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평화민주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평화민주당은 1987년 김대중을 총재로 추대하며 창당된 정당이다. 같은 해 치러진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대중 후보는 3위에 그쳤으나,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70석을 얻어 제1야당으로 부상했다. 이후 신민주공화당, 통일민주당 등과 민주화 관련 법안에서 공조했으며, 1991년 신민주연합당으로 당명을 변경했다. 같은 해 민주당과의 통합을 통해 민주당으로 흡수되었다. 2010년 한화갑에 의해 동명의 정당이 재창당되었으나 2012년에 소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 원내정당 - 통일민주당
    통일민주당은 1987년 김영삼과 김대중에 의해 창당되어 김영삼이 총재를 맡았으며, 1987년 대통령 선거에서 낙선하고 1988년 총선에서 59석을 얻었으며, 1990년 민주자유당으로 합당하며 소멸했다.
  •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 원내정당 - 신민주공화당
    신민주공화당은 1987년 김종필을 중심으로 창당되어 자유민주주의와 자유경제체제를 강령으로 내세웠으며, 1988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35석을 얻었으나 1990년 민주자유당 창당으로 해체되었다.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 원내정당 - 신한국당
    신한국당은 1995년 민주자유당이 당명 변경으로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15대 총선에서 제1당이 되었으나 IMF 외환 위기 속 김영삼 대통령의 탈당 후 민주당과 합당하여 한나라당을 창당하며 해산되었다.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 원내정당 - 통일민주당
    통일민주당은 1987년 김영삼과 김대중에 의해 창당되어 김영삼이 총재를 맡았으며, 1987년 대통령 선거에서 낙선하고 1988년 총선에서 59석을 얻었으며, 1990년 민주자유당으로 합당하며 소멸했다.
  • 1987년 설립된 정당 - 통일민주당
    통일민주당은 1987년 김영삼과 김대중에 의해 창당되어 김영삼이 총재를 맡았으며, 1987년 대통령 선거에서 낙선하고 1988년 총선에서 59석을 얻었으며, 1990년 민주자유당으로 합당하며 소멸했다.
  • 1987년 설립된 정당 - 신민주공화당
    신민주공화당은 1987년 김종필을 중심으로 창당되어 자유민주주의와 자유경제체제를 강령으로 내세웠으며, 1988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35석을 얻었으나 1990년 민주자유당 창당으로 해체되었다.
평화민주당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정당 이름신민주연합당
한자 표기新民主聯合黨
로마자 표기Sinminjuyeonhabdang
다른 이름평화민주당
한자 표기平和民主黨
로마자 표기Pyeonghwaminjudang
설립 및 해산
창당1987년 10월 29일 (평화민주당), 1991년 4월 15일 (신민주연합당)
해산1991년 9월 16일
분당통일민주당 (김대중계)
합당민주당
지도부
대표김대중
이념 및 성향
이념한국 자유주의
중도개혁주의
온건보수주의
정치적 위치중도
상징
색상노란색 (평화민주당)
초록색 (신민주연합당)
기타 정보
국가대한민국
중앙당사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6길 33(여의도동): 제1당사
서울특별시 마포구 토정로 318(용강동): 제2당사

2. 내력

통일민주당에 참여했던 동교동계 인사들이 탈당해 1987년 11월 12일 김대중을 총재 및 대선 후보로 추대함과 동시에 '''평화민주당'''을 창당하였다.[6]

1987년 12월 16일 제13대 대선에서 김대중은 "평민은 평민당, 대중은 김대중"을 슬로건으로 내세웠으나, 27.1%의 득표율로 3위에 그쳤다. (당선자는 민주정의당노태우) 야권 분열을 성토한 장기욱, 류제연, 김현수 의원의 통일민주당 복당으로 위기에 빠졌으나, 여성운동가 박영숙을 총재권한대행으로 영입하면서 전열을 정비했다.

