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쓰오카 요스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쓰오카 요스케는 일본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1880년에 태어나 1946년에 사망했다. 그는 해운 재벌의 아들로 태어나 미국 유학을 통해 영어를 습득하고 기독교 신앙을 갖게 되었다. 외교관 시험에 합격하여 외무성에서 근무하며 상하이 주재 부영사, 관동도독부 등을 거쳤고, 파리 강화 회의에 일본 대표단의 일원으로 참여했다. 이후 남만주 철도 이사 및 부사장, 중의원 의원을 역임했으며, 1933년 국제 연맹 탈퇴를 주도했다. 1940년 외무대신으로 임명되어 삼국 동맹 조약을 체결하고 소일 중립 조약을 성사시켰으나, 독소 전쟁 발발 후 소련 공격을 주장하며 대미 관계 악화를 초래하여 사임했다. 그는 유창한 영어 실력과 국제 외교 무대에서의 활약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독단적인 외교 스타일과 대미 강경책으로 일본을 전쟁으로 이끌었다는 비판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급 전범 피고 - 오카와 슈메이
오카와 슈메이는 일본의 사상가이자 이슬람 연구가, 우익 운동가로, 도쿄제국대학에서 인도 철학을 전공하고 남만주철도 조사부에서 아시아주의를 주창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후 A급 전범으로 기소되었으나 정신 질환으로 재판이 중단된 후 코란 번역에 몰두했고, 그의 사상은 일본 제국주의와 대동아공영권 구상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 A급 전범 피고 - 나가노 오사미
나가노 오사미는 러일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고 해군 요직을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령부총장으로서 진주만 공격을 승인하는 등 전쟁을 주도한 일본 제국 해군 군인이었으나, 종전 후 A급 전범으로 기소되어 재판 중 사망했다. - 남만주철도 사람 - 나가스에 에이이치
나가스에 에이이치는 후쿠오카현 출신의 정치인으로, 해군 군인으로 레이테만 해전에 참전하여 생존했으며, 참의원 의원, 중의원 의원을 거쳐 민주사회당 위원장을 역임하다가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 남만주철도 사람 - 고토 신페이
고토 신페이는 일본의 의사이자 관료, 정치가로서,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에 걸쳐 내무대신, 외무대신, 철도원 총재, 도쿄 시장 등을 역임하며 대만총독부 민정장관, 만철 총재, 도쿄 부흥원 총재 등을 지내며 일본 근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일본의 척무대신 - 도고 시게노리
도고 시게노리는 조선인 도공 후손으로 도쿄 제국대학 졸업 후 외무성에 들어가 만주, 스위스, 독일, 소련 등지에서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소일 중립 조약 체결에 기여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외무대신으로서 미일 관계 개선을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여 전범으로 징역 20년을 선고받았으며, 종전 과정에서 포츠담 선언 수용을 주장하여 일본 항복에 기여한 외교관이자 정치인이다. - 일본의 척무대신 - 우가키 가즈시게
우가키 가즈시게는 일본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육군대신과 조선총독을 역임했으며, 군사 개혁을 단행하고 황국신민화 정책을 추진했으나, 수상 취임에 실패하고 외무대신으로서 중일 전쟁 종식을 시도했으나 실패한 후 참의원 의원을 지냈다.
마쓰오카 요스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마쓰오카 요스케 (松岡 洋右) |
출생일 | 1880년 3월 4일 |
출생지 | 히카리, 야마구치현, 일본 제국 |
사망일 | 1946년 6월 27일 |
사망 장소 | 스가모 형무소, 도쿄, 점령하 일본 |
국적 | 일본 |
배우자 | 마쓰오카 류코 (신) |
자녀 | 겐이치로 가네코 요지 히로코 (입양 조카) |
부모 | 마쓰오카 산주로, 마쓰오카 유 (오가와) |
직업 | 외교관, 각료 |
학력 | 메이지 대학, 오리건 대학교 |
경력 | |
소속 정당 | ( 입헌정우회 → ) ( 정당해소연맹 → ) 무소속 |
재임 기간 | 1940년 7월 22일 ~ 1941년 7월 16일 |
국왕 | 쇼와 |
이전 | 아리타 하치로 |
이후 | 도요다 데이지로 |
재임 기간 | 1940년 7월 22일 ~ 1940년 9월 28일 |
선거구 | 야마구치 2구 |
당선 횟수 | 2회 |
임기 | 1930년 2월 21일 ~ 1933년 12월 28일 |
2. 초기 생애 및 미국 유학
마쓰오카 요스케는 1880년 야마구치현에서 태어나 1893년 사촌 겐스케와 함께 미국으로 건너가 오리건주 포틀랜드에 정착했다.[1] 미국인 던바 부인의 가정에서 하숙하며 미국 적응에 도움을 받았고, 던바 부인의 영향으로 기독교인이 되었다.
