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도니아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케도니아인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세운 마케도니아 제국을 기원으로 하며, 현재는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마케도니아어를 사용하는 슬라브계 민족이다. 북마케도니아를 중심으로 주변 발칸 반도 지역에 거주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민족의 지배를 받으며 민족 정체성이 형성되었다. 1991년 독립 이후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국호를 변경했으며, 그리스와의 국호 분쟁을 겪기도 했다. 문화적으로는 슬라브, 세르비아, 오스만 제국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전통적인 민속, 건축, 음악, 예술 등을 간직하고 있다. 유전학적으로는 발칸 반도의 다양한 인구 집단과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예로부터, 마케도니아인들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세운 마케도니아 제국을 기원으로 둔다. 하지만, 고대 마케도니아인들은 고대 그리스어와 동일한 고대 마케도니아어를 사용한 그리스계 민족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역사
=== 고대 및 로마 시대 ===
고대 시대에 중앙-북부 마케도니아(바르다르강 유역)의 대부분은 하류 스트리몬 유역에서 확장된 파이오니아인들이 거주했다. 펠라고니아 평원에는 펠라고네스와 린케스티스인들이 거주했으며, 서부 지역(오흐리드-프레스파)은 일리리아인 부족, 예를 들어 엔켈레이가 거주했다고 한다.[55] 후기 고전 시대에 이미 여러 정교한 ''폴리스''형 정착지와 광업에 기반한 번성하는 경제를 발전시킨 파이오니아는 아르게아드 - 마케도니아 왕국의 구성 지방이 되었다.[56][57] 기원전 310년, 켈트족은 남쪽 깊숙이 공격하여 다르다니아인, 파이오니아인, 트리발리와 같은 다양한 지역 부족을 정복했다. 로마의 정복은 이 지역에 상당한 로마화를 가져왔다. 도미나투스 시대에 '야만족' 포에데라티가 때때로 마케도니아 땅에 정착했는데, 예를 들어 콘스탄티누스 1세 (서기 330년대)에 의해 정착된 사르마티아인[58] 또는 알라리크 1세의 고트족의 (10년) 정착이 있었다.[59] '변방 지방'과 달리, 마케도니아(북부 및 남부)는 후기 고대와 초기 중세 시대에도 번성하는 기독교 로마 지방으로 남아 있었다.[59][60]
=== 중세 시대 ===
예로부터 마케도니아인들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세운 마케도니아 제국을 기원으로 두지만, 고대 마케도니아인들은 고대 그리스어와 동일한 고대 마케도니아어를 사용한 그리스계 민족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기 580년에 비잔티움 제국의 문헌에서는 아바르족과 불가르족의 도움을 받아 마케도니아 지방의 제국 영토를 침략해 나라를 건설한 슬라브족에 대한 기록이 나온다. 따라서 현재 존재하는 모든 마케도니아인들은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마케도니아어를 사용하는 슬라브계 민족이다.[61]
언어학적으로, 마케도니아어가 발전한 남 슬라브어는 로마 제국 이후 시대에 이 지역으로 확장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이러한 언어적 확장의 정확한 메커니즘은 학술적인 논쟁의 대상이다. 전통적인 역사학은 이러한 변화를 6세기와 7세기 동안 왈라키아와 서부 우크라이나에서 온 슬라브족(Sclaveni)과 안테스족(Antes)의 습격과 '침략'의 시작과 동일시했다.[62] 그러나 최근의 인류학적, 고고학적 관점은 마케도니아와 발칸 반도 전역에서 슬라브족의 등장을 로마 권위 붕괴 이전 발칸의 문화적, 정치적, 민족 언어적 지형의 광범위하고 복잡한 변환 과정의 일부로 간주한다. 인구 이동의 정확한 세부 사항과 연대기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63][64]
논쟁의 여지가 없는 것은 "야만적인" 불가리아와 대조적으로, 북마케도니아는 7세기까지 문화적 관점에서 로마인으로 남아 있었다는 것이다.[60] 그러나 동시에, 출처는 테살로니키 주변과 더 멀리 떨어진 지역, 펠라고니아의 베르지티족을 포함한 수많은 슬라브 부족을 증언한다.[65] 슬라브족과 후기 비잔틴인 외에도, 쿠베르의 "세르메시안족(Sermesianoi)"—비잔틴 그리스인, 불가르족 및 판노니아 아바르족의 혼합—이 7세기 말에 비톨라 주변의 "케라미시안 평원"(펠라고니아)에 정착했다.[67][68][69] 이후 정착민들로는 9세기에 "다뉴브" 불가르족,[70][71] 10~12세기에 마자르족(Vardariotai)과[72] 아르메니아인,[73] 11~13세기에 쿠만족과 페체네그족,[74] 그리고 14~15세기에 작센 광부가 포함되었다.[75] 발라치족(아로마니아인)과 아르바나시족(알바니아인)도 중세 시대에 이 지역에 거주했으며 현지 슬라브어 사용자와 섞였다.[76][77]
이전에 비잔틴의 고객이었던 마케도니아의 ''슬라비니아''는 800년대 중반 불가리아 제국에 통합되면서 불가리아로 충성을 바꿨다. 860년대에, 비잔틴 선교사 키릴루스와 메토디우스는 테살로니키 주변의 슬라브 방언을 기반으로 글라골 문자와 슬라브 전례를 만들어 대 모라비아로의 선교를 위해 사용했다.[78][79][80] 886년 대 모라비아 선교가 종료된 후, 두 사도의 망명한 제자들이 글라골 문자를 불가리아 제국으로 가져갔고, 칸 보리스 1세가 그들을 환영했다. 비잔틴의 영향력을 제한하고 불가리아의 독립을 주장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그는 슬라브어를 공식 교회 및 국가 언어로 채택하고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와 오흐리드 문학 학교를 설립하여 슬라브 전례와 글라골 문자를 가르쳤고, 이후 키릴 문자를 가르쳤다.[81][82][83] 보리스 1세의 노력의 성공은 마케도니아의 슬라브족—그리고 제1차 불가리아 국가 내의 다른 슬라브족—을 불가리아인으로 만들고 *불가르* 국가를 *불가리아* 국가로 변환하는 데 주요한 요인이었다.[84] 그 후, 오흐리드의 문학 및 교회 중심지는 중세 불가리아의 두 번째 문화적 수도가 되었다.[85][86]
=== 오스만 제국 시대 ===
오스만 제국이 14세기에서 15세기에 걸쳐 발칸 반도를 정복한 후, 모든 동방 정교회 기독교인은 룸 밀레트라는 "그리스-비잔틴" 종교 공동체에 속하게 되었다.[87] 이 공동체에 속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스로를 "기독교인"으로 여겼으나, 민족 명칭은 사라지지 않고 어떤 형태의 민족적 정체성은 존재했다.[88] 1680년 술탄의 칙령에서는 제국 내 민족 집단을 그리스인, 알바니아인, 세르비아인, 블라흐인, 불가리아인으로 묘사하고 있다.[89]
중세 시대와 20세기 초까지 이어진 오스만 통치 기간 동안,[51][52][90] 마케도니아 지역의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인구 대다수는 불가리아인이라고 불렸다.[91][92][93] 그러나 "불가리아인"과 같은 용어는 엄격한 민족-국가적 의미보다는 지역 거주, 종교적 성향 등을 나타내는 느슨한 용어였다.[94][95][96][97] 마찬가지로, "비잔틴인"은 콘스탄티노플의 "로마" 신하를 의미했으며, 민족적 함축을 지니지 않았다.[98] 중세 시대에는 "사람의 기원은 명확하게 지역적"이었으며,[99]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19세기 민족주의의 부상 이전에는 종교 공동체에 기반을 두었다.
19세기 초 오스만 제국 하의 민족주의의 부상과 함께 룸 밀레트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슬라브어 사용 인구 대다수의 지원을 받는 불가리아 민족 지도자들은 별도의 "불가리아 밀레트"를 요구했고, 1870년 불가리아 정교회 창설을 위한 칙령이 발효되었다.[100] 1872년 콘스탄티노플의 세계 총대주교 안티무스 6세는 정교회를 분열주의로 선언하고 지지자들을 파문했으며, "정교회를 민족주의에 굴복시켰다"고 비난했다.[101] 1874년 스코페와 오흐리드 주교구의 기독교 인구는 국민투표를 통해 압도적으로 정교회 가입에 찬성했다(스코페 91%, 오흐리드 97%).[103][104] 1876년 콘스탄티노플 회의는 국민 투표 결과 등을 바탕으로 오늘날의 북마케도니아 전체와 그리스 마케도니아 일부 지역을 포함시켰다.[105] 1878년 산 스테파노 조약에 의해 그려진 새로운 불가리아 국경은 마케도니아를 포함했지만, 베를린 조약 (1878년)으로 마케도니아는 오스만 제국에 "반환"되었다.
기독교 슬라브 농민들에게 총대주교와 정교회 사이의 선택은 국가적 의미보다는 교회나 밀레트의 선택이었다. 불가리아 국가 대의에 대한 지지는 억압적인 기독교 치프릭 소유주와 도시 상인에 반대하고, 총대주교청 주교의 과세에서 벗어나며, 정교회로 충성을 바꾸고 불가리아 학교에서 무상 교육을 받는 것을 고려하여 매력적이었다.[106][107]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이 불가리아, 그리스 또는 세르비아 민족 진영에 정렬하는 것은 다른 국가 이데올로기에 대한 지지를 의미하지 않았고, 이들은 안정적인 집단이 아니라 국가적 연계를 가진 당사자였다.[108]
=== 민족 정체성 형성 ===
마케도니아인의 민족 정체성은 19세기 후반부터 주로 베오그라드, 소피아, 테살로니키,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지식인들 사이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다.[110] 1850년대부터 이 지역의 일부 슬라브 지식인들은 그리스 명칭 "마케도니아인"을 지역적 꼬리표로 채택하여 사용했다.[111]
페트코 슬라베이코프는 1860년대에 마케도니아 출신의 일부 젊은 지식인들이 자신들을 불가리아인이 아니라 고대 마케도니아인의 후손인 마케도니아인이라고 주장했다는 기록을 남겼다.[112] 그는 1866년에 신문 ''마케도니아''를 발행하여 ''그레코만''들을 교육하려 했으며,[114] 1874년에는 "지역 애국자들"이 자신들의 지역 방언을 발전시키고 독립적인 마케도니아 교회 지도부를 세우려 한다고 보고했다.[115] 스토얀 노바코비치는 이 지역의 친불가리아 정서에 반대하기 위해 마케도니아 민족주의를 이용하는 아이디어를 장려했다.[117]
게오르기 풀레프스키는 1875년에 출판한 ''세 언어 사전: 마케도니아어, 알바니아어, 터키어''에서 마케도니아인들이 별도의 민족이며 그들의 땅은 마케도니아라고 주장했다.[119] 1880년에는 ''슬라브 마케도니아 인구의 언어 문법''을 출판하여 마케도니아어 문법을 정립하려 했다.[119] 그러나 그는 자신을 "갈리치니크 출신 미야크",[122] "세르비아 애국자",[123] "갈리치니크 마을 출신 불가리아인" 등으로 묘사하며[124][125] 여러 번 민족성을 바꾸었기 때문에 그의 마케도니아 자기 정체성은 미숙한 것으로 여겨진다.[127][128]
1890년, 스코페의 테오도시우스는 불가리아 엑사르크를 포기하고 오흐리드 대주교구를 부활시키려 시도했으나,[130] 실패 후 친불가리아 입장으로 돌아섰다.[131] 1880년대와 1890년대에 이사야 마조프스키는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을 "마케도니아인"과 "고대 슬라브 마케도니아 민족"으로 지칭하며 불가리아인과 구별했다.[132]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 지도자 보리스 사라포프는 1901년에 마케도니아인들이 독특한 "국가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고 밝혔으나, 일린덴 봉기 실패 이후 불가리아와의 관계를 중시했다.[136][137] 조르체 페트로프는 마케도니아를 "뚜렷한 도덕적 단위"로 언급했지만,[138] 슬라브 인구를 불가리아인으로 묘사했다.[139]
크르스테 미시르코프는 1903년 ''마케도니아 문제에 관하여''에서 마케도니아 중부 방언을 표준 마케도니아 문학 언어의 기초로 채택하고 오흐리드 정교 대주교단의 자율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40] 그러나 그는 슬라브계 마케도니아 인구가 스스로를 "불가리아인"이라고 불렀다고 언급하며,[141] 불가리아와 세르비아의 갈등이 마케도니아 분할로 이어질 것을 우려했다.[143][144] 1905년, 그는 친불가리아 입장으로 선회했다.[147][148]
디미트리야 추포프스키는 1902년 마케도니아 문학 협회를 설립하고, 1913년 마케도니아 독립 선언문을 제출했으며, 1913년부터 1914년까지 신문 ''마케돈스키 골로스 (마케도니아의 목소리)''를 통해 마케도니아 민족의 존재를 알리고 독립 국가를 주장했다.
1878년부터 1918년까지 유럽 관찰자들은 마케도니아의 슬라브족을 불가리아인 또는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으로 보았고, 불가리아와의 연관성을 인정했다.[151] 스피리돈 고프체비치가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을 세르비아인으로 주장하는 지도를 출판하자, 1891년 러시아는 마케도니아를 불가리아인이 아닌 마케도니아 슬라브족 거주 지역으로 표시했다.[154] 오스트리아-헝가리 지도도 초기에는 러시아를 지지했으나, 이후 불가리아와의 관계 개선에 따라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을 불가리아인으로 제시했다.[155]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이라는 용어는 세르비아와 불가리아의 주장에 대한 중간 해결책으로 사용되었다.[156] 요반 츠비이치는 1906년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을 "마케도-슬라브족"으로 묘사하며, 그들이 민족 의식이 없고 세르비아인 또는 불가리아인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160] 아나스타스 이시르코프는 츠비이치의 견해에 반박했다.[162]
츠비이치는 이후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을 불가리아인, 세르비아인과 구별되는 제3의 집단으로 표시했으나,[163][164] 1913년 부쿠레슈티 조약 체결 전에는 스코페와 살로니카 사이의 마케도-슬라브족을 불가리아인, 세르보-크로아티아인과 구별되는 집단으로 수정했다.[170] 발칸 전문가 위원회는 1914년 츠비이치의 마케도-슬라브족 개념을 거부했으나,[173] 제1차 세계 대전 중 불가리아가 중앙 열강에 가담하면서 연합국은 츠비이치의 견해를 수용했다.[174][175] 유고슬라비아의 관점이 우세해지면서 아테네 대학교 교수 게오르기오스 소티리아데스는 1918년 마케도-슬라브족을 별개의 집단으로 표시했다.[176][177]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츠비이치의 지도는 발칸 민족 지도의 기준이 되었고,[178] 그의 마케도-슬라브족 개념은 여러 지도에서 복제되었다.[179][180]1900년경 오스트리아 민족 지도 1916년 중앙 및 남동부 유럽 민족지도 1918년 요반 츠비이치의 발칸 반도 민족 지도 1918년 게오르기오스 소티리아디스의 그리스 지도 1922년 발칸 반도 민족 지도
===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 ===
발칸 전쟁(1912-1913)과 제1차 세계 대전(1914-1918) 이후, 마케도니아 지역은 그리스 왕국, 불가리아 왕국, 세르비아 왕국으로 분할되면서,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인구 사이에서 별도의 마케도니아 민족에 속한다는 생각이 확산되었다.[181][182] 전쟁의 고통과 발칸 군주국들의 지배를 위한 투쟁은 마케도니아인들이 독립적인 마케도니아 민족의 제도화가 그들의 고통을 종식시킬 것이라는 생각을 강화시켰다. 그들은 "불가리아인도 세르비아인도 아니다... 나는 오직 마케도니아인일 뿐이며, 전쟁에 지쳤다"라고 답하며 자신들의 정체성을 표현했다.[181][182] 스트라티스 미리빌리스는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한 가족이 ''"불가르, 스르프, 또는 그르츠"'가 아닌 ''"마케돈 옥토독스"'로 불리기를 원했던 구체적인 사례를 언급했다.[183]
1920년대에 그리스와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에 거주하는 슬라브족 대다수는 스스로를 "마케도니아인"이라는 집단 명칭으로 묘사하며 별개의 민족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184] 1928년 그리스 인구 조사에서는 81,844명의 마케도니아어 사용자가 기록되었고, 이들은 16,755명의 불가리아어 사용자와 구별되었다.[185] 1930년대 이전에는 그리스인들이 마케도니아의 슬라브어 사용자들을 마케도니아인, 그들의 언어를 마케도니아어로 지칭하는 것이 "허용되었던 것 같다"고 이온 드라구미스는 주장했다.