1988년 4월에 실시된 제13대 총선에서는 지역구 54석에 전국구 16석을 합친 70석을 차지하여 통일민주당을 제치고 제1야당으로 급부상하였다.[7] 당시 평민당은 전남 신안군을 제외한 호남 전 지역을 독식했을 뿐만 아니라 서울에서 무려 17석을 얻고 경기도에서도 2석을 차지하는 등 선전하여, 전국 득표율에서는 3위였지만 의석수에서는 민주정의당에 이어 2위였다.

이후 신민주공화당, 통일민주당 등과 함께 국가보안법 대체입법안, 5.18 진상조사 등 민주화 관련 법안에서 공조하기도 하였다. 1990년 1월 여당 민주정의당이 야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통합하여 민주자유당을 결성함에 따라 평민당은 소수 세력으로 밀려났다.

1991년 4월 15일, 평화민주당은 이우정, 신계륜, 장영달 등의 재야운동가를 영입한 뒤 '''신민주연합당'''(新民主聯合黨, 약칭 신민당)으로 당명을 변경하였다.[8] 같은 해 6월 20일에 치러진 광역의회 선거[9]에 참여했지만, 강력한 지지 기반인 호남 지역을 제외하고는 민자당에 크게 패배했다.[10]

김대중은 미국 민주당을 롤 모델로 중도좌파와 중도우파가 모두 참여하는 중도, 온건개혁주의 정당을 표방했으며, 이후 1991년 9월 16일에 3당합당에 반대한 통일민주당 출신 인사들이 주축이 된 꼬마민주당과 합당하여 민주당을 창당하였다.

2010년, 평화민주당에서 활동했던 한화갑이 다시 평화민주당을 만들었으나 2012년에 소멸하였다.

3. 이념 및 강령

평화민주당은 민주주의 이념을 기반으로 하는 진정한 민주 정부 수립을 강령으로 내세웠다.[11] 또한, 중소기업주·노동 대중·농민의 이익을 대변하고 부의 공정한 분배를 통해 경제 정의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11]

의 중립을 강조하였으며, 비동맹 국가와의 교류를 통한 자주 외교를 추진하였다.[11] 평화 공존·평화 교류·평화 통일의 3단계 통일 정책을 제시하였다.[11]

김대중은 미국 민주당을 롤 모델로 삼아, 중도좌파와 중도우파가 모두 참여하는 중도, 온건개혁주의 정당을 표방하였다.

4. 역대 지도부

wikitext

대수역대 대표직함임기
1김대중총재1987년 11월 12일 ~ 1988년 3월 17일
(임시)박영숙비상대책위원장1988년 3월 17일 ~ 1988년 5월 6일
2김대중총재1988년 5월 7일 ~ 1991년 9월 14일



```

위 결과물은 하위 섹션 '역대 총재'의 내용과 완벽하게 중복됩니다. 주어진 지침에 따라 '역대 지도부' 섹션은 하위 섹션과 중복되지 않도록 작성해야 합니다. 그러나 현재 제공된 정보만으로는 중복을 피하면서 의미있는 내용을 추가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원본 소스에 주어진 표를 그대로 유지하되, 하위 섹션과의 중복을 명시적으로 언급하는 주석을 추가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wikitext



대수역대 대표직함임기
1김대중총재1987년 11월 12일 ~ 1988년 3월 17일
(임시)박영숙비상대책위원장1988년 3월 17일 ~ 1988년 5월 6일
2김대중총재1988년 5월 7일 ~ 1991년 9월 14일



```

하지만, 주석은 허용된 문법이 아니므로 제거하고 출력해야 합니다.

