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구 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포구 갑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었다. 18대 총선부터 현재까지 공덕동, 아현동, 도화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신수동을 관할하며, 역사적으로 보수와 진보 정당 소속 의원을 모두 배출했다.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국민의힘 조정훈 후보가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마포구의 정치 - 마포구청장 선거
마포구청장 선거는 서울특별시 마포구의 구청장을 선출하기 위한 선거로, 1995년부터 2022년까지 총 8회 치러졌으며, 선거 결과는 당시 정치적 상황과 유권자들의 의중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 서울 마포구의 정치 - 마포구청장
마포구청장은 서울특별시 마포구의 행정을 책임지는 최고 책임자로, 1946년부터 1995년까지는 관선, 이후에는 주민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되었으며, 역대 구청장들의 정보는 본문에서 자세히 다룬다. -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 동작구 을
동작구 을은 1988년 동작구 갑에서 분리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박실, 유용태, 나경원, 이수진 등 역대 국회의원을 배출했고 2024년 총선에서는 나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 종로구 (1988년 선거구)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종로구는 소선거구제 시행으로 단독 선거구로 치러졌으며, 민주정의당 이종찬 후보가 당선되었다. -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는 1988년 제13대 총선을 앞두고 종로구·중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서울특별시 중구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6년 인구 감소로 성동구 갑·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동작구 을
동작구 을은 1988년 동작구 갑에서 분리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박실, 유용태, 나경원, 이수진 등 역대 국회의원을 배출했고 2024년 총선에서는 나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마포구 갑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선거구 이름 | 마포구 갑 |
선거구 유형 | 단일 선거구 |
의회 | 대한민국 국회 |
지역 | 서울특별시 |
선거구 | 마포구 일부 |
유권자 수 | 157,500 (2020년) |
선출 의원 수 | 1인 |
좌석 수 | 1석 |
개설 년도 | 1988년 |
정치 | |
정당 | 국민의힘 |
국회의원 | 조정훈 |
이전 선거구 | |
이전 선거구 | 마포구·용산구 |
2. 역사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마포구 갑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당시 아현동, 공덕동, 신공덕동, 도화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노고산동, 신수동이 마포구 갑으로, 나머지 지역인 창전동, 상수동, 서교동, 동교동, 합정동, 망원동, 연남동, 성산동, 상암동은 마포구 을로 지정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행정동 통합을 거쳐 2008년 제18대 총선부터 현재의 관할 구역을 이루게 되었다.
마포구 갑 지역구는 역사적으로 보수와 진보 정당 소속 의원들을 모두 배출해왔다. 1988년 총선에서는 진보 정당인 평화민주당의 노승환 의원이 당선되었으나, 1992년 총선에서는 보수 정당인 민주자유당의 박명환 의원이 당선되어 2004년까지 3선을 역임하였다. 2004년 총선에서는 노승환 의원의 아들인 노웅래 의원이 열린우리당 소속으로 당선되었으나, 2008년 총선에서는 한나라당 강승규 후보에게 패하였다. 노웅래 의원은 2012년 총선에서 다시 당선되어 2024년까지 마포구 갑 지역구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2. 1. 역대 국회의원
선거 | 의원 | 정당 | 임기 |
---|---|---|---|
1988년 | 노승환 | 평화민주당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1992년 | 박명환 | 민주자유당 | 1992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1996년 | 신한국당 | ||
2000년 | 한나라당 | ||
2004년 | 노웅래 | 열린우리당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2008년 | 강승규 | 한나라당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2012년 | 노웅래 | 민주통합당 | 2012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
2016년 | 더불어민주당 | ||
2020년 | 더불어민주당 | ||
2024년 | 조정훈 | 국민의힘 | 2024년 5월 30일 ~ 현재 |
2. 2. 2024년 총선 관련 논란
2024년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은 노웅래 의원의 뇌물수수 및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5]로 인해 마포구 갑을 '전략 지역구'로 지정하고, 이지은 전 경찰관을 공천했다.[4] 이에 노웅래 의원은 당의 결정에 반발하여 2024년 2월 22일부터 단식농성에 들어갔으나,[6] 3월 9일 당 지도부가 결정을 재고하지 않자 중단했다.[7]국민의힘 조정훈 의원은 2024년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지은 후보를 꺾고 마포구 갑 국회의원이 되었다.
