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안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클 안트는 미국의 시나리오 작가이다. 그는 《리틀 미스 선샤인》의 각본을 3일 만에 썼으며, 이 작품으로 아카데미 각본상을 수상했다. 픽사 작품인 《토이 스토리 3》와 《헝거 게임: 캣칭 파이어》의 각본 작업에 참여했고,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의 각본을 쓰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픽사 사람 - 피터 손
피터 손은 한국계 미국인으로, 픽사에서 애니메이터로 시작하여 여러 작품에 참여하고 단편 영화 《구름》으로 감독 데뷔 후 《굿 다이노》와 《엘리멘탈》을 연출했으며, 성우로도 활동했다. - 픽사 사람 - 조시 쿨리
조시 쿨리는 픽사에서 스토리보드 아티스트로 시작하여 《토이 스토리 4》로 감독 데뷔 후 아카데미 장편 애니메이션상을 수상했으며, 현재 파라마운트 픽처스, 소니 픽처스, 유니버설 픽처스에서 다양한 영화 연출을 맡을 예정이다. - 디즈니 사람 - 데니스 데이
데니스 데이는 미국의 배우로, 미키 마우스 클럽의 마우스케터로 활동했으며, 2018년 실종 후 2019년 유해가 발견되었고 전 수리공이 기소되었다. - 디즈니 사람 - 딘 존스
1960년대와 1970년대 디즈니 영화에 출연하며 인기를 얻은 미국의 배우 딘 존스는 《허비》 시리즈의 레이싱카 운전사 역으로 유명하며, 브로드웨이 뮤지컬 출연 및 기독교 관련 활동도 하였다. - 아카데미 각본상 수상자 - 맷 데이먼
맷 데이먼은 《굿 윌 헌팅》으로 아카데미 각본상을 수상하고 배우로서 명성을 얻었으며, 다양한 영화 출연과 영화 제작, 자선 활동에도 참여하는 미국의 배우이자 영화 제작자 겸 각본가이다. - 아카데미 각본상 수상자 - 봉준호
봉준호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로, 《플란다스의 개》로 데뷔하여 《살인의 추억》, 《괴물》, 《기생충》 등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작품을 연출하며 세계적인 거장으로 인정받았다.
마이클 안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지 | 버지니아주 매클린 |
직업 | 각본가 |
학력 | 뉴욕 대학교 |
활동 기간 | 1997년–현재 |
대표 작품 | 리틀 미스 선샤인 토이 스토리 3 헝거 게임: 캣칭 파이어 스타 워즈: 깨어난 포스 헝거 게임: 노래하는 새와 뱀의 발라드 |
수상 | 아카데미 각본상 리틀 미스 선샤인 (2006년) |
2. 초기 생애 및 교육
마이클 안트는 버지니아주 맥클린에서 태어났다. 아버지의 직업이 외무부 소속이었기 때문에, 스리랑카와 인도 등 여러 나라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2] 랭글리 고등학교와 포토맥 스쿨을 졸업하고, 뉴욕 대학교의 티쉬 예술학교를 졸업했다.[2] 졸업 후에는 시나리오 검토자로 활동했고, 1999년 말까지 배우 매튜 브로데릭의 개인 비서로 일하다가[3] 전업 시나리오 작가가 되기로 결심했다.[2][3]
안트는 2000년 5월 23일부터 26일까지 단 3일 만에 《리틀 미스 선샤인》의 초고를 완성했다.[4] 이후 1년 동안 약 100번의 수정을 거치며 친구와 가족에게 의견을 구했다.[2][3] 그는 이 영화의 이야기가 "너무 작고" 독립 영화여서 주요 영화사의 관심을 받기 어려울 것이라는 생각에 직접 저예산 DV 장편 영화로 만드는 것을 고려하기도 했다.[3]
3. 작가 경력
2001년, 엔데버 탤런트 에이전시를 통해 시나리오가 프로듀서 앨버트 버거와 론 예르사에게 전달되었고, 이들은 상업 광고 및 뮤직비디오 감독이었던 조나단 데이턴과 밸러리 패리스에게 이 시나리오를 소개했다.[3][6][5] 데이턴과 패리스는 2001년 12월 프로듀서 마크 터틀타우브에 의해 이 프로젝트에 합류했고, 터틀타우브는 안트로부터 250000USD에 시나리오를 구입했다.[6][4]
포커스 피처스에서 약 3년간 프리 프로덕션 단계를 거쳤는데, 이 과정에서 안트는 해고되었다가 다시 고용되는 일을 겪었다.[7] 그는 시나리오 작업을 제작과 후반 작업까지 계속했으며, "영화의 마지막 장면 [...]은 [2006년 1월 20일 선댄스 영화제에서 초연되기] 약 8주 전에 쓰여지고 촬영되었다"고 밝혔다.[3][6]
2006년 8월 극장 개봉 후, 《리틀 미스 선샤인》은 많은 상과 영예를 얻었다. 안트는 이 작품으로 아카데미 각본상,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미국 작가 조합상 등에서 최우수 각본상을 수상했고, 이후 아카데미 회원으로 초청받았다.[8]
2006년, 리 언크리치 및 픽사 관계자들과 협력하여 《토이 스토리 3》의 각본 작업에 참여했다.[9] 앤드루 스탠턴의 영화 트리트먼트를 바탕으로 각본을 집필했으며, 이 작품으로 아카데미 각색상 후보에 올랐다. 그는 처음 두 편의 각본으로 최우수 오리지널 각본상과 최우수 각색상 두 부문 모두 후보에 오른 최초의 작가가 되었다.