포틀랜드의 애킨슨 그래머 스쿨(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 프랭크(Frank)라는 미국 이름을 갖게 되었고,[3][16][4]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로 이주하여 오클랜드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포틀랜드로 돌아왔다.[5] 법학자를 꿈꾸며 버스 안내원, 커피 외판원, 일본어 통역 등으로 학비를 벌면서 1900년 오리건 대학교 로스쿨을 졸업하였다.[5][6][7]
2. 1. 일본에서의 유년 시절과 사업 실패
마쓰오카 요스케는 1880년 3월 4일 야마구치현 구게군 (현 히카리시 무로즈미)에서 해운업을 하는 집안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1] 그러나 11세 때 아버지의 사업이 파산하면서 어려운 유년 시절을 보냈다.[1]2. 2. 미국 유학과 기독교 입문
1880년 야마구치현에서 태어난 마쓰오카 요스케는 1893년 친척과 함께 미국으로 건너가 오리건주 포틀랜드에 정착했다.[1] 그는 감리교 선교사들의 후원을 받으며 영어를 공부했고, 독실한 기독교 신자가 되었다.[3][16][4]마쓰오카는 포틀랜드의 애킨슨 그래머 스쿨(현재 애킨슨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프랭크 마쓰오카'라는 미국 이름을 사용했다.[3][16][4] 이후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로 이주하여 오클랜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다시 포틀랜드로 돌아왔다.[5]
마쓰오카는 미국에서 생활하는 동안 인종 차별을 경험했다. 이러한 경험은 "미국인에게는, 비록 위협을 받더라도 자신이 옳을 경우에는 길을 양보해서는 안 된다."라는 신조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2. 3. 오리건 대학교 법학대학원 졸업
1900년 오리건 대학교 로스쿨(법학대학원)을 졸업했다.[6][7] 법학자의 꿈을 품고 버스 안내원, 커피 외판원, 일본어 통역 등 여러 아르바이트로 학비를 벌었다.[5] 와세다 대학과 오리건 대학교는 긴밀한 관계였는데, 마쓰오카는 와세다 대학의 법학 강의록을 구해 공부할 정도로 학구열이 높았다. 학생 동료들에 따르면 그는 포커의 명수였다고도 한다.[5]3. 외교관 경력
1904년 외교관 시험에 합격한 마쓰오카는 외무성에 들어가 상하이 주재 일본 영사관 부영사로 임명되었다.[77] 이후 관동주 도독부에 배속되어 고토 신페이, 야마모토 조타로와 교류했다. 워싱턴 D.C. 주재 일본 대사관 1등 서기관, 파리 강화 회의 일본 대표단원으로 활동하는 등 18년 동안 외교관으로 근무했다. 데라우치 마사타케 내각과 고토 신페이 외무대신 시절 비서를 지냈으며, 시베리아 출병을 적극 옹호했다.[77] 1921년 외무성을 퇴직했다.
3. 1. 외무성 입성과 초기 경력
1902년, 마쓰오카는 어머니의 건강 악화로 일본으로 돌아왔다. 도쿄 제국대학 입학을 시도했으나, 연줄이 부족하고 해외 유학을 인정하지 않는 도쿄대 법학부의 방침 때문에 실패했다.[77] 독학으로 외교관 시험을 준비하여 1904년 외교관 및 영사관 시험에 수석으로 합격하고 외무성에 들어갔다. 일설에 따르면, 외무성 입성은 러일 전쟁 징병을 피하려는 의도도 있었다고 한다.[77]외무성에서는 처음 중화민국 상하이의 영사관 보좌관으로 근무했고, 이후 관동도독부 등에서 근무했다. 이 시기에 남만주철도(만철) 총재였던 고토 신페이와 미쓰이 물산의 야마모토 조타로의 도움을 받았다.[77] 벨기에 근무를 명 받았지만 "앞으로의 일본에는 대륙이 중요하기 때문에"라고 말하며 중화민국 근무를 계속 희망했다고 알려져 있다. 짧은 기간 동안 러시아 제국, 미국에서 근무한 후, 데라우치 내각 (고토 신페이 외무대신)에서 총리대신 비서관 겸 외무 서기관으로서 시베리아 출병에 깊이 관여했다.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 수행원으로 참석하여 일본 정부 대변인으로 활약했고, 고노에 후미마로와 만나게 된다. 1921년 외무성을 퇴직했다.