1920년대 국제 공산주의 조직(코민테른)은 마케도니아 문제를 정치적 무기로 사용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1920년 유고슬라비아 의회 선거에서 마케도니아의 공산주의 득표율은 25%였지만, 친불가리아 IMRO의 선거 보이콧으로 투표율은 55%에 불과했다. 1924년 코민테른은 분할된 마케도니아의 독립을 요구하는 5월 선언을 조직했다.[187] 1925년 코민테른의 도움으로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 (연합)이 창설되었고, 이 조직은 1932년 처음으로 별도의 마케도니아 민족의 존재를 홍보했다.[188][189][190] 1933년 그리스 공산당은 리지스파스티스에 게재된 기사에서 그리스의 소수 민족 정책을 비판하며, 마케도니아 전체 슬라브족을 별개의 마케도니아 민족으로, 그들의 언어를 마케도니아어로 인정했다.[191] 1934년 코민테른은 결의안을 발표하여 마케도니아 민족의 발전을 지원했다.[192]
=== 제2차 세계 대전과 유고슬라비아 ===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민족 마케도니아 공산주의 유격대 부대가 결성되면서 별개의 마케도니아 민족에 대한 소속감이 커졌다. 1943년에는 마케도니아 공산당이 창설되었고, 저항 운동이 성장했다.[193][194] 그러나 마케도니아 민족 해방 전쟁 당시 "마케도니아인"이라는 명칭은 그들에게 서로 다른 의미를 갖게 되었는데, 이는 이 지역을 지배했던 세 개의 민족 국가에서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의 서로 다른 궤적 때문이었다. 역사학자 이반 카타르지예프에 따르면 불가리아 지역 출신이거나 IMRO (통일)의 구성원들은 스스로를 불가리아인으로 느꼈고,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세르비아 통치를 경험하고 크로아티아 및 슬로베니아 민족 운동과 교류했던 사람들은 더 강한 마케도니아 의식을 발전시켰다.[19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SFRJ) 내 마케도니아 인민 공화국 설립을 포함하여 공산주의 통치 하에 있던 마케도니아 지역의 세 부분에 민족 마케도니아 기관이 설립되었다.[196] 동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전간기 동안 유고슬라비아의 마케도니아 슬라브족 사이에서는 친불가리아 정서가 상당했다.[197][198][199][200][201][202][203][204] 그러나 유고슬라비아가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의 슬라브계 주민을 불가리아인으로 인정한다면, 해당 지역이 불가리아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는 의미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마케도니아에서는 유고슬라비아의 강제적인 세르비아화 정책이 마케도니아화로 변경되었다. 마케도니아어의 표준화와 마케도니아 민족의 인정은 마케도니아인들 사이의 불가리아 애호를 금지하고,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동일시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의식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유고슬라비아는 PR 마케도니아에서 전간기 동안 바르다르 바노비나에서 이미 시행했던 것과 같이, 사람들의 급격한 ''탈불가리아화''를 다시 도입했다. 불가리아 측 자료에 따르면, 특별 ''마케도니아 민족 명예 보호법'' 위반으로 약 10만 명의 친불가리아 세력이 투옥되었고, 1,200명 이상이 사망했다고 한다.[205][206] 공산 유고슬라비아 시대에 국가 정책 수준으로 강화된 강력한 반불가리아 정서 속에서 세대들이 교육을 받으며 성장했다. 이 정책은 불가리아와 새로운 마케도니아 민족을 구별해야 할 필요성에서 비롯되었는데, 마케도니아인들은 불가리아와 구별함으로써 자체 역사를 가진 별개의 공동체임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 정책은 1990년 이후 새로운 마케도니아 공화국에서도 지속되었지만, 그 강도는 덜했다. 따라서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의 슬라브어 사용 인구의 정체성에서 불가리아 부분은 사라졌다.
=== 독립과 현재 ===
마케도니아인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세운 마케도니아 제국을 기원으로 두지만, 고대 마케도니아인들은 고대 그리스어와 동일한 고대 마케도니아어를 사용한 그리스계 민족이다.[118] 현재 마케도니아인들은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마케도니아어를 사용하는 슬라브계 민족이다. 비잔티움 제국의 문헌에 따르면, 580년에 아바르족과 불가르족의 도움을 받아 마케도니아 지방의 제국 영토를 침략해 나라를 건설한 슬라브족에 대한 기록이 있다.
북마케도니아는 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 오스만 제국, 세르비아 왕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등을 거쳐 1991년 9월 8일 평화적으로 독립을 선언했다. 이후 '마케도니아 공화국'이라는 이름을 거쳐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오늘날에 이른다. 키로 글리고로프는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최초의 마케도니아 공화국 대통령이었다. 그러나 그리스와의 국호 분쟁으로 갈등을 겪기도 했다.[118]
유고슬라비아 붕괴 이후, 마케도니아 정체성 문제가 다시 불거졌다. 그리스와 불가리아를 비롯한 주변 국가의 민족주의자들과 정부는 마케도니아 민족이 현대적이고 인위적으로 만들어졌다는 견해를 옹호한다.[118] 마케도니아 역사가들은 이러한 견해가 마케도니아 영토에 대한 팽창주의적 동기를 나타낸다고 본다.[118]
최근에는 "고대 마케도니아주의" 또는 "고대화"라고 불리는, 더 급진적이고 타협하지 않는 마케도니아 민족주의가 등장했다. 이 견해의 지지자들은 현대 마케도니아인들을 고대 마케도니아인들의 직계 후손으로 본다. 그러나 이는 고고학이나 역사학적으로 뒷받침되지 않으며, 마케도니아
2. 1. 고대 및 로마 시대
예로부터, 마케도니아인들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세운 마케도니아 제국을 기원으로 둔다. 하지만, 고대 마케도니아인들은 고대 그리스어와 동일한 고대 마케도니아어를 사용한 그리스계 민족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대 시대에 중앙-북부 마케도니아(바르다르강 유역)의 대부분은 하류 스트리몬 유역에서 확장된 파이오니아인들이 거주했다. 펠라고니아 평원에는 펠라고네스와 린케스티스인들이 거주했으며, 서부 지역(오흐리드-프레스파)은 일리리아인 부족, 예를 들어 엔켈레이가 거주했다고 한다.[55] 후기 고전 시대에 이미 여러 정교한 ''폴리스''형 정착지와 광업에 기반한 번성하는 경제를 발전시킨 파이오니아는 아르게아드 - 마케도니아 왕국의 구성 지방이 되었다.[56][57] 기원전 310년, 켈트족은 남쪽 깊숙이 공격하여 다르다니아인, 파이오니아인, 트리발리와 같은 다양한 지역 부족을 정복했다. 로마의 정복은 이 지역에 상당한 로마화를 가져왔다. 도미나투스 시대에 '야만족' 포에데라티가 때때로 마케도니아 땅에 정착했는데, 예를 들어 콘스탄티누스 1세 (서기 330년대)에 의해 정착된 사르마티아인[58] 또는 알라리크 1세의 고트족의 (10년) 정착이 있었다.[59] '변방 지방'과 달리, 마케도니아(북부 및 남부)는 후기 고대와 초기 중세 시대에도 번성하는 기독교 로마 지방으로 남아 있었다.[59][60]
2. 2. 중세 시대
예로부터 마케도니아인들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세운 마케도니아 제국을 기원으로 두지만, 고대 마케도니아인들은 고대 그리스어와 동일한 고대 마케도니아어를 사용한 그리스계 민족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기 580년에 비잔티움 제국의 문헌에서는 아바르족과 불가르족의 도움을 받아 마케도니아 지방의 제국 영토를 침략해 나라를 건설한 슬라브족에 대한 기록이 나온다. 따라서 현재 존재하는 모든 마케도니아인들은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마케도니아어를 사용하는 슬라브계 민족이다.[61]
언어학적으로, 마케도니아어가 발전한 남 슬라브어는 로마 제국 이후 시대에 이 지역으로 확장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이러한 언어적 확장의 정확한 메커니즘은 학술적인 논쟁의 대상이다. 전통적인 역사학은 이러한 변화를 6세기와 7세기 동안 왈라키아와 서부 우크라이나에서 온 슬라브족(Sclaveni)과 안테스족(Antes)의 습격과 '침략'의 시작과 동일시했다.[62] 그러나 최근의 인류학적, 고고학적 관점은 마케도니아와 발칸 반도 전역에서 슬라브족의 등장을 로마 권위 붕괴 이전 발칸의 문화적, 정치적, 민족 언어적 지형의 광범위하고 복잡한 변환 과정의 일부로 간주한다. 인구 이동의 정확한 세부 사항과 연대기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63][64]
논쟁의 여지가 없는 것은 "야만적인" 불가리아와 대조적으로, 북마케도니아는 7세기까지 문화적 관점에서 로마인으로 남아 있었다는 것이다.[60] 그러나 동시에, 출처는 테살로니키 주변과 더 멀리 떨어진 지역, 펠라고니아의 베르지티족을 포함한 수많은 슬라브 부족을 증언한다.[65] 슬라브족과 후기 비잔틴인 외에도, 쿠베르의 "세르메시안족(Sermesianoi)"—비잔틴 그리스인, 불가르족 및 판노니아 아바르족의 혼합—이 7세기 말에 비톨라 주변의 "케라미시안 평원"(펠라고니아)에 정착했다.[67][68][69] 이후 정착민들로는 9세기에 "다뉴브" 불가르족,[70][71] 10~12세기에 마자르족(Vardariotai)과[72] 아르메니아인,[73] 11~13세기에 쿠만족과 페체네그족,[74] 그리고 14~15세기에 작센 광부가 포함되었다.[75] 발라치족(아로마니아인)과 아르바나시족(알바니아인)도 중세 시대에 이 지역에 거주했으며 현지 슬라브어 사용자와 섞였다.[76][77]
이전에 비잔틴의 고객이었던 마케도니아의 ''슬라비니아''는 800년대 중반 불가리아 제국에 통합되면서 불가리아로 충성을 바꿨다. 860년대에, 비잔틴 선교사 키릴루스와 메토디우스는 테살로니키 주변의 슬라브 방언을 기반으로 글라골 문자와 슬라브 전례를 만들어 대 모라비아로의 선교를 위해 사용했다.[78][79][80] 886년 대 모라비아 선교가 종료된 후, 두 사도의 망명한 제자들이 글라골 문자를 불가리아 제국으로 가져갔고, 칸 보리스 1세가 그들을 환영했다. 비잔틴의 영향력을 제한하고 불가리아의 독립을 주장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그는 슬라브어를 공식 교회 및 국가 언어로 채택하고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와 오흐리드 문학 학교를 설립하여 슬라브 전례와 글라골 문자를 가르쳤고, 이후 키릴 문자를 가르쳤다.[81][82][83] 보리스 1세의 노력의 성공은 마케도니아의 슬라브족—그리고 제1차 불가리아 국가 내의 다른 슬라브족—을 불가리아인으로 만들고 *불가르* 국가를 *불가리아* 국가로 변환하는 데 주요한 요인이었다.[84] 그 후, 오흐리드의 문학 및 교회 중심지는 중세 불가리아의 두 번째 문화적 수도가 되었다.[85][86]
2. 3. 오스만 제국 시대
오스만 제국이 14세기에서 15세기에 걸쳐 발칸 반도를 정복한 후, 모든 동방 정교회 기독교인은 룸 밀레트라는 "그리스-비잔틴" 종교 공동체에 속하게 되었다.[87] 이 공동체에 속하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스로를 "기독교인"으로 여겼으나, 민족 명칭은 사라지지 않고 어떤 형태의 민족적 정체성은 존재했다.[88] 1680년 술탄의 칙령에서는 제국 내 민족 집단을 그리스인, 알바니아인, 세르비아인, 블라흐인, 불가리아인으로 묘사하고 있다.[89]
중세 시대와 20세기 초까지 이어진 오스만 통치 기간 동안,[51][52][90] 마케도니아 지역의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인구 대다수는 불가리아인이라고 불렸다.[91][92][93] 그러나 "불가리아인"과 같은 용어는 엄격한 민족-국가적 의미보다는 지역 거주, 종교적 성향 등을 나타내는 느슨한 용어였다.[94][95][96][97] 마찬가지로, "비잔틴인"은 콘스탄티노플의 "로마" 신하를 의미했으며, 민족적 함축을 지니지 않았다.[98] 중세 시대에는 "사람의 기원은 명확하게 지역적"이었으며,[99]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19세기 민족주의의 부상 이전에는 종교 공동체에 기반을 두었다.
19세기 초 오스만 제국 하의 민족주의의 부상과 함께 룸 밀레트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슬라브어 사용 인구 대다수의 지원을 받는 불가리아 민족 지도자들은 별도의 "불가리아 밀레트"를 요구했고, 1870년 불가리아 정교회 창설을 위한 칙령이 발효되었다.[100] 1872년 콘스탄티노플의 세계 총대주교 안티무스 6세는 정교회를 분열주의로 선언하고 지지자들을 파문했으며, "정교회를 민족주의에 굴복시켰다"고 비난했다.[101] 1874년 스코페와 오흐리드 주교구의 기독교 인구는 국민투표를 통해 압도적으로 정교회 가입에 찬성했다(스코페 91%, 오흐리드 97%).[103][104] 1876년 콘스탄티노플 회의는 국민 투표 결과 등을 바탕으로 오늘날의 북마케도니아 전체와 그리스 마케도니아 일부 지역을 포함시켰다.[105] 1878년 산 스테파노 조약에 의해 그려진 새로운 불가리아 국경은 마케도니아를 포함했지만, 베를린 조약 (1878년)으로 마케도니아는 오스만 제국에 "반환"되었다.
