 타이틀

마비노기 영웅전의 타이틀은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얻을 수 있으며, 타이틀을 장착하지 않아도 획득하는 것만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는 원작인 마비노기와는 다른 점이다.

5. 개발

2006년부터 데브캣 채용 안내 문서에서 코드 네임인 '프로젝트 영웅전'으로만 소개되다가, 2007년 4월 2일 넥슨을 통해서 게임 정보가 처음으로 정식 발표되었다.[16] 데브캣 스튜디오의 김동건 본부장은 소스 엔진의 사용에 대해서 강조하며 "소스엔진의 사실적인 하이엔드 비주얼 표현력 역시 영웅전을 돋보이게 할 것이며, 밸브에서도 이 프로젝트에 많은 관심을 보이며 협조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17] ''마비노기 영웅전''은 소스 엔진으로 개발되었다.[1] 이은석 디렉터는 인터뷰에서 세계를 더욱 현실적이고 상호작용적으로 만들기 위해 소스 물리 엔진을 선택했다고 설명했다.[1]

''마비노기 영웅전''은 devCAT에서도 개발한 MMORPG ''마비노기''의 프리퀄이다. ''마비노기 II: 아레나''라는 시리즈의 세 번째 게임도 개발 중이었으나 2014년에 취소되었다.[4] 2015년에는 ''디아블로 III: 영혼을 거두는 자''의 아트워크가 포함된 ''마비노기 영웅전'' 업데이트가 출시되었다. 넥슨은 해당 이미지를 삭제하고 사과했다.[5]

2024년 2월, 넥슨은 언리얼 엔진으로 개발된 새로운 게임 ''빈딕투스: 파멸의 운명''을 공개했다. ''파멸의 운명''은 ''마비노기 영웅전''과 같은 세계관을 배경으로 하는 액션 RPG이며, 원작 게임의 란과 피오나를 포함한 첫 번째 플레이어블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이 게임은 한 달 후 공개 프리 알파 테스트를 진행했다.[6]''마비노기 영웅전''은 2010년 1월 21일 대한민국에서 처음 출시되었다. 북미에서는 9월 15일에 오픈 베타로 출시되었으며,[7] 한 달 뒤 정식 출시되었다.[8] 이 게임은 원래 넥슨 웹사이트를 통해 배포되었으며, 이후 2012년 Steam을 통해 출시되었다.[9]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유럽, 호주 및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도 출시되었지만, 이후 일부 지역 버전은 종료되었거나 북미 서버에 통합되었다.[10][11]

6. XE 버전

마비노기 영웅전은 프리미어 버전과 XE(eXtreme Edition) 버전 두 가지가 존재한다. 초기 개발 버전이자 기본 버전이 프리미어 버전이고, 프리미어 버전에서 현실성을 덜고 가볍고 호쾌한 액션을 추구한 버전이 XE 버전이다. XE 버전은 프리미어 버전에 비해 점프, 띄우기, 콤보 시스템 및 공중 콤보, XE 무브 등의 요소가 추가되었고 일부 캐릭터의 스킬이나 전투 스타일이 변경되었으며, 몬스터의 패턴 난이도도 일부 하향 조정되었다.

대한민국에서 별도 서버의 형태로 처음 시작하였으며, 중국과 유럽에서 XE 버전으로 서버를 오픈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대한민국 XE 서버는 이용자 수가 적어 2014년 4월 프리미어 서버와 통합되는 형태로 폐쇄되었으나, 기존에 XE 버전으로 운영하던 중국, 유럽 서버에서는 현재도 XE 버전으로 계속해서 서비스하고 있다.

6. 1. 서비스 지역

대한민국에서는 2010년 1월 21일 처음 출시되었다.[7] 북미에서는 2010년 9월 15일에 오픈 베타로 출시되었으며, 한 달 뒤 정식 출시되었다.[8] 이 게임은 원래 넥슨 웹사이트를 통해 배포되었으며, 이후 2012년 Steam을 통해 출시되었다.[9]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유럽, 호주 및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도 출시되었지만, 이후 일부 지역 버전은 종료되었거나 북미 서버에 통합되었다.[10][11]

7. 줄거리

《마비노기 영웅전》은 《마비노기》와 세계관을 공유하는 프리퀄로, 켈트 신화를 바탕으로 한다.[1] 인간과 포모르 간의 전쟁을 배경으로, 낙원 '에린'을 향한 영웅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이야기는 주로 플레이어 캐릭터가 게임 내 마을의 다양한 NPC와 대화하며 진행되는 비주얼 노벨 형식으로 전개되며, 주요 이야기의 순간에는 애니메이션 컷신과 음성 연기가 포함된다.[13]

게임 스토리는 새로운 콘텐츠가 주기적으로 추가되는 에피소드 방식으로 공개되며,[3] 이 에피소드들은 더 큰 시즌으로 묶인다.


  • 시즌 1에서 플레이어는 크림슨 블레이드 용병단의 신입 단원이 되어 인간과 포모르의 전쟁에 참여한다.
  • 시즌 2에서는 플레이어가 말리나 섬 마을에서 코퍼 체이서라는 보물 사냥꾼 그룹에 합류한다.
  • 시즌 3에서는 기억 상실 사건을 조사하기 위해 지하 도시 베르베로 향한다.
  • 시즌 4는 시즌 3의 직접적인 연속으로, 새로운 위협에 맞서는 이야기를 다룬다.