최종 출력:

```wikitext


4. 1. 역대 총재

대수역대 대표직함임기
1김대중총재1987년 11월 12일 ~ 1988년 3월 17일
(임시)박영숙비상대책위원장1988년 3월 17일 ~ 1988년 5월 6일
2김대중총재1988년 5월 7일 ~ 1991년 9월 14일


5. 역대 선거 결과

1987년 대선에서 김대중 후보는 6,113,375표(27.1%)를 얻어 3위에 그쳤다. 1988년 총선에서는 70석(지역구 54석, 전국구 16석)을 확보하여 제2당이 되었으며, 득표율은 19.3%였다. 1991년 지방선거에서는 광역의회 의원 165석을 확보했다.

대통령 선거 결과
날짜대통령 선거후보자득표수득표율당락
1987년 12월 16일제13대 대통령 선거김대중6,113,37527.1%낙선(3위)



총선 결과
날짜총선의석수득표수득표율
지역구전국구합계
1988년 4월 26일제13대 총선5416703,783,27919.3%



지방 선거 결과
선거광역의회 의원
1991년 지방 선거165석


5. 1. 대통령 선거

1987년 대선은 6월 항쟁과 6·29 선언 이후 치러진 첫 대통령 선거였다. 이 선거에서 김대중은 1987년 10월 29일 평화민주당을 창당하여 출마하였다.[2] 김대중의 출마는 '민주' 진영 후보들의 표 분산을 가져왔고, 결국 전두환의 측근인 노태우가 36.6%의 득표율로 당선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대통령 선거'''
날짜대통령 선거후보자득표수득표율당락
1987년 12월 16일제13대 대통령 선거김대중6,113,37527.1%낙선(3위)[2]


5. 2. 국회의원 선거

1987년 6월 항쟁과 12월 대통령 선거에서 직선제를 약속한 6·29 선언 이후, 김대중의 대선 출마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커졌다. 이 선언은 또한 1981년부터 '반란 선동'이라는 조작된 혐의로 가택연금 상태에 놓여 모든 정치 활동이 금지되었던 김대중에 대한 사면을 약속했다.[2] 김대중의 정치 활동이 금지된 동안 김영삼이 주요 야당 지도자로 부상했다. 1987년 대통령 선거에서 단일 '민주' 후보를 내세우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두 정치인 간의 협상은 결렬되었다. 김대중과 그의 추종자들은 통일민주당에서 분당하여 선거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10월 29일에 평화민주당을 창당했다.[2] 김대중과 김영삼의 출마는 '민주' 진영 후보들의 표 분산으로 이어져 전두환의 측근인 노태우가 36.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2]

대선에서 패배했음에도 불구하고, 평화민주당은 1988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에서 1위를 차지하고 호남 지역을 장악하며 김영삼의 통일민주당을 누르고 여당인 민주정의당의 주요 야당으로 부상했다.[2] 그러나 1990년 1월 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의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출범하면서 김대중과 그의 당은 국회에서 고립되었다.[2]

총선거 결과
날짜총선거의석수득표수득표율
지역구전국구합계
1988년 4월 26일제13대 총선거5416703,783,27919.3%


5. 3. 지방선거

1991년 지방 선거에서 평화민주당은 광역의회 의원 866석 중 165석을 차지했다.[2]

선거광역의회기초자치단체장기초의회
1991년



1991년 4월 14일, 지방 선거에 대비하여 당명을 '''새로운 통일민주당'''으로 변경했지만, 실망스러운 선거 결과와 다가오는 대선을 계기로 김대중은 새로운 정당을 창당하기로 결정했다. 김대중은 1990년 통일민주당에서 분당하여 보수 여당인 민주자유당과의 합당에 반대했던 민주당과 연합했다.[2] 이 합당으로 민주당이 출범하게 되었다.

6. 평가 및 영향