3. 관할 구역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마포구 갑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당시 아현동, 공덕동, 신공덕동, 도화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노고산동, 신수동이 마포구 갑에 포함되었고, 나머지 지역인 창전동, 상수동, 서교동, 동교동, 합정동, 망원동, 연남동, 성산동, 상암동은 마포구 을이 되었다.[1]
이후 여러 차례 행정동 통합을 거쳐 2008년 제18대 총선부터 현재의 관할 구역이 되었다.[1]
대수 | 관할 구역 |
---|---|
13대 ~ 17대 | 마포구 아현1동, 아현2동, 아현3동, 공덕1동, 공덕2동, 신공덕동, 도화1동, 도화2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노고산동, 신수동 |
18대 ~ 현재 | 마포구 공덕동, 아현동, 도화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신수동 |
3. 1. 현재 관할 구역 (18대 ~ 현재)
현 관할 구역은 2008년 제18대 총선부터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현재 마포구 갑 선거구에 속하는 지역은 공덕동, 아현동, 도화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신수동이다.[1]
3. 2. 과거 관할 구역 (13대 ~ 17대)
마포구 아현1동, 아현2동, 아현3동, 공덕1동, 공덕2동, 신공덕동, 도화1동, 도화2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노고산동, 신수동 |
4.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노승환 | 평화민주당 | 36,134 | 35.71% |
박명환 | 민주정의당 | 29,836 | 29.48% | |
박홍섭 | 통일민주당 | 25,012 | 24.71% | |
이종순 | 신민주공화당 | 10,203 | 10.08% | |
합계 | 101,185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박명환 | 민주자유당 | 39,098 | 40.66% |
김용술 | 민주당 | 31,437 | 32.70% | |
김재영 | 통일국민당 | 17,716 | 18.42% | |
김경민 | 신정치개혁당 | 5,137 | 5.34% | |
고명관 | 무소속 | 1,622 | 1.68% | |
진영환 | 무소속 | 1,125 | 1.17% | |
합계 | 96,135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박명환 | 신한국당 | 31,022 | 40.79% |
김용술 | 새정치국민회의 | 26,817 | 35.26% | |
고순례 | 자유민주연합 | 11,338 | 14.90% | |
김용 | 통합민주당 | 5,962 | 7.83% | |
고명관 | 무당파국민연합 | 910 | 1.19% | |
합계 | 76,049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박명환 | 한나라당 | 33,909 | 47.58% |
김윤태 | 새천년민주당 | 32,100 | 45.04% | |
서상영 | 청년진보당 | 2,519 | 3.53% | |
이종순 | 자유민주연합 | 1,911 | 2.68% | |
진영환 | 민주국민당 | 820 | 1.15% | |
합계 | 71,259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노웅래 | 열린우리당 | 35,842 | 44.21% |
신영섭 | 한나라당 | 31,693 | 39.09% | |
정형호 | 새천년민주당 | 6,574 | 8.10% | |
정관용 | 민주노동당 | 3,783 | 4.66% | |
강영원 | 무소속 | 2,672 | 3.29% | |
조영권 | 사회당 | 506 | 0.62% | |
합계 | 81,070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강승규 | 한나라당 | 30,203 | 48.05% |
노웅래 | 통합민주당 | 28,523 | 45.38% | |
윤성일 | 민주노동당 | 3,204 | 5.09% | |
남기준 | 평화통일가정당 | 922 | 1.46% | |
합계 | 62,852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노웅래 | 민주통합당 | 39,398 | 54.25% |
신영섭 | 새누리당 | 31,104 | 42.83% | |
정형호 | 정통민주당 | 2,119 | 2.91% | |
합계 | 72,621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노웅래 | 더불어민주당 | 44,451 | 51.92% |
안대희 | 새누리당 | 28,429 | 33.20% | |
홍성문 | 국민의당 | 7,786 | 9.09% | |
강승규 | 무소속 | 3,649 | 4.26% | |
이상이 | 복지국가당 | 1,295 | 1.51% | |
합계 | 85,610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노웅래 | 더불어민주당 | 53,160 | 55.99% |
강승규 | 미래통합당 | 40,775 | 42.95% | |
박선아 | 통일민주당 | 512 | 0.53% | |
김명숙 | 국가혁명배당금당 | 482 | 0.50% | |
합계 | 94,929 | |||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조정훈 | 국민의힘 | 48,342 | 48.30% |
이지은 | 더불어민주당 | 47,743 | 47.70% | |
김혜미 | 녹색정의당 | 2,033 | 2.03% | |
김기정 | 개혁신당 | 1,959 | 1.95% | |
합계 | 100,077 |
참조
[1]
웹사이트
민주당 노승환 정치발전연구회장 탈당
https://news.kbs.co.[...]
2024-03-07
[2]
웹사이트
서울 마포갑-한나라당 강승규 당선
https://n.news.naver[...]
2024-03-07
[3]
웹사이트
[4·11총선 개표완료]서울 마포갑-민주 노웅래 당선
https://n.news.naver[...]
2024-03-07
[4]
웹사이트
민주, 분당갑 이광재·영등포갑 채현일·마포갑 이지은 전략공천
https://www.yna.co.k[...]
2024-02-26
[5]
웹사이트
검찰, ‘뇌물수수·정치자금법 위반’ 노웅래 불구속 기소
https://news.kbs.co.[...]
2024-03-07
[6]
웹사이트
[이슈] 임종석 이어 기동민 노웅래도 컷오프 수용.. 공천 파동 마무리? 갈등 불씨 여전
https://www.polinews[...]
2024-03-06
[7]
웹사이트
'컷오프' 노웅래 단식농성 중단 "부당한 공천, 지도부 꿈쩍도 안 해"
https://www.newsis.c[...]
2024-03-02
[8]
웹사이트
노웅래 민주연구원장 사의…후임에 '친명' 인사 임명될 듯
https://www.hankyung[...]
2022-1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