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오리 음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오리 음악은 마오리족의 전통 음악으로, 와이아타, 모테아테아, 카랑가, 타옹가 푸오로 등의 다양한 형태를 포함한다. 와이아타는 노래를 의미하며, 모테아테아는 고대 챈트로 미분음조를 사용한다. 카랑가는 환영 의식에서 부르는 공식적인 부름과 응답이며, 타옹가 푸오로는 마오리 음악에 사용되는 관악기, 타악기, 회전 악기를 통칭한다. 20세기 초 아피라나 응가타에 의해 와이아타-아-링가 등의 양식이 표준화되었고, 카파 하카 공연이 발전했다. 20세기 중반부터 기타가 마오리 공연의 반주 악기로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장르가 융합되었다. 뉴질랜드 음악상에서는 마오리 음악 관련 상을 수여하며, 마오리 쇼 밴드는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활동하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오리 문화 - 케리 흄
케리 흄은 뉴질랜드의 소설가, 시인, 영화 각본가, 연출가로, 소설 《뼈의 사람들》로 뉴질랜드 도서상과 부커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고, 마오리족과 파케하족을 포함한 다양한 인종의 관계, 뉴질랜드 사회의 다문화적 현실 등을 다룬 작품들을 발표했다. - 마오리 문화 - 토훈가
토훈가는 마오리 사회에서 영적인 능력과 지식을 활용하여 공동체에 기여한 전문가를 지칭하며, 카라키아, 파테레, 와이아타를 통해 영적인 존재들과 소통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성을 발휘했으나, 1900년대 초반 토훈가 억제법으로 문화적 손실을 겪었다.
마오리 음악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언어 | 마오리어 |
문화권 | 마오리족 |
분류 | |
분류 | 전통 음악 세계 음악 |
관련 음악 | 카라키아 와이아타 하카 모테테아 파테파테 포토로 코라우 푸카우 응가루루 |
악기 | |
악기 | 푸토라 포로루아 코아우아우 응가루 파카우투 푸카카 오카리나 로리 투투 와루 푸모아나 푸토리아 히네 파라라이 파카 라케 오레레 포타이 타타로아 토레 와카 푸로무쿠 |
특징 | |
특징 | 모노포니 미세음 마이크로토날 리듬 음악 리듬 변화 가사 목소리 |
음악 형식 | |
음악 형식 | 노래 연주 춤 |
중요 요소 | |
중요 요소 | 신화 전설 구전 전통 예식 의식 |
관련 주제 | |
관련 주제 | 마오리 문화 마오리 예술 마오리 언어 마오리 신화 |
2. 전통 마오리 음악
마오리족은 독특한 전통 음악 양식을 발전시켜왔다.
2. 1. 와이아타 (Waiata)
와이아타(waiata)는 문자 그대로 노래를 뜻하며, 마오리의 전통적 민요 양식이다. 독창이나 합창으로 부르며 성부를 나누어 부르기도 한다. 와이아타에는 자장가인 오리오리(oriori), 사랑 노래인 와이아타 아로하(waiata aroha), 애도를 나타내는 와이아타 탄기(waiata tangi) 등이 있다. 마오리 전통에서 모든 공식 연설 뒤에는 연사와 지지자들이 부르는 와이아타가 이어진다. 일부 작은 관악기도 함께 사용되며, 부들을 이용한 실로 만든 공에 줄을 매단 포이를 돌리는 소리가 리듬을 맞춘다.
노래(waiata)는 독창, 제창 또는 옥타브로 불린다. 노래의 종류에는 자장가(oriori), 사랑 노래(waiata aroha), 그리고 애가(waiata tangi)가 있다. 전통적으로 모든 공식 연설은 연설자와 그들의 지지자 그룹이 부르는 waiata로 끝맺는다. 작은 관악기 중 일부는 불어넣어 소리를 내기도 하며, 라우포(raupo영어, Typha orientalisla) 공을 매듭으로 만든 줄에 매달아 흔드는 포이(poi)의 소리는 waiata poi에 리듬 반주를 제공한다.