3. 2. 파리 강화 회의 참가와 시베리아 출병 관여
1919년, 마쓰오카는 파리 강화 회의에 일본 대표단의 일원으로 참석했다. 데라우치 마사타케 내각총리대신과 데라우치의 외무대신 고토 신페이의 비서를 지낸 그는, 뛰어난 영어 실력으로 대표단 내에서 큰 역할을 수행했다.[77] 또한, 마쓰오카는 러시아 내전에서 볼셰비키 세력에 맞선 일본의 시베리아 출병을 적극적으로 옹호했다.[77]4. 남만주철도와 정치 경력
마쓰오카는 1902년 귀국하여 외교관이 되었고, 2년 뒤 상하이 부영사를 거쳐 1921년까지 18년간 외교관으로 근무했다. 1921년 남만주 철도(만철) 이사로 취임하며 만주로 건너갔고, 1927년 만철 부사장을 역임했다. 1930년 만철을 퇴직하고 중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77]
1933년 일본이 만주사변을 일으키고 만주국을 세우면서 국제 여론이 악화되자, 국제연맹은 조사단을 파견했다. 이에 마쓰오카는 일본의 국제연맹 탈퇴를 주도했다.[77] 이후 의원직을 사퇴하고 만철 총재로 취임했으며, 관동군 특무장교 도조 히데키와 가까워졌다.[77]
마쓰오카는 입헌정우회를 탈당하고 이탈리아의 국가 파시스트당을 본뜬 정당을 창당하려 했으나 대중적 지지를 얻지 못했다.[8] 그는 파시스트 운동을 존경했지만, 만주국에 유대인 난민을 정착시키는 계획을 지지하기도 했다.
4. 1. 남만주철도 이사 및 부사장 취임
1921년, 마쓰오카는 외무성을 퇴직하고 남만주철도(만철) 이사로 취임했다.[8] 1927년에는 만철 부사장으로 승진하여,[8] 푸순 탄광 확장과 석탄 액화 공장 건설을 담당했다.4. 2. 중의원 의원 당선과 국제연맹 탈퇴 주도
1930년 총선거에서 마쓰오카 요스케는 야마구치현에서 입헌정우회의 지원을 받아 일본 중의원 의원에 당선되었다.[8]만주 사변 (1931년), 만주국 수립, 그리고 일본의 행위를 비난하는 국제 연맹의 리턴 보고서가 발표된 후, 마쓰오카는 1933년 국제 연맹에 파견될 일본 대표단을 이끌면서 다시 외교 무대로 소환되었다. 마쓰오카는 국제 연맹을 비난하고 일본의 탈퇴를 발표하는 연설을 하여 국제적인 악명을 얻었으며, 일본 대표단을 이끌고 국제 연맹 총회 회의장을 떠났다.[9][10]

4. 3. 만철 총재 취임
1935년, 마쓰오카는 다시 만주로 건너가 남만주 철도(만철) 총재가 되었다.[8] 그는 만철 총재로서 조사 부문을 강화하고, 만주, 조선, 일본 간의 연락 강화를 추진했다. 이 시기, 마쓰오카는 관동군 특무장교로 근무 중이던 도조 히데키와 급속히 가까워졌다.5. 외무대신 (1940-1941)
마쓰오카 요스케는 1940년 고노에 후미마로 총리에 의해 외무대신으로 임명되었다. 마쓰오카는 일본-나치 독일-이탈리아 왕국 간의 동맹을 강력히 지지했으며, 1940년 삼국 동맹 조약 체결의 주역 중 한 사람이었다. 그는 이 동맹이 미국을 견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었다.