기독교 슬라브 농민들에게 총대주교와 정교회 사이의 선택은 국가적 의미보다는 교회나 밀레트의 선택이었다. 불가리아 국가 대의에 대한 지지는 억압적인 기독교 치프릭 소유주와 도시 상인에 반대하고, 총대주교청 주교의 과세에서 벗어나며, 정교회로 충성을 바꾸고 불가리아 학교에서 무상 교육을 받는 것을 고려하여 매력적이었다.[106][107]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이 불가리아, 그리스 또는 세르비아 민족 진영에 정렬하는 것은 다른 국가 이데올로기에 대한 지지를 의미하지 않았고, 이들은 안정적인 집단이 아니라 국가적 연계를 가진 당사자였다.[108]
2. 4. 민족 정체성 형성
마케도니아인의 민족 정체성은 19세기 후반부터 주로 베오그라드, 소피아, 테살로니키,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지식인들 사이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다.[110] 1850년대부터 이 지역의 일부 슬라브 지식인들은 그리스 명칭 "마케도니아인"을 지역적 꼬리표로 채택하여 사용했다.[111]
페트코 슬라베이코프는 1860년대에 마케도니아 출신의 일부 젊은 지식인들이 자신들을 불가리아인이 아니라 고대 마케도니아인의 후손인 마케도니아인이라고 주장했다는 기록을 남겼다.[112] 그는 1866년에 신문 ''마케도니아''를 발행하여 ''그레코만''들을 교육하려 했으며,[114] 1874년에는 "지역 애국자들"이 자신들의 지역 방언을 발전시키고 독립적인 마케도니아 교회 지도부를 세우려 한다고 보고했다.[115] 스토얀 노바코비치는 이 지역의 친불가리아 정서에 반대하기 위해 마케도니아 민족주의를 이용하는 아이디어를 장려했다.[117]
게오르기 풀레프스키는 1875년에 출판한 ''세 언어 사전: 마케도니아어, 알바니아어, 터키어''에서 마케도니아인들이 별도의 민족이며 그들의 땅은 마케도니아라고 주장했다.[119] 1880년에는 ''슬라브 마케도니아 인구의 언어 문법''을 출판하여 마케도니아어 문법을 정립하려 했다.[119] 그러나 그는 자신을 "갈리치니크 출신 미야크",[122] "세르비아 애국자",[123] "갈리치니크 마을 출신 불가리아인" 등으로 묘사하며[124][125] 여러 번 민족성을 바꾸었기 때문에 그의 마케도니아 자기 정체성은 미숙한 것으로 여겨진다.[127][128]
1890년, 스코페의 테오도시우스는 불가리아 엑사르크를 포기하고 오흐리드 대주교구를 부활시키려 시도했으나,[130] 실패 후 친불가리아 입장으로 돌아섰다.[131] 1880년대와 1890년대에 이사야 마조프스키는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을 "마케도니아인"과 "고대 슬라브 마케도니아 민족"으로 지칭하며 불가리아인과 구별했다.[132]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 지도자 보리스 사라포프는 1901년에 마케도니아인들이 독특한 "국가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고 밝혔으나, 일린덴 봉기 실패 이후 불가리아와의 관계를 중시했다.[136][137] 조르체 페트로프는 마케도니아를 "뚜렷한 도덕적 단위"로 언급했지만,[138] 슬라브 인구를 불가리아인으로 묘사했다.[139]
크르스테 미시르코프는 1903년 ''마케도니아 문제에 관하여''에서 마케도니아 중부 방언을 표준 마케도니아 문학 언어의 기초로 채택하고 오흐리드 정교 대주교단의 자율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40] 그러나 그는 슬라브계 마케도니아 인구가 스스로를 "불가리아인"이라고 불렀다고 언급하며,[141] 불가리아와 세르비아의 갈등이 마케도니아 분할로 이어질 것을 우려했다.[143][144] 1905년, 그는 친불가리아 입장으로 선회했다.[147][148]
디미트리야 추포프스키는 1902년 마케도니아 문학 협회를 설립하고, 1913년 마케도니아 독립 선언문을 제출했으며, 1913년부터 1914년까지 신문 ''마케돈스키 골로스 (마케도니아의 목소리)''를 통해 마케도니아 민족의 존재를 알리고 독립 국가를 주장했다.
1878년부터 1918년까지 유럽 관찰자들은 마케도니아의 슬라브족을 불가리아인 또는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으로 보았고, 불가리아와의 연관성을 인정했다.[151] 스피리돈 고프체비치가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을 세르비아인으로 주장하는 지도를 출판하자, 1891년 러시아는 마케도니아를 불가리아인이 아닌 마케도니아 슬라브족 거주 지역으로 표시했다.[154] 오스트리아-헝가리 지도도 초기에는 러시아를 지지했으나, 이후 불가리아와의 관계 개선에 따라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을 불가리아인으로 제시했다.[155]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이라는 용어는 세르비아와 불가리아의 주장에 대한 중간 해결책으로 사용되었다.[156] 요반 츠비이치는 1906년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을 "마케도-슬라브족"으로 묘사하며, 그들이 민족 의식이 없고 세르비아인 또는 불가리아인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160] 아나스타스 이시르코프는 츠비이치의 견해에 반박했다.[162]
츠비이치는 이후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을 불가리아인, 세르비아인과 구별되는 제3의 집단으로 표시했으나,[163][164] 1913년 부쿠레슈티 조약 체결 전에는 스코페와 살로니카 사이의 마케도-슬라브족을 불가리아인, 세르보-크로아티아인과 구별되는 집단으로 수정했다.[170] 발칸 전문가 위원회는 1914년 츠비이치의 마케도-슬라브족 개념을 거부했으나,[173] 제1차 세계 대전 중 불가리아가 중앙 열강에 가담하면서 연합국은 츠비이치의 견해를 수용했다.[174][175] 유고슬라비아의 관점이 우세해지면서 아테네 대학교 교수 게오르기오스 소티리아데스는 1918년 마케도-슬라브족을 별개의 집단으로 표시했다.[176][177]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츠비이치의 지도는 발칸 민족 지도의 기준이 되었고,[178] 그의 마케도-슬라브족 개념은 여러 지도에서 복제되었다.[179][180]
```wikitable
1900년경 오스트리아 민족 지도 | 1916년 중앙 및 남동부 유럽 민족지도 | 1918년 요반 츠비이치의 발칸 반도 민족 지도 |
---|---|---|
1918년 게오르기오스 소티리아디스의 그리스 지도 | 1922년 발칸 반도 민족 지도 | |
2. 5.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
발칸 전쟁(1912-1913)과 제1차 세계 대전(1914-1918) 이후, 마케도니아 지역은 그리스 왕국, 불가리아 왕국, 세르비아 왕국으로 분할되면서,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인구 사이에서 별도의 마케도니아 민족에 속한다는 생각이 확산되었다.[181][182] 전쟁의 고통과 발칸 군주국들의 지배를 위한 투쟁은 마케도니아인들이 독립적인 마케도니아 민족의 제도화가 그들의 고통을 종식시킬 것이라는 생각을 강화시켰다. 그들은 "불가리아인도 세르비아인도 아니다... 나는 오직 마케도니아인일 뿐이며, 전쟁에 지쳤다"라고 답하며 자신들의 정체성을 표현했다.[181][182] 스트라티스 미리빌리스는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한 가족이 ''"불가르, 스르프, 또는 그르츠"'가 아닌 ''"마케돈 옥토독스"'로 불리기를 원했던 구체적인 사례를 언급했다.[183]1920년대에 그리스와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에 거주하는 슬라브족 대다수는 스스로를 "마케도니아인"이라는 집단 명칭으로 묘사하며 별개의 민족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184] 1928년 그리스 인구 조사에서는 81,844명의 마케도니아어 사용자가 기록되었고, 이들은 16,755명의 불가리아어 사용자와 구별되었다.[185] 1930년대 이전에는 그리스인들이 마케도니아의 슬라브어 사용자들을 마케도니아인, 그들의 언어를 마케도니아어로 지칭하는 것이 "허용되었던 것 같다"고 이온 드라구미스는 주장했다.
1920년대 국제 공산주의 조직(코민테른)은 마케도니아 문제를 정치적 무기로 사용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1920년 유고슬라비아 의회 선거에서 마케도니아의 공산주의 득표율은 25%였지만, 친불가리아 IMRO의 선거 보이콧으로 투표율은 55%에 불과했다. 1924년 코민테른은 분할된 마케도니아의 독립을 요구하는 5월 선언을 조직했다.[187] 1925년 코민테른의 도움으로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 (연합)이 창설되었고, 이 조직은 1932년 처음으로 별도의 마케도니아 민족의 존재를 홍보했다.[188][189][190] 1933년 그리스 공산당은 리지스파스티스에 게재된 기사에서 그리스의 소수 민족 정책을 비판하며, 마케도니아 전체 슬라브족을 별개의 마케도니아 민족으로, 그들의 언어를 마케도니아어로 인정했다.[191] 1934년 코민테른은 결의안을 발표하여 마케도니아 민족의 발전을 지원했다.[192]
2. 6. 제2차 세계 대전과 유고슬라비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민족 마케도니아 공산주의 유격대 부대가 결성되면서 별개의 마케도니아 민족에 대한 소속감이 커졌다. 1943년에는 마케도니아 공산당이 창설되었고, 저항 운동이 성장했다.[193][194] 그러나 마케도니아 민족 해방 전쟁 당시 "마케도니아인"이라는 명칭은 그들에게 서로 다른 의미를 갖게 되었는데, 이는 이 지역을 지배했던 세 개의 민족 국가에서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의 서로 다른 궤적 때문이었다. 역사학자 이반 카타르지예프에 따르면 불가리아 지역 출신이거나 IMRO (통일)의 구성원들은 스스로를 불가리아인으로 느꼈고,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세르비아 통치를 경험하고 크로아티아 및 슬로베니아 민족 운동과 교류했던 사람들은 더 강한 마케도니아 의식을 발전시켰다.[195]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SFRJ) 내 마케도니아 인민 공화국 설립을 포함하여 공산주의 통치 하에 있던 마케도니아 지역의 세 부분에 민족 마케도니아 기관이 설립되었다.[196] 동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전간기 동안 유고슬라비아의 마케도니아 슬라브족 사이에서는 친불가리아 정서가 상당했다.[197][198][199][200][201][202][203][204] 그러나 유고슬라비아가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의 슬라브계 주민을 불가리아인으로 인정한다면, 해당 지역이 불가리아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는 의미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마케도니아에서는 유고슬라비아의 강제적인 세르비아화 정책이 마케도니아화로 변경되었다. 마케도니아어의 표준화와 마케도니아 민족의 인정은 마케도니아인들 사이의 불가리아 애호를 금지하고,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동일시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의식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유고슬라비아는 PR 마케도니아에서 전간기 동안 바르다르 바노비나에서 이미 시행했던 것과 같이, 사람들의 급격한 ''탈불가리아화''를 다시 도입했다. 불가리아 측 자료에 따르면, 특별 ''마케도니아 민족 명예 보호법'' 위반으로 약 10만 명의 친불가리아 세력이 투옥되었고, 1,200명 이상이 사망했다고 한다.[205][206] 공산 유고슬라비아 시대에 국가 정책 수준으로 강화된 강력한 반불가리아 정서 속에서 세대들이 교육을 받으며 성장했다. 이 정책은 불가리아와 새로운 마케도니아 민족을 구별해야 할 필요성에서 비롯되었는데, 마케도니아인들은 불가리아와 구별함으로써 자체 역사를 가진 별개의 공동체임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 정책은 1990년 이후 새로운 마케도니아 공화국에서도 지속되었지만, 그 강도는 덜했다. 따라서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의 슬라브어 사용 인구의 정체성에서 불가리아 부분은 사라졌다.
2. 7. 독립과 현재
마케도니아인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세운 마케도니아 제국을 기원으로 두지만, 고대 마케도니아인들은 고대 그리스어와 동일한 고대 마케도니아어를 사용한 그리스계 민족이다.[118] 현재 마케도니아인들은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마케도니아어를 사용하는 슬라브계 민족이다. 비잔티움 제국의 문헌에 따르면, 580년에 아바르족과 불가르족의 도움을 받아 마케도니아 지방의 제국 영토를 침략해 나라를 건설한 슬라브족에 대한 기록이 있다.북마케도니아는 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 오스만 제국, 세르비아 왕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등을 거쳐 1991년 9월 8일 평화적으로 독립을 선언했다. 이후 '마케도니아 공화국'이라는 이름을 거쳐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오늘날에 이른다. 키로 글리고로프는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최초의 마케도니아 공화국 대통령이었다. 그러나 그리스와의 국호 분쟁으로 갈등을 겪기도 했다.[118]
유고슬라비아 붕괴 이후, 마케도니아 정체성 문제가 다시 불거졌다. 그리스와 불가리아를 비롯한 주변 국가의 민족주의자들과 정부는 마케도니아 민족이 현대적이고 인위적으로 만들어졌다는 견해를 옹호한다.[118] 마케도니아 역사가들은 이러한 견해가 마케도니아 영토에 대한 팽창주의적 동기를 나타낸다고 본다.[118]
최근에는 "고대 마케도니아주의" 또는 "고대화"라고 불리는, 더 급진적이고 타협하지 않는 마케도니아 민족주의가 등장했다. 이 견해의 지지자들은 현대 마케도니아인들을 고대 마케도니아인들의 직계 후손으로 본다. 그러나 이는 고고학이나 역사학적으로 뒷받침되지 않으며, 마케도니아 정체성을 소외시킬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211][212]
지난 20년 동안 수만 명의 북마케도니아 시민들이 불가리아 시민권을 신청했다.[214] 2000년 이후 10만 명 이상이 시민권을 취득했으며, 약 5만 명이 신청하여 대기 중이다.[215] 불가리아는 "민족 불가리아인"과 "불가리아 시민"을 구분하는 특별한 민족 이중 시민권 제도를 가지고 있어, 마케도니아인은 자신의 민족 정체성을 불가리아인으로 선언하는 것만으로 시민권을 얻을 수 있다.[216] 그러나 불가리아 시민권을 신청하는 사람들은 불가리아 정체성을 주장하기보다는 유럽 연합 회원국에 접근하기 위해 그렇게 한다고 말한다.[220]
2021년 인구 조사에서 북마케도니아 시민 중 3,504명만이 자신을 민족 불가리아인으로 밝혔지만,[226] 불가리아 측은 이러한 결과를 객관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227] 불가리아는 북마케도니아가 언어와 국가의 공통된 역사적 뿌리를 인정할 것을 주장하지만, 스코페는 이를 계속 거부하고 있다.[224] 그 결과, 불가리아는 북마케도니아와의 EU 가입 협상 공식 개시를 막았다.[225]
3. 민족명
"마케도니아인"이라는 명칭은 그리스어 단어 ''Makedonía''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지역의 이름과 관련이 있다.[228] 이 지역은 고대 마케도니아인과 그들의 마케도니아 왕국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마케도니아"라는 용어는 "키가 큰"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형용사 makednos에서 유래되었으며,[229] 같은 의미의 형용사 ''makrós''와 어원을 공유한다.[230][231][232] 이 이름은 원래 "고지 사람" 또는 "키가 큰 사람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230][231][232]
중세 후기에 마케도니아라는 이름은 서유럽인과 발칸인에게 서로 다른 의미를 지녔다. 서유럽인들에게는 고대 마케도니아의 역사적 영토를 의미했지만, 발칸 기독교인들에게는 현대 터키의 에디르네 주변에 위치한 이전 비잔틴 마케도니아 속주의 영토를 의미했다.[233] 14세기 후반 오스만 제국이 발칸 반도를 정복하면서 마케도니아라는 이름은 여러 세기 동안 지리적 명칭으로 사라졌다. 이 이름은 19세기 초 그리스에서 고대 그리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234][235]
오스만 제국 내 민족주의의 부상으로, 그리스의 종교 및 학교 선전이 발생했고,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인구 사이에서 ''헬레니즘화'' 과정이 시행되었다.[236][237] ''마케도니아인''이라는 이름은 지역 슬라브족에게 적용되어 고대 마케도니아인과의 연결고리를 만들고, 그리스인과의 관계 발전을 통해 불가리아의 영향력에 대응하고자 했다.[238][239]
1850년대부터 일부 지역 지식인들은 마케도니아 명칭을 지역 정체성으로 받아들여 사용하기 시작했다.[111] 세르비아는 불가리아의 유입을 막기 위해 이러한 지역주의를 장려했다.[241] 1870년대부터 지역 교육자 쿠즈만 샤프카레프는 ''마케도니아인''이라는 명칭이 ''불가리아인''을 대체하기 시작했다고 언급했다.[242] 20세기 초, 바실 칸초프는 지역 불가리아인과 쿠초블라흐가 스스로를 마케도니아인이라고 부른다고 기록했다.[243] 전간기 동안 불가리아는 유고슬라비아에서 마케도니아 지역 정체성을 지지했다. 이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에서 ''마케도니아''라는 이름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지역 슬라브어 사용자의 세르비아화를 막기 위한 것이었다.[244][245] 1944년에 마케도니아라는 명칭은 지역적, 민족지학적 명칭에서 국가적인 명칭으로 바뀌었다.[246]
4. 인구
마케도니아인의 대다수는 바르다르 강 계곡을 따라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중심 지역에 거주한다. 200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북마케도니아 인구의 약 64.18%인 1,297,981명을 차지한다. 더 적은 수는 동부 알바니아, 북부 그리스, 남부 세르비아에 거주하며, 대부분 북마케도니아의 국경 지역에 인접해 있다.