2. 2. 모테아테아 (Mōteatea)
쿡 선장은 18세기 후반 뉴질랜드 군도를 방문했을 때, 마오리족이 "반음"으로 노래하며 화성이 전혀 없는 불협화음으로 노래한다고 보고하였다. 쿡이 언급한 것은 고대 챈트인 모테아테아(Mōteatea)였다. 이 노래는 미분음조를 사용하여 악보에 하나의 음만을 나타내고 실제 노래할 때는 끝부분의 음 높이를 떨어뜨리며 선율을 반복하다가 마지막 선율에서 사라진다.[22] 노래가 중단되면 불길한 징조였기 때문에, 가수들은 여러 하위 그룹으로 나뉘어 번갈아 부르면서 노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다른 그룹이 숨을 쉴 수 있도록 하였다.[22]아피라나 응가타(1874년 - 1950년)는 모테아테아 가사를 수집한 채록집 《응가 모에아테아》(Ngā Mōteatea)를 출간하였다.[23]
2. 3. 카랑가 (Karanga)
카랑가는 마오리의 환영 의식인 포휘리(pōwhiri)에서 여성들이 주고받는 의례적인 부름과 응답이다. 주로 마라에(marae)에서 행해지며, 방문 목적과 그룹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24][25][26][27] 카랑가를 하는 여성을 카이카랑가(kaikaranga)라고 하며, 방문객 측에서 응답하는 사람은 카이화카우투(kaiwhakautu)라고 부른다.
2. 4. 타옹가 푸오로 (Taonga pūoro)
타옹가 푸오로(taonga pūoro)는 마오리 전통 악기를 통칭하는 말이다. 플루트, 나무 나발, 타악기 등 다양한 유형의 악기가 있으며, 사람이 내지르는 소리도 악기처럼 쓰인다.[1] 리처드 넌스(Richard Nunns), 히리니 멜버른(Hirini Melbourne), 브라이언 플린토프(Brian Flintoff)와 같은 연구자들과 애호가들의 노력으로 이러한 악기들의 소리, 역사, 이야기에 대한 방대한 지식과 정보가 제공되었다.[1]3. 전통 음악의 부활
20세기 초, 아피라나 응아타와 투이니 응가와이는 마오리 전통 음악을 부흥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이들은 로토루아에서 관광객을 위한 공연을 통해 하카, 포이, 막대기 게임 등과 같은 전통 공연 양식을 발전시켰다.
1964년에는 마오리 음악 발전을 장려하기 위한 폴리네시안 페스티벌이 출범하였고, 이는 오늘날 테 마타티니로 이어지고 있다.
3. 1. 와이아타 아 링가 (Waiata-a-ringa)
아피라나 응아타는 여러 부족의 전통을 통합하여 와이아타 아 링가(움직임과 함께 부르는 노래)라는 표준화된 공연 양식을 만들었다. 마오리족 최초로 뉴질랜드 대학교를 졸업한 아피라나 응아타는 학자이자 마오리족의 권리 신장을 위한 정치인으로 활동하였으며,[28] 교사이자 작곡가로 활동한 투이니 응가와이[29]와 함께 로토루아에서 진행된 관광객을 위한 공연을 통해 포이, 하카, 스틱 게임 등과 함께 고대 챈트와 와이아타 아 링가 등의 양식을 발전시켰다. 이러한 공연을 하는 팀을 카파 하카라고 하며, 이들은 여러 이위(iwi, 부족)의 전통을 발굴하고 높은 수준의 공연으로 발전시켰다.3. 2. 카파 하카 (Kapa haka)
아피라나 응가타는 20세기 초 여러 부족들의 다양한 전통을 합하여 와이아타 아 링가(waiata-a-ringa, 움직임과 함께 부르는 노래)를 표준화하였다. 마오리족 최초로 뉴질랜드 대학교를 졸업한 응가타는 투이니 응가와이와 함께 로토루아에서 관광객을 위한 공연을 통해 포이, 하카, 막대기 게임 등과 함께 고대 챈트와 와이아타 아 링가 등의 양식을 발전시켰다.[28][29] 카파 하카는 이러한 공연을 하는 팀을 칭하며, 이들은 여러 이위(iwi, 부족)의 전통을 발굴하고 높은 수준의 공연으로 발전시켰다.1964년 마오리 음악 발전을 장려하기 위한 폴리네시안 페스티벌이 출범하여 오늘날 테 마타티니로 이어지고 있다.