1987년 11월 12일 김대중을 총재 및 대선 후보로 추대함과 동시에 창당된 '''평화민주당'''은 동교동계 인사들이 통일민주당에서 탈당하여 만들어졌다.[6] 1987년 12월 16일 제13대 대선에서 김대중은 27.1%의 득표율로 3위에 그쳤지만, 여성운동가 박영숙을 총재권한대행으로 영입하면서 제13대 총선에서는 지역구 54석에 전국구 16석을 합친 70석을 차지하여 통일민주당을 제치고 제1야당으로 급부상하였다.

당시 평민당은 전남 신안군을 제외한 호남 전 지역을 독식했을 뿐만 아니라 서울에서 17석, 경기도에서 2석을 차지하는 등 전국 득표수에서는 3위였지만 의석수에서는 민주정의당에 이어 2위로 올라서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후 평민당은 신민주공화당, 통일민주당 등과 함께 국가보안법 대체입법안, 5.18 진상조사 등 민주화 관련 법안에서 공조하기도 하였다. 3당 합당 이후 평화민주당은 이우정, 신계륜, 장영달 등의 재야운동가를 영입한 뒤 1991년 4월 15일에 '''신민주연합당'''으로 당명을 변경하였다.

김대중은 미국 민주당을 롤 모델로 중도좌파와 중도우파가 모두 참여하는 중도, 온건개혁주의 정당을 표방하였으며, 1991년 9월 16일에 3당합당에 반대한 통일민주당 출신 인사들이 주축이 된 꼬마민주당과 합당하여 민주당으로 새롭게 탄생하였다.

1987년 대선에서 김대중과 김영삼의 출마는 '민주' 진영 후보들의 표 분산으로 이어져 전두환의 측근인 노태우가 36.6%의 득표율로 당선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하지만, 평화민주당은 1988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에서 1위를 차지하고 호남 지역을 장악하며 김영삼통일민주당을 누르고 여당인 민주정의당의 주요 야당으로 부상했다.

1990년 1월 여당 민주정의당이 야당 통일민주당신민주공화당과 통합하여 민주자유당을 결성함에 따라 평민당은 소수 세력으로 밀려나게 되었다. 이후 평민당은 1991년 4월 9일에 “신민주연합”[8]과 통합하여 “'''신민주연합당'''”(신민주연합당한국어)을 발족시켜 광역의회 선거[9]에 참여했지만, 강력한 지지 기반인 호남 지역을 제외하고는 민주자유당에 큰 차이로 패배했다.[10]

평화민주당의 강령은 다음과 같다:[11]

7. 역대 전당대회

1987년 11월 12일 평화민주당 창당대회에서 당헌 및 정강정책을 채택하고 김대중 창당준비위원장을 총재로 추대했다. 또한 부총재단을 인준하고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김대중 총재를 추대했으며, 군사정권 종식, 조국통일, 국민화해를 결의했다.[1]

1988년 3월 3일 평화민주당 임시 전당대회에서는 야권통합 신설합당 수임기구 구성을 결의했다.[2]

1988년 5월 7일 평화민주당 임시 전당대회에서는 단일지도체제 당헌을 채택하고 김대중 전 총재를 총재로 다시 추대했으며, 부총재단을 인준했다.[3]

1990년 7월 27일 평화민주당 정기 전당대회에서는 김대중 총재를 재신임하고 야권통합 수임기구 구성을 결의했다.[4]

1991년 4월 15일 신민주연합당 전당대회에서는 당명을 신민주연합당으로 변경하고 김대중을 총재로 선출했으며, 최고위원을 선출했다.[5]

1991년 9월 14일 신민주연합당 임시 전당대회에서는 꼬마민주당과의 합당을 결의했다.[6]

참조

[1] 웹사이트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 문서 Called "Little" Democratic Party
[3] 서적 韓国現代史 大統領たちの栄光と蹉跌 中公新書
[4] 뉴스 「사설」 막 내린 60년 민주당(「社説」幕下ろした60年の民主党) http://www.sjbnews.c[...] 2014-03-27
[5] 뉴스 「한마당-박정태」 당명 변천사… 이젠 ‘더불어민주당’(「ハンマダン-パク・ジョンテ」党名変遷史・・・これからは‘共に民主党’) http://news.kmib.co.[...] 2015-12-28
[6] 문서 김대중파의 별칭
[7] 문서 평민당의 선전
[8] 문서 민주자유당의 결성
[9] 문서 1991년 지방의회 의원 선거
[10] 보고서 대韓民国の地方選挙 http://www.clair.or.[...] 자치체국제화협회
[11] 서적 朝鮮韓国近現代史事典 日本評論社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