1940년 12월 31일, 마쓰오카는 유대인 사업가들에게 일본이 독일과 동맹을 맺고 있지만, 반유대 정책과는 무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11]
1941년 3월, 독일 외무장관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는 마쓰오카에게 바르바로사 작전에 대해 언급하지 말고, 독일의 계획을 일본 측에 알리지 말라고 지시했다. 리벤트로프는 마쓰오카에게 싱가포르를 공격하도록 설득하려 했으나, 마쓰오카는 싱가포르 점령 준비가 진행 중이라고 답했다.[13]
1941년 4월, 마쓰오카는 소련-일본 중립 조약을 체결하였다. 그러나 1941년 6월 독소 전쟁이 발발하자, 아돌프 히틀러는 일본에게 소련을 공격해 달라고 요청하였고, 마쓰오카는 이를 강력히 지지하였다. 그러나 고노에 총리와 육해군 고위 장교들은 소련 공격 대신 미국을 공격하고 남방으로 진출하기로 결정했다.
마쓰오카는 계속 소련 공격을 주장하는 동시에 미국을 상대로 한 협상에서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그는 미국이 일본을 전쟁으로 몰아가기 위해 음모를 꾸미고 있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마쓰오카의 대미 적대감은 고노에를 놀라게 하였고, 고노에는 미국과의 전쟁을 피하려고 했다. 결국 고노에는 내각을 개편하여 마쓰오카를 외무대신에서 물러나게 했고, 도요다 데이지로를 새로운 외무대신으로 임명하였다.
태평양 전쟁 발발 후, 마쓰오카는 삼국 동맹 조약에 참여한 것을 후회하며, 죽음조차 이 감정을 없애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14]
5. 1. 삼국 동맹 조약 체결
제2차 고노에 내각에서 마쓰오카는 외무대신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일본-나치 독일-이탈리아 왕국 간의 삼국 동맹 조약을 강력하게 옹호했는데, 이는 중국을 침략하는 일본을 압박하는 미국을 견제하기 위한 최적의 균형추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마쓰오카는 1940년 9월 27일 베를린에서 삼국 동맹 조약 체결을 주도했다.[11]5. 2. 소련과의 중립 조약 체결
1941년 3월에서 4월 사이에 마쓰오카는 모스크바와 베를린을 방문했다. 1941년 4월 모스크바 방문 중에 소일 중립 조약에 서명했다.[14] 이 조약은 일본이 남방으로 진출하는 동안 소련의 침공 위협을 줄이는 데 기여했다.5. 3. 독소 전쟁 발발과 대소 강경책 주장
1941년 6월 독소 전쟁이 발발하자, 아돌프 히틀러는 일본에게 소련을 공격해 달라고 요청했고, 마쓰오카는 이를 강력히 지지했다. 마쓰오카는 고노에 총리와 육해군 고위 장교들에게 소련 공격을 강하게 압박했으나, 그들은 소련 공격 대신 미국을 공격하고 남방으로 진출하기로 결정했다.[14]5. 4. 대미 관계 악화와 외무대신 사임
마쓰오카는 미국과의 협상에서 강경한 태도를 유지했으며, 미국이 일본을 전쟁으로 몰아가기 위해 음모를 꾸미고 있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마쓰오카의 대미 적대감은 고노에 총리를 불안하게 만들었는데, 고노에는 미국과의 전쟁을 피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14]결국 고노에는 마쓰오카를 외무대신에서 물러나게 하기 위해 내각을 개편하기로 결정했다. 1941년 7월, 고노에는 내각을 총사퇴하고 마쓰오카를 제외한 제3차 고노에 내각을 발족시켰으며, 새 외무대신으로 도요다 데이지로를 임명했다. [14]
6. 외무대신 사임 이후
마쓰오카는 외무대신에서 물러난 후 전쟁 기간 동안 별다른 역할 없이 지냈다. 일본의 항복 이후, 연합군 최고사령부에 의해 전범으로 체포되어 스가모 형무소에 수감되었다.[47] 그는 극동 국제 군사 재판에 기소되었으나, 재판이 끝나기도 전인 1946년 6월 27일, 지병인 결핵으로 도쿄 대학 병원에서 사망했다.[15] 그의 묘소는 아오야마 영원에 있다.