많은 마케도니아인들이 호주, 미국, 캐나다, 뉴질랜드, 독일, 이탈리아, 스웨덴, 영국, 오스트리아 등 많은 유럽 국가로 이민을 갔다.
'''발칸 반도'''
북마케도니아에 대다수로 거주하며, 일부는 세르비아, 알바니아, 몬테네그로, 불가리아, 그리스 등지에도 거주한다.
; 그리스
그리스 정부는 그리스 내 마케도니아 소수 민족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다. 슬라브 방언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수는 10,000명에서 250,000명 사이로 추산된다. 그러나 이들 중 대부분은 마케도니아 민족 의식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대부분은 스스로를 그리스인으로 정체화하거나 민족적 지정을 모두 거부하고 대신 ''"토착민"''과 같은 용어를 선호한다. 1999년 그리스 헬싱키 모니터는 스스로를 마케도니아인으로 여기는 사람들의 수를 10,000명에서 30,000명 사이로 추산했다. 마케도니아 측 자료에서는 일반적으로 그리스에 거주하는 마케도니아인의 수를 200,000명에서 350,000명 사이로 주장하는데, 이는 명백한 과장이며, 그리스 정부에 대한 불신을 조장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그리스의 마케도니아인들은 스스로를 ''"마케도니아 소수 민족"''의 구성원으로 선언하고 그들의 모국어를 ''"마케도니아어"''라고 부르는 데 그리스 정부로부터 어려움을 겪고 있다.
1980년대 후반부터 주로 플로리나 지역을 중심으로 북부 그리스에서 마케도니아 민족 부흥이 있었다. 이후 레인보우 정당을 포함한 마케도니아 민족 단체가 설립되었다. ''레인보우''는 1995년 9월 6일 플로리나에 처음으로 사무실을 열었으나, 다음 날, 사무실은 침입을 받아 난장판이 되었다. 이후 ''레인보우''의 회원들은 정당이 그리스어와 마케도니아어로 쓰인 이중 언어 표지판을 사용했다는 이유로 "시민들 사이에 상호 증오를 유발하고 조장한" 혐의로 기소되었는데, 이는 그리스 정부의 소수민족 탄압 사례로 볼 수 있다. 2005년 10월 20일, 유럽 인권 협약(ECHR)은 그리스 정부에 ECHR 2개 조항 위반에 대해 ''레인보우 정당''에 벌금을 지불하라고 명령했다. ''레인보우''는 전국적으로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1994년 유럽 선거에서 총 7,263표를 얻어 최고의 결과를 기록했다. 2004년부터 유럽 의회 선거와 지방 선거에 참여했지만, 전국 선거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몇몇 회원들이 지방 행정직에 당선되었다. ''레인보우''는 최근 1990년대 중반에 짧은 기간 동안 처음 출판되었던 신문 ''노바 조라''를 다시 설립했으며, 20,000부가 무상으로 배포된 것으로 알려졌다.
; 세르비아
세르비아 내에서 마케도니아인은 지방 및 국가 수준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소수 민족이다. 보이보디나에서는 다른 민족 집단과 함께 보이보디나 자치주의 법령에 따라 마케도니아인이 인정받고 있다. 보이보디나 내의 주요 마케도니아인 정착촌은 플란디슈테, 야부카, 글로고니, 두지네 및 카차레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은 주로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을 떠난 경제 이주민의 후손들이다. 세르비아의 마케도니아인은 국가 협의회에 의해 대표되며, 최근 몇 년 동안 마케도니아어 교육이 시작되었다. 가장 최근의 인구 조사에서는 22,755명의 마케도니아인이 세르비아에 거주하는 것으로 기록되었다.
; 알바니아
마케도니아인은 알바니아에서 두 번째로 큰 소수 민족이다. 알바니아는 말라 프레스파 지역 내에 마케도니아 소수 민족이 존재함을 인정하며, 이 지역의 대부분은 푸스테츠 시(Pustec Municipality)로 구성되어 있다. 마케도니아인은 이 지역 내에서 마케도니아어를 이용한 교육 및 기타 서비스 제공을 포함한 완전한 소수 민족 권리를 가진다. 또한 골로 브르도(Gollaborda) 지역, 페쉬코피(Peshkopi) 마을 근처의 "돌노 폴레" 지역, 오흐리드 호수 주변, 코르체(Korce) 및 고라에도 인정받지 못하는 마케도니아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1989년 인구 조사에서 4,697명이 스스로를 마케도니아인이라고 밝혔다.
; 불가리아
불가리아인은 인접한 마케도니아인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때때로 이들 사이에 뚜렷한 민족적 차이가 없다고 주장되기도 한다. 2021년 불가리아 인구 조사에서 총 1,143명이 자신을 민족 마케도니아인으로 공식적으로 선언했다. 같은 해에 북마케도니아에서 태어난 불가리아 거주자는 5,450명으로 5배나 더 많았다. 그들 대부분은 불가리아 시민권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중 1,576명만이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시민이었다. 2011년 불가리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마케도니아의 지리적 지역인 불가리아 부분인 블라고에브그라드주에는 총 1,654명의 마케도니아인 중 561명의 민족 마케도니아인(0.2%)이 있었다. 또한,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시민 429명이 이 주에 거주했다.
1998년, 비정부기구인 불가리아 헬싱키 위원회의 의장인 크라시미르 카네프는 불가리아에 15,000~25,000명의 민족 마케도니아인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불가리아 헬싱키 위원회에 따르면, 피린 마케도니아의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인구의 대다수는 불가리아의 민족적 자의식과 마케도니아 지역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그리스 마케도니아의 마케도니아 지역 정체성과 유사하다. 민족 마케도니아 정치 운동가인 스토이코 스토이코프에 따르면, 2009년에 민족 마케도니아 자의식을 가진 불가리아 시민의 수는 5,000명에서 10,000명 사이였다. 2000년, 불가리아 헌법 재판소는 분리주의 단체로 우모 일린덴-피린이라는 소규모 마케도니아 정당을 금지했다. 그 후 활동가들은 정당을 재설립하려 했지만 필요한 서명을 모을 수 없었다. 이는 불가리아 내 마케도니아인들의 정치적 입지가 취약함을 보여준다.
'''디아스포라'''
주요 마케도니아 공동체는 전통적인 이민 수용 국가뿐만 아니라 서유럽 국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탈리아나 독일과 같은 많은 유럽 국가의 인구 조사 데이터는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에서 이민 온 사람들의 민족성을 고려하지 않는다.
아르헨티나에는 약 30,000명의 마케도니아인들이 거주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은 주로 부에노스아이레스, 팜파스 및 코르도바에서 거주하고 있다. 호주에는 2006년 인구 조사에서 마케도니아 혈통을 가진 83,983명이 기록되었고, 2011년 인구 조사에서는 93,570명이 기록되었다. 주요 마케도니아인 커뮤니티는 멜버른, 질롱, 시드니, 울런공, 뉴캐슬, 캔버라, 퍼스에 위치해 있다. 브라질에는 약 4만 5천 명의 마케도니아인 후손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주로 포르투알레그레, 리우데자네이루, 상파울루 및 쿠리치바에서 찾아볼 수 있다.
2001년 캐나다 인구 조사에 따르면 캐나다에서 마케도니아 혈통을 전부 또는 일부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37,705명으로 기록되었다. 하지만, 지역 사회 대변인들은 실제로 캐나다에 100,000명에서 150,000명에 달하는 마케도니아인들이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에는 상당한 규모의 마케도니아인 커뮤니티가 있으며, 주로 미시간주, 뉴욕, 오하이오주, 인디애나주, 뉴저지주에 위치해 있다.
독일에는 약 61,000명의 북마케도니아 시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대부분 루르 지방에 거주하고 있다. 이탈리아에는 74,162명의 북마케도니아 시민이 거주하고 있다. 2006년 스위스 정부는 스위스에 거주하는 마케도니아 시민이 60,362명으로 기록했다. 상당한 규모의 마케도니아인 공동체는 영국과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프랑스와 같은 유럽 연합 국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4. 1. 발칸 반도
북마케도니아에 대다수로 거주하며, 일부는 세르비아, 알바니아, 몬테네그로, 불가리아, 그리스 등지에도 거주한다.[247][248][249][250][251][252][253][254]; 그리스령 마케도니아 슬라브어 사용 주민도 참조
그리스 정부는 그리스 내 마케도니아 소수 민족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다. 슬라브 방언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수는 10,000명에서 250,000명 사이로 추산된다. 그러나 이들 중 대부분은 마케도니아 민족 의식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대부분은 스스로를 그리스인으로 정체화하거나[255] 민족적 지정을 모두 거부하고 대신 ''"토착민"''과 같은 용어를 선호한다.[256] 1999년 그리스 헬싱키 모니터는 스스로를 마케도니아인으로 여기는 사람들의 수를 10,000명에서 30,000명 사이로 추산했다.[257][258] 마케도니아 측 자료에서는 일반적으로 그리스에 거주하는 마케도니아인의 수를 200,000명에서 350,000명 사이로 주장하는데, 이는 명백한 과장이며, 그리스 정부에 대한 불신을 조장하려는 의도로 보인다.[259] 그리스의 마케도니아인들은 스스로를 ''"마케도니아 소수 민족"''의 구성원으로 선언하고 그들의 모국어를 ''"마케도니아어"''라고 부르는 데 그리스 정부로부터 어려움을 겪고 있다.[256]
1980년대 후반부터 주로 플로리나 지역을 중심으로 북부 그리스에서 마케도니아 민족 부흥이 있었다.[260] 이후 레인보우 정당을 포함한 마케도니아 민족 단체가 설립되었다.[261] ''레인보우''는 1995년 9월 6일 플로리나에 처음으로 사무실을 열었으나, 다음 날, 사무실은 침입을 받아 난장판이 되었다.[262] 이후 ''레인보우''의 회원들은 정당이 그리스어와 마케도니아어로 쓰인 이중 언어 표지판을 사용했다는 이유로 "시민들 사이에 상호 증오를 유발하고 조장한" 혐의로 기소되었는데, 이는 그리스 정부의 소수민족 탄압 사례로 볼 수 있다.[263] 2005년 10월 20일, 유럽 인권 협약(ECHR)은 그리스 정부에 ECHR 2개 조항 위반에 대해 ''레인보우 정당''에 벌금을 지불하라고 명령했다.[256] ''레인보우''는 전국적으로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1994년 유럽 선거에서 총 7,263표를 얻어 최고의 결과를 기록했다. 2004년부터 유럽 의회 선거와 지방 선거에 참여했지만, 전국 선거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몇몇 회원들이 지방 행정직에 당선되었다. ''레인보우''는 최근 1990년대 중반에 짧은 기간 동안 처음 출판되었던 신문 ''노바 조라''를 다시 설립했으며, 20,000부가 무상으로 배포된 것으로 알려졌다.[264][265][266]
; 세르비아
세르비아 내에서 마케도니아인은 지방 및 국가 수준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소수 민족이다. 보이보디나에서는 다른 민족 집단과 함께 보이보디나 자치주의 법령에 따라 마케도니아인이 인정받고 있다. 보이보디나 내의 주요 마케도니아인 정착촌은 플란디슈테, 야부카, 글로고니, 두지네 및 카차레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은 주로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을 떠난 경제 이주민의 후손들이다. 세르비아의 마케도니아인은 국가 협의회에 의해 대표되며, 최근 몇 년 동안 마케도니아어 교육이 시작되었다. 가장 최근의 인구 조사에서는 22,755명의 마케도니아인이 세르비아에 거주하는 것으로 기록되었다.[267]
; 알바니아
마케도니아인은 알바니아에서 두 번째로 큰 소수 민족이다. 알바니아는 말라 프레스파 지역 내에 마케도니아 소수 민족이 존재함을 인정하며, 이 지역의 대부분은 푸스테츠 시(Pustec Municipality)로 구성되어 있다. 마케도니아인은 이 지역 내에서 마케도니아어를 이용한 교육 및 기타 서비스 제공을 포함한 완전한 소수 민족 권리를 가진다. 또한 골로 브르도(Gollaborda) 지역, 페쉬코피(Peshkopi) 마을 근처의 "돌노 폴레" 지역, 오흐리드 호수 주변, 코르체(Korce) 및 고라에도 인정받지 못하는 마케도니아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1989년 인구 조사에서 4,697명이 스스로를 마케도니아인이라고 밝혔다.[268]
; 불가리아
불가리아인은 인접한 마케도니아인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때때로 이들 사이에 뚜렷한 민족적 차이가 없다고 주장되기도 한다.[269] 2021년 불가리아 인구 조사에서 총 1,143명이 자신을 민족 마케도니아인으로 공식적으로 선언했다.[30] 같은 해에 북마케도니아에서 태어난 불가리아 거주자는 5,450명으로 5배나 더 많았다.[270] 그들 대부분은 불가리아 시민권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중 1,576명만이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시민이었다.[271] 2011년 불가리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마케도니아의 지리적 지역인 불가리아 부분인 블라고에브그라드주에는 총 1,654명의 마케도니아인 중 561명의 민족 마케도니아인(0.2%)이 있었다.[272] 또한,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시민 429명이 이 주에 거주했다.[274]
1998년, 비정부기구인 불가리아 헬싱키 위원회의 의장인 크라시미르 카네프는 불가리아에 15,000~25,000명의 민족 마케도니아인이 있다고 주장했다. 같은 보고서에서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Popov 외, 1989)는 불가리아에 200,000명의 민족 마케도니아인이 살고 있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과장된 수치로 보인다. 그러나 불가리아 헬싱키 위원회에 따르면, 피린 마케도니아의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인구의 대다수는 불가리아의 민족적 자의식과 마케도니아 지역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그리스 마케도니아의 마케도니아 지역 정체성과 유사하다. 민족 마케도니아 정치 운동가인 스토이코 스토이코프에 따르면, 2009년에 민족 마케도니아 자의식을 가진 불가리아 시민의 수는 5,000명에서 10,000명 사이였다.[275] 2000년, 불가리아 헌법 재판소는 분리주의 단체로 우모 일린덴-피린이라는 소규모 마케도니아 정당을 금지했다. 그 후 활동가들은 정당을 재설립하려 했지만 필요한 서명을 모을 수 없었다. 이는 불가리아 내 마케도니아인들의 정치적 입지가 취약함을 보여준다.
