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정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정길은 대한민국의 前 야구 선수로, 투수였다. 청주기계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단국대학교를 거쳐 2002년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010년 넥센 히어로즈로 트레이드되어 셋업맨으로 활약했으며, 2017년 은퇴 후 넥센 히어로즈의 불펜코치, 독립리그 코치를 거쳐 2023년부터 키움 히어로즈 코치로 활동했다. 선수 시절 통산 568경기에 등판하여 26승 21패, 14세이브, 60홀드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주내덕초등학교 동문 - 이태양 (1993년)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였던 이태양은 청주고등학교 졸업 후 넥센 히어로즈에 입단하여 NC 다이노스에서 활동하며 국가대표로도 참가했으나, 승부 조작 사건으로 KBO 리그에서 영구 실격 처분을 받았고 은퇴 후에는 재활 센터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 청주내덕초등학교 동문 - 요요미
    요요미는 2018년 데뷔한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이자 배우로, 유튜브 커버곡과 '리틀 혜은이'라는 별칭으로 인지도를 쌓았으며, 귀엽고 발랄한 매력으로 다양한 연령층에서 사랑받고 있다.
  • 청주기계공업고등학교 동문 - 손영민
    손영민은 청주기계공고 에이스 출신으로 KIA 타이거즈에서 중간 계투로 활동하며 2009년 팀 우승에 기여했으나, 음주운전 사고와 복귀 후 부진으로 웨이버 공시된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다.
  • 청주기계공업고등학교 동문 - 연경흠
    2006년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여 2008년 프로 야구 통산 2만 번째 홈런을 기록한 연경흠은 2013년 은퇴 후 한화 이글스 스카우트와 청소년 야구 재활 센터 코치로 활동한 대한민국의 은퇴한 야구 선수이다.
  • 장흥 마씨 - 마달천
    마달천은 육군 갑종사관 1기로 임관하여 육군본부 감찰관을 역임하고 국회의원을 지낸 인물이다.
  • 장흥 마씨 - 마일영
    마일영은 2000년 현대 유니콘스에 입단하여 2015년 한화 이글스에서 방출될 때까지 프로 선수 생활을 이어간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로, 현대 시절 10승과 넥센 히어로즈에서 너클볼을 주무기로 11승을 거두는 활약을 보였으며 한화 이글스에서 은퇴 후 코칭 스태프로 활동했고, 2004년 병역 비리 사건에 연루되기도 했다.
마정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정길 2014.10.17.jpg
2014년 넥센 히어로즈 시절
출생일1979년 3월 13일 (45세)
출생지충청북도 청주시
신장177
체중79
포지션투수
투타우투우타
선수 경력
프로 입단 연도2002년
드래프트 순위1998년 2차 10라운드 (한화 이글스)
데뷔 리그KBO 리그
데뷔팀한화 이글스
첫 출장KBO 리그 / 2002년 4월 7일 대전 대 롯데전
마지막 경기KBO 리그 / 2017년 5월 23일 고척 대 NC전 구원
소속 구단한화 이글스 (2002년–2009년)
넥센 히어로즈 (2010년–2017년)
등번호21
통계 (2012 시즌 KBO 기준)
승패 기록13승 16패
세이브13
홀드40
평균 자책점3.98
탈삼진350
코치 경력
코치넥센/키움 히어로즈 (2018 - 2020, 2023 - 2024)
불펜 코치넥센 히어로즈 (2017년 ~ 2018년), 키움 히어로즈 (2019년 ~ 2020년, 2023년 ~ 현재)
투수 코치스코어본 하이에나들 (2021년)
기타 정보
고교淸州機械工業高等學校 (청주기계공업고등학교)
대학교단국대학교

2. 선수 시절

청주고등학교 졸업 후 1998년 2차 지명으로 한화 이글스에 지명되었으나, 단국대학교에 진학했다. 대학 시절에는 정대현과 함께 뛰어난 사이드암/언더핸드 투수로 평가받았다. 1997년에는 대한민국 주니어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으며, 대학 재학 중에도 여러 차례 국가대표로 발탁되었다.

2002년 단국대학교 졸업 후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으며, 주로 중간 계투로 활동했다. 입단 초기 셋업 역할을 맡기도 했으나, 2004년 부상을 입었고 이후 군 복무를 하였다. 2007년에 팀으로 복귀했으며, 이후 넥센 히어로즈 (현 키움 히어로즈)로 이적하여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2011년 시즌 후반 부상으로 2012년 시즌 전체를 결장하기도 했다.