1979년, 그는 태평양 전쟁의 유죄 판결을 받은 전범 12명과 함께 야스쿠니 신사에 합사되었다.[16]
7. 평가와 논란
다케모토 마고이치(대정익찬회 부부장을 거쳐 정보국 과장 역임, 이후 민사당 중의원 의원)는 마쓰오카 요스케와 면담했을 때 그가 밝힌 두 가지 방침을 다음과 같이 전했다.[57]
"미국인의 기질은 접시닦이를 한 자신이 잘 알고 있다. 약한 태도로 맞서서는 안 된다. 어디까지나 강한 결의로 단호하게 교섭해야 한다. 얕보이면 끝이다. 또 하나는, 나의 외교의 기초는 해군이다. 이 우수한 해군을 배경으로 해서만 대미 교섭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칼을 뽑으면 끝이다, 전쟁이 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 속에서, 강한 일본 해군을 온존하면서 대미 교섭을 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면 반드시 잘 풀릴 것이고, 또 그렇게 해야만 한다."
마쓰오카 미쓰오(마쓰오카 요스케의 조카)에 따르면, 마쓰오카는 방미 교섭 또한 검토하고 있었다.[57] 그는 "개선 장군처럼 국민적인 환호 속에서 귀국"한 뒤, "부인에게도 명령하여 여행 짐을 풀지 않은 채로, 그대로 미국으로 직행할 결의였다"고 한다.
7. 1. 긍정적 평가
마쓰오카 요스케는 뛰어난 언변과 유창한 영어 실력을 바탕으로 국제 외교 무대에서 일본의 입장을 대변했다.[48] 특히 이오시프 스탈린과의 회담에서 "우리들은 같은 아시아인이다"라는 발언[58] 등을 통해 일소 중립 조약 체결에 기여하여 일본의 북방 안보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호소카와 모리사다의 회고에 따르면, 마쓰오카는 아침부터 밤까지 쉬지 않고 말을 할 정도로 달변가였다고 한다.[48] 그는 자신의 논리에 심취하는 경향이 있었고, 다른 사람의 생각을 자신의 것처럼 주장하기도 했다.[49]
일부에서는 마쓰오카의 강경한 외교 정책이 당시 일본이 처한 어려운 국제 정세를 반영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7. 2. 부정적 평가
마쓰오카 요스케는 독단적이고 강경한 외교 스타일로 인해 많은 비판을 받았다. 특히 그의 외교 정책은 미국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켜 결국 일본을 전쟁으로 이끌었다는 점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50][51][52][53] 그의 "대동아공영권" 구상은 일본의 제국주의적 팽창 야욕을 드러낸 것이라는 비판을 받았다.마쓰오카는 쇼와 천황에게 "히틀러에게 매수된 것이 아닌가"라는 의심을 받을 정도로 친독일적 성향을 보였다.[54][55] 독소전 발발 이후에는 소련 침공을 주장하는 등 현실 감각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받았다.
다음은 마쓰오카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 쇼와 천황의 비판: 쇼와 천황은 『쇼와 천황 독백록』에서 마쓰오카를 "독일 편향", "남이 세운 계획에 항상 반대", "조약 파기를 괴로워하지 않는 특별한 성격"이라고 비판하며, 소련과의 중립 조약을 파기하고 이르쿠츠크까지 진격하라는 그의 주장에 대해 "이런 대신은 곤란하다"고 언급했다.