4. 1. 1. 그리스
북마케도니아에 대다수로 거주하며, 일부는 세르비아, 알바니아, 몬테네그로, 불가리아, 그리스 등지에도 거주한다.[247][248][249][250][251][252][253][254]그리스령 마케도니아 슬라브어 사용 주민도 참조
그리스 정부는 그리스 내 마케도니아 소수 민족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다. 슬라브 방언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수는 10,000명에서 250,000명 사이로 추산된다. 그러나 이들 중 대부분은 마케도니아 민족 의식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대부분은 스스로를 그리스인으로 정체화하거나[255] 민족적 지정을 모두 거부하고 대신 ''"토착민"''과 같은 용어를 선호한다.[256] 1999년 그리스 헬싱키 모니터는 스스로를 마케도니아인으로 여기는 사람들의 수를 10,000명에서 30,000명 사이로 추산했다.[257][258] 마케도니아 측 자료에서는 일반적으로 그리스에 거주하는 마케도니아인의 수를 200,000명에서 350,000명 사이로 주장한다.[259] 그리스의 마케도니아인들은 스스로를 ''"마케도니아 소수 민족"''의 구성원으로 선언하고 그들의 모국어를 ''"마케도니아어"''라고 부르는 데 그리스 정부로부터 어려움을 겪고 있다.[256]
1980년대 후반부터 주로 플로리나 지역을 중심으로 북부 그리스에서 마케도니아 민족 부흥이 있었다.[260] 이후 레인보우 정당을 포함한 마케도니아 민족 단체가 설립되었다.[261] ''레인보우''는 1995년 9월 6일 플로리나에 처음으로 사무실을 열었다. 다음 날, 사무실은 침입을 받아 난장판이 되었다.[262] 이후 ''레인보우''의 회원들은 정당이 그리스어와 마케도니아어로 쓰인 이중 언어 표지판을 사용했기 때문에 "시민들 사이에 상호 증오를 유발하고 조장한" 혐의로 기소되었다.[263] 2005년 10월 20일, 유럽 인권 협약(ECHR)은 그리스 정부에 ECHR 2개 조항 위반에 대해 ''레인보우 정당''에 벌금을 지불하라고 명령했다.[256] ''레인보우''는 전국적으로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1994년 유럽 선거에서 총 7,263표를 얻어 최고의 결과를 기록했다. 2004년부터 유럽 의회 선거와 지방 선거에 참여했지만, 전국 선거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몇몇 회원들이 지방 행정직에 당선되었다. ''레인보우''는 최근 1990년대 중반에 짧은 기간 동안 처음 출판되었던 신문 ''노바 조라''를 다시 설립했으며, 20,000부가 무상으로 배포된 것으로 알려졌다.[264][265][266]
4. 1. 2. 세르비아
북마케도니아에 대다수로 거주한다. 일부는 세르비아, 알바니아, 몬테네그로, 불가리아, 그리스등지에도 거주한다.세르비아 내에서 마케도니아인은 지방 및 국가 수준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소수 민족이다. 보이보디나에서는 다른 민족 집단과 함께 보이보디나 자치주의 법령에 따라 마케도니아인이 인정받고 있다. 보이보디나 내의 주요 마케도니아인 정착촌은 플란디슈테, 야부카, 글로고니, 두지네 및 카차레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은 주로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을 떠난 경제 이주민의 후손들이다. 세르비아의 마케도니아인은 국가 협의회에 의해 대표되며, 최근 몇 년 동안 마케도니아어 교육이 시작되었다. 가장 최근의 인구 조사에서는 22,755명의 마케도니아인이 세르비아에 거주하는 것으로 기록되었다.[267]
4. 1. 3. 알바니아
마케도니아인은 알바니아에서 두 번째로 큰 소수 민족이다. 알바니아는 말라 프레스파 지역 내에 마케도니아 소수 민족이 존재함을 인정하며, 이 지역의 대부분은 푸스테츠 시(Pustec Municipality)로 구성되어 있다. 마케도니아인은 이 지역 내에서 마케도니아어를 이용한 교육 및 기타 서비스 제공을 포함한 완전한 소수 민족 권리를 가진다. 또한 골로 브르도(Gollaborda) 지역, 페쉬코피(Peshkopi) 마을 근처의 "돌노 폴레" 지역, 오흐리드 호수 주변, 코르체(Korce) 및 고라에도 인정받지 못하는 마케도니아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1989년 인구 조사에서 4,697명이 스스로를 마케도니아인이라고 밝혔다.[268]4. 1. 4. 불가리아
불가리아인은 인접한 마케도니아인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때때로 이들 사이에 뚜렷한 민족적 차이가 없다고 주장되기도 한다.[269] 2021년 불가리아 인구 조사에서 총 1,143명이 자신을 민족 마케도니아인으로 공식적으로 선언했다.[30] 같은 해에 북마케도니아에서 태어난 불가리아 거주자는 5,450명으로 5배나 더 많았다.[270] 그들 대부분은 불가리아 시민권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중 1,576명만이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시민이었다.[271] 2011년 불가리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마케도니아의 지리적 지역인 불가리아 부분인 블라고에브그라드주에는 총 1,654명의 마케도니아인 중 561명의 민족 마케도니아인(0.2%)이 있었다.[272] 또한,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시민 429명이 이 주에 거주했다.[274]1998년, 비정부기구인 불가리아 헬싱키 위원회의 의장인 크라시미르 카네프는 불가리아에 15,000~25,000명의 민족 마케도니아인이 있다고 주장했다(참조 [https://web.archive.org/web/20060723084106/http://www.greekhelsinki.gr/pdf/cedime-se-bulgaria-macedonians.PDF 여기]). 같은 보고서에서 마케도니아 민족주의자(Popov 외, 1989)는 불가리아에 200,000명의 민족 마케도니아인이 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불가리아 헬싱키 위원회에 따르면, 피린 마케도니아의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인구의 대다수는 불가리아의 민족적 자의식과 마케도니아 지역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그리스 마케도니아의 마케도니아 지역 정체성과 유사하다. 민족 마케도니아 정치 운동가인 스토이코 스토이코프에 따르면, 2009년에 민족 마케도니아 자의식을 가진 불가리아 시민의 수는 5,000명에서 10,000명 사이였다.[275] 2000년, 불가리아 헌법 재판소는 분리주의 단체로 우모 일린덴-피린이라는 소규모 마케도니아 정당을 금지했다. 그 후 활동가들은 정당을 재설립하려 했지만 필요한 서명을 모을 수 없었다.
4. 2. 디아스포라
]]
마케도니아인은 북마케도니아에 대다수가 거주하며, 세르비아, 알바니아, 몬테네그로, 불가리아, 그리스 등지에도 일부 거주한다.[276][277][278][279][280][281][282] 주요 마케도니아 공동체는 전통적인 이민 수용 국가뿐만 아니라 서유럽 국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탈리아나 독일과 같은 많은 유럽 국가의 인구 조사 데이터는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에서 이민 온 사람들의 민족성을 고려하지 않는다.
아르헨티나에는 약 30,000명의 마케도니아인들이 거주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은 주로 부에노스아이레스, 팜파스 및 코르도바에서 거주하고 있다.[276] 호주에는 2006년 인구 조사에서 마케도니아 혈통을 가진 83,983명이 기록되었고, 2011년 인구 조사에서는 93,570명이 기록되었다.[277] 주요 마케도니아인 커뮤니티는 멜버른, 질롱, 시드니, 울런공, 뉴캐슬, 캔버라, 퍼스에 위치해 있다. 브라질에는 약 4만 5천 명의 마케도니아인 후손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278] 주로 포르투알레그레, 리우데자네이루, 상파울루 및 쿠리치바에서 찾아볼 수 있다.
2001년 캐나다 인구 조사에 따르면 캐나다에서 마케도니아 혈통을 전부 또는 일부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37,705명으로 기록되었다.[279] 하지만, 지역 사회 대변인들은 실제로 캐나다에 100,000명에서 150,000명에 달하는 마케도니아인들이 있다고 주장했다.[280] 미국에는 상당한 규모의 마케도니아인 커뮤니티가 있으며, 주로 미시간주, 뉴욕, 오하이오주, 인디애나주, 뉴저지주에 위치해 있다.[281]
독일에는 약 61,000명의 북마케도니아 시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대부분 루르 지방에 거주하고 있다. 이탈리아에는 74,162명의 북마케도니아 시민이 거주하고 있다. 2006년 스위스 정부는 스위스에 거주하는 마케도니아 시민이 60,362명으로 기록했다.[282] 상당한 규모의 마케도니아인 공동체는 영국과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프랑스와 같은 유럽 연합 국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5. 문화
마케도니아인의 문화는 전통주의와 현대주의적 특성을 모두 지니고 있다. 그들의 문화는 그들이 살고 있는 고향과 주변 환경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마케도니아인의 풍부한 문화 유산은 민속, 그림 같은 전통 민속 의상, 도시와 마을의 주택 장식 및 장신구, 건축물, 수도원 및 교회, 이코노스타시스, 목각 등에서 강조된다. 마케도니아인의 문화는 대략적으로 불가리아인과 세르비아인의 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된 발칸 문화로 설명될 수 있다.
슬라브풍의 문화가 있다. 약간의 세르비아식의 문화도 있다.
5. 1. 건축
마케도니아인의 건축 양식은 슬라브풍의 문화와 세르비아식의 문화가 혼합된 형태를 띤다. 전형적인 마케도니아 마을 주택은 오스만 건축의 영향을 받아 2층 구조로, 큰 돌로 이루어진 단단한 정면과 2층에 넓은 발코니를 갖추고 있다. 농업 경제가 주를 이루는 마을에서는 1층이 수확물을 보관하는 창고로 사용되거나 가축 우리로 사용되기도 했다.전통적인 마케도니아 도시 주택은 흰색 외관에 2층이 앞으로 튀어나오고, 창문과 가장자리에 검은색 나무 요소가 있는 2층 건물이 전형적인 모습이다.
5. 2. 영화와 연극
슬라브풍의 문화가 있으며, 약간의 세르비아식 문화도 있다.북마케도니아의 영화 제작 역사는 110년 이상 거슬러 올라간다. 현재의 북마케도니아 영토에서 제작된 최초의 영화는 1895년 야나키와 밀턴 마나키가 비톨라에서 제작했다. 1995년 ''비포 더 레인''은 아카데미상 후보에 오른 최초의 마케도니아 영화가 되었다.[283]
1993년부터 1994년까지 신생 공화국에서 1,596회의 공연이 열렸고 33만 명 이상이 관람했다. 마케도니아 국립 극장 (드라마, 오페라, 발레단), 드라마 극장, 국립 극장 (알바니아 및 터키 드라마단) 및 기타 극장 단체에는 약 870명의 전문 배우, 가수, 발레 무용수, 연출가, 극작가, 세트 및 의상 디자이너 등이 소속되어 있다. 또한 어린이 전문 극장과 3개의 아마추어 극장도 있다. 지난 30년 동안 현대 마케도니아 극장의 창시자인 보이단 체르노드린스키를 기리는 마케도니아 전문 극장의 전통 축제가 프릴레프에서 열리고 있다. 매년 아마추어 및 실험 마케도니아 극단 축제가 코차니에서 열린다.
5. 3. 음악과 예술
마케도니아 음악은 인접한 발칸 국가들의 음악과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독특한 사운드를 유지하고 있다. 슬라브풍의 문화와 약간의 세르비아식의 문화도 존재한다.현대 마케도니아 회화의 창시자로는 라자르 리체노브스키, 니콜라 마르티노스키, 디미타르 판딜로프, 반겔 코조만 등이 있다. 그들의 뒤를 이어 보르카 라제스키, 디미타르 콘도브스키, 페타르 마제프 (이상 사망), 로돌류브 아나스타소프 등 재능 있고 결실 있는 세대가 등장했고, 현재도 많은 사람들이 활동하고 있다. 바스코 타스코프스키와 반겔 나우모프스키도 포함된다. 현대 마케도니아 조각의 창시자로 여겨지는 디모 토도로프스키 외에도, 페타르 하지 보스코프, 보로 미트리케스키, 노바크 디미트로프스키, 토메 세라피모프스키의 작품도 뛰어나다.
5. 4. 경제
마케도니아인은 슬라브풍의 문화를 지니고 있으며, 약간의 세르비아식 문화도 존재한다. 과거 마케도니아 인구는 대부분 농업에 종사했고, 무역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극소수(주로 도시에 거주)였다. 그러나 마케도니아 인민 공화국 수립 이후 사회주의 원칙에 기반한 사회 변혁이 시작되면서 중공업이 발달하기 시작했다.5. 5. 언어
마케도니아인들은 마케도니아어를 쓴다. 소수는 알바니아어, 세르비아어를 쓰는 마케도니아인도 간혹 있다.마케도니아어(македонски јазикmk)는 남슬라브어군의 동부 그룹에 속한다.[284] 표준 마케도니아어는 1940년대에 코드화된 후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으며, 번성하는 문학적 전통을 축적해 왔다.