8. 논란

2015년 2월 27일, 확률형 아이템 '스칼렛 플루트'에서 획득 가능한 '일렁이는 불 조각'의 확률 조작 논란이 있었다. 넥슨이 특정 유저가 불 조각을 다량 보유 시 획득 확률이 낮아지도록 조작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이 논란은 한 유저의 실험을 통해, 인벤토리에 불 조각이 한 개만 있을 경우 불 조각이 무조건 지급되는 현상이 발견되면서 불거졌다. 넥슨은 긴급 임시 점검을 통해 확률을 복구하고, 불 조각을 0개 획득한 유저들에게 그 횟수만큼 불 조각을 지급하였다. 이후 넥슨은 공지사항을 통해 '확률 조작은 없었으며, 시스템상의 오류'라고 해명했다.

9. 평가

''마비노기 영웅전''은 리뷰 애그리게이터 메타크리틱에서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12] 유로게이머의 존 베드포드는 게임의 그래픽, 전투, 조작을 칭찬했지만, 부분 유료화에 대해서는 비판했다.[13] GameZone의 마이크 스플렉타 또한 전투를 칭찬하며 ''마비노기 영웅전''을 무료 MMORPG의 "엄청난 발전"이라고 칭했지만, 던전 반복에 대해 불만을 제기하며 "이전 지역의 방을 끊임없이 재활용한다"고 언급했다.[14]

''마비노기 영웅전''은 2010년 대한민국 게임대상에서 기획/시나리오, 그래픽, 캐릭터, 사운드 부문에서 수상했으며, "인기 게임상"과 대상을 수상하여 총 6개의 상을 받았다.[15]

10. 타이업

웹 단편 애니메이션 《카요에! 마비노기 영웅전/カヨえ!マビノギ英雄伝일본어》은 도카이 TV 방송의 《카요에! 츄가쿠》와의 콜라보레이션 작품이다.

참조

[1] 웹사이트 Curb-stomping baddies in Vindictus https://www.pcgamer.[...] PC Gamer 2023-07-25
[2] 웹사이트 Nexon Officially Launches Vindictus, the First True Physics-Based Action Online Game https://www.ign.com/[...] IGN 2023-07-25
[3] 웹사이트 Vindictus Episode 4 is Now Live, Opening Up Two New Dungeons and Raising the Level Cap to 44 https://www.ign.com/[...] IGN 2023-07-25
[4] 웹사이트 Mabinogi II: Arena stops development https://www.engadget[...] Engadget 2023-07-25
[5] 웹사이트 Getting Caught Using Diablo III Art Makes Nexon Very Sorry https://www.kotaku.c[...] Kotaku 2023-07-25
[6] 웹사이트 New Action-RPG Vindictus: Defying Fate Announced https://www.ign.com/[...] IGN 2024-02-28
[7] 웹사이트 Vindictus to Kick Off Early Access to Open Beta on Sept. 15, 2010 https://www.ign.com/[...] IGN 2023-07-25
[8] 웹사이트 Vindictus has launched! Officially! https://www.pcgamer.[...] PC Gamer 2023-07-25
[9] 웹사이트 Vindictus on Steam https://store.steamp[...] Valve 2023-07-25
[10] 웹사이트 Vindictus opens Australian server, welcomes Mexicans https://www.vg247.co[...] VG247 2023-07-25
[11] 웹사이트 Mabinogi Prequel Vindictus Is Shutting Down After Almost 7 Years Of Service In Japan https://www.silicone[...] Siliconera 2023-07-25
[12] 웹사이트 Vindictus for PC Reviews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2023-07-25
[13] 웹사이트 Vindictus Review https://www.eurogame[...] Eurogamer 2023-07-25
[14] 웹사이트 Vindictus review https://www.gamezone[...] GameZone 2023-07-25
[15] 웹사이트 Nexon's Vindictus Named Top Game at the 2010 Korea Game Awards at G-Star https://www.ign.com/[...] IGN 2023-07-25
[16] 웹인용 데브캣, 2개의 새 게임 만들고 있다. http://www.thisisgam[...] 디스이즈게임 2010-01-05
[17] 웹인용 데브캣 신작 프로젝트 영웅전, 윤곽 공개! http://www.thisisgam[...] 디스이즈게임 2010-01-05
[18] 뉴스 '국내 최대의 게임 축제' 지스타2007 금일 개막 https://news.naver.c[...] 동아닷컴 2007-11-08
[19] 뉴스 국내최대 게임쇼 ‘지스타 2008’ 개막 https://news.naver.c[...] 파이낸셜 뉴스 2008-11-13
[20] 웹인용 마비노기 영웅전 새소식 SMS 신청 안내 http://heroes.nexon.[...] 넥슨 2009-09-28
[21] 뉴스 마비노기 영웅전은 극사실주의 전투를 표방 http://www.gamedonga[...] 게임동아 2010-01-05
[22] 뉴스 마비노기 영웅전 오픈 첫날 PC방 RPG 순위 6위 진입 http://www.thisisgam[...] 디스이즈게임 2010-01-05
[23] 뉴스 영웅전 PC방 오픈 동시접속자수 1만 돌파 http://www.thisisgam[...] 디스이즈게임 2010-01-05
[24] 웹인용 Vindictus for PC Reviews http://www.metacriti[...] CBS Interactive 2018-0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