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만수대텔레비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수대텔레비죤은 1983년 12월 1일 방송을 시작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텔레비전 방송국이다. 초기에는 오락 프로그램 위주로 방송되었으며, 조선중앙텔레비전과 달리 서방 세계의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편성하여 평양 시민들에게 인기를 얻었다. 김일성·김정일 전용 텔레비전으로 기획되었으나, 김일성의 지시로 일반인에게 주말에만 방송되었으며, 수신 범위는 평양으로 제한되었다. 2015년 해외 영상 유출 사건으로 방송이 중단되었다가 재개되었고, 2016년에는 전국 방송으로 확대되었다. 2018년에는 외국 영화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당국은 문화 개방 정책을 추진하며, 유료 채널 전환을 시도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텔레비전 방송국 - 조선중앙텔레비죤
    조선중앙텔레비죤은 1963년 평양에서 방송을 시작한 북한의 국영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뉴스, 선전, 교양, 오락, 드라마 등을 방송하며 조선로동당, 조선인민군, 지도자, 주체사상을 선전하는 것이 특징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텔레비전 방송국 - 조선중앙통신사
    조선중앙통신사는 1946년 설립된 북한의 관영 통신사로, 최고 지도자들의 활동을 찬양하고 대한민국 등을 비판하며 국가 정책을 제시해 왔다.
  • 1973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NHK 기후 방송국
    NHK 기후 방송국은 일본 기후현 지역을 관할하며, 종합 텔레비전과 FM 방송을 자체적으로 송출하고, 지역 뉴스와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국이다.
  • 1973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NHK 쓰 방송국
    NHK 쓰 방송국은 미에현을 방송 구역으로 하는 NHK의 지역 방송국으로,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을 송출하며 지역 뉴스 및 정보 프로그램 제작을 통해 지역 사회와 소통하고, 2023년 조직 개편을 통해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 2015년 폐지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매일경제TV
    매일경제TV는 MBN미디어에서 운영하는 경제 전문 케이블 방송 채널로, 다양한 플랫폼과 OTT 서비스를 통해 증권, 경제, 부동산, 건강 등 여러 분야의 정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2015년 폐지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NHK 원세그2
    NHK 원세그2는 NHK 교육 텔레비전에서 제공하는 원세그 방송 서비스로, 과거 교육, 복지, 예술 분야의 독자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했으나 현재는 E텔레의 원세그 방송 명칭으로 존속하며 특정 시간대에 12세그먼트 디지털 방송과 동일한 내용을 방송한다.
만수대텔레비죤 - [회사]에 관한 문서
만수대 텔레비죤 정보
이름만수대 텔레비죤
한자萬壽臺 텔레비죤
로마자 표기법Mansudae Tellebijon
문화관광부 2000년 표기법Mansudae Telrebijyon
영어Mansudae Television
기본 정보
만수대 로고
만수대 텔레비죤 로고
개국일1973년 12월 1일, 2015년 11월 재개국
폐국일2015년 7월 13일 (이후 재개국)
방송망케이블, IPTV
국가북한
언어한국어
방송 지역평양, 신의주, 사리원 (만방 IPTV를 통해 시청 가능)
방송 정보
지상파 방송아날로그 VHF
지상파 채널채널 5 (평양 77.25 MHz)
기타
특징교육 채널
광고 증가북한 내 소비주의 증가와 함께 광고가 늘어남

2. 역사

1983년 12월 1일 만수대텔레비죤이 방송을 시작했다.[9][10][11] 초기에는 토요일과 일요일에 평양 지역에서만 시청할 수 있었다. 2016년부터 수신 범위가 전국으로 확대되었고, 지상파 송출 방식에서 유선 케이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16]

2015년 7월 13일 방송이 일시 중단되었다가, 같은 해 11월 재개되었다. 2018년에는 많은 주민들이 경제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만수대 TV 설치에 적극적이었는데, 이는 외국 영화에 대한 인기를 반영한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의 의도와는 달리 주민들의 외부 정보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었다.[17]

2. 1. 설립 초기 (1983년 ~ 2015년)

1983년 12월 1일에 방송을 개시했으며[9][10][11] 토요일, 일요일에 방송하고 있다. 조선중앙방송 등과는 달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오락 프로그램, 구미 지역의 사회주의 영화나 애니메이션, 유럽과 미국 등의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작품도 방송하는 등 프로그램이 광범위했다.[12] 외국의 뉴스도 많이 방송하여 평양 시민들의 인기가 높았다.