마케도니아어와 가장 가까운 친족 언어는 불가리아어이며,[284] 그 다음은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이다. 모든 남슬라브어는 방언 연속체를 형성하며, 여기서 마케도니아어와 불가리아어는 동부 하위 그룹을 형성한다. 토르라크 방언군은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및 세르비아어 사이의 중간적 위치에 있으며, 최북단의 마케도니아어 방언과 남부 세르비아 및 서부 불가리아에서 사용되는 변종을 포함한다. 토르라크 방언은 종종 동남슬라브 방언의 일부로 분류된다.
마케도니아 문자는 키릴 문자를 개량한 것이며, 언어 특유의 철자 및 구두법 규칙도 갖추고 있다. 로마자 표기는 드물게 사용된다.
5. 6. 종교
대부분의 마케도니아인은 마케도니아 정교회 신자이다.[285] 교회의 공식 명칭은 마케도니아 정교회 - 오흐리드 대주교구이며, 오흐리드 및 북마케도니아 대주교 아래 연합된 기독교 공동체로서, 북마케도니아 공화국과 마케도니아 디아스포라의 엑자르크에 있는 마케도니아 정교회 신자들에게 관할권을 행사한다.
교회는 1959년 세르비아 정교회로부터 자율성을 획득했으며, 역사적인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복원을 선언했다. 1967년 7월 19일, 마케도니아 정교회는 세르비아 교회로부터의 자동 교회를 선언했지만, 세르비아 정교회의 반대로 인해 이 조치는 동방 정교회의 어떤 교회에서도 인정되지 않았다. 그 후, 마케도니아 정교회는 2022년 재통합될 때까지 어떤 정교회와도 교류하지 않았다.[285] 소수의 마케도니아인은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 교회에 속해 있다.
오스만 제국 통치 기간 동안, 많은 정교회 마케도니아 슬라브족이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5. 7. 이름
마케도니아인들은 슬라브풍의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약간의 세르비아식 문화도 섞여 있다.5. 8. 요리
마케도니아 요리는 발칸 요리를 대표하며, 지중해와 중동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탈리아, 독일, 동유럽의 영향도 다소 받았다. 비교적 따뜻한 기후는 다양한 채소, 허브, 과일의 훌륭한 성장 조건을 제공하여 마케도니아 요리는 특히 다양하다. 숍스카 샐러드는 거의 모든 식사에 곁들여지는 전채 요리이자 반찬이다. 유제품, 와인, 라키야와 같은 현지 알코올 음료도 다양하며 품질이 좋다. 타브체 그라브체와 마스티카는 각각 북마케도니아의 국가 음식과 음료로 여겨진다.
슬라브풍의 문화와 약간의 세르비아식의 문화도 있다.
6. 상징
북마케도니아 국기 목록 및 북마케도니아의 국가 상징도 참조
마케도니아인 민족 집단 구성원들이 사용하는 상징은 다음과 같다.
- '''사자''': 사자는 17세기의 포이니차 문장집에 처음 등장하는데, 여기에는 마케도니아의 문장이 포함되어 있다.[286][287] 문장에는 왕관이 있으며, 노란색 왕관을 쓴 사자가 붉은 배경 위에 서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고, 하단에는 붉고 노란 테두리로 둘러싸여 "Macedonia"라고 쓰여 있다. 마케도니아를 나타내는 사자의 사용은 17세기와 18세기 내내 외국의 문장 수집에서 계속되었다.[286][287] 19세기 후반에는 내부 마케도니아-아드리아노플 혁명 기구가 사자 등의 상징을 채택하기도 했다.[288][289] 현대에는 여러 정당, 단체 및 스포츠 클럽의 문장에 역사적 사자의 현대적인 버전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이 상징은 불가리아 국장과 다소 유사하여 완전히 받아들여지지는 않고 있다.
- '''베르기나 태양''': (공식 국기, 1992–1995) 베르기나 태양은 마케도니아 디아스포라의 다양한 협회 및 문화 단체에서 비공식적으로 사용된다.[290] 베르기나 태양은 고대 그리스의 알렉산드로스 대왕 및 필리포스 2세와 같은 왕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마케도니아 시대 훨씬 이전부터 고대 그리스 예술에서 장식적인 디자인으로 사용되었다.[290] 이 상징은 기원전 4세기에 그리스 마케도니아 지역에서 필리포스 2세 또는 필리포스 3세의 것으로 추정되는 왕족 무덤에서 발견된 황금색 궤에 묘사되었다.[290] 그리스인은 북마케도니아가 이 상징을 사용하는 것을 슬라브 문화와 관련이 없는 그리스의 상징을 부적절하게 사용하고 필리포스 2세의 유산을 직접적으로 주장하는 것으로 간주한다.[290] 그러나 이 상징을 묘사한 고고학적 유물이 북마케도니아 영토에서도 발굴되었다.[290] 마케도니아 국제법 교수인 토니 데스코스키는 베르기나 태양은 마케도니아 상징이 아니라 마케도니아주의의 민족주의적 맥락에서 마케도니아인들이 사용하는 그리스 상징이며, 마케도니아인들은 이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한다.[291] 1995년, 그리스는 상표 보호를 위해 베르기나 태양을 WIPO 하의 국가 상징으로 등록했다.[292] 붉은 바탕의 베르기나 태양은 1995년 9월 마케도니아 공화국과 그리스 간의 합의에 따라 국가 국기에서 제거되기 전까지 독립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첫 번째 국기였다.[293] 2018년 6월 17일, 그리스와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프레스파 협정에 서명하여 후자의 영토에서 베르기나 태양의 공적 사용을 제거하도록 규정했다.[294][295] 2019년 7월 초에 열린 회의에서 북마케도니아 정부는 프레스파 협정에 따라 2019년 8월 12일까지 베르기나 태양을 모든 공공 장소, 기관 및 기념물에서 완전히 제거하겠다고 발표했다.[296][297][298] 그리스에서는 파란색 바탕에 이 상징이 마케도니아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공식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다.
6. 1. 사자
사자는 17세기의 포이니차 문장집에 처음 등장하는데, 여기에는 마케도니아의 문장이 포함되어 있다.[286][287] 문장에는 왕관이 있으며, 노란색 왕관을 쓴 사자가 붉은 배경 위에 서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고, 하단에는 붉고 노란 테두리로 둘러싸여 "Macedonia"라고 쓰여 있다. 마케도니아를 나타내는 사자의 사용은 17세기와 18세기 내내 외국의 문장 수집에서 계속되었다.[286][287] 19세기 후반에는 내부 마케도니아-아드리아노플 혁명 기구가 사자 등의 상징을 채택하기도 했다.[288][289]현대에는 여러 정당, 단체 및 스포츠 클럽의 문장에 역사적 사자의 현대적인 버전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이 상징은 불가리아 국장과 다소 유사하여 완전히 받아들여지지는 않고 있다.
6. 2. 베르기나 태양
'''베르기나 태양'''은 마케도니아 디아스포라의 다양한 협회 및 문화 단체에서 비공식적으로 사용된다.[290] 베르기나 태양은 고대 그리스의 알렉산드로스 대왕 및 필리포스 2세와 같은 왕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마케도니아 시대 훨씬 이전부터 고대 그리스 예술에서 장식적인 디자인으로 사용되었다.[290] 이 상징은 기원전 4세기에 그리스 마케도니아 지역에서 필리포스 2세 또는 필리포스 3세의 것으로 추정되는 왕족 무덤에서 발견된 황금색 궤에 묘사되었다.[290]
그리스인은 북마케도니아가 이 상징을 사용하는 것을 슬라브 문화와 관련이 없는 그리스의 상징을 부적절하게 사용하고 필리포스 2세의 유산을 직접적으로 주장하는 것으로 간주한다.[290] 그러나 이 상징을 묘사한 고고학적 유물이 북마케도니아 영토에서도 발굴되었다.[290] 마케도니아 국제법 교수인 토니 데스코스키는 베르기나 태양은 마케도니아 상징이 아니라 마케도니아주의의 민족주의적 맥락에서 마케도니아인들이 사용하는 그리스 상징이며, 마케도니아인들은 이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한다.[291] 1995년, 그리스는 상표 보호를 위해 베르기나 태양을 WIPO 하의 국가 상징으로 등록했다.[292]
붉은 바탕의 베르기나 태양은 1995년 9월 마케도니아 공화국과 그리스 간의 합의에 따라 국가 국기에서 제거되기 전까지 독립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첫 번째 국기였다.[293] 2018년 6월 17일, 그리스와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프레스파 협정에 서명하여 후자의 영토에서 베르기나 태양의 공적 사용을 제거하도록 규정했다.[294][295] 2019년 7월 초에 열린 회의에서 북마케도니아 정부는 프레스파 협정에 따라 2019년 8월 12일까지 베르기나 태양을 모든 공공 장소, 기관 및 기념물에서 완전히 제거하겠다고 발표했다.[296][297][298] 그리스에서는 파란색 바탕에 이 상징이 마케도니아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공식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다.
7. 유전학
인류학적으로 마케도니아인은 발칸 반도의 선사 시대 및 역사적 인구 통계 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는 유전자 계통을 가지고 있다.[299] 이러한 계통은 불가리아인, 세르비아인과 같은 인접한 남슬라브족과 더불어 그리스인, 알바니아인, 루마니아인, 가가우즈인에게서도 일반적으로 발견된다.[300][301][302][303][304][305][306][307][308]
Y-DNA 연구에 따르면 마케도니아인은 인접한 남슬라브족과 함께 유럽의 다른 슬라브어 사용 인구와 구별되며, Y-염색체 DNA 단일염기 다형성의 절반 가까이가 6세기 슬라브족 이주 이전에 발칸 반도에 거주했던 사람들에게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309] I2a1b, E-V13, J2a, R1a1, R1b, G2a를 포함한 다양한 Y-DNA 단일염기 다형성이 마케도니아인에게서 상당한 수준으로 발견되며, 이는 복잡한 인구 통계 과정을 나타낸다.[310] 동일한 단일염기 다형성의 유사한 분포가 인접 인구에서 발견된다.[311][312] I2a1b와 R1a1은 일반적으로 유럽 전역의 슬라브어 사용 인구에서 발견되는 반면,[313][314] E-V13과 J2와 같은 단일염기 다형성은 인접한 비슬라브계 인구에서 높은 빈도로 발생한다.[1] 반면에 R1b는 서유럽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단일염기 다형성이며, G2a는 코카서스와 인접 지역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마케도니아인의 17개 Y-염색체 STR 좌위에 대한 DNA 데이터에 따르면, 다른 남슬라브족 및 코소보 알바니아인과 비교했을 때, 마케도니아 인구는 불가리아 인구와 가장 낮은 유전적(Y-STR) 거리를 보였으며, 크로아티아인 인구와 가장 큰 거리를 보였다.[315] 그러나 관찰된 인구는 코소보 알바니아인을 제외하고는 Y-STR 인구 구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315] 언어와 민족에 관계없이 유전적 유사성은 유럽 인구에서 지리적 근접성과 강한 상관관계를 갖는다.[1][316]
인구 유전학 측면에서, 동남유럽의 모든 지역이 고유한 비잔틴 및 침략 슬라브 인구의 동일한 비율을 갖는 것은 아니며, 동부 발칸 반도(마케도니아, 트라키아, 모에시아) 지역은 슬라브족에 비해 상당한 비율의 현지인을 가지고 있었다. 대부분의 발칸 슬라브족이 동부 카르파티아 경로를 통해 왔다는 점을 고려할 때, 동부의 낮은 비율이 서부 남슬라브족보다 슬라브족의 수가 적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아마도 서부 남슬라브족의 영토에는 황폐한 상태가 있었고, 이로 인해 창시자 효과가 발생했을 것이다.[317][318] 마케도니아 지역은 도나우 강과 가까운 변경 지역보다 덜 교란되었으며, 오흐리드, 비톨라 근처와 비아 에그나티아를 따라 도시와 요새가 있었다. 비잔틴 시대의 재정착과 문화적 연결은 마케도니아 조상과 관련된 인구 통계 과정을 더욱 형성했다.[319]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펠로폰네소스 그리스인조차도 소량이지만 상당한 양의 슬라브 조상을 가지고 있으며, 혼합 정도는 0.2%에서 14.4%에 이른다.[320]
참조
[1]
웹사이트
State Statistical Office
https://www.stat.gov[...]
[2]
웹사이트
Cultural diversity: Census
https://www.abs.gov.[...]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22
[3]
문서
Republic of Macedonia MFA estimate
http://www.mfa.gov.m[...]
[4]
문서
2006 figures
http://www.destatis.[...]
[5]
웹사이트
Foreign Citizens in Italy, 2017
http://demo.istat.it[...]
[6]
웹사이트
2020 Community Survey
https://api.census.g[...]
[7]
문서
2005 Figures
http://www.bfs.admin[...]
[8]
서적
Македонски Иселенички Алманах '95
Матица на Иселениците на Македонија
[9]
웹사이트
My Info Agent
http://www.mia.com.m[...]
2015-03-18
[10]
웹사이트
2006 census
http://www12.statcan[...]
[11]
웹사이트
2001 census
http://epp.eurostat.[...]
[12]
웹사이트
Tabelle 13]: Ausländer nach Staatsangehörigkeit (ausgewählte Staaten), Altersgruppen und Geschlecht — p. 74
http://www.statistik[...]
[13]
웹사이트
ПОПИС 2022 - еxcел табеле | О ПОПИСУ СТАНОВНИШТВА
https://popis2022.st[...]
2024-09-23
[14]
웹사이트
United Nations Population Division |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http://www.un.org/en[...]
2018-06-29
[15]
웹사이트
1996 estimate
http://faq.macedonia[...]
[16]
웹사이트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23
https://shqiptarja.c[...]
Instituti i Statistikës
[17]
웹사이트
Population by country of origin
https://www.statbank[...]
[18]
웹사이트
OECD Statistics
http://www.oecd.org/[...]
[19]
웹사이트
Population by country of birth 2009
http://www.scb.se/st[...]
[20]
Croatian Census 2011
Croatian Census 2011
[21]
웹사이트
2002 census (stat.si)
http://www.stat.si/p[...]
[22]
웹사이트
Belgium population statistics
http://www.dofi.fgov[...]
dofi.fgov.be
2008-06-09
[23]
웹사이트
2008 figures
http://www.ssb.no/en[...]
[24]
웹사이트
2003 census
http://www.diplomati[...]
[25]
웹사이트
2005 census
http://www.uni-koeln[...]
[26]
웹사이트
czso.cz
https://www.czso.cz/[...]
[27]
웹사이트
Makedonci vo Svetot
http://www.mfa.gov.m[...]
[28]
웹사이트
'Polands Holocaust: Ethnic Strife, Collaboration with Occupying Forces and Genocide in the Second Republic, 1918–1947'
https://archive.org/[...]
[29]
웹사이트
Rezultatele finale ale Recensământului din 2011 – Tab8. Populaţia stabilă după etnie – judeţe, municipii, oraşe, comune
http://www.recensama[...]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Romania)
2013-07-05
[30]
뉴스
Етноанализът на НСИ: 8,4% в България се определят към турския етнос, 4,4% казват, че са роми
https://dnes.dir.bg/[...]
Dir.bg
2022-11-24
[31]
문서
Montenegro 2011 census
http://www.monstat.o[...]
