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승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승환은 1927년 일제강점기 경성부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건국대학교 재학 중 서울특별시의회 의원을 역임하고, 제8대부터 제10대, 제12대, 제13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국회 부의장, 신민당, 통일민주당, 평화민주당 부총재를 역임했으며, 서울 마포구청장을 두 차례 역임했다. 1957년부터 1990년까지 1만 800회의 결혼식 사회를 진행하여 기네스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아들은 국회의원 노웅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포구청장 - 박홍섭
박홍섭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노동 운동가로, 한국노총 활동과 사북사태 이후 민주화 운동에 기여했으며, 마포구청장을 3번 역임하고 근로복지공단 이사장을 지내는 등 다양한 공직과 사회단체 활동을 펼쳤다. - 교하 노씨 - 노영민
노영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17·18·19대 국회의원과 문재인 정부의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 및 대통령 비서실장을 역임했으며, 여러 논란에 연루되었다. - 교하 노씨 - 노재원
노재원은 1954년 고등고시 합격 후 외무부에서 다양한 요직을 거쳐 주영국 참사관, 주이란 및 주쿠웨이트 대사를 지냈고,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활동 경력이 있지만, 외무부 차관, 주캐나다 대사, 초대 주중국 대사를 역임하며 한중 관계 발전에 기여한 외교관이다. -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동문 - 한영수 (정치인)
한영수는 충청남도 서산군 출신의 정치인으로, 5·9·10·11·14·15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신민당 대변인, 민한당 정책위 의장, 국회 국방위원장 등을 지냈으나 잦은 당적 변경과 간통 혐의로 비판받았다. -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동문 - 김현철 (1959년)
김영삼 전 대통령의 차남 김현철은 '소통령'으로 불리며 김영삼 정부에서 막후 영향력을 행사한 정치인, 기업인, 학자로, 한보 사태와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구속된 바 있으며, 중앙여론조사연구소 소장, 유엔한국청년협회 회장 등을 역임했고, 현재 김영삼민주센터 상임이사와 김영삼대통령기념재단 이사장을 맡고 있다.
노승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노승환 |
출생일 | 1927년 9월 5일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경기도 경성부 용강정 |
사망일 | 2014년 5월 24일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세브란스병원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 |
종교 | 개신교 → 천주교(세례명: 미카엘) |
본관 | 교하 |
군복무 | 1952년 육군 하사 전역 |
배우자 | 고정희 |
자녀 | 3남 3녀 |
웹사이트 | 대한민국헌정회 |
경력 | |
경력 | 동아일보 사회부 기자 제1·2대 서울특별시의원 신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통일민주당 부총재 평화민주당 부총재 제13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제38·39대 마포구청장 건국대학교 총동문회장 열린우리당 상임고문 |
의정 활동 | |
의원 선수 | 5 |
의원 대수 | 8·9·10·12·13 |
정당 | 무소속 |
지역구 | 서울 마포구(8) 서울 마포구·용산구(9·10·12) 서울 마포구 갑(13) |
2. 생애
2. 1. 초기 생애 및 학력
노승환은 1927년 9월 5일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현 서울)에서 태어났다.[1] 1946년 경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62년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1974년에는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1] 건국대학교 재학 중 서울특별시의회 의원에 당선되어 1대와 2대 서울특별시의회 의원을 역임했으며, 서울특별시의회 건설, 재정분과 위원장을 지냈다.[1]2. 2. 정치 활동
건국대학교 재학 중 서울특별시의회 의원(제1대, 제2대)을 역임했으며, 서울특별시의회 건설, 재정분과 위원장을 지냈다.[1]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신민당, 서울 마포구, 초선),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 (신민당, 서울 마포구·용산구, 재선),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신민당, 서울 마포구·용산구, 3선)에 당선되었다.[1] 신군부 등장 이후 정치규제로 1981년 제11대 총선에는 불출마했다.[1]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신한민주당, 서울 마포구·용산구, 4선),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평화민주당, 서울 마포구 갑, 5선)에서 당선되어 5선 국회의원을 지냈다.[1] 국회 부의장, 신민당 부총재, 통일민주당 부총재, 평화민주당 부총재를 역임했다.[1] 1992년 제14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다.[1]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민주당, 서울 마포구청장, 초선),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새정치국민회의, 서울 마포구청장, 재선)에 당선되었다.[1]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불출마를 선언하며 정계를 은퇴했다.[1]2. 3. 결혼식 사회 기록
노승환은 1957년 1월 9일부터 1990년 7월 30일까지 33년 6개월 동안 결혼식 사회를 1만 800회 진행하여 기네스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5] 1991년까지는 1만 1000회 이상 진행했으며, 하루에 11회나 진행한 적도 있다.[1]2. 4. 사망
3. 가족 관계
4. 역대 선거 결과
노승환은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서울 마포구에 출마하여 62,212표(51.90%)를 얻어 1위로 당선되었다. 이후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서울 마포구·용산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66,031표(30.95%)를 득표, 2위로 당선되었다.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같은 선거구에서 113,924표(35.46%)를 얻어 2위로 당선되었으며,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207,778표(52.41%)를 득표하여 1위로 당선되었다.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서울 마포구 갑 선거구에 평화민주당 후보로 출마, 36,134표(35.71%)를 얻어 1위로 당선되었다.
이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서울 마포구청장 선거에 출마하여 108,017표(56.46%)를 득표, 1위로 당선되었고,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로 출마하여 70,788표(52.38%)를 얻어 재선에 성공했다.
참조
[1]
웹사이트
[삶과 추억] 마포구 5선 노승환 전 국회부의장 별세
https://www.joongang[...]
2023-10-11
[2]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10
[3]
웹사이트
서울 마포서만 5選… 노승환 前 국회부의장 별세
https://www.chosun.c[...]
2022-03-09
[4]
웹사이트
'마포 터줏대감' 노승환 전 국회부의장 별세(종합)
https://news.naver.c[...]
2022-03-09
[5]
웹사이트
기네스 기록 보유 1만쌍 주례 선 의원
http://www.sisajourn[...]
2023-1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