냉전 이전에는 자본주의 국가였던 미국, 공산주의 국가였던 소련, 중화인민공화국, 동구권 등의 프로그램을 방송했지만 냉전이 끝나고 서방측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보도 프로그램도 외국의 뉴스를 많이 방송한다.

설립 당시, 이 텔레비전 방송국을 전국 방송으로 하면 국민의 사상 통제가 어려워진다는 것을 우려한 북한 정부가 수신 지역을 평양 주변으로만 제한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당초에는 김일성·김정일 전용 텔레비전으로 기획되었으며, 유럽과 미국 쪽의 뉴스와 드라마 등을 신속하게 더빙하여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그러나 그 사실을 안 김일성이 격노하여 주말에만 일반인에게 방송되게 되었다고 하는 에피소드가 있다.[13]

조선중앙텔레비전의 뉴스 프로그램에서 가끔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기세가 강한 당당한 어조로 원고를 읽는 모습도 거의 볼 수 없었다.

설립 당시 최첨단 방송 장비를 갖추고 사치를 부렸기 때문에, 준공식에서 "이런 것을 또 만들면 (자금 부족으로) 나라가 망한다"며 김일성이 김정일을 야단쳤다고 한다.[13]

2015년에 방송국 직원이 해외에서 구입한 영상을 USB 메모리에 담아 유출하는 사건이 발생하여 7월 13일 방송이 일시 중단되었다. 그 후 11월에 방송을 재개했다.

2. 2. 방송 중단 및 재개 (2015년 ~ 2016년)

2015년 7월, 만수대텔레비죤은 알 수 없는 이유로 방송을 중단했다.[4] 대한민국 언론 뉴토피아 온라인판에서는 두 가지 이유를 제기했다. 첫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이 해당 채널을 통해 방영되는 외국 콘텐츠 접근을 제한하기 위해 조치를 취했을 가능성이고, 둘째는 자유아시아방송이 보도한 바와 같이 편집국에서 검열되지 않은 콘텐츠가 방송된 사건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5]

같은 해 8월 15일 개국한 체육텔레비전이 이전에 만수대텔레비죤이 사용하던 주파수를 사용했다는 보도도 있었다.[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의 내부 조사 결과, 해당 텔레비전 채널은 2016년에 복구되었다(다른 소식통에 따르면 2015년 11월).[7] 2016년 5월 18일, 대한민국의 연합뉴스는 케이블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채널 접근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7]

2. 3. 전국 방송 및 케이블 TV 전환 (2016년 ~ 현재)

2016년부터 만수대 TV는 케이블 TV로 전격 송출되어 UEFA 유로파리그나 동구권 영화들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18]

2018년에는 많은 주민들이 경제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만수대 TV 설치에 적극적이었다. 지역 우체국에서는 이를 핀잔했지만, 외국 영화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는 것을 당국도 인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의 의도와는 달리 주민들의 외부 정보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할 가능성도 제기되었다.[18]

아시아프레스 오사카 사무소의 이시마루 지로 대표는 2018년 6월 12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조선중앙TV 이외의 다른 북한 국내 방송을 시청하기 위한 디지털TV 신호 변환기(디지털 튜너) 보급률이 북한 일부 지방 도시에서 80%에 달한다고 밝혔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2017년 말부터 디지털 고화질(HD) 방송으로 전환하면서 전국에서 4개 방송의 청취가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이시마루 대표는 이전부터 전국적으로 방영되던 조선중앙TV 외에도 교육 채널인 룡남산텔레비죤, 세계 각국의 사건사고나 풍물을 다룬 특집 프로그램과 외국 영화 등을 방송하는 만수대 TV, 국제 경기와 스포츠 관련 소식을 전하는 체육 TV 등이 전국적으로 방영되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 정보통신 관련 웹사이트 노스코리아테크의 마틴 윌리엄스 편집장은 2018년 6월 12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이들 방송이 전국에서 시청 가능한지 여부는 알 수 없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민이 당국의 검열을 받지 않은 영상물을 보는 시간과 기회를 줄이려는 북한 당국의 의도라고 평가했다.