3. 3. 테 마타티니 (Te Matatini)
아피라나 응가타(Āpirana Ngata)와 투이니 응가와이(Tuini Ngawai) 등이 로토루아에서 관광객을 위한 공연을 통해 발전시킨 카파 하카는 여러 부족의 전통을 발굴하고 높은 수준의 공연으로 발전시켰다.[28][29]1964년, 마오리 음악 발전을 장려하기 위한 폴리네시안 페스티벌이 출범하여 오늘날 테 마타티니로 이어지고 있다. 이 축제는 아오테아로아 전통 마오리 공연 예술 축제로도 불렸으며, 전국 카파 하카 경연 대회로 마오리 음악과 공연 예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4. 현대 마오리 음악
20세기 중반부터 기타가 도입되면서 마오리 음악은 현대적인 형태로 발전했다. 아피라나 응가타와 투이니 응가와이는 유럽 음악 양식을 도입한 노래를 작곡하여 마오리족의 자긍심을 고취시키고,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들의 사기를 진작시켰다. 이들의 노래는 오늘날까지도 불리고 있다.
1980년대 이후, 히리니 멜번과 같은 음악가들은 전통적인 양식을 변형한 노래를 작곡했고, 허브스와 같은 그룹은 마오리 스타일의 레게 음악을 선보였다. 또한 헤비메탈과 같은 다양한 장르가 마오리 커뮤니티에 널리 퍼졌다.
1970년대까지 뉴질랜드 방송에서 마오리 음악은 매우 적은 비중을 차지했지만, 1980년대 들어 여러 마오리 음악들이 히트하면서 방송에서도 비중이 커졌다. 1986년 와이탕기 재판소에서 마오리어가 뉴질랜드 정부가 보호해야 할 타옹가(보물)로 주장되면서 마오리 음악과 마오리어 방송은 마오리어와 문화를 홍보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1990년대에는 이위(부족) 라디오 방송국이 설립되었고, 정부는 마오리어와 문화를 위한 특별 주파수를 할당하였다.
1990년대 이후, 모아나 앤 더 모아헌터스, 사우스사이드 오브 봄베이, 히네웨히 모히와 같은 음악가들이 마오리어 가사를 사용한 노래들을 발표했다. 2014년에는 《Poi E》의 성공을 재현하기 위한 도전으로 《아오테아로아(Aotearoa)》가 발표되어 뉴질랜드 싱글 차트 2위를 차지했다. 2019년에는 히네웨히 모히가 마오리어로 국가를 부른 것을 기념하여 《Waiata / Anthems》 앨범이 제작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 2021년부터는 마오리어 음원 차트가 별도로 개시되었다.
4. 1. 초기 발전 (20세기 중반)
20세기 중반부터 기타가 도입되어 마오리 공연의 보편적인 반주 악기가 되었다. 그 이전에는 피아노나 바이올린이 반주로 사용되었다. 히네웨히 모히, 티키 타아네, 마이세이 리카와 같은 음악가들은 전통 악기의 사용을 부활시켰다.190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 뉴질랜드를 순회 공연한 어니스트 카아이(Ernest Kaʻai)와 데이비드 루엘라 카일리(David Luela Kaili)와 같은 하와이 출신 음악가들의 공연을 통해 마오리들은 스틸 기타와 우쿨렐레를 접하게 되었고, 이는 그들 자신의 전통적인 음향과 결합되어 빠르게 받아들여졌다.[7] 아피라나 응가타와 투이니 응가와이는 마오리족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1939년부터는 국내외 마오리족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유럽 음악 양식을 사용하여 많은 노래를 작곡하였다. 〈Hoki mai e tama mā〉(돌아오라 아들들아), 〈E te Hokowhiti-a-Tū〉(수십번 다시 일어서)와 같은 곡들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불리고 있다.[28][29]
최근에는 재즈, 스윙, 록 등 해외에서 유래한 다른 스타일도 도입되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히리니 멜번은 전통적인 양식을 변형한 노래를 많이 작곡하였고, 허브스와 같은 그룹은 마오리 스타일의 레게 음악을 만들었다. 오늘날 마오리 커뮤니티에는 헤비메탈 양식의 노래도 널리 퍼져 있다.