2. 1. 아마추어 시절

청주기계공업고등학교 시절 에이스로 활약했다. 마정길은 청주 청주고등학교를 졸업했다.[1] 1997년 대한민국 주니어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캐나다 몬턴에서 열린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2] 1998년 2차 지명 111순위로 한화 이글스에 지명되었다.[3]

그러나 마정길은 대학 진학을 선택하여 충청남도 천안시에 위치한 단국대학교에서 야구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단국대학교 재학 시절, 경희대학교의 정대현과 함께 최고의 사이드암/언더핸드 투수로 꼽혔다.[4] 2학년 때인 1999년, 대만에서 열린 3개국 초청 야구대회에 국가대표로 처음 발탁되었다.[2]

2000년에는 팀의 대통령기 전국대학야구대회 우승을 이끌었다.[5] 이 대회 이후 대학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을 상대로 친선 경기에 출전했다.[2]

2001년, 4학년으로서 팀을 이끌어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최우수 투수상을 수상했다.

'''국제 대회 경력'''

연도개최지대회팀 성적
1997캐나다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5위
1999대만3개국 초청 야구 토너먼트-- 2위
2000미국대한민국 vs 미국 야구 시리즈1승 4패
2001대만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2위


2. 2. 한화 이글스 시절

단국대학교 졸업 후 2002년한화 이글스에 입단했다. 그는 1998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2차 10라운드(전체 74위)로 이미 한화 이글스의 지명을 받았으나 대학 진학을 선택했었다. 입단 후 주로 중간 계투로 등판했으며, 오른쪽 사이드암 투수였다.

입단 첫 해인 2002년에는 59경기에 등판하여 2승 5패, 6세이브, 6홀드, 평균자책점 5.40 (60이닝)을 기록했다. 이듬해인 2003년에는 63경기에 나와 2세이브, 9홀드, 평균자책점 4.06을 기록하며 팀의 셋업 투수로 활약했다. 그러나 2004년에는 부상으로 인해 33경기 출장에 그쳤다.

2004년 시즌 종료 후, 병역 비리 사건에 연루되어 2005년부터 군 복무를 시작했고, 2006년에 제대했다.

2007년 팀에 복귀했으며, 2008년에는 팀 내 투수 중 가장 많은 64경기에 등판하여 2승 1패, 7홀드, 2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좋은 활약을 펼쳤다. 시즌 후 연봉 협상에서는 이전 해보다 100% 인상된 1억에 계약했다.[1] 하지만 2009년에는 54경기에 등판해 1세이브, 7홀드, 4점대 평균자책점으로 전년보다 성적이 하락했다. 이로 인해 황재규, 양훈 등에게 핵심 중간 계투 자리를 내주었고 연봉도 삭감되었다.

2011년 시즌 후반에는 왼쪽 무릎 인대 파열 부상을 당해 2012년 시즌에는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2. 3. 넥센 히어로즈 시절

2010년 3월 12일, 시범 경기 기간 중 한화 이글스의 좌완 투수 마일영과 현금 3억을 포함한 트레이드를 통해 넥센 히어로즈로 이적했다.[2] 당시 넥센은 박승민의 부상으로 사이드암 불펜 투수가 필요했고, 한화는 선발과 불펜을 오갈 수 있는 좌투수가 필요했던 상황이었다. 이 트레이드는 넥센의 전력 보강 차원에서 이루어졌으며, 이후 마정길이 마일영보다 더 나은 활약을 보여주면서 팀 역사상 성공적인 트레이드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3]

이적 후 초기에는 기복이 심해 1군과 2군을 오갔으나, 점차 팀에 정착하여 2010년 시즌 58경기에 등판해 3승 2패, 2홀드, 3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셋업맨으로 활동했다. 2011년에도 셋업맨으로서 좋은 모습을 보였지만, 시즌 중반 무릎 부상을 당해 8월 5일 이후로는 등판하지 못했고, 45경기 1승 4패, 3점대 평균자책점으로 시즌을 마감했다. 2012년에는 이 부상으로 인해 재활에 매진하며 1군 경기에 등판하지 못했다.

2013년 부상에서 복귀하여 중간 계투로 29경기에 등판해 4승 1패, 4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부활의 가능성을 보였다. 2014년에는 56경기에 등판하며 4년 만에 50경기 이상 출전 기록을 세웠고, 3승 3패, 7홀드, 4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15년에는 35경기 등판에 그치며 5점대 평균자책점으로 다소 부진했으나, 시즌 종료 후 선수 생활 처음으로 FA 자격을 얻어 총액 6.2억(2년)에 넥센 히어로즈와 재계약하며 잔류했다.[4]

2016년에는 시즌 초반부터 좋은 성적을 유지하며 이적 후 가장 많은 61경기에 출장했고, 개인 통산 최다인 6승을 포함해 1패, 12홀드, 4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성공적인 시즌을 보냈다. 그러나 2017년 들어 구위가 급격히 하락하며 7경기 등판에 그쳤고, 10점대 평균자책점으로 크게 부진했다. 결국 6월 1일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3. 야구선수 은퇴 후

2017년 6월 2일부터 넥센 히어로즈의 불펜코치로 활동하기 시작했으며, 같은 해 시즌 중 은퇴를 선언하고 코치로 전직했다.