북한 당국은 한국 드라마 등 외부 영상의 유입과 확산으로 인한 민심 이반을 막기 위해 해외 영상물의 통제와 처벌을 강화하는 한편, 자체 영상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공급 채널 수도 늘려 주민들이 북한 TV를 더 시청하도록 유도한다는 설명이다.[19]

3. 방송 내용 및 특징

1983년 12월 1일에 방송을 시작했으며 토요일, 일요일에 방송하고 있다. 조선중앙방송 등과는 달리 구미 지역의 사회주의 영화나 애니메이션도 방송하는 등 프로그램이 광범위하다.

냉전 이전에는 미국, 소련, 중화인민공화국, 동구권자본주의 국가와 공산주의 국가의 프로그램을 방송했지만, 냉전이 끝나고 서방측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보도 프로그램도 외국의 뉴스를 많이 방송하여 평양 시민들에게 인기가 높다.

2015년 7월 13일 만수대TV가 갑자기 폐국되었다가 8월 15일 스포츠 계열의 체육 TV가 신설되었고, 11월부터 재개국되었다. 2016년에는 수신 범위가 평양에서 전국 범위로 변경되었고, 수신 방식이 기존의 지상파 송출 방식에서 유선 케이블 방식으로 전환되었다.[16] 2018년에는 많은 주민들이 만수대 TV 설치에 극성이었다.[17]

3. 1. 오락 프로그램

1983년 12월 1일에 방송을 시작했으며 토요일, 일요일에 방송하고 있다. 조선중앙방송 등과는 달리 구미 지역의 사회주의 영화나 애니메이션도 방송하는 등 오락 프로그램이 중심이다.[12]

냉전 이전에는 미국, 소련, 중화인민공화국, 동구권자본주의 국가와 공산주의 국가의 프로그램을 방송했지만, 냉전이 끝나고 서방측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외국의 뉴스도 많이 방송하여 평양 시민들에게 인기가 높다.[1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도 외국 영화에 대한 인기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는 점을 알고 있으며, 이러한 결정은 당국의 의도와는 달리 주민들의 외부 정보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는 방향으로 흘러갈 가능성도 있다.[17]

3. 2. 보도 프로그램

만수대텔레비죤은 외국의 뉴스를 많이 방송한다. 조선중앙텔레비전의 뉴스 프로그램에서 가끔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기세가 강한 당당한 어조로 원고를 읽는 모습도 거의 볼 수 없었다.[13]

3. 3. 문화 개방 정책

북한 당국은 2016년부터 만수대 TV를 케이블 TV로 송출하여 UEFA 유로파리그나 동구권 영화들을 시청할 수 있도록 조치하였다.[18] 2018년에는 많은 주민들이 만수대 TV 설치에 적극적이었으며, 외국 영화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을 당국도 인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정은 북한 당국의 의도와는 달리 주민들의 외부 정보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는 방향으로 흘러갈 가능성도 제기되었다.[18]

북한 당국은 한국 드라마 등 외부 영상의 유입과 확산으로 인한 민심 이반을 막기 위해 해외 영상물의 통제와 처벌을 강화하는 한편, 자체 영상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공급 채널을 늘려 주민들이 북한 TV를 더 시청하도록 유도하고 있다.[19]

4. 유료 채널 전환 시도

2018년 3월, 데일리NK는 북한 정부가 만수대텔레비죤 방송을 유료 구독 방식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제안했다고 보도했다.[8] 그러나 데일리NK에 따르면, 이 프로젝트가 기존 케이블TV 또는 만방 IPTV를 이용하여 진행될 것이라는 사실은 확인되지 않았다. 북한 정부의 이러한 결정의 주요 이유 중 하나는 해당 채널에 방영되는 영화 및 프로그램의 높은 인기 때문이었다. 가격은 650원으로 책정되었다.