마쓰오카는 지나치게 말이 많고, 자신의 주장을 강하게 밀어붙이는 경향이 있었다. 호소카와 모리사다는 마쓰오카가 아침부터 밤까지 쉬지 않고 말을 했다고 회고했다.[48] 이마무라 히토시는 마쓰오카의 장광설을 "일종의 병"이라고 표현했다.[49]
야마다 후타로는 마쓰오카를 "상대의 패를 전혀 보지 않고 자신의 패만 보고 있는 마작꾼"이라고 비유하며, "야쿠만을 노리다가 야쿠만에 털렸다"고 평가했다.[59] 요나이 미쓰마사는 "사물을 객관적으로 판단하지 않고 자신의 주관이 절대적으로 옳다고 망상하기 때문에 위험하다"고 평가했다.[60]
7. 3. 기타 논란
만주 사변 이후 "만몽(만주와 몽골)은 일본의 생명선"이라는 표어가 자주 사용되었는데, 이는 1931년 1월 제59회 제국 의회에서 야당 정우회 의원이었던 마쓰오카 요스케가 하마구치 오사치 내각의 시데하라 기주로 외무대신의 협조 외교(시데하라 외교)를 비판하는 연설에서 처음 사용한 것이었다. 이 표어는 크게 유행하여 류카쿠산의 캐치프레이즈에 인용되기도 했다. "목은 신체의 생명선, 기침과 가래에는 류카쿠산"이 그 예이다.마쓰오카는 미국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빈곤층의 수재를 스파이로 키워낼 생각을 했다. 그는 아이누의 천재 소년 시쿠르시(와케 이치오)를 어릴 적부터 지원하여 5번의 월반을 거쳐 12세에 구시로 중학교를 졸업시켰다. 시쿠르시는 영어 외에 러시아어, 독일어, 유대어, 프랑스어, 에스파냐어, 베이징어, 화남어, 조선어, 부랴트어, 타갈로그어를 현지 수준으로 배우게 되었고, 마쓰오카는 그를 밀정으로 각국에 파견하여 정보를 수집했다.
1938년 오토폴 사건에서 마쓰오카는 만철 총재로서 유대인난민 구제를 위해 열차를 출동시키는 등 적극적으로 움직였다. 그는 유대인 난민을 위해 '히구치 루트'라고 불리는 만철 특별 열차를 운행하여 5,000명 이상을 상하이까지 구출했다.[56] 이 일로 나치의 불만을 샀지만, 마쓰오카는 이를 무시했다.
1940년 12월 31일, 외무대신이었던 마쓰오카는 재일 유대인 실업가들과의 회합에서 "인간 히틀러와의 제휴가 즉시 일본에서 반유대 정책을 실시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약속했다. 그는 "이것은 개인적인 견해가 아니라 일본의 견해이다"라고까지 언급하며, 반유대주의자가 아니었음을 밝혔다.
8. 유산
시즈오카현 고텐바 시에는 마쓰오카 요스케와 관련된 자료와 그가 수집한 도자기류를 전시하는 '마쓰오카 별장 도자기관'이 있다.[76]
그의 고향인 야마구치현 히카리시 무로즈미에는 마쓰오카 요스케 기념비가 건립되어 있다. 기념비 근처에는 마쓰오카 마스오의 자택이 있다.
9. 가족 관계
- 아내: 류 (공학 박사, 스스미 쥬로쿠의 장남 스스미 케이타의 장녀)[70]
- * 류의 고모 미츠는 서양사학자 미쓰쿠리 모토하치와 결혼했다.[71]
- 장남: 마쓰오카 켄이치로 (실업가, 전 일본 교육 텔레비전 부사장) - 야마구치 요시코의 연인[72]
- 장녀: 슈코 (전 궁내청 장관 타지마 미치하루의 장남 타지마 조지에게 시집감)
- 삼남: 마쓰오카 신조 - 1945년 학도 출진으로 관동군에 배속, 만주에서 종전을 맞아 진주한 소련군의 포로로 시베리아 억류를 당했다. 카초 히로노부의 딸 하루코와 결혼, 스미토모 금속 공업 뉴욕 사무소 소장 등을 거쳐 전무를 역임, 2010년 87세로 사망.[73][74][75]
- 사남: 마쓰오카 시로 - 토레이・듀폰 상무를 거쳐, 아버지의 별장인 마쓰오카 도자기관 관장을 맡아, 2019년 93세로 사망.
- 조카: 마쓰오카 미츠오 (정치인, 전 야마구치현 히카리 시장)
- * 미츠오의 장남은 히카리 시장, 그 후 중참 양원 의원 (자민당, 일본 신당, 무소속의 회, 민주당)을 역임한 마쓰오카 마스오.
- 조카: 사토 히로코 (사토 에이사쿠 부인)
- * 기시 노부스케・사토 에이사쿠 형제의 숙부인 사토 마츠스케에게 시집간 여동생 후지에다의 장녀.