4. 2. 다양한 장르의 수용
20세기 중반부터 기타가 도입되어 오늘날 마오리 공연의 보편적인 반주 악기가 되었다. 그 이전에는 피아노나 바이올린이 반주로 사용되었다.[7] 히네웨히 모히, 티키 타아네, 마이세이 리카와 같은 음악가들은 전통 악기 사용을 부활시켰다.아피라나 응가타와 투이니 응가와이는 마오리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1939년부터는 국내외 마오리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유럽 음악 양식을 도입한 많은 노래를 작곡하였다. 《Hoki mai e tama mā》, 《E te Hokowhiti-a-Tū》와 같은 곡들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불리고 있다. 최근에는 재즈, 스윙, 록, 레게, 헤비메탈 등 해외에서 유래한 다른 스타일도 도입되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히리니 멜번은 전통적인 양식을 변형한 노래를 많이 작곡하였고, 허브스와 같은 그룹은 마오리 스타일의 레게 음악을 만들었다. 오늘날 마오리 커뮤니티에는 헤비메탈 양식의 노래도 널리 퍼져 있다.[8]
4. 3. 방송과 마오리어 운동
1970년대까지 뉴질랜드 방송에서 마오리 음악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작았다. 1973년 뉴질랜드 항공에서 사용된 음악 가운데 마오리 음악은 매주 15분 분량에 불과했다.[30] 1980년대 들어 데아네 와레티니의 《The Bridge》(1981년), 콘서츠의 《Maoris on 45》(1982년), 프린스 투이 테카의 《E Ipo》(1982년) 등 여러 곡들이 히트하면서 방송에서도 마오리 음악 비중이 커졌다. 1980년대 마오리 음악 최대 히트곡은 파테아 마오리 클럽이 연주한 《Poi E》로, 1984년 뉴질랜드 최고 싱글로 선정되었다.1986년 와이탕기 재판소에서 마오리어를 뉴질랜드 정부가 보호해야 할 타옹가(taonga, 보물)로 주장하면서, 마오리 음악과 마오리어 방송은 캠페인 수단으로 활용되었다.[30] 1980년대에서 1990년대에 걸쳐 뉴질랜드에 이위(iwi, 부족) 라디오 방송국이 설립되었고, 1990년 정부는 마오리어와 마오리 문화를 위한 특별 주파수를 할당하였다.[30] 라디오 와아테아, 라디오 타이누이, 타후 FM, 마이 FM과 같은 방송국들이 설립되어 전파를 송출하였고, 뉴질랜드 정부 기관인 NZ 온에어와 테 망가이 파호가 마오리 음악 발전 기금을 지원하였다.[30]
4. 4. 최근 동향 (1990년대 이후)
1990년대에는 모아나 앤 더 모아헌터스, 사우스사이드 오브 봄베이, 히네웨히 모히와 같은 음악가들이 마오리어 가사를 사용하거나 마오리어로 노래하는 유명한 곡들을 발표하였다.[30] 1980년대 이후 마오리 음악은 미국의 블랙 뮤직 장르와 레게의 영향을 받았다.[31]2014년, 《Poi E》의 성공을 재현하기 위한 도전으로 《아오테아로아(Aotearoa)》가 발표되었다. 이 곡에는 스탠 워커, 리아 홀, 트로이 킹기, 마이세이 리카 등이 참여하였고,[32][33] 그해 뉴질랜드 싱글 차트 2위를 차지하였다.[34]
2019년, 1999년 럭비 월드컵 준결승에서 히네웨히 모히가 마오리어로 국가를 부른 일을 기념하기 위해 11명의 뉴질랜드 음악가들이 《Waiata / Anthems》를 만들었다. 이 앨범에는 식스60, 스탠 워커, 베니, 드랙스 프로젝트, 빅 룽가 등이 참여하였고,[35] 뉴질랜드 공식 음악 차트 1위를 차지하며[36] 2019년 뉴질랜드에서 가장 성공적인 앨범 중 하나가 되었다.[37] 2021년 중반부터 리코디드 뮤직 NZ는 마오리어 음원 차트를 별도로 개시하였다.[38]