[32]
웹사이트
2006 census
http://www.stats.gov[...]
2018-10-02
[33]
문서
Population Estimate from the MFA
http://www.mfa.gov.m[...]
[34]
웹사이트
República de Macedonia - Emigrantes totales
https://datosmacro.e[...]
[35]
웹사이트
https://view.officea[...]
[36]
서적
"Eastern Europe and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37]
서적
"Ethnic groups worldwide: a ready reference handbook"
[38]
서적
Political and economic dictionary of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Routledge
[39]
문서
On the Macedonian Matters
[40]
서적
Limiting institutions?: the challenge of Eurasian security governanc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41]
서적
The eye expanded: life and the arts in Greco-Roman antiqui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2]
서적
Modern hatreds: the symbolic politics of ethnic war
Cornell University Press
[43]
서적
State identities and the homogenisation of peop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서적
Democratic consolidation in Eastern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45]
웹사이트
The World; The Land That Can't Be Named
https://www.nytimes.[...]
1995-05-14
[46]
서적
Macedonia and the Macedonians: A History
http://research.poli[...]
Hoover Institution Press
2008
[47]
서적
Macedonia and the Macedonians: A History
http://research.poli[...]
Hoover Institution Press
2008
[48]
서적
The Macedonian Conflict: Ethnic Nationalism in a Transnational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49]
서적
Yugoslav Communism and the Macedonian question
Archon Books
[50]
서적
The Macedonian Question: Britain and the Southern Balkans 1939–1949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8-04-17
[51]
서적
The Struggle for Greece, 1941–1949
https://books.google[...]
Hurst
[52]
서적
Who are the Macedonians?
https://books.google[...]
Hurst
[53]
서적
The Macedonian Slavs in the Greek Civil War, 1944–1949
Rowman & Littlefield
[54]
간행물
"Towards the peculiarities of language shift in Northern Greece"
Harrassowitz Verlag
[55]
문서
Some Problems of Greek History
[56]
문서
The Problem of the Discontinuity in Classical and Hellenistic Eastern Macedonia
[57]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Macedonia
Wiley -Blackwell
[58]
서적
Goths and Romans 332–489
[59]
서적
Macedonia in Late Antiquity
Wiley -Blackwell
[60]
논문
Were there any Slavs in seventh-century Macedonia?
[61]
문서
[62]
문서
[63]
서적
A History of Byzantium
Wiley- Blackwell
[64]
문서
[65]
문서
Were there any Slavs in seventh-century Macedonia?
[6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Early Inner A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7]
문서
Srednovekovni gradovi i tvrdini vo Makedonija
[68]
서적
"The" Other Europe in the Middle Ages: Avars, Bulgars, Khazars and Cumans, East Central and Eastern Europe in the Middle Ages, 450 – 1450
BRILL
[69]
문서
The Avars (History) in Regna and Gen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 Antique and Early Medieval Peoples and Kingdoms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Roman World
[70]
문서
Srednovekovni gradovi i tvrdini vo Makedonija
[71]
간행물
The Fortifications of the Late Antiquity and the Early Byzantine Period on the Later Territory of the South-Slavic Principalities, and Their Re-occupation
Istorijski institut, Belgrade
2013
[72]
서적
The Edinburgh History of the Greeks, C. 500 to 1050: The Early Middle Ages
[73]
서적
Studies on the Internal Diaspora of the Byzantine Empire
[74]
서적
Cumans and Tatars: Oriental Military in the Pre-Ottoman Balkans, 1185–1365
[75]
서적
Balkan Worlds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15-03-18
[76]
논문
Vlachs and Slavs in the Middle Ages and Modern Era
2016
[77]
서적
Албанци в Източните Балкани
ИМИР (Международен центур за изследване на малцинствата и културните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София
2004
[78]
서적
1991
[79]
서적
The Slavs
[80]
서적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81]
서적
Encyclopedia of the Languages of Europe
https://books.google[...]
Wiley
2000-05-18
[82]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Eastern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0-05-10
[83]
서적
Interaction and Isolation in Late Byzantine Cultur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04
[84]
서적
The Balkans: From Constantinople to Communism
Palgrave Macmillan
[85]
서적
The Dawn of Slavic
[86]
서적
Southeastern Europe in the Middle Ages, 500–125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87]
서적
Europe and the Historical Legacies in the Balkans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15-03-18
[88]
문서
Balkan cultural commonality and ethnic diversity
[89]
서적
История на българите. Късно средновековие и Възраждане, том 2
TRUD Publishers
2004
[90]
웹사이트
Center for Documentation and Information on Minorities in Europe, Southeast Europe (CEDIME-SE) – "Macedonians of Bulgaria", p. 14.
http://www.greekhels[...]
2006-07-23
[91]
서적
Who are the Macedonians?
https://books.google[...]
Hurst
2015-03-18
[92]
웹사이트
Средновековни градови и тврдини во Македонија, Иван Микулчиќ, Македонска академија на науките и уметностите – Скопје, 1996, стр. 72.
http://www.kroraina.[...]
2015-03-18
[93]
웹사이트
Formation of the Bulgarian nation (summary)
http://www.kroraina.[...]
Sofia-Press
2015-03-18
[94]
서적
When Ethnicity Did Not Matter in the Balkans
[95]
서적
Relexification Hypothesis in Rumanian
[96]
서적
Cumans and Tartars: Oriental military in the pre-Ottoman Balkans
[97]
서적
Byzantium's Balkan Frontier
[98]
서적
The Edinburgh History of the Greeks; 500–1250: The Middle Ages
2013
[99]
서적
Guests in the House: Cultural Transmission Between Slavs and Scandinavians
2008
[100]
서적
The A to Z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0
[101]
웹사이트
The Longest Schism in Modern Orthodoxy: Bulgarian Autocephaly & Ethnophyletism
https://orthodoxhist[...]
2022-03-15
[102]
웹사이트
Facsimilise of Sultan's Firman with English Translation
http://www.promacedo[...]
[103]
웹사이트
Църква и църковен живот в Македония, Петър Петров, Христо Темелски, Македонски Научен Институт, София, 2003 г.
http://www.promacedo[...]
[104]
서적
The Politics of Terror: The Macedonian Liberation Movements, 1893–1903
Duke University Press
1988
[105]
서적
The A to Z of Bulgaria
Scarecrow Press
2010
[106]
서적
Cultural Dominance in the Mediterranean Area
https://www.academia[...]
[107]
간행물
Social Cleavages and National "Awakening" in Ottoman Macedonia
[108]
간행물
Social Cleavages and National "Awakening" in Ottoman Macedonia
[109]
서적
Entangled Histories of the Balkans – Volume Three: Shared Pasts, Disputed Legacies
BRILL
[110]
서적
The Macedonian Conflict: Ethnic Nationalism in a Transnational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1]
서적
Entangled Histories of the Balkans, Volume One: National Ideologies and Language Policies
BRILL
[112]
문서
The Macedonian Question
[113]
문서
Соня Баева, Петко Славейков: живот и творчество, 1827–1870, Изд-во на Българската академия на науките, 1968, стр. 10.
[114]
문서
Речник на българската литература, том 2 Е-О. София, Издателство на Българската академия на науките, 1977. с. 324.
[115]
문서
A letter from Slaveykov to the Bulgarian Exarch
[116]
문서
Балканска питања и мање историјско-политичке белешке о Балканском полуострву 1886–1905
Београд
[117]
문서
"Since the Bulgarian idea, as it is well-known, is deeply rooted in Macedonia, I think it is almost impossible to shake it completely by opposing it merely with the Serbian idea. This idea, we fear, would be incapable, as opposition pure and simple, of suppressing the Bulgarian idea. That is why the Serbian idea will need an ally that could stand in direct opposition to Bulgarianism and would contain in itself the elements which could attract the people and their feelings and thus sever them from Bulgarianism. This ally I see in Macedonism...." except from the report of S. Novakovic to the Minister of Education in Belgrade in Cultural and Public Relations of the Macedonians with Serbia in the XIXth c., Skopje, 1960, p. 178.
[118]
웹사이트
Macedonia and the Macedonians: A History
http://research.poli[...]
Hoover Institution Press
2008
[119]
문서
Rečnik od tri jezika: s. makedonski, arbanski i turski [Dictionary of Three languages: Macedonian, Albanian, Turkish]
U državnoj štampariji
[120]
문서
Речник от четири jазика
Belgrade
[121]
문서
Rečnik od tri jezika: s. makedonski, arbanski i turski [Dictionary of Three languages: Macedonian, Albanian, Turkish]
U državnoj štampariji
[122]
서적
Papers in Slavic Philolog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123]
서적
Entangled Histories of the Balkans: Volume One: National Ideologies and Language Policies
https://books.google[...]
BRILL
[124]
서적
Contested Ethnic Identity: The Case of Macedonian Immigrants in Toronto, 1900–1996
https://books.google[...]
Peter Lang
[125]
문서
Блаже Ристовски, "Портрети и процеси од македонската литературна и национална историја", том 1, Скопје: Култура, 1989 г., стр. 281, 283, 28.
[126]
문서
Per Srđan Todorov he began his public work as a Mijak and then became an "Old Serbian" patriot, went later to Bulgarian identity, and finally adopted a Macedonian one.
[12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Bulgaria
Rowman & Littlefield
[128]
서적
Contested Ethnic Identity: The Case of Macedonian Immigrants in Toronto, 1900–1996
Peter Lang
[129]
서적
Entangled Histories of the Balkans: Volume One: National Ideologies and Language Policies
BRILL
[130]
문서
Theodosius of Skopje Centralen D'rzhaven istoricheski archiv (Sofia) 176, op. 1. arh.ed. 595, l.5–42 – Razgledi, X/8 (1968), pp. 996–1000.
[131]
문서
Писмо на Теодосий до вестника на Българската екзархия "Новини" от 04.02.1892 г.
[132]
문서
Блаже Конески, Македонскиот XIX век. том 6, Составиле: Анастасија Ѓурчинова, Лидија Капушевска-ДракулевскаЫ Бобан Карапејовски, белешки и коментари: Георги Сталев, МАНУ, Скопје, 2020, стр. 72.
[133]
서적
The Macedonian Question and the Macedonian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34]
서적
The Politics of Terror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135]
서적
Lingua e nazionalità in Macedonia
Jaca Book
[136]
서적
The Past in Question: Modern Macedonia and the Uncertainties of Natio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37]
서적
Freedom or Death, The Life of Gotsé Delchev
Journeyman Press, London & West Nyack
[138]
서적
The Macedonian Question and the Macedonian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39]
문서
Information from a book by Gyorche Petrov on the ethnic composition of the population in Macedonia
[140]
문서
''The term 'project' tackles likewise the specific temporal orientation of the initial stage of formation of Macedonian ethnic nationalism
[141]
서적
'Region, Regional Identity and Regionalism in South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142]
서적
За македонцките работи
https://www.strumski[...]
[143]
서적
За македонцките работи
https://www.strumski[...]
[144]
웹사이트
За македонцките работи
http://www.misirkov.[...]
[145]
서적
За македонцките работи
https://www.strumski[...]
[146]
웹사이트
За македонцките работи
http://www.misirkov.[...]
[147]
서적
'Collective Memory, National Identity, and Ethnic Conflict: Greece, Bulgaria, and the Macedonian Question'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48]
웹사이트
'Проф. д-р Веселин Трайков – "Кръсте П. Мисирков и за българските работи в Македония", София, 2000, Издателство "Знание"'
http://www.promacedo[...]
2013-02-20
[149]
간행물
Бележки по южно-славянската филология и история
https://www.strumski[...]
[150]
문서
Iz istorii makedonskogo literaturnogo iazyka
http://www.philol.ms[...]
[151]
문서
[152]
문서
[153]
문서
[154]
문서
[155]
문서
[156]
문서
[157]
문서
[158]
문서
[159]
문서
[160]
문서
[161]
문서
[162]
문서
[163]
문서
[164]
문서
[165]
문서
[166]
문서
[167]
문서
[168]
문서
[169]
문서
[170]
문서
[171]
문서
[172]
문서
[173]
문서
[174]
문서
[175]
문서
[176]
서적
[177]
서적
[178]
서적
[179]
서적
[180]
서적
[181]
서적
Историја на македонската нација
Скопје
[182]
간행물
"On the Monastir Road"
http://www.promacedo[...]
National Geographic
1917-05
[183]
뉴스
Ἡ Ζωὴ ἐν τάφῳ. Κεφάλαιο ιζ΄
http://invenio.lib.a[...]
1923-09-25
[184]
서적
Yugoslavia and Macedonia Before Tito: Between Repression and Integration
I. B. Tauris
[185]
서적
Stillborn Republic: Social Coalitions and Party Strategies in Greece, 1922–1936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86]
논문
"Minority Rights and Educational Problems in Greek Interwar Macedonia: The Case of the Primer "Abecedar""
[187]
서적
Nationalism, Globalization, and Orthodoxy: The Social Origins of Ethnic Conflict in the Balkans (Contributions to the Study of World History)
Praeger
[188]
뉴스
The Situation in Macedonia and the Tasks of IMRO (United)
Македонско дело
1934-04
[189]
문서
Произходът на македонската нация - Стенограма от заседание на Македонския Научен Институт в София през 1947 г.
[190]
인터뷰
"Верувам во националниот имунитет на македонецот"
списание "Форум"
2000-07-22
[191]
논문
"Η Μακεδονία κάτω από το ζυγό της ελληνικής κεφαλαιοκρατίας". Ένα ρεπορτάζ του Ριζοσπάστη στις σλαβόφωνες περιοχές (1933)
https://www.academia[...]
[192]
문서
Резолюция о македонской нации (принятой Балканском секретариате Коминтерна — Февраль 1934 г, Москва.
[193]
서적
A Balkan Union? Southeastern Europe in Soviet Security Policy, 1944–8
Palgrave Macmillan
[194]
서적
6. Communism and Nationalism in the Balkans: Marriage of Convenience or Mutual Attraction?
Brill
[195]
인터뷰
"Верувам во националниот имунитет на македонецот"
списание "Форум"
2000-07-22
[196]
서적
History of the Balkans, Vol. 2: Twentieth Century
[197]
서적
Nationality in the Balkans: The case of the Macedonians
Eren Publishing
[198]
서적
"The National Question in Yugoslavia. Origins, History, Politics" The Macedoine
Cornell University Press
[199]
서적
Yugoslav communism and the Macedonian question
Archon Books
[200]
서적
History of East Central Europe since 1700
Routledge
[201]
논문
With the eyes of the "other" (about Macedonian-Bulgarian relations and the Macedonian national identity)
Peace and Democracy Center: "Ian Collins"
[202]
서적
Yugoslavia: A Concise History
Springer
[203]
서적
Macedonian identity: an overview of the major claims
Palgrave Macmillan
[204]
서적
Collective Memory, National Identity, and Ethnic Conflict: Greece, Bulgaria, and the Macedonian Question
Praeger Publishers
[205]
서적
Who are the Macedonians?