참조
[1]
뉴스
Matsuoka Honors Woman Kind to Him
Nevada State Journal
1933-04-10
[2]
서적
Agony of Choice: Matsuoka Yosuke and the Rise and Fall of the Japanese Empire, 1880-1946
Lexington Books
2002
[3]
간행물
Current Biography 1941
[4]
서적
Agony of Choice: Matsuoka Yōsuke and the Rise and Fall of the Japanese Empire, 1880-1946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3-08-28
[5]
문서
Id. at 564
[6]
뉴스
Fourteen New Lawyers: Class of 1900 in University of Oregon Pass Examination
https://oregonnews.u[...]
2021-11-27
[7]
뉴스
Former Oregonian who died 50 years ago Sunday was a Japanese leader during World War II
https://www.oregonli[...]
Oregonian
2019-01-10
[8]
서적
Japan Manchukeo Yearbook
1938
[9]
AV media
(1/10) Battlefield II The Battle of Manchuria World War II
https://www.youtube.[...]
2009-05-01
[10]
웹사이트
Yosuke Matsuoka | World War II Database
http://ww2db.com/per[...]
2010-05-27
[11]
웹사이트
The Jews of Japan
http://www.jcpa.org/[...]
Jcpa.org
2010-10-26
[12]
서적
Hitler's Decision to Invade Russia, 1941
[13]
간행물
Trial of German Major War Criminals
[14]
웹사이트
第69回 ぼく一生の不覚 ~三国同盟締結・松岡洋右の誤算~
http://www.nhk.or.jp[...]
NHK
2010-10-30
[15]
서적
Judgment at Tokyo: The Japanese War Crimes Trials
University of Kentucky Press
[1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hinto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17]
서적
昭和史裁判
文藝春秋
[18]
웹사이트
「『満蒙は日本の生命線』とは
https://web.archive.[...]
日本経済新聞
2015
[19]
간행물
満蒙独立政権の樹立と我権益の確保
https://dl.ndl.go.jp[...]
満洲文化協会
1931-12
[20]
서적
日本外交文書:満州事変 第3巻
外務省
1981
[21]
서적
戦争まで 歴史を決めた交渉と日本の失敗
朝日出版社
2016-08
[22]
서적
満州事変から日中戦争へ
岩波新書
2007
[23]
웹사이트
あまりにもお粗末…松岡洋右が「国際連盟からの脱退」を宣言した「残念な理由」
https://gendai.media[...]
現代ビジネス-講談社
2022-05-12
[24]
서적
日独伊三国同盟 「根拠なき確信」と「無責任」の果てに
KADOKAWA
2021-11-10
[25]
서적
満州事変から日中戦争へ
岩波書店
2007-06
[26]
Youtube
松岡洋右 国際連盟脱退演説 "我が代表堂々退場す"
https://www.youtube.[...]
HISTORY CHANNEL
[27]
문서
当時の読売新聞朝刊・東京朝日新聞の1面は全面広告である。
[28]
뉴스
春秋
https://www.nikkei.c[...]
2016-08-25
[29]
웹사이트
歴史の授業における新聞活用
https://www.teikokus[...]
帝国書院
2015-04-15
[30]
뉴스
林総裁辞任、後任に松岡洋右
1935-08-01
[31]
뉴스
関東軍顧問として働く、と松岡総裁語る
1935-09-01
[32]
문서
山田(2010)pp.636-637
[33]
문서
小牟田(2015)pp.174-181
[34]
서적
日本とユダヤ、その友好の歴史
[35]
Youtube
ドイツ週刊ニュース 松岡外相のベルリン訪問【日独同盟】
https://www.youtube.[...]
[36]
뉴스
第28731号 1面
中日新聞
2022-11-12
[37]
웹사이트
参考資料室●日米諒解案
https://www.jacar.go[...]
[38]
웹사이트
昭和16年(1941年)4月22日第20回大本営政府連絡懇談会(議題:松岡外務大臣帰朝報告、対米国交調整)
https://www.jacar.go[...]
[39]
웹사이트
昭和16年(1941年)4月30日 松岡外務大臣、野村大使に対し「日米諒解案」の英文送付を要請
https://www.jacar.go[...]
[40]
웹사이트
昭和16年(1941年)5月3日 松岡外務大臣、野村大使に対し「オーラル・ステートメント」と「日米中立条約」申し入れを訓令
https://www.jacar.go[...]