5. 마오리 쇼 밴드
1950년대부터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마오리 쇼 밴드(Māori show bands)가 결성되었다. 이들은 다양한 음악 장르와 춤 스타일을 선보였고, 카바레 실력을 갖추고 마오리 문화에서 직접 따온 코미디를 공연에 녹여냈다. 일부 마오리 쇼 밴드는 전통 마오리 의상을 입고 공연을 시작한 후 양복과 스팽글 드레스로 갈아입기도 했다.[17]
빌리 T. 제임스(Billy T. James)는 마오리 볼캐닉스(Maori Volcanics)에서 활동하며 여러 해 동안 쇼 밴드에서 해외 활동을 했다.[17] 1950년대 중반에 결성된 하워드 모리슨 쿼텟(Howard Morrison Quartet)의 1959년 곡 "와이카토 전투(The Battle of the Waikato)"는 뉴올리언스 전투(The Battle of New Orleans)"를 패러디한 곡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 또한, "내 아버지는 쓰레기 청소부(My Old Man's a Dustman)"를 패러디한 "내 아버지는 올 블랙(My Old Man's an All Black)"은 마오리 선수들이 아파르트헤이트 시대 남아프리카 공화국(apartheid South Africa)에 1960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순회 올 블랙(1960 All Blacks in South Africa)과 함께 투어를 할 수 없었던 논란 때문에 시의적절한 곡이었다. 1965년 쿼텟이 해체된 후, 모리슨은 성공적인 솔로 경력을 쌓았다.
1950년대 웰링턴에서 명성을 쌓은 마오리 하이 파이브(Maori Hi Five)는 다양한 스타일을 선보이며 큰 인기를 얻었다. 이 밴드는 오스트레일리아를 거쳐 미국으로 가서 클럽과 카지노에서 활동했다.[18] 프린스 투이 테카(Prince Tui Teka)는 1968년 시드니에서 마오리 볼캐닉스에 합류했고, 1972년 뉴질랜드로 돌아와 솔로 경력을 시작했다.[19]
6. 마오리 음악 관련 상
뉴질랜드 음악상은 1982년부터 올해의 폴리네시아 음반상을 수여하기 시작했다. 1992년에는 이 부문이 최우수 마오리 음악상으로 발전했는데, 처음에는 1992년과 1993년에 최우수 마오리 음반상이었다. 1996년부터 2003년까지는 마오리 음악을 구현한 작품을 위한 최우수 마나 마오리 음반상과 마오리어로 노래한 작품을 위한 최우수 레오 마오리 음반상 등 두 개의 상이 수여되었다. 2003년에는 APRA 어워드에서 현대 마오리 음악의 우수성을 인정하는 마이오하 상을 수여하기 시작했다.[20] 최초의 와이아타 마오리 음악상은 2008년에 개최되어 현대 장르와 전통 장르 모두를 인정했다.[21]
참조
[1]
서적
Traditional Songs of the Maori
https://books.google[...]
Auckland University Press
2021-01-11
[2]
서적
Ngā Mōteatea: Volume 1 of The Songs: Scattered Pieces from Many Canoe Areas, Sir Apirana Turupa Ngata
https://books.google[...]