C. Hurst & Co. Publishers
[206]
서적
Macedonia: Warlords and Rebels in the Balkans
I.B. Tauris
[207]
서적
The Antiquity of Nations
[208]
서적
State identities and the homogenisation of peop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9]
서적
The Macedonian Conflict. Ethnic Nationalism in a Transnational World
[210]
서적
Ancient Macedonia: National Symbols
Wiley –Blackwell
[211]
서적
The Handbook of Political Change in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2013
[212]
서적
Transforming National Holidays: Identity Discourse in the West and South Slavic Countries, 1985–2010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12
[213]
간행물
Redefining National Identity in Macedonia. Analyzing Competing Origins Myths and Interpretations through Hegemonic Representations.
https://hrcak.srce.h[...]
2014
[214]
뉴스
More Macedonians Apply for Bulgarian Citizenship
https://balkaninsigh[...]
Balkans Inside
2014-08-05
[215]
간행물
Предоставяне на българско гражданство, Справка за преиода 22.01.2002–15.01.2012 г. (Bulgarian citizenship Information for the period 22.01.2002–15.01.2012 year); Доклад за дейността на КБГБЧ за 2012–2013 година (Report on the activities of the CBCBA for 2012–2013 year), p. 7 Доклад за дейността на КБГБЧ за периода 23.01.2013 – 22.01.2014 година (Report on the activities of the CBCBA for the period 23.01.2013–22.01.2014 year), p. 6; Годишен доклад за дейността на КБГБЧ за периода 01.01.2014–31.12.2014 година (Annual report on the activities of the CBCBA for the period 01.01.2014–31.12.2014 year), p. 5; Годишен доклад за дейността на КБГБЧ за периода 01.01.2015–31.12.2015 година (Annual report on the activities of the CBCBA for the period 01.01.2015–31.12.2015 year), p. 6; Годишен доклад за дейността на КБГБЧ за периода 01.01.2016–31.12.2016 година (Annual report on the activities of the CBCBA for the period 01.01.2016–31.12.2016 year), p. 6; Доклад за дейността на комисията по българско гражданство за периода 14 януари – 31 декември 2017 г. (Activity Report of the Bulgarian Citizenship Commission for the period 14 January – 31 December 2017); Доклад за дейността на комисията по българско гражданство за периода 01 януари – 31 декември 2018 г. (Activity Report of the Bulgarian Citizenship Commission for the period 01 January – 31 December 2018); Доклад за дейността на комисията по българско гражданство за периода 01 януари – 31 декември 2019 г. (Activity Report of the Bulgarian Citizenship Commission for the period 01 January – 31 December 2019). Доклад за дейността на комисията по българско гражданство за периода 01 януари – 31 декември 2020 г. (Activity Report of the Bulgarian Citizenship Commission for the period 01 January – 31 December 2020).
[216]
서적
Citizenship in Bosnia and Herzegovina, Macedonia and Montenegro: Effects of Statehood and Identity Challenges
Ashgate Publishing
2015
[21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Bulgaria
Rowman & Littlefield
2014
[218]
서적
Citizenship after Yugoslavia
Routledge
2013
[219]
서적
Debating Transformations of National Citizenship
Springer
2018
[220]
서적
Macedonia: A Voyage through History (Vol. 2, From the Fifteenth Century to the Present)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6
[221]
간행물
In-between Spaces: Dual Citizenship and Placebo Identity at the Triple Border between Serbia, Macedonia and Bulgaria
2019
[222]
간행물
"Bulgarian passports" – Possibilities for greater mobility of Macedonians and/or strategies for identity manipulation?
https://doi.org/10.3[...]
2016
[223]
간행물
Country report on Macedonia
EUDO Citizenship Observatory, Robert Schuman Centre for Advanced Studies
2012-11
[224]
뉴스
Bulgaria asks EU to stop 'fake' Macedonian identity
https://www.dw.com/e[...]
Deutsche Welle
2020-09-23
[225]
뉴스
Bulgaria blocks EU accession talks with North Macedonia
https://nationalpost[...]
National post
2020-11-17
[226]
웹사이트
Address by the Director of the State Statistical Office on the completion of the Census 2021
https://popis2021.st[...]
[227]
뉴스
Скопие преброи 19 645 души с двойно гражданство
https://dnes.dir.bg/[...]
Dir.bg
2022-04-29
[228]
웹사이트
μακεδνός
https://www.perseus.[...]
[229]
웹사이트
μακρός
https://www.perseus.[...]
[230]
웹사이트
Macedonia
http://www.etymonlin[...]
[231]
서적
Makedonika
Regina Books
[232]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Routledge
2009
[233]
서적
Macedonian identity: an overview of the major claims
Palgrave Macmillan, London
1999
[234]
서적
History of the Balkans, Vol. 2: Twentie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235]
서적
Modern Greece: A History since 1821. A New History of Modern Europe
John Wiley & Sons
2009
[236]
서적
Minorities in Greece: Aspects of a Plural Society
C. Hurst & Co. Publishers
2002
[23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Scarecrow Press
2009
[238]
서적
The New Macedonian Question
Springer
1999
[239]
간행물
Nation-building ancient Macedonian style: the origins and the effects of the so-called antiquization in Macedonia.
2011
[240]
서적
Famous Macedonia, the Land of Alexander: Macedonian identity at the crossroads of Greek, Bulgarian and Serbian nationalism
BRILL
2013
[241]
서적
Contested Ethnic Identity: The Case of Macedonian Immigrants in Toronto, 1900–1996
Peter Lang
2010
[242]
문서
In a letter to Prof. [[Marin Drinov]] of May 25, 1888 Kuzman Shapkarev writes: "But even stranger is the name Macedonians, which was imposed on us only 10–15 years ago by outsiders, and not as some think by our own intellectuals.... Yet the people in Macedonia know nothing of that ancient name, reintroduced today with a cunning aim on the one hand and a stupid one on the other. They know the older word: "Bugari", although mispronounced: they have even adopted it as peculiarly theirs, inapplicable to other Bulgarians. You can find more about this in the introduction to the booklets I am sending you. They call their own Macedono-Bulgarian dialect the "Bugarski language", while the rest of the Bulgarian dialects they refer to as the "Shopski language". (Makedonski pregled, IX, 2, 1934, p. 55; the original letter is kept in the Marin Drinov Museum in Sofia, and it is available for examination and study)
[243]
서적
The Macedonians: Their Past and Present
Springer
2012
[244]
서적
The Final Solution: A Genocide
OUP Oxford
2009
[245]
서적
Contested Ethnic Identity: The Case of Macedonian Immigrants in Toronto
Peter Lang
2010
[246]
서적
Developing cultural identity in the Balkans: convergence vs divergence
Peter Lang
[247]
웹사이트
Bulgaria and Europe
https://books.google[...]
Anthem Press
2010-06-15
[248]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Greece
http://www.ethnologu[...]
2009-02-13
[249]
웹사이트
UCLA Language Materials Project: Language Profile
http://www.lmp.ucla.[...]
2011-02-09
[250]
웹사이트
UCLA Language Materials Project: Language Profile
http://www.lmp.ucla.[...]
2011-06-05
[251]
문서
The Macedonian Conflict: Ethnic Nationalism in a Transnational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2]
문서
Macedonia Through the Ages
Columbia University
[253]
논문
Macedonians in Greece and Albania: A Comparative study of recent developments
1999-03-01
[254]
서적
Who are the Macedonians?
C. Hurst & Co. Publishers
[255]
웹사이트
The Macedonian Conflict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04-06
[256]
웹사이트
Greece
https://2001-2009.st[...]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2016-10-27
[257]
웹사이트
Report about Compli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Framework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National Minorities (Greece) – GREEK HELSINKI MONITOR (GHM)
http://dev.eurac.edu[...]
2003-05-23
[258]
웹사이트
Culture and Righ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11-29
[259]
서적
The Macedonian Conflict: Ethnic Nationalism in a Transnational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60]
서적
Developing cultural identity in the Balkans: convergence vs divergence
Peter Lang
[261]
뉴스
Second Macedonian newspaper in Greece
https://web.archive.[...]
[262]
웹사이트
Greek Helsinki Monitor & Minority Rights Group- Greece; Greece against its Macedonian minority
http://www.greekhels[...]
2006-12-09
[263]
웹사이트
Amnesty International; Greece: Charges against members of the "Rainbow" party should be dropped
https://www.amnesty.[...]
[264]
뉴스
Македонците во Грција треба да си ги бараат правата
http://www.utrinski.[...]
2011-08-23
[265]
뉴스
"Нова зора" – прв весник на македонски јазик во Грција
http://www.a1.com.mk[...]
2010-05-09
[266]
뉴스
Нема печатница за македонски во Грција
http://www.vreme.com[...]
[26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pod2.stat.gov[...]
2015-06-02
[268]
간행물
Local Self-Government and Decentralization: Case of Albania. History, Reforms and Challenges.
http://library.fes.d[...]
Friedrich Ebert Stiftung, Zagreb Office, Zagreb
[269]
서적
Political and economic dictionary of Eastern Europe
Routledge
[270]
웹사이트
Population on 1 January by age group, sex and country of birth
https://ec.europa.eu[...]
[271]
웹사이트
НАСЕЛЕНИЕ КЪМ 7 СЕПТЕМВРИ 2021 ГОДИНА
https://nsi.bg/sites[...]
2023-05-11
[272]
웹사이트
Население по етническа група и майчин език в област: Благоевград.
http://censusresults[...]
[273]
웹사이트
Преброяване 2011 – окончателни резултати, гл. ІІІ. Основни резултати, стр. 23.
http://www.nsi.bg/ce[...]
[274]
뉴스
323 552 души е населението на Пиринско.
https://www.struma.c[...]
[275]
웹사이트
FOCUS Information Agency
http://www.focus-fen[...]
focus-fen.net
2009-03-14
[276]
서적
Македонски Иселенички Алманах '95
Матица на Иселениците на Македонија
[277]
웹사이트
The People of Australia: Statistics from the 2011 Census
https://www.border.g[...]
Australian Government
2016-09-23
[278]
서적
Матица на Иселениците на Македонија
[279]
웹사이트
U.S. Census website
https://www.census.g[...]
2020-03-28
[280]
간행물
Archived copy
http://www.canadiane[...]
2006-03-07
[281]
웹사이트
Euroamericans.net
http://www.euroameri[...]
2005-03-19
[282]
웹사이트
bfs.admin.ch
https://web.archive.[...]
[283]
웹사이트
The 67th Academy Awards
https://www.oscars.o[...]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2019-08-27
[284]
서적
[285]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Volume 3
[286]
서적
Grbovite na Makedonija
Skopje
[287]
서적
Грбовите на Македонија
Мисла, Skopje, Macedonia
[288]
서적
The Politics of Terror: The Macedonian Liberation Movements, 1893–1903
Duke University Press
[289]
서적
The New Macedonian Question
Springer
[290]
웹사이트
Macedonian Cultural Heritage: Ohrid World Heritage Site
https://web.archive.[...]
2020-06-28
[291]
뉴스
Deskoski: Vergina Sun flag is not Macedonian, we need to get rid of this Greek symbol
https://english.repu[...]
Republica.mk
[292]
웹사이트
wipo.int
http://www.wipo.int/[...]
2006-03-29
[293]
뉴스
A Name for a Conflict or a Conflict for a Name? An Analysis of Greece's Dispute with FYROM
http://www.findartic[...]
24 (1996) Journal of Political and Military Sociology, 285
2007-01-24
[294]
웹사이트
Final Agreement for the Settlement of the Differences as Described in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817 (1993) and 845 (1993), The Termination of the Interim Accord of 1995, and the Establishment of a Strategic Partnership Between the Parties
http://s.kathimerini[...]
2018-06-13
[295]
웹사이트
Also the "Sun of Vergina" is being lost: what the agreement (original: Χάνεται και "ο Ηλιος της Βεργίνας": Τι ορίζει η συμφωνία για το σήμα)
https://web.archive.[...]
Crash Online
2018-06-22
[296]
웹사이트
North Macedonia to remove the Star of Vergina from all public spaces
https://greekcitytim[...]
GCT.com
2019-07-15
[297]
웹사이트
North Macedonia: Zaev removes from anywhere the Vergina Sun (original title: "Βόρεια Μακεδονία: Ο Ζάεφ αποσύρει από παντού τον Ήλιο της Βεργίνας")
https://www.news247.[...]
News247
2019-07-14
[298]
웹사이트
Kutlesh star no longer to be seen in public use
https://english.repu[...]
Republika.mk
2019-07-12
[299]
논문
High-Resolution Phylogenetic Analysis of Southeastern Europe Traces Major Episodes of Paternal Gene Flow Among Slavic Populations
2005-10-01
[300]
논문
Genetic data for 17 Y-chromosomal STR loci in Macedonians in the Republic of Macedonia
http://www.fsigeneti[...]
2015-03-18
[301]
논문
High-resolution typing of HLA-DRB1 locus in the Macedonian population
[302]
논문
European Journal of Human Genetics – Y chromosomal heritage of Croatian population and its island isolates.
[303]
논문
The Genetic Legacy of Paleolithic Homo sapiens sapiens in Extant Europeans: A Y Chromosome Perspective
http://hpgl.stanford[...]
[304]
논문
HLA-DRB and -DQB1 polymorphism in the Macedonian population
http://www.ingentaco[...]
2000-01-01
[305]
논문
Y-STR variation among Slavs: evidence for the Slavic homeland in the middle Dnieper basin
[306]
논문
Genetic heritage of the Balto-Slavic speaking populations: a synthesis of autosomal, mitochondrial and Y-chromosomal data
[307]
논문
Genes mirror geography within Europe
2008
[308]
논문
The Geography of Recent Genetic Ancestry across Europe
[309]
논문
Y-STR variation among Slavs: evidence for the Slavic homeland in the middle Dnieper basin
2007-03-16
[310]
논문
Y-chromosome diversity of the three major ethno-linguistic groups in the Republic of North Macedonia
2019-09-01
[311]
웹사이트
"Phylogeographic Refinement and Large Scale Genotyping of Human Y Chromosome Haplogroup E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Dispersal of Early Pastoralists in the African Continent"
http://gbe.oxfordjou[...]
[312]
논문
Y-chromosomal STR haplotypes in Macedonian population samples
[313]
서적
DNA Genealogy
Scientific Research Publishing, Inc. USA
[314]
논문
The phylogenetic and geographic structure of Y-chromosome haplogroup R1a
[315]
논문
Genetic data for 17 Y-chromosomal STR loci in Macedonians in the Republic of Macedonia
[316]
논문
Correlation between genetic and geographic structure in Europe
2008-08
[317]
서적
Florin Curta's An ironic smile: the Carpathian Mountains and the migration of the Slavs, Studia mediaevalia Europaea et orientalia. Miscellanea in honorem professoris emeriti Victor Spinei oblata, edited by George Bilavschi and Dan Aparaschivei, 47–72. Bucharest: Editura Academiei Române
2018
[318]
간행물
A. Zupan et al. The paternal perspective of the Slovenian popula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other populations
2013-07
[319]
서적
Southeastern Europe in the Middle Ages: 500–1250
https://books.google[...]
2006
[320]
논문
Genetics of the peloponnesean populations and the theory of extinction of the medieval peloponnesean Greeks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