5. 북한의 다른 텔레비전 방송국

6. 평가 및 전망

만수대텔레비죤은 조선중앙방송 등과는 달리 오락 프로그램 중심으로 구미 지역의 사회주의 영화나 애니메이션도 방송하여 프로그램이 광범위하다. 냉전 이전에는 미국, 소련, 중화인민공화국, 동구권자본주의공산주의 국가의 프로그램을 방송했지만, 냉전이 끝나고 서방측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보도 프로그램도 외국의 뉴스를 많이 방송하여 평양 시민들로부터 인기가 높다.[16]

2018년에는 많은 주민들이 경제적으로 어렵다고 말하면서도 적지 않은 돈이 드는 만수대 TV 설치에 열성적이었다. 지역 우체국에서는 핀잔을 주었지만 이에 아랑곳하지 않았다. 외국 영화에 대한 인기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의 의도와는 달리 주민들의 외부 정보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는 방향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있다.[17]

6. 1. 부정적 평가

만수대TV의 외국 프로그램 방영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민들의 사상 이완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특히, 대한민국 및 서방세계의 영상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체제 유지에 위협이 될 수 있다.[19]

2018년에는 많은 주민이 경제적으로 어렵다고 말하면서도 적지 않은 돈이 드는 만수대 TV 설치에 열성적이었다. 지역 우체국에서는 이를 핀잔했지만, 주민들은 아랑곳하지 않았다. 이는 외국 영화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18]

아시아프레스 오사카 사무소의 이시마루 지로 대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의 의도와는 달리, 만수대TV의 프로그램들이 주민들의 외부 정보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17] 노스코리아테크의 마틴 윌리엄스 편집장도 북한 당국이 해외 영상물 통제를 강화하고 자체 영상물 공급을 늘리는 것은 역설적으로 주민들이 당국의 검열을 받지 않은 영상물을 보고 싶어 하는 욕구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평가했다.[19]

참조

[1] 서적 Understanding North Korea: Totalitarian dictatorship, Highly centralized economies, Grand Socialist Family https://books.google[...] Institute for Unification Education, Ministry of Unification
[2] 뉴스 Rise in advertising as North Korea embraces nascent consumerism https://www.theguard[...] 2016-06-17
[3] 학술지 TV Broadcasting and Its Development in DPRK http://www1.korea-np[...] 2003-01-30
[4] 웹사이트 외화 대신 스포츠 채널 신설…北 주민 '부글' http://m.ichannela.c[...] 2018-01-26
[5] 웹사이트 RFA "北, 외부영상 유포 적발…만수대TV 제작진 숙청" http://www.newstopia[...] 2015-11-24
[6] 웹사이트 [국민정책평가신문] 외화방영 北만수대TV 방송 중단 http://m.people21.co[...] 2015-08-18
[7] 웹사이트 "北, 외국인 전용 만수대TV 모든 주민에 개방" https://m.yna.co.kr/[...] 2016-05-18
[8] 웹사이트 North Korean authorities sell restricted TV channel to residents for cash https://www.dailynk.[...] 2018-03-21
[9] 서적 世界のラジオとテレビジョン 1984 日本放送出版協会 1984-03-30
[10] 서적 世界のラジオとテレビジョン 1986 日本放送出版協会 1986-03-20
[11] 서적 世界のラジオとテレビジョン 1988 日本放送出版協会 1988-03-25
[12] 학술지 情報ボックス 北朝鮮型「視聴率競争」 現代コリア研究所 1985-07-15
[13] 뉴스 平壌ウォッチ 有線放送 2012-02-29
[14] 웹사이트 「北, 외국인 전용 만수대TV 모든 주민에 개방」 https://web.archive.[...] 2016-05-18
[15] 웹사이트 「北朝鮮ニュース番組一新 スタジオを模様替え」 https://web.archive.[...] 2012-09-13
[16] 웹인용 "北, 외국인 전용 만수대TV 모든 주민에 개방" https://www.yna.co.k[...] 2020-03-07
[17] 웹인용 "650元으로 외국영화 시청" 北, 만수대통로 설치 허가 https://www.dailynk.[...] 2020-03-07
[18] 웹인용 650위안으로 외국영화 시청 北, 만수대통로 설치 허가 https://www.dailynk.[...] 2020-07-16
[19] 웹인용 북한TV도 다채널화 외국영상 견제 https://www.rfa.org/[...] 2020-07-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