Auckland University Press
2021-01-11
[3]
웹사이트
Marae protocol – te kawa o te marae
https://teara.govt.n[...]
2021-08-05
[4]
웹사이트
Karanga: The call of home
https://e-tangata.co[...]
2021-08-05
[5]
웹사이트
kaikaranga
https://maoridiction[...]
2021-08-05
[6]
웹사이트
Karanga – A call from the heart
https://ngaitahu.iwi[...]
2021-08-05
[7]
저널
The Steel Heard ‘Round the World: Exposing the Global Reach of Indigenous Musical Journeys with the Hawaiian Steel Guitar
2017-08
[8]
저널
Cultural protectionism in a deregulated and diversifying broadcasting environment: Getting more Māori music on air
2014
[9]
웹사이트
Aotearoa Stan Walker Ria Hall Maisy Rika Troy Kingi
http://www.flava.co.[...]
flava.co.nz
2014-09-04
[10]
웹사이트
Stan Walker Released new song Aotearoa
http://www.morefm.co[...]
morefm.co.nz
2014-09-04
[11]
웹사이트
STAN WALKER FEAT. RIA HALL, TROY KINGI & MAISEY RIKA – AOTEAROA (SONG)
https://charts.nz/sh[...]
Hung Medien
2022-04-21
[12]
웹사이트
Waiata / Anthems out in September
https://www.shanethe[...]
2020-03-09
[13]
웹사이트
Waiata Anthems Debuts at 1
https://www.creative[...]
2020-03-09
[14]
웹사이트
The 40 best-selling and most-streamed albums in New Zealand in 2019
https://aotearoamusi[...]
Recorded Music NZ
2020-03-09
[15]
뉴스
New 2021 Waiata Anthems project launches next week
https://www.teaomaor[...]
2021-08-30
[16]
뉴스
New music chart, the official Te Reo Māori Top 10, joins the NZ Music Charts
https://www.stuff.co[...]
2021-10-23
[17]
웹사이트
The Maori Show Bands Part 1: Music Was A Hunger
http://www.radionz.c[...]
2016-08-29
[18]
웹사이트
Māori overseas – Emigration to Australia
http://www.TeAra.gov[...]
2014-03-25
[19]
웹사이트
Prince Tui Teka
http://www.muzic.net[...]
2008-11-27
[20]
웹사이트
2006 APRA Silver Scroll, Maioha and SOUNZ Awards Finalists Announced
http://www.nzmusicia[...]
NZ Musician
2013-07-06
[21]
웹사이트
Waiata hōu – contemporary Māori songs
https://teara.govt.n[...]
2022-04-22
[22]
서적
https://books.google[...]
2021-01-11
[23]
서적
https://books.google[...]
2021-01-11
[24]
웹인용
https://teara.govt.n[...]
2021-08-05
[25]
웹인용
https://e-tangata.co[...]
2021-08-05
[26]
웹인용
https://maoridiction[...]
2021-08-05
[27]
웹인용
https://ngaitahu.iwi[...]
2021-08-05
[28]
웹사이트
Āpirana Ngata, Apirana Turupa
https://maoridiction[...]
[29]
웹사이트
Tuini Ngawai Ngāwai, Tuīni Moetū Haangū
https://maoridiction[...]
[30]
저널
[31]
웹인용
https://teara.govt.n[...]
2022-04-22
[32]
웹인용
http://www.flava.co.[...]
2014-09-04
[33]
웹인용
http://www.morefm.co[...]
2014-09-04
[34]
웹인용
https://charts.nz/sh[...]
2022-04-21
[35]
웹인용
https://www.shanethe[...]
2020-03-09
[36]
웹인용
Waiata Anthems Debuts at 1
https://www.creative[...]
2020-03-09
[37]
웹인용
The 40 best-selling and most-streamed albums in New Zealand in 2019
https://nztop40.co.n[...]
Recorded Music NZ
2020-03-09
[38]
뉴스
New music chart, the official Te Reo Māori Top 10, joins the NZ Music Charts
https://www.stuff.co[...]
2021-1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