안트는 《맨 인 블랙 3》의 각본 수정 작업에도 참여했다.[12][13] 또한 수잔 콜린스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헝거 게임: 캣칭 파이어》의 각본을 썼으며, 10년 후에는 헝거 게임 프리퀄 《헝거 게임: 노래하는 새와 뱀의 발라드》의 각본을 공동 집필했다.
2012년,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의 작가로 발표되었으며, 2013년에는 로렌스 캐스단과 감독 J. J. 에이브럼스가 안트의 시나리오를 수정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15]
3. 1. 작가로서의 전환점
뉴욕 대학교 영화 학교를 졸업한 안트는 자신의 각본이 여러 영화 스튜디오에서 거절당해 폐업을 고려하고 있었다.[17] 그러던 중 뉴욕 현대 미술관에서 우연히 스튜디오 지브리의 영화 《호호케쿄 이웃집 야마다군》을 감상하고 큰 충격을 받아 작가의 길을 계속 걷기로 결심했다.[18][19] 이는 그의 작가 인생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4. 작품 목록
역할 | 연도 | 제목 | 감독 | 비고 |
---|---|---|---|---|
작가 | 2006 | 리틀 미스 선샤인 | 조나단 데이턴, 발레리 페리스 | |
2010 | 토이 스토리 3 | 리 언크리치 | ||
2013 | 오블리비언 | 조셉 코신스키 | 마이클 드브루인(Michael deBruyn)으로 기재 | |
헝거 게임: 캣칭 파이어 | 프란시스 로렌스 | |||
2015 | 숲속으로 | 켄 콰피스 | 릭 커브(Rick Kerb)로 기재 | |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 J. J. 에이브럼스 | |||
2023 | 헝거 게임: 노래하는 새와 뱀의 발라드 | 프란시스 로렌스 | ||
조감독 | 1997 | 애딕티드 러브 | ||
1999 | 두 형사 | |||
선임 크리에이티브 팀 | 2008 | 월-E | ||
2009 | 업 | 크레딧 미기재 | ||
2010 | 토이 스토리 3 | |||
2011 | 카 2 |
4. 1. 각본
연도 | 제목 | 감독 | 비고 |
---|---|---|---|
2006 | 리틀 미스 선샤인 | 조나단 데이턴, 발레리 페리스 | |
2010 | 토이 스토리 3 | 리 언크리치 | |
2013 | 오블리비언 | 조셉 코신스키 | 마이클 드브루인(Michael deBruyn)으로 기재 |
헝거 게임: 캣칭 파이어 | 프란시스 로렌스 | ||
2015 | 숲속으로 | 켄 콰피스 | 릭 커브(Rick Kerb)로 기재 |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 J. J. 에이브럼스 | ||
2023 | 헝거 게임: 노래하는 새와 뱀의 발라드 | 프란시스 로렌스 |
4. 2. 보조
- 애딕티드 러브(1997)
- 두 형사(1999)
4. 3. 시니어 크리에이티브 팀
5. 수상 및 후보 목록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각본상
방송 영화 비평가 협회상 각본상
댈러스-포트워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각본상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신인 각본상
캔자스시티 영화 비평가 협회상 각본상
피닉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각본상
동남 영화 비평가 협회상 각본상
워싱턴 D.C. 영화 비평가 협회상 각본상
미국 작가 조합상 각본상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신인상
팜스프링스 국제 영화제 회장상
후보 – 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상 각본상
후보 –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올해의 각본가
후보 – 온라인 영화 비평가 협회상 각본상
후보 – 애니상 각본상
후보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각색상
후보 – 브래드버리 상
후보 – 방송 영화 비평가 협회상 각색상
후보 – 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상 각색상
후보 – 휴고상 장편 드라마 부문
후보 – 샌디에이고 영화 비평가 협회상 각본상
후보 – 새틀라이트상 각본상
후보 – 새턴상 각본상
후보 – 스크림 어워드 최고의 스크림 플레이
후보 – 워싱턴 D.C. 영화 비평가 협회상 각색상
후보 – 휴고상 장편 드라마 부문
후보 – 브래드버리 상
후보 – 휴고상 장편 드라마 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