2018년 5월 8일, 당시 넥센의 홈구장이었던 고척 스카이돔에서 은퇴 행사가 열렸다.

2020년 시즌 종료 후 키움(넥센에서 구단명 변경) 코치직에서 물러났다. 같은 해 12월 경기도의 독립리그 구단인 스코어본 하이에나의 코치로 합류했으나, 스코어본 하이에나는 2021년을 끝으로 해체되었다.

2023년부터 키움 히어로즈의 코치로 복귀하여 활동하다가 2024년 시즌 종료 후 팀을 떠났다.

4. 별명

2008년 시즌 중 잦은 연투와 많은 투구 이닝으로 인해 '마노예'라고 불렸다.[5]

5. 출신 학교



청주기계공업고등학교 재학 중이던 1997년 대한민국 청소년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캐나다 에드먼턴에서 열린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단국대학교 진학 후에는 경희대학교의 정대현과 함께 대학 야구 최고의 사이드암/언더핸드 투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 2학년 때인 1999년 대만에서 열린 3개국 초청 야구대회에 참가하는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에 처음으로 발탁되었다. 2000년에는 팀의 대통령기 전국대학야구 선수권대회 우승을 이끌었고, 이후 대한민국 대학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과 친선 경기를 치렀다. 4학년 때인 2001년에는 팀의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 우승에 기여하며 최우수 투수상을 수상했다.

6. 주요 기록


  • 2008년 시즌 최다 출장 공동 3위 (64경기, 강영식과 공동), 불펜 투수 중 최다 이닝 등판 (92.2이닝)
  • 2010년 시즌 최다 출장 16위 (58경기)


연도개최지대회
1997캐나다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5위
1999년중화 타이베이3개국 초청 야구 토너먼트
준우승
2000년미국대한민국 vs 미국 야구 시리즈1승-4패
2001년중화 타이베이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2002년쿠바2002년 인터컨티넨탈 컵



연도구단등판승리패전홀드세이브투구 이닝피안타피홈런사사구사구탈삼진실점자책점평균자책점탈삼진율WHIP
2002년한화59256660.064821135438365.408.101.42
2003년63322868.256630115734314.067.471.25
2004년33212141.03672253723224.838.121.41
2005년병역
2006년
2007년한화11010112.0153617764.505.251.75
2008년64212792.263731106731302.916.511.01
2009년54001750.26162373931284.976.931.66
2010년넥센58320256.15162864323193.046.871.40
2011년45140848.13732474620183.358.571.26
2012년1군 출장 없음
2013년29411133.03211833120154.098.451.52
2014년56337064.057930125537344.787.731.36
2015년35000037.13641763322215.067.961.42
2016년616101263.261103445233294.107.351.49
2017년7000010.1143417121210.457.351.74
통산 성적: 14년5752621216063858373288865283313014.257.441.36


7. 통산 기록

wikitext

연도구단등판승리패전홀드세이브투구 이닝피안타피홈런사사구사구탈삼진실점자책점평균자책점탈삼진율WHIP
2002년한화59256660.064821135438365.408.101.42
2003년63322868.256630115734314.067.471.25
2004년33212141.03672253723224.838.121.41
2005년병 역
2006년
2007년한화11010112.0153617764.505.251.75
2008년64212792.263731106731302.916.511.01
2009년54001750.26162373931284.976.931.66
2010년넥센58320256.15162864323193.046.871.40
2011년45140848.13732474620183.358.571.26
2012년1군 출장 없음
2013년29411133.03211833120154.098.451.52
2014년56337064.057930125537344.787.731.36
2015년35000037.13641763322215.067.961.42
2016년616101263.261103445233294.107.351.49
2017년7000010.1143417121210.457.351.74
통산 성적: 14년5752621216063858373288865283313014.257.441.36


참조

[1] 뉴스 '마당쇠' 마정길, 프로 7년 만에 억대 연봉…정민철·문동환 삭감 http://www.mydaily.c[...] 마이데일리 2008-12-31
[2] 뉴스 넥센히어로즈 마일영 트레이드 뒷얘기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10-03-12
[3] 뉴스 히어로즈발 트레이드, 그 3년의 족적 http://osen.mt.co.kr[...] OSEN
[4] 뉴스 '2년 6억2천 넥센 잔류' 마정길, FA 재계약 소감은? http://www.sportsq.c[...] 스포츠Q
[5] 뉴스 ‘마노예’ 마정길의 2008 성공 시대 http://isplus.joins.[...] 일간스포츠 2009-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