[41]
웹사이트
昭和16年(1941年)5月8日第22回大本営政府連絡懇談会(議題:対米国交調整その後の状況)
https://www.jacar.go[...]
[42]
웹사이트
昭和16年(1941年)5月22日第25回大本営政府連絡懇談会(議題:蘭領インドシナ交渉、対米国交調整その後の状況、国民政府承認)
https://www.jacar.go[...]
[43]
웹사이트
昭和16年(1941年)5月13日 野村大使、本国に対し、松岡外務大臣の覚書手交を見合わせるよう意見具申
https://www.jacar.go[...]
[44]
웹사이트
昭和16年(1941年)6月22日野村大使・ハル米国務長官会談、ハルは、オーラル・ステートメントを手交、また、5月31日案(日本時間6月1日手交)のアメリカ政府訂正案を提示
https://www.jacar.go[...]
[45]
웹사이트
昭和16年(1941年)7月10日第38回大本営政府連絡会議(議題:日米国交調整、6月21日付ハル国務長官の回答に関する外務省側の意見)
https://www.jacar.go[...]
[46]
웹사이트
昭和16年(1941年)7月12日第39回大本営政府連絡懇談会(議題:日米国交調整、対ソ戦争に伴う満州国取り扱い要領決定)
https://www.jacar.go[...]
[47]
뉴스
荒木・南・小磯・松岡ら十一人に逮捕命令
朝日新聞
1945-11-20
[48]
서적
語りつぐ昭和史
[49]
서적
今村均回顧録
芙蓉書房出版
1993-10-25
[50]
웹사이트
昭和16年5月 機密戦争日誌(3画像目)
https://www.jacar.ar[...]
国立公文書館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21-10-11
[51]
웹사이트
昭和16年5月 機密戦争日誌(13画像目)
https://www.jacar.ar[...]
国立公文書館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21-10-11
[52]
웹사이트
昭和16年5月 機密戦争日誌(16画像目)
https://www.jacar.ar[...]
国立公文書館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21-10-11
[53]
웹사이트
昭和16年5月 機密戦争日誌(35画像目)
https://www.jacar.ar[...]
国立公文書館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21-10-11
[54]
웹사이트
昭和16年6月 機密戦争日誌(2)(9・10画像目)
https://www.jacar.ar[...]
国立公文書館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21-10-11
[55]
웹사이트
件名昭和16年6月 機密戦争日誌(2)(12画像目)
https://www.jacar.ar[...]
国立公文書館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21-10-11
[56]
웹사이트
樋口季一郎(ひぐちきいちろう) 2万人のユダヤ難民を救済 ユダヤ協会の樋口救出運動 「偉大なる人道主義者」
http://ifsa.jp/index[...]
国際留学生協会
2018-06-17
[57]
서적
私のなかの昭和史
荒地出版社
1982-02
[58]
간행물
雑誌『治安フォーラム』平成18年2月号
[59]
서적
人間臨終図巻
[60]
문서
海軍大将 米内光政覚書 高木惣吉写 実松譲写
[61]
웹사이트
昭和16年3月 機密戦争日誌(13画像目)
https://www.jacar.ar[...]
国立公文書館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21-10-11
[62]
서적
バスク大統領亡命記
三省堂
1989
[63]
문서
法廷証第116号: [松岡洋右關スル人事局履歴書]
[64]
간행물
官報
1920-09-08
[65]
간행물
官報
1941-10-23
[66]
간행물
官報
1909-07-12
[67]
간행물
官報
1924-07-05
[68]
간행물
官報
1940-12-28
[69]
간행물
官報
1943-08-16
[70]
문서
人事興信録 第9版
[71]
서적
『人事興信録 第2版』
[72]
서적
李香蘭 私の半生, 李香蘭を生きて
[73]
서적
よみがえる松岡洋右: 昭和史に葬られた男の真実
https://books.google[...]
PHP研究所
2016
[74]
뉴스
松岡震三・元住友金属工業専務が死去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0-12-16
[75]
간행물
同窓会誌『恵迪』第5号、p42
http://www.keiteki-o[...]
恵迪寮
2005
[76]
웹사이트
表富士観光キャラバン 体験プログラム紹介
http://omote-fuji.co[...]
2022-07-11
[77]
서적
한